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령자의 상용치료원 유형이 복약순응에 미치는 영향

        신세라(Serah Shin)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9

        본 연구는 고령자의 상용치료원 유형이 복약순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한국의료패널 2017년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만성질환의 치료를 위해 처방약을 복용중인 65세 이상 고령자 3,62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상용치료원 유형은 상용치료원 보유여부, 상용치료의사 보유여부, 상용치료원 규모 등 세 가지 측면으로 세분화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전체 응답자의 79.8%는 복약순응군에 속하였는데, 그 비율은 상용치료원 보유자가 81.8%, 미보유자가 75.8%로 차이가 있었다.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상용치료원 보유자는 미보유자에 비해 복약순응군에 속할 확률이 약 1.6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의료기관만을 보유한 경우, 미보유자에 비해 그 확률이 약 1.4배, 의사까지 보유한 경우에는 1.8배 높아졌다. 또한 보건소/의원 또는 병원을 상용치료원으로 보유한 경우 미보유자에 비해 복약순응군에 속할 확률이 약 1.7배 높아졌으나, 종합병원/대학병원을 보유한 경우에는 그 확률이 1.5배 정도로 다소 낮아졌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고령자에 대해 대표성을 가지는 표본을 사용하여 상용치료원 보유가 고령자의 복약순응을 높이는데 긍정적 역할을 하고 있음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효과적인 고령자 만성질환 관리 및 의료자원의 효율적 사용을 위한 정책의 근거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f types of usual source of care on medication adherence among the elderly. Using the Korea Health Panel Survey in 2017, this study includes 3,623 elderly people 65 years of age or older taking prescription drugs for treatment of chronic diseases. The type of usual source of care was considered in three aspects: whether having a usual source of care or not, whether having a regular site only or having a regular site and doctor, size of the regular site. The types of usual source of care are heavily associated with medication adherence. Compared to those who have no usual source of care, those who have a regular site only are 1.4 times, and have both regular site and doctor are 1.8 times more likely to comply with the medication guidelines, respectively. The finding shows usual source of care has a positive effect in improving medication adherence of the elderly. The results can provide an evidence for policies for effective management of chronic diseases and efficient use of medical resources.

      • KCI등재

        상용치료원 유형과 미충족의료 경험

        김광묘(Kwang-Myo Kim),김창엽(Chang-Yup Kim) 한국보건사회학회 2020 보건과 사회과학 Vol.0 No.53

        이 연구는 상용치료원이 없는 유형, 상용치료기관이 있는 유형, 상용치료의사가 있는 유형으로 구분한 상용치료원 유형과 경제적 원인 미충족의료 경험 및 비경제적 원인 미충족의료 경험과의 연관성을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2016년 한국의료패널조사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Andersen 행동모델을 기반으로 다중명목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용치료기관이든 상용치료의사이든 상용치료원이 있는 경우에서 경제적 원인 미충족의료 및 비경제적 원인 미충족의료를 경험할 확률이 감소하였다. 둘째, 상용치료원이 있으면 미충족의료를 경험할 확률이 감소함에도 불구하고 50대, 60대인 경우, 일용직인 경우, 소득수준이 낮은 경우에서 경제적 원인 미충족의료를 경험할 확률이 증가하였고, 30대, 40대인 경우, 경제활동을 하는 경우에서 비경제적 원인 미충족의료를 경험할 확률이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정책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xamine whether two types of usual source of care(USC), place and provider, can reduce unmet healthcare needs. Utilizing nationally representative data from the 2016 Korea Health Panel Survey, this cross-sectional study conducted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to investigate how such types of USC can be associated with two-different unmet needs, cost-driven unmet needs and non-cost-driven unmet needs. The findings revealed that both cases of those who have a usual place and usual provider were less likely to experience two-different unmet needs compared to those having no such sources. However, people over 50 with both health insurance and USC tended to have the cost-driven unmet needs, whereas those under 50 with both of them were prone to experience the non-cost-driven unmet needs.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discussed a few policy implications.

