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비판적 담론 분석과 비판적·해방적 학문

        신진욱(Jin-Wook Shin) 비판사회학회 2011 경제와 사회 Vol.- No.89

        이 연구는 오늘날 담론분석과 문화연구 분야의 중요한 흐름을 형성하고 있는 비판적 담론분석 학파의 비판적 - 해방적 목표와 대표적인 담론분석의 연구사례들을 검토하여, 비판적 담론 분석의 한계와 문제, 과제를 정식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비판적 담론분석 학파는 담론을 단지 언어적 텍스트와 기호체계로 이해하지 않고, 사회적 총체의 한 계기로서 작용하는 사회적 실천으로 간주한다. 특히 사회의 지배관계를 재생산하고 강화하는 데 기여하는 담론의 질서와 언어적 장치들을 규명하여, 그것의 이데올로기적 자명성을 해체하고 해방적 인식의 가능성을 여는 것이 핵심적 목표다. 담론분석의 연구실제에서 그와 같은 비판적 - 해방적 인식관심은 무엇보다 담론의 권력효과, 이데올로기의 언어적 장치들, 지배담론의 역사적 전승과 사회적 확산 기제를 규명하는 것을 통해 구현됐다. 그러나 비판적 담론 분석은 지배관계를 치밀하게 폭로하기보다는 규범적 판단을 선언적으로 전제하는 경향이 있으며, 언어적 전략과 장치에 대한 분석에 국한되어 국가권력과 자본주의의 작동양식에 대한 분석을 유기적으로 통합하지 못했고, 담론의 지배기능과 헤게모니 효과를 드러내는 데 치중하여 담론의 적대성과 균열, 담론투쟁의 역동성을 포착하지 못했다는 한계를 갖고 있다. 이상의 한계를 극복했을 때 비판적 담론 분석의 비판적 · 해방적 목표는 힘과 예리함을 더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conduct a sympathetic criticism of the critical discourse analysis approach by way of the critical reassessment of their criticalemancipatory interest and some major research practices. The CDA school criticized the formal notion of discourse as a linguistic text corpus and semiotic system, and understood it as a social practice which functions as a constituent moment of the social totality. In particular, the main purpose of the CDA is to inquire into the order of discourse and linguistic devices which contribute to the reproduction and reinforcement of the system of domination within a society, and to disintegrate their ideological self-evidence and to open up the possibility of an emancipatory discourse. In the research practices of discourse analysis, such a critical-emancipatory interest was realized by way of investigating and revealing the power effect of discourses, the ideological linguistic devices, and the mechanisms of historical transmission as well as systemic diffusion of the dominant discourses. Despite the immense significance of these theoretical elaborations and research contributions of the CDA, however, the CDA tended to start from a declaratory moral-political judgment instead of exposing the reality of domination and injustice; was not that successful in integrating a deeper analysis of the state power and capitalism into the discourse analysis; and gave undue value upon the hegemonic effect of the dominant discourses, while overlooking the antagonism, rupture, and struggles within the field of discursive interactions in society.

