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성역할 태도와 우울

        송리라(Rira Song),이민아(Minah Lee) 한국인구학회 2012 한국인구학 Vol.35 No.3

        본 연구는 성역할 태도가 우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고 이러한 성역할 태도의 효과가 성별과 연령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지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에 거주하는 20~40대의 남녀를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분석방법으로는 다변량 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성역할 태도와 우울증 간의 유의한 관계를 보여주었다. 응답자가 전통적인 성역할 태도를 가질수록 우울이 증가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성역할 태도의 효과는 성별, 연령집단별로 다르게 나타났다. 먼저, 전통적인 성역할 태도는 여성보다 오히려 남성의 우울에 더 부정적인 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전통적인 성역할 태도는 남성의 우울을 높이는 스트레스 요인으로 작용하지만, 성역할 태도는 여성의 우울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성별, 연령집단 별 하위집단 비교분석을 실시해본 결과, 성역할 태도의 부정적 효과는 20대와 30대 남성에게만 나타났으며, 여성과 40대 남성에게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상식적인 예상과는 달리 한국에서 전통적인 성역할 태도가 청년층 남성의 정신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전통적인 성역할 태도와 2, 30대 남성의 우울증의 관계를 역할기대와 성역할 태도 간의 긴장과 관련하여 논의한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gender role attitude and depressive symptoms and analyze if and how gender role attitude has differential effects across gender and age groups. Respondents in 20s to 40s participated in the survey. The findings show that there i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gender role attitude and depressive symptoms. Respondents who have traditional gender role attitude are more likely to have depressive symptoms than others. The differential effects of gender role attitude across gender and age groups are also detected. Traditional gender role attitude has a deleterious effect on depressive symptoms for males, not for females. Moreover, subsample analyses by gender and age show that the deleterious effects of traditional gender role attitude are significant only for males in 20s and 30s whereas there is no significant effect of gender role attitude for males in 40s and all females. In conclusion, we discuss the findings in relation to role expectation and strains.

      • KCI등재

        대학생의 성역할 정체감, 성역할 태도가 진로자기효능감,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

        이상희,이은진 한국상담학회 2009 상담학연구 Vol.10 No.4

        Traditionally men and women had pursuit different careers. Recently women have entered male-dominated careers and vice-versa. The studies regarding non-traditional careers have been focused on gender related variables. This study investigated how gender role identity and gender role attitude variables relate to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ity variables. The sample of the present study consisted of 519 college students (235 males and 284 females). The participants completed questionnaires of gender role identity, gender role attitude,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ity variables. The results showed as follow.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on gender role attitudes. Specifically, male college students reported higher scores on masculinity than female college students whereas female students reported higher scores on gender-role attitude than male students. second, male students' masculinity variable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femininity variable whereas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gender role identity and gender role attitude variables. ln addition, male students reported higher scores on traditionalism than female students. Third, four gender role identity groups have different scores on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ity variables. Fourth, gender role identity and gender role attitude variables significantly contributed to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career attitude variables. In addit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on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career attitude variables. Fifth,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indicated decision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ity variables were varied by scores on gender role attitude variable. Finally, the results did not support the hypothesis that gender role attitude variable would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gender role identity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variables as well as the relationship between gender role identity and career maturity variables.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개인의 직업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성역할 정체감과 성역할 태도의 중요성을 제시하고, 진로자기효능감과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연구는 대학생 519명(남학생 235명, 여학생 284명)을 대상으로 하여 성역할 정체감 척도, 성역할 태도 척도,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척도, 진로태도성숙 척도를 사용하여 실시되었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성성과 성역할 태도에서 성차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성은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성역할 태도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남학생의 경우 남성성이 높은 것은 여성성이 높은 것과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성역할 정체감과 성역할 태도는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학생들의 성역할 태도는 여학생에 비해 유의미하게 전통, 보수적임이 확인되었다. 셋째, 남학생과 여학생 집단 모두에서 성역할 정체감에 따라 진로자기효능감과 진로태도성숙 수준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성역할 정체감과 성역할 태도는 진로자기효능감과 진로태도성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성차가 나타나고 있었다. 다섯 째, 성역할 태도에 따라 성역할 정체성 집단의 진로자기효능감과 진로태도성숙이 달라지는 것이 확인되었다. 여섯 째, 성역할 정체감과 진로자기효능감, 진로태도성숙의 관계에 대한 성역할 태도의 조절효과를 확인한 결과, 남학생 집단과 여학생 집단 모두에서 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능력주의와 성역할 태도의 사회적 균열: 능력주의 태도와 성역할 태도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우명숙,남은영 강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22 사회과학연구 Vol.61 No.2

