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외국인의 한국 내 부동산 직접 투자에 미치는 한류문화의 영향

        양학함,조미혜,임재만 한국부동산분석학회 2017 부동산분석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17 No.1

        한류 영향으로 한국 관광이 증가함에 다라 외국인 관광객, 특히 중국인들의 한국 내 부동산 직접 투자가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한류문화 및 한류관광 경험이 한국 내 부동산 투자로 이어지는지를 조사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한류와 한국 방문 경험이 있으며, 현재 한국에서 주로 중국인 대상 비즈니스를 영위하고 있는 3인을 연구 참여자로 한 심층면담을 통해 한류와 관광, 부동산직접투자의 관계를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한류 문화를 경험한 중국인들이 한국 문화에 대한 관심이 증대하고 한국에 대한 좋은 이미지를 갖게 되며, 한국에 대한 문화적 매력이 한국을 관광 또는 비즈니스 목적으로 방문하도록 유발하며, 관광과 비즈니스 경험을 통해 한국 내 부동산에 대한 직접 투자 기회를 탐색한다는 결론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심층 면담한 외국인의 한국 내 부동산 투자에 대한 한류문화의 영향에 대한 분석 자료는 외국인 부동산 구매 및 소유에 대한 국내 부동산 정책을 개발하고 수립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influence of Korean Wave Culture on foreigners' direct real estate investment in Korea. The qualitative method has been conducted through the in-depth interviews with three people who have experience of Korean Wave in Korea,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between Korean Wave, tourism, and real estate investment in Korea. We collected the data from in-depth interviews with Chinese people who have settled and have business in Korea. We have found that Chinese' travel experience in Korea as well as Korean Wave would lead directly to the real estate investment in Korea. Chinese people who have experienced the Korean Wave culture have increased the interest in Korean lifestyle are willingly to invest the real estate in Korea by a good image of Korea.

      • KCI등재

        표준산업분류와 산업연관표를 활용한 한국과 일본 부동산산업 비교 분석

        박철한(Park Cheol Han),이상영(Lee Sang Young) 한국부동산학회 2014 不動産學報 Vol.59 No.-

        본 논문의 목적은 한국과 일본의 부동산산업간 비교연구를 통해 향후 우리나라 부동산산업 발전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표준산업분류에서는 양국의 업종 분류기준을 통일하여 비교하였고, 산업연관표는 국제투입산출표(WIOD)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일본의 부동산산업의 규모는 우리나라의 2배 이상이고, 일본의 부동산산업이 큰 이유는 상대적으로 주택임대산업이 발달한 결과였다. 투입산출 분석에서는 한국이 일본보다 생산유발효과가 좀 더 크게 나타나지만, 부가가치유발효과는 일본이 좀 더 크게 나타나서 일본이 산업적으로 더욱 발전하였다. 이러한 부동산산업의 차이점을 고려할 때 우리나라는 향후 주택임대업의 성장 정도에 따라 산업적 성장이나 산업간 연관성이 제고될 것으로 판단된다. 1. CONTENTS (1) RESEARCH OBJECTIVES This paper focuses on the comparison between Korean and Japan's real estate industry through Standard Industrial Classification and Input-Output Table Analysis. Through the comparison, this study may offer insight about future change in real estate industry in Korea. (2) RESEARCH METHOD First, we checked what different classification they have for defining real estate industry and set the classification with the same order to compare properly. Secondly, we used WIOD(World Input-Output Database) data in order to take input and output analysis. We analyzed direct and indirect effect from inverse matrix coefficients(production inducement effect), value added requirement coefficient in real estate industries of two countries. (3) RESEARCH FINDINGS The size of real estate industry in Japan is about twice bigger than Korea, because of low development of real estate renting industry in Korea. The result from I-O table analysis between Korea and Japan indicates that Korea has higher production inducement effect on real estates business compared with Japan. But, in the side of value added inducement effect on the real estate business, the scale of Japan is higher than that of Korea. 2. RESULTS The difference from Korea and Japan in the real estate results from the house renting service, because Korea has less development scope in the housing rent service. We expect that Korean real estate industry will develop by growing real estate rental business and having more relationship with other industries as Japan does.

