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MZ세대 대학생들의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대한 인식

        심태은(TaeEun Shim),예철해(Cheolhae Y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8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MZ세대라고 불리는 대학생들이 스트레스 대처를 어떻게 하고 있는지 유형화하고, 그 특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방법 MZ세대 대학생들의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대한 주관적 인식을 확인하기 위하여 Q방법론을 활용하였다. 이때 Q방법론은 태도, 신념, 가치 등 인간의 주관적 측면을 객관적으로 측정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심층적인 의견을 연구할 수 있어 이 방법론을 활용하였다. 결과 MZ세대 대학생들의 스트레스 대처방식을 5개로 유형화하였다. 제 1유형은 스트레스 발생 시 원인이 무엇인지를 찾고, 스트레스를 해소하기 위하여 신중하게 분석하는 ‘신중형’이다. 제 2유형은 사람들을 피해 혼자만의 시간을 가지며 해결하려고 노력하는 ‘외톨이형’이다. 제3유형은 주변 사람들과 함께 스트레스를 해소하기 위해 노력하는 ‘의존형’이다. 제 4유형은 새로운 상황을 만들어 다른 것에 몰두하면서 스트레스 상황에 대처하는 ‘몰입형’이다. 제 5유형은 문제 파악이 우선이 아니라 문제를 해결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는 ‘추진형’이다. 결론 첫째, ‘신중형’에 해당되는 MZ세대 대학생들에게는 스트레스 해소를 위해서 학교 내부와 외부의 다양한 프로그램들을 연결해 줄 필요가 있다. 둘째, ‘외톨이형’에게는 먼저 자아존중감, 자아탄력성, 자기효능감 등을 키울 수 있도록 도와주는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셋째, ‘의존형’에게는 특정한 프로그램을 소개하기 보다는 주변 사람들과 원활하게 커뮤니케이션하면서 교류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해 주는 것이 필요하다. 넷째, ‘몰입형’ 대학생들은 취미 활동이나 스포츠 활동에 몰입하는 유형이므로 다양한 취미 활동과 스포츠 활동을 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해 주어야 한다. 다섯째, ‘추진형’ 대학생들에게는 스트레스 해소를 위해서 가능한 모든 정보, 활동, 그리고 프로그램을 제공해서 본인이 스스로 추진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들어 주어야 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ategorize how university students of the MZ generation cope with stress and analyze their characteristics. Methods Q methodology was used to confirm the subjective perception of MZ generation college students' stress response methods. At this time, the Q methodology aims to objectively measure human subjective aspects such as attitudes, beliefs, and values, and this methodology was used because in-depth opinions could be studied. Results Stress coping methods were categorized into five. The first type is a ‘considerate type’ that finds the cause of stress and carefully analyzes it to relieve stress. The second type is a ‘lone type’ who takes time alone to avoid people and tries to solve it. The third type is a ‘dependent type’ that tries to relieve stress with the people around him. The fourth type is an ‘immersive type’ that creates a new situation and copes with stress situations while immersed in other things. The fifth type is a ‘propulsion type’ that focuses on solving problems, not identifying problems. Conclusions First, it is necessary to connect various programs inside and outside the school to relieve stress for MZ generation college students who fall under the ‘considerate type’. Second, the ‘lone type’ first needs a program that helps them develop self-esteem, self-resilience, and self-efficacy. Third, rather than introducing a specific program, the ‘dependent type’ needs to provide an environment where they can communicate and interact smoothly with people around them. Fourth, since ‘immersive’ college students are the type to immerse themselves in hobbies or sports activities, it is necessary to provide conditions for various hobbies and sports activities. Fifth, ‘promoting’ college students should be provided with all possible information, activities, and programs to relieve stress to create conditions for them to promote themselves.

      • KCI등재

        대학생의 인권감수성 수준과 인권인식 유형에 관한 연구

        심태은(Tae Een Shim),이송이(Song Yi Lee) 한국산학기술학회 2018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9 No.10

