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회적 자본과 정보의 특성이 SNS 內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이희정(Hee Jung Lee) 한국마케팅학회 2013 마케팅연구 Vol.28 No.2

        본 연구는 최근 소비자들의 SNS의 이용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기존 인터넷과는 다른 특성을 지닌 SNS 환경에서 상호작용이 어떻게 일어나는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소비자간 상호작용과 소비자-정보 상호작용에 영향을 주는 선행 요인을 파악하고 상호작용의 e-WOM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것으로 선행 요인으로 사회적 자본 요인과 정보 특성 요인을 제시하였다. 사회적 자본은 중개적 사회적 자본과 유대적 사회적 자본으로, 정보 특성 요인은 정보의 유희성과 정보의 생동감으로 구체화하여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기존의 연구들이 인터넷 커뮤니티와 SNS의 차이점을 고려하지 않고 연구를 진행하거나 SNS의 이용 기기의 차이점에 대해 다루지 않은 반면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기기의 활용이 높아지는 SNS 환경에서 소비자 상호작용에 영향을 주는 선행 요인의 특성이 어떻게 차이가 나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 결과 소비자간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자본 요인은 중개적 사회적 자본으로 나타났으며 기존 연구 결과와는 달리 유대적 사회적 자본은 소비자간 상호작용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중개적 사회적 자본의 영향이 유대적 사회적 자본의 영향보다 더 큰 것을 밝혀 SNS 환경에서 중개적 사회적 자본의 중요성에 대해 알 수 있었다. 소비자-정보 상호작용에 정보의 유희성, 정보의 생동감이 모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SNS 이용 기기에 따른 차이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모바일 기기를 통해 SNS를 이용하는 소비자에게는 유희성이 중요하며 PC를 통해 SNS를 이용하는 소비자에게는 생동감이 더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정보 상호작용은 소비자간 상호작용에 긍정적 영향을 주며 두 가지 상호작용 모두 e-WOM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SNS에서 발생하는 상호작용을 소비자간, 소비자-정보 상호작용으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었으며 SNS 환경에서는 중개적 사회적 자본의 역할이 크며 사용 기기에 따라 중요한 정보 특성 요인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는 점을 제시하고 있다. 이를 통해 기존 인터넷 커뮤니티와는 다른 SNS 이용 특성과 기기에 따른 정보 제공 방식이 달라질 필요가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Nowadays there are many people who share information and express their opinions through social network services(SNS) like Facebook, Twitter. Especially, consumers are more actively using SNS because people are increasingly using mobile devices like smart phones or tablet PCs more in the current mobile internet environment. So marketers and enterprises should actively utilize SNS as a new communication channel. Consumers are no longer passively absorbing the information provided by firms via traditional media. This research examines the concrete factors affecting consumer interactions on SNS that have recently received attention as a new online marketing communication channel. This research also investigates the intentions of e-word of mouth that is affected by consumer interactions. This research deals with social capital, information attributes, consumer interactions and e-WOM and aims to investigate consumers` interactions and e-WOM processes based on the circumstances surrounding SNS usage. This research intends to suggest precedent factors such as social capital attributions (bridging and bonding) and information characteristic attributions (enjoyment and vividness). Also, in this study, consumer interactions are subdivided into consumer-consumer interaction and consumer- information interaction. While previous researches identically deal with internet community and SNS, this study investigates consumer behaviors only in SNS and identifies the differences between SNS consumer interaction behaviors. Moreover, this study considers consumer behavior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usage of mobile devices and PCs. Because mobile devices have small monitors, it is difficult for consumers to create and share information. On the other hand, PC users easily manage and share information. Recently, the number of consumers who use SNS via their mobile devices is increasing. So it is meaningful to study mobile device users and the differences of information characteristics between mobile devices and PCs. In the empirical study, this research collects data on SNS users through a face-to-face questionnaire and an analysis of data on 393 SNS users. This study verified the model and hypotheses using analysis of covari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bridging social capital increases consumer-consumer interaction relative to bonding social capital (bridging = 0.549***, bonding = -0.019; X2(1) = 16.170, p = .000, △NFI = .003, △IFI = .003, △TLI = .003), and that the enjoyment attribute and the vividness attribute increase consumer-information interaction. Mobile device users are more greatly affected by the enjoyment attribute than by the vividness attribute(enjoyment = 0.598***, vividness=0.069; X2(1) = 6.403, p = .011, △NFI = .002, △IFI = .002, △TLI = .002). On the other hand, PC users are more greatly affected by the vividness attribute than by the enjoyment attribute (vividness = 0.558***, enjoyment = 0.052; X2(1) = 5.850, p = .016, △NFI = .002, △IFI = .002, △TLI = .002). Also, consumer-information interactions affect consumer-consumer interactions positively and the two interaction factors increase e-WOM. Especially this study provides the following suggestions. First, this study examinesthe factors affecting the interaction level. There are social capital factors (bridging, bonding) and information attribute factors (information vividness, enjoyment). Specifically, bridging social capital has an effect on consumer-consumer interactions but bonding social capital does not affect consumer-consumer interactions. This result shows that consumers prefer to make weak strength relationship and this relationship make people interact each other more easily in SNS. When consumers use mobile devices, they prefer interesting information to vivid information. However, when consumers use PCs, they prefer vivid information to interesting information. These results are caused by device differences: because mobile devices are small and are of