      • KCI등재

        교육정책 분석을 위한 방법론 탐색: Fairclough의 비판적 담론분석

        손흥숙 한국교육학회 2013 敎育學硏究 Vol.51 No.1

        Fairclough의 비판적 담론분석 기법은 교육정책의 담론과 사회와의 관계를 보다 구체적이고 상세하게 읽어내는 데 유용한 연구방법론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내 교육정책 분석에서 Fairclough의 비판적 담론분석 방법이 활발하게 활용되지 않고 있다. 그것은 Fairclough의 비판적 담론분석 방법이 교육정책을 분석하기 위한 도구로서 체계적으로 소개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한국 교육정책의 비판적 담론분석의 활성화를 위한 하나의 일환으로서, 정책 텍스트 분석 사례를 바탕으로, Fairclough의 비판적 담론분석 방법의 체계적인 분석 단계를 상세하게 소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Fairclough의 비판적 담론분석은 비판적 담론분석의 한 갈래이며, 1990년대 이래로 발전해 오고 있다. 2000년대에 들어, Fairclough는 1단계 기호학적 사회문제 찾기, 2단계 사회문제 분석, 3단계 사회문제와 사회체제와의 관계 분석, 4단계 정책의 긴장, 모순, 간격 분석, 그리고 5단계 연구의 비판적 숙고 등의 5단계의 분석틀을 제시하였다. Fairclough의 비판적 담론분석은 한국 교육정책의 담론과 사회적 의미 사이의 관계뿐만 아니라 교육정책에서의 권력관계와 이데올로기의 영향을 밝히고자 할 때, 그리고 궁극적으로 진보적 사회변화를 위한 과학적 근거를 모색하고자 할 때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한국의 교육정책 연구가 ‘정책을 위한 연구’에 집중되어 있는 실정에서, 한국 교육정책의 비판적 담론분석의 활성화는 ‘교육정책에 대한 연구’의 활성화에도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 다만, Fairclough의 비판적 담론분석의 한계를 극복하려는 노력도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Fairclough’s critical discourse analysis is useful to explain and interpret the relationships between education policy discourse to the social meanings. Nevertheless, Fairclough‘s critical discourse analysis has not been actually vastly underutilized in Korean education policy analysis. This study starts in the critical mind that Fairclough‘s critical discourse analysis has not been introduced as research method of education policy. Thus this study is focus on the introduction of Fairclough's critical discourse analysis as one of the research methods of education policy. Fairclough's critical discourse analysis has developed as one of the critical discourse analysis approaches since 1990s. By 2000s, Fairclough introduced an analytical framework of 5 stages: stage 1: A social problem in its semiotic aspect, stage 2: Identify obstacles to it being tackled, stage 3: Does the social order 'need' the problem? stage 4: Possible ways past the obstacles, stage 5: Reflection on the analysis. Fairclough analysed the Green Paper on Welfare Reform to show how to use this analytical framework. Fairclough's critical discourse analysis is appropriate for critical policy analysis because it allows a detailed investigation of the relationships of policy discourse to social processes, power and ideology. Education policy analysis has been concentrated in 'the study for policy' in Korea. I expect that Fairclough‘s critical discourse analysis plays a role stimulating 'the study of policy'. But we also must try to get over limits of Fairclough‘s critical discourse analysis.

      • KCI등재

        담론분석과 담론의 정치학

        이기형(Kee-Hyeung Lee)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006 언론과 사회 Vol.14 No.3

        지식생산 자체가 다변화되고 대중화되는 탈경계, 다매체, 탈전통화 그리고 세계화의 시대의 담론은 다양한 학문과 제도의 경계를 가로지르면서 지식과 상징의 영역을 적극적으로 형성하는 힘이자, 이 시대의 대표적인 개념어다. 담론분석은 말과 사물, 문화와 권력작용, 그리고 제도적 실행이 결합되는 양상과 그러한 결합이 주는 효과를 구체적이고 역사적인 관점을 통해서 규명하려는 방법론이며, 인간과학의 전 분야에 심대한 영향을 준 ‘언어적’ 그리고 ‘문화적인 전환’을 강조하는 매우 특수한 인식론을 기반으로 한다. 특히 담론분석이 중시하는 담론의 물질성과 사건성 그리고 권력작용과의 결합은 전통적 의미의 사회분석과 문화비평의 방식을 급격하게 해체하는 기능을 수행했다. 이 테마논문의 목적은 미셀 푸코의 담론개념과 그의 작업을 선택적으로 계승하는 비판적 담론분석(Critical Discaurse Analilysis)의 연구자들의 연구를 중심으로 현 단계 문화연구와 미디어연구 그리고 지식생산의 중요한 화두이자 주묘한 방법론으로 인지되는 담론분석을 체계적으로 자리매김하는 데 있다. Discourse is one of the most frequently used concepts in cultural criticism and cultural studies. And yet its multidimensional use in different disciplines and genres tend to create some interpretive problems and misunderstandings. This paper aims to present several informed interpretations of what discourse means and does. It will also explore multiple ways discourse and discourse analysis have been adopted and employed in cultural studies and media criticism by focusing and elaborating on Foucault's work and Critical Discourse Analysis.

