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회적 기업의 경영특성이 사회·경제적 성과에미치는 영향 - 경상북도를 중심으로 -

        나선영,이성근 대한지방자치학회 2014 한국지방자치연구 Vol.16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적 기업의 경영특성이 사회·경제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관련이론 및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사회적 기업의 경영특성, 사회·경제적 성과, 사회·경제적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았고 실증분석을 통해사회적 기업의 경영특성이 사회·경제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경상북도의 예비사회적 기업을 포함한 사회적 기업이고 이를 대상으로 사회적 기업의 경영특성과 사회·경제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 및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2013년 10월21일부터 26일까지 조사를 진행하였고 총 164부를 배포하였으며 유효조사부수는 130부이다. 조사된 설문지는 SPSS 18.0을 이용하여 t-test, 빈도분석,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기업을 시부에 입지한 사회적 기업과 군부에 입지한 사회적 기업으로 구분하여 경영특성을 살펴본 결과 적절한 업종선정, 창업시의 충분한 시장조사, 고객입장의 아이디어 검토, 신규시장 확보노력, 위험을 감수한 신규사업 도전, 구성원간 비전공유, 경영활동 결과의 구성원 공유, 창의적 사고와 아이디어의 존중, 사회적 종사의 자부심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사회적기업의 경영특성은 적절한 업종선정, 풍부한 기술력과 경험, 신규시장 확보노력, 투자 및성장전략의 수립과 실천, 구성원 간 원활한 인간관계, 사회보험료 지원제도 이용 등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 기업의 경영특성이 사회·경제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결과, 조직문화, 정부정책, 경영역량이 사회적 성과에 영향을 미치고, 경영전략과 정부정책이 경제적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management characteristicof the social enterprise on the social and economic achievements. To accomplis thispurpose, the factors which affect the management characteristics, economic and socialachievement of the social enterprise were surveyed through consideration of relatedtheories and precedent studies and the effect of the management characteristics ofsocial enterprise on the social and economic achievements was analyzed. The studyobjects are the social enterprises including the preliminary social enterprises inGyeongsangbukdo and the effect on the management characteristics and social andeconomic achievements were analyzed using these study objects. The main study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survey result of the management characteristics by dividing the social enterprises intothe social enterprises located in the city sector and the social enterprises located inmilitar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ppropriate business type selection,sufficient market survey during business foundation, idea review from the customer'spoint of view, new market securing efforts, challenge into the new business bearingdanger, vision sharing among the members, sharing of the management activity resultsamong the members, respect of creative thoughts and ideas and pride in socialemployment etc. Second, as for the management characteristic of the social enterprise,the appropriate business type selection, affluent technological power and experience,new market securing efforts, establishment of and efforts for the investment andgrowth strategy, smooth relationship among members and use of social insurance feesupport system etc were shown to be high. Third,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survey on the effect of the management characteristics of the social enterprise on thesocial and economic achievements, the organizational culture, government policy andmanagement capability affected the social achievements and the management strategyand the government policy affected the economic achievements.

      • KCI등재

        사회적기업의 사회적성과 분석 및 정부지원금의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윤경옥,손희정,오웅락 한국세무학회 2018 세무와 회계저널 Vol.19 No.2

