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난과 국가, 군국모의 연기하는 신체정치

        공임순(Kong, Im Soon) 동악어문학회 2013 동악어문학 Vol.61 No.-

        이 글은 군국의 어머니 담론을 전시 하 국민화의 문법과 자기 연출로 살펴보려 했다. 주지하다시피 군국의 어머니 담론은 일본의 전장 확대와 더불어 전개된 대표적인 선전 담론이었다. 이러한 군국의 어머니 담론이 식민지 조선에 공세적으로 펼쳐졌던 시점은, 전장 확대에 따르는 병력 동원의 필요성이 긴급하게 요구되던 1942년 5월 9일에 발표된 징병제 시행 방침을 맞아서였다. 군국의 어머니 담론은 지원병제도에서 징병제로 이어지는 유례없는 식민지 조선의 병역의무를 뒷받침하기 위한 전시 국책 담론으로서 존재했다. 이러한 전시국책 담론으로서의 성격은 군국의 어머니 담론을 전선에 남편과 아들을 보내는 것에서 그치지 않는, 국가를 대신하여 이들을 “내보내는” 전시모성의 극한에 서게 했다. 군국의 어머니 담론의 최종점에 놓인 군신의 어머니 담론이 이의 한 예증일 것이다. 군신의 어머니 담론은 전장에 나간 남편과 아들이 살아서 돌아오지 말 것을 예정하는 죽음의 공공연한 찬양이었고, 이것이 일본과 조선을 관통하는 전시 하 여성의 국민화를 추동하고 견인했던 것이다. 하지만 군국의 어머니 담론은 전시 하 여성의 국민화 못지않게 전시 하 식민지인의 국민화의 접점에서 이중적인 굴절과 뒤틀림을 보여주었다. 왜냐하면 유례없는 식민지 조선의 병역의무가 군대 내 내선평등의 수사에도 불구하고 일본 남성과의 비교우위를 작동시켰듯이, 식민지 조선 여성의 군국의 어머니 담론 역시 일본 여성을 그 전범으로 삼기는 마찬가지였기 때문이다. 이는 가난과 동원의 전시 폭압성을 은폐하는 역할을 담당하며, 식민지 조선 여성의 전시 하 국민화를 언제나 그 실현 (불)가능성에 대면하게 했다. 식민지 조선 여성의 전시 하 국민화를 매개했던 군국의 어머니 담론은 그러나 해방 이후에는 마치 없었던 것처럼 지워짐으로써 전시 총력전의 연속과 단절의 사회상에 대한 반성과 통찰을 가로막게 된다. 이는 장덕조가 해방 이후 쓴 소설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전시하 식민지 조선 여성의 국민화를 매개하고 지탱했던 군국의 어머니 담론에 대한 검토와 재조명은 전시 총력전의 일상적 폭력성을 기억하기 위해서라도 반드시 필요한 작업이라 하지 않을 수 없다. This article sought to examine the militant nation"s mother discussion in light of wartime nationalism grammar and self-direction. The militant nation"s mother discussion was Japan"s war propaganda in line with its war expansion. That discussion was aggressively dispersed in colonial chosun when the conscription system policy was issued on May 9, 1942 in line with the urgent necessity of mobilizing soldiers in relation to war expansion. The militant nation’s mother discussion was introduced to support colonial chosun"s shift from voluntary conscription system to the obligatory conscription system. Such wartime policy did not stop just with the militant nation"s mother discussion leading husband and son to go to war, but drove wartime maternity to the extremes of sending them to war on behalf of the nation. Such an example would be the war god"s mother discussion which stands at the final end of the militant nation"s mother discussion. The war god"s mother discussion openly praised the expected deaths of husband and son in war, and this drove and led wartime nationalization of wome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of colonial chosun. However, the militant nation"s mother discussion doubly twisted and bended nationalization of the wartime colonized people not less significantly than wartime nationalization of women did. This is because, as colonial chosun"s unprecedented obligatory conscription system triggered Japanese males" superiority despite its equality rhetoric, the militant nation"s mother discussion targeting women of colonial chosun saw such pursuit as a model. In this way, the imperial Japan concealed the people"s poverty and wartime oppression, and made it possible or impossible to any time nationalize colonial Chosun"s women during the war. The militant nation"s mother discussion, which mediated in nationalizing women under the Japanese colonial rule of Chosun during the war time, however, was erased after Korea"s liberation as if it had not existed before, and this prevents our reflection on and insights into the continued all-out efforts for war and the disconnected society. This can be confirmed in Jang Deok-jo"s novel written after Korea"s liberation. In this regard, the militant nation"s mother discussion which mediated in and supported the nationalization of women of colonial Chosun during the war must be re-examined and re-illuminated at least to remember wartime total ordinary violence.