        이 글은 능력주의 태도가 성역할 태도에 어떤 차이를 가져오는지를 탐구한다. 성역할 태도 연구들은 평등한 성역할이 성평등 성취에 핵심적인 것으로 보고, 주로 어느 집단이 더 평등한 성역할을 지지하는지, 또는 반대하는지를 보여줌으로써 성역할 태도의 사회적 균열을 드러내고자 했다. 이 글은 능력주의 태도가 성역할 태도의 새로운 균열을 드러내는지를 확인해 보고자 한다. 능력주의 태도는 ‘근로와 노력에 의한 성공’에 대한 동의 정도를 말하며, 성역할 태도는 공적영역에서의 성역할 태도로서 남성주도성에 대한 태도와 사적영역에서의 성역할 태도로서 여성정체성에 대한 태도로 구분한다. 남성주도성 성역할 태도는 남성리더십과 남성생계부양자 모델에 대한 태도를 말한다. 여성정체성 성역할 태도는 전통적 어머니 역할과 주부 역할에 대한 성역할 태도를 포함한다. 세계가치관조사 7차 조사(2017-2020)의 한국 자료를 분석한 연구 결과를 보면, 능력주의 태도는 남성주도성 성역할 태도에서 뚜렷한 차이를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난다. 반면 능력주의 태도는 여성정체성 성역할 태도와는 유의한 관계를 갖지않는 것으로 나타난다. ‘근로와 노력에 의한 성공’에 대한 지지는 전통적인 남성리더십과 남성생계부양자 모델에 대한 반대로 이어지지만, 전통적인 어머니 역할과 주부 역할에 대한 찬반과는 관계가 없다. 능력주의 태도는 공적 영역에서의 평등한 성역할을 강화하는 데 기여할 수 있지만, 사적영역에서의 평등한 성역할과는 무관하다. 능력주의 태도는 평등보다는 공정과 관련된 태도라고 할 때, 능력주의 태도에 동의하는 사람들은 기회의 평등을 보편적으로 확대하는 정책을 지지할 수 있을 것이다. 능력주의에 대한 강한 지지가 있는 사회에서는 공적영역의 성역할에서의 평등성을 강화하는 데 있어 보편적 기회의 확대가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한국 기혼 부부의 가사분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부부의 성역할태도를 중심으로 -

        임은정,홍백의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19 사회복지정책 Vol.46 No.4

        Unequal house-sharing has been both a cause and a consequence of the “great revolution” of gender-equal role-sharing, so many attempts have been made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influence housework sharing. However, existing studies focused only on factors related to the individual's economic ability, and there was a lack of research on the effects of the individual's values or attitudes. So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gender role attitude' on the share of household chores of Korean married coupl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husband's gender role attitud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husband's own and his wife's participation in housework. Husbands with a traditional gender role attitude showed less participation in their own households and a higher proportion of their wives. On the other hand, the wife's sex role attitude had no direct effect on husband and wife's participation in housework, but it was found to have an interactive effect with husband's sex role attitude. If the husband had a traditional gender role attitude, the wife's sex role attitude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his or her participation in the household, whereas a wife married to a husband with a non-traditional gender role attitude was found to have a different degree of participation in household chores depending on her gender role attitude.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policy efforts should be made to ensure that individuals have an equal gender role attitude. As a policy effort, it was suggested that service-oriented work-life balance policies, high quality child care services and parental leave should be provided, and that policies should be introduced for the purpose of raising the level of gender equality in the country. 불평등한 부부간 가사분담은 성 평등한 역할분담이라는 ‘거대한 혁명’을 어렵게 하는 원인이자 결과이기 때문에, 가사분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려는 많은 시도가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기존 연구들은 개인의 경제적 능력과 관련한 요인에만 초점을 두었고, 개인의 가치관 측면의 영향을 살펴본 연구가 부족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 기혼 부부의 가사 분담에 개인의 가치관인 ‘성역할태도’가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즉, 개인의 성역할태도가 본인의 가사노동시간과 비중에 영향을 미치는지, 부부의 성역할태도가 서로 상호작용 효과가 있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남편의 성역할태도는 남편 본인과 아내의 가사 참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통적 성역할태도를 가진 남편일수록 본인 가사 참여가 적고, 아내의 가사 비중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아내의 성역할태도는 남편과 아내의 가사 참여에 직접적인 효과는 없었으나, 남편의 성역할 태도와 상호작용 효과가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남편이 전통적 성역할태도를 가진 경우는 아내의 성역할태도는 본인의 가사참여 정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한 반면, 비전통적 성역할태도를 가진 남편과 결혼한 아내는 본인 성역할태도에 따라 가사에 참여 정도가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개인의 성역할태도가 배우자와의 평등한 가사 분담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서로 상호작용 하는 것을 밝힘으로써 개인들의 평등한 성역할 태도를 제고할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서비스 중심의 일-생활 양립 정책, 수준 높은 보육과 육아휴직 제공, ‘국가의 성평등 수준 제고’ 자체를 목적으로 한 여러 정책들이 실현되어야 함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자녀가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 및 성역할 유형과 자녀의 성역할 유형에 따른 진로타협과정에서의 선호도 차이 연구