      • KCI등재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 문제행동, 집행기능의 잠재프로파일 분석과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 및 우울과의 관련성 탐색

        김현정,박정훈,천근아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2023 인지행동치료 Vol.23 No.1

        본 연구에서는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 문제행동, 집행기능 수준에 따른 잠재유형을 분류하고,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와 우울감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141명의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과 어머니를 대상으로 사회적 상호작용능력, 문제행동(내재화/외현화), 양육 스트레스, 우울감을 측정하는 설문 응답을 받았고 수행 기반의 집행기능 관련 평가를 실시하였다. 사회적 상호작용, 문제행동, 집행기능 수준을 토대로 분석하였을 때 총 3개의 잠재집단이 분류되었고, 이들의 특성에 따라 ‘사회적 상호작용 손상 유형’, ‘사회적 상호작용+ 집행기능 손상 유형’, ‘사회적 상호작용+집행기능+문제행동 손상 유형’으로 명명하였다. 각 집단별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 및 우울감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사회적 상호작용+집행기능+문제행동 손상 유형’이 가장 높은 양육 스트레스를 보였으며, ‘사회적 상호작용+집행기능 손상 유형’집단과 비교해 ‘사회적 상호작용 손상 유형’이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우울감 역시 ‘사회적 상호작용+집행기능+문제행동 손상 유형’에서 가장 높았다. 반면, ‘사회적 상호작용 손상 유형’과 ‘사회적 상호작용+집행기능 손상 유형’집단 간 우울감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가 가지는 시사점은 먼저 자폐스펙트럼장애를 가진 아동들이 집행기능과 문제행동에 따라 보다세분화된 하위 집단으로 구분될 수 있음을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는 점이다. 두 번째로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집행기능이 양호한 경우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가 가장 낮은 것을 확인하였다. 세 번째로 문제행동과 집행기능은 어머니의 우울감을 야기하는 중요한 변임임이 검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및 우울감의 경감을 위한 구체적인 개입 전략을 마련하는데 있어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 KCI등재

        한류스타 광고모델에 대한 중국대학생들의 준사회적 상호작용과 광고효과에 관한 연구

        최양호(Yang Ho Choi),구향미(Xiang Mei Ju),김봉철(Bong Chul Kim) 한국광고홍보학회 2009 한국광고홍보학보 Vol.11 No.2