      • 국제연합에 의한 국가주권의 물신화와 여행서사의 국가화 -조병옥의 『특사유엔기행』의 역사지정학-

        공임순 ( Im Soon Kong ) 시학과 언어학회 2010 시학과 언어학 Vol.19 No.-

        This essay focused that National Sovereignty has been making/compositing `nation` in June 1949 or so and this sanctification of National Sovereignty has been made on universal sovereignty model of the United Nations(the UN) so called the approval of 48 countries in the UN. This universal placeness of the UN has become socio-historical backdrop forming a certain way of spatial representation of cold war, be serving as foundation on eradication/removal of another forces doubting and criticizing about the perfect modern nation-stateness of ROK(대한민국) and the universal position of the UN. Cho Byong Ok` Travelogue of the UN special envoy(『특사유엔기행』) exemplified that the repatriate narratives of travelogue could be square with national history in a certain socio-historical phase, and travelogue could be nationalized or travel narrative could worked as parts of art of governor in those context. Raising a question asymmetric and complicated complicity and coexistence between travel narrative and national history, this essay tried to introduce a new awareness about travel narrative and National Sovereignty.

      • KCI등재

        1960년과 김구-추모ㆍ진상규명ㆍ통일론의 다이어그램-

        공임순 ( Kong Im-soon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4 한국학연구 Vol.0 No.35