      • KCI등재

        여성고용정책에 대한 비판적 담론 분석 - 경력단절여성을 위한 경제활동촉진법을 중심으로 -

        김학실 한국자치행정학회 2015 한국자치행정학보 Vol.29 No.3

        본 연구는 ‘경력단절여성을 위한 경제활동촉진법’ 제정과정에서 드러난 담론과 이데올로기를 페어클로의 비판적 담론분석 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그동안 고용정책 대상으로 주목하지 않았던 경력단절여성을 주요한 정책 대상으로 선택한 이유는 우리사회가 직면했던 저출산 및 고령화, 사회서비스 욕구 증가, 경제 성장의 문제의 측면이 두드러졌지만, 당시 여성부의 영역 확장의 문제도 중요한 담론이었다. 분석결과, 첫째, 텍스트 분석결과 여성고용은 ‘국가경쟁력 강화를 위한’, ‘경제성장을 위한’, ‘저출산·고령화 극복을 위한’이라는 전제가 있었다는 점이다. 둘째, 과정분석에서 상반된 두 그룹 중 A 그룹( 여성가족부와 여성계, 일부 의원)은 성평등 담론을 중심으로 여성가족부의 경계 확장하기와 여성인력의 장기적 관점에서의 교육과 양성을 주요 담론으로 형성한다. 반면 B 그룹(노동부, 일부 다른 의원)은 경력단절여성을 위한 법률제정을 역차별 담론을 중심으로 노동부의 경계굳히기와 고용율 제고를 위한 수단으로 인식하였다. 셋째, 사회적 실천분석 결과, 양 그룹은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이 취약하다는 점과 저출산 및 고령화 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다는 점 때문에 경력단절여성을 위한 입법 담론이 지지되었다. This research is critical discourse analysis of the economic activity promotion law for a career-interrupted woman. Research purpose is to analyze the discourse and ideology appeared to choose a career-interrupted woman in our country women’s employment policy process as a major policy target. The reason our country has selected a career break women as a major policy target was due to the low birth rate and aging population, social service needs increase, economic growth, expansion of the area of Gender Equalit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look at the text analysis result, women's employment was a prerequisite like 'for national competitiveness,' 'for economic growth', 'for overcoming the low birth late and aging’. Second, In the process of analysis, A group forms the main discussion like gender equality discourse, to expand the boundaries of Gender Equality and women's personnel training and training in the long term. On the other hand, B group argues reverse discrimination discourse, the Ministry of Labor of the border adherence, rising employment measures and the employment rate rise means. Third, analysis of social practice, both groups were supporting legislation for a career-interrupted women.

      • KCI등재

        위험사회속 자살기사에 대한 비판적 담론분석: 페어클로(Fairclough)의 비판적 담론분석을 중심으로

        조진옥 한국심리학회 2016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35 No.2

        This study is an analysis of the present state of affairs about the suicide to be developed and to be carried out to the public induced by the major news media, occurring in present-day society called risk society. Research purpose is to suggest the development of the healthy discourse through an interdisciplinary approach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suicide prevention policy. For the purpose of the analysis, Suicide related articles through the five major daily newspapers were chosen. Text analysis, discourse analysis, and social analysis by the critical discourse analysis of the Fairclough were us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first, discourse on medicine including mental health and treatment for depression was the main issue of the production of discourse by using the text and discourse analysis. As time goes on, policies for social security and suicide occurred with the Social Implication simultaneously. Second, the social analysis showed that monopolistic discourse on medicine without any introspection about the medical problem made the suicide discourses to be fragment. Third, although the changes of government policy and frequent mention of social safety is noted, practical measures for suicide are lacking. And finally, discourse on medicine had a negative impact on the public and social integration through the citizenship investigation for the suicide 본 연구는 위험사회라 불리는 현 사회 속에서 일어나는 자살이 주요 매체를 통해 대중에게 담론으로 형성되고 실천되는 현상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은 자살예방과 실질적인 자살 대책 수립을 위한 담론 검토와, 학제 간 건강한 담론 모색을 제안하는데 의의가 있다. 분석을 위해 5개의 주요일간지를 선정하였으며, 이를 통해 검색된 ‘자살’ 관련 기사를 페어클로의 비판적 담론분석의 방법과 과정에 의하여 텍스트 분석, 담론분석, 사회적 분석 과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첫째, 텍스트와 담론분석을 통해 정신건강과 우울증 치료를 필두로 하는 의료담론이 주요 담론생산과 주체자로 분석되었으며, 시간흐름에 따른 안전사회정책이 자살관련 정책과 함께 사회적 함의가 일어나는 것을 살펴볼 수 있었다. 둘째, 사회적 분석에서는 독점적인 의료담론이 의료적 문제점을 성찰하지 않은 체 자살담론을 단편화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셋째, 정부의 정책변화와 함께 안전사회가 거론되고 있지만 실질적인 대책이 부족한 것을 볼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자살에 대한 시민의식조사 결과를 통해 의료담론이 대중과 사회통합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살펴볼 수 있었다.

