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경도지적장애 초등학생의사회성 기술 지도 평가 실태 분석

        신동준,최승숙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0 특수교육 Vol.9 No.2

        경도지적장애 학생에게 사회성 기술은 교사와 또래 친구들과의 관계 형성을 통한 성공적인 학교 적응뿐만 아니라, 성인기의 직업 및 사회생활을 준비하는데 있어서도 중요한 요소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경도지적장애 초등학생의 사회성 기술 지도 평가 실태를 조사하여 향후 적절한 사회성 기술 평가 체계 개발의 기초 자료를 마련하는데 있다. 서울, 인천, 경기 지역의 초등 특수교사 152명을 대상으로 사회성 기술 지도 내용, 평가 시기, 평가 방법, 평가시의 어려움에 관해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고, 이 중 특수교사 11명과의 개별면담을 통하여 구체적인 평가과정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로 특수교사들은 경도지적장애 초등학생의 사회성 기술 지도 평가에 있어서 대안적 평가를 많이 사용하고 있었으며, 특히 관찰기록 방법을 자주 사용하였다. 사회성 기술을 평가하기 위한 평가계획 수립, 평가체제 선정, 평가결과 분석 및 활용 등의 체계적인 과정은 거치지 않고 있었으며, 사회성 기술 지도 평가 과정에서 학부모와 통합학급 교사의 참여가 제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효과적이고 체계적인 사회성 기술 평가 방법을 개발하기 위한 시사점들이 제시되었다. For studen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y, social skill is an important factor in preparing for vocational and social life in adulthood as well as in adapting to school successfully through building relationships with teachers and peers.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condition of assessment regarding social skill instruction for elementary studen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y. A survey was conducted with 152 special education teachers at the elementary school in Seoul, Incheon, and Gyeonggi Province in terms of social skill instruction, assessment period, assessment methods, and difficulties in performing assessment. 11 special teachers were interviewed to gain in-depth information about applying assessment procedures. Overall, special education teachers more frequently used alternative assessment, especially observation, for teaching social skill to elementary studen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y than traditional one. They failed to go through processes of establishing an assessment plan, selecting an assessment system, and analyzing and reporting assessment results. Parents and inclusive class teachers took limited part in social skill assessment.

      • KCI등재후보

        통합 상황의 소집단 사회성기술훈련 프로그램이 자폐성장애 유아의 사회성기술과 또래놀이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정원,전상신 단국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8 특수교육논총 Vol.34 No.2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통합 상황에서 적용한 사회성기술 훈련 프로그램이 자폐성장애 유아의 사회성기술과 또래놀이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연구 대상은 경기도 소재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두 명의 자폐성장애 유아와 두 명의 일반발달유아이다. 중재는 회기당 40분씩 주 1회, 총 11회기로 구성되었으며 센터내의 그룹치료실과 일상생활 장면인 실내․외놀이터에서 진행되었다. 중재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중재 전과 후에 자폐성장애 유아의 사회성기술(K-SSRSP)검사와 또래놀이행동(PIPPS)검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매회기 기록한 관찰일지를 분석하여 결과를 보완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K-SSRSP 사전․사후 검사 결과 자폐성장애 유아의 사회성기술과 하위 4개 영역에서 향상되었다. 둘째, PIPPS 검사에서는 놀이 상호작용은 향상되었고, 놀이 붕괴와 놀이 단절은 감소되었다. 결론: 통합 상황에서 소집단으로 이루어진 사회성 기술훈련 프로그램은 자폐성장애 유아의 사회성기술향상과 또래놀이행동의 변화에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ocial skills training program applied in inclusive environment on social skills and peer play behavior of children with ASD. Method: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two young children with ASD and two young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The intervention was composed of 11 sessions, once a week and 40 minutes per session, and was conducted in a group therapy room in the center and an indoor / outdoor playground. To confirm the effects of intervention, sociability test (K-SSRSP) and peer play behavior test (PIPPS) of children with ASD were conducted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Resul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K - SSRSP pre - and post - test showed improvement in the social skills of children with ASD and the four sub - areas. Second, play interactions were improved in PIPPS test, and play breaks and play breaks were reduced. Conclusion: In inclusive environment, social skills training program consisting of small group was effective in improving social skills of children with ASD and positive changes in peer play behavior.