        이 글은 김구를 1960년대의 맥락에서 되짚고자 했다. 주지하다시피 김구는 한국사회의 대표적인 민족영웅이라 할 수 있다. 그런 그가 1960년대의 맥락에서 각별한 의미를 띠게 되는 것은, 이승만 정권에 의해 김구의 공적인 추도가 철저하게 억압되었다는 사실과 연관 있다. 1949년 6월 26일 암살된 이후, 김구는 어떠한 공적 추도나 기념의 대상이 되지 못했다. 그런데 1960년 4ㆍ19를 맞아 김구의 공적 복권이 아래로부터 추동되면서, 김구는 비로소 제 1회 추도식이라고 해야 할 ‘11주기 추도식’을 가질 수 있었던 것이다. 1960년 4ㆍ19는 이승만 정권의 정적이었던 인물들의 공적 복권을 둘러싸고 논란이 벌어 졌다. 그 중에서도 김구의 추도(준비)위원회와 진상규명투쟁위원회는 가장 앞서 결성되어 김구의 공적 복권을 추진하게 된다. 특히 진상규명투쟁위원회는 김구 암살의 배후를 밝히려는 자/쫓는 자와 숨기려는 자/쫓기는 자 간의 드문 풍경을 한국사회에 새겨놓게 되는데, 이는 김구의 공적 복권이 ‘추도’에서 진상규명‘투쟁’으로 나아가는 것과 동시적이었다. 이로써 한국사회는 4ㆍ19 국면을 뜨겁게 달군 통일 운동의 열기와 더불어 김구를 더욱 문제적인 인물로 만드는 특정한 국면을 초래하게 된다. 5ㆍ16쿠데타는 한국사회의 이 뜨거운 통일 운동의 열기를 한편으로 억누르며 김구를 오직 임정의 ‘주석’ 자리에 굳건하게 올려놓는 역사적 변이와 굴절을 가져왔다. 5ㆍ16 군정에 의한 대대적인 건국공로훈장의 수여와 포상은 김구를 3ㆍ1-4ㆍ19-5ㆍ16의 동질적인 국가서사의 원점으로 삼는 것이기도 했기 때문이다. 5ㆍ16 군정에 의한 김구의 이와 같은 체제(국가)화는 그러나 한일회담의 국면을 거치면서 그 변모의 양상을 드러내는데, 이를테면 박정희 정권이 김구와 거리두기를 했던 반면 장준하와 최인훈은 이 대치 국면을 경과하면서 김구의 대항적 기억서사를 적극적으로 주조하는 상이한 면모가 그것이다. 이것은 7ㆍ4남북 공동성명을 맞아 또 한 번의 변전을 가져오게 된다. 한국사회가 김구와 맺어온 이 역사적 관계망이야말로 한국사회가 걸어온 자기상의 일부이기도 하다는 점에서, 한국사회는 여전히 이 김구라는 문제계(問題界)와 씨름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은 아닐 것이다. This article want to discussed Kim Koo in the context of the 1960s. As everyone knows, Kim Koo may have referred to a representative national hero in Korea. Being that he takes on special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1960s was associated with the fact that the public memorial of Kim Koo has been thoroughly suppressed by Syngman Rhee regime. But while the public rehabilitation of Kim Koo was driven from below by April 19, 1960, Kim Koo was able to finally have the eleventh memorial service to be the so-called first memorial service. The public rehabilitation of political opponents who had took place in Syngman Rhee regime was required by April 19, 1960. Victims (preparation) Committee and Truth Committee which was the first to organize by April 19, 1960 would be promoted to the public rehabilitation of Kim Koo. This would lead to South Korea was making a specific aspect, because the public rehabilitation of Kim Koo was connected with heat of South Korea’s Unification Movement by April 19, 1960. But the May 16 coup brought the historical variation and refraction on the one hand it suppressed this heat of South Korea’s Unification on the other hand Kim Koo only put on the president of provisional Government of Korea`s. But it revealed aspects of the transformation through the Korea-Japan talks, for example, whereas the Park Chung Hee regime was a distancing from Kim Gu, Jang Jun-ha and Choi In-hun showed a different aspect to create positively counter memory narratives about Kim Koo throughout this phases of the confrontation. It will be said that South Korea t South Korea is still grappling with the problem-based (問題界) that is Kim Gu.

      • KCI등재

        3·1운동의 역사적 기억과 배반, 그리고 계승을 둘러싼 이념정치 : 3·1운동의 보편(주의)적 지평과 과소/과잉의 대표성

        공임순(Kong Im-soon) 한국근대문학회 2011 한국근대문학연구 Vol.12 No.2

        This essay focuses on true succession and representation of the 3.1 Movement, it was reenacting the tendency of de-nationalization had been caused the Second World War what Carl Schmitt called. It must be that 3.1 Movement is worthy of special mention among histories of the Korean Peninsula, but regarded it as the object of ideological dispute of socio-political was a certain product of the state of affairs around the Korean Peninsula. The Second World War has been fully foregrounding de-nationalization of the universal ideological politics for new world order, freeing ourself from Eurocentric order of international law and norm. As two contrary opinions about the Emperor system of Japan show, form of modern sovereign state-making in East Asia was not free from the universal horizon of de-nationalization articulated class, region, nation and race since the end of the war. Within this complicated situation of East Asia the Korean Peninsula also has been undergone socio-political ideological dispute equivalent to a civil war. The Left of the Korean Peninsula tried to make agenda about true succession and representation of 3.1 Movement as the democratic revolution embodying the universal horizon. But Being the real agents for the right of South Korea in establishing the ROK regime was covered true succession and representation of 3.1 Movement arguing the left of South Korea. The left of South Korea tried to stand against the right of South Korea by changing overrepresentation with excessive feeling of expectancy about the Provisional Government into under-representation. But this problem which the left of South Korea brought out was covered with physical repression against them, the ROK made it a fetish by inflecting and mediating another universal horizon of approval by the UN. While 3.1 Movement and the Legal Genealogy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was internalized into the ROK, Lee Kwang-Soo announced 「my confession(나의 고백)」 of his Autobiographic life story. It showed that presentation of the ROK where it oriented. Lee Kwang-Soo defined the boundary for political system of the ROK as anti-communism=democracy. Through this process the ROK could do to be moral of politics and to be politics of moral following the outbreak of the Korean War. In this a series of changing sociohistorical movement, agency of the historical memory and meaningmaking of 3.1 Movement was to be reveal.

