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항공관광전공 대학생의 성장마인드셋과 자기주도학습능력 관계에서 그릿(grit)의 매개효과

        정영미 한국항공경영학회 2023 한국항공경영학회지 Vol.21 No.5

        코로나 팬데믹으로 전 세계가 사상 초유의 비상사태를 겪으며 교육 현장은 혼란 속에서 어려움에 직면하였다. 특히 일반 교육기관에서 쉽게 접할 수 없었던 비대면 수업으로 교육과정을 운영하면서 학생들의 자기주도학습(self-directed learning)에 대한 중요성이 더욱 높아졌다. 교육부가 2022년 교육과정 개정을 앞두고 창의력, 인성, 자기주도성을 미래 사회의 핵심 인재 역량으로 제시하였다. 또한 코로나 팬데믹과 4차 산업혁명으로 교육 환경이 급격히 변화하고 있으며 미래 사회로 나아가기 위한 학습자의 역량을 강화하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코로나 엔데믹으로 항공산업도 재도약을 준비하며 지식, 정보, 기술을 바탕으로 스스로 지식을 창조하는 능력을 갖춘 인재가 요구된다. 새로운 변화의 자각은 학습자 스스로 학습에 책임을 지고 학습을 주도하는 자기주도학습능력이 주목받고 있다. 자기주도학습은 타인의 도움 없이 스스로 학습 목표를 설정하고 학습 실행 및 결과를 평가하는 과정을 의미하며 21세기 평생학습 시대에 갖추어야 할 핵심역량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자기주도학습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구체적 방안을 검토하고 자기주도학습에 영향을 주는 변인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항공관광전공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성장마인드셋, 그릿과 자기주도학습능력 간의 영향 관계와 그릿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충남소재 H대학교 항공관광전공 대학생 219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통계분석은 SPSS 25.0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는 첫째, 항공관광전공 대학생의 지능-성장마인드셋과 성격-성장마인드셋이 그릿의 구성요소 관심의 일관성과 노력의 꾸준함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항공관광전공 대학생의 지능-성장마인드셋과 성격-성장마인드셋이 자기주도학습능력의 구성요인 인지적 능력, 정의적 능력, 행동적 능력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쩨, 항공관광전공 대학생의 그릿 관심의 일관성과 노력의 꾸준함은 자기주도학습능력 구성요인 인지적 능력, 정의적 능력, 행동적 능력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항공관광전공 대학생의 성장마인드셋이 자기주도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에서 그릿의 매개효과는 성장마인드셋과 자기주도학습능력의 인지적 능력, 정의적 능력, 행동적 능력에서 그릿 관심의 일관성은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성장마인드셋과 자기주도학습능력의 인지적 능력에서 그릿 노력의 꾸준함은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격-성장마인드셋과 자기주도학습능력의 정의적 능력과 행동적 능력에서는 그릿 노력의 꾸준함은 부분매개하고, 지능-성장마인드셋과 자기주도학습능력의 정의적 능력과 행동적 능력에서 그릿 노력의 꾸준함은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항공관광전공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에 그릿을 매개로 성장마이드셋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항공관광전공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 제고를 위해 성장마인드셋과 그릿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교육과정 운영과 교수법 활용이 요구된다. As the world experienced an unprecedented emergency due to the COVID-19 pandemic, the education field faced difficulties amidst chaos. In particular, the importance of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has increased as the curriculum is operated as non-face-to-face classes that are not easily accessible in general educational institutions. Ahead of the curriculum reorganization in 2022, the Ministry of Education has proposed creativity, character, and self-direction as key talents in the future society. In addition, as the educational environment is rapidly changing due to the COVID-19 pandemic and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measures to strengthen learners’ capabilities are required to advance into the future society. Awareness of new changes is drawing attention to the ability of self-directed learning in which learners take responsibility for learning and lead learning. Especially as the aviation industry prepares for a leap forward due to the coronavirus endemic, talent with the ability to create knowledge on their own based on knowledge, information, and technology is required. Self-directed learning refers to the process of setting learning goals and evaluating learning practices and results without the help of others. It can be said that it is a core competency to be equipped in the era of lifelong learning in the 21st century. In this regard, the necessity of reviewing specific measures to improv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researching variables that affect self-directed learning is emerging.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growth mindset, grit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the mediating effect of grit for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aviation tourism.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219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aviation tourism at H University in Chungnam, and SPSS 25.0 was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intelligence-growth mindset and personality-growth mindset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aviation tourism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the consistency of interest and persistence of effort.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intelligence-growth mindset and personality- growth mindset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aviation tourism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the cognitive ability, affective ability, and behavioral ability, which are components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hird, it was found that the consistency of interest and persistence of effort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aviation tourism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cognitive, emotional, and behavioral abilities, which are components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Fourth, the mediating effect of grit in the effect of growth mindset 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aviation tourism is the consistency of interest in grit in cognitive ability, affective ability, and behavioral ability of growth mindset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It has been shown to be partially mediated. Also, in the cognitive abilities of growth mindset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he persistence of grit efforts was found to partially mediate. Perseverance in grit efforts partially mediates the affective and behavioral abilities of the personality- growth mindset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It was found that persistence of grit effort completely mediated in the affective and behavioral abilities of intelligence-growth mindset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growth mindset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aviation tourism through the medium of grit.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aviation tourism, it is required to operate a curriculum and use teaching methods based on an understanding of growth mindset and grit.