        이 연구는 중국에서 한류 모델과의 준사회적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나는 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중국소비자들의 성별과 민족성에 따른 광고효과, 광고모델의 성별에 따른 준사회적 상호작용은 어떻게 나타나는지, 그리고 준사회적 상호작용이 한류스타가 출연한 광고에 대한 중국 소비자의 광고태도 및 구매의도와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는 목적에서 이루어졌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준사회적 상호작용이 한류스타 광고모델과 중국 소비자 사이에도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남녀 모델 별로 준사회적 상호작용에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한 결과 남자 한류스타 모델에 대한 준사회적 상호작용이 여자 한류스타에 대한 준사회적 상호작용보다 높게 나타났다. 또한, 응답자의 민족적 특성의 차이에 따른 분석결과 조선족보다는 한족 응답자들의 준사회적 상호작용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한류스타를 남자모델과 여자모델로 나누어 모델의 성별에 따른 준사회적 상호작용의 성별차이를 분석한 결과 한류 남자모델에 대한 준사회적 상호작용은 중국 남성보다 중국 여성이 더 높게 나타났고 한류 여자모델에 대한 준사회적 상호작용은 중국 여성보다 중국 남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유명인 광고모델 광고효과 분석에서 준사회적 상호작용이 낮은 집단보다는 높은 집단의 광고태도와 구매의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결과는 중국 시장에 진출하려는 한국 기업들에게 한류스타를 활용하는 한류마케팅에서 준사회적 상호작용과 유명인 모델 관련 변인들의 중요성을 제시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test the relationships between parasocial interaction and advertising effect among Chinese college students. 453 student data were collected from a Chinese University in Yonbyun. However, only 361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for the study, excluding 91 questionnaires. Research question 1 was test of existence in parasocial interaction with Hanryu star models in China. Research question 2 attempted to find out respondents` demographic differences in parasocial interaction with Hanryu models. The analysis found that the Han race had more parasocial interaction with Hanryu models than the Korean race. It also showed that female respondents had more parasocial interaction with male Hanryu models, while male respondents had more parasocial interaction with female Hanryu models. Research question 3 was test of association between parasocial interaction and advertising attitude. The results provide significantly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parasocial interaction and advertising attitude. The findings, a test of Research question 4, also gave significantly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parasocial interaction and purchase intention. The research findings provide theoretical background for Hanryu star model marketing in China.

      • KCI등재

        1인 미디어 인터넷 방송 시청과 준사회적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준사회적 상호작용, 콘텐츠몰입, 시청자 성별 간의 상호작용 효과를 중심으로-

        좌일방 ( Zuo¸ Yi-fang ),유산산 ( Liu¸ Shan-shan ),김종무 ( Kim¸ Jong-moo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21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76 No.-

        본 연구는 중국에서 가장 대표적인 동영상 플랫폼 중 하나인 비리비리(Bilibili)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시청자가 1인 미디어 방송을 시청할 때 준사회적 상호작용, 콘텐츠몰입 그리고 성별 간의 상호작용이 시청 만족도, 공유 의도, 후원의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비리비리 1인 미디어 방송을 시청하는 중국인을 대상으로 2021년 1월 10일부터 20일까지 11일간 실시간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323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콘텐츠몰입 정도가 높은 집단, 준사회적 상호작용이 높은 집단, 그리고 여성 집단에서 시청만족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상호작용면에서 콘텐츠몰입 정도가 낮고 준사회적 상호작용이 높은 집단에서 시청만족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콘텐츠몰입, 준사회적 상호작용, 그리고 성별이 종속변인인 시청만족도에 대한 태도에 있어서 3원 상호작용을 보였다. 남성 집단에서 콘텐츠몰입이 높고 준사회적 상호작용이 낮을 때 시청만족도가 더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대로, 여성 집단에서 콘텐츠몰입이 높고 준사회적 상호작용이 높을 때 시청만족도가 더 좋은 결과가 나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두 번째, 콘텐츠몰입 정도가 높은 집단과 준사회적 상호작용 높은 집단에서 공유의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콘텐츠몰입 정도가 높고 준사회적 상호작용이 높은 집단에서 공유의도가 더 높은 것으로 알 수 있다. 3차원 상호작용에서 남성 집단에서 콘텐츠몰입이 높고 준사회적 상호작용이 낮을 때 공유의도가 더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 집단에서 콘텐츠몰입이 높고 준사회적 상호작용이 높을 때 공유의도도 더 좋은 결과가 나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세 번째, 콘텐츠몰입 정도가 높은 집단, 준사회적 상호작용이 높은 집단에서 후원의사가 더 높게 나타났다. 2차원 상호작용에서 콘텐츠몰입이 높고 준사회적 상호작용이 높은 집단에서 후원의사의 적극성이 더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1인 미디어 인터넷 방송의 콘텐츠몰입, 준사회적 상호작용, 시청자 성별 및 시청자 반응에 대한 이론적, 실무적 함의와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This study selected Bilibili, one of China's most representative video platforms, as the subject of the study, to analyze the effects of quasi-social interactions, content immersion, and gender interactions on viewer satisfaction, sharing intentions, and commitment when watching single-person media broadcasts. To this end, a real-time survey was conducted for 11 days from January 10 to 20, 2021 on Chinese people who watched one-person media broadcasting corruption, and a total of 323 copies were used for analysis. According to the analysis, viewing satisfaction was higher in groups with high content flow, groups with high parasocial interaction, and women's groups. In terms of interaction, viewing satisfaction was higher in groups with low content flow and high parasocial interaction interaction. It showed three-way interaction in terms content flow, parasocial interaction, and attitudes toward viewing satisfaction, where gender is a dependent variable. It has been shown that when male groups have high content flow and low parasocial interactions, viewer satisfaction is perceived to be higher. On the contrary, it can be seen that viewer satisfaction was better when content flow was high and parasocial interaction was high in female groups. Second, the intention of sharing was higher in groups with high content flow and in groups with high parasocial interaction. It can be seen that the sharing intention is higher in groups with high content flow and high parasocial interaction. In the three-way interaction, it has been shown that the intention of sharing is higher when content flow is high and parasocial interaction is low in male groups. It can be seen that the intention of sharing was also better when content flow was high and parasocial interaction was high in women's groups. Third, in groups with high content flow and high parasocial interactions, Tufe doctors showed higher levels of intent. In the two-way interaction, Tufe's activism was higher in groups with high content flow and high parasocial interaction. Based on these results, we will provid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nd implications for content flow, parasocial interaction, viewer gender and viewer response in one-person media Internet broadcasting.

