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 기반의 기업 간 공유경제 비즈니스 모델

        우채련(Chae-ryeon Woo),조민제(Min-Je Cho),최형림(Hyung-Rim Choi),이강배(Kang-Bae Lee),김두환(Doo-Hwan Kim) 한국산업정보학회 2016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Vol.21 No.5

        세계 경제의 불황으로 인해 경쟁력이 취약한 중소기업은 인력, 자본, 기술 확보 등의 여러 어려움에 직면해 있다. 중소기업이 처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 자원을 공유하는 공유경제를 도입하고자 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중소기업이 공유경제를 실제로 도입하고 이를 활용하기 위해 필요한 비즈니스 모델이 존재하지 않아 기업 간 공유경제를 도입하기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중소기업 간 공유경제를 도입하여 운영하기 위해 필요한 공유경제를 위한 비즈니스 모델을 제시하였다. 기업 간 공유경제를 위한 비즈니스 모델을 설계하기 위해 기존의 비즈니스 모델에 대한 선행연구를 통해 비즈니스 모델을 설계하기 위해 필요한 구성요소를 도출하였다. 이와 기업 간 공유경제의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중소기업 간 공유경제에 도입 가능한 비즈니스 모델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비즈니스 모델은 중소기업들이 각 기업의 상황에 맞게 공유경제를 도입하기 위한 가이드라인이 될 수 있을 것이다. Because of the recession of the world economy, small businesses face with many problems in securing their required labor force, capital, technology, among others. As an alternative to address those difficulties, there is a research to introduce the “sharing economy”, which shares and changes resources. However SMEs have difficulties in actually introducing the sharing economy and the introduction of inter-company because sharing economy business models do not exist. This research has presented the business model for the sharing economy that is necessary in the introduction and operation of the said economy among SMEs. In order to design the business model for the B2B sharing economy, this research has drawn the components needed to design the business model through a preceding study on existing business models. Based on this and the preceding study, this research has presented the business model, which can be introduced to the sharing economy among SMEs. In addition Business model presented in this study will be a guideline for introducing shared economic conditions for each SMEs.

      • KCI등재

        고객기반 협동조합의 유형에 따른 비즈니스 모델의 특성 연구

        최우진,이상훈 한국협동조합학회 2022 韓國協同組合硏究 Vol.40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business models for each type of cooperative and to derive essential components. To this end, previous studies were examined and (1) types of cooperatives were classified from a business model perspective, (2) characteristics of business models by type of cooperative were analyzed, and (3) essential components of business models for each type of cooperative were derived. (4) 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s and essential components of the business model for each type of cooperative were tested through a case analysi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types of cooperatives from a business model perspective were divided into member-oriented cooperatives and market-oriented cooperatives based on customers. It was analyzed that member-oriented cooperatives and market-oriented cooperativ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customer, value proposition, and profit model in particular. In this study, it was suggested that customers are effective as a classification criterion from the perspective of business models, and the specific characteristics of the business model by cooperative type were analyzed. In addition, not only were the basic components of the cooperative’s business model derived, but the essential components for each type were also identified. These achievements are expected to provide useful data for studying the standard model and development framework of each type of business model in the future. 본 연구는 협동조합의 유형별 비즈니스 모델의 특성 분석과 필수 구성요소의 도출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1) 비즈니스 모델 관점에서 협동조합의 유형을 분류하였고 (2) 협동조합 유형별 비즈니스 모델의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3) 협동조합 유형별 비즈니스 모델의 필수 구성요소를 도출하였다. (4) 아울러 협동조합의 유형별 비즈니스 모델의 특성과 필수 구성요소를 사례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비즈니스 모델 관점에서의 협동조합 유형은 고객을 기준으로 조합원 지향 협동조합과 시장지향 협동조합으로 구분되었고 조합원 지향 협동조합과 시장지향 협동조합은 특히 고객, 가치제안, 수익모델에서 큰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비즈니스 모델 관점에서의 분류 기준으로 고객이 효과적임이 제시되었고 협동조합 유형별 비즈니스 모델의 구체적인 특성이 분석되었다. 또한 협동조합의 비즈니스 모델의 기본 구성요소가 도출되었으며 협동조합 유형별 필수 구성요소 역시 확인되었다. 이러한 성과는 향후 유형별 비즈니스 모델의 표준모형과 개발 프레임워크를 연구하는데 유용한 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후보