      • KCI등재

        지적장애 청소년의 성공적 전환을 위한 사회성 기술 중재 프로그램 고찰

        김유리 ( Yu Ri Kim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1 지적장애연구 Vol.13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전환기 지적장애 청소년을 위한 사회성 기술 중재 관련 국내연구들을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사회성 기술 중재 프로그램의 개발과 후속연구를 위한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사회성 중재와 관련된 총 23편의 국내 선행연구들이 선정되었고, 이 문헌들은 프로그램의 교육내용, 교수방법, 평가방법이라는 세 가지 분석변인에 따라 분석되었다. 선행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금까지 국내에서 개발된 사회성 기술 중재 프로그램들은 지적장애 청소년에게 자기표현 기술, 대인관계 기술, 이성관계 기술, 문제해결 기술, 학업-직업관련 기술에 대해 교수하고 있으나 연구들마다 두세 가지의 기술들을 단편적으로 가르치는 경향이 있었다. 둘째, 이러한 기술들은 강의, 토론, 역할놀이를 통해 주로 교수되었다. 셋째, 사회성 기술 중재의 효과는 주로 검사도구를 통해 평가되었으며 직접관찰을 통한 자연스러운 환경에서의 평가는 매우 제한적으로 실시되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사회성 기술 중재 프로그램의 개발과 관련된 시사점이 토론되었으며 후속연구를 위한 몇 가지 제언도 논의 되었다. Well-developed social skills can help transition-age adolesc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develop strong and positive relations, succeed in school and work environm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Korean research on social skills interventions for adolesc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to suggest future directions for the development of such programs and research. A total of 23 studies were reviewed in terms of (a) program content, (b) instructional methods, and (c) evaluation techniques. Results indicated that social skills interventions included teaching about assertion skills, interpersonal skills, social-sexual skills, problem-solving skills, academic-work related skills. However, there appeared that social skills programs often covered teaching about two or three of the social skills. This study also showed that lecture, discussion, and role-play were the primary instructional strategies employed in social skills instructions. Moreover, existing studies often relied on instrument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s. Suggestions for practice and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후보

        PEERS가 발달장애 청소년의 사회성기술과 부모의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이원희,이하영,정다예 공주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22 특수교육논집 Vol.26 No.2

        연구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사회성기술 훈련 프로그램인 PEERS(Program for the Education and Enrichment of Relational Skills)가 발달장애 청소년의 사회성기술과 부모의 양육효능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방법: 발달장애 청소년 6명과 청소년의 부모 6명을 대상으로 단일집단 사전 사후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총 14회기 동안 연구 환경에 맞게 수정한 PEERS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PEERS는 청소년의 사회성기술과 부모의 양육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첫째, PEERS는 연구자가 평가한 청소년의 사회성기술 모든 하위요인, 즉 자기주장, 협력, 자아통제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PEERS는 부모가 평가한 청소년의 사회성기술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PEERS는 부모의 양육효능감 하위요인 중 전반적인 양육능력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나머지 하위 요인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결론: 발달장애 청소년의 사회성기술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국내에서도 PEERS를 적용한 연구가 더 활발히 시행되어야 하며, 자녀의 사회성기술을 지원할 수 있도록 부모참여가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