        This study has prove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enterprise’s economic performance and social performance, and analyzed if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relationship of economic performance and social performance depending on differences in firm size and authentication type. Additionally, we researched about what kinds of effects do social enterprise’s management performance have on government funds. To prove this, the study period is from 2007 to 2015, and analyzed 226 companies/yearly social enterprises as a sample. The major analysis results of the study are;firstly, we analyzed effects that social enterprise’s economic performance have on social performance. As a result of this, it represented that self employment rate for vulnerable social groups is low as debt ratio and the rate of government funds are high, but it was analyzed that self employment rate for vulnerable social groups is high as asset turnover ratio is high. On the other hand, it represented that the economic performance don’t have significant effect on employment rate for vulnerable social groups. Secondly, as a result of analysis of influence that difference of firm size and authentication type have on the economic performance’s relevance of social performance, it represented that both of them don’t have a big influence. Finally, as a result of analysis about the influence of social enterprise’s management performance on the government funds, it represented that self employment rate for vulnerable social groups gets low when debt ratio gets high, and self employment rate for vulnerable social groups gets high when sales growth rate and asset turnover ratio are high. The study has a meaning on showing the effects that social enterprise’s economic performance have on social performance and the influences which social enterprise’s management have on government funds by using the financial statements of social enterprises which are announced on Korea Social Enterprise Promotion Agency. 본 연구는 사회적기업의 경제적성과와 사회적성과의 관련성을 검증하였고, 기업규모와 인증유형의 차이에 따라 이러한 경제적성과와 사회적성과의 관련성에 차이가 발생하는지를 분석하였다. 또한 사회적기업의 경영성과가 정부지원금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도 연구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서, 본 연구는 2007년부터 2015년까지를 연구기간으로 하고 226개 기업/연도의 사회적기업을 표본으로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기업의 경제적성과가 사회적성과에 미치는영향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부채비율과 정부지원금비율이 높을수록 취약계층자체고용비율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총자산회전율은 높을수록 취약계층자체고용비율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반면에 경제적성과는 취약계층고용비율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업규모와 인증유형의 차이가 경제적성과의 사회적성과 관련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두 가지 모두 큰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기업의 경영성과가 정부지원금에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부채비율이 높을수록 취약계층자체고용비율은 낮아지고 매출액증가율과 총자산회전율이 높을수록 취약계층자체고용비율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에 공시된 사회적기업들의 실제 재무제표를 이용하여, 사회적기업의 경제적성과가 사회적성과에 미치는 영향력과 사회적기업의 경영성과가 정부지원금에 미치는영향력을 보여준 연구라는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조직특성이 사회적 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

        이준희(Lee, Jun Hee) 충북대학교 국제개발연구소 2016 사회적경제와 정책연구 Vol.1 No.1

        본 연구에서는 조직특성을 소통유형, 네트워크, 조직구조, 조직문화, 조직미 션 및 조직비전으로 구분하고 이러한 조직특성이 사회적 기업의 경제적 성과 와 사회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실증 분석을 위해 10개의 가설을 설정하고, 26개의 세부가설을 정한 후 상 관분석과 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소통유형이 사회적 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살펴보면 경 제적 성과에는 정서적 소통이 사회적 성과에는 업무적 소통이 성과에 가장 적합한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네트워크가 사회적 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 향 관계를 살펴보면 경제적 성과에는 민간기업과의 협력, 다른 사회적기업과 의 협력, 정부와의 협력 순으로 성과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성과 에는 다른 사회적 기업과의 협력, 정부와의 협력, 민간기업과의 협력 순으로 성과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직구조가 사회적 기업의 성과에 미 치는 영향 관계를 살펴보면 경제적 성과에는 복잡성만 유의한 영향을 주고, 사회적 성과에는 조직구조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조직문화가 사회적 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살펴보면 경제 적 성과에는 과업문화가 사회적 성과에는 위계문화가 성과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조직미션과 조직비전이 사회적 기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살펴보면 조직미션만이 경제적 성과와 사회적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크게 세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째, 조직성과와 밀접한 조직특성을 분류하고 사회적 기업에 적용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둘째, 조직특성에 따른 사회적 기업의 성과를 실증적으로 검 증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셋째, 조직특성의 하위변인들에 따른 경제적 성과 와 사회적 성과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함으로써 사회적 기업의 기업가 및 정부의 정책에 시사점을 주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조직특성이 기업의 내부 외부환경, 기업의 성장단계에 따라 변할 수 있는 만큼, 조직특성 측정에 오차가 있을 수 있다는 한계점을 가진다. 이러한 연구의 한계에도 불구하고, 조직특성에 따른 사회적 기업의 경제적 성과와 사회적 성과를 함께 분석함으로써 향후 정부의 사회적 기업의 지원정책과 기업가에게 새로운 토대를 마련해 줄 것으로 기대한다. The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those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on the economic and social performance of social enterprises. The findings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tudy examined the impacts of types of communication on social enterprise performance and found that emotional and work communication was the most appropriate for economic and social performance, respectively. Second, the study also examined the effects of network on social enterprise performance and found that cooperation with private companies was the most appropriate for economic performance, being followed by cooperation with other social enterprises and cooperation with the government in the order. Cooperation with other social enterprises was the most proper for social performance, being followed by cooperation with the government and cooperation with private companies in the order. Third, as for the influences of organizational structure on social enterprise, only complexity had significant influences on economic performance with no significant influences of organizational structure on social performance. Fourth, as for the effects of organizational culture on social enterprise performance, task culture and hierarchical culture seemed to be fit for economic and social performance, respectively. Fifth, as for the impacts of organizational mission and vision on social enterprise performance, only organizational mission had significant impacts on economic and social performance.

