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논문 : 예로센코, 노신(魯迅), 주작인(周作人)의 세계주의적 경향과 동아시아 지식인의 사상적 공명

        홍석표 중국어문학회 2015 中國語文學誌 Vol.0 No.53

        世界語早已經失去了現實性的力量,無政府主義也因其超越國家和民族的理想主義的性格,而沒能在現實中紮根。但是對1920年代的東亞知識分子而言,那是實現社會變革和民族解放的重要的語言工具和思想武器。1920年代初曾停留於北京的吳相淳、李又觀、柳林等韓國進步知識分子之所以能與愛羅先珂、魯迅、周作人進行接觸和知識上的交流,是因爲世界語和無政府主義也起到了媒介作用。當時韓國知識分子積極參與了中國的世界語運動,通過與愛羅先珂的關係、對中國新文學的關心、北京世界語學會的活動、北京世界語專門學校的設立等,與周作人、魯迅進行交流,形成了知識上的共感地帶。其實韓中知識分子通過與柳宗悅、武者小路實篤等日本的白樺派知識分子進行交流,産生了思想上的共鳴,而這種思想上的共鳴成爲1920年代初韓中知識分子交流的基礎。尤其在接觸白樺派知識分子的過程中,對他們起到一定影響的愛羅先珂在周家停留時,剛好也在北京停留的韓國知識分子以對愛羅先珂的信任爲基礎,從無政府主義的角度理解魯迅,幷受到他在知識和思想上的影響。對韓國知識分子而言,世界語和無政府主義是超越國家與民族,進行相互理解和思想紐帶的重要的語言工具和思想武器,所以在韓國的獨立問題十分迫切的情況下,他們試圖通過世界語和無政府主義與愛羅先珂、周作人、魯迅進行交流,尋求思想上的紐帶。

      • KCI등재

        세계어로서의 영어 교육의 목표

        윤현숙 ( Hyun Sook Yoon )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교육연구소 2007 외국어교육연구 Vol.21 No.1

        최근 들어, 영어가 세계 공용어로 확산, 사용되면서 세계어로서의 영어 (EIL)개념이 대두되었다. 영어가 기존 몇몇 국가의 언어로 인식되던 시대를 지나 이제는 영어를 사용하는 모든 사람이 영어의 주인이라고 주장하는 세계영어 입장에서 볼 때, 영어교육의 목표에도 변화가 요구된다. 즉, 이제는 모국어화자와의 영어 사용을 위한 모국어화자 모델의 모방이 아니라, 다문화간 의사소통 능력의 신장을 위한 방향으로 교육 목표가 정립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영어를 바라보는 새로운 인식하에, 본 연구는 과연 한국의 영어 학습자들이 이러한 개념을 얼마만큼 인지하고 있는지를 알아보고 그를 바탕으로 세계어로서의 영어의 교육 목표를 재고해 보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224명의 설문조사를 통하여 알아본 결과, 본 연구는 한국 학생들이 세계어로서의 영어에 대한 인식이 매우 부족하며 미국영어와 영국영어를 제외한 다른 종류의 영어에 대해서는 인식이 거의 없음을 발견했다. 아울러, 응답자들은 여전히 영어를 기존 모국어 국가의 소유로 간주하고 모국어화자를 모방하고자 하는데 영어 학습 목표를 두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은 영어 교사들이 학생들에게 세계영어 개념을 인식시키고 영어 교육의 목표를 상호간 이해도(mutual intelligibility)를 담보하는 가운데 문화간 의사소통 능력을 증대시키는 데 두여야 함을 강조한다. As English becomes so widespread, English has developed to function as an international language. The expansion and functional change of English as an international language(EIL) requires changes in the needs and goals of students` learning and accordingly changes in the models of teach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Korean college students` perceptions of EIL in order to reconsider teaching goals for EIL in EFL context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from 224 students enrolled in three Korean universities. The results of the study revealed that the students lacked awareness of the nature of EIL and they still preferred native speaker models for their learning. This paper suggests that teachers focus on increasing intelligibility in students` use of English, while raising their awareness of different varieties of English from the EIL view. The awareness of EIL, then, can enhance their confidence in speaking English and better prepare them for intercultural communication.