      • KCI등재

        상업용 부동산의 머천다이징 개념화와 구성요소 및 가중치 분석 - 서울시 동대문구 현대시티타워를 중심으로

        오미용 ( Oh Meeyong ),박태원 ( Park Taewon ) 한국부동산분석학회 2020 不動産學硏究 Vol.26 No.1

        유통산업을 둘러싼 다양한 외적환경의 변화는 소비자들의 소비행태를 변화시키고 고도화된 소비방식을 가져왔다. 또한 기술 발전에 따른 공유수단의 발달과 리테일테크(Retail-tech)의 발전으로 소비의 다중화가 실현됨에 따라 소비패턴은 점차 가속화되어 갔다. 이에 따라 상업용 부동산의 성패는 하드웨어적 변화뿐만 아니라 소프트웨어적 처방이 좌우하는 시대가 도래 하였다. 위치 고정성을 가진 상업용 부동산은 급속도로 변해가는 소비자들을 유인하기 위하여 인테리어 리뉴얼과 같은 하드웨어적 방법 외에 적절한 소프트웨어적 조합을 통하여 부동산의 가치를 더욱 폭발적으로 증가시키고 있다. 본 연구가 추구하는 상업용 부동산 머천다이징의 목적 역시 상업용 부동산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적 조합에 따른 ‘상업용 부동산의 상품성 제고’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상업용 부동산의 소프트웨어의 중요성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것에 비하여 이에 대한 체계적인 이론정립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또한 부동산 업계에서 사용되고 있는 상업용 부동산 머천다이징은 ‘레이아웃’, ‘테넌트 믹스’ 등 공간구획의 개념에 국한되어 사용되고 있다. 머천다이징 이론의 연구가 가장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패션 머천다이징에서는 머천다이징의 범위를 상품화의 전 과정 즉, 상품기획부터 판매까지를 그 범위로 보고 있다. 머천다이징 본래의 의미인 ‘상품화계획’이라는 의미를 고려한다면 현재 부동산 업계에서 사용되는 상업용 부동산 머천다이징의 범위와 내용은 보다 확장되어 재정립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패션머천다이징의 이론을 활용하여 상업용 부동산 머천다이징 과정을 시장분석, 개발기획, 설계ㆍ건축, 관리운영 4단계를 기준으로 각 단계별 머천다이징의 목적과 실행방안을 정립하였다. 연구 대상으로서는 쇠퇴 후 건물의 재활성화에 성공한 중대형 상업용 부동산으로 범위를 한정하였다. 건물 신축단계에서부터 이론을 정립하기에는 본 연구가 초기이론으로서 다루어야할 범위가 광범위하고 각 요인의 명확한 규명이 어렵기 때문이다. 반면 쇠퇴 후 재활성화 된 사례는 건물 활성화 요인을 규명하는데 객관성을 확보할 수 있다고 판단되기 때문이다. 심층 사례분석 대상지로는 건물 쇠퇴 후 다수의 재활성화 전략을 취하였으나, 결국 공매로 넘어가 최초 감정가의 30%에도 못 미치는 금액으로 매각되었던 서울시 동대문구 현대시티타워(구 거평프레야)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현대시티타워는 매각 후 건물의 물리적 취약점은 보완하되, 기존 하드웨어적 특징을 최대한 활용하는 방향으로 리모델링을 하였다. 또한 사례대상지가 입지한 동대문의 문화, 쇼핑, 관광이라는 지역 정체성을 개발 컨셉 수립에 반영하고, 경쟁 쇼핑몰의 테넌트 구성 및 소비자 타겟을 분석하여 사례대상지의 층별 용도와 테넌트군을 설정하는데 적극 반영하였다. 이에 따라 각 용도별로 전문성이 확보된 운영사와 탄력적 임대차계약구조로 장기임대차계약을 체결함으로써 공실률 0% 달성은 물론 건물의 성공적인 활성화를 이루어낸 대표적인 사례라고 할 수 있다. 연구 방법으로는 선행연구와 사례분석, 표적집단면접법(Focus Group Interview, 이하 F.G.I라 칭함)을 통하여 예비요인을 도출하고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러나 요인분석을 통하여 도출된 결과, 통계분석이라는 정량적 분석만으로는 상업용 부동산 머천다이징의 실무적 내용을 반영하기에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본 이론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하여 요인분석 후 전문가 집단과의 2차 F.G.I를 거쳐 최종 상업용 부동산 머천다이징의 구성요소를 도출하였다. 도출된 구성요소는 개발담당, 설계ㆍ건축담당, MD컨설턴트, 소유자&PM 각각 6명에게 설문을 실시하여 계층분석기법(AHP)을 통하여 중요도 및 우선순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시장조사단계에서는 배후환경분석, 경쟁상권분석, 소비자 분석이 도출되었으며, 개발ㆍ기획단계에서는 타겟설정, 이미지 제고, 특색있는 입점사, 소비유형 다양화가 도출되었다. 설계ㆍ건축단계에서는 테넌트 배치계획과 동선계획이, 관리ㆍ운영 단계에서는 시설관리와 자산관리가 도출되었다. 각 요인별 중요도 분석 결과 대항목에서는 테넌트 구성계획(0.235), 사업기회탐색(0.220), 컨셉 도출(0.207), 소비환경조성(0.179), 자산효율 극대화(0.159) 순으로 나타났다. 중항목에서는 특색있는 입점사(0.118)가 소항목에서는 브랜드파워 있는 앵커테넌트(0.0427), 용도ㆍ업종ㆍ업태 재구성(0.0367), 광고ㆍ홍보의 다각화(0.0363) 순으로 나타났다. 소항목의 상위 3개은 모두 ‘이미지 제고’에 해당하는 요인으로 기존 쇠퇴이미지의 상쇠를 위한 노력이 건물 활성화에 매우 중요한 요인임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분야별로 분산된 상업용 부동산의 업무를 단계별로 규명하고, 각 단계별 구성요소 정립 및 우선 순위를 분석하여 상업용 부동산 머천다이징의 기초이론을 마련하였다는 것에 그 의의가 있다.