      • KCI등재

        Z-score를 활용한 사회적기업의 시도별 사회경제적 성과지수: 일자리제공형 사회적기업을 중심으로

        이찬영,최지혜 한국산업경제학회 2020 산업경제연구 Vol.33 No.3

        In this study, the socioeconomic performance index of 15 cities and provinces is derived using the 2019 Autonomous Management Disclosure Data(focused on 534 job-providing social enterprise) provided by the Korea Social Enterprise Promotion Agency. Methods Z-score (standard normal distribution) primarily transforms the basic indicators of social and economic performance and generates a combined index of the two variables to give scores by region according to location and aggregate them to produce socioeconomic performance indices. In detail, economic performance is assessed using efficiency, labor productivity and profitability, and social performance is measured through labor integration, working conditions for the vulnerable and diversity of decision-making. According to the analysis, economic performance was found to have a wide gap across cities and provinces compared to social performance, followed by high economic performance in Jeonbuk, Seoul and Gyeonggi Province. Social achievements were forming a third-place finish in Incheon and Ulsan, with Jeonbuk and Gyeonggi tied for first. Looking at economic and social achievements, Jeonbuk, Gyeonggi, Seoul, and Chungbuk were both found to be better than other cities and provinces. It is meaningful that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socioeconomic performance of social enterprises by city and province for the first time. However, because of its strong exploratory nature, it leaves follow-up tasks such as expanding performance variables, reflecting expert groups' opinions on weighting by item, and analyzing interim support organizations for social enterprises. 본 연구에서는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에서 제공하는 2019년 자율경영공시자료(534 개 일자리제공형 사회적기업 대상)를 이용하여 15개 시도의 사회경제적 성과지수 를 도출한다. 방법론으로는 Z-score(평균 0, 표준편차 1인 분포 전환)를 통해 사회 적, 경제적 성과에 관한 기본 지표를 일차적으로 변환하고 두 변수의 결합지표를 생성하여 위치에 따라 영역별 점수를 부여하고 이를 집계하여 사회경제적 성과지 수를 도출한다. 세부적으로는 효율성, 노동생산성, 수익성을 이용하여 경제적 성과 를 평가하고 노동통합, 취약계층의 근로여건, 의사결정의 다양성을 통해 사회적 성 과를 측정한다. 분석결과, 사회적 성과에 비해 경제적 성과는 시도 간 격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고 전북, 서울, 경기 순으로 경제적 성과가 높았다. 사회적 성과는 전북과 경기가 공동 1위를 기록한 가운데 인천과 울산이 3위권을 형성하고 있었 다. 경제적 성과와 사회적 성과를 종합해서 살펴보면 전북, 경기, 서울, 충북이 두 성과 모두 타 시도에 비해 양호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본 연구는 사회적기업의 시 도별 사회경제적 성과를 처음으로 비교 분석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다만 탐색적 성격이 강하기 때문에 성과 변수 확충, 항목별 가중치에 대한 전문가집단 의견 반 영, 사회적기업 대상 중간 지원 조직에 관한 분석 등은 후속과제로 남겨둔다.