      • KCI등재후보

        한국에서 세계어로서의 영어 학습과 교육 방향

        박혜순(Park Hae-Soon)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0 인문과학연구 Vol.0 No.24

        이 연구는 일부 국가의 모국어로 사용되던 영어가 세계인들이 소통하는 매개 언어의 역할을 하게 됨에 따라, 이러한 패러다임의 변화가 한국 영어 학습자들과 교육자들에게 제기하는 문제를 살펴보고자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삼고 있다. 그리하여 필자는 외국어로서의 영어 학습자가 아닌 주체적인 영어 사용자로서 거듭나기 위해 다음의 문제들; 첫째)교육 대상 variety와 문화의 선정 및 내용의 범위, 둘째)영어의 소유권, 셋째)영어의 변화 및 변이형에 대한 관용 및 인정 범위, 넷째)교육 목표 설정에 관한, 다섯째) 마지막으로 세계어로서의 영어 사용자의 정체성 확립에 대해 다시 고찰해야 할 필요성을 제기한다. 고찰 결과, 필자는 한국의 영어 사용자들이 세계어로서의 영어 사용자로 거듭나기 위해서는 1)다양한 언어 문화적 배경을 가진 영어 화자들과의 소통을 도모하고 공헌할 수 있는 variety에 대한 탐색 필요성, 2)문화 간 교류 증대를 통한 경험의 축척과 문화 간 차이점과 유사점을 학습자 스스로가 파악할 수 있는 능력 향상을 위해 대화 과정 자체를 중시하는 교육의 필요성, 3)학습자들의 문화적 특성을 고려한 학습자들에게 적합한 학습 방법 그리고 학습 동기 고취 방법 탐구의 필요성, 4)그리고 마지막으로 학습자들의 영어사용 주체자로서의 정체성 확립의 필요성을 제안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factors that both Korean English learners and educators need to consider in the changing paradigm of English use from a mother tongue of few countries to the lingua franca between people of different lingua cultural background. Therefore, to encourage English learners to be an active and creative English user, reconsideration on English education in terms of the following points; 1) the selection of the target variety and culture and the scope of their contents 2) the ownership of English 3) the scope of tolerance of linguistic change and variations 4) goals of English education 5) identity of users of English as a lingua franca is suggested. As a result, to be a user of English as a lingua franca in a global community, the need to pursue a variety that facilitates and contributes to effective communications between various English users, the need to build up experience through the increase in intercultural interaction, the need to provide learners with education that promotes the process of communication itself and through which they can enhance their ability to grasp intercultural difference and similarity, the need to seek methodologies for promoting English education and learning motivation based on learners' own socio-cultural characteristics, and lastly the need to help learners to establish their identity as a English user with the sense of self-esteem are emphasized.

      • KCI등재

        근대 조선어와 에스페란토: 에스페란토의 조선적 특징과 쟁점

        문혜윤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5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67 No.-