      • KCI등재

        사회 쟁점에 대한 비판적 담론 분석

        김영욱(Yungwook Kim),함승경(Seungkyung Ham),김영지(Youngjee Kim),최지명(Jimyoung Choi) 한국언론학회 2017 커뮤니케이션 이론 Vol.13 No.4

        이 연구는 사드 배치와 관련한 미디어 보도를 비판적 담론 분석 틀을 이용하여, 텍스트, 담론적 실천, 그리고 담론의 사회문화적 실천 차원에서 분석했다. 분석대상은 7천여 건의 빅데이터로 분석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기존에 사용되는 토픽 모델링과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사용하였다. 토픽 모델링을 통해 텍스트 분석을 한 결과 9개의 주제가 분석되었고, 진보지와 보수지 간의 주제 분포의 차이를 발견하였다. 담론적 실천 분석에서 적극적으로 담론적 실천을 보인 담론의 경우, 보수지는 위협, 안보, 경제 보복 담론이었고, 진보지는 MD 편입, 안보 외교, 사드 공방 담론이었다. 담론적 실천에서 보수지는 위협, 동맹 확대, 우려와 비판의 담론 전략을 사용한 것으로 분석되었고, 진보지에서는 비판, 외교 우선, 국민참여 전략을 사용해 담론의 헤게모니를 구축하고자 했다. 담론의 사회적 실천 분석에서 파악된 대립하는 담론들의 이데올로기는 진보와 보수, 보수주의와 자유주의, 자유주의와 민족주의로 나타났다.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담론 경쟁의 이론적인 함의와 향후 분석을 위한 방법론에 대해서 논의했다. This study has analyzed the textual, discursive, and sociocultural practice of media discourses on the THAAD deployment with the critical discourse analysis (CDA) perspective. The big data consisting more than 7,000 news articles were analyzed. The topic modeling method and the semantic network analysis were used to enhance the reliability. For the textual analysis, nine topics were discovered by the topic modeling. The result showed the difference between the liberal media and the conservative media in terms of the topic distribution and keywords. In the discursive practice analysis, the conservative media showed the threat, national security, and economic sanctions discourses while the liberal media showed discourses on MD deployment, diplomacy, and public opinions. Discursive strategies utilized in the conservative media were the military response, enhanced ally, prioritizing national security and the ones in the liberal media were sovereign national security, peace and cooperation, and public opinion. The strategies tried to construct hegemonies. The ideologies of sociocultural practices of discourses were left and right, conservatism, liberalism, and nationalism. Theoretical implications and future methodological suggestions were discussed based on the results.

