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평생학습자 관점에서 본 교사교육 제고

        김정미 연세대학교 교육연구소 2001 연세 교육연구 Vol.14 No.1

        교직의 전문성을 확보하기 위해 그동안 이루어져 왔던 대부분의 연구는 교사전문성 개발을 주된 요인으로 탐구하여 왔다. 행동주의적 접근에서 교사는 양성교육과정에서 배웠던 지식을 효율적으로 잘 전달하는 전문가로 가정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관점은 오늘날 지식기반의 사회에서는 더 이상 충분하지 못한 것으로 보여진다. 본 연구는 학교교육의 질과 학생의 학업성취를 향상시키는데 기여하는 교사교육 체제를 평생학습자 관점에서 확립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문제를 탐구하여 보았다. 첫째, 현행 교사교육의 문제점을 현직교사들과의 면담을 통하여 그들의 경험을 학교현장과의 연계성 여부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둘째, 본 연구는 평생학습자 관점에서 교사 전문성 개발에 관한 논의들과 교사연구의 중요성을 검토하였다. 셋째, 교사교육의 연구동향을 검토하고, 평생학습자 관점에서 적용 가능한 교사교육의 모형으로 특히 인지주의적 접근에서 본 교사교육의 유형을 탐색하였다. 교사 전문성 개발의 수준이 높아지면 질수록, 복잡한 학교현장에서 교사들은 더욱더 그들의 능력을 잘 발휘하게 되므로 성인 인지발달의 연구결과를 평생학습자 관점에서 교사교육에 적용하고자 하였다. 교사전문성 개발은 어느 일방적 측면에서만 이루어질 수 없는 것이고, 지식기반 사회에서는 평생학습자로서 교사의 역할이 요구되고 있기 때문이다.

      • 朝鮮總督府 朝鮮敎育會 『兒童文庫』 發行過程 : 兒童圖書를 中心으로 살펴본 日本敎育史의 흐름과 朝鮮敎育

        大竹聖美 연세대학교 교육연구소 2001 연세 교육연구 Vol.14 No.1

        1928年5月∼1930年11月에 걸쳐 朝鮮總督府下의 敎織員組織인 「朝鮮敎育會」가 「普通學校 兒童文庫」를 全35卷 發行했다. 이것은 普通學校에서 國語敎育의 敎科書敎材를 보충하기 위한 補充敎材 즉 「課外讀本」에 해당하는 것이지만, 嚴密하게 定義하면 敎科書가 아닌 <兒童圖書>이며, 制度敎育外의 敎育文化 領域에 있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 시도한 것은 制度敎育外, 혹은 그 周邊에 同時에 存在하는 교육文化의 歷史的 硏究이다. 筆者의 關心領域인 舊日本帝國의 植民地下에서의 朝鮮敎育問化史의 一部로서, 朝鮮敎育會「普通學校 兒童文庫」發行過程에 대해서 考察했다. 그것을 위해서 우선 本國 日本의 敎育文化史·兒童文化史의 흐름을 確認할 必要가 있었다. 日本에서 <兒童圖書>의 敎育으로서 導入過程으로서는, 독일의 影響을 받았던 19世紀末의 <國家主義的 國民敎育을 위한 敎訓童話>로부터 시작하여 다음 段階로서 1910年代 後半의 兒童中心主義 敎育思潮의 流行에 의한 <藝術的 兒童文藝>가 있다. 그리고 이러한 집대성으로 『日本兒童文庫』 『小學生全集』이 1927年에 發行되어 日本全國에 普及되었다. 1928年의 朝鮮敎育會 「普通學校 兒童文庫」發行은 日本本土의 敎育文化·兒童文化史의 흐름이 이어졌다.