        In early modern times, Joseon Language had relations with many different languages. Its dual language situation with Japanese was prominent during the period, when its relations with English, Chinese, French, Russian, and German were not to be missed. Announced by Zamenhof in 1887, Esperanto was an artificial and common international language that played an essential role in the language landscape during the period. Esperanto was examined in its relations with anarchists in many cases, but one can see that it encompasses much more than that in reality by examining its application to Joseon and its operational methods of discourse in it. The Esperanto movement peaked in Korea in the former half of the 1920s. There were Esperanto lessons all over the nation; books to help learners study the language for themselves were published; and newspapers and magazines had a regular section to teach the language. It was a trend those days that language study was widely spread among laymen that did not specialize in linguistics. The fact that Esperanto is an easy language to learn and use in a short period of time was particularly emphasized. In the second half of the 1920s, linguists that followed the footsteps of Ju Shi-gyeong started to engage in a language movement actively around the Joseon Language Research Institute(Joseon Language Society). There were a couple of common features between the Esperanto movement and the Joseon Language movement: first, the two movements honored and commemorated their respective creators, Zamenhof and Ju Shi-gyeong(King Sejong and Hangul Proclamation Day); and secondly, both of them provided an ongoing series of lessons to teach the two languages. Esperanto faced a criticism that it did not reflect the life and habits of a people since it was an artificial language. Based on the perception that Joseon Language displayed confusing aspects with no rules as a natural language, there were efforts to equip it with modern language features through grammar and standard language establishment during those days. Esperanto and Joseon Language met each other through a concept of “arranged natural language.” It was argued that the former was not an artificial language completely but a natural language that had been arranged and that the latter should go through an arrangement process for more convenient acquisition. There was another argument that Esperanto should actively be introduced as a world language since Joseon was a country that was lagging behind other countries and had a history of being colonized, thus needing to introduce a common world language for the reception of the world and globality. The introduction of Esperanto was considered as the realization of directionality for the original texts. The globality that colonized Joseon should reach was a permanent and simplehearted point beyond individuals and peoples. There was a perception that Joseon people and literature would join the world people and literature the moment they used Esperanto. Entering the 1930s, the patterns of discourse about a natural or artificial language and an ethnic or world language around Esperanto changed. Those changes were attributed to the changes to the perceptions and imagination of the world. 근대 조선어는 여러 언어와의 관련 하에서 형성되었다. 일본어와의 이중 언어 상황이 부각되는 시기이지만, 영어, 한어(중국어), 법어(프랑스어), 아어(러시아어), 덕어(독일어) 등과의 관련도 빼놓을 수 없다. 또한, 1887년 자멘호프가 발표한 인공어이자 국제공통어인 에스페란토 역시 이 시기 언어장에서 빼놓을 수 없는 역할을 했다. 에스페란토는 아나키스트와의 연관성 하에서 살피는 경우가 많지만, 에스페란토의 식민지 조선에의 적용과 담론의 작동 방식을 살피면, 실제로는 이보다 훨씬 많은 부분을 포괄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국의 에스페란토 운동은 1920년대 전반기에 가장 융성하였다. 에스페란토 학습을 위한 강습이 전국 각지에서 열렸으며, 혼자 공부할 수 있도록 독습서가 발간되었고, 신문과 잡지에 에스페란토를 가르치는 고정적인 학습란이 마련되었다. 언어학을 전공하지 않은 문외한의 언어 학습이 만연했던 것이 당시의 풍조였다. 에스페란토가 단기간에 학습하여 써먹을 수 있는 쉬운 언어임이 특히 강조되었다. 1920년대 후반부터는 주시경의 뒤를 이은 어학자들이 조선어연구회(조선어학회)를 중심으로 한 어문운동을 활발하게 벌이기 시작했는데, 앞선 에스페란토 운동과 조선어문운동 사이에는 공통점이 존재한다. 첫째로, 두 운동은 언어의 창시자인 자멘호프와 주시경(세종대왕이나 한글날)을 기리고 기념했으며, 둘째로 두 운동은 언어 학습을 위한 강좌를 끊임없이 개최하였다. 에스페란토는 인공어이기에 한 민족의 생활과 습관을 반영하지는 못한다는 비판을 받았다. 그 당시 조선어는 자연어로서 규칙 없이 혼란스러운 면모를 보인다는 인식 아래 맞춤법과 표준어 등의 제정을 통해 근대적 언어의 모습을 갖추기 위해 노력하고 있었다. 에스페란토와 조선어는 ‘정리된 자연어’라는 개념으로 만나는데, 전자의 경우 자연어가 정리되어 있는 것일 뿐 완전한 인공어는 아니라는 주장, 그리고 후자의 경우 습득하기에 편하도록 언어를 정비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또한, 에스페란토는 세계어로서 적극적으로 도입되어야 한다고 주장되었다. 조선은 뒤쳐지는 나라였고, 그래서 식민지가 된 전력이 있다고 여겼기 때문에, 세계와 세계성의 도입을 위해 공통의 세계어를 도입해야 한다는 것이다. 에스페란토를 도입하는 것은 원문에 대한 직접성을 실현하는 일로 여겨졌다. 식민지 조선에서 도달해야 할 세계성은 개인과 민족을 벗어난, 항구적이고 순정적인 지점이었다. 에스페란토를 사용하는 순간 조선인과 조선문학은 세계인, 세계문학의 위치에 들어가는 것으로 여겨졌다. 1930년대에 들어서면 에스페란토를 둘러싼 자연어와 인공어, 민족어와 세계어에 대한 담론의 양상이 변화한다. 이러한 변화는 세계에 대한 인식과 상상의 변화에 기인한 것이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세계어로서의 영어와 효과적인 초등영어교사