      • KCI등재

        김학묵이라는 에이전시-서울대학교 사회사업학과 신설을 둘러싼 미국 발 원조의 회로-

        공임순 ( Kong Im-soon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7 한국학연구 Vol.0 No.47

        이 글은 김학묵을 매개로 한 서울대학교 사회사업학과 신설을 미국 발 원조의 회로에 기대어 논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이 글이 다루고자 하는 대상은 스탠퍼드대 후버아카이브에 소장된 아시아재단 컬렉션의 일부인 이른바 ‘김학묵’ 파일이다. 2010년에 이르러서야 일반에게 공개되기 시작한 아시아재단 컬렉션은 한국전쟁을 거치며 본격화된 미국 발 원조의 회로를 이해하고 규명할 단서를 제공한다. 박동찬의 논의에서도 알 수 있듯이 군사적 목적에 입각한 비대칭적인 원조 체계는 대한민국의 탈(脫)식민 국가 기획과 맞물린 여타 분야의 소외와 지체를 낳았고, 이것은 적어도 한국전쟁 전까지 해소되지 않았다. 특히 탈(脫)식민 국가 기획의 장기적인 비전과 직결된 교육과 문화 부문에 대한 상대적인 인식 부재와 외면은 많은 문화·지식인들의 북한행 엑서더스로 귀결됨으로써 이러한 비대칭성을 더욱 두드러지게 했다는 점도 간과할 수 없다. 한국전쟁은 이러한 비대칭적 원조 체계를 전적으로 해소시키지는 못했다고 할지라도 상대적으로 소외되었던 교육과 문화 부문의 원조 체계를 강화시키는 계기가 되었는데, 이 일련의 흐름 속에 이른바 ‘김학묵’ 파일도 자리하고 있다 할 것이다. 이른바 ‘김학묵’ 파일은 스탠퍼드대 후버아카이브의 아시아재단 컬렉션 중 Korea Individuals, Kim Hak Mook(Social Work), Box P-59로 철해진 서류(문서)철을 가리킨다. 이 파일의 존재는 필자가 서울대학교 현 사회복지학과(이전 사회사업학과) 홈페이지와 학과사무실 문의 및 창과 50주년을 맞아 편한 『서울대학교 사회복지학과 50년사』를 두루 살펴본 결과 존 키드나이(John C. Kidneigh) 보고서를 제외하고는 별다른 언급을 찾지 못했다는 점에서, 조심스럽긴 하지만 한국에서 처음 소개되는 자료가 아닐까 싶다. 이른바 ‘김학묵’ 파일은 1954년 미국의 공적 원조에 힘입어 추진된 서울대학교의 ‘미네소타 프로젝트’와 별개의 원조 회로를 보여주고 있는데, 이 과정에서 카바(KAVA:외국민간원조단체연합회)의 민간원조는 당면한 필요에 치중된 응용학문 중심의 공적 원조를 보완하고 대체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서울대학교의 사회사업학과 신설은 바로 이 카바 소속의 유니테리언봉사회의 주도 아래 한미재단의 재정 지원이 결합되어 유럽을 비롯해 여타 아시아 신생국에서는 좀처럼 찾아보기 힘든 소위 최고학부의 공식 학과로 자리잡게 되는 지역적 냉전의 특수성을 드러내게 된다. 서울대학교의 사회사업학과가 신설되기까지 유니테리언봉사회(USC)-한미재단(AKF)-미네소타대학-아시아재단의 제반 민간원조기구들과 존 키드나이-헬렌 포그-커티스 히치콕-이선근-박술음-최규남-데이비드 스타인버그-김학묵-하상락-백근칠은 미국 발 원조의 에이전시들로 기능하며, 한국사회가 피(被)원조사회로 자리매김하는 데 일조했다. 여기에 서울대학교의 사회사업학과 창립 주역이기도 한 김학묵이라는 특정 개인의 행적은 식민지시기부터 미군정 및 대한민국정부 수립 이후로 이어진 한국사회의 관료 시스템을 또한 예시하고 있으며, 한국사회의 학제와 행정 및 전문기술관료(테크노크라트)와 사회사업(복지)이 맞물린 냉전문화와 지식의 순환과 유통의 양상을 재성찰할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 This paper uses Kim Hak Mook to discuss the establishment of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Social Work Department in relation to the circuit of US-originated aid. For this reason, this paper’s object of study is the Stanford Hoover Archive’s Kim Hak Mook File. The Asian Foundation collection which has been open to the general public since 2010 provides a clue to understanding and identifying the circuit of US-originated aid through the Korean War. As Charles Armstrong has noted, an asymmetrical support structure based on military aims bred alienation and delays in other areas interlinked with the de-colonization project of South Korea that remained