        교사 관점에서 살펴 본 청소년의 공격성 및 품행문제에 관한 연구

        백성은(Sung Eun, Baek),조상현(Sang Hyun, Cho) 한국범죄심리학회 2021 한국범죄심리연구 Vol.17 No.2

        학교폭력 및 청소년 범죄의 문제는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닌 오래된 사회문제이다. 학교폭력은 반복된 공격행위로 인해 학교폭력의 피해는 심리사회적, 정서적 어려움 등 청소년의 발달 저해를 초래하게 된다. 청소년 범죄는 저연령화, 지속화, 심각화, 재범화 등 특성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학교 폭력 및 청소년 범죄는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가정, 사회 나아가 국가에도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문제현상으로 이를 규명하는 연구는 필요하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청소년의 사회성 기술과 학습기술이 신체화를 거쳐 공격성과 품행문제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것이다. 즉, 교육자에 의해 평가된 중·고교생의 사회성 기술과 학습기술이 신체화를 거쳐 청소년시기에 대표적 문제행동인 공격성과 품행문제로 이어지는 경로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고자 청소년 150명(남 75명, 여75명) 교육자들로 하여금 자신이 담당하는 학생의 행동을 평가하도록 하였다. 연구자료의 분석은 SPSS 21.0을 활용해 기술통계와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Mplus 7.0의 구조방정식모델(Structural equation modeling)을 활용해 측정모형과 구조모형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교육자가 평가한 청소년의 사회성 기술과 학습기술이 공격성과 품행문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동시에 청소년의 사회성 기술과 학습기술이 신체화를 통해 공격성과 품행문제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부분매개 모형의 적합도가 자료에 부합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사회성 기술은 품행문제에 유의미한 부적 영향을, 학습기술은 신체화와 공격성에 유의미한 부적 영향을 미쳤다. 신체화는 공격성과 품행문제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쳤다. 매개효과 검증결과 사회성 기술은 품행문제에 유의미한 부적 영향을, 학습기술은 신체화와 공격성에 유의미한 부적 영향을 미쳤다. 신체화는 공격성과 품행문제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쳤다. 매개효과 검증결과 교육자가 평가한 청소년의 학습기술 부족이 신체화를 거쳐 공격성과 품행문제 각각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했다. Adolescent offending and other antisocial behaviors are a great concern in contemporary society. Particular attention must be paid to school violence and juvenile delinquency as failures in treating them properly can lead to serious consequences, such as inhibition of adolescents psychosocial development and emotional difficulties, etc., and its effect can also be continued in adulthood. Furthermore, the starting age of juvenile crime, particularly for school violence and delinquent behavior, has got younger, the severity has become cruel, and the rate of recidivism is high. Therefore, a research to clarify school violence and juvenile delinquency which is not for individual but for families and public safety is crucial.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role of relation with teacher rated adolescent Somatiz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y Skills, Social Skills and Externalizing Problems(i.e., Aggression and Conduct Problems). The data set consists of 150 teacher ratings of equal proportion of girls and boys i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the preliminary analyses, we first examined the descriptive statistics and Pearson correlation analyses using the SPSS 21.0, after that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used to test the proposed pathway among the variables using Mplus 7.0. The results based on teacher-report questionnaires indicated that the partially mediated model for this study provided good fit indices. The pathway of influence among Social Skills, Study Skills, Somatization, and, Externalizing Problems was in the predicted direction. The direct path coefficients from Social Skills to Aggression(-), and the path from Study Skills to Somatization(-) and Aggression(-) were all significant. The direct path from Somatization to Aggression(+) and Conduct Problems(+) were significant. Bootstrapping result showed the standardized mediational effect of Study Skills on Aggression and Conduct Problems were significant respectively. More specifically, as lack of Study Skills and increase in Somatization tendency leads to an increase in Externalizing behaviors, in terms of Aggression and Conduct Problems. Limitations of the current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investigations are included in the discussion.

