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조선어 문학의 역사 만들기와 ‘강화(講話)’로서의 『문장』

        문혜윤 한국근대문학회 2009 한국근대문학연구 Vol.10 No.2

        Lee Tae-june's the Lecture on writing(Munjangganghwa) which had published serially in the Munjang has encountered with criticism about the superficial diagram divided 'the sentence of masses' with 'the sentence of artists'. Because it is characterized by a noble attention and an elite attention. The contradictory statements in the Lecture on writing(Munjangganghwa), however, are collected to a sentence accomplishes the unity of speech and writing, that is, the vocal central attention turned over a high position of 'the letter'. That he referred Hanjunglok or Inhyunwanghujeon to Korean canons is primarily caused by Hangul. By the way he wanted to make literature have 'brevity' and 'elegance'. 'Brevity' and 'elegance' are individuality of literature he thought. The thought was accomplished in the Munjang as medium. Above all the Munjang has the feature that presents texts-from the canons to the contemporary literatures-as the whole. And the method that contains not only the canons but 'the new novels' of thirty years ago etc. made readers confirm the genealogy of the classical literature→'the new novel'→the modern literature with real things. Readers could perceive the concrete form of Chosun Language literature with the method like this. The Munjang also provided the method which understands texts with offering the explanations about texts, and the standard and norm which writes Chosun Language sentence and creates Chosun Language literature. That is in the context of construction of Chosun culture. 『문장』에 연재되었던 이태준의 「문장강화」는 그동안 ‘대중의 문장’과 ‘예술가의 문장’을 구분하는 도식이 강조되면서 귀족주의, 엘리트주의를 드러낸다는 비판을 받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태준이 「문장강화」의 표면적인 문맥에서 드러내는 여러 가지 모순적 진술들은 언문일치의 문장, 즉 ‘문(文)’의 우위를 뒤집은 음성 중심주의를 밑바탕에 둔 근대적인 문장을 형성해야 한다는 의견으로 귀결된다. 그가 『한중록』이나 『인현왕후전』을 우리나라의 고전으로 칭했던 것도 그 작품들이 한문이 아닌 한글로 작성된 것이라는 점이 일차적인 요인이었다. 그런데 이 작품들의 문장이 “간결”하고 “전아”하다는 점을 높이 평가한 것은, 그러한 문장(문학)을 형성하고 싶었던 그의 바람이 반영된 것이었다고 할 수 있다. 이것이, 그가 ‘문학’이 드러내야 하는 ‘개성’으로 인식했던 부분이다. 이러한 의식은 『문장』이라는 매체를 통해 관철되고 있었다. 『문장』은 무엇보다 텍스트를 실물 그대로 전재(全載)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여기에는 고전 텍스트의 제시뿐만 아니라 근현대문학의(당대의) 텍스트 제시 또한 포함한다. 『문장』은 당대의 작품을 몇 호에 걸친 분재가 아니라 길면 긴 대로 전재를 하는 특징을 보인다. 그리고 오래된 고전뿐 아니라 30여 년 전의 신소설 등을 다시 싣는 방식을 통해 독자로 하여금 고전문학→신소설→근현대소설을 한꺼번에 확인하게 만들었다. 이러한 방식으로 독자들은 조선어 문학의 역사를 실물로, 구체적인 형상으로 감지해 낼 수 있게 되었다. 여기에 『문장』은 텍스트를 둘러싼 해설을 제시함으로써 텍스트 이해의 방식을 제공하였으며, 조선어 문장을 쓰는, 조선어 문학을 창작하는 기준과 규범을 제시하려는 특징도 아울러 보인다. 이는 ‘문학’을 통한 조선문화의 건설이라는 큰 맥락 안에 위치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근대 조선어와 에스페란토: 에스페란토의 조선적 특징과 쟁점

        문혜윤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5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67 No.-