      • KCI등재

        대학 수준의 온라인 학습환경에서 성별과 상호작용 방식에 따른 사회적 실재감 비교 연구

        모수경 한국교양교육학회 2021 교양교육연구 Vol.15 No.1

        This study seeks ways to promote S-S interaction by exploring students’ social presence in a college-level online learning communit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17 undergraduate students who attended a 15-week general English course, and they were divided into asynchronous and synchronous interaction groups. This study adopted a mixed-method approach for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A two-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and an independent samples t-test analyzed quantitative data from the questionnaire adapting the social presence items in the Community of Inquiry Survey Instrument. A categorization by open coding was performed on the open-ended items of the questionnaire and a written focus group interview. The results revealed that social presence by gender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However,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ocial presence when gender exchanged its effect with interaction means. Social presence by interaction mean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f the two, the group with frequent and good-quality interaction perceived higher social presence. The findings indicate social presence needs to be considered in the context of interaction means. The formation of a sense of bond and intimacy in the online learning community was crucial in developing their social presence. The students’ perception of participation was closely related to S-S interaction in the online learning community. This study concludes with a suggestion for instructors to facilitate students’ social presence and promote S-S interaction.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 수준의 온라인 학습공동체에서 학습자의 사회적 실재감을 탐구하여 학습자간 상호작용을 촉진하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함이다. 연구 대상은 15주간 교양영어 교과목을 수강한317명의 학부생으로, 이들은 비동기식 상호작용 집단과 동기식 상호작용 집단으로 구분되었다. 이 연구는자료의 수집과 분석에 혼합연구방법(mixed-method approach)을 채택하였다. 탐구공동체(Community of Inquiry, CoI) 설문조사 도구의 사회적 실재감 문항을 반영한 설문조사 결과에 대하여 이원배치분산분석(Two-way ANOVA)과 독립표본 t-검정(independent samples t-test)을 시행하였다. 설문조사의개방형 질문과 표본집단 서면 인터뷰는 개방 코딩방식의 범주화 작업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에따르면, 첫째, 성별에 따른 사회적 실재감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성별은 상호작용 방식과함께 작용할 때 사회적 실재감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상호작용 방식에 따른 사회적 실재감은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즉, 상호작용이 자주 일어나고 양질의 상호작용이 일어나는 집단에서 학습자의 사회적 실재감이 더 높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상호작용 방식의 맥락에서 사회적실재감을 고려해야 함을 시사한다. 셋째, 온라인 학습공동체에서 학습자의 유대감과 친밀감 형성은사회적 실재감을 발달하도록 돕는 중요한 요소였으며, 학습 참여에 대한 학습자들의 인식은 학습공동체내의 학습자-학습자 상호작용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이 연구는 학습자의 사회적 실재감을 촉진하고학습자 간의 상호작용을 도모하기 위한 교수자의 역할에 대한 제언으로 마무리한다.