      • KCI등재

        체육수업에 대한 흥미와 능력인지에 따른 성장 마인드, 끈기가 노력에 미치는 영향

        김인수(Kim, In-So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9

        목적 이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체육수업에서 흥미와 능력인지, 성장 마인드, 끈기가 체육수업에서 필요한 노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방법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흥미와 능력인지를 외생변인으로 하고, 성장 마인드, 끈기, 노력을 내생변인으로 한 이론 모델을 설정하고 이의 검증을 통해 연구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의 대상자는 C, G, J 대학교 체육수업에 참여한 226명(남: 107, 여: 119)의 대학생으로 체육수업에 대한 흥미, 능력인지, 성장 마인드, 끈기, 노력척도를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한 결과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결과 첫째, 기술분석을 실시한 결과 전체적으로 학생들의 흥미와 노력의 수준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별로는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능력인지와 노력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변인의 수준별 집단에 따른 결과에서 흥미수준이 높을수록, 능력인지 수준이 높은 집단일수록 성장 마인드와 끈기 수준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노력의 수준에는 차이가 없었다. 둘째, 변인 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흥미, 능력인지, 성장 마인드, 끈기 간에는 서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노력은 끈기에만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흥미와 능력인지를 외생변인으로 하고 성장 마인드, 끈기, 노력을 내생변인으로 한 구조모델은 전반적 지수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나 이론모델로 합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구체적인 유의 경로를 분석한 결과 흥미 → 성장 마인드, 끈기, 능력인지 → 성장 마인드, 끈기 → 노력의 경로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흥미 → 끈기 → 노력의 경로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끈기가 흥미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influence of tenacity on efforts and growth minds by Interest and ability cognition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In order to achieve these research objectives, it was intended to establish and verify a research model based on Interest and ability cognition as an exogenous variable, and growth mind, tenacity and efforts as endogenous variables. Methods The subjects are 226 university students(men : 107, women: 119) who agreed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at C, G, and J university of education as of 2020. This study use Interest scale about physical education class(4 items), ability cognition scale(4 items), mind growth scale(4 items), Tenacity scale(7 items), and efforts in physical education class scale(3 items). Fore the data analysis, descriptive analysis, explanatory and confirmed factor analysis, t-test, ANOVA, and Structure equation modeling are conducted using SPSS22.0 and AMOS 22.0. Resul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descriptive analysis, Overall, the level of Interest and efforts among students is lower, and by gender, male students were higher in ability and efforts than those of female students. Results from groups of variables by level showed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Interest and the higher the level of ability recognition, the higher the level of tenacity, but there is no difference in the level of efforts. In analysis of the corelation, there are significant between Interest, ability, growth mind, and tenacity, but efforts is only related to tenacity. Structural models with Interest and ability as exogenous variables and growth mind, tenacity, and efforts as endogenous variables are found to be reasonable as theoretical models with a good overall index, and specific significance path analysis show Interest → growth mind, tenacity, ability → growth mind, tenacity → the path of efforts is significant, and the analysis of the mediate effect showed Interest → tenacity → the path of efforts is significant. Conclusions Whether college students Interest and ability cognition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have a positive impact on growth mind, growth mind has an effect on tenacity and tenacity has a direct impact on effort.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physical education classes should be Interest and reinforced tenacity.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감성지능, 회복탄력성, 외상 후 성장이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