      • 시장논리에 의한 대학교육 개혁의 가능성과 한계

        이명균 연세대학교 교육연구소 2004 연세 교육연구 Vol.17 No.1

        이 논문은 지식기반사회에 있어서 신자유주의 논리에 의한 대학교육 개혁의 가능성과 한계를 규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신자유주의 논리와 지식기반사회에서의 대학교육 변화의 특징을 검토하였으며, 주요 외국과 국내의 대학교육 개혁 동향을 검토함으로써 시장논리의 대학교육 운영에의 적용 실제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로서 시장논리에 의한 대학교육 개혁의 가능성으로는, 수요자 중심 교육의 활성화, 대학 및 교수 평가를 통한 경쟁과 정보의 제공, 대학교육의 다양성 추구, 대학교육 서비스의 특성화 도모를, 그 한계로는, 교육의 공공성 저하, 교육기회의 불균형 초래, 대학교육의 양적 비대화와 질적 약화, 대학운영에 대한 공동 노력의 저해, 교수의 자율권 위축 등으로 요약할 수 있다. 이 논문은 지식기반사회에 있어서 시장논리에 의한 대학교육개혁의 방향과 그 정책적 과제를 가늠하고 향후 이에 관한 분석과 논의의 기초를 제공하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possibilities and the limitations of higher education reform by the Neo-liberalism logic in knowledge based society. In this study, it was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higher education reform through the market approaches as the main logic of the Neo-liberalism and researches on knowledge based society. This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ossibilities of higher education reform by the logic of market approach could define that the recovery of demander based education, the improvement of competitiveness by evaluations, and the enlargement of educational diversity and special qualities of higher education. Second, the limitations of higher education reform by the logic of market approach could define that the depreciation of educational pubicity, the unbalance of educational opportunities, the lowering qualities and partnership of higher education, and the hindering autonomy of faculties. The significance and implication of this study are that the enlargement analyses and arguments on the higher education reform by the market approaches.

      • 미디어와 교육 패러다임의 관계 고찰

        김은정 연세대학교 교육연구소 2001 연세 교육연구 Vol.14 No.1

        이 연구에서는 미디어와 사회 전반적 패러다임 간에 어떤 관계가 있으며, 이는 교육패러다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 목적을 위해 먼저 시대별 미디어의 변화와 사회전반적 패러다임의 관계를 살펴보고, 인쇄미디어에서 하이퍼미디어로의 전환이 교육 패러다임에서 어떤 변화를 가져왔는지 자세히 고찰하였다.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미디어는 인간의 감각, 사고방식, 의사소통방식을 바꿈으로써, 사회전반적 패러다임에 영향을 끼친다. 즉 인쇄미디어는 사고의 정형성, 선형성을 통해 저자 중심의 사고와 일방성 및 영역독립성을 조장한다. 반면 웹미디어는 사고의 탈정형성, 탈선형성을 통해 사회전반적 패러다임에서 상호작용성, 영역교차성, 다학문성을 조장한다. 둘째, 미디어의 특성은 교육패러다임의 변화에 영향을 미친다. 인쇄미디어가 가지는 정형성과 선형성은 수업, 교육내용, 교육방법을 선형화함으로써 객관주의 교육 패러다임을 일반화시킨 반면, 하이퍼미디어의 연상의 해방, 탈선형성은 수업과 교육내용, 교육방법에서 탈선형성을 조장함으로써 구성주의 교육 패러다임을 일반화시키고 있다. 셋째, 인쇄미디어의 일방적 전달성은 교수자 중심 교육 및 단일학문 교육과정으로 표면화되었으며, 웹의 상호작용성은 학습자 중심 교육 및 간학문적 교육과정으로의 이행을 촉진하였다. 넷째, 인쇄미디어의 단일감각성은 교육에서도 교수자 집중성으로 나타났지만, 웹의 다감각성은 학습자·사회의 요구, 교육과정, 교육방법, 교육평가의 다양화를 촉발하였다.