      • KCI등재

        부모-유아 상호작용, 또래상호작용, 교사-유아 상호작용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과 언어 및 문해 능력에 미치는 영향

        백지숙,권은주 한국보육학회 2017 한국보육학회지 Vol.17 No.2

        본 연구는 부모-유아 상호작용, 또래상호작용, 교사-유아 상호작용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과 언어 및 문해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피는 것에 있다. 연구대상은 한국아동패널 7차년도 데이터의 1203명 이였다. ‘사회적 유능감 검사도구’, ‘SECCYD’, ‘HEQ’, ‘PIPPS’, ‘교사-유아 상호작용 검사도구’ 들을 통해 연구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Pearson 적률상관과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과 부모-유아 상호작용, 또래상호작용, 교사-유아 상호작용 간에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전체 인지능력을 가장 강력하게 예측한 변인은 자기조절로 나타났고 이어서 언어능력이 추가적 예측변인으로 밝혀졌다. 또한 언어 및 문해능력과 또래상호작용, 교사-유아 상호작용 간에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사회적 유능감을 가장 강력하게 예측하는 변인으로는 부모-유아 상호작용이 나타났으며 또래상호작용이 추가적인 예측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언어 및 문해능력을 가장 강력하게 예측하는 예측변인으로는 또래상호작용이 나타났으며 교사-아동상호작용이 추가적인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ffects of Parent-child interaction, peer interaction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on kindergartners’ social competence, language and literacy Ability. Participants were 1203 children attending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It used the ‘Social Competence Inventory’, ‘SECCYD’, ‘HEQ’, ‘PIPPS’ and the ‘Teacher-Child Relation Scale’ in collection of data.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the SPSS 18.0 program and pearson’s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 regression analysis.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children’s social competence and parent-child interaction, peer interaction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Second,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children’s language and literacy ability and peer interaction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Third, Parent-child interaction, peer interaction were predictable variable affecting the young children's social competence. Fourth, peer interaction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were found to be predictable variables affecting the young children’s language and literacy ability.

      • KCI등재
      • KCI등재

        친가ㆍ외가의 사회적 지지가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 및 공격행동에 미치는 영향: 가족 상호작용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최은정,곽은순 미래유아교육학회 2019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6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from both sides of parents’ family on their family interaction and child’s social competence and aggressive behavior. Also, the puro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 mediation effect of family interaction. For this,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and path analysis were carried out by using the data of 1,349 infants and their parents who participated in the 7th year(2014) survey of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ocial support from both sides of parents’ family which is perceived by mother had a positive influence on parents’ family interaction. Second, Social support from father’s side which is perceived by mother showed a negative influence on child’s aggressive behavior. And social support from mother’s side which is perceived by mother showed positive effects on child’s social competence. Third, Unlike father, family interaction perceived by mother not only improved child’s social competence and reduced child’s aggressive behavior but also mediated social support from both sides of parents’ family, child’s social competence and aggressive behavior. This study has a significant meaning as it revealed the fact that the effect on children’s development is different according to the provider of social support and it also revealed the fact that family interaction perceived by mother has a more influence rather than by father. 본 연구의 목적은 친가 및 외가의 사회적 지지가 부모의 가족상호작용과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 및 공격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이 중 가족상호작용의 매개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패널 7차년도(2014년) 조사에 응한 1,349명의 유아와 그들 부모를 대상으로 기술통계, 상관관계 분석,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경로분석을 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어머니가 지각한 친가 및 외가의 사회적지지는 부모의 가족상호작용에 정적인 영향력을 나타냈다. 둘째, 어머니가 지각한 친가의 사회적 지지는 유아의 공격행동에 부적인 영향을, 외가의 사회적지지는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아버지와 달리 어머니가 지각한 가족상호작용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을 향상시키고, 공격행동을 감소시킴을 물론, 친가 및 외가의 사회적 지지와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 및 공격행동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의 제공자에 따라 유아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이 상이하고, 아버지보다는 어머니가 지각한 가족상호작용이 영향력이 있음을 밝힌 점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 KCI등재