      • KCI등재후보

        사회적기업의 사회적․경제적 성과에 관한 연구

        홍효석,김예경 한국회계정보학회 2016 재무와회계정보저널 Vol.16 No.1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organizational forms, authentication types, democratic decision-making structures, and government and general funds on social and economic results. First, social enterprises with corporation type of organization have higher social result (employment rate for tier-employment) than cooperative associations, other(joint stock, partnership) over corporation type of organization, and non-profit organizations over cooperative associations. On economic performance, social enterprises with corporation type of organization had higher operating profits than non-profit organizations. There were no other performance differences between other type of organizations. Moreover, there was no difference in relations between organization type and net profit. Secondly, although job offer type of social enterprises have higher social result(employment rate for tier-employment) than mixed social enterprises and other social enterprises, job offer type of social enterprises provided no economic results. Thirdly, there were no distinct differences in social results between social enterprise with democratic decision-making structure(labor union formation & employee involvement in operating/management committees) and those enterprises that did not. However, social enterprises with democratic decision-making structure had rather lower net income. Forth, labor cost fund and social insurance support by the government have positive effect on social result(employment rate for tier-employment) that may bring larger impact on social enterprise role in employment rate for tier-employment However, economic performance of net income appeared to have no effect on both government and general funds. Labor cost subsidies by government and other government funds had negative effect on economic performance of operating profit. Moreover, corporate funding, government had negative effect on general funds. This study points out the internal problems within social enterprises and provides helpful steps to strength ability and select performance evaluations for social enterprises. Moreover, data based upon statistics provided by Korea Social Enterprise Promotion Agency delivers an objective analysis. However, due to the nature of research solely based upon Korea Social Enterprise Promotion Agency’s statistics limited the study from providing accurate measurements in social and economic results and measuring other influential factors on social enterprises. 본 연구는 사회적기업의 조직형태, 인증유형, 민주적 의사결정구조, 정부지원금 및 일반지원금 등이 사회적 성과와 경제적 성과에 어떤 영향이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첫째, 주식회사 조직형태의 사회적기업이 협동조합보다 사회적 성과(취업계층고용율)가 더 높으며, 주식회사 조직형태의 사회적기업보다는 기타(합자․합명회사)가, 협동조합보다는 비영리기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적 성과에 있어서는 주식회사 조직형태의 사회적기업이 비영리기관보다 영업이익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른 조직형태 간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직형태와 경제적 성과인 당기순이익 간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일자리제공형 사회적기업이 혼합형 사회적기업과 기타형 사회적기업보다 사회적 성과(취약계층고용율)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경제적 성과와는 무관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민주적 의사결정 조직구조(노사협의체 구성 및 운영위원회의 직원참여)를 가진 사회적기업과 그렇지 않은 사회적기업간에는 사회적 성과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민주적 의사결정 조직구조를 갖는 사회적기업이 그렇지 않은 사회적기업보다 당기순이익이 오히려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정부지원금 중 인건비지원과 사회보험료지원이 사회적 성과(취약계층고용율)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남으로써 사회적기업의 취약계층 고용에 큰 도움을 주고 있다고 하겠다. 경제적 성과인 영업이익에는 정부인건비지원금과 기타정부지원금이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반지원금에서는 기업지원금과 모기관지원금 그리고 일반지원금이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경제적 성과인 당기순이익에는 정부지원금과 일반지원금 모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사회적기업의 내재적 문제점을 지적하고 역량강화 및 성과평가 요인의 선정 등을 제시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또한,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에 공시된 자율경영공시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이 이루어짐으로써 보다 객관적인 자료에 근거한 분석결과라 하겠다. 그러나 자율경영공시 자료에 국한된 관계로 다양한 사회적 성과와 경제적 성과를 측정할 수 없었던 점과 영향요인들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지지 못한 점은 한계점이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사회적기업 창업성과 영향요인 연구