        In early modern times, Joseon Language had relations with many different languages. Its dual language situation with Japanese was prominent during the period, when its relations with English, Chinese, French, Russian, and German were not to be missed. Announced by Zamenhof in 1887, Esperanto was an artificial and common international language that played an essential role in the language landscape during the period. Esperanto was examined in its relations with anarchists in many cases, but one can see that it encompasses much more than that in reality by examining its application to Joseon and its operational methods of discourse in it. The Esperanto movement peaked in Korea in the former half of the 1920s. There were Esperanto lessons all over the nation; books to help learners study the language for themselves were published; and newspapers and magazines had a regular section to teach the language. It was a trend those days that language study was widely spread among laymen that did not specialize in linguistics. The fact that Esperanto is an easy language to learn and use in a short period of time was particularly emphasized. In the second half of the 1920s, linguists that followed the footsteps of Ju Shi-gyeong started to engage in a language movement actively around the Joseon Language Research Institute(Joseon Language Society). There were a couple of common features between the Esperanto movement and the Joseon Language movement: first, the two movements honored and commemorated their respective creators, Zamenhof and Ju Shi-gyeong(King Sejong and Hangul Proclamation Day); and secondly, both of them provided an ongoing series of lessons to teach the two languages. Esperanto faced a criticism that it did not reflect the life and habits of a people since it was an artificial language. Based on the perception that Joseon Language displayed confusing aspects with no rules as a natural language, there were efforts to equip it with modern language features through grammar and standard language establishment during those days. Esperanto and Joseon Language met each other through a concept of “arranged natural language.” It was argued that the former was not an artificial language completely but a natural language that had been arranged and that the latter should go through an arrangement process for more convenient acquisition. There was another argument that Esperanto should actively be introduced as a world language since Joseon was a country that was lagging behind other countries and had a history of being colonized, thus needing to introduce a common world language for the reception of the world and globality. The introduction of Esperanto was considered as the realization of directionality for the original texts. The globality that colonized Joseon should reach was a permanent and simplehearted point beyond individuals and peoples. There was a perception that Joseon people and literature would join the world people and literature the moment they used Esperanto. Entering the 1930s, the patterns of discourse about a natural or artificial language and an ethnic or world language around Esperanto changed. Those changes were attributed to the changes to the perceptions and imagination of the world. 근대 조선어는 여러 언어와의 관련 하에서 형성되었다. 일본어와의 이중 언어 상황이 부각되는 시기이지만, 영어, 한어(중국어), 법어(프랑스어), 아어(러시아어), 덕어(독일어) 등과의 관련도 빼놓을 수 없다. 또한, 1887년 자멘호프가 발표한 인공어이자 국제공통어인 에스페란토 역시 이 시기 언어장에서 빼놓을 수 없는 역할을 했다. 에스페란토는 아나키스트와의 연관성 하에서 살피는 경우가 많지만, 에스페란토의 식민지 조선에의 적용과 담론의 작동 방식을 살피면, 실제로는 이보다 훨씬 많은 부분을 포괄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국의 에스페란토 운동은 1920년대 전반기에 가장 융성하였다. 에스페란토 학습을 위한 강습이 전국 각지에서 열렸으며, 혼자 공부할 수 있도록 독습서가 발간되었고, 신문과 잡지에 에스페란토를 가르치는 고정적인 학습란이 마련되었다. 언어학을 전공하지 않은 문외한의 언어 학습이 만연했던 것이 당시의 풍조였다. 에스페란토가 단기간에 학습하여 써먹을 수 있는 쉬운 언어임이 특히 강조되었다. 1920년대 후반부터는 주시경의 뒤를 이은 어학자들이 조선어연구회(조선어학회)를 중심으로 한 어문운동을 활발하게 벌이기 시작했는데, 앞선 에스페란토 운동과 조선어문운동 사이에는 공통점이 존재한다. 첫째로, 두 운동은 언어의 창시자인 자멘호프와 주시경(세종대왕이나 한글날)을 기리고 기념했으며, 둘째로 두 운동은 언어 학습을 위한 강좌를 끊임없이 개최하였다. 에스페란토는 인공어이기에 한 민족의 생활과 습관을 반영하지는 못한다는 비판을 받았다. 그 당시 조선어는 자연어로서 규칙 없이 혼란스러운 면모를 보인다는 인식 아래 맞춤법과 표준어 등의 제정을 통해 근대적 언어의 모습을 갖추기 위해 노력하고 있었다. 에스페란토와 조선어는 ‘정리된 자연어’라는 개념으로 만나는데, 전자의 경우 자연어가 정리되어 있는 것일 뿐 완전한 인공어는 아니라는 주장, 그리고 후자의 경우 습득하기에 편하도록 언어를 정비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또한, 에스페란토는 세계어로서 적극적으로 도입되어야 한다고 주장되었다. 조선은 뒤쳐지는 나라였고, 그래서 식민지가 된 전력이 있다고 여겼기 때문에, 세계와 세계성의 도입을 위해 공통의 세계어를 도입해야 한다는 것이다. 에스페란토를 도입하는 것은 원문에 대한 직접성을 실현하는 일로 여겨졌다. 식민지 조선에서 도달해야 할 세계성은 개인과 민족을 벗어난, 항구적이고 순정적인 지점이었다. 에스페란토를 사용하는 순간 조선인과 조선문학은 세계인, 세계문학의 위치에 들어가는 것으로 여겨졌다. 1930년대에 들어서면 에스페란토를 둘러싼 자연어와 인공어, 민족어와 세계어에 대한 담론의 양상이 변화한다. 이러한 변화는 세계에 대한 인식과 상상의 변화에 기인한 것이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1930년대 어휘의 장과 문학어의 계발 - 어문운동의 맥락과 『문장강화』의 지향