        김경하(Kim, Kyung-Ha) 연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2 미래교육학연구 Vol.25 No.1

        본 연구는 부모의 양육태도와 성역할 유형에 따른 자녀의 진로타협과정에서의 선호도 차이를 살펴보고, 그 결과를 통해 진로지도가 필요한 청소년들과 부모들에게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녀의 성역할 유형에 따른 진로타협과정에서의 선호도를 분석한 결과, 아버지의 양육태도에 따른 진로타협과정에서의 선호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자녀의 성역할 특성과의 상호작용 효과는 없었다. 그러나 어머니의 양육태도에 따른 진로타협과정에서 선호도는 유의한 경향성을 나타내었다. 둘째, 부모의 성역할 유형과 자녀의 성역할 유형에 따른 진로타협과정에서의 선호도 차이에서는 부모의 성역할에 따른 효과는 없었으나, 자녀의 성역할 유형에 따른 효과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녀의 성역할 유형에 따른 진로타협과정에서의 선호도 차이는 남성성 그룹, 여성성 그룹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남성성이 높은 경우 사회적 명성, 흥미, 성특성 순으로, 여성성이 높은 경우 흥미, 사회적 명성, 성특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진로타협과정에서의 선호도에서 부모의 양육태도에 따른 큰 차이는 없다. 다만 어머니의 자율지향적 양육태도는 자녀가 흥미 있는 직업을 선택하는데 영향을 준다고 알 수 있다. 부모의 성역할 유형에 따른 진로타협과정에서의 선호도 차이는 없다. 성역할 유형에 있어서 부모보다 자녀 자신의 성역할 유형이 먼저 고려된다. 즉,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자녀의 성역할 유형은 자녀의 진로선택에 영향을 미친다고 결론 내릴 수 있다. 이 연구 결과는 부모 변인에 있어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고등학생 자녀의 진로타협과정에 일부분 영향을 미침을 보여주고, 성역할 유형에 있어서는, 부모보다 자녀의 성역할 유형이 진로타협과정에서의 선호도에 영향을 준다는 점을 밝혔다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the career compromise preference focused on parent's rearing attitude perceived by adolescents and parents' sex-role differences, children's sex-role differences. Participants were 446 high school students in Gyong-gi Nanyangju and were questioned about their perceived parents' rearing attitudes, parent's sex-role differences and their sex-role differences and interests, sex types of occupation and social prestige which enabled to measure the compromise preference. As a results, participants preferred social prestige and interest than sex types of occupation,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mother's rearing attitude and children's sex-role differences. When controlled-goal oriented mothers group had a preferred in social prestige, sex type of occupation and interests in order, automous-non goal oriented mothers group had a preferred in interests, social prestige and sex type of occupation. When masculine children group had a preferred in social prestige, interests and sex type of occupation in order, feminine children group had a preferred in interests, social prestige and sex type of occupation respectively. This results imply there were mother' rearing attitude and children's sex-role differences on the finial considering factor of making a career decision to ensure the vocational self-concept.