        김미자 대한산업경영학회 2018 산업융합연구 Vol.16 No.3

        간호대학생의 감성지능, 회복탄력성, 외상 후 성장과 의사소통능력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간호대학생의 의사 소통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의사소통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을 강구하는 기초자료로 이용하 고자 시행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수집은 2017년 4월부터 5월까지이며 연구대상자는 D시에 소재한 대학의 간호대 학생 296명이다. 연구결과는 간호대학생의 감성지능, 회복탄력성, 외상 후 성장, 의사소통능력 네 변수 간에는 모두 통 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또한 감성지능, 회복탄력성, 외상 후 성장 정도가 증가할수록 의사소통 능력이 높아졌고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51.9%였다. 결론적으로, 간호사로서 환자와의 치료적 관계를 수립하기 위해 간호 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을 향상시키는 전략으로 감성지능, 회복탄력성 및 외상 후 성장 정도를 향상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levels of emotional intelligence, resilience, post-traumatic growth and communication skill of nursing students and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communication skill of nursing students and to use them as basic data to improve communication skill. The data collecting period is from April to May, 2017, and the subjects are 296 nursing students in D city.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resilience, post-traumatic growth, and communication skill of nursing students. Also, as emotional intelligence, resilience, and post–traumatic growth increased, communication skill improved. The explanatory power of regression model was 51.9%. In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efforts to improve the emotional intelligence, resilience, and post-traumatic growth as a strategy to enhance communication skills of nursing students in order to establish therapeutic relationships with patients as nurses.