        학술연구 : 사회적 기업의 비즈니스모델

        라준영 ( June Young Rha ) 한국중소기업학회 2010 기업가정신과 벤처연구 Vol.13 No.4

        사회적 기업은 사회문제 해결을 목적으로 설립된 기업조직이자 사회적 가치와 경제적 가치를 동시에 창출하는 생산조직이다. 따라서 사회적 기업의 성공적인 운영을 위해서는 영리기업과 마찬가지로 매력적인 비즈니스모델의 정립이 필수적이다. 비즈니스모델은 기업이 비즈니스를 어떻게 수행할 것인가에 관한 설계도로서 기업의 가치제안, 가치창출, 가치확보 방안에 대한 종합적인 아이디어를 담고 있다. 사회적 기업의 비즈니스모델은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좋은 아이디어를 구체적인 비즈니스로 현실화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아무리 뛰어난 아이디어와 역량을 가진 기업이라 하더라도 비즈니스모델의 타당성이 떨어지면 실패하기 마련이다. 본 논문의 목적은 사회적 기업의 비즈니스모델을 분석할 수 있는 개념적인 모형을 정립하는 컷이다. 이를 위해 먼저 영리기업의 비즈니스모델에 관한 연구결과를 검토한 후 사회적 기업의 특성을 반영하여 사회적 기업을 위한 비즈니스모델의 개념적 틀을 새롭게 제시한다. 다음으로 국내외 6개의 성공 기업과 4개의 실패기업을 대상으로 사례연구를 수행하여 개념모형의 타당성을 확인하고 보완한다. 그리고 성공한 사회적 기업의 특징을 비즈니스모델의 세부 차원별로 분석한다. 본 논문에서 개발한 비즈니스모델의 개념적 틀은 향후 사회적 기업의 성공요인에 관한 연구의 이론적 기반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실무적으로는 사회적 기업가에게 현재의 비즈니스모델을 분석하고 혁신할 수 있는 실천적 가이드라인이 될 수 있다. A business model describes the architecture of how to do a business: how a business proposes, creates and delivers particular value to customers and makes customers pay for the value. Similar to for-profit business, a social enterprise should employ an attractive business model to enhance its chances of success. This paper proposes a general framework on business models for social enterprises. This framework captures the previous idea about for-profit business models and reflects the distinctive characteristics of social enterprises. The dimensions of this framework are composed of value proposition, value creation, and value capture, which represent the value generation flow of a business. Based on this framework, case studies were conducted to confirm the validity of the framework and to explore the common themes of successful business models. This paper provides theoretical insights into future research on key success factors of social enterprises and also the framework will be a useful tool for social entrepreneurs to analyze and restore their current business models.