      • KCI등재

        Effects of Usual Source of Care by Patients with Diabetes on Use of Medical Service and Medical Expenses

        이소담,신의철,임재영,이상규,김지만,Lee, So Dam,Shin, Euichul,Lim, Jae-Young,Lee, Sang Gyu,Kim, Ji Man Korea Society of Hospital Management 2017 병원경영학회지 Vol.22 No.3

        목적: 상용치료원(usual source of care)은 아프거나 건강문제에 대한 조언이 필요할 때 주로 방문하는 특정 개인의원, 보건소, 혹은 기타 장소로, 상용치료원 보유는 예방서비스를 제공을 더 받게 되며, 보건의료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가 높고, 입원율을 감소시키며 의료급여자의 의료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당뇨병을 보유하고 있는 20세 이상을 대상으로 상용치료원 보유 여부에 따른 대상자의 현황을 파악하고, 의료이용 횟수 및 의료비의 차이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특성을 분석하였다. 방법: 이 연구는 제7차 한국의료패널 자료를 이용하였다. 상용치료원 보유여부에 따른 의료이용 횟수와 의료비를 비교하기 위해 분산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상용치료원 유형에 따른 의료이용 횟수와 의료비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Tobit 분석을 수행하였다. 결과: Tobit 분석결과, 상용치료원을 보유한 경우 보유하지 않은 경우보다 외래의료비는 증가했으나 입원의료비는 감소하였다. 상용치료원을 보유한 경우 보유하지 않은 경우보다 외래이용횟수와 입원횟수가 증가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함의: 지속적이고 포괄적인 의료서비스가 제공되는 상용치료원을 당뇨병 환자들이 보유하게 되면, 외래 예방서비스의 이용을 통해 장기적으로 입원의료비의 감소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Purposes: Diabetes is a metabolic disorder that requires continuous care in order to prevent complications, as it can impose a critical burden on families and society due to various complications, including terminal renal failure, non-traumatic lower extremity amputation, and adult blindness. The usual sources of care are "specified private clinics, public health centers, or other facilities to visit when ill or when health-related advice is needed". These usual sources of care offer preventative services, have a high overall satisfaction rate in terms of public health care, and decrease the inpatient rates and medical costs of medical aid recipients. This study analyzed the current status of diabetic patients over 20 years of age based on their possession of a usual source of care, and the effects of this possession on the frequency of their medical service usage and its costs. Methodology: Based on data from the 7th Korea Health Panel, a Tobit analysis was used to analyze the different factors that can affect the frequency of medical service usage and its costs for diabetic patients with and without a usual source of care. Findings: The medical costs of diabetic patients with a usual source of care decreased in terms of inpatient, and the outpatient visits and inpatient costs of the group with a usual source of care in the form of a mainly-visiting doctor decreased more than those of the group with a mainly-visiting medical institution only. Practical Implications: Having a usual source of care can increase the treatment continuity, leading to reduced inpatient, and having a mainly-visiting doctor as the usual source of care further increases the treatment continuity. Based on these results, a new policy is needed to increase and strengthen diabetic patients? possession of a usual source of care.

      • KCI등재

        정주형 이민자에서 상용치료원이 투약순응도에 미치는 영향

        강희진 ( Hee-jin Kang ),강신우 ( Cinoo Kang ),조혜민 ( Hyemin Cho ),장선미 ( Sunmee Jang ) 한국보건경제정책학회(구 한국보건경제학회) 2020 보건경제와 정책연구 Vol.26 No.4

