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등 학습자의 사회정서역량 실태와 쟁점 - OECD 역량교육 담론을 바탕으로

        이순영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22 리터러시 연구 Vol.13 No.3

        이 연구의 목적은 변혁적 역량 시대에 주목받고 있는 사회정서역량의 이론적 기반(개념, 구인, 평가틀)을 정리하고, 중등 학습자의 실태를 확인하는 것이다. 사회정서역량은 사회정서학습 이론에 근거한 용어인데, OECD의 역량교육 담론의 핵심 용어로서 주목받고 있다. OECD는 SOL(학습의 사회적 성과)과 ESP(교육과 사회진보) 프로젝트를 거치면서 비인지 역량인 사회정서역량의 중요성을 확인하고 국제공동 조사연구를 진행해 왔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OECD ESP의 사회정서역량 조사연구(김현진외, 2020)와 서울학생역량 검사를 활용한 초·중학생의 사회정서역량 연구(우연경 외, 2021)의 결과를 중심으로 중등 학습자의 실태와 특성을 분석하였다. 우리나라 중등학습자의 사회정서역량은 3.5~3.7점(5점 만점) 수준으로, 스트레스 관리를 포함한 ‘정서조절’ 점수가 낮은 점이 특징이었다. 그리고 초등 고학년에서 중2까지 학년이 높아질수록 사회정서역량이 하락하는 양상과 남녀 학생의 성차도 확인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실태는 사회정서역량의 개념과 구인의 혼란, 수치 해석의 문제, 자기보고식 설문 조사의 한계, 교육의 필요성과 효과성 문제까지 다양한 쟁점을 배태하고 있었다. 이 연구에서는 사회정서역량 관련 쟁점을 정리하고 교육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대화 분석을 통한 사회정서역량 평정 척도 개발

        이상수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23 교사교육연구 Vol.62 No.2

        사회정서역량은 학습자의 정신적 건강뿐만 아니라 사회적 관계관리 그리고 학업성취도 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역량이다. 이런 관점에서 사회정서역량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특히 사회정서역량을 측정하기 위한 전략 개발 연구도 많다. 사회정서역량을 측정하는 대부분의 도구는 자기보고식 설문지 형태로 이루어져 있어 사회정서역량의 특성상 정서에 대한 정확한 인식과 사회적 관계에서의 당위적 기술 문제로 자기보고식 설문 결과가 정확하지 않을 수 있다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실제적 맥락에서 이루어지는 대화 분석을 통해 사회정서역량을 측정하는 평정 척도(SECRS_CA)를 개발하고 이를 타당화 하였다. 이 연구는 사회정서역량 구성요소, 사회정서역량 측정전략, 대화분석 전략 등에 대한 문헌 연구를 통해 CASEL의 사회정서역량 정의에 기초하여 자기인식, 자기관리, 타인인식, 관계관리, 책임있는 의사결정의 5개 하위요인을 추출하고 각 하위요인 별 3가지씩 총 15개의 척도를 개발하였다. 그리고 각 척도는 3가지 수준으로 나누어 평정 척도를 개발하였다. 새롭게 개발된 SECRS_CA는 기존에 타당화 과정을 거친 자기보고식 설문 결과와 비교를 통해 2회에 걸쳐 공인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였으며 결과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을 보여 타당성이 확보된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구인타당도 검증을 위해 15차시 사회정서역량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기존의 타당화된 설문지와 새롭게 개발된 SECRS_C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그 결과 두 가지 측정 도구가 동일한 결과를 보여주어 타당도가 확보 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SECRS_CA는 교육 현장에서 예비교사들이나 학습자들의 사회정서역량 증진 과정에서 보다 정확한 측정 방법이나 기존의 설문을 통한 자기보고식 측정 방법의 보완적 형태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초등교사의 사회정서역량이 학습자의 사회정서역량, 공동체의식, 학급분위기에 미치는 영향

        고국영,김은정,이상수 한국교원교육학회 2015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2 No.4