      • 4차 산업혁명시대의 비즈니스 모델 유형

        정상희,정병규 사단법인 한국벤처혁신학회 2018 벤처혁신연구 Vol.1 No.1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s making a big change for our company like the tsunami. The CPS system, which is represented by the digital age, is based on the data accumulated in the physical domain and is making business that was not imagined in the past through digital technology. As a result, the business model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is different from the previous one. In this study, we analyze the trends and the issues of business innovation theory research. Then, the business innovation model of the digital age was compared with the previous period. Based on this, we have searched for a business model suitable for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The existing business models have many difficulties to explain the model of the digital era. Even though more empirical research should be supported, Michael Porter's diamond model is most suitable for four cases of business models by applying them. Type A sharing outcome with customer is a model that pay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basis of customer performance. Type B Value Chain Digitalization model provides products and services to customers with faster and lower cost by digitalizing products, services and SCM. Type C Digital Platform is the model that brings the biggest ripple effect. It is a model that can secure profitability by creating new market by creating the sharing economy based on digital platform. Finally, Type D Sharing Resources is a model for building a competitive advantage model by collaborating with partners in related industries. This is the most effective way to complement each other's core competencies and their core competencies. Even though numerous Unicorn companies have differentiated digital competitiveness with many digital technologies in their respective industries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there is a limit to the number of pieces to be listed. In future research,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business model of the digital age through more specific empirical analysis. In addition, since digital business models may be different in each industry, it is also necessary to conduct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industries. 4차 산업혁명이 쓰나미와 같이 우리 기업에 큰 변화를 주고 있다. 디지털시대로 대변되는 CPS시스템은 물리적인 영역에서 축적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디지털 기술을 통해 과거에 상상하지 못했던 비즈니스를 현실로 만들어 내고 있 다. 이로 인해 4차 산업혁명시대의 비즈니스 모델은 이전과는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비즈니스 혁신 이론 연구의 흐름을 시대별 흐름과 쟁점을 분석하였다. 이후 디지털시대의 비즈니스 혁신 모델을 이전 시대와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적합한 비즈니스 모델을 탐색하였으며, 기존 비즈니스 모델들로 는 디지털 시대의 모형을 설명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었고, 보다 많은 실증적인 연구가 뒷받침 되어야하겠지만 마 이클 포터의 다이아몬드 모델이 가장적합함을 확인하였고, 이를 응용하여 4가지 유형의 비즈니스 모델을 도출하여 해 당 사례를 살펴보았다. Type A : sharing outcome with customer로 고객 성과 창출 기반에 따라 차등적으로 비용을 지불하는 모델이며, Type B : Value Chain Digitalization로 제품, 서비스 및 SCM 디지털화로 보다 빠르고 저렴한 비용으로 제품, 서비스 를 고객에 제공함으로 경쟁우위를 가지는 모델이며, Type C : Digital Platform는 가장 큰 파급효과를 가져다 주는 모델로 디지털 플랫폼 기반의 공유 경제 창출로 새로운 시장을 창출하여 더 확실한 수익성 확보가 가능한 모델이다. 마지막으로 Type D : Sharing Resources는 관련 산업 내 파트너와 협업으로 경쟁 우위 모델 구축하는 모델로 다른 파트너의 핵심 역량과 자신의 핵심 역량을 서로 보완하는 가장 효과적인 성공 방법이라 할 수 있겠다. 4차 산업혁명시대에 다수의 요소 기술과 수많은 유니콘, 데카콘 기업들이 자신들이 속해 있는 산업별 차별적 디지털 경쟁우위를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특정 대표기업의 디지털 비즈니스 모델을 상세 분석하여 학문적이고 실무적인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 보다는 단편적으로 나열함에 한계가 있었다. 향후 연구에서는 더욱더 구체적인 실증적인 분석을 통해 디지털시대의 비즈니스모델을 더욱더 상세하게 규명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산업별로 디지털 비즈니스 모델이 상이할 수 있으므로 산업간 비교분석을 해볼 필요 역시 있다.

      • KCI등재

        국내 저가항공사의 지속적 경쟁우위 도출에 대한 탐색적 연구 -비즈니스 모델을 중심으로-

        김효정 ( Hyo Jung Kim ) 한국항공경영학회 2015 한국항공경영학회지 Vol.13 No.2

        비즈니스 모델에 대한 연구는 다방면에서 이루어져 왔으나, 항공 산업에서 이론적 근거를 바탕으로한 비즈니스 모델에 대한 이해는 상대적으로 부족하다. 따라서 일반 대형항공사와 저가항공사의 비즈니스 모델에 대한 분석을 기초로 저가항공사의 지속적인 경쟁우위 방안을 비즈니스 모델 측면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기존 연구를 바탕으로 항공 산업에 적용할 수 있는 비즈니스 모델로 Hamel (2000)의 연구를 확장하여 1) 고객접점, 2) 핵심전략, 3) 전략적 자원, 4) 가치 네트워크, 5) 수익창출의 5가지 요소를 제시하였다. 도출된 비즈니스 모델을 중심으로 저가항공사 중 성공기업으로 뽑힌 에어아시아와 청산기업인 오아시스에 대한 비교를 통하여 저가항공사의 성공적인 비즈니스 모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비즈니스 모델 분석을 바탕으로 현재 수익성 악화로 사업다변화를 고민하고 있는 제주항공 사례에 적용하여 제주항공의 경쟁우위 도출이 가능한 비즈니스 모델을 제시해 보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저가 항공사뿐만 아니라 일반 대형 항공사들에게 비즈니스 모델의 일관성 유지의 중요성과 향후 비즈니스 모델 측면에서 사업 확장 가능성 제시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Although research of business model has been highlighted in many areas, studies for aviation industry on the base of business model is relatively small.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velop sustainable competitive advantage model for low-cost carriers based on the analysis of business model of full service airline and low-cost carriers. Following Hamel(2000), this study suggests 1) target customers, 2) core strategies,3) strategic assets, 4) values network and 5) revenue model as 5 components of aviation industry business model. Specifically comparing success factors from Air Asia airline with failures factors from liquidated Oasis airline, this study tries to suggest successful factors of low-cost carriers business model. Lastly basing on the derived successful factors of low-cost carriers business model, this study tries to develop competitive advantage business model of Jeju Air which concerns about the business diversification currently. This research result might suggest implications for the importance of consistency in business model and business expansion possibility from business model perspective to full service carriers and low-cost carriers.