        가족상호작용, 부모-자녀상호작용, 놀이상호작용이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최은정(Choi, Eun-Jeong),김은향(Kim, Eunhyan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9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4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가족상호작용과 부모-자녀 상호작용, 놀이상호작용이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이에 대한 사회적 유능감의 매개효과를 탐색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패널 7차년도(2014년) 조사에 응한 1,095명의 만 6세 유아와 그들의 어머니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어머니가 지각한 가족상호작용은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에 정적 영향을, 외현화, 내재화 문제행동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자녀 상호작용은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놀이상호작용은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에 정적 영향을, 외현화 문제행동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회적 유능감은 상호작용(가족, 부모-자녀, 놀이) 변인이 유아의 외현화, 내재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상호작용(가족, 부모-자녀, 놀이)의 질적 수준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 향상과 문제행동 감소에 중요한 맥락을 제공하며, 이중 사회적 유능감은 유아의 문제행동에 대한 보호요인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both the effects of parent-child interaction, family interaction, and play interaction on child"s problematic behavior and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competence. For this,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as carried out by using the data of 1,095 six-year-olds and their mothers, who participated in the 7th year (2014) survey of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ing. First, the family interaction perceived by mother had a positive influence on child’s social competence and negative influence on externalizing and internalizing problematic behavior. Second, parent-child interaction showed a positive effect on child’s social competence. Third, play interaction showed a positive effect on child’s social competence and negative effect on externalizing problematic behavior. Fourth, social competence had a mediating effect within influences of interaction (family, parent-child, play) variables on child’s externalizing and internalizing problematic behavior. The results implicates that quality level of interaction (family, parent-child, play) provides important context for improving child’s social competence and decreasing problematic behavior, and social competence, specifically, can act as an element of security for the child’s problematic behavior.

      • 수학교육에서 피아제(Piaget)와 비고츠키(Vygotsky)의 사회적 상호작용의 역할에 관한 고찰

        류성림 大邱敎育大學校 科學敎育硏究所 1999 과학·수학교육연구 Vol.22 No.-

        학생들의 수학 학습은 동료 및 교사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은 매우 중요한 사실이다. 본고의 관심사는 수학교육에서 사회적 상호작용이 기능하는 양상에 대해서 피아제와 비고츠키의 견해를 바탕으로 비교·교찰하며, 사회적 상호작용의 다양한 역동성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다. 흔히 상호작용을 연구하는 일부 학자들 중에는 피아제를 생물학적 개인주의자로, 비고츠키를 사회 문화적 집합주의자로만 해석하려는 경향이 있긴 하지만, 피아제가 발생적 인식론의 핵심원리를 상호작용에 두고 있으며, 비고츠키도 상호작용과 함께 개인의 능동적 구성을 중요시했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즉, 두 사람은 공통적으로 지식의 구성이 순수한 개인적 차원의 정신활동인 동시에 사회적 활동으로 보고 있다. 물론 두 사람이 공통적으로 사회적 상호작용을 중요시하긴 하지만, 그 역할에서는 차이점을 보이고 있다. 피아제는 개인적 구성에 의한 논리를 보다 객관적인 것으로 하기 위해 사회적 상호작용의 역할이 필요하다고 보는 반면, 비고츠키는 사회적 상호작용을 하므로 써 개인적인 논리의 구성이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또한 사회적 상호작용은 수학적인 역동성, 개인적인 역동성, 사회적인 역동성, 문화·역사적인 역동성, 의사소통의 역동성이라고 하는 다양한 성질에 따라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즉, 사회적 상호작용은 개인적 및 사회적 관계에 따라 그 역할이 변할 수 있고, 교사는 이러한 다양한 역동성을 고려하여 상호작용이 잘 이루어지는 수업이 되도록 해야 할 것이다. It is advisable that students can learn mathematics through the interaction between their co-workers and teach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has two important aspects: one is to comparatively inquire into the role of social interaction which is based on the views of Piaget and Vygotsky, and the other is to find out the various dynamics of the social interaction. Some scholars who make a special study of interaction tend to say that Piaget is a biological individualist and Vygotsky is a socio-cultural collectivist, but we need to focus on the facts that Piaget depends on the interaction for the core of developmental dpistemology, and also Vygotsky thinks that the active construction of individual along with interaction has much value. That is, both of them have the common opinion that the organization of knowledge is not only a pure mental activity of an individual, but also a social activity. Needless to say, the two persons make much of the social interaction together, but they have different views on the role of it. It seems to Piaget that the role of the social interaction is needed to look at the logic of individual construction objectively, but Vygotsky thinks the construction of individual logic will be done by means of the social interaction. In addition, the social interaction can be affected by many different kinds of qualities, such as mathematical dynamic, individual dynamic, social dynamic, cultural and historic dynamic and communicative dynamic. Accordingly, since the role of social interaction is likely to be changed a great deal due to individual and social relations, teachers should give the lessons of positive interaction to their students by thinking over these dynamic activ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