      • KCI등재

        칼 바르트의 교회론

        김영관(Young?Gwan Kim) 한국기독교학회 2016 한국기독교신학논총 Vol.99 No.-

        칼 바르트(1886–1968)의 신학은 “그리스도 중심주의”에 기초하며, 그의 교회론은 예수 그리스도 안에 계시되고 기록되어 선포된 그 삼위일체 하나님 말씀진리의 실존적인 역사성과 현실성을 강조한다. 20세기 초 비성경적인 관점에서 주창된 독일교회 지도자들의 왜곡된 정치참여의 정당성을 강하게 비판했고, 교회는 온전히 예수 그리스도의 말씀진리를 설파하며 그 말씀 안에 계시되고 기록되어 선포된 창조주 하나님의 유일성이 고수되어야 함을 바르트는 강조했다. 또한 교회공동체들의 급진적인 세속화와 이로 인해 파생된 자유주의신학과 염세적이며 관념적인 철학사상들과의 융합주의적인 신학연구 방식을 거부했다. 이 지상의 모든 교회들의 우선적인 사명은 어제나 오늘이나 내일이나 변함없이 2천 년 전 나사렛 시골동네에서 목수의 아들로 성육신하신 그 예수 그리스도의 겸손한 주인성과 메시아성 양자 모두를 더욱더 강력히 선포하는 것이며, 이로 인해 교회의 지속적인 성장이 유지될 수 있음을 바르트는 역설했다. 따라서 본 논문의 목적은 칼 바르트가 그의 저서 Church Dogmatics 4권에서 주창하는 “성장하는 기독교공동체”로서의 교회개념을 정리–분석하기 위함이다. 또한 21세기 현대 기독교 교회공동체들이 예수 그리스도의 지체들로서 추구해야 할 진정한 성장모형과 성장목적 그리고 그에 따른 세상 안에서의 사명들과 책임들을 제안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맹목적인 양적–수적 성장을 거부하며 순수한 복음전파 사명에 충실해야 할 기독교 교회 공동체로서의 그 존재 본질과 실존성을 강조하는 바르트의 복음주의 신학적 관점들을 다음과 같이 정리–분석했다. (1) 기독교 교회공동체 성장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성령님의 초월적이시며 일깨우시는 초자연적인 능력, (2) 교회공동체 성장에 필수적인 상호적인 사랑의 실천, (3) 교회공동체 성장에 기초가 되는 아가페 사랑의 실천, 그리고 (4) 교회공동체 성장에 결속력을 제공하는 믿음과 소망개념.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Karl Barth(1886–1968)’s doctrine of the Church by focusing on his concept of the “Upbuilding Christian Community,” explicated on his book Church Dogmatics IV. In particular, this paper examines how Barth understands the genuine model and the goal of the Church growth in the 21st Century. Accordingly, this paper pinpoints Barth’s Christocentric ecclesiology, which not only emphasizes the Church as the earthly and historical body of Jesus Christ in terms of her given task and responsibility as the faithful Christian community in this world, but also her ultimate task as the proclamation of the truth of the Gospel revealed, written, and spoken in Jesus Christ for the accomplishment of the perfect salvation in this world rather than expanding simply the number of congregation or constructing church buildings. Therefore, this paper discusses comprehensively Barth’s concept of the Church as the Upbuilding Christian community as follows: (1) The Holy Spirit as the Quickening, Transcendental, and Supernatural Power for the Upbuilding of the Christian Community; (2) The Mutual Love as Essential for the Upbuilding of the Community; (3) Agape–love as the Foundation for the Upbuilding of the Community; and (4) Faith, Love and Hope as the Bond for the Upbuilding of the Community.

      • KCI등재

        영어능력과 국가 경제성장과의 관계

        김선재(Seon Jae Kim),이영화(Younghwa Lee) 한국콘텐츠학회 201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1 No.1

        본 연구는 비영어권 OECD 21개 국가들을 대상으로 영어능력과 경제활동(국가별 무역량, R&D투자 등), 그리고 경제 성장률과의 관계 분석을 통하여 영어능력이 국가의 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단순회귀분석(OLS)과 표면상무관회귀분석(Seemingly Unrelated Regression Estimation: SURE)의 기법을 사용하여 추정한 결과 체코, 핀란드, 그리고 폴란드를 제외한 여타 국가들에서는 영어능력이 직접적으로 경제성장에 정(+)의 효과를 미친다는 통계학적 유의성이 발견되지 않았다. 그러나 영어능력은 무역량 증진의 기여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경제성장에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영어능력은 경제성장에 있어서 하나의 필요조건이지 충분조건은 아닌 것으로 결론 지울 수 있다. 더불어 영어능력은 최소한의 물적 자본과, 기술축적, 정치적 안정, 그리고 훌륭한 통치를 보완하는 충분한 보완재 역할을 담당한다면 경제성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것이 예상된다. This study aims at investigating how English proficiency affects economic development of a country by analyzing the relationships among English proficiency, economic activities (amount of trade, R&D investment, etc), and the rate of economic growth, focusing on twenty-one non-English-speaking OECD countries. Ordinary Least Square (OLS) and Seemingly Unrelated Regression Estimation (SURE) were used for the data analysis in the study. The findings reveals that there existed little statistical significance to support the fact that English proficiency was directly related to the economic development in a positive way in many countries except Mexico, the Czech Republic, Finland, and Poland. However, English proficiency indirectly influenced the economic development in the way of increasing the amount of trade. These results can lead to the conclusion that English proficiency is not a sufficient element but a necessary one. Furthermore, it is expected that English proficiency can positively affect the economic development when it plays a part as sufficient complementary goods which make up for physical capital, technology accumulation, political stability, and worthy government.