        김용태,박재환 한국경영교육학회 2013 경영교육연구 Vol.28 No.2

        This study has the purpose to find the affecting factors for the social enterprise entrepreneurial performance. Also this study were trying to expand to successful factors and models examining advanced foreign social enterprises. This study analyzed 185 domestic social enterprises that certified by government as a social enterprise. The factors of social enterprise were defined with 3 factors such as a social entrepreneurship, management competency, organizational culture, and 2 moderating factors, government assistant policy, social network. The Summarized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novativeness', 'Proactiveness', 'Risk-Taking', 'Social Value Orientation' of social entrepreneurship dimensions affects the economic performance. 'Innovativeness', 'Proactiveness', 'Social Value Orientation' of social entrepreneurship dimensions affects the social performance. Second, Social Entrepreneur's Competency dimensions are affects the economic performance. Competency of social entrepreneur affects profit performance directly. Third, the factors of organizational culture affects performance slightly that means today's social enterprise is weak in the systematic factors. Fourth, Government Assistance Policy and Social Network are moderating between social entrepreneurship, competency, organizational culture and performance. Especially social network dimensions are major critical factor revealed in empirical analysis in this study. Lastly, social enterprise's economic performances are affects meaningfully to social performance. It is found that to raise competency of social enterprise is more important than government support. 본 연구는 사회적기업의 창업성과 영향요인인 사회적 창업가정신(social entrepreneurship), 경영역량, 조직문화 및 정부지원정책과 사회적 네트워크 등이 사회적기업의 경제적 성과 및 사회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모형을 구축하고, 설정된 연구가설의 검증을 위해 사회적기업 185개를 대상으로 실증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사회적 창업가정신의 세부 요인인 혁신추구성, 진취성, 위험감수성 등은 경제적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위험감수성의 경우 사회적 성과 창출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둘째, 경영역량은 경제적 성과 및 사회적 성과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친 바 있다. 셋째, 기업의 혁신지향, 과업지향 조직문화는 경제적 성과에, 혁신지향 및 관계지향 조직문화는 사회적 성과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정부지원정책과 사회적 네트워크는 경제적 성과 및 사회적 성과에 유의한 조절효과를 나타냈다. 본 연구가 시사하는 바는 정부지원정책의 활용도 및 사회적 네트워크가 높을수록 경제적 성과 및 사회적 성과가 증가하는 조절효과를 실증분석한 점이다. 본 연구결과 향후 사회적기업의 지속적 성장과 발전을 위해서는 정부의 직접적 지원의 효율성을 높이고 기업의 내부 경쟁력을 갖추는 것이 우선적인 과제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사회적기업가정신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관계적 자원 및 자원동원력의 매개효과

        박노윤,설현도 대한경영학회 2022 大韓經營學會誌 Vol.35 No.11

        사회적기업가정신이 사회적기업의 중요한 성장동력으로 제시되고 있다. 그런데 기존 연구를 보면 사회적성과에 대한 사회적기업가정신의 긍정적인 영향은 대체로 일관성 있게 나타나고 있지만, 경제적 성과에 대해서는그렇지 않다. 그래서 조직성과, 특히 경제적 성과에 대해 사회적기업가정신이 미치는 영향을 명확하게 규명할필요가 있다. 그리하여 본 연구는 사회적기업의 최고경영자가 발휘하는 사회적기업가정신이 조직성과(경제적성과, 사회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다. 그리고 매개변수로 관계적 자원과 자원동원력을 도입하여사회적기업가정신이 조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을 살펴본다. 본 연구를 위해 사회적가치연구원이 SPC 참여기업을 대상으로 2021년에 시행한 설문조사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기업가정신은 사회적 성과뿐만 아니라 경제적 성과에도 긍정적인영향을 미쳤다. 둘째, 관계적 자원은 사회적기업가정신과 조직성과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원동원력은 조직 내부의 관계적 자원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조직 외부의 관계적 자원이 경제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부분 매개하고 사회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사회적기업가정신이 비즈니스를 통해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는데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함을 보여준다. 또한 관계적 자원은 자원동원력을 통해 사회적기업의 경쟁력 확보에중요한 자원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사회적기업의 성과 및 지속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장영란,홍정화,차진화 한국회계정보학회 2012 회계정보연구 Vol.30 No.2