        당뇨는 지속적으로 적절한 관리가 필요한 만성질환으로 상용치료원이 있거나 투약순응도가 높은 당뇨 환자는 입원이나 응급실 방문 횟수가 줄어들고, 당뇨관련 합병증 발생 가능성이 낮아진다. 그러나 당뇨를 앓고 있는 정주형 이민자의 의료이용 및 투약순응 양상에 대하여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못했다. 본 연구는 국내 장기간 거주하는 정주형 이민자들의 당뇨 치료를 위한 상용치료원과 투약순응도를 분석하고자 한다. 2011년-2015년 국민건강보험공단의 건강보험 심사데이터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이민자는 건강보험 대상자로 한정하였다. 2012년 당뇨로 진단받고 처음으로 혈당 강하제를 복용하는 당뇨환자를 만 3년간 추적 관찰하였다. 3년 동안 당뇨 치료를 위해 방문한 의료기관을 확인하여 상용치료원이 있는지 여부와 투약순응도를 Medication Possession Ratio(MPR)를 이용하여 산출하고, MPR 80%이상인 경우를 투약순응군으로 정의하였다. 또한 연령, 성별, 이민유형, 거주 지역, 가족 구성원 수, 동반질병 등을 보정하여 상용치료원과 투약순응도의 관계를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적용하여 검정하였다. 방문한 의료기관이 3년 동안 1개소(단골)인 경우가 15.6%, 5곳 이상인 경우도 27.2%였다. 투약순응도는 3년 동안의 평균은 64.0%였고, 처음 6개월 동안 평균 73.0%였으나 24개월이 경과되었을 때는 60%로 시간이 지나면서 낮아졌다. 투약순응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결과, 투약비순응군이 될 가능성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영주권자에 비해 결혼이민자가 더 높았고, 방문한 의료기관 수가 1곳인 곳에 비해 5곳인 경우에서 더 높았다. 정주형 이민자에서도 상용치료원이 있는 경우가 투약순응도를 더 높일 수 있어 상용치료원의 중요성을 확인하였으며, 국내 이민자에서도 적용됨을 확인하였다. Diabetes is a chronic disease that requires continuing medical care and self-management. Diabetes patients with a usual source of care or high medication adherence are less likely to be hospitalized or visited the emergency room or to develop diabetes-related complications. However, Little study has been done on a usual source of care and medication adherence in domestic immigrants with diabete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dentify a usual source of care and medication adherence in immigrants with diabetes. We analyzed using the health insurance claim data from 2011 to 2015 and included immigrants enrolled in health insurance. We selected immigrants who had prescriptions at the time of diabetic diagnosis in 2012 and followed them for 3 years. A usual source of care and medication adherence by Medication Possession Ration (MPR) were calculated and high medication adherence was defined by greater than or equal to 80% of MPR. To explore an association between medication adherence and a usual source of care among immigrants,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was conducted. For 3 years, 15.6% of the patients visited one medical institution (regular) and 27.2% of the patients visited more than five. The mean MPR for 3-year durations was 64.0%. The MPR decreased by 60% at 24 month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medication adherence, the likelihood of becoming a non-adherence group was higher in marriage immigrants than in permanent residents, and higher in patients visited more than five medical institutions compared to one. As patients who had a usual source of care could further increase the medication adherence, the importance of the usual source of care was confirmed, and it was also applied to domestic immigrants.

      • KCI등재

        상용치료원 유무와 의사-환자 커뮤니케이션: 한국의료패널 환자경험조사를 중심으로

        오종묵 ( Oh Jongmuk ),황종남 ( Hwang Jongnam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1 保健社會硏究 Vol.41 No.1

        환자 중심 의료 체계에서 환자는 더 이상 의사의 일방적 지시를 받는 존재가 아닌상호협력적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존재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환자중심의료 체계 실현을 가능하게 하는 요인 중 하나인 상용치료원의 유무가 진료과정에서 환자가 경험하는 의사-환자 커뮤니케이션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의사-환자 커뮤니케이션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정책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한국의료패널조사 2017년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인구·사회학적 요인을 통제한 후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상용치료원이 있는 집단과 비교하여 상용치료원이 없는 집단은 의사와의 대화 시간이 부족했으며(OR=1.65; p<.01), 의사의 설명을 쉽게 이해하지 못하였고(OR=1.51; p<.01), 궁금증이나 걱정스러운 점을 말할 기회가 부족했으며(OR=1.73;p<.01), 치료 결정에 본인의 의견이 반영이 불충분한 것으로 나타났다(OR=1.32;p=0.00). 이러한 결과는 의사-환자 커뮤니케이션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해 진료시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진료환경에 대한 제도적 보장이 필요하며, 상용치료원이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 및 치료 결정 과정에서 환자의 참여를 증진시킬 수 있는 주요한 수단으로써 고려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In a patient-centered-care system, patients no longer simply follow the instructions of physicians, but should be able to communicate with them in a cooperative mann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whether the usual source of care, one of the factors enabling the implementation of a patient-centered-care system, actually affects the physician-patient communication in terms of patient experience. Data from the 2017 KHPS were used, and a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after controlling for demographic factors. The study found that groups without a usual source of care did not spend sufficient time talking to physicians (OR = 1.65; p < .01), had a hard time understanding the physician’s explanations (OR = 1.51; p < .01), lacked the opportunity to ask questions or express concerns (OR = 1.73; p < .01), and had insufficient respect for their own opinion on the treatment decision (OR = 1.32; p=0.00). These results indicate the need of a usual source of care for patients to better ensure sufficient treatment time so as to improve patients’ experience in physician-patient communication, as the usual source of care should be considered the major means to increase patient participation in effective communication and treatment.