        본 연구는 대학생의 인권감수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인권감수성 수준과 인권인식 유형을 살펴보는데 있다. 연구방법은 인권감수성 수준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설문지 자료를 활용하여 t검증과 분산분석을 실시하였고, 인권인식 유형을 살펴보기 위해서는 Q방법론을 통한 Q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인권감수성의 수준은 3학년과 4학년이 1학년과 2학년보다 높았고, 종교별로는 기독교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단과대학별에서는 사회과학대학 학생들이 가장 높은 인권감수성을 보여주었으며, 봉사를 한 학생들이 봉사교육을 실시하지 않은 학생들보다 인권감수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장기기증 등록을 한 학생들이 하지 않은 학생들에 비해, 인권교육을 받은 학생들이 받지 않은 학생들보다 인권감수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권인식 유형과 관련해서는 총 4개의 유형으로 구분되었고, 유형 1은 인권에 대한 이상적인 개념을 지니고 있으며 도덕적 판단을 중심으로 생각하는 특성을 보이는 ‘보편적인 사회윤리형’, 유형 2는 사회적 규범을 벗어날 생각이 없고 삶 속에서 인권으로 인해 실리적인 혜택을 박탈당하기를 원하지 않는 ‘실리적 현실형’, 유형 3은 기본적인 인권에 대한 개념을 지니고 있고 개인의 권리를 위해서 사회의 규범을 어겨서는 안 된다고 생각하는 ‘사회체제 유지형’, 유형 4는 인권을 지키기 위해서는 기존의 사회적 규범을 벗어나 행동하지만, 그 행동이 사람들과 관계를 배제하는 것은 아님을 보려주는 ‘개인권리 보호의 사회계약형’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가 인권에 대한 개인의 맥락에서의 인지적 교육에만 구한되지 않고 개인의 삶과 연결될 수 있는 사회적인 관점의 가능성을 찾는데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level of human rights sensitivity and the types of perception in regards to the human rights of college students to enhance their human rights sensitivity. The study methodology included a t-test and variance analysis for the level of human rights sensitivity, and a Q-factor analysis for the perception types of human rights. As a result of examining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human right sensitivity, it was found that female students were higher than male students, and juniors and seniors were higher than freshmen and sophomores. The human rights sensitivity of the students in the social and science department were the highest, and those who had volunteer experiences were more susceptible to human rights than those who did not. Students who registered for organ donation were higher than those who did not, and those who received human rights education showed higher human rights susceptibility than those who did not. Four perception types of human rights were analyzed ‘universal social moralists’, those who have an idealistic mindset and make decisions based on moral standards, "practical realists", those who have no intention of breaking out of the social norm and who do not want to take any risks for human rights, ‘social system advocates’, those who have a clear understanding of the basic human rights concept, but don"t think that they should break the rules of society for the sake of individual rights, and ‘social contracts advocates’, those who are willing to bend the rules of society for human rights, but not to the extent of ruining relationships. These study results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possibility of the social viewpoint that human rights sensitivity can be developed in the context of social experience as well as perception.

      • KCI등재

        부모애착 및 스마트폰 사용이 대학 신입생의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심태은 ( Tae Eun Shim ),이송이 ( Song Yi Lee ) 한국가족복지학회 2014 한국가족복지학 Vol.19 No.3

        This study focuses on investigating the effect of parental attachment and smart phone use on the adaptation to college of college freshmen. The participants were 417 male and female students of D university for whom the scales of student adaptation to college, parental attachment and smart phone addiction were measured. The results of the correlation analysis indicated that parental attachment and student adaptation to college were positively related and smart phone addiction and student adaptation to college were negatively related. The multiple regression results indicated that the alienation of parental attachment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academic adjustment and social adaptation of the student when it came to their adaptation to college. Smart phone addiction had significant effects on only the academic adjustment of the student when it came to their adaptation to colleg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smart phone addiction had more significant effects on the academic adjustment of the student when it came to their adaptation to college than parental attachment did.

      • KCI등재

        입학전형별 대학생활 인식차이 및 학업역량 수준분석

        심태은(Tae Eun Shim) 한국산학기술학회 2019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0 No.7