      • KCI등재

        비즈니스 모델을 기반으로 한 서비스디자인의 특허화에 관한 고찰

        천하봉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2 조형미디어학 Vol.15 No.1

        산업 디자이너의 창조적 행위에 대한 결과물인 제품·서비스, 패키지, 상표, 캐릭터 등에 대한 고유한 가치는 디자인권리를 통해 법적 보호받고 있다. 최근 애플사는 자사 제품디자인의 디자인권리로 비슷한 영역의 타 기업 제품에 대한 판매금지 처분을 받아냄으로써 자신들의 시장을 지키고 디자인의 고유성에 대한 보호를 할 수 있었다. 또한 제품 영역에서 애플이 보유한 각종 특허를 배경으로 글로벌한 특허 소송을 진행함으로써 자신들의 사업영역에 대한 보호와 향후 전략적인 시장에서 유리한 고지를 선점하려는 전략을 보이고 있다. 이렇게 디자인권리를 포함한 특허는 앞으로 기업의 중요한 자산이며, 최근 기업 경쟁력의 핵심으로 떠오르고 있는 사업영역(제품·서비스생태계)에 대한 시장 선점과 전략적 방어의 개념으로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사업영역의 보호와 관련된 특허로 사업의 고유한 방법적 모델에 대한 보호를 하는 비즈니스모델 특허에 대한 조명이 필요하다. 디자이너가 비즈니스모델 자체를 만드는 것은 아니지만, 비즈니스모델 특허를 받기 위해서는 기존 비즈니스모델과의 차별성이 반드시 필요하다. 이러한 차별적인 비즈니스방법을 창조해 내기위한 개발방법으로써 서비스디자인은 효과적인 대안이 될 수 있다. 이것은 서비스디자인프로세스의 특성상 기업의 사업영역에서 소비자가 경험하면서 일어나는 다양한 상황에 대하여 문제를 추출하고 차별적 경험솔루션을 통해 비즈니스모델을 새롭게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서비스디자인 프로세스를 통해 기존의 비즈니스모델을 혁신하여 차별화된 비즈니스모델특허를 받을 수 있다는 것이다. 본 연구는 서비스디자인의 결과물을 다른 디자인권리와 같이 보호 받을 수 있다는 개념을 구체화하기 위하여 서비스디자인의 특성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비즈니스특허의 구조와 비교분석을 통해 논리적으로 특허화 될 수 있는 이론적인 근거를 고찰하였다. 그 방법으로 서비스디자인의 핵심인 경험혁신을 모듈화 시키고 이것의 구조적 형태를 바탕으로 한 서비스디자인모델의 개념을 제안하였다. 이렇게 차별적 경험 가치를 가지는 경험혁신모듈을 포함한 서비스디자인 모델은 새로운 비즈니스방법을 창출하며 특허판단의 근거를 충족시킬 수 있는 조건을 만들 수 있다. 이로써 기업에서 서비스디자인프로세스를 통한 유무형의 결과물도 다른 디자인권리처럼 법의 보호를 받는 영역에서 그 가치를 존중받을 수 있는 근거와 그 방법적인 토대를 구축해 나가고자 한다. The intrinsic value of the product, the service, the trademark, the character, and the package, which are the results of industrial designers' creative behaviors, are legally protected through design rights. In recent years, Apple Inc. was able to defend its own market and protect the uniqueness of its designs as it won a sales ban on products of other companies in the similar field as design right of its own product designs. Moreover, Apple had carried out strategies to protect it own business areas and to take the advantageous position in the strategic market in the future as it proceed global patent suits with many different patents that it owned in the product field in the background. It is necessary that the patent including the design right is understood as an important corporate property and a concept for prior occupation of the market in the business field(the product·service ecosystem) currently emerging as the core of corporate competitiveness and for strategic defense. For this reason, it is necessary to focus on the business model patent that protects unique business methodological models as a patent related to protection of the business area. Even if a designer does not make a business model itself, differentiation from the existing business model is positively necessary to get a business model patent. The service design can be an effective alternative as a method to create this differential business method. This is because it is possible to draw problems about many different situations that can occur when a consumer experience a business model in the corporate business area and to make a new business model through an alternative experience solution by the nature of the service design process. 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get a differential business model patent by innovating the existing business model through the service design process. This study investigated theoretical basis that could be patented logically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with the structure of the business patent based on an analysis on characteristics of service design to incorporate a concept that the result of service design could be protected like other design rights. This study modularized experience innovation, a core of service design, and suggested a concept of the service design model based on its structural shape. It was viewed that the service design model including an experience innovation module with differential experience value created a new business method and make a condition that could meet grounds to judge patents. Judging from this, this study aimed to establish grounds and methodological foundations that tangible and intangible results through the service design process in a corporation could have their values respected in the area that was protected by the law like other design rights.