        문혜윤 상허학회 2006 상허학보 Vol.17 No.-

        이 논문은 이태준의 『문장강화』를 중심에 두고, 1930년대 사회 언어의 장과 문학 언어의 장이 상호 교섭하는 양상을 살펴보았다. 1930년대는 근대계몽기로부터 이어져온 어문운동이 조선어문의 '근대화'를 알리는 중요한 결과물들을 속속 산출하던 시기였다. '조선어 사전'을 편찬해야 한다는 시대적인 당위에 따라, 사전 편찬의 선결 과제로서 맞춤법이 통일되고(1933), 표준어 사정(査定)이 이루어졌으며(1936), 외래어 표기 규정이 마련되었다(1940). '조선어'로 글을 쓰는 잎을 직업으로 삼았던 문학자들은, 전사회적인 관심의 대상이었던 어문운동에 직접 참여하거나 그것에 대한 의견을 빈번히 표명하면서 '조선어 사용'에 대한 예민한 의식을 유지하고 있었다. 이런 점에서 1930년대에 이루어진 문학적인 표현의 진전은, 이와 같은 시기에 나타난 사회어의 재편 문제와 관련지어 논의될 필요가 있다. 이태준의『문장강화』는 어문운동의 다양한 맥락들을 삽입하여 언어가 태생적으로 지니는 사회성을 고려하면서, 작가 개성의 표출로서의 문학 언어가 분화되는 지점을 예시하고 있는 텍스트이다. 이 논문은 특히, 어휘의 측면을 고려하였다. 『문장강화』가 드러내고 있는, 1930년대 조선어의 양상을 다음과 같이 살펴보았다. 먼저, 당시는 신어(新語)의 수입과 창조가 매우 활발하면서도, 상당히 과도하게 이루어지고 있었다. 서양에서 수입된 어휘와 일본을 거친 새로운 한자 조어(造語)들이 유포되고 있었으며, 이와 동시에 기존의 한자어를 순 우리말로 바꾸거나 고어(古語)를 발굴하여 다시 사용하려는 시도가 공존하였다. 이태준은 조선어학회 인사들이 중심이 된, 신어 창조 활동이 '현대의' 조선 생활과는 맞지 않는다고 반대하면서, 수입된 어휘들에 대해서는 상당히 관대한 입장을 보이고 있다. 이는, 어휘가 생성, 성장, 소멸을 거치는 '생활품'이라는 점을 인식하고 있기 때문인데, 조선어 어휘의 인공적인 조정보다 자연스러운 유입을 인정하는 태도가 때로 과도한 외국어 취향까지를 용인하기도 하였다. 물론 이태준은 외국어의 남발은 안 되며, 생활을 적실하게 반영하는 '유일어'를 선택하기에 고심해야 한다고 말하지만, 조선의 '현대'가 가진 복합성이 이태준의 어휘관에도 반영되어 있다고 할 수밖에 없는 부분이다. 또한, 1930년대는 조선어문의 표준화에 대한 열망이 강했던 시대인데, 이태준은 표준어 사용을 어휘 선택의 중요한 기준으로 삼고 있다.『문장강화』에는, 서울말이 표준어가 되어야 하며 작가가 문장을 쓸 때는 반드시 표준어를 사용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구절이 나온다. 그러나 표준어만으로 글을 써야 한다는 주장은 오히려 문학어의 가능성을 축소하는 것이었으므로, 표준어에 대한 자신의 강조와는 배치되지 않는 방법으로 '지문과 대화의 분리'를 시도하였다. 즉, 작가의 목소리인 지문에서는 표준어를 사용하지만, 인물들이 내뱉는 대화에서는 방언을 사용해도 된다는 것이다. 이것이 가능한 이유는 방언을 '의음(擬音)'으로 다루고 있기 때문이다. 인물의 리얼리티를 살리기 위해 그의 말을 그대로 '베껴 적는' 것이지, 방언을 살리기 위한 의도는 아니라고 말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표준어를 사용해야 한다는 시대적인, 그리고 그 스스로가 부여한 당위에 거스르지 않으면서 문학적인 표현의 현실감을 살리는 방식을 고안한다. 이러한 방향은 어학적인 연구와 그 맥을 같이하... Focusing on Lee Tae-Joon's Mun-Jang-Kang-Hw(Lectures on Writing), this paper examines the ways in which the fields of social language and literary language interplay in the 1930's. The 1930's is characterized by the conspicuous results of Uh-Mun movements(Joseon language refinement movements) since the modern enlightenment age that show the 'modernization' of Joseon language. Specifically, the day is marked by the unification of Hangul spelling systems(l933) as a prerequisite for the compilation of a 'Joseon language dictionary', the establishment of the standard language(l936), and the formulation of rules for the transcription of loan words(1940), on purpose to publish a 'Joseon language dictionary.' Writing in 'Joseon language', many literati actively participated in Uh-Mun movements and presented their opinions on Joseon language refinement. In this context, the improvement of literary expressions in the 1930's can be related to the reorganization of social language as the outcome of contemporary Uh-Mun movements. Lee TaeJoon's Mun-Jang-Kang-Hwa investigated the social nature of language in