      • KCI등재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한 다문화 청소년의 언어능력과 이중문화수용성에 따른 자아탄력성 변화 연구

        김우진(Kim, Woojin),정지아(Jung, Jeaah),심태은(Shim, Taeeun),이송이(Lee, Songyi)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7 한국청소년연구 Vol.28 No.4

        본 연구는 다문화 청소년의 자아탄력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이에 영향을 미치는 언어능력과 이중문화 수용성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2012년부터 2015년까지 조사된 다문화 청소년 패널(MAPS: 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 자료를 이용하여 다문화 청소년의 언어능력, 이중문화 수용성 및 자아 탄력성이 어떻게 변화하고, 다문화 청소년의 자아탄력성에 언어능력과 이중문화 수용성이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청소년의 언어능력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성을 보여주었고, 이중문화 수용성은 일관된 변화 없이 증가와 감소를 반복적으로 보여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좀 더 구체적으로 언어능력의 경우, 년도별로 의미 있는 변화를 보여주었는데, 초기값이 높았던 청소년은 언어능력이 서서히 증가하는 반면, 언어능력의 초기값이 낮았던 청소년은 언어능력이 상대적으로 빨리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문화 수용성의 경우 일관된 변화 없이 증가와 감소를 보여준 것을 통하여 연령과 발달의 차이보다는 환경의 차이가 이중문화 수용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청소년 언어 능력과 이중 문화 수용성이 청소년의 자아 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분석에서는 언어능력과 이중문화 수용성 모두가 자아 탄력성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다문화 청소년이 건강한 사회 구성원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자아탄력성 및 언어능력과 이중문화 수용성의 변화적 특성을 파악하여, 이들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정책개발에 이 연구가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길 기대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self-assessed language proficiency and the effects of bicultural acceptance on multicultural adolescents’ resilience. More specifically, we examined precisely how language proficiency, bicultural acceptance, and resilience changed over time, and further how language and bicultural acceptance have either positive or negative effects on resilience.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MAPS(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 research data collected from 2012 to 2015 were used for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The results indicate that language proficiency increased with time while bicultural acceptance levels did not show consistent variation and increased and decreased over time. Language proficiency showed time-wise significant increase. The adolescents whose initial value of proficiency were high gradually increased over time while low proficiency increased relatively more steeply. In the case of bicultural acceptance, the result showed inconsistent changes over time, which implies difference in the environment have effect on the acceptance rather than age or individual developmental differences. Therefore, the two variables’ effect on resilience was significant. It is the hop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providing basic fundamental research material for developing curricular and policy that may help in resilience building for multicultural adolescents.