        노경희(No GyeongHee) 한국초등영어교육학회 2006 초등영어교육 Vol.12 No.1

          This study argues that in an era of World English it is not desirable to cling to the native speaker model for English teaching. and English teaching in Korea would benefit by exploiting Korean bilingual teachers who have various advantageous resources rather than concentrating on the native speaker. In order to achieve the goal, it first considers the main characteristics of World English, the fallacy of the native speaker model, and the strengths and assets of Korean bilingual teachers of English. Next, it discusses the results from a questionnaire and interviews devised to gain insights into how Korean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ive World English, what they think about team teaching with the native speaker teacher, and how they evaluate themselves as English teachers. Finally it suggests that education policy makers need to be aware of the changed new role of English as World English and try to make the best use of Korean bilingual teachers by reappraising their value and strengths.

      • Current Conditions and Trends of English Education in Korea

        이혜경 공주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07 초등학교교육연구 = Elementary school education research Vol.7 No.2

        급격하게 전개되고 있는 세계화라는 거부할 수 없는 추세에 따라 국제적으로 공통 의사 소통어로서의 실무적 필요에 의해 영어에 대한 인식이 날로 변화하고 있는 바, 영어는 더 이상 미국과 영국 등의 영어 상용 국가들의 언어로서가 아닌 세계어(English as an international language) 혹은 지구어 (English as a global language)로서의 그 위 상이 확고해 지고 있다(Crystal, 2003). 우리나라에서도 이제 이러한 세계어로서의 영어 에 대한 실용적인 인식이 보다 구체화되고 있으며 이에 따른 정책적, 영어교육 방법론 적 연구가 더욱 절실해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영어교육의 방법이 더 이상 외국어로서의 영어(EFL)로 전제하는 한계를 벗어나 우리나라에서도 ESL로서의 영어교 육에 대한 인식의 전환이 필요할 때임을 강조하고, 이에 현재 외국어 교육에 있어서 세계적으로 널리 적용되고 있는 몰입식 언어교육 방법을 영어교육에 점차 적용시킬 것 을 제안하고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s why English is a global language and what solutions should be implemented for current English education problems in Korea. As long as English Education remains a part of mainstream foreign language teaching, there is little chance of entering the 'outer circle' in Crystal’s sense (2003). As an alternative, an immersion program should be implemented within the Korean context of English Education despite of some apparent concerns.

      • KCI등재

        안확과 개조론: 세계어로서의 개조와 자기 민족지의 생성 논리

        공임순 ( Kong Im-soon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7 민족문학사연구 Vol.64 No.-