the various contexts of Uh-Mun movements while showing how literary language, an expression of a writer's personality, branches from social language. Paying attention to vocabularies, this paper explores the interplay of social language and literary language in the 1930's. In his book, Mun-Jang-Kang-Hwa, Lee Tae-Joon analyzed the trends of the 1930's Joseon language as follows: To begin with, the import and invention of new words were prevalent in the 1930's. Words of Western origin and Japanized Chinese characters were current while trials for the Hangul-ization of existing Chinese characters and the reuse of archaic words coexisted. Lee Tae-Joon objected to activities for the creation of new words lead by the scholars of Jo-Seon-Uh-Hak-Wei(Joseon Language Society), in the sense that the new words are discrepant with 'modern' Joseon lifestyles. However, he was very lenient about imported words since he thought of a vocabulary as a 'product of life' in the process of creation, development, and extinction. In other words, he preferred the natural influx of foreign words to the artificial adjustment of Joseon words even though he criticized on the overuse of foreign words and suggested that writers choose a 'unitary word' to exactly reflect life world when employing a foreign word. As such, Lee Tae-Joon attempted to consider the complex aspects of 'modern' Joseon in his perspective on foreign words. Next, aspirations of standardized Joseon language distinguish the 1930's. In this context, Lee Tae-Joon underlined the use of the standard language. He proposed that Seoul language be considered as the standard language and writers use the standard language. Yet, he also understood that standard language-centered writing could reduce the functions of literary language. Therefore, he tried to divide 'conversational vs. nonconversational parts' for the purpose of harmonizing literary language with the standard language. Specifically, he asserted that personae's words, conversational parts, could include dialects whereas writers' voices, nonconversational parts, should be written in the standard language. Despite the division of 'conversational vs. nonconversational parts', however, he insisted on the priority of the standard language. In his view, dialects are considered as 'mimic sounds' copying personae's words in order to rescue their reality. That way, he thought out how to save the reality of literary expressions, in admitting the priority of the standard language. As mentioned above, Lee Tae-Joon tried to improve Joseon language literarily as well as linguistically, by analyzing the two trends of the 1930's Joseon language. He didn't distinguish the improvement of literary expressions from the refinement of vocabularies in general. In this respect, his perspective on vocabularies can be understood as a sort of the modern viewpoint o...