      • KCI등재

        4대강사업을 둘러싼 개신교 내부의 입장 차이에 대한 비판적 담론분석

        김신영(Shin-Young Kim),윤순진(Sun-Jin Yun) 한국환경사회학회 2013 환경사회학연구 ECO Vol.17 No.2

        4대강사업에 대해 개신교계는 소수의 진보 진영을 제외하고는 거의 침묵으로 일관하거나 입장 표명을 보류하였고, 일부 보수 개신교 단체는 적극적인 성명까지 발표하였다. 이 연구는 한국 사회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개신교계가 보인 이러한 입장 차이에 주목하여 개신교계 내부에서 나타난 입장 차이가 어디에서 유래하였는지, 특히 그러한 입장 차이의 주요 요인인 보수 기독교계의 침묵과 동조가 어디에서 유래했는지 그 원인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페어클러프의 비판적 담론분석을 적용하여 담론을 텍스트적 실천, 담론적 실천, 사회적 실천의 세 단계로 분석하였다. 텍스트적 실천분석 단계에서는 4대강사업이 진행된 2009년 4월부터 2011년 10월 사이 개신교에서 발표한 성명서를 분석하여 사업에 찬성하는 보수적인 개신교계가 성서적이고 교리적인 내용에 기초하지 않고 국제기구의 보고서에 기대거나 일반적인 주장에 기초하여 담론을 구성하는 데 비해 상대적으로 진보적인 개신교측과 유일하게 교단 차원에서 성명서를 발표한 기장은 성서와 교리, 창조신앙에 근거를 두고 사업을 반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담론적 실천분석 단계에서는 보수진영을 대표하는 한기총과 진보진영을 대표하는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를 개신교의 대표적인 담론생산자로 설정하고 분석한 결과 두 조직은 역사관과 대북관에서 큰 차이를 보이며 이러한 차이가 4대강사업에 대한 태도에도 반복적으로 재현됨을 알 수 있었다. 사회적 실천분석에서는 한국 개신교의 신학적 바탕을 구성하고 있는 근본주의 신학의 유입, 한국 개신교의 정교유착과 권력화 과정을 통해 한국 개신교계의 지배적 다수가 보수적 성향을 띠어왔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담론분석을 통해 4대강 사업에 대한 보수 개신교계의 침묵 내지는 찬성은 한국 보수 개신교가 뿌리내린 역사적, 신학적 맥락에 기인하며 개신교의 4대강에 대한 담론이 정치적, 사회적 맥락과 상호작용 하면서 형성되어 왔음을 알 수 있었다. With respect to the Four Rivers project, most Protestant churches in Korea, with the exception of a few minor progressive churches, remained silent or postponed expressing their positions while some conservative Protestant groups announced aggressive statements. Focusing on the different positions expressed by the Protestant churches and through a critical discourse analysis,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origin of the differences in opinion within the Protestant churches in Korea and the reason why the majority of them kept silent or supported the Four Rivers project. In particular, this paper analyzes Protestant churches’ discourses on the Four Rivers project in three stages which are textual practice, discursive practice, and social practice using Fairclough’s critical discourse analysis. Textual practice analysis on the statements announced by the Protestant groups from April, 2009 to October, 2011, the time the ceremony for the completion of the project was held, found that statements from conservative Protestant churches supported the project relying on the UNEP’s report and general terms without using vocabulary with Christian terms or religious metaphors, while progressive Protestant churches and the Presbyterian Church in the Republic of Korea opposed the project based on the Bible and creation theology. In discursive practice analysis, this study targeted two Protestant churches as representative discourse producers, the Christian Council of Korea (CCK) representing a conservative position and the National Council of Churches in Korea (NCCK) representing a progressive position and found that the two groups show big differences in regards to history and North Korea, and this gap was reproduced in different attitudes regarding the Four Rivers project. Analysis of social practice found that the majority of Korean Protestant churches demonstrated a conservative inclination through an inflow of fundamentalist theology which composes the theological basis of Korean Protestant, political-business collusion and power-gaining process. Discourse analysis shows that the conservative Protestant churches’ silence or approval of the Four Rivers project stem from their historical and theological contexts and that the discourse over the project has been created by interaction with political and social context.