      • 노자의 「도덕경」이 교육자에게 주는 의미 : 전통적인「도덕경」해석에 대한 새로운 고찰을 중심으로

        유성애 연세대학교 교육연구소 2003 연세 교육연구 Vol.16 No.1

        본 연구는 고대 중국의 위대한 철학가이자 사상가인 노자와 그의 저술이 교육자에게 주는 의미를 고찰한 연구이다. 노자는 기원전 6세기 경에 중국이 배출한 위대한 사상가이자 철학가이다. 그러나 이 위대한 인물과 그의 저서에 대한 기록은 극히 제한되어 있고, 그 기록마저도 모호한 면이 많아 역대로 수많은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북위(北魏, 386~534년)의 최호(崔浩)로부터 시작된 이 논쟁은 수십 세기 동안 이어졌고 지금도 지속되고 있는데 그 중에서도 가장 많은 논쟁을 불러일으킨 주제가 바로 노자는 어느 나라 사람이고, 어느 시대 사람인가? 「도덕경」의 저자는 누구이고, 그 저술 시기는 언제인가 이다. 노자와 그의 저서에 대한 논쟁과 함께 「도덕경」에 대한 해석도 수십 세기 동안 많은 연구자들의 쟁점이 되어왔다. 「도덕경」은 그 내용이 매우 함축되어 있고 사용된 문자도 수십 세기 전에 사용했던 고대 문자이기 때문에 역대로 가장 난해한 고서로 손꼽혀왔다. 때문에 「도덕경」에 대한 해석이 수십 세기 동안 진행되어져 왔지만 완벽한 해석서나 주석서는 아직까지 찾아보기 힘들고, 연구자에 따라 그 해석도 다양하다. 그러나 노자의 대표적인 사상으로 여겨지는 몇몇 부분에 대한 해석은 대부분 일맥상통한데 그 이유는 노자의 기본 사상에 대한 틀이 학계에 은연중에 이미 확립되어져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런 전통적인 해석들이 반드시 정답은 아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런 전통적인 해석에 의문을 품고 새로운 해석을 시도해 본 곽세명(郭世銘)의 「노자는 도대체 무엇을 말하는가」를 중심으로 전통적인 해석의 문제점들을 살펴보고 새로운 해석을 시도해보았다. 본 연구는 크게 두 부분으로 나뉘어 진행되었다. 첫째 부분에서는 노자와 「도덕경」에 관한 기본 상식들을 간단히 소개하였고, 두 번째 부분에서는 전통적인 「도덕경」해석에 대한 새로운 고찰과 함께 노자의 사랑이 교육자에게 주는 의미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도덕경」전체에 대한 해석과 연구를 시도해보고 싶었지만 지면의 한계로 전통적으로 전해져 내려온 몇 가지 주제, 즉 도는 말할 수 없는 것인가(제1장), 노자는 정말 우민 정책을 옹호하는가(제3장), 노자는 학습을 반대하는가(제48장), 「도덕경」은 권모 술수에 관한 저서인가(제36장, 제66장) 등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이 네 가지 주제를 중심으로 전통적인 해석의 문제점이 무엇인지 살펴보고, 저자의 의도를 좀 더 적절하게 드러낼 수 있는 새로운 해석을 시도해보았다. 그리고 이 새로운 해석의 기초 위에서 노자의 사상이 교육자에게 주는 의미를 살펴보았다. 「도덕경」에 대한 이런 새로운 해석이 교육자에게 주는 의미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자는 먼저 솔선수범 하여 질서가 잡힌 조화로운 모습을 보여주어야 한다. 교육자가 먼저 교육 현장에서 질서가 잡힌 모습을 보여주면 교육 현장에도 질서가 잡힐 것이고 더 나아가 학생들도 그런 조화로운 환경 속에서 함께 질서를 잡아갈 것이다. 둘째, 교육자는 개인의 욕심을 버려야 한다. 지나친 교육 열의나 개인의 명예욕 등으로 나타나는 교육자의 욕심은 학생들의 자연스러운 변화와 발전을 저해하고, 특히 교육 목표를 세울 때 너무 과도하거나 비현실적인 목표를 세우게 한다. 셋째, 교육자는 무위를 통해 교육이 조화를 이루도록 해야 한다. 교육자가 학생들의 자아 발전에 자꾸 개입하거나 간섭하게 되면 학생들이 스스로 질서를 잡아가기 힘들어지고, 자연스러운 변화와 발전을 이루기도 힘들어진다. 넷째, 교육 현장에서의 모델링은 학생으로 하여금 교육자의 구체적인 행동을 그대로 따라하게 하는 것이 아니라 교육자의 무위와 자연의 태도, 즉 도에 따라 행하는 모습을 통해 무위와 자연의 원리를 체득하도록 해주어야 한다. 다섯째, 교육자는 양면성의 관점에서 학생들을 바라봄으로서 그들에게 어떤 문제가 생겼을 때 그런 문제로 학생들을 비난하지 말고 문제가 생기기 전의 모습을 바라보면서 그런 모습에서 학생들의 회복 가능성을 보아야 한다. 그리고 양 극단으로 치우치지 않고 중도를 유지하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여섯째, 교육자는 학생들을 조종하거나 지배해서는 안 된다. 오히려 스스로 낮아지고 스스로 학생들의 뒤에 물러섬으로서 학생들로 하여금 편안함을 느끼게 하고, 교육자의 간섭 없이 스스로 변화와 발전을 가져오도록 해야 한다. This study is focusing on the fact that the great Chinese philosopher and scholar, Lao Tzu and his theory have a educational significance, which educator should consider. The great philosopher and scholar, Lao Tzu was born in China around 600 B.C. However, extremely limited and even vague record on his life and writing has triggered heated dispute for ages. The dispute which was ignited by Choi Ho(崔浩) from the North Wi(北魏)(386~534) has continued for many centuries, and the most disputable questions are: where did Lao Tze come from?: What era did he live in?: Who wrote Tao-Te Ching and When? Not only Lao Tzu's life and Tao-Te Ching but the interpretation on his work has been a point of issue among scholars. Being implicative and written in ancient characters used many centuries ago, Tao-Te Ching has been considered one of the most difficult ancient books to understand. As a result, though the ancient book of wisdom has been studied for many centuries, there has been no complete commentary or translations and no consensus on the interpretations among scholars. Fortunately, the basic of Lao Tzu's theory has been spontaneously recognized in the academic world, and there is a thread of connections among some interpretations of the old master's main ideas. However, we cannot say all these traditionally accepted interpretations are right. Based on 「What on earth was Lao Tzu trying to say?」by Se-myeong, Gwak(郭世銘), who questioned these traditional interpretations and tried to set up new one, this study points out problems of the existing explanation and suggests a novelty. This study consists of two parts. In the first part, basic informations on Lao Tzu's life and his great work, Tao-Te Ching are introduced. In the second part, the traditional interpretation of the old sayings in reconsidered and the importance of the old master's theory which educators should be aware of is stressed. For want of the space of this writing, the Tao-Te Ching could not be studied as a whole. Instead, this study is paying special attention to some topics which has been argued for a long time: Is there a Tao which language cannot describe? (chapter 1): Does Lao Tzu really support an obscurantist policy? (chapter 3): Is Lao Tzu against learning? (chapter 48): Is the Tao-Te Ching a book about trickery? (chapter 36, 66) Focusing on these four questions, this study reveals the problems of the traditional interpretation on the ancient Chinese text and suggests new explanation considering the master's true intention. Based on the new translation, this study also explains what the old text means to educators, which as follows: First, Educators should set the pace with harmony and order. Educators' stability will make the education environment orderly, and students will be stable in the balanced environment. Second, Educators should control their own desire. Their undue enthusiasm on education and excessive greed for honor will not only hamper students' change and development but interfere with setting up reasonable and realistic educational goal. Third, Educators should make the education balanced by non-doing(Wu-Wei). Educators' frequent intervention in students' personal development will result in weakening students' will to establish order and to develop and change themselves. Fourth, the modeling in the educational field should teach students not just to follow educators' behavior but to learn educators' non-doing and natural behavior or to learn the principle of non-doing and nature by behaving based on Tao. Fifth, Educators should have both-sided point of view on students. When students have a problem, educators shouldn't blame them for that. Instead, they should see the students' potential of recovery, thinking of their honest behavior in the previous time. They should try to be moderate avoiding to be extreme. Sixth, Educators should not govern or control students. They should lower themselves and stand behind their students to make them feel easy and reach personal development and change.