        현실 사회주의의 몰락에 당면한 최인훈은 1994년 작 『화두』를 통해 소비에트 러시아가 식민지 조선인에게 무엇이었는지를 되묻는다. 그의 물음에 담긴 이 화두는 제1차 세계대전 중에 전 세계를 풍미한 레닌주의와 윌슨주의의 문제와도 직결된 것이다. 이 글은 제1차 세계대전의 이 레닌주의와 윌슨주의의 교착을 혁명과 예방혁명의 견지에서 재접근하고자 했다. 윌슨 모멘트(Wilsonian Moment)가 가능할 수 있었던 데는 바로 레닌 주도의 「평화에 관한 포고(Decree on Peace)」를 의식하고 견제한 예방조처의 결과이기도 했다는 점을 감안해서이다. 이 글은 지금까지 논의된 바 없는 `예방혁명`으로 윌슨주의를 규정하고, 이 두 혁명과 예방혁명의 교착이 만들어낸 뜻하지 않는 경합과 공존의 세계상을 요시노 사쿠조(吉野作造)의 “윌슨+레닌=국제 민주주의”의 구상으로 재확인했다. 전후의 세계를 틀 짓게 될 이 급변하는 세계 대세를 압축하는 어휘가 `개조`였다. 이 글은 개조가 갖는 의미를 이 전 지구적인 움직임에서 파악할 때, 식민지 조선의 대응과 자기 인식의 양상은 어떠했는지를 한번 되묻고 싶었다. 스튜어트 홀이 말했듯이 하나의 지배적 개념이 형성·정착되기까지 협상과 타협 및 교환과 유통의 소위 문화적 순환(cultural circuit)은 무엇보다 중요하다. 제1차 세계대전의 격동 속에서, 지구의 양 사이드에서 발하는 세계의 근본적 변화의 신호를 이처럼 개조와 같은 지식과 담론의 `문화적 순환`으로 포착하고 재생산했던 것은 이 수용주체들의 적극적 의지와 실천 없이는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적어도 한반도 내 행위주체들과 연결된 개조의 `문화적 순환`은 일국적 차원을 넘어 전 지구적 차원의 근본적 변화가 동반된 것이어야 했으며, 이런 점에서 개조는 실질적이고 가상적인 세계어(=세계지)로 이해되고 재구성되었던 것이다. 이 글은 2장을 통해 개조가 갖는 이 전 지구적 차원의 의미망이 `세계`와 `사회`의 동시적 발견을 이끌었음을 당대적 맥락과 결부시켜 논해보았다. 이는 3장의 중심인물인 안확이 그려간 자기 민족지를 횡적(동시대)인 통시성으로 이해하려는 이 글의 주제의식과도 맞닿아 있다. 어떠한 과거의 `진실(truth) 내지 사실(fact)`도 현재의 이해관심이 투영된 것이라고 한다면, 세계로 향해진 내부의 확대된 자의식은 이러한 횡적(동시대)인 통시성 속에서 자기 민족지를 재직조할 수밖에 없을 터이기에 말이다. 이 글은 안확의 『조선문명사-일명 조선정치사』와 더불어 최초의 국문학사로 칭해지는 『조선문학사』의 자기 인식의 서사가 바로 이 횡적(동시대)인 통시성의 산물임을 3장에서 주되게 논했다. 총 8권으로 기획된 `조선문명사`의 한축을 이루는 『조선문명사-일명 조선정치사』와 『조선문학사』의 이러한 횡적(동시대)인 통시성이야말로 `개조의 시대`가 낳은 유례없는 산물이었음을 지적함과 동시에 이 글은 4장에서 안확의 이 자기 민족지를 최초의 국문학사라고 하는 기원의 강박에 가두기보다 전지구적인 지식과 담론의 `문화적 순환`의 관점에서 바라볼 것을 제언함으로써 최인훈이 던졌던 `화두`의 비판적 문제의식을 현재진행형의 질문으로 이어가고자 했다. Faced with the collapse of real socialism, Choi In-hun recalled what the Soviet Russia was to the colonized Koreans through his novel Hwa-doo(화두) in 1994. This topic in his question is directly linked to Leninism and Wilsonism, which are all over the world during the First World War. This paper tried to discuss the mixture of Leninism and Wilsonism during the First World War in terms of revolution and preventative revolution. The reason why the Wilsonian Moment could have been possible was that it was the result of the precautionary steps to recognize and control the Lenin-led “Decree on Peace”. This paper defined Wilsonism as the `preventive revolution` that has not been discussed so far and reaffirmed unintended competition and coexistence created by the mixture of revolution and the preventive revolution as the conception of Yoshino Sakuzo insisting “Wilson+Lenin=International Democracy”. The vocabulary that compresses this rapidly changing global trend that will shape the postwar world was reconstruction.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review once again how the colonial Joseon correspondence and self-awareness pattern was when we understood the meaning of the reconstruction from this global movement. As Stuart Hall says, the so-called `cultural circuit` that negotiates, compromises, exchanges, and distributes is the most important thing in forming a dominant concept. This paper discussed in Chapter 2 that the movements on the Korean peninsula which circulated and reproduced the reconstruction into a world language(=world knowledge) bearing world ideologies and ideas led to the simultaneous discovery of `world` and `society`. In chapter 3, this paper redefined the meaning of autoethnography written by An Hwak including History of Korean civilization History and Korean Literature History which has been said to be the first Korean literary history in the context of contemporary diachrony. This paper briefly mentioned in Chapter 4 that the contemporary diachrony of Korea Literature History which is a part of `Korean Civilization History` can be a valid touchstone for examining the light and shadow of `the period of reconstruction`.