      • KCI등재

        A Study on Predicting the Business Cycle of Korean Real Estate by Using Seasonal-ARIMA Model : Focusing on the Transaction Volume by Property Types

        우경(Woo, Kyoung) 韓國不動産學會 2011 不動産學報 Vol.46 No.-

        1. 내용 (1) 연구목적 한국에서 부동산 시장의 경기를 연구할 때 부동산 시장의 거시경제 지표인 지가변동률이나 주택가격변동률을 이용하거나, 지가변동률, 주택가격변동률과 다른 거시경제지표와의 인과관계를 이용하여 부동산시장의 경기를 연구해 왔다. 그러나 부동산거래 건수는 부동산시장의 경기를 가늠 할 수 있는 중요한 경제지표임에도 불구하고 부동산시장을 분석하고 전망하는데 이용하는 경우가 거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1998년 1월부터 2011년 3월까지 조사된 부동산 유형별(주거용부동산, 소매용부동산, 산업용부동산, 토지), 월별 거래건수자료(159개 시계열 자료)를 바탕으로 계절-ARIMA 모형에 이용하여 2011년도 4월부터 향후 1년간 부동산 유형별 거래건수를 예측하고 이를 분석하여 부동산 유형별 향후 1년간 부동산 경기를 전망하고자한다. (2) 연구방법 본 연구를 위한 연구의 방법은 문헌조사와 실증분석을 변행하였다. 계절-ARIMA 모형에 대한 이론적 배경과 부동산 경기변동에 대한 선행 연구는 문헌조사를 하였다. 시계열자료에 대한 실증분석은 SAS 8.2 통계 패케이지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3) 연구결과 연구결과에 의하면 월별 부동산 유형별 거래건수는 12개월의 계절적 시차를 두고 거래건수에 상호 영향을 주고 있으며, 각 부동산 유형별로 거래건수를 예측 한 결과 2011년 3월 말 기준으로 향후 1년 간 거래건수가 주거용부동산은 8.1%, 소매용부동산은 11.5%, 산업용부동산은 16.0%, 토지는 12.46%가 증가 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2. 결과 계절-ARIMA 모형은 VAR 모형이나, 거시계량경제모형에서 분석 할 수 있는 경제지표간의 인과관계를 분석할 수 있는 방법이나 이론적인 뒷받침이 없다는 한계를 지니고 있으나 추가적인 정보 없이 예측이 가능하다 단기예측에 있어서 정확한 예측력이 있다는 것이 장점이다. 본 연구의 의의는 지금까지 지가변동률 위주로 부동산시장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 왔으나, 부동산시장의 경기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경제지표인 토지거래 건수를 이용하여 부동산시장을 전망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 KCI등재