      • 교육개방에 대한 여론 조사

        연세대학교 『교육학 연구』 편집위원회 연세대학교 교육연구소 1994 연세 교육학연구 Vol.- No.8

        이상에서 나타난 주요 결과들과 그 시사점은 다음과 같이 정리될수 있다. 첫째, 조사결과 교육개방에 대해 대부분이 인지하고 있었으나,상세히 알고 있는 경우는 드물어 교육개방에 대한 구체적인 홍보가 필요함을 보여주었다. 또 교욱개방 자체에 대해서는 대부분 찬성하나 점진적 개방을 주장하는 이가 많았다. 특히 대학생은 조사문항 전반에서 다른 집단에 비해 교육개방에 신중한 반응을 보인 반면 직장인은 전반적으로 교육개방에 적극적인 자세를 보였다. 이는 대학생이 교육개방을 강대국 중심의 세계경제실서 재편에 의한 수동적 선택으로 인식하고 있다는 점과 교육개방에 따른 대학의 위기감을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반면 직장인은 국제화 추세를 현장에서 확인하면서 개방의 필요성과 그 영향을 경험한 결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러한 두 집단간의 차이는 교육개방에 대한 명분과 실제의 차이(?)를 반영한 것으로 교육개방의 논의에 있어 시사하는 바가 크다.