      • KCI등재

        조용기 목사의 능력대결

        이충웅 한세대학교 영산신학연구소 2016 영산신학저널 Vol.38 No.-

        The word ‘Power Encounter’ began to be used in the book described the collective conversion movement written by Allan Tippett, who was a missionary in South Pacific. The Power Encounter in Ephesians 6:10-19, especially verse 12 says “For our struggle is not against flesh and blood, but against the rulers, against the powers of this dark world and against the spiritual forces of evil in the heavenly realms.” Based on this background, Rev. Cho presented two ways about the Power Encounter for the growth of the Church in Korea. Firstly, the prayer of healing represents one of the features of Rev. Cho’s ministry. The saints have been blessed through the prayer of healing after the sermon. Rev. Cho’s ministry fulfilled Jesus’healing commands with absolute faith in the healing events of the Bible which have been achieved through the ages. If people experienced victory in the spiritual warfare against Satan with God’s Power Encounter and saw the healing events of the Holy Spirit through the Pentecostal ministry, it would be easier for them to accept Christianity. Secondly, it is important to strengthen the internal capacity of an ongoing battle for victory. Among those distinctive spiritual warfare principles of Rev. Cho, “the principle of internal reinforcement” is a very important principle to maintain a life of constant victory through internal growth and maturity, inner strengthening of the capacity of Christians. The world is still filled with sins, evil spiritual forces are active and even Christians have the nature of corruption. Saints were armed with his consistent preaching and teaching ministry such as, the righteous through faith on the cross of Jesus Christ who was sent by good God, filled with the Holy Spirit, healing, blessings, the ‘Fivefold Gospel’of eternal life and the ‘Threefold Blessing’of soul, body and everything. Also there was ministry about the new identity, selfportrait, status and the continuous teachings about walking with the Holy Spirit through the Spirituality of Fourth Dimension. The Power Encounter Ministry of Rev. Cho is excellent. His faith has a Biblical background. This is a great example of a well incorporated into the pastoral scene and the mission field. Church growth is a result of the victory in the fight through the Power Encounter. Now South Korea is in a serious situation. Church growth has stopped and Korean church has become a target of criticism from the world. This is the time for missionaries and pastors to start preliminary training of the Power Encounter and learn biblical principles for the healthy growth of Korean church. 능력대결(power encounter)이라는 단어는 알렌 티펫(Alan Tippett) 선교사가 남태평양 제도에 있던 부족을 집단개종 운동을 설명한 책에서 사용되기 시작했다. 능력대결에 대해서 성경에는 에베소서 6:10-19에 잘 나타나 있다. 특히 12절은 “우리의 씨름은 혈과 육에 대한 것이 아니요 정사와 권세와 이 어두움의 세상 주관자들과 하늘에 있는 악의 영들에게 대함이다.”라고 말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 하에서 한국교회의 성장을 위해 영산의 능력대결에 대해 두 가지로 제시하였다. 첫째, 신유의 기도이다. 영산의 사역의 특징 가운데 신유의 기도를 빼놓을 수 없다. 영산은 설교를 마치고 기도의 시간에 신유의 기도를 통해서 성도들에게 은혜를 부여하고 있다. 영산의 이러한 사역은 성경의 신유 사건을 절대적으로 믿는 믿음과 함께 예수님의 신유 명령이 시대를 초월하여 성취될 수 있다는 확신 속에서 선포되는 것이다. 사단과의 영적 전쟁에서 하나님의 능력대결(Power Encounter)에서의 승리는, 눈에 보이는 신유와 축사 등의 오순절적 성령 사역의 승리로 경험케 된다면, 기독교 수용에 있어서 매우 용이하게 하는 것이 된다. 둘째, 지속적인 능력대결의 승리를 위한 내적강화이다. 영산의 특징적인 영적전쟁의 원리 가운데 ‘내적강화의 원리’는 능력대결을 위한 그리스도인의 내적 성장과 성숙, 내면 강화를 통해 지속적인 승리의 삶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매우 중요한 원리이다. 이 세상에는 아직도 죄악이 관영하고, 악한 영적 세력들이 활동하고 있으며, 그리스도인들에게도 타락한 본성이 공존하고 있다. 영산은 그의 선교와 목회 현장 가운데 일관된 설교와 가르침의 사역을 통해 성도를 무장시켰다. 그것은 좋으신 하나님이 보내신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를 믿음으로 얻는 의, 성령충만, 치료, 축복, 영생의 오중복음과 영혼, 범사, 육체가 잘되는 삼중축복의 메시지였으며 그리스도인의 새로운 정체성, 자화상, 신분과 지위, 그리고 4차원의 영성을 통한 성령과의 동행 등에 관한 지속적인 가르침이었다. 영산의 능력대결 사역은 탁월하다. 그의 신앙은 성경적인 배경을 가지고 있으며, 이것을 목회 현장과 선교 현장에 잘 접목한 훌륭한 사례이다. 그의 교회성장은 능력대결을 통한 싸움에서의 승리의 결과이다. 지금 한국교회는 심각한 상황이다, 교회성장은 멈추었고 오히려 세상으로부터 비난의 대상이 되었다. 이러한 때에 선교사들과 목회자들은 능력대결에 대한 예비 훈련과 여러 성경적 원리들을 배워서 교회성장을 이루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한 초등 저학년생의 쓰기 능력 발달에 대한 종단 분석