unresolved before the outbreak of the Korean War. In particular, Armstrong points out that because the dismissal and considerable lack of awareness about the sectors of education and culture directly related to the long-term vision of the national de-colonization project concluded with the mass exodus of literati and intellectuals for North Korea. Although the Korean War did not completely eliminate this asymmetric aid system, it strengthened the aid system of the education and cultural sector which was relatively alienated, the so-called ‘Kim Hak-mook’ file is said to have been located in this series of flows. The so-called ‘Kim Hak-mook’ file refers to the documents and papers compiled in “Korea Individuals, Kim Hak-Mook(SocialWork), Box P-59” included in the Asia Foundation collection of the Stanford Hoover Archives. After closely surveying the question and answer section of the current SNU Social Welfare Department and office website and 『The Fifty-year History of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Social Welfare Department』, I would like to tentatively suggest this is the first time that the so-called ‘Kim Hak-mook’ file has been introduced in Korea other than the John C. Kidneigh Report. The establishment of the SNU Social Work Department that runs throughout the so-called ‘Kim Hak Mook’ File was set in motion by a different circuit of support, Kava’s civilian assistance has complemented and replaced public aid centering on applied studies for immediate needs. The series of proceedings leading up to the establishment of the SNU Social Work Department compels us to retrace this specific circuit of support, in other words, the various contacts and exchanges that took place between institutions including a Christian organization by the name of Unitarian Service Committee(USC), the American-Korean Foundation(AKF), the University of Minnesota, and the Asia Foundation as well as between individuals like John C. Kidneigh, Helen Fogg, Curtice Hitchcock, Lee Sun Keun, Park Solemn, Choi Kyu Nam, David I. Steinberg, and Kim Hak Mook, Ha Sang-nak, Paik Kŭn-chil. This kind of support circuit network exemplifies the “Cold War culture”, originating from the US, that impacted Korea’s education and culture. This paper reconstructs the complicated and varied circuits of support that surrounded the establishment of the SNU Social Work Department investigating the dynamic power relationships of these agencie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원자탄과 스파이, 전후 세계상의 두 표상: 보이지 않는 중심과 관리(통제)되는 양심,내면의 지도