        본 연구의 목표는 초등교사의 사회정서역량의 수준에 따른 학습자 간의 사회정서역량, 공동 체의식, 학급분위기의 차이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U 광역시 초등학교 4,6학년을 담임 하고 있는 20명의 교사와 그 학급에 해당하는 학생 47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교사의 사회정서역량을 상·중·하로 구분하고 이에 따른 학생들 간의 차이검증을 일원변량분석 (One-Way ANOVA)을 통해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사회정서역량, 공동체의식, 학급분위기 모두 에서 집단 간의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사회정서역량의 하위변인 중에서는 자기관리와 사회인식에서, 공동체의식의 하위변인 중에서는 상호영향력, 욕구 총족, 정서적 연계에서, 학급 분위기의 하위변인 중에서는 친구에 대한 태도와 학급생활에 대한 태도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를 통해 초등교사의 사회정서역량 함양의 중요성에 대한 시사점 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plore the effects of Social and Emotional Competencies(SEC)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on SEC, Community Consciousness(CC) and Classroom Atmosphere(CA) of learners. For this, A total of 478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 4th and 6th grade and their 20 homeroom teachers in U providence participated as subjects. Based on the level of teacher’s SEC as high, middle, and low, studen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nd their differences were verified by One-Way ANOVA.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all the variables of SEC, CC and CA. In detail, the group difference of Self-management and Social-awareness of SEC, Fulfillment of needs, Influence, and Emotional connection of CC, and attitude for classmates and class of CA appear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The discussion follows about the importance of SEC on elementary school teachers, based on results.

      • KCI등재

        도덕과 교육에서 사회정서역량 기반 교육의 가치와 실천방안 탐구

        허진웅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23 敎員敎育 Vol.39 No.6

        연구목적 본 연구는 사회정서역량 교육이 도덕과 교육과정 안에서 활용되어야 하는 필요성을 밝히고, 그 구체적인 교육 방안을 고찰해보는 것에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먼저 사회정서역량과 도덕 교육과의 관계를 밝히고, 도덕과 교육과정 총론에서 등장하는 사회정서역량의 역할을 알아보았다. 그리고 도덕과와 연계한 사회정서역량 교육의 필요성을 사회정서학습의 특성을 바탕으로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도덕과 교육과정 안에 사회정서역량의 내용을 접목하는 방안과 실제 수업 시간에 적용 가능한 구체적 교육방법을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도덕과 교육과 사회정서역량 교육은 지식과 실천의 연계성을 중요시한다는 점, 실천할 수 있는 역량의 함양을 교육 목표로 설정한다는 공통점에서 양쪽 교육에 대한 연계의 필요성을 찾을 수 있었다. 사회정서역량 교육은 도덕과 교육과정과 연계하여 이루어질 때, 교육의 지속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도덕 교과 또한 정서적 측면의 교과 내용을 사회정서학습의 방법을 통해 전문적으로 교육할 수 있는 장점이 발생한다. 결론 사회정서역량 교육이 도덕과 교육 안에서 이루어져야 하는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도덕과 교육내용에 적합한 사회정서역량의 하위기술과 도덕 수업 때에 적용 가능한 교육 방안이 양쪽의 교육 모두를 긍정적 방향으로 이끌어 줄 것을 기대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eal the need for social and emotional competency education to be utilized within the moral curriculum and to consider a specific educational method. Methods: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emotional competency and moral education was revealed, and the role of social-emotional competency that appears in the general theory of morality and curriculum was investigated. Moreover the need for social-emotional competency education in connection with moral education was examined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emotional learning. Lastly, the researchers examined ways to incorporate the content of social-emotional competency into the moral education curriculum and specific teaching methods that can be applied in actual classes. Results: The need to connect both moral education and social-emotional competency education was revealed as was the value of establishing the connection between knowledge and practice and setting an educational goal for cultivating practical capabilities. When social-emotional competency education is conducted in conjunction with the moral curriculum, the continuity of education can be secured, and moral subjects will have the further advantage of professionally delivering emotional content through social-emotional learning methods. Conclusion: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the sub-skills of social-emotional competency applicable to moral classes and appropriate for moral educational content and educational methods will lead educational practitioners in a positive direction.