        본 연구는 입학전형별 입학생들의 대학생활에 대한 생각을 분석하고, 그에 따른 학업역량 수준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2~2017학번 동국대학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대학생활에 대한 만족도를 분석하고, 대학생활에 대한 중요도와 집중도의 차이가 발생하는지 비교하였다. 마지막으로 입학전형별로 학업역량 중 GPA를 중심으로 차이가 발생하는지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대학생활에 대한 만족도를 분석한 결과 수시전형 학생들이 정시전형 학생들에 비해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생활 중 교육에 대한 만족도는 높으나, 생활과 밀접한 장학금에 대한 것은 불만족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대학생활에 대한 중요도와 집중도의 차이에서는 졸업 후 취업에 대한 고민이 가장 높았으나 현실적으로는 집중하지 못하고 현재 상황인 학점 및 팀플 과제에만 집중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 입학전형 GPA도 수시전형 학생들이 정시전형 학생들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수시전형 학생들이 학교생활에 빠르게 적응하고 만족도가 높은 것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대학생활에 대한 전반적인 생각들을 파악하고 이를 보완해 줄 수 있는 교육정책 및 프로그램 마련이 필요하다는 것을 제안한다. This study analyzed the thoughts of college life of students enrolled in each admission process to determine the level of academic competency. The satisfaction level of university life was analyzed among university students who studied at Dongguk University in 2012-2017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e difference in importance and concentration of university life. Finally, the differences in scholastic ability around GPA were analyzed and compared. The results showed that students with pre-school grades were more satisfied with their college life than those with regular admissions. Although satisfaction with education is high during college life, it has been shown to be unsatisfactory regarding scholarships that are closely related to life. In terms of the difference between importance and concentration of college life, the greatest concern was with finding employment after graduation, but in reality the students could not focus on the current situation, but focused only on the current situation of grades and teamwork. The final admission GPA also showed that pre-school students were higher than regular students, and were able to adjust quickly to their school life and affect their satisfaction. Overall, education policies and programs are needed to understand the overall thoughts of university life and supplement them.

      • KCI등재

        대학생이 인식하는 진로장벽에 관한 주관성 연구

        심태은(Tae Eun Shim) 한국산학기술학회 2021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2 No.11

        본 연구는 대학생들이 생각하는 진로장벽에 대한 인식을 유형화하고, 유형별 특성이 어떠한지 파악하여 효과적인 진로계획 및 결정시 도움을 주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Q방법론을 활용하고 Q표본은 33개의 진술문으로 구성되어져 있다. P표본은 진로 및 취업교과목을 듣는 28명의 학생으로 구성되었다. 연구결과 총3가지의 유형이 도출되었으며 유형1은 자기 자신이 무엇을 좋아하는지, 잘하는지 파악하지 못하며, 이력서를 작성하면서도 부족하게 느껴 진로를 선택하지 못하는 “자기 자신을 파악하지 못해 불안한 유형”, 유형2는 외부환경의 영향을 받아 직업선택과정에서 갈등 및 차별을 바로 인식하는 “타인으로부터 영향을 받는 유형”, 유형3은 개인성격이 반영되어 쉽게 도전하지 못하고 선택하지도 못해 진로선택의 어려움을 보이는 “우유부단한 성격으로 기회를 놓치는 유형” 등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대학생들의 진로선택 및 결정 시 어려움에 대한 원인을 파악하고, 그를 해결하기 위해 대학에서 교과 및 비교과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교육 및 코칭 시 학생들이 요구가 충족될 수 있도록 돕는 기초자료가 되기를 원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haracterize college students" perceptions of career barriers and to identify factors associated with these to help students plan and make more effective career decision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we utilized Q methodology and a Q sample consisting of 33 statements. The P sample consisted of 28 students taking career and employment courses. Three student types were identified. Type 1 is an unstable type that does not identify what he/she likes or is good at and cannot choose a career path because of a feeling of inadequacy while writing a resume. Type 2 is influenced by others and is intensely aware of the conflict and discrimination associated with the process of choosing jobs given the pressure exerted by the external environment. Type 3 misses opportunities due to an indecisive personality that reflects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finds it difficult to choose a career path. The authors hope the findings of this study will help college students make appropriate career choices and enable them to overcome difficulties associated with decision-making. In addition, the study provides a basis for developing curricula and comparative programs at universities that better meet the needs of students with respect to education and coaching.

      • KCI등재

        자기관리 리더십 역량 향상을 위한 교과과정 효과성 분석

        심태은(Tae Eun Shim),이송이(Song Yi Lee),김유천(Yu Cheon Kim) 한국산학기술학회 2017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8 No.6