        공임순 ( Im Soon Kong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2 민족문학사연구 Vol.48 No.-

        이 글은 전후의 세계상을 원자탄과 스파이라는 두 담론 표상에 기대해 논의해 보 고자 했다. 이 글이 이러한 연구목적을 상정한 데는 두 가지 이유에서였다. 우선 원자탄이 갖는 동시대적 위상 때문이다. 제2차 세계대전 막바지에 일본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에 투하된 원자탄은 원자탄이 매개하는 전후의 원자/ 핵 시대의 개막을 알렸고, 이는 제2차 세계대전의 총력전 형태가 갖는 ``절대전쟁``의 재형태화를 전후의 세계현실로까지 이어지게 했다. 원자탄이 매개하는 이 ``절대전쟁``의 재형태화는 전후 한반도의 달라지는 세계 인식과 연동하며, 한반도의 지정학적 운명과 현실을 끊임없이 상기시키는 사회정치적 효력을 발휘하게 된다. 원자탄의 동시대적 위상과 관련하여 원자탄에 얽힌 스파이들의 형상 역시 문제적이지 않을 수 없었다. 전후의 담론 공간을 심심치 않게 장식했던 이 원자탄에 얽힌 스파이들의 면모는 ``절대전쟁``의 재형태화를 원자탄과 더불어 육화된 현실로서 각인시키는 ``운동/ 이동하는 신체성``의 탈(脫)내셔널 아이덴티티를 체현하게 된다. 원자탄과 원자탄에 얽힌 스파이들의 형상이 갖는 이러한 동시대적인 위상은 한반도 내 행위주체들의 주체형성과정과 동시적인 움직임이었다. 다시 말해 원자탄을 절대(궁극) 무기로서 또한 원자탄에 얽힌 스파이를 절대적 (궁극적) 적의 형상으로 재정립하는 전후의 원자/ 핵 시대의 새로운 적대관계의 양상은 전후 한반도도 비켜갈 수 없게 했던 것이다. 특히 소련이 원자탄을 보유하게 되는 1949년 후반기의 달라지는 세계현실은 1950년도 전반 기에 잇달아 출간된 스파이 관련 대중출판물로 가시화되었다. 『소련을 스파이하고』와 『제2차 세계대전 스파이 비화』 및 『스파이와 스파이』등의 이 대중출판물들은 소련의 원자탄 보유라고 하는 1949년 후반기의 달라지는 세계현실 속에서, 스파이들과 관련된 대중적 호기심과 위기감이 착종된 권력 테크놀로지를 광범위하게 작동시키게 된다. 이 글은 강영수가 편한『스파이와 스파이』의 전 세계적인 규모의 원자탄에 얽힌 스파이들의 형상이 1949년도 후반기에서 1950년도 전반기까지 전후 한반도의 신문지면을 달구었던 ``국제스파이 사건`` 및 ``적색 여 스파이 사건``과 짝을 이루며 전개되어가는 사회역사적 과정을 살펴보았다. 이른바 전후 한반도의 지역적 판본이라고 해도 좋을 이 다양한 스파이들의 형상은 원자탄에 얽힌 스파이들의 형상이 갖는 절대적(궁극적) 적대를 재연하면서, 한국전쟁의 절대적(궁극적) 적대관계를 예비하고 있었다는 것이 이 글의 최종 결론이다. This essay discusses a world picture in postwar period through atomic bomb and spies. It is two reasons that this essay has this purpose of research. The first reason is contemporary status having atomic bomb. Atomic bomb which was dropped on Japan at the end of World War II let the people know the atomic age of postwar and then reforming of ``absolute war`` having the form of total war in World War II led to the reality of postwar world. Being closely Connected with changing perceptions of the world in postwar Korean peninsula, this reforming of ``absolute war`` being mediated by atomic bomb has been taking socio-political effect which was reminded constantly geopolitical destiny and reality of postwar Korean peninsula. About contemporary status of atomic bomb, the spies involved in it is also problematic. This aspect of spies involved in atomic bomb enriching scursive space in postwar Korean peninsula was imprinted reforming of ``absolute war`` as embodied reality along with atomic bomb, embodying de-national identity of ``mobile / exercising body``. This contemporary status of atomic bomb and the spies involved in it was done coincidentally process of subjectification of agent in postwar Korean pen insula. Particularly, changing reality of the world at the end of 1949 which the Soviet Union was possessing atomic bomb was becoming visible to be publish continuously popular publications about the spies in postwar Korean peninsula. This essay focuses the socio-historical process that the spies involved in atomic bomb, it was narrating on Spy and Spy of Kang Young-Su, was being developed at the same pace with ``the event of international spy`` and ``the event of red woman spy`` heating pages of a newspaper in postwar Korean peninsula. There is final conclusion of this essay that this representation of various spies what we called regional version of postwar Korean peninsula reenacted absolute hostility having the spies involved in atomic bomb, and it get ready beforehand for absolute hostile relations of the Korean Wa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