        부동산개발에 있어서 공공의 역할에 관한 이론적 접근

        김윤희,김준환 한국부동산경영학회 2018 부동산경영 Vol.17 No.-

        우리나라는 사회적 관심사로 등장하고 있는 것이 토지와 주택문제이다. 이러한 문제는 과거 성장위주의 개발과 이에 따른 급속한 도시화 · 산업화 과정에서 파생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사실 우리나라의 근본적인 부동산 개발문제는 좁은 국토면적과 높은 인구밀도를 가진 현실적 제약으로 가용 토지 면적이 충분치 못한 실정이다. 그 결과 도시의 인구집중 과 핵가족화 등 도시 토지 수요와 주택부족현상이 급격히 증가하기에 이르렀다. 이러한 사 회적 · 경제적 조건을 반영하는 우리나라의 부동산 개발 정책 기로는 초기 공공부문이 담 당하며 왔다고 하여도 과언이 아니다. 정부는 1980년대 들어서면서 본격적으로 공공부문이 직접 토지 개발사업에 참여하여 택 지개발 · 주택공급 등 적극적으로 실시하게 되었다. 부동산은 단순한 상품이 아니라 인간 의 생활과 생산활동을 위한 불가분의 의미를 지니고 있다. 무엇보다 부동산 개발의 기본이 념은 정주성 · 공익성 · 경제성 · 복지성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자본주의하에서 택지개발 · 주택 공급 등 부동산 문제를 구조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부동산의 상품화 경향과 이 에 대한 국가 개입의 성격에서 살펴보아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부동산 개발의 기본이 념과 정치 · 경제학적 접근 및 부동산 개발이 지니는 특성을 살펴본다. 그리고 부동산 개 발에서의 공공역할의 필요성과 유형 및 그 내용을 이론적으로 접근하였다. The land and housing problem has emergend as a matter of social concerm in Korea. This problem maybe the result of the process of rapid urbanisation, the industrialisation that followed the past grouith-centerered development. In fact, real eatate development fundamentally subbers from insufficient available land area because korea has a small rerritory and high population density. Accordingly, The housing shortase phenomenon and the increasing demand for urban land Have shanply inereased due to an inblux of people into crties, the nuclean family, etc. It is not too much to say that the pasis of real estate development policy that reblects social and economic conditions has been the role of the public sector. In the 1980s, the Korean government actively enboreed housing sites development and housing supply through full. scale participation in the public sector's direct land development projects. Therefore, This thesis examines the basic idea of real eatate development, the political and economic approach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real estate development. In addition, the author examines the theoretical Approach to the necessity of the public role in real estate development

      • KCI등재

        부동산신탁유형 및 신탁회사의 재무비율과 영업용순자본비율(NCR)과의 상관관계 분석

        인세환(In Se hwan),서충원(Suh Chung Won) 한국부동산학회 2018 不動産學報 Vol.73 No.-

        부동산신탁회사들은 지난 몇 년간 주택시장의 호황에 힘입어 사상 최대의 실적을 기록해 왔다. 그러나 최근 정부의 부동산시장 및 투자수요의 규제 정책으로 인해 향후 부동산 경기가 둔화될 가능성이 있으며, 이러한 경기 변동성으로 인해 그동안 토지신탁 등 과도한 차입 레버리지를 활용하여 수익을 극대화해 온 부동산신탁회사들은 위험에 그대로 노출되어 실적이 감소하거나 위험이 증가할 우려가 있다. 이에 부동산신탁회사의 재무건전성 비율인 NCR을 기준으로 하여 부동산신탁 유형과 NCR간의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재무건전성에 영향을 미치는 부동산신탁유형과 위험요인을 분석해보고자 한다. 이와 더불어 부동산신탁회사의 ROA, ROE, 자기자본비율, 부채비율 등 주요 재무비율과 NCR과의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부동산신탁회사의 재무건전성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을 분석해보고자 한다.