        이순영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19 리터러시 연구 Vol.10 No.5

        본고는 초등 저학년생의 쓰기 발달 양상을 종단적으로 분석한 실증 연구이다. 이 연구에는 서울과 전주의 초등학생 349명이 참여하였고, 2015년부터 2017년까지 총 6학기 동안 학생들이 작성한 설명글을 분석하여 기초 통계치를 추출하고 잠재성장모형을 검증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네 가지이다. 첫째, 초등 저학년의 6학기 동안 학생글의 쓰기 유창성, 표기 정확도, 질 점수는 모두 지속해서 향상되었으며, 특히 2학년 2학기(4학기)의 변화가 가장 컸다. 둘째, 학생들의 쓰기 능력에 대한 잠재성장모형을 분석하여 선형 모형을 도출하였다. 초등 첫 학기의 쓰기 능력은 4.054점(초기값)이었고, 학기별로 0.718점의 변화량이 예측되었다. 셋째, 초등 첫 학기의 쓰기 능력은 읽기 능력, 읽기 태도, 쓰기 태도, 받아쓰기 능력의 영향을 두루 받으나, 이후 쓰기 능력의 변화에는 읽기 능력만이 유의한 영향 요인이었다. 넷째, 초등 저학년의 쓰기 능력에서 가장 비중이 큰 요인은 글의 질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The study examined the longitudinal changes in elementary lower graders’ writing abilities. Expository writings written by 349 students in Seoul and Jeonju were collected for 6 semesters. This study first found that fluency, accuracy, and the quality of students’ writing were all improved continuously, and especially the change of 4th semester was the greatest. Second, the trace of students’ writing development was a linear model with 4.054(the intercept) and 0.718(the slope value). Third, writing ability in the first semester was influenced by reading ability, reading attitude, writing attitude, and dictation ability, but only reading ability was a significant influence factor in subsequent changes in writing ability. Finally, the quality of writing was the most powerful factor in writing abilities of elementary lower graders.