      • KCI등재

        물류 O2O산업의 비즈니스 모델에 대한 연구-국내 화물정보망사업을 중심으로-

        구병모 ( Coo Byung-mo ),서대성 ( Seo Dae-sung ) 한국물류학회 2016 물류학회지 Vol.26 No.6

        본 논문은 선행연구가 척박했던 국내 물류산업의 대표적인 O2O비즈니스모델인 화물정보망 비즈니스모델의 유형분류, 구조분석 등을 연구하고 유형별 비즈니스모델의 한계와 이를 보완 및 개선할 수 있는 발전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국내 화물정보망사업의 내외적 환경에 부합하는 사례조사, 산업체의 1차 및 2차 자료조사, 화물정보망산업의 3객체인 차주, 화주, 화물정보망 운영사의 임직원 대상의 전문가의견조사, 국내외의 선행논문의 고찰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얻었다. 첫째, 화물정보망사업은 배차 태동기인 초기형태를 포함하여 4개의 변화기를 거쳐 현재와 같은 온라인 플랫폼을 기반으로 하는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버전의 O2O 단계로 발전하였다. 둘째, 화물정보망사업의 비즈니스모델은 화물정보망 운영사의 업의 개념을 기준으로 수익중심형 비즈니스모델, 서비스중심형 비즈니스모델, 지원중심형 비즈니스모델 등 3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셋째, 비즈니스모델의 구조적 특징은 화물정보망 운영사가 온라인 플랫폼을 제공하여 주선사중심의 화주회원과 차주중심의 기사회원 간 화차(貨車)를 중개하는 구조, 화물운송가맹망사업자가 가맹본부가 되어 자사가 화주와 계약을 통하여 운송을 위탁받은 화물처리를 위하여 오프라인에서 계약한 가맹점에게만 화물을 제공하는 구조, 대(對) 정부 및 상급단체 대상의 권익을 대변하는 전국화물자동차 운송주선사업연합회와 같은 단체가 자기단체의 회원사를 지원하기 위한 목적으로 회원사의 화물이나 차량을 중개하는 구조적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 넷째, 국내 화물정보망사업 비즈니스모델의 한계는 Osterwalder et al.이 제시한 고객세분화, 가치제안, 채널전략, 수익원, 핵심역량, 핵심파트너십, 핵심활동, 고객관계, 비용구조 등 핵심 9개 요소를 기준으로 분석하여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였다. The goal of this paper is categorizing types of business models, studying the structure analysis and suggesting the limitation of each types of business models and plans for development to complement and improve this limitation in freight information network industry which has been lack of advance research. To achieve the goal of this research, we had data research that corresponds internal and external circumstances of domestic freight information network(FIN) industry, primary and secondary data research about industries, expert attitude research from the three players of FIN industry, the driver, the shipper and the employees of freight information network operating company, and studied domestic and foreign literature, and achieved the goal of this research, as following. First, FIN industry have developed to O2O stage which is the smart phone application version based on online platform nowadays through four stages including the early form, which is interval naissance period. Second, business models of FIN industry can be categorized into three, such as profit-centered business model, service-centered business model, support-centered business model according to the standard from the business concept about the work of the FIN industry. Third, there are four structural features of FIN industry, one structure is that FIN operating company offers online platform to intermediate trade the cargo and cargo-truck, another structure is that FIN operator become the franchiser, and offer freight only to franchisee, and the last structural feature is that organization public association of their rights toward the government and upper ranked organization bridge cargo or cargo-truck of their own membership companies for the purpose of support their membership companies of their own organization. Fourth, business model structure according to the nine-part elements suggested by Osterwalder, customer segments, value proposition, distribution channels, revenue streams, core capabilities, partner network, activity configuration, customer relationships, and cost structure, and achieved the goal of this research.