      • 미국부동산에서 경매의 종류에 대한 연구

        전장헌(Jun, Jang Hean) 한국부동산경매학회 2020 부동산경매연구 Vol.1 No.1

        부동산에 대한 경매는 채무자가 보유하고 있는 부동산을 채권자가 경매를 신청하여 이에 대한 채무자의 소유권을 소멸시키고 그 대신에 채권자가 부동산으로부터 변제받지 못한 채무액에 대하여 만족을 얻는 환가방법을 의미한다. 이러한 경매제도는 궁극적으로 경매(환가)절차를 통하여 부동산으로 부터 만족을 얻게 되는 법의 마지막 단계로 상당히 중요한데 미국부동산에서 경매제도는 많은 주에서 사용하는 “법원경매(Judicial sale)”와 “사경매(nonjudicial foreclosure, power of sale clause)” 그리고 이외 절대적 경매와 입장경매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그런데 우리나라 경매제도는 오직 법원경매만을 인정하고 있고 사적인 저당권 계약에 대하여도 바로 경매를 진행할 수 있도록 인정하고 있어 부동산에 대한 공신력을 인정하고 있지 않은 우리나라의 현행 체제하에서 낙찰대금을 전액 납부하고 소유권 이전까지 한 상태에서 낙찰자(매수인)가 생각하지 못한 소유권을 상실하고 법적인 소송에 휘말리는 문제가 종종 발생하고 있다. 그러나 미국부동산 경매제도는 경제대국인 만큼 다양한 경제활동 등으로 법의 마지막 단계인 부동산경매제도가 우리나라와 다르게 많이 발전되어 있고 경매종류도 다양성과 그 내용들이 정교하게 이루어져 채무자와 채권자 모두를 보호할 수 있는 제도들이 많이 있다. 더구나 우리나라 부동산경매제도가 2002년 7월1일 “민사집행법”이라는 단독법안을 제정하여 어느 정도 부동산경매제도의 안정화와 대중화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아직은 시대적인 흐름에 따라 가지는 못하는 문제 등이 많이 있어 미국부동산 경매종류는 우리나라 경매제도의 활성화와 안정적인 정착화를 위하여 시사하는 바가 크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미국부동산의 경매제도와 관련된 법과 판례법 그리고 관련 홈페이지 등의 실무적인 문헌을 근거로 우리나라 법에의 시사점을 연구함으로써 우리나라 부동산경매제도의 제도적인 발전과 이해관계인의 권리를 보다 보호하고자 한다. Auction for real estate means to a sale method in which a creditor applies for auction and obtains satisfaction with the real estate held by the debtor. This auction system is extremely important as the final step in the law that ultimately provides satisfaction through real estate auctions. The US real estate auction system is used in many states by “Judicial sale”, Nonjudicial Foreclosure and other “Strict Foreclosure” and “Entry Foreclosure”. However, the auction system in Korea only recognizes court auction. In addition, the private mortgage contract is recognized to allow the auction to proceed immediately, so the successful bidder has paid the full amount of the successful bid and transferred the title, but often loses ownership and gets involved in legal proceedings. However, unlike Korea, the U.S. real estate auction system has developed a lot, and there are many systems that can protect both debtors and creditors because of the diversity of auction types and their details. Moreover, Korea s real estate auction system enacted a single law called the “Civil execution law” on July 1, 2002 to stabilize and popularize the real estate auction system to some extent, but has yet to go along with the times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further protect the development of the real estate auction system in Korea and the rights of interested parties by studying implications for Korean law based on the laws and practical literature related to the auction system of the US real estate.