      • KCI등재

        청소년들의 성역할 태도에 미치는 통제요인들의 변이에 관한 연구

        김정규(Kim Jeong-Gyu)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0 한국청소년연구 Vol.21 No.2

        본 연구는 1,039명의 청소년들에 대한 설문을 바탕으로 청소년들의 성역할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고 각 요인들이 성별에 따라 어떻게 변이하는지 분석을 시도하기 위한 것이다. 분석집단을 전체집단과 남자청소년, 그리고 여자청소년으로 나누어 비교 분석하였다. 전체집단에서 여자 청소년들은 남자청소년들보다 성평등 의식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의 차이는 성역할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남녀 청소년들을 비교한 결과, 첫째, 가부장가족구조에서 성장한 남녀 청소년들일수록 모두 보수적인 성역할 태도를 지니고 있었다. 둘째, 어머니의 직업이 있는 남자청소년들의 경우 성평등 의식이 높은 반면, 여자청소년들에게는 그 영향이 없었다. 셋째, 여자청소년들의 경우 아버지와의 애착이 높을수록 보수적인 성역할 태도를 지니고 있었다. 넷째, 종교성은 여자청소년들의 성역할 태도에만 영향을 미쳐서 종교성이 높을수록 보수적 성역할 태도를 보여주었다. 다섯째, 성취동기와 학업성취수준이 높은 여자청소년일수록 평등한 성역할 태도를 지닌 반면, 남자청소년들에게는 통계적인 유의미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여섯째, 자아존중감과 폭력성향이 높은 남자청소년들은 가부장적 성역할 태도를 지니는 경향이 높았지만, 여자청소년들에게서는 통계적 유의미성이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청소년들의 성역할 태도에 미치는 여러 변인들의 영향력이 성별에 따라 변이한다는 것을 뒷받침하는 것이다. Using questionnaire data from a sample of 1,139 adolescents, this study examines the various effects on adolescents’ genderrole attitudes. Beyond a simple bivariate relationship, this study analyzes whether the effects of a patriarchal family, mother's employment, parental attachments, religiosity, motives for achievement, GPA, self respect, and violence vary according to adolescent gender. The results indicated that female adolescents are more likely to have egalitarian genderrole attitudes than male adolescents. The strongest effect on genderrole attitudes is the adolescent's gender difference in the total group. Adolescents who are raised in patriarchal families are more likely to have egalitarian genderrole attitudes. Male adolescents whose mothers have jobs outside the home are less likely to have traditional gender role attitudes, but the effect of the mother's employmentis not found in female adolescents. Only female adolescents who have strong relationships with their fathers tend to have traditional gender role attitudes. Higher religiosity increases traditional gender role attitudes for only female adolescents. Female adolescents who have higher motives for achievement and higher GPAs have much more egalitarian attitudes regarding genderrole, but there are no significant effects for male adolescents. Male adolescents who have higher levels of selfrespect and violent characteristics tend to have lower egalitarian genderattitudes. The implication is that gender difference forms a differential structure of constraints that shapes adolescent gender role attitudes.

      • KCI등재

        성역할 태도와 가사분담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 일본, 대만, 중국 기혼남녀를 중심으로