      • KCI등재

        대학생용 사회정서역량 척도 개발

        탁하연 ( Tak Ha-yeon ),김희연 ( Kim Hee-yeon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2 교육문화연구 Vol.28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용 사회정서역량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성을 검증하는 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사회정서역량을 측정하기 위한 문항을 개발한다. 둘째, 대학생용 사회정서역량 척도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평가한다. 대학생용 사회정서역량 척도 개발은 크게 문항 개발, 예비 조사, 본 조사 단계를 통해 이루어졌다. 문항개발 단계에서는 문헌연구 및 이론 고찰을 통해 사회정서역량의 하위요인을 자기인식, 자기조절, 타인인식, 관계관리, 책임 있는 의사결정으로 설정하였으며, 하위요인에 부합되는 문항 82개를 제작하였다. 이후 전문가 3명에게 내용타당도 검증을 받았으며, 대학생 10명을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실시하여 총 59개의 본 조사 문항을 선정하였다. 본 조사 단계에서는 대학생 230명의 자료를 분석하여 자기인식 11문항, 자기조절 7문항, 타인인식 8문항, 관계관리 10문항, 책임 있는 의사결정 10문항을 포함하는 총 46개 최종 문항을 확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대학생용 사회정서역량 척도는 구인타당도, 모형적합도, 공인타당도, 신뢰도 모두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생의 사회정서역량을 보다 타당하고, 신뢰롭게 측정하여 대학생의 사회정서역량 연구를 활성화하고, 나아가 대학생의 사회정서역량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등 다양한 접근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cale for the social emotional competency of university students and to verify their validity. The research content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develop items to measure social emotional competency of university students. Second, evaluat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social emotional competency scale. The social emotional competency scale development for university students was accomplished through the stage of item development, pilot test, main test. In the stage of item development, five subcomponents of the social emotional competency scale were identified based on the result of literature review, which are self-awareness, self-management, social awareness, relationship management, and responsible decision making. A total of 82 items that meet the subcomponents were developed. The content validity was verified by experts, and a pilot test was conducted on 10 university students. After that, a total of 59 items were selected for main test. In the stage of main test, a total of 46 items that are 11 items for self-awareness and 7 items for self-management, 8 items for social awareness, 10 items for relationship management, 10 items for responsible decision making were finally confirmed by analyzing the data of 230 university students. The social emotional competency scale of university students developed in this study showed good discrimination validity, construct validity, model suitability, concurrent validity, and reliability. The social emotional competency scale developed in this study can more appropriately and reliably measure the social emotional competency of university students. This scale can be useful as primary data for various approaches such as further research on the social emotional competency and developing program to promote the social emotional competency.

      • KCI등재

        중국인 유학생의 사회정서역량이 한국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김춘화(金春花),유홍녕(???),이상수(李相秀)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5 아시아교육연구 Vol.16 No.1

        본 연구는 중국인 유학생의 사회정서역량이 한국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조사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설문은 B 광역시에 위치한 4년제 4개 대학교에 재학 중인 중국인 유학생 총205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조사대상의 사회정서 역량과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과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첫째, 중국인 유학생의 사회정서역량과 한국 대학생활 적응 간에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정서역량의 하위변인 중 주관적 안녕감과 자기인식이 대학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업적응에는 사회정서역량의 하위변인 중 주관적 안녕감과 자기관리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회적응에는 사회정서역량의 하위변인 중 주관적 안녕감과 관계관리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개인-정서적응에는 사회정서역량의 하위변인 중 자기인식과 사회인식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대학만족도에는 사회정서역량의 하위변인 중 주관적 안녕감, 자기관리, 자기인식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중국인 유학생의 사회정서역량과 대학생활 적응 간에는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외국인 유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을 높이기 위해서는 대학차원에서 다양한 사회정서역량 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As globalizing, there are more and more foreign students in Korea. In particular, the Chinese students become a large part of them.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Chinese students’ social emotional competence on the college life adaptation in Korea. For this we conducted a survey on 205 students of four universities in a metropolitan city, Korea. This survey consisted of two parts: The Trait Emotional Intelligence Questionnaire-Short Form (TELQue-SF) and The Student Adaptation to College Questionnaire (SACQ).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hinese students’ social emotional competence and the college life adaptation in Korea. Second, the Well-being and Self-awareness have influence on the college life adaptation. Third, the Self-management and the Well-being have an impact on the Academic Adjustment. Fourth, the Well being and Relationship management have an impact on the Social Adjustment. Fifth, the Self-awareness and the Social-awareness have an impact on the Personal-Adjustment. Sixth, the Well being and the Self-awareness and Self-management have an impact on the University-satisfaction. Therefore in order to boost the better development of Chinese students’ college life. The social emotional competence related programs need to be provided.