        This study investigates the factors which have influence on the social enterprise’s performance and sustainability.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 looked into theoretical background and prior research by literature review. This study also performed questionnaires method with employees of social enterprise and reserve social enterprise. I distributed 700 questionnaires and 258 copies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out of 260 collected questionnair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below. First, as a result of analysis for the factors effect economic performance of social enterprise, economic performance of social enterprise gets higher, as CEO capability goes higher, employees capability goes higher, accounting system level goes higher, and social enterprise certification score goes higher. However, ‘completion of academy for social enterprise entrepreneur’ and ‘corporate governance of social enterprise’ did not present significant effect on economic performance of social enterprise. Second, as a result of analysis for the factors effect social performance of social enterprise, social performance of social enterprise gets higher value, if CEO capability is higher, employees capability is higher, curriculum for social enterprise entrepreneur is well completed, corporate governance is more democratic, and social enterprise certification score is higher. Third, as a result of analysis of correlation between social enterprise’s economic performance and social performance, social performance is negatively related to economic performance. This means that if the enterprise performs more social contribution such as employment of the weak and offering social service, the value for economic performance goes lower. Fourth, as a result of analysis for the effect of social enterprise performance on sustainability, with the higher value of economic and social performance, sustainability of social enterprise goes higher. This result means that sustainable management will be possible if the social enterprises achieve economic performance and social performance simultaneously.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기업의 구성원 특성 요인(최고경영자의 역량, 종업원 역량, 사회적기업가 교육 이수)과 사회적기업의 기업 특성 요인(지배구조, 회계시스템, 사회적기업 인증성적 )이 사회적기업의 경제적 성과과 사회적 성과 및 지속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우선 문헌적 연구방법에 의하여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를 정리하고, 이어서 설문지법을 통하여 사회적기업 및 예비사회적기업의 근무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지 700부를 배부하여 260부를 회수하여 이 중 258부를 통계적 분석에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기업의 경제적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분석결과, 최고경영자의 역량이 높을수록, 종업원 역량이 높을수록, 회계시스템의 운영이 좋을수록, 사회적기업 인증시 성적이 높을수록 사회적기업의 경제적 성과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구성원 특성 요인 중 사회적기업가 교육과정 이수와 기업 특성 요인 중 사회적기업의 지배구조, 그리고 사회적기업의 인증여부는 경제적 성과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기업의 사회적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분석결과, 최고경영자의 역량이 높을수록, 종업원 역량이 높을수록, 사회적기업가 교육과정을 잘 이수할수록, 회계시스템의 운영이 좋을수록, 사회적기업의 지배구조가 민주적일수록, 사회적기업 인증시 성적이 높을수록 사회적기업의 사회적 성과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사회적기업의 인증여부는 사회적 성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기업의 경제적 성과와 사회적 성과간의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사회적 성과는 경제적 성과에 음(-)의 유의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역시 경제적 성과도 사회적 성과에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회적기업의 성과가 지속가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사회적기업의 경제적 성과가 높을수록, 그리고 사회적 성과가 높을수록 사회적기업의 지속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적기업의 인증여부도 지속가능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사회적가치와 정부지원금이 경제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사회적기업을 중심으로