      • KCI등재

        인터페이싱(interfacing) 언어를 이용한 새로운 한국어 교육방법

        김희숙(Heesook Kim) 한국중원언어학회 2008 언어학연구 Vol.- No.13

        Globalization appears to make only English ever dominant. Based on the number of speakers, English fully deserves to be called a major language. In terms of influence, English turns out to be unmatched. These features present a great tumbling block for other languages, including Korean, to spread worldwide. However, on second thought, we find that if we use the English language, which as a byproduct of globalization, has acquired the status of being the interface or the global language, we could make Korean more easily accessible to the foreign language speakers interested in learning Korean. The fact that we can deliver what we think or how we feel to others in English, even though not perfectly, suggests that we might belong to the same epistemic community, based on English to some extent. It leads us to the claim that when teaching Korean to other language users, if we adopt English as an aid or an intermediary, the result would be far more productive than the traditional approach.

      • KCI등재

        세계어로서 영어교육과 초등학생들의 영어발음에 대한 인식

        김민영(Kim Min young),고경희(Ko Kyoung hee) 한국초등영어교육학회 2014 초등영어교육 Vol.20 No.4

        Korean English Education has adopted the view of English as a world language since 2007 Curriculum Reform. Within the new approach, once aspired aim of native-likeness has been replaced by comprehensible intelligibility. With respect to pronunciation, emulating native-like pronunciation is not the aim but comprehensible pronunciation is considered sufficient. However, studies have reported of teachers' and learners' views in discord with these principles in educational policy. In this area of research, little attention has been paid to elementary students' views. This study explores a class of fifth grade elementary students' views of English pronunciation. 22 students' responses on a questionnaire survey were examined. Four of the students and the native speaker teacher were interviewed. The results show that the students tend to think that attaining native-like pronunciation is important. The findings of the study suggest the need for larger scale research on elementary students' views of the issue and for appropriate education regarding English pronunciation in the context of English as a world language.

      • 세계 공용어로서의 영어의 현장과 미래

        김준호(Kim, Joon Ho) 동덕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0 人文科學硏究 Vol.16 No.-

        영어는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제1의 세계어가 된 결과로 세계 속에 퍼져있는 다양한 이형태의 전면적인 등장이라는 새로운 문제를 낳았다. 구어중심으로 각 이형태간의 차이점은 서로간의 의사 소통의 문제를 야기할 정도이고 통합보다는 지역적인 방언으로의 독립적인 행보로 발전해나갈 것이다. 구체적인 예상모습은 McArthur(1987), Görach(1990), 김명숙(2005)에서볼 수 있다. 이형태의 발음, 어휘, 문법 및 화용에서 개별적인 특색은 독특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영어의 미래는 과거 라틴어와는 달리 현재의 세계화의 구도가 경제전쟁을 치루고 있기 때문에 국제화가 지속적으로 가속됨으로 일단 공용어의 우위를 점한 영어는 절대적 선두주자인 영어가 밀려날 수는 없을 것이다. 더불어 Crytal(2003:191)의 주장처럼 현재 6억이상 인 영어의 외국어화자수가 급증하고 있는 추세는 이를 더 확실히 예측하게 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present state of English as a global language and to expect the future of it. To get the clear evidence of differences in the world English varieties, it describes the major characteristics of each of them briefly in historical and sociolinguistic backgrounds, vocabulary, phonology, grammar, pragmatics and others. Firstly, from great differences we found especially in vocabulary, sound and a certain amount of differences in grammar and pragmatics, we can expect that more differences would like to increase in the future among these varieties especially in phonological and morphological forms and grammar in order because the spoken forms has been changed more abundantly than the written form. Secondly, we also expect that the independent right of each variety as one of world Englishes would be strengthened faster than expected owing to its fast growing power in world politics, economics and the increasing number of speakers in the future. In the expectation of the future of English, even though there must be several factors-political, economical, technological or cultural ones which can impede the future growth of English in the world, but all of them do not have great impact as a noticeable barrier. On the contrary, the strength and inevitable situation which has to choose English as a necessary world common communication method, can work abundantly and incessantly. Therefore there must be no great change which influences the decrease of using English as a global language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