      • KCI등재

        발달장애대학생의 진로태도와 자기결정기술, 사회성기술 및 대인관계기술 간의 상관관계

        김대룡 ( Dae Ryong Kim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2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3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발달장애 대학생의 진로태도와 자기결정기술, 사회성기술 및 대인관계기술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봄으로써 발달장애 대학생의 진로교육 개선 방법을 모색하는데 있다. 연구 대상은 N대학교에 재학 중인 발달장애 대학생 23명으로 구성하였다. 실험은 대학교양 영어 수업시간에 직업적응중심의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진로태도와 자기결정기술, 사회성기술 및 대인관계기술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들은 연구 문제에 따라 기술분석 및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태도와 자기결정기술 간에는 상관( r=.903)이 유의하게 나타났고, 둘째, 진로태도와 사회성기술 간에도 상관( r=.602)이 유의하게 나타났다. 셋째, 진로태도와 대인관계기술 간에는 상관( r=.201)이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기결정기술과 사회성기술 관계가 진로태도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각각 독립적으로 작용하였다. 다섯째, 사회성기술과 대인관계기술 관계가 진로태도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변인 간의 상승 또는 감소효과가 존재하며, 본 프로그램에서는 진로태도에 독립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볼 수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발달장애대학생의 진로태도 개선을 위한 효율적인 교육프로그램 개발에서 자기결정기술, 사회성기술을 적극 활용할 것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career attitudes and self-determination skills, social interpersonal skills, sociability skills for college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from cultural English class based on internal factors of vocational adaptation. The participants of the current study were 23 college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N university, who consisted of 10 students in non-inclusive environment and 13 students in inclusive environment. It was employed to analyze the correlation and the descriptive analysis through SPSS(VER.12) after the educational activity program. The finding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correlation (r=.903) between career attitude and self-determination skills was statistically more significant. Second, The correlation (r=.602) between career attitude and sociability skills was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The correlation (r =.201) between career attitude and social interpersonal skills was statistically not significant. The findings further suggest that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educational activity for facilitating career attitudes had better focus self-determination skills and sociability skills.

      • KCI등재

        단순언어장애 아동 및 일반아동의 사회성 기술 및 집행기능과 이야기 이해 능력 간의 관계

        문주희,임동선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21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6 No.1

        배경 및 목적: 아동의 사회성 기술과 집행기능은 타인과 상호작용하고 다양한 상황에 대응하는데 필요하며, 이들은 언어능력과 연관되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아동의 사회성 기술, 집행기능, 이야기 이해 과제 수행을 비교하고, 사회성 기술과 집행기능이 이야기 이해 능력을 예측해주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만 4-7세의 단순언어장애 아동 14명과 일반아동 19명이 참여하였으며, 이들을 대상으로 한국 유아 사회성 기술 검사(K-SSRSP; 윤치연, 2012)와 집행기능 및 이야기 이해 과제를 실시하였다. 결과: 사회성 기술 검사에서 집단 간 주효과와 사회성 기술 영역에 따른 주효과가 유의하였다. 집행기능 중 억제 과제 및 전환 과제와 이야기 이해 과제에서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수행력이 일반아동보다 유의하게 낮았다. 이야기 이해 과제 수행력을 유의하게 예측하는 요인은 일반아동의 경우 갱신 과제 수행력,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경우 사회성 기술 중 문제해결과 정서표현 점수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를 통해 단순언어장애 아동은 사회성 기술, 억제 및 전환 능력, 이야기 이해 능력에서 어려움이 있으며, 이들의 사회성 기술 중 문제해결과 정서표현이 이야기 이해 능력을 예측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평가 및 중재 시 또는 부모나 주양육자 등 비전문가에게 제언할 시 사회성에 관해 구체적으로 살펴볼 필요성을 제시한다.

      • KCI등재

        진로와 직업 교과와 연계한 사회성 기술 교수 프로그램이 고등학교 특수학급 장애학생의 사회성과 대인관계 및 직업 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이정현,이숙향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24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67 No.2