        본 연구는 ‘자기관리 리더십’교과목을 통하여 향상된 자기관리 리더십역량의 효과성을 분석하여 대학의 자기관리역량 교과목 발전에 기여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서울시에 소재한 D대학교에서 핵심역량 교양수업을 수강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자기개발 역량을 키우기 위해 교과내용을 수강한 실험집단 221명과, 교과내용을 수강하지 않은 통제집단 204명의 통제집단을 구성하였다. 그리고 사전사후 실험을 통하여 자기관리역량, 목표관리역량, 관계형성, 리더십, 협동역량의 효과성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 결과 통제집단 보다 실험집단이 보다 높은 향상도를 보였고, 통제집단과 실험집단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목표관리와 협동역량에서 차이를 보였다. 이와 함께 자기관리와 리더십 교과목을 수강한 학생들이 인식하는 향상된 역량에 대한 내용분석에서 목표관리 역량이 가장 높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관리 영역에서는 성격, 자아성찰, 자신감 등의 영역에서 역량이 가장 많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고, 목표관리 영역에서는 시간관리, 목표설정, 비전 등의 영역이 가장 많이 향상되었다고 인식하였다. 또한 관계형성 영역 중 수강생들이 가장 향상되었다고 인식하는 내용은 의사소통, 경청, 대인관계, 코칭질문 등으로 나타났다. 리더십 역량과 관련해서는 문제해결과 영향력이 가장 많이 향상된 영역으로 나타났고, 협동능력에서는 팀플 역량이 가장 많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improved self - management leadership competence through ‘self - management leadership’. This study aims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self - management competency curriculum of universiti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students who took core competency classes at D university in Seoul. The study group consisted of 221 subjects in the experimental group,who took the contents and 204 participants in the control group,who did not take the content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higher improvement than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greater improvement. In addition, the goal management competence was the highest in terms of the improved competence recognized by students who took courses in self-management and leadership. An analysis of the perceptions about self-management leadership competence enhancement showed that among selfmanagement, goal management, relationship formation, leadership, collaboration, an goal management competence was improved the most. In the self - management domain, the highest improvement was observed in the areas of personality, self - reflection, self - confidence. In the goal management area, the areas of time management, goal setting, and vision were the most improved. Communication, listen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coaching questions showed the most perceived improvement among the relationship formation. In terms of leadership competency, problem solving and influence were the most improved areas, For collaboration competency, it was found that competency was the most improved at team play.

      • KCI등재

        대학생의 수업인식에 관한 주관성 연구

        심태은(Tae Eun Shim),이송이(Song Yi Lee) 한국산학기술학회 2020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1 No.3

        본 연구는 대학생들이 수업에 대한 인식을 유형화하여 보다 효과적인 수업방식을 도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Q 방법론을 활용하였으며, Q표본은 33개의 진술문으로 구성되었고, P표본은 교양수업을 듣는 40명의 학생으로 구성되었다. 연구결과 총 4가지의 유형이 도출되었으며 유형 1은 수업을 통하여 성장하려고 하는 욕구가 강한 ‘내실 있는 수업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유형’, 유형 2는 수업을 듣는 과정이 일을 할 때 실질적인 도움이 되기를 기대하는 ‘실무능력 향상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유형’, 유형 3은 수강인원수나 교수와의 소통, 실질적인 환경 등에 중점을 두는 ‘교육환경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유형’, 유형 4는 스스로 듣고 싶은 수업을 통하여 다양한 지적 역량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개인적인 역량 향상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유형’ 등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가 대학 수업의 질을 향상하고 다양한 대학생의 수업 요구를 충족할 수 있도록 돕는 기초자료가 되기를 바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monstrate the subjective structure of classes for college students. This study was conducted using the Q-methodology, and 33 various items were selected through a comprehensive review and revision process. Forty college students were selected for the P sample. The results showed four types of perception regarding college classes: Type 1 (Substantial Class-Focused Type) includes those who want to be a mature person through college classes; Type 2 (Practical Class-Focused Type) includes those who have an interest in college classes to develop their work skills; Type 3 (Educational Environment-Focused Type) includes those who feel class size, communication with teachers, and the educational system itself are important; and Type 4 (Personal Competence-Focused Type), which includes those who feel that the right to take classes in order to increase their competence without mandatory classes is very important.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types of individuals in terms of college class perception, as well as to provide reference materials to improve educational innovation for college students.

      • KCI등재

        인문사회·이공계열 대학 신입생의 교양교과과정 수강현황과 학업역량 및 진로적응능력에 관한 연구

        심태은(Shim Tae Eun),이송이(Lee Song Y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5 No.12