      • KCI등재

        해방기 국어 교재를 통해 본 국어와 정전의 형성

        문혜윤 우리어문학회 2015 우리어문연구 Vol.51 No.-

        One of the first decisions to be made in the process of nation building right after Liberation was the establishment of Korean. The Joseon Language Society had tremendous roles to play in the process of the symbolism of Korean being formed and spread. Being stationed in the nation with no preparations for Korean and Korean situations, the American military government and those in charge of the matters from its education and management bureau appointed the members of the society and adopted the textbooks written by the society so that they would play their roles in the stabilization of the nation. As Korean, education, and textbooks were essential to the formation of people, the publication market of the nation right after Liberation was booming with the publication of government-designated, authorized, and auxiliary textbooks. This study examined the formation process of Korean and Korean canons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by looking into the Korean Textbook for Secondary School written by the Joseon Language Society and the supplementary reader series published by Jeongeumsa, which was closely related to the society among the several publishers responsible for textbook publication. The study was able to examine the formation of Korean canons as well as that of Korean because most of the textbooks those days were collections of selected works from the colonial period. Published in 1946, the supplementary reader series of Jeongeumsa consisted of total six volumes including Volume 1 of Hangul Reader by Jeong In-seung, Volume 2 of Wooam Seonsaeng Gyenyeoseo by Song Shi-yeol, Volume 3 of Collection of Joseon Shijos by Choi Yeong-hae, Volume 4 of Collection of Joseon Proverbs by Kim Won-pyo, Volume 5 of Handbook of Joseon Spelling by Kim Byeong-je, and Volume 6 of Model Sentences for Secondary School by Park Tae-won. Those who were in charge of each of the volumes had relations with the Joseon Language Society in any forms. Compared with the government-designated Korean Textbook for Secondary School that was published almost at the same time, the reader from the Liberation period had common features with it including being organized mainly with the works in circulation during the colonial days and activating the mechanism supporting the formation of Korean and further the nation. First, the works on the materials and topics of youth, young people, and spring held a high percentage in quantity. They proposed the lively power, determination and vision of the new era and helped to cultivate the attitude of people for the new era. Second, they revealed organization and description about weather and nature including the seasons, which reflects the intention to present experiences in abstract forms rather than individual experiences and reorganize them into a new life and memory. Finally, they exhibited the intention to place textbooks in the historicity of Korean and Hangul. One of the common features among the volumes of the supplementary reader series of Jeongeumsa was the elimination of memories of Chinese classics, which was demonstrated by the standard language and spelling rules at the end of each volume and the side dots(attached to the frequently miswritten marks) in the main body. The forms of readers(textbooks) underwent another round of changes as the Korean Language Society lost its influence around the Hangul simplification shock with the anti-communist climate reinforced by the establishment of government, which raises a need to compare them in future study. 해방 직후 국가 건설에서 선결되어야 할 것은 국어의 수립이었다. 국어가 가진 상징성이 형성, 전파되는 과정에서 조선어학회의 역할은 막중했다. 한국어와 한국적 상황에 대한 방비가 없이 주둔하게 된 미군정 및 미군정 학무국 담당자들은 조선어학회의 인사들을 준용하고 조선어학회 저작의 교과서를 채택하여 국가 안정화의 역할을 담당하도록 하였다. 국어, 교육, 교과서는 국민의 형성에 필수적인 것이어서, 해방 직후의 출판 시장은 국정 및 검인정 교과서, 부교재 형태의 출판이 활황을 이루었다. 이 글은 조선어학회 저작의 『중등국어교본』과, 교재류의 출판을 담당했던 여러 출판사들 중 조선어학회와의 관련성이 짙은 정음사 부독본총서를 살핌으로써, 해방기 국어와 국어 정전의 형성 과정을 살폈다. 국어의 형성뿐 아니라 국어 정전의 형성을 살필 수 있는 이유는, 그 당시의 대부분의 교재류가 식민지 시기의 작품들을 선별하여 묶은 형태를 띠고 있었기 때문이다. 1946년 간행된 정음사 부독본 시리즈는 총6권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1권 정인승의 『한글독본』, 2권 송시열의 『우암선생계녀서』, 3권 최영해의 『조선시조집』, 4권 김원표의 『조선속담집』, 5권 김병제의 『조선어철자편람』, 6권 박태원의 『중등문범』이다. 각 권 담당자들은 어떠한 형태로든 조선어학회와 관련을 맺고 있다. 거의 같은 시기에 출간된 국정 『중등국어교본』과 비교하였을 때 드러나는 해방기 독본의 공통점은, 식민지 시대에 유통되었던 작품들 위주로 구성되었다는 점, 그리고 이것이 국어의 성립과 나아가 국가의 성립을 뒷받침하는 기제를 작동시키고 있다는 점이다. 그 첫 번째가 청춘, 청년, 봄 등을 소재 및 주제로 하는 작품들이 양적으로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것들은 새 시대의 약동하는 힘과 의지, 비전을 제시하여 새 시대의 국민의 자세를 함양하도록 하였다. 두 번째는 계절을 비롯하여 날씨나 자연에 관한 구성 및 기술을 드러내고 있다. 이는 개별자로서의 경험보다는 추상적인 형태의 경험을 제시함으로써 새로운 생활과 기억의 재구성하려는 의도를 담고 있는 것이다. 세 번째는 국어 및 한글이라는 역사성 속에 교과서를 위치시키려는 의도를 드러낸다. 정음사 부독본총서의 공통점 중 하나가 한문학 기억에 대한 소거인데, 책의 말미에 수록되어 있는 표준어, 맞춤법 규정이나 작품의 본문에 제시된 (자주 틀리는 표기에 붙은) 방점 등이 이를 증명한다. 한글간소화파동을 전후로 하여 조선어학회의 영향력 쇠퇴가 드러나고, 정부 수립을 기점으로 강화된 반공 국시의 풍토는 다시 한 번 교과서 및 독본의 형태를 변화시키는데, 이에 대한 비교도 추후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수필 장르의 명칭과 형식의 수립 과정