        연구목적: 본 연구는 진로와 직업 교과와 연계한 사회성 기술 교수 프로그램을 통해 고등학교 특수학급 장애학생의 사회성과 대인관계 및 직업 준비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고등학교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장애학생 12명이 참여하여 총 12회기의 수업을 진행하였다. 진로와 직업 교과와 연계한 사회성 기술 교수 프로그램이 고등학교 특수학급 장애학생의 사회성과 대인관계 및 직업 준비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단일집단 사전-사후설계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진로와 직업 교과와 연계한 사회성 기술 교수 프로그램에 참여한 고등학교 특수학급 장애학생의 사회성 기술 검사 총점은 프로그램 참여 전에 비해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둘째, 진로와 직업 교과와 연계한사회성 기술 교수 프로그램에 참여한 고등학교 특수학급 장애학생의 대인관계변화척도 총점은 프로그램 참여전에 비해 증가하였으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셋째, 진로와 직업 교과와 연계한 사회성 기술 교수 프로그램에참여한 고등학교 특수학급 장애학생의 직업준비검사 총점은 프로그램 참여 전에 비해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결론: 진로와 직업 교과와 연계한 사회성 기술 교수 프로그램은 고등학교 특수학급 장애학생의 사회성 및 직업준비도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 social skills teaching program linked to the career and job curriculum for improving the social skill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employment readiness of high school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a special classroom. Method: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12 high school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a special classroom. The social skills teaching program linked the career and job curriculum consisted of a total of 12 sessions. One group pretest-postest design was used in this study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Results: First, the total social skills test score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significantly improved compared to before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Second, the total score of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change scale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creased compared to before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ird, the total employment readiness test score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significantly improved compared to before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Conclusion: Therefore,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social skills teaching program linked with the career and job curriculum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social skills and employment readiness of high school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special classrooms.

      • KCI등재

        MGB기반 부모교육프로그램 효과 검증: 발달장애 아동의 신체 활동과 사회성기술 촉진

        이성모,진주연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 2023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Vol.25 No.1

        This study examined if a parental education program based on the Model of Goal-directed Behavior[MGB] effectively changes parent support behavior, and if the changes in parent support behavior affect children's physical activity and social skills. The ABA design method among the single-subject study methods was employed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five parents who have a child with a developmental disability and their children who were participating in a physical activity program at the D Rehabilitation Sports Center located in Nowon-gu, Seoul All those participants were conveniently recruited. The parental education program was implemented in 8 sessions with 30 to 100 minutes per session once a week. The experimental procedure was conducted for a total of 14 sessions, including 3 baseline sessions, 8 intervention programs, and 3 maintenance sessions. The parental support behavior was assessed 14 times using the Parental Physical activity Support Questionnaire [PPSQ], the amount of children's moderate to vigorous physical activity was objectively assessed 6 times using the GEVEActiv accelerometer, and social skills were assessed 14 times using the Social Skills Rating System [SSRS] for teachers. For final data analysis, data of four participants were included, except for one that showed many missing values in the physical activity data. As a result, parental education showed a level and tendency to increase the frequency of parental support behavior.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level and tendency of children's moderate to high intensity physical activity and social skills changed in the same way as the frequency of parental support behavior increased. In conclusion, it is considered that the parental education intervention program gives positive changes to parental support behavior, and positive changes in parental support can promote children's physical activity and social skill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hoped that more diverse and useful parental education programs, considering the practical contexts, are developed, and that those programs play a catalyst role in promoting physical activity and social skill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본 연구는 목표지향행동이론(Model of Goal-directed Behavior[MGB])을 기반으로 개발된 부모교육프로그램이 부모지원행동을 효과적으로 변화시키는지 확인하고, 부모지원행동의 변화가 자녀의 신체활동과 사회성기술 변화에 얼마나 효과가 있는지 단일대상연구 방법 중 ABA설계 방법을 사용하여 알아보았다. 연구참여자는 서울시 노원구에 소재한 D재활체육센터에서 장애인신체활동프로그램을 이용하고 있는 발달장애 자녀를 둔 부모 다섯 명과 그들의 자녀 다섯 명을 목적표집법을 통해 모집하였다. 부모교육 프로그램은 주 1회 회기별 30~100분 동안 차등을 두고 8회기 교육을 시행하였다. 실험절차는 기초선 3회, 중재프로그램 8회, 유지 3회를 포함하여 총 14회기를 진행하였다. 부모지원행동 검사는 Parental Physical activity Support Questionnaire[PPSQ]를 이용하여 14회, 자녀의 중⋅고강도 신체활동량은 GENEActiv 가속도계를 이용하여 6회, 사회성기술은 교사용 사회적기술평정척도 Social Skills Rating System[SSRS]를 이용하여 14회 측정하였다. 측정된 자료 중 신체활동량 측정에 결측치를 나타낸 자녀 한 명의 자료를 제외하고 네 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부모교육은 부모지원행동의 빈도수를 증가시키는수준과 경향을 나타냈다. 또한, 부모지원행동의 빈도수 증가와 동일하게 자녀의 중⋅고강도 신체활동량과 사회성기술의 수준 및 경향이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부모교육 중재프로그램은 부모지원 행동에긍정적인 변화를 주고, 부모지원의 긍정적 변화는 자녀의 신체활동과 사회성기술 촉진에 긍정적으로 변화시킬 수있다고 사료된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현장 상황을 고려한 다양하고 유용성 있는 부모교육프로그램이 더욱 개발되기를 바라며, 수시 교육을 통해 발달장애 아동의 신체활동과 사회성기술 촉진을 위한 촉매 역할을 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자폐성장애 아동의 사회성 기술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내적변인과 환경변인 간의 구조 방정식 모형 검증