      • 초등학생의 사회·정서역량이 또래괴롭힘 방어행동 및 학급응집력에 미치는 영향

        박선녀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2022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학술대회 Vol.2022 No.01

        목적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사회정서역량이 또래괴롭힘 방어행동과 학급응집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 보고, 사회정서역량의 정도에 따라 학급응집력을 통하여 또래괴롭힘 방어행동의 수준이 달라지는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해 초등학생의 사회정서역량과 또래괴롭힘 방어행동 간의 관계에서 학급응집력의 매개효과를 검증 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부산광역시에 소재한 초등학교 3개교의 5, 6학년 아동 총 152명을 대상으로 사회정서 역량, 또래괴롭힘 방어행동, 학급응집력의 정도를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24를 사용하여 각 주요 변인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고, 매개효과 검증을 위하여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사회정서역량, 또래괴롭힘 방어행동 및 학급응집력은 모두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둘째, 사회정서역량이 학급응집력을 경유하여 또래괴롭힘 방어행동에 이르는 경로의 간접효 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급응집력이 사회정서역량과 또래괴롭힘 방어행동 간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학급응집력 및 또래괴롭힘 방어행동 증진을 통한 학교폭력 문제의 해결을 위해서는 사회정서역량의 증진이 필요함을 보여주며, 학교 현장에서의 사회정서역량 증진을 위한 교육, 상담 및 프로그램 개발의 실증적 근거를 제공한다.

      • KCI등재

        보육교사의 정서역량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행복감과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

        허송연,김정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23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의 정서역량과 행복감, 그리고 사회적지지가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보육교사의 정서역량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서 행복감과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방법 이를 위하여 위해 G도에 소재하고 있는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보육교사 625명을 연구대상으로 직접방문과 우편 및 Google 설문지를 배부하고 회수하여 분석하였으며, 자료처리는 SPSS 22.0 프로그램과 AMO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이용하여 상관관계분석, Ducan의 사후검증분석, 행복감과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부트스트래핑을 실시하였다. 결과 연구의결과 첫째, 보육교사의 정서역량, 행복감과 사회적지지,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간의 구조적 관계를 확인한 결과 보육교사의 정서역량, 행복감과 사회적지지 모두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직접적 영향을 주는 주요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둘째, 보육교사의 행복감은 정서역량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질 높은 교사-영유아의 상호작용을 위해서는 보육교사의 행복감이 뒷받침될 때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을 더욱 증진한다고 볼 수 있다. 셋째, 보육교사의 사회적지지는 정서역량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보육교사의 정서역량과 행복감, 그리고 사회적지지는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의미있는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임을 확인하였다. 이에 질 높은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을 돕기 위해서는 보육교사들에 대한 이론적 교육만으로는 한계가 있으므로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실행에 매우 중요한 보육교사의 정서역량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가지고 정서역량의 중요성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현직 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연수에서는 정서역량과 행복감, 사회적지지에 대한 내용을 중요하게 다룰 필요가 있겠다. 또한 추후연구에서는 보육교사의 정서역량과 행복감, 사회적지지의 체계적인 함양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이 요구되며 보육기관차원에서도 효과적인 정서역량과 행복감, 사회적지지의 지원체계 구축에 대한 검토가 있어야 할 것이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child care teachers' emotional competence, happiness, and social support affect teacher-infant interactions and to test the effects of happiness and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 care teachers' emotional competence and teacher-infant interactions. Methods For this purpose, 625 childcare teachers working in daycare centers located in G-do were analyzed by distributing and collecting Google questionnaires through in-person visits and mail, and data processing was performed using SPSS 22.0 and AMOS 22.0 programs, and correlation analysis, Ducan's post hoc test analysis, and bootstrapping were perform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happiness and social support. Results First,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childcare teachers' emotional competence, happiness and social support, and teacher-infant interaction were examined, and it was found that childcare teachers' emotional competence, happiness and social support are the main factors that directly affect teacher-infant interaction. Second, we found that teachers' happiness plays a mediating role in the process by which emotional competence affects teacher-infant interaction. This suggests that high quality teacher-infant interactions are more likely to be enhanced when they are supported by teachers' happiness. Third, child care workers' social support mediated the effect of emotional competence on teacher-infant interactions. Conclusions We found that child care workers' emotional competence, happiness, and social support are important variables that have a meaningful impact on teacher-infant interaction. In order to support high-quality teacher-infant interaction,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emotional competence with a proper understanding of the emotional competence of childcare teachers, which is crucial for the implementation of teacher-infant interaction, as theoretical training for childcare teachers is limit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emotional competence, happiness, and social support in training programs for in-service teachers. Furthermore, future studies should develop programs to systematically cultivate the emotional competence, happiness, and social support of childcare teachers, and examine the establishment of effective emotional competence, happiness, and social support support systems at the level of childcare institutions.