      • KCI등재

        주치의가 예방적 건강관리에 미치는 효과

        노나리,정찬웅,정소영,정유진,김삼철,임형석 대한가정의학회 2022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Vol.12 No.3

        연구배경: 일차의료에서 상용치료원은 최초 접촉 및 지속성과 더불어 포괄성, 조정기능과도 관련이 있는 주요한 개념이다. 본 연구에서는 상용치료원인 주치의가 예방접종 및 예방관리에 미치는 효과를분석하여 주치의가 예방적 건강관리에 편익이 있음을 보이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의 목적인 주치의가 예방적 건강관리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한국의료패널조사 자료를 활용하였다. 한국의료패널조사에서는 2012년과 2013년, 그리고 2016년부터 2018년 상용치료원을 묻는 설문을 부가조사에 포함하였다. 연구에서는 2012년,2013년, 그리고 2016년부터 2018년까지 한국의료패널조사 자료에 포함된 만 18세 이상 성인 가구원 17,621명, 63,658건 중, 상용치료원 주의사 설문에 응답하지 않은 35건을 제외한 17,613명, 63,623건을 최종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누락 변수 비뚤림(omitted variable bias)을통제하는 패널 분석을 위해 within-between random effect (REWB) 모형을 사용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수행하였고 예방적 건강관리에 대한 주치의의 개체 간 효과(between effect)와 개체 내 효과(within effect)를 분석하였다. 결과: 예방적 건강관리에 대한 주치의의 개체 간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고(OR, 1.4; 95% CI, 1.2–1.5) 주치의의 개체 내 효과는 통계적으로 차이가 없었다(OR, 1.1; 95% CI, 1.0–1.1). 즉, 주치의가 있는 사람은 주치의가 없는 사람에 비해 예방적 건강관리를더 많이 받았고 주치의가 없다가 주치의가 생겼거나 주치의가 있다가 없어진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일차의료의 핵심 역할을 하는 주치의는 예방적 건강관리에편익이 있다. 주치의 제도 도입 등 일차의료의 강화가 필요하다

      • KCI등재

        개원 가정의를 상용 치료원으로 이용하는 고혈압 환자의 건강행태와 일차의료 서비스 질

        박진하,김경우,성낙진,최윤구,이재호,일차의료연구회 대한가정의학회 2011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Vol.32 No.2