        본 연구는 대학 신입생의 전공 계열에 따른 교양교과과정수강 현황과 학업역량 및 진로적응능력을 차이를 비교분석하기 위하여 D대학 신입생 중 인문사회계열 학 생 193명과 ‘이공계열’학생 178명이 연구대상으로 선정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 인문사회계열 신입생의 경우 교양교과과정의 수강 과목 수가 다 양하지 않고 인문사회에 치우친 경향을 보였다. 이에 비해 이공계열 신입생이 수강 하는 교양교과과정을 살펴보면 인문사회 계열의 내용과 이공계열 내용을 비교적 균 형 있게 수강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학업역량과 관련하여 분석결과를 보면 이 공계열 학생들이 인문사회계열 학생들보다 ‘명확하고 효과적으로 쓰기’, ‘비판적이고 분석적인 사고하기’, ‘명확하고 효과적으로 말하기’, ‘정량적인 문제 분석하기’, ‘컴퓨 터 조작과 정보기술 활용하기’에서 높은 결과를 보였다. 인문사회계열 학생들과 이 공계열 학생들 간의 진로적응능력도 차이를 살펴본 결과 진로적응능력 중 자신감에 서 이공계열 학생들이 인문사회 계열 학생들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결과를 보여주었 다. 학업역량의 6가지의 각 항목 모두와 진로적응능력의 4가지 요인인 ‘관심’, ‘조절’, ‘호기심’, ‘자신감’은 서로 모두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enrollment, academic competence, and career adapt-abilities of incoming freshmens majoring i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compared to those majoring in science and engineering. The subjects were a total of 371 freshmen; 193 from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majors and 178 from science and engineering majors of D university. They were given surveys, and the data was analyzed using the variables. The results for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enrollment showed that the number of the enrollment was higher in science and engineering majors, than that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majors and the diversity of curriculum was found to be higher tha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majors. The analysis of academic competence showed that science and engineering majors had higher results in ‘writing clearly and effectively’, ‘thinking critically and analytically’, ‘analyzing quantitative problems’, and ‘using computing and information technology’, tha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majors. The analysis of career adapt-abilities showed science and engineering majors had higher confidence tha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majors. Finally, the results for the correlation between academic competence and career adapt-abilities showed that all of each question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correlation with concern, self control, curiosity, and confidence.

      • KCI등재

        유아교사와 어머니의 훈육유형 비교연구

        심태은 ( Tae Eun Sim ),김은심 ( Eun Shim Kim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5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6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와 대상 연령 어머니들의 훈육유형의 전반적인 경향성과 차이를 알아본 것이다. 연구 대상은 강원도에 거주하고 있는 만 5세 이하의 유아를 자녀로 둔 어머니 400명과 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사 200명이다. 연구 결과 유아교사와 어머니의 훈육유형은 관련변인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유아교사와 어머니의 훈육양상을 알 수 있었으며, 훈육에 대한 유아교육기관과 가정의 연계방안 모색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surveyed discipline styl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hose of mothers, and explored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n addition, this thesis explored the relationship among predictors as variables in gender and age of children, experience of teachers and types of early educational institutions in determining discipline styles of teachers. The search continued to explore relationship among predictors as variables in age of mothers, gender, age, and number of children in determining discipline styles of mothers. The survey was conducted to 400 mothers with children under 5 years old and 200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are teaching in Gangwon Province, Korea. SPSS 21.0 was used to analyze the survey data. The result showed that differences between discipline styles of teachers and those of mothers were significant by variables.

      • 다변수 자기동조 제어기의 설계다항식 조정

        조원철,심태은,Cho, Won-Chul,Shim, Tae-Eun 대한전자공학회 1999 電子工學會論文誌, S Vol.s36 No.11

        본 논문에서는 시스템의 차수가 고차이고 잡음과 시간지연이 있으며 파라미터가 변하는 비최소위상 시스템에 적응할 수 있는 다변수 일반화 자기동조 제어기의 설계 하중다항식 계수들을 온-라인으로 조정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다변수 일반화 최소분산 자기동조 제어기의 파라미터는 순환최소자승법으로 추정하고 설계 하중다항식 계수들의 값은 확률근사법인 Robbins-Monro알고리듬을 이용하여 자동 조절하였다. 제안한 다변수 자기동조 방법은 극제한방법보다 간단하고 효과적이다.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제안한 방법이 시스템의 파라미터가 변하고 시스템의 영점이 단위원 밖에 있는 고차 다변수 시스템에 잘 적응함을 보였다. This paper presents the method for the automatic tuning of a design weighting polynomial parameters of a generalized minimum-variance stochastic ultivariable self-tuning controller which adapts to changes in the higher order nonminimum phase system parameters with time delays and noises. The self-tuning effect is achieved through the recursive least square algorithm at the parameter estimation stage and also through the Robbins-Monro algorithm at the stage of optimizing the design weighting polynomial parameters of the controller. The proposed multivariable self-tuning method is simple and effective compared with pole restriction method. The computer simulation results are presented to adapt the higher order multivariable system with nonminimum phase and with changeable system paramet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