      • 19세기 말/20세기초 프랑스의 신교육운동 : 에콜 데 로슈에서 프레네 교육까지 de l´E´cole des Roches a`la pe´dagogie Freinet

        황성원 연세대학교 교육연구소 2003 연세 교육연구 Vol.16 No.1

        프랑스 신교육운동은 프랑스 혁명 이후부터 논의되어 왔던 공교육의 대안이었다. 왕정과 공화정의 정권 교체 과정에서 교육의 주체는 교회와 국가간 대립관계의 연속이었다. 제 3공화국에 이르러 교육이 무상화, 의무화, 비종교화되면서 국가가 전국민의 교육에 주도적으로 참여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프랑스 신교육운동의 형성 배경, 19세기말 프랑스 교육의 양상, 20세기초 신교육운동의 전개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프랑스 신교육운동의 기원, 형성, 전개에서 가장 프랑스적인 특성을 도출하여 그 실천사례를 제시하였다. 실천사례로는 당시의 여러 학교가 있었으나 현재까지 남아 있는 에콜 데 로슈와 프레네 교육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프랑스 신교육운동이 현재 프랑스 교육에 준 영향을 알아보면서 그 현재성의 의미를 언급하였다. L'objectif de cette recherche consiste a` montrer comment s'est forme` et s'est de`roule` le mouvement de l'E`ducation Nouvelle en France a` la fin du XIXe et au de`but de XXe sie`cle. En France, E. Demolins sent a` l'e`poque l'incapacite` des Francais a` s'adapter au monde moderne, en comparant au peuple anglais, et cherche la cause de cet e`chec. il de`couvre finalement que cette infe`riorite` est due a` l'inadaptation du syste`me d'enseignement : la fonction de l'e`cole traditionnelle ne re`pond plus a` l'e`volution du monde. Demolins fonde alors l'Ecole des Roches, a` Verneuil, pre`s de Paris, en 1899. Depuis, les e`coles nouvelles devient un terrain de la pe`dagogie scientifique moderne qui se re´fe`re sans cesse aux re´sultats des expe´rimentations mene´es ailleurs. Celles-ci se pre´sentent comme un support the´orique des tentatives des novateurs en pe´dagogie. Au lieu d'asservir l'enfant a` l'accumulation des savoirs, les pe´dagogues visent a` faire de lui un e^tre livre qui sait enrichir d'une fac¸on autonome son esprit et ses capacite´s. C'est en 1920 qu'un des jeunes inspecteurs primaires, R. Cousinet, expe´rimente letravail libre par groupes, librement constitue´s, ou` les choix sont faits en fonction de l'inte´re^t et du de´sir des enfants. D'autre part, C. Freinet, instituteur militant, utilise l'imprimerie a` l'e´cole, comme support de l'enseignement manuel et intellectuel : il fabirque ses propres mate´riels permettant aux e´le´ves de travailler en autonomie. L'anti-intellectualisme de l'Education Nouvelle, lie´ au "romantisme" de l'enfance, montre qu'elle est essentiellement une conception philosophique de la vie et de l'e´ducation des enfants. C'est poruquoi le mouvement des e´coles nouvelles commence a` partir de l'esprit. La pe´dagogie Freinet e´tait un principal mouvement de l'Education nouvelle. Elle reste encore un des courants importants de la pe´dagogie franc¸aise. Et elle trouve toujours des e´chos aupre`s des ensiegnants du monde entier.

      • 20세기 초 신교육운동의 국제주의(Internationalism)적 성격 : 신교육협회(New Education Fellowship)의 활동을 중심으로 Focused on the Activities of New Education Fellowship