        문혜윤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08 民族文化硏究 Vol.48 No.-

        수필 (隨筆)의 정의는 오히려 수필을 애매모호한 것으로 만들어 왔다. 그러나 간과할 수 없는 부분은 시, 소설, 희곡의 3분법 안에 포함되지 않는, 다양한 글들이 존재한다는 사실이다. 이광수가 「문학이란 하오」에서 문학의 장르를 시, 소설, 극, 논문, 산문시로 나누었을 때, '논문'은 서양의 '에세이'와 동의어로 사용된 용어였다. 하지만 이광수가 '논문' 안에 포함시킨 실제의 예들은 시, 소설, 희곡으로 분류될 수 없는 잡다한 글들이었다. 이러한 글들은 다양한 용어로 지칭되어 왔는데, 장르의 구분이 보다 명백해지는 1920년대 초 동인지에서는 이들을 감상, 감, 상화, 수상 등으로 표기하였다. 상화, 감상, 감, 수상 등은 수필이라는 용어와 경쟁을 벌이다가 1930년대에 들어서면서 '수필'이 다른 용어들을 물리치고 독점적인 지위를 갖게 된다. 1920년대 초 동인지에서 감상, 감, 상화, 수상 등으로 분류되었던 글들은 '자기의 표출'이라는 공통적인 지점을 갖는다. 기행이라고 표기된 글들과, 일기나 서간의 형식을 차용한 글들을 살펴보면 그것들 역시 근대적인 장르로서의 기행문이나 서간문 등에서 갖추어야 할 요건들을 구비하고 있다기보다, 날짜와 시간 표시, 공간 표시 등을 구체적이고 개별적인 '나'의 위치를 지정하기 위해 차용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수필이 애초에 근대적인 글쓰기에서 가장 중요한 주체의 형성과 긴밀하게 연결된다는 점을 말해주는 것 이며, 또한 기행과 서간 등이 수필의 일종으로 분류되기도 하는 것은 근대적 문체의 형성 과정에서 나타난 특성 때문이라는 점을 알려주는 것이다. The definition of 'essay[隨筆]' rather brought about ambiguity of essay genre. The point it's unable to overlook is existence of the various writings which escape out of trichotomy of poem, novel, and drama. Lee Kwangsu translated 'essay' of the west into 'dissertation', when dividing literature's genre with poem, novel, drama, dissertation, and prose poem in What Is Literature. Lee Kwangsu's 'dissertation', however, included the various writings which can't be classified with poem, novel, drama. These writings were called with the terminology which is various like a description of impressions[感想], feelings[感], thoughts[想華], stray thoughts[隨想] etc. in literary coterie magazines in beginning of 1920's. The essay refused different terminologies and it had a monopoly position in 1930's. A description of impressions[感想], feelings[感], thoughts[想華], stray thoughts[隨想] etc. had common point which manifested self. The texts indicated as 'a travel writing' and borrowed the format of a diary and a letter weren't used as the form of modern genre. Dates, timely and spatial indications etc. leaded and designated the position of self which are concrete and individual. It indicates that at first essay is connected with formation of the subject, the key point of modern writing. Also it informs that the classification of travel writings and letters into essay appears from formation process of modern writing.