      • KCI등재

        부동산개발사업의 정상화 방안에 관한 연구

        서진형 한국부동산경영학회 2018 부동산경영 Vol.17 No.-

        본 연구에서는 부동산 개발사업 부실의 원인이 변형된 PF구조에 있다고 보고, PF구조 개선을 통한 부동산 개발 PF사업 부실채권(NPL) 정상화방안을 연구하는데 목적을 두었 다. 이에 따라 연구의 방법으로 문헌고찰, 현황분석, 사례분석을 취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 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헌고찰 측면에서는 먼저 부동산 개발사업 및 개발자에 대한 개념을 명확히 정의하였다. 또한, 국내 부동산 개발사업 실정에 맞는 추진단계를 제 시하였고, 국내와 서구의 PF구조를 분석하여 국내 PF가 변형된 구조로 운영되고 있음을 증명하였다. 둘째, 현황분석 측면에서는 먼저 부동산 개발사업의 PF 도입배경, 부동산 개 발 PF사업 NPL 현황, 부동산 개발신탁 현황 등을 분석하여 국내 PF의 변형된 구조의 문 제점을 도출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사업성 평가방식보다 시공사 신용공여에 치중하는 구 조, 금융회사가 사업 파트너가 아닌 대주의 역할에 머물고 있는 구조, 사업주체인 시행사 의 비합리적 권리구조, 신탁의 합목적성과 모순된 역할구조 등의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나아가 ‘부동산 개발 PF사업 NPL 정상화방안’ 마련과 제도개선의 필요성을 도출하였다. 셋째, 사례분석 측면에서는 00 개발사업에 대한 사업의 개요와 PF구조, PF구조 개선사항 등을 분석하여, 금융구조 전환과 제도개선의 필요성에 대해 소결하였다. 이어서 PF구조 개선을 통한 부동산 개발 NPL 정상화방안으로 PFV사업방식의 도입과 이에 필요한 제도 개선 등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has focused to seek normalization methods for those distressed development projects by improving the structure of project financing, after acknowledging that modified PF structure are actual causes for distress of property development projects. Accordingly the chosen reaearch methods were relevant literature reviews, the analysis of current situation, and case studies. The deducted implication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ing: First, by conducting relevant literature reviews suggested, the notions of property development projects and developers were able to be clearly defined. In addition, this study was able to propose the ideal, practical development processes adjusted for property development environment in Korea and also revealed that the structures of project financing in Korea and Western countries are actually different. Secondly, in the perspective of analysis of current situation, this study has identified problems of modified PF structure in Korea by analyzing the background of PF introduction, the current situation of non-performing loans(NPL), the current situation of real estate trust. Furthermore, it has prepared 'management measures of NPL' and methods of systematic improvement. Thirdly, it also proposed normalization methods for those distressed development projects by conducting case studies. Specifically, 'Resort 00' was selected as it has successfully improved the distressed environment by modifying the PF structure. By conducting the analysis of its development plan, its structure, and the strategic points of structure improvement, the change in financial structure as well as systematic improvement were found to be necessary.

      • KCI등재

        직무분석을 통한 부동산 교육과정 개발

        김재환(Kim Jae Hwan) 한국부동산학회 2014 不動産學報 Vol.59 No.-

        최근 부동산시장의 침체로 부동산 산업 환경의 변화가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이에 따라 부동산 전문인력에게 요구되는 역량과 역할이 점점 더 다양해지고 있다, 그러나 현행 교육과정으로는 부동산 산업체에서 요구하는 교육과정을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기에 이 연구에서는 직무분석법을 이용하여 부동산 분야 산학협력 맞춤교육을 위한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이를 적용함으로써 부동산 분야의 우수한 전문 직업인을 양성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방법으로 교육목표와 교육내용을 비교적 단시간 내에 추출하여 교육과정을 개발하는데 효과적인 데이컴(DACUM)기법을 활용하여 5개 직무로 부동산공통, 부동산중개, 부동산관리, 부동산금융 및 투자, 부동산개발로 구성하였다. 각 직무별 책무로 부동산공통에서는 부동산 일반기획의 7개 Task로 부동산중개에서는 부동산계약의 7개 Task로 부동산관리에서는 부동산운영의 4개 Task로 부동산금융 및 투자에서는 부동산의사결정의 6개 Task로 마지막 부동산개발에서는 부동산공급의 6개 Task로 분류되었다. 1. CONTENTS (1) RESEARCH OBJECTIVES The recent recession of real estate market has accelerated the changes to the real estate business environment, which has increasingly diversified the capabilities and roles required from real estate professionals. The current curriculums, however, do not meet the needs of the real estate businesses. This study thus set out to develop a curriculum for custom education based on industry-academy collaboration by using a job analysis technique, apply it, and contribute to the production of excellent professionals in the field of real estate. (2) RESEARCH METHOD As for methodology, the study employed the DACUM technique that was effective for identifying educational goals and content relatively in a short period of time and developing a curriculum based on them. (3) RESEARCH FINDING The DACUM technique led to a curriculum, which was comprised of five jobs including common real estate, real estate brokerage, real estate management, real estate finance and investment, and real estate development. As for the tasks of each job, common real estate contained seven tasks of general real estate planning; real estate brokerage did seven tasks of real estate contract; real estate management did four tasks of real estate operation; real estate finance and investment did six tasks of real estate decision-making; and real estate development did six tasks of real estate supply. 2. RESULTS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he situation of prescriptive education policies by the government involving the cultivation of specialization colleges and universities according to the rapid decrease of population and the absolute reduction of school age population. In pursuit of the educational goal of bringing up professional real estate workforce focused on the practical qualities, a curriculum was developed based on the creation of job descriptions and task specific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