      • KCI등재

        대학생의 성장마인드셋과 자기주도학습능력 간의 영향 관계 연구: 글쓰기 스키마와 그릿 매개효과 중심으로

        정덕현 중앙대학교 다빈치미래교양연구소 2022 교양학연구 Vol.- No.21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the writing schema and gri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college students' growth mindsets. To be more specific about this purpose, it is as follows. First, it analyzes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growth mindset, writing schema, grit, and self-directed learning. Second, it i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the writing schema and gri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rowth mindset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o achieve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on learners who took writing courses at H University, and 186 of them were analyzed excluding missing values. The analysis was sequentially perform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measurement model analysis, structural model verification, path analysis, and mediating effect analysis, and the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23.0 and AMOS 23.0.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growth mindset and writing schema, growth mindset and grit, writing schema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grit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Seco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complete mediating effect of the writing schema and gri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rowth mindset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hese results show that university-level support and efforts are needed to enhance college students' writing self-directed learning skills based on their understanding of writing schemas and grits as well as growth mindsets. 이 논문은 2022년 09월 20일까지 투고 완료되어 2022년 09월 23일부터 2022년 10월 16일까지 심사위원이 심사하고 2022년 10월 17일 심사위원 및 편집위원 회의에서 게재 결정된 논문임. 본 논문의 목적은 대학생의 성장마인드셋이 자기주도학습능력 간의 관계에서 글쓰기 스키마와 그릿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좀 더 구체적으로 한다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성장마인드셋, 글쓰기 스키마, 그릿, 자기주도학습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는 것이다. 둘째, 성장마인드셋과 자기주도 학습능력 간의 관계에서 글쓰기 스키마와 그릿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H대학교에서 글쓰기 과목을 수강한 학습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그중 결측치를 제외한 186명의 설문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은 기술통계 분석, Pearson 상관관계 분석, 측정모형 분석, 구조모형 검증, 경로분석, 매개효과 분석 등을 순차적으로 하였으며, 분석은 SPSS 23.0와 AMOS 23.0을 활용하여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장마인드셋과 글쓰기 스키마, 성장마인드셋과 그릿, 글쓰기 스키마와 자기주도학습능력, 그릿과 자기주도학습능력 간에는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성장마인드셋과 자기주도 학습능력 간의 관계에서 글쓰기 스키마와 그릿의 완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생의 글쓰기 자기주도학습능력 제고를 위해서는 성장마인드셋 뿐만 아니라, 글쓰기 스키마와 그릿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이를 고양하기 위한 대학교 차원의 지원과 노력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 KCI등재

        지적장애 및 자폐범주성장애 아동의 단어유추추론능력

        강은희 한국언어치료학회 2019 言語治療硏究 Vol.28 No.2

        목적: 본 연구는 지적장애 및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단어유추추론능력 특성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지적장애 및 자폐범주성장애 아동들의 언어발달 지연은 단어를 유추추론의 제한과 밀접하게 관련되어있다. 따라서 각 장애에 따른 단어유추추론 능력에 차이가 있는지 그리고 과제유형에 따라 차이가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연구의 대상자는 언어연령이 5~6세로 동일한 일반아동과 지적장애아동, 자폐범주성장애 아동 각 15명 씩 4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단어유추추론을 기능, 범주, 반의어, 순서의 4가지 유형을 나누어 그림으로 제시하여 아동이 적절하게 반응한 단어수를 측정하였다. 결과: 지적장애 및 자페범주성장애 아동은 언어연령이 동일한 일반아동보다 낮은 단어유추추론능력을 가지고있다. 과제유형 중 기능에서는 일반 및 지적장애 아동에 비해 자폐범주성장애 아동이 낮은 능력을나타내었다. 범주와 반의어 유형에서는 지적 및 자폐범주성 장애아동이 낮은 능력을 나타냈다. 순서유형에서는 세 집단이 비슷한 수행능력을 나타내었다. 결론: 지적장애 및 자폐범주성장애 아동은 언어연령이 동일한 일반아동에 비해 낮은 단어유추추론 능력을 보이며 특히 자폐범주성장애 아동은 기능과제에서 지적장애 아동보다 낮은 수행능력을 나타내었다.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the verbal analogical reasoning abilities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nd autism spectrum disorder. These children’s deficiency in language development is closely related with the limitation of verbal analogical reasoning. So this study to identify how different their verbal analogical reasoning abilities differ depending on their type of disability (ID or ASD) and task types. Methods : The subjects were children of 5 to 6 year-old-language ability including 15 normal children, 15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D), and 15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The verbal analogical reasoning was divided into 4 different task types: function, category, antonym, and order. Pictures representing each task type were given to the children and the number of words with a proper response was counted. Results : Despite the same language age, children with ID and ASD had a lower word reasoning ability than normal children. Compared to normal children and ID children, children with ASD had a lower ability in function among the 4 task types. In category and antonym, children with ID and ASD showed a lower ability. In the order task group, the three groups showed a similar competence. Conclusions : This study showed that children with ID and ASD have a lower verbal analogical reasoning ability and that children with ASD in particular had a lower competence than ID children in function. Therefore it is concluded that proper language intervention depending on the type of disabilities (ID or ASD) should be given to children to improve their verbal analogical reasoning abi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