      • KCI등재

        관광숙박시설 입지규제정책에 대한 비판적 담론분석 연구

        이연택(Lee, Youn-Taek),오은비(Oh, Eun-Bi) 한양대학교 관광연구소 2016 觀光硏究論叢 Vol.28 No.2

        본 연구는 관광숙박시설 입지규제완화에 관한 관광진흥법(일명 ‘학교 앞 호텔법’) 개정과정을 사례로 정책행위자들의 담론경쟁을 Fairclough의 비판적 담론분석을 적용하여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관광숙박업정책, 정책담론, 비판적 담론분석 관련 연구에 대한 이론적 고찰이 이루어졌다. 연구방법으로는 담론의 개념적 구조에 맞춰 분석의 틀이 구성되었으며, 텍스트 분석에서는 기술적 분석이, 담론적 실천 분석에서는 해석적 분석이, 사회적 실천 분석에서는 설명적 분석이 각각 활용되었다. 분석결과, 텍스트 분석에서는 찬성 측과 반대 측이 생산한 주요 단어, 주요 상징어, 주요 주제들이 도출되었으며, 담론적 실천 분석에서는 프레임을 기준으로 찬반 양측의 담론형성을 확인하였다. 사회적 실천 분석에서는 사회문화적 맥락 안에서 반대 측의 대기업 특혜 담론이 탈접합한 것을 계기로 찬성 측 담론이 강화되면서 정책지지 기반을 확보한 것을 확인하였다. 연구의 시사점으로는 이론적 측면에서는 분석기법의 체계화를 위한 세부 방안이 모색되었다는 점을 들 수 있으며, 실무적 측면에서는 정책행위자들을 대상으로 담론경쟁력 확보방안이 제시되었다. This study aimed at analyzing the discursive struggles of the process of tourism lodging industry policy for facility regulation based on Fairclough’s Critical Discourse Analysis frame. The literature review covered the concepts of tourism lodging industry policy, policy discourse, and the related CDA research. Following this, the frame of the analysis was constructed and thereby research questions were proposed. For the analysis, three dimensional analytical approach was applied: text analysis, discourse practice analysis, and sociocultural practice analysis. The findings of the study revealed that both of the affirmatives and the oppositions produced main words, symbolic words and topics, and based on these, the discourses were formed, and in the sociocultural context the affirmatives secured the dominant position in the discursive struggles for the public’s policy support.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ed that more sophisticated analytical method must be organized, and practically policy actors should develop the discursive competitiveness.

      • KCI등재

        박근혜 대통령 탄핵사건 보도에 대한 비판적 담론 분석 : 일간신문의 정파성과 담론경쟁을 중심으로

        윤철수,김경호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201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Vol.0 No.48

        본 연구는 헌정사상 초유의 현직 대통령 탄핵사건과 관련 보도에서 나타난 미디어담론의 특성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비판적 담론 분석’ 틀을 차용하여 국내 5개 일간신문에 보도된 1면 기사, 사설, 칼럼을 분석한 결과 뉴스담론의 내용적 유형은 ‘대통령 의혹/책임’, ‘측근 비리’, ‘비선실세 국정농단’ 순으로 많았다. 담론 텍스트 구성에서는 이슈 내용에 따라 신문사별 차이가 확인되었다. 최초 국정농단 의혹이 제기된 ‘정윤회 문건’ 이슈에서는 신문의 정파성에 따른 논조의 차이가 나타났는데, 반면 ‘최순실 국정농단’ 사건에서는 보수신문과 진보신문 구분 없이 모두 비판적 논조를 집중적으로 펴는 특징을 보였다. 이어 접합이론을 적용해 탄핵사건을 둘러싼 다양한 담론들이 어떤 변화과정을 거치며 의미를 재구성하는지를 탐색한 결과, 보수신문의 경우 정치적 사안에서는 비판적 논조가 강하게 나타난 반면 경제적 사안에서는 대기업 옹호 프레임의 담론전략이 두드러졌다. 마지막으로 주요 쟁점이슈를 둘러싼 담론경쟁 구도를 분석한 결과 ‘국정수습 방안’, ‘세월호 7시간’, ‘재벌기업 수사’, ‘대통령 구속’ 등에서 정파성에 따른 논조의 차이 등이 확인되었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features of media discourse about the ruling of the Constitutional Court of Korea that formally impeached the incumbent president, a first in the nation’s history. Articles on the first page, editorials and opinion pieces of five daily newspapers were analyzed in the frame of the Critical Discourse Analysis(CDA). “Suspicion/responsibility of the president” was the most frequently used topic in the news discourse. “Close allies’ corruption”, “secret commander’s influence on governmental decisions” followed. Discourse text analysis was made by issues. Regarding the allegation on “Chung Yoon-hoi’s dossier”, the overall tone of newspapers differs based on partisanship. Meanwhile, both of the progressive and conservative newspapers criticized Choi Soon-sil’s influence on governmental decisions. Changes of the discourse were examined within the theory of articulation to see how the discourse about the presidential impeachment was restructured. Conservative newspapers used different approaches in discourse strategy in political and economic matters. Lastly, the discourse competition structure surrounding key issues and differences in partisanship were analyzed. In the issues of ways to normalize the state affairs, the secret seven-hour meeting after the sinking of Sewol Ferry, investigation into conglomerates and the detention of the president, discourse competition structure and partisanship were different between individual newspapers and between conservative and progressive newspapers.