        송유진 한국아시아학회 2022 아시아연구 Vol.25 No.1

        This paper examined the effect of gender role ideology and division of housework on marital satisfaction in East Asian Societies. Using EASS 2016 data, it focused on married respondents aged between 25 and 54. Overall, marital satisfaction was fair but marital satisfaction of China and Taiwan was higher than that of Japan and Korea. Both subjective health status of respondents and spouses, and subjective evaluation of class were consistently important for marital satisfaction across 4 societies. Regarding the effect of gender role ideology and division of housework, no independent effects and an interaction effect were observed in China. In contrast, the negative effects of gender role ideology and division of housework on marital satisfaction were significant as well as an interaction effect of these two variables in Japan. That is, Japanese who have egalitarian gender role ideology are less satisfied with their marriage than their counterparts, and their division of housework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marital satisfaction. Also, the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f gender role ideology was found in Japan on the links between division of housework and marital satisfaction. Both in Taiwan and Korea, no independent effects of gender role ideology and division of housework were found. Rather, an interaction effect was significant. These differences were attributed to social contexts in which each society was located, such as to what extent female labor force participation was socially accepted and valued, how much traditional gender role ideology was maintained, and other gender related circumstances. In China, because dual-earner couples were relatively prevalent and women’s work was highly valued compared to others, gender related factors were not associated with marital satisfaction. However, in Japan where women’s part time employment rate is higher than in other countries reflecting traditional gender role ideology, both gender role ideology and division of housework are significantly related with marital satisfaction. Both Korea and Taiwan seem to be in transition showing mixed results. 이 연구는 2016년 동아시아 사회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한국, 일본, 대만, 중국의 기혼남녀를 대상으로 결혼만족도를 비교하였다. 특히 성역할 태도와 가사분담이라는 젠더 관련 요인들의 효과에 초점을 맞추었다. 전반적으로 결혼만족도는 양호한 편이지만 중국과 대만이 높고 한국과 일본은 상대적으로 낮다. 다른 변수들을 통제한 상태에서 응답자 본인과 배우자의 건강상태 및 주관적 계층의식이 높을수록 결혼만족도가 높다는 것은 4개국 모두에서 일관적으로 관찰된다. 성역할 태도와 가사분담율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중국에서는 성역할 태도와 가사분담율의 독립적인 효과는 물론 상호작용 효과도 전혀 관찰되지 않는다. 반면, 일본에서는 성역할 태도와 가사분담율의 독립적인 효과는 물론 상호작용 효과가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성역할 태도가 평등적일수록, 그리고 응답자의 가사분담율이 높을수록 결혼만족도는 낮아지며 가사분담율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는 성역할 태도에 따라 달라진다. 한국과 대만에서는 성역할 태도와 가사분담의 상호작용 효과만 관찰된다. 중국은 맞벌이 부부가 많고 상대적으로 전통적인 성역할 분업이 약화되었기 때문에 젠더 관련 요인이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일본은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 중 파트타임 비중이 높고 사회적으로 여전히 전통적 성역할 분업을 지지하는 경향이 있어서 성역할 태도와 가사분담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한국과 대만은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이 높아지면서 전통적인 성역할 분업을 약화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적 노력들을 하고 있지만 아직 과도기 상태에 있는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수학 영재의 성역할 정체감이 진로태도 성숙에 미치는 영향

        이미순,정자영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1 교육과정평가연구 Vol.14 No.1

        본 연구는 영재의 성역할 정체감이 진로태도 성숙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영재교육원과 영재학급에 재원 중인 중등 수학 영재와 중등 일반 학생을 대상으로 한국판 성역할 검사도구(정진경, 1990)와 진로태도 성숙척도(김재호, 2006)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남성성 요인과 여성성 요인의 중앙치를 준거로 성역할 정체감 유형을 양성성, 남성성, 여성성 및 미분화 유형으로 구분 하였을 때, 일반 학생의 경우 미분화 성역할 정체감 유형, 영재의 경우 양성성 성역할 정체감 유형이 가장 많았다. 또한 영재성과 성역할 정체감 유형에 따른 진로태도 성숙의 차이를 살펴보았을 때, 다음과 같은 결과가 도출되었다. 일반 학생의 경우, 성역할 정체감 유형에 따른 각 진로태도 성숙의 하위요인(확신성, 준비성, 목적성, 독립성, 결정성)의 차이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고, 그 패턴도 유사하였다. 반면에 영재는 일반 학생에 비해 진로태도 성숙 정도가 높았으며, 성역할 정체감 유형에 따라 진로태도 성숙 정도가 다르게 나타났다. 양성성의 성역할 정체감을 보이는 영재가 다른 성역할 정체감을 보이는 영재보다 진로태도 하위 요인에서 성숙 정도가 높았다. 남성성의 성역할 정체감을 보이는 영재는 진로 확신성을 제외하고는 여성성의 성역할 정체감을 보이는 영재보다 진로 준비성과 진로 독립성 요인에서 성숙 정도가 낮았다. 이에 본 연구는 연구 대상의 특징과 반응을 근거로 연구 결과를 분석하고 향후 진로지도 및 상담을 계획할 때 고려해야 하는 사항과 방향을 제안하였다. The present study conducted the Korean Sex Role Inventory(Jung, 1990) and the Maturity Scale of Career Attitudes(Kim, 2006) on mathematically gifted and non-gifted middle students to explore the effects of gender role identity on the mature degree of career attitudes. Results indicated that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showed the higher masculinity and feminity scores of gender role identity than non-gifted students. On classifying gender role identity into 4 types(androgyny, masculinity, femininity, and undifferentiated), non-gifted students showed more undifferentiated type than other types but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showed more androgyny type than other types. In term of the differences in the mature degree of career attitudes by giftedness and gender role identity type, there were no signigicant differences in the mature degree(and pattern) of career attitudes by gender role identity types of non-gifted students. However, there were signigicant differences in the mature degree(and pattern) of career attitudes by gender role identity types of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That is,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showing androgyny and femininity gender role identity had higher the maturity of career attitudes. For these significant results, this study analyzed the possibile reasons, which based on student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responses and suggested the implications(or directions) in planning for career counseling and curriculum development.