      • KCI등재

        한자/한자어의 조선문학적 존재 방식 ― 이태준을 중심으로

        문혜윤 우리어문학회 2011 우리어문연구 Vol.40 No.-

        한자/한자어는 한국 문장의 형성 과정에서 다양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글쓰기의 주류적 형태가 한문체에서 국한문체로, 그리고 국문체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한자/한자어는 ‘외부의 것’으로 인식되어 배제의 대상이 되었다. 하지만 ‘한글 전용’의 승리로 귀착된 문체의 흐름에서 한자/한자어는 여전히 삭제되지 않은 채 남아 있다. ‘한글 전용’을 주장하면서 국문체의 순수성을 강조하는 담론이 범람하기도 했으나 그 순수성이란 애초에 불가능한 것이었다. ‘외부의 것’인 한자/한자어는 한글 문장 안에서 근대적인 방식으로 재편되면서 국문체의 형성에 관여하였다. 일제강점기에 많은 문인들은 ‘한글 전용’을 주장하면서도 그 주장을 국한문체의 글로 드러내곤 하였다. 이 글은 이러한 모순에 담긴 의미를 해명하기 위한 일환으로 이태준의 경우를 살펴보았다. ‘한글문학만이 조선문학’이라고 외쳤던 속문주의자 이태준은, 자신의 주장대로 소설에서는 한글 전용을 실현했지만 수필에서는 한자 노출을 허용하는 모순을 드러냈다. 이태준은, 식민지 시대의 많은 문인들이 그러했듯이, ‘한글로 글을 쓴다’는 표기 차원의 문제와 ‘조선어로 글을 쓴다’는 어휘 차원의 문제를 동일한 것으로 인식했다. 이는 당시의 문장이 한글/조선어의 통사구조로 이행했다는 점에 대한 인식이 있었음을 알려준다. 그러나 ‘한글 전용’에 대한 당위적 인식에도 불구하고 한자어의 경우 한자를 노출하여 표기하는 모순이 나타났던 것은, ‘한글 전용’이 한글/조선어식 통사구조의 형성을 의미하는 것이지 한자/한자어의 배제까지는 아니었기 때문이다. 한글 전용을 강조하면서도 한자어의 한자를 노출하는 것은, 한자어가 그것의 근원을 지우고 조선어화되어 가던 ‘과정’을 드러내는 것이었다. 특히 이태준이 자신의 수필에서 한자의 노출을 허용했던 의식의 밑바탕에는, 한자/한자어를 심미적 차원으로 고양하여 조선어 문장 안에 편입시키려는 의도가 깔려 있었다. 그가 소설에서 주장한 한글 전용은 묘사의 문제로 이어지는데, 이는 의성어와 의태어, 감각어 등의 형용사와 부사가 사실성을 구현할 수 있다는 생각과 맞닿는다. 반면 수필에서의 한자 노출 허용은 명사에 대한 강조였다. 그는 수필의 제목에 드러나는 대상, 만약 그것이 한자어라면 한자를 노출해서 표기되는 그 대상을 다루면서도 그것의 묘사에 집중하지 않는다. 보고 듣고 느끼는 것들을 형상화해 내는 방식이 아니라, 그 대상의 주위를 둘러싼 것들을 통해 그것의 윤곽을 만들어내는 방식을 사용한다. 이는 한자의 시각성을 통해 의미를 풍부하게 만드는 듯하면서도 동시에 그것을 통해 공백을 만들어 버리는 이중의 방식이다. 한자를 통해 형성되는 꽉 찬, 그러나 텅 빈 공간에는 시간성(역사)이 부여된다. 이것이 이태준이 한자를 통해 시도했던 (상대적으로 그 역사가 짧다고 인식됐던) 조선어를 심미적 차원으로 끌어올리는 방식이었다. Chinese characters/words raised a variety of controversy in the formation process of Korean sentences. They were regarded as “something from outside” and thus excluded in the process in which the mainstream writing format moved from Chinese writing through Chinese and Korean writing to Korean writing. In spite of the writing format flow that ended in the victory of “exclusive use of Hangeul,” however, Chinese characters/words remain alive. There were active discussions and discourse that emphasized the purity of Korean writing style based on the claim of “exclusive use of Hangeul,” but the purity was something that was not possible from the beginning. “Something from outside,” Chinese characters/words were reorganized in Hangeul sentences in a modern fashion and got involved in the formation of Korean writing format. During the Japanese rule, many literary persons would insist on “exclusive use of Hangeul” in the Chinese and Korean writing format. This study set out to explain the significance of such a contradiction by examining the case of Lee Tae-jun. Maintaining that “Only Hangeul literature is the true Joseon literature,” Lee Tae-jun, a person who has the literal principle, only used Hangeul in his novels just like he maintained. However, he did allow for the appearance of Chinese characters in his essays. Like many literary persons during the colonial days, Lee identified the transcription matter of “writing in Hangeul” with the vocabulary matter of “writing in Joseon language,” which suggests that sentences were made in the syntactic structure of Hangeu/Joseon language those days. A contradiction of using Chinese characters in Chinese words despite the absolute recognition of “exclusive use of Hangeul” surfaced, for “exclusive use of Hangeul” meant not the exclusion of Chinese characters/words but the formation of Hangeul/Joseon language syntactic structure. The Chinese characters of Chinese words were exposed in spite of emphasis on exclusive use of Hangeul, which reveals a “process” of Chinese words erasing the origin and becoming Joseon words. Especially Lee tried to raise Chinese characters/words to an aesthetic level and include them in Joseon sentences by allowing for Chinese characters in his essays. His insistence on exclusive use of Hangeul in his novels is connected to the matter of depiction, which lies in line with the idea that adjectives and adverbs such as onomatopoeic, mimetic, and sense words can bring reality. Meanwhile, his allowance for Chinese characters in his essays was his emphasis on nouns. He would deal with the subject revealed in his essay titles by exposing Chinese characters in its Chinese word but not focus on its description. He would create a contour for the subject through the objects around it instead of an embodiment through what is seen, heard, and felt. That serves double purposes of enriching meanings through the visibility of Chinese characters and creating an empty space through it. Temporality(history) is granted to the space that is both filled and empty through Chinese characters, which is the way Lee tried to raise Joseon language(whose history seemed relatively short) to an aesthetic level through Chinese characters.