        최아름 한국자료분석학회 2019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1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social values and the economic effects of government subsidies.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24 social enterprises selected three times in a row from 2015 to 2017 were selected in the good social enterprise award of the Economic Justice Institut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thical value of social enterprises has been shown to affect their economic performance. Social enterprises have profitable and non-profitable nature and have the purpose of realizing the public value, ethical value and economic value. In particular, diversity of stakeholders to realize ethical value, democratic decision-making structure and ethical management practice are important factors, and efforts to create ethical values will also be important factors in securing social enterprise sustainability. Second, government subsidies were found to have a partial effect on the economic performance of social enterprises. As professional human resources support projects are shown to affect economic performance, it is deemed necessary to clarify the criteria for government support for social enterprises and to develop practical support policies for economic and social achievement. 본 연구는 사회적기업의 사회적가치와 정부지원금이 경제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사)경제정의연구소의 좋은 사회적기업상에 2015년부터 2017년까지 3번 연속 선정된 24개 사회적기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기업의 윤리적가치가 경제적성과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기업은 영리와 비영리 두 가지 성격을 지니며 공익적가치와 윤리적가치, 경제적가치 실현에 대한 목적을 가지고 있다. 특히, 윤리적가치 실현이 경제적성과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함에 따라 사회적기업의 윤리적가치 창출을 위한 윤리경영실천 노력, 이해관계자의 다양성과 민주적인 의사결정구조를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러한 노력은 향후 기업의 지속가능성 확보차원에서도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할 적으로 판단된다. 둘째, 정부보조금이 사회적기업의 경제적성과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지원금 중 전문인력지원사업이 경제적성과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사회적기업에 대한 정부지원금 기준을 명확히 하고 경제적ㆍ사회적성과 창출을 위한 실질적인 지원정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사회적기업가정신이 사회적・경제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 지역자산활용도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최무현(Moo Hyun Choi),고은주(Eun Ju Ko) 한국국정관리학회 2019 현대사회와 행정 Vol.29 No.2

        본 연구는 사회적기업가정신이 지역자산 활용을 매개로 하여 경제적․사회적 성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하여 실증적으로 분석을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이러한 논의를 종합하여 앞으로 지역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함의를 모색하고자 한다. 사회적기업가정신, 지역자산 활용, 성과(사회적, 경제적)의 관계를 6개의 151개 사회적경제조직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를 통해 얻은 자료를 활용하여 기술분석, 상관관계,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통해 실증분석하였다.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기업가정신이 지역자산활용, 사회적성과, 경제적 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역자산 활용의 경우는 사회적 성과에는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경제적 성과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확인하지 못했다. 셋째, 사회적기업가정신이 지역자산 활용을 매개로 해서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지를 분석한 결과, 사회적 성과의 경우는 사회적기업가정신이 지역자산 활용을 매개로 해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경제적 성과에는 유의미한 결과를 보여주지 못했다. 넷째, 사회적기업가정신의 하위변수 중에서도 사회적목적 변수가 혁신이나 실행 변수보다 성과에 중요하였으며, 지역자산활용의 경우 사회적 성과는 지역기관 활용이, 경제적 성과는 지역시설 활용이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밖에 설립시기나 사회적기업 인증여부는 큰 영향을 보이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사회적기업 인증이 사회적 성과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an empirical analysis of how social entrepreneurship affect economic and social performance by means of the utilization of regional assets. And we will seek policy implications for regional revitalization in the futur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entrepreneurship, utilization of regional assets, and performance(social and economic) was analyzed through analysis of basic statistics, correlations, and structured models, using those obtained from surveys of 151 social economic organizations in six region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shown that social entrepreneurship have a positive impact on regional asset utilization, social performance and economic performance. Second, the use of regional assets has been shown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social performance, but no significant impact has been identified on economic performance. Third, the analysis of whether social entrepreneurship affects performance by means of the utilization of regional assets shows that social entrepreneurship has a positive effect by mediating the utilization of regional assets, but it has not shown significant results in economic performance. Fourth, among specific variables of social entrepreneurship, social purpose variables were more important to performance than innovation or implementation variables, and in specific variables of the utilization of regional assets, social performance was found to have a greater impact on the utilization of regional institutions and the economic performance of regional facilitie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social enterprise certification of the government did not have much effect on social perform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