      • KCI등재

        1997년부터 2007년까지 공군 여성 장교들의 성역할 태도 변화: 사관학교 성통합 첫해에 입학한 기수를 중심으로

        김광은 한국여성심리학회 2007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Vol.12 No.3

        이 연구는 공군 여성 장교의 성역할 태도 변화를 10년에 걸쳐 알아본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공군 여성 장교 18명으로 이들은 사관학교에서 처음으로 성통합교육이 실시된 1997년에 입학하였다. 성역할 태도는 전통적인 성역할 정체감, 관리자 여성에 대한 태도, 군 조직 여성에 대한 태도 면에서 측정되었고, 이를 위한 조사는 1997년, 1999년, 2001년, 2007년에 걸쳐 이루어졌다. 본 연구에는 두 개의 통제 집단이 참여하였다. 종단적 분석을 위해 40명의 남성 장교가 참여하였는데 이들은 여군 장교와 동일한 시기에 입학하였다. 횡단적 비교를 위해서는 현재 공사에 재학 중인 204명의 생도가 참여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군 여성 장교와 남성 장교 모두 생도 시절보다 성역할에 대한 진보적 경향이 증가했다. 둘째, 성역할에 대한 공군 여성 장교의 진보적 수준은 1999년에 감소했다가 2007년에는 이들이 입교한 1997년의 수준으로 증가 하였다. 셋째, 유의미한 수준은 아니지만 조종 여성 장교가 조종 남성 장교나 비 조종 남성과 여성 장교보다 성역할에 대해 진보적인 경향을 보였다. 넷째, 공군 장교와 생도 간에는 성역할 태도 면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다섯째, 성역할에 대한 성별간의 태도 차이는 10년 동안의 측정에서 일관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성통합교육의 성과 및 군내 내 양성평등과 관련된 이슈와 여성 리더의 육성 방안과 관련된 측면에서 논의되었다.

      • KCI등재

        여성노인의 성역할 태도와 우울의 관계 :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박경순(Kyungsoon Park),박영란(Yeong-Ran Park)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18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Vol.57 No.-

        본 연구의 목적은 여성노인의 성역할 태도가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한편, 성역할 태도가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사회적 지지가 조절하는지를 확인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한국 여성의 생애주기별 건강인식조사 및 이슈 발굴 연구(K-Stori)」의 자료를 2차 분석하였다. K-Stori 연구는 5개의 여성 생애주기별로 각 3,000명씩 15,000명을 대상으로 전국구 설문을 시행하였으며, 본 연구의 분석대상은 이중 65세~79세의 노년기 여성이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첫째, 여성 노인의 성역할 태도의 평균은 2.6점으로 중간보다 약간 높은 수준에서 전통적인 성역할 태도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성노인의 성역할 태도는 우울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는데, 성역할 태도가 전통적일수록 우울감은 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이유는 자신과의 갈등, 부부 갈등, 세대 갈등 때문인 것으로 추론하였다. 셋째, 사회적 지지는 여성노인의 성역할 태도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력을 완충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사회적 지지는 직접적으로 우울을 감소시키는 주효과를 갖는 것과 더불어 성역할 태도와의 상호작용을 통해서 간접적으로도 우울을 감소시키는 조절효과를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노년기 여성들의 우울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우울을 감소시킬 수 있는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lderly women s gender-role attitude and the effects of gender-role attitude on the depressive symptoms, especially focused on testing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Data from 「Korean Study Of Women’s Health Related Issues; K-Stori」 was used for analyzing 3,000 elderly women from 65 to 79 years ol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elderly women’s gender-role attitude score was 2.6 point. It meant elderly women had traditional gender-role attitude a little above the average score. Furthermore gender-role attitude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elderly women’s depressive symptoms. Elderly women who had more traditional gender-role attitude had the higher level of depressive symptoms than their counterparts. The result of Hierarchial Binary Logistic Regression indicated that interaction effect between gender-role attitude and social support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depressive symptoms. When gender-role attitude effects on depressive symptoms, social support buffers elderly women’s depressive symptoms from the bad effects. Implication for paying more attention to the elderly women s depressive symptoms and the programs for reducing depressive symptoms were sugges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