      • KCI등재

        국내 성인 대상 사회정서역량 척도 타당화

        오은혜,최윤정,신태섭 한국교육방법학회 2022 교육방법연구 Vol.34 No.3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의 사회정서역량 척도를 국내 성인의 사회정서역량 척도로 사용함으로써 신뢰도 및 타당도를 검증하여 국내 성인의 사회정서학습 척도 타당화를 하고, 이에 관한 연구에 기반을 마련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를 통하여 사회정서역량의 하위요인 5개와 이전에 개발된 척도들을 확인하였으며, 국내 사회정서역량 관련 연구에서 다수 사용된 척도(고국영 외, 2016)와 최근 개발 및 타당화를 거친 척도(백예은·박지연, 2020)에서 국내 초등학생의 사회정서역량의 하위요인 5개, 총 25개의 문항들을 추출하였다. 리커트 5점 척도의 설문지는 국내 성인 359명이 온라인으로 응답하였으며 이 중 총 350개의 수집된 자료를 타당도 및 신뢰도 검증에 사용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 중 공통요인분석을 한 결과, 초기 추출한 문항들 중 요인부하량이 낮고 성인의 사회정서역량 하위요인을 측정하기에 부적합하다고 판별된 2개의 문항을 삭제하여 총 8개 하위요인과 총 23문항을 국내 성인의 사회정서역량 최종 척도로 결정하였다. 기존의 초등학생 사회정서역량 척도의 요인구조는 성인을 대상으로 한 사회정서역량의 요인구조와 일치하지 않았는데, 이것은 같은 문항이라도 나이에 따라 노출된 삶의 환경과 다루어야 할 일상의 과업 등이 다르므로 문항이 다르게 해석될 수 있기 때문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를 반복함으로써 국내 성인의 사회정서역량 척도에 대한 요인분석을 거쳐 국내 사회 및 문화가 가진 특성들을 고려한 척도의 확립이 필요하다.

      • KCI등재

        중국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 및 교사의 자율성지지, 기본심리욕구, 사회정서역량 간의 관계 연구

        ( Yang Yue ),신태섭 ( Tae Seob Shin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1 교육문화연구 Vol.2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자기결정성이론에 기반하여 부모 및 교사의 자율성 지지가 기본심리욕구를 매개로 중국 청소년의 사회정서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중국 산동성 쯔보시 중학교 3학년 434명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부모 및 교사의 자율성 지지와 중학생의 사회정서역량 간의 관계에서 중학생의 기본심리욕구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자율성 지지가 교사의 자율성 지지보다 중학생의 기본심리욕구 및 사회정서역량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학생의 기본심리욕구가 충족될수록 중학생의 사회정서역량 수준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 및 교사의 자율성 지지가 많을수록 중학생의 사회정서역량 수준이 높아졌다. 특히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자율성 지지는 교사의 자율성 지지보다 중학생의 사회정서역량에 더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다. 넷째, 부모와 교사의 자율성 지지는 중학생의 기본심리욕구를 충족시켜 사회정서역량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이때 역시 부모의 자율성 지지는 교사의 자율성 지지보다 중학생의 기본심리욕구를 더 충족시키고 사회정서역량에 보다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는 중학생의 사회·정서적 역량을 개발하기 위해 교사뿐만 아니라 부모의 역할이 필수적이고, 특히 중국에서 부모의 사회정서학습에 대한 인식 개선과 부모 교육 확대의 필요를 시사한다. Purpose of this study was intended to examine the effect of parent and teacher's autonomy support on adolescent's social and emotional competencies,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based on self-determination theory. Data of 434 students in Zibo city in Shandong Province were used in the analysis of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ore basic psychological needs of middle school students they were met, the higher level of social and emotional competencies of middle school students have. Second, the more parents and teachers' autonomy supported middle school students perceived, the higher level of social and emotional competencies of middle school students they had. In particular, parental autonomy support perceived by students had a more direct impact on the social and emotional competencies. Lastly, parents' autonomy support stimulated middle school students' basic psychological needs more than teachers' autonomy support, and has a greater influence on social and emotional competencies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conclusion, in order to develop the social and emotional competencies of middle school students, the role of parents as well as teachers is essential, suggesting the need to raise awareness of parent education in China and to expand and implement parent education at national lev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