        박용석 연세대학교 교육연구소 2003 연세 교육연구 Vol.16 No.1

        본 논문은 20세기 초반 국제적 연대를 통한 범세계적 교육운동을 전개한 서구 신교육운동(New Education Movement)의 국제주의적 성격을 그 추진 단체인 신교육협회(New Education Fellowship)의 활동을 중심으로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N.E.F.의 설립 이전에 신교육운동을 촉발시킨 선구적인 새학교들(New Schools)의 '새학교 기준'을 확립하고 국제적 교류를 촉진한 '국제 새학교 사무국(Int'l Bureau of New Schools)'의 설립과정과 그 활동을 먼저 정리하였다. 이어서 N.E.F.의 설립과정과 그 활동을 서술하였다. N.E.F.가 1921년 창립총회를 시작으로 격년마다 개최한 국제회의는 유럽을 중심으로 세계 각지의 학자들과 교육가들이 모여 교육개혁에 관한 새로운 이론의 소개와 다양한 토론 및 의사소통을 가능케 한 열린 교육운동의 장이었음을 밝혔다. 또한 N.E.F.의 활동을 중심으로 진행된 서구 신교운 운동이 2차 세계대전 후 제도교육에 미친 영향에 관해 검토하였다. 끝으로 이러한 N.E.F.를 구심점으로 한 서구 신교육운동의 교육사적 의미를 서술하고 신교육운동이 오늘날 교육개혁운동에 주는 시사점을 개혁운동이 갖추고 있어야 할 다섯가지 특성- 개혁운동의 자발성, 구심성, 개방성, 지속성, 효과성-의 관점에서 정리하였다. Focused on the activities of New Education Fellowship, this study explores the characteristics of internationalism in the western New Education Movement that achieved the world-wide education movement through the international bond in the early twentieth century. It is very well-known that before N.E.F. was built, Int'l Bureau of New School tried to establish 'the standard of New Schools,' which stimulated New Education Movement and encourage the international communication among schools. First, this study carefully examines the process of establishing 'Int'l Bureau of New Schools and its activities and further describes the procedure of making N.E.F and its activities. This study also mines how N.E.F. has worked as an open field of education: N.E.F. began in 1921 with the opening conference and held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for every other year, in which scholars and educators all around world gathered together in order to share new theory of education, discuss the reformation of education, and have a conversation about better education. Furthermore, this study points out how the western New Education Movement that was encouraged by the activities of N.E.F. has influenced on the system of education after the Second World War. This study finally describes how the western New Education Movement throws new light on the major issues of reform movement--voluntarism, centrality, openness, continuity, and effect of reform movement.

      • 니일의 인간주의(humanism) 교육사상

        박용석 연세대학교 교육연구소 1998 연세 교육연구 Vol.11 No.1

        인간주의는 인간에 대한 긍정과 신뢰를 바탕으로 인간성을 풍부하게 발현시키고 성숙시켜 조화로운 인간상을 추구하는 일련의 정신이다. 본 논문은 니일 (A. S. Neil)의 교육사상과 교육실천이 갖는 인간주의적 성격을 해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입시위주 교육으로 성격 규정된 오늘의 비인간화된 학교교육의 현실의 문제를 서술하고 여기서 절실히 요청되는 교육형식이 인간주의 교육이라는 인식 하에 인간주의(Humanism)의 어원, 의미, 특징들을 기술하고 인간주의 교육의 의미와 특징을 서술하였다. 이어서 니일의 교육사상과 실천의 전반적인 내용을 정리하였다. 우선 니일 교육사상의 기초라고 할 수 있는 니일의 아동과 인간의 본성에 대한 이해와 니일의 전 교육사상을 일관하는 삶과 교육의 목표인 행복의 개념과 행복한 인간인 자율적 인간의 속성을 논하였다. 니일이 행복한 인간을 육성하는 교육의 조건으로 제시한 것은 학습 및 놀이의 자유, 도덕적·종교적 훈육으로 부터의 자유, 성적 억압으로부터의 자유, 그리고 방종으로부터의 자유인 자치였다. 이러한 교육조건에서 행해진 교육내용은 보편적 수준에서는 각자의 선택적 학과공부를 통한 자기계발이었다. 또한 서머힐 학교에서는 자율적 학습은 외부에서 부과되는 교수방법에 의존하지 않기 때문에 일반 학교와는 달리 교육방법에 대해서 별 의미를 부여하지 않았다. 이상의 니일의 교육사상과 실천의 내용들은 아동관 및 인간관, 교육목적, 교육내용, 교육방법의 측면에서 인간주의 교육이 추구하는 교육내용들과 일치를 보여 주었다. 니일의 교육사상은 인간주의 교육의 대표적 실례이며 그의 서머힐학교는 인간주의 교육이 학교단위에서 실현된 모범적 실례라고 할 수 있다.

      • 일본의 박물관교육 정책과 동향

        이은미 연세대학교 교육연구소 2001 연세 교육연구 Vol.14 No.1

        본 연구에서는 일본의 교육개혁과 관련해 현재 일본의 박물관교육의 정책과 동향에 관해 고찰하였다. 최근 커다란 변혁의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 일본의 박물관교육에 관해 첫째, 교육개혁의 흐름 속에서 박물관교육이 어떻게 인식, 지원, 연구되고 있는지를 박물관교육 정책의 차원에서 논의하였고, 둘째, 이러한 박물관교육에 관한 정책적 인식과 지원 속에서 실질적으로 박물관교육은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 박물관교육의 동향에 관해서 살펴보았다. 이러한 일본의 움직임은 박물관과 교육 양쪽에서 일면 비슷한 성격을 보이고 있는 우리에게도 주목의 대상이 된다고 하겠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