      • KCI등재

        백대진 단편소설 연구

        문혜윤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04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23 No.-

        Baek Dae-jin plays a significant role in the history of short stories in the 1910's, but the discussion on his works has not been activated. This paper intends to analyze his short stories, considering literary and social conditions of the 1910's. The modern concept of a genre did not appear in the 1910's. Writers occasionally employed the form of a novel as a medium to describe their world view or sense of the times. Similarly, Baek Dae-jin's short stories show us his literary theory of naturalism and theory of social evolution. Baek Dae-jin insists that Korean writers have to produce works to actually describe a dark side of realities in his literary theory of naturalism. From this point of view, his works show us characters that were victimized by capitalistic contradiction or realized it in the modernization process. Baek Dae-jin faithfully played the role as a narrator in this case, and showed the potential of the modern short story without excessive intervention. In contrast with it, he couldn't not recognize realities structurally while his theory of social evolution intervenes in the short stories. The writer's comment is excessive and works lose inner connections with composition elements in this case. These two cases seem to affect the success or failure of Baek Dae-jin's short stories.

      • KCI등재

        국토 여행과 ‘조선시’의 형식

        문혜윤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07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37 No.-

        Jeong Ji-yong's 'mountain' poems were based on both a material base for a modern trip and scholastic enthusiasm for 'Joseon-ness'. Both trends urged Joseon people to visit places of historic interest. Jeong Ji-yong was influenced by these trends, and transformed his experience of a national land travel in his own way. Taking an initial interest in 'linguistic expression', he tried to adapt his traveling experience for a linguistic version, in which he developed the new form of 'Joseon poetry'. Jang-su Mountain2 modified the method of 'reading painting' peculiar to oriental paintings into 'linguistic expression' in the inherited tradition of oriental paintings. Natural objects which went wrong with a sense of the season and homonyms which made the poem difficult etc. were analyzed easier than expectedly from the method of 'reading paint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