      • KCI등재

        언론 보도의 여성 혐오 그리고 남성 혐오 분석: 언어 네트워크와 비판적 담론 분석의 결합

        함승경,최지명,김영욱 한국PR학회 2019 PR연구 Vol.23 No.6

        <배경 및 목적> 여성 혐오 남성 혐오와 관련한 담론을 분석함으로써 우리 사회에서 여성 혐오와 남성 혐오에 대한 사회적 의미와 해석들이 어떻게 부딪히고 있으며, 어떠한 담론들이 공중의 지지를 확보하고 사회적 의미를 재구성해가는지를 탐색하고자 했다. 이를 통해서 궁극적으로 젠더와 관련한 우리 사회의 인식을 파악하고 사회 구조의 질서와 변동을 이해하고자 했다. <방법> 비판적 담론 분석 모델에 따라 담론을 텍스트, 담론적 실천, 그리고 사회적 실천 등의 세 가지 층위에서 분석하였다. 텍스트 분석은 빅데이터에 기반해서 토픽 모델링을 사용하였고, 담론적 실천 분석을 위해서는 언어네트워크 분석을 사용하였다. 담론의 사회적 실천 분석에서는 경쟁하는 담론들에 내재한 이데올로기를 분석하기 위해 툴민의 논증법을 사용하였다. <결과> 여성 혐오와 관련해서 보수지에서는 페미니즘, 온라인 갈등 등의 담론이 분석되었고, 진보지에서는 구조, 폭력 등의 담론이 분석되었다. 남성 혐오와 관련해서 보수지에서는 혐오, 가해자 등의 담론이 분석되었고, 진보지에서는 여성 혐오, 미러링 등의 담론이 분석되었다. 여성 혐오와 관련한 담론들 간에는 축소 지향의 보수주의 이데올로기와 반가부장제 이데올로기가 대립했고 남성 혐오 관련한 담론들 간에는 가부장제와 반가부장제 이데올로기 간의 대립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논의 및 결론> 다양한 개인과 조직을 대변하는 PR 커뮤니케이션은 사회적 의제와 관련된 담론들이 자유롭게 경쟁할 수 있는 공론장을 형성해서 현실을 정의하고 사회를 변화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s> This study analyzed media reports related to misogyny and misandry as a framework for critical discourse analysis. <Methods> The data analyzed included about 1700 articles. Topic modeling and language network analysis were used to increase the reliability of the analysis. <Results> As a result of analyzing all the text by topic modeling, 30 topics were analyzed. After analyzing the discursive practice of misogyny, discourses on feminism, online conflict, events, disgust and content, and disgust and narratives were analyzed in the conservative papers and discourses on structure, violence, events, and civic movements were analyzed in the progressive papers, After analyzing the discursive practice of misandry, discourses on disparity, dislike, perpetrator, power, phobia, and damage were analyzed in the conservative papers and discourses on women’s dislike, femicide, mirroring, and bias were analyzed in the progressive papers. <Conclusions> In analyzing the social practice of discourse, competing discourses were analyzed to have opposition to and against patriarchal ideolog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