        강민채 ( Min Chae Kang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1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2 No.3

        이 연구에서는 자폐성장애 아동의 사회성 기술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의 직접적인 관계 및 간접적인 관계를 알아보고자 자폐아동의 담임교사와 자폐아동을 양육하는 부모를 대상으로 한 질문지 각각 180부 최종 360부를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SPSS(ver. 14.0K)와 AMOS 4.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경로모형 분석에 사용되었다. 첫째, 자폐성장애 아동의 사회성 기술과 개인 내적변인간의 관계는 자폐정도는 자폐성장애 아동의 사회성기술에 영향을 미치는 직접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폐성장애 아동의 사회성기술과 환경변인 간의 관계에서는 교사와의 상호작용이 자폐성장애 아동의 사회성 기술에 영향을 미치는 직접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폐성장애 아동의 개인 내적 변인및 환경변인 간의 관계는 어머니의 거부적 양육태도는 아동의 문제행동 변인 간에 직접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폐성장애 아동의 사회성 기술과 개인 내적변인 및 환경변인 간의 관계는 자폐성장애 아동의 개인 내적 변인인 자폐정도는 자폐성장애 아동의 사회성 기술에 부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직접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폐정도는 교사와의 상호작용을 매개변인으로 하여 자폐성장애 아동의 사회성 기술에 영향을 미치는 간접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s among the important variables that affect the social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and analyzed a total of 360 articles of teacher and parents of young children with autistic disorder. The data were analyzed wit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by using SPSS(ver. 14.0K) and AMOS 4.0. Conclusion which is based on above mentioned debated study result follows: First, analyzing relation of social skills of children with autistic disorder and individual internal variables(grade of autism, problem behavior). Grade of autism proved it affects direct influence to social skills of children with autistic disorder. Second, analyzing relation of social skills of children with autistic disorder and environmental variables(interaction of families, mother’s affectionate breeding attitude, mother’s refusal breeding attitude, interaction with teachers). Interaction with teachers proved it affects direct influence to social skills of children with autistic disorder. Third, analyzing the relation between individual internal-environmental variables of children with autistic disorder, mother’s refusal breeding attitude approved as it affects direct influence to children’s problem behavior. Fourth, analyzing relation of social skills and individual internal-environmental variables of children with autistic disorder, grade of autism which is individual internal variables of children with autistic disorder approved as it affects direct influence to social skills of children with autistic disorder, and also it affects indirect influence to social skills of children with autistic disorder by intermediating Interaction with teachers. Interaction with teachers which is environmental variables approved as it affects direct influence to social skills of children with autistic disord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