        Background: Management of hypertension has been performed mainly in primary care institutions, but hypertension control in population is still unsatisfactory. This study was aimed at finding a strategy to improve health promotion activities in patients with hypertension by exploring the association between health behaviors and quality of primary care. Methods: April to June in 2007, a questionnaire survey of the patients who has a family physician as a usual source of care was conducted for the development of the Korean Primary Care Assessment Tool (KPCAT). In this study, a usual source of care was defined as a physician of the persons who had visited their primary care clinic on six or more occasions over a period of more than 6 months. Of the data collected from 9 private clinics (3 in Seoul and 6 at small cities), cases of the patients who marked on having hypertension were selected. The associations between levels of quality of primary care and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r health behaviors were analysed by Student t-test and chi-square test. Controlling socio-demographic variables, the association between quality of primary care and health behaviors was examined by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sults: Among the patients (n = 602) of 9 private clinics who has a family physician as a usual source of care, those who marked on having hypertension were 134. Among 5 domains of the KPCAT, the highest domain in score was personalized care (71.7/100), and the lowest domain in score was coordination function (49.7/100). In patients who gave total average (69.2/100) or more in total primary care score, after adjustment with age, sex, income, education, and duration, odds ratio to have a normal BMI (<25 kg/m2) was 2.53 (P = 0.02), and odds ratio to have a habit drinking an adequate amount of alcohol was 4.32 (P = 0.02). Conclusion: The fact that high-quality primary care was associated with good health behaviors in this study suggests that improving quality of primary care by health care reform can make health behaviors more desirable in patients with essential hypertension. 연구배경: 일차의료에서 고혈압 환자의 관리가 많이 이루어지나 그 관리 수준은 만족스럽지 못하다. 개원 가정의를 상용치료원으로 이용하는 고혈압 환자들의 건강 행태와 일차의료서비스 질을 살펴봄으로써 건강증진 활동의 향상 방안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한국 일차의료 평가도구(Korean Primary Care Assessment Tool, KPCAT) 개발과 타당도검증을 위한 조사(2007년4-6월) 기간 동안, 가정의학과 의원(총 9곳: 서울 3곳, 경기 3곳, 경주-포항 3곳)에서 수집된 602명의 자료 중, 고혈압 환자(134명) 자료를 분석하였다. 참가 자격은 해당 의료기관을 상용 치료원(처음 방문하고 6개월이 경과하고 6회 이상 방문 경험이 있는 의료 제공자)으로 이용하는 환자 또는 그 보호자에한정되었다. 환자의 연령, 성, 소득, 교육연한, 첫 방문 후 경과기간 등 인구사회학적 정보와, 흡연력, 음주력, 운동습관, 비만도, 그리고 KPCAT 5영역 평가점수를 분석하였다. 통계처리는SAS ver. 8.11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검정, 카이제곱 검정, 다중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결과: 개원 가정의를 상용 치료원으로 이용하는 고혈압환자들은 KPCAT 5영역 중에서, 전인적 돌봄을 가장 높게(71.7/100), 그리고 조정기능을 가장 낮게(49.7/100) 평가하였다. 일차의료 서비스 질을 평균(69.2/100) 이상으로 높게 평가한 환자들은 환자-의사 관계의 지속기간이 유의하게 길었다(P=0.035). 인구사회학적 변수들을 통제한 상태에서 일차의료 서비스 질을 높게 평가한 환자들은 낮게 평가한 환자들에비하여 체질량 지수가 정상(BMI<25 kg/m2)일 경우의 교차비가 2.53배(P=0.02), 건강한 음주 습관을 가질 경우의 교차비는4.32배(P=0.02)로 나타나 건강행태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고혈압 환자의 일차의료 서비스 질이 건강행태와 연관성이 있다는 사실은, 제도 개혁을 통한 일차의료 서비스 질 향상이 고혈압 환자의 혈압관리에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후보

        상용치료원 유형과 만성질환자의 건강 관련 삶의 질: 환자중심 의사소통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최형심 전남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2023 Nursing and Health Issues(NHI) Vol.28 No.2

        Purpos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ability of patient-centered communication to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having a usual source of care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chronic disease. Methods: We conducted a mediation regression analysis for 3,050 patients with chronic illnesses identified in the 2018 Korea Health Panel Survey. The research model was designed based on the PROCESS Macro model 4 by Hayes and analyzed using the SPSS 27.0 program. Results: These results demonstrate a positive indirect mediating effect of patient-centered communic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 clinic-level customary healthcare provider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care among patients with chronic illness. Conclusion: These study findings support the development of programs to strengthen patient-centered communication among doctors and support the provision of patients with chronic illnesses with customary healthcare providers.

      • KCI등재

        상용치료원 보유가 예방 가능한 입원에 미치는 영향

        송연재,권순만 한국보건경제정책학회 2020 보건경제와 정책연구 Vol.26 No.3

        Preventable hospitalization is the admission that could be prevented through effective chronic disease management and proper use of primary care services, thus closely related to the lack of primary care. This study considered the role of a usual source of care as a quality primary care provider. Quality primary care attributes include longitudinality, comprehensiveness, and coordination. This study explored how preventable hospitalization is affected by not only having a usual source of care but also having it with quality primary care attributes. With 2012, 2013, and 2016 Korean Health Panel, this study used random-effects logistic panel model and pooled logistic model to examine the effects of having a usual source of care with primary care attributes on preventable hospitalization. The results show that having a usual source of care and quality primary care attributes had no significant impact on preventable hospitalization, which seem to result from the perverse incentive and payment systems for health providers, e.g., fee-for-service, or lack of the community and primary care based integrated health care services in Korea.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