      • KCI등재

        서비스중심 기업의 비즈니스 모델 연구

        김선민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6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6 No.10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n answer for two research questions such that firstly, there is an difference in business model elements between a manufacturing oriented company and a service oriented company, secondly, if difference exists, how business model elements for a service oriented company should be described? To deal with it, this study describes the current trends and methods in business model research and then explain 9 elements in business model canvas. Then, this study identifies the distinguished elements blocs of business model for service company and presents business model framework for a service oriented company. The methodology of this study are literature analysis and synthesi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shows that the business model elements for a service oriented company should be different from incumbent business model elements and that it should focused more on the customer value creation and the process of service delivery. 본 연구는 첫째, 서비스 중심기업의 비즈니스 모델의 구성요인은 제조업 중심 기업의 비즈니스 모델의 구성요인과 다른가?,” 둘째, “만일 다르다면, 서비스 중심기업의 비즈니스 모델의 구성요인은 어떻게 구성되어야 하는가?”에 대한 연구 질문을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는 우선 비즈니스 모델 연구의 현 추세와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의 9가지 구성요인을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서비스 중심기업의 비즈니스 모델의 독특한 구성요인을 파악하고 서비스 중심 기업에 적합한 비즈니스모델의 개념적 틀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연구방법은 문헌연구를 통한 종합적인 추론연구에 기반을 두고 있다. 본 연구는 서비스 중심 기업의 비즈니스 모델은 기존 연구에서 나타난 비즈니스 모델의 구성요인과는 구분되어야 하며, 서비스 중심기업의 비즈니스 모델은 고객 가치창출과 서비스전달 프로세스에 더 많은 중점을 두어야 한다는 점을 주요 결과로 제시하고 있다.

      • KCI등재

        비즈니스 모델과 조직문화가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김용민,오인하 한국혁신학회 2018 한국혁신학회지 Vol.13 No.1

        This paper is an empirical study on the effect of business model on organizational culture, the impact of business model on firm performance, and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cultur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business model and firm performance, targeting 151 SMEs nationwide. As a result, efficiency-centered business model has a significant effect on market culture and hierarchy culture, but it does not affect adhocracy culture and clan culture. In addition, novelty-centered business model has a significant effect on clan culture, adhocracy culture and market culture but the influence on hierarchy culture is not significant. The results show that the efficiency-centered business model is highly fit with the control-oriented culture, and the novelty-centered business model is highly fit with the external focused culture. In relation to firm performance, novelty-centered business model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firm performance, while the efficiency-centered business model does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analysis of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organizational cultur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usiness model and the firm performance revealed that the novelty-centered business model is fully mediated to firm performance by organizational culture but the efficiency-centered business model is not. This suggests that no matter how good a novelty-centerd business model, the benefits of a business model may be lost if the organizational culture does not fit the business model. 본 논문은 전국에 있는 151개의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하여 비즈니스 모델과 조직문화와의 관련성, 비즈니스 모델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비즈니스 모델과 기업성과 사이의 관계에서 조직문화의 매개효과에 대한 실증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효율성 중심 비즈니스 모델은 시장형 조직문화와 위계형 조직문화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애드호크라시형 조직문화와 클랜형 조직문화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참신성 중심 비즈니스 모델은 클랜형 조직문화와 애드호크라시형 조직문화, 시장형 조직문화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위계형 조직문화에 대한 영향은 유의하지 않았다. 이를 통해 효율성 중심 비즈니스 모델은 통제지향적 조직문화와의 적합도가 높으며 참신성 중심 비즈니스모델은 외부지향적 조직문화와의 적합도가 높음을 알 수 있다. 기업성과와의 관계에서는, 참신성 중심 비즈니스 모델은 기업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으나 효율성 중심 비즈니스 모델은 기업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비즈니스 모델과 기업성과 사이의 관계에서 조직문화의 매개효과를 분석해 본 결과, 조직문화가 참신성 중심 비즈니스 모델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완전매개 하였으나 효율성 중심 비즈니스 모델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조직문화의 매개효과는 기각되었다. 이는 참신성 중심 비즈니스 모델이 아무리 좋은 모델이라도 조직문화가 비즈니스 모델에 적합하지 않다면 비즈니스 모델이 갖는 이점이 없어질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 KCI등재

        비즈니스 모델 관점에서 인터넷 신생기업의 지속성에 관한 연구: Amazon.com 사례 중심으로

        김장훈 ( Janghoon Kim ),김주태 ( Jootae Kim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2013 유라시아연구 Vol.10 No.1

        전략경영(Strategic management)은 기업의 성과와 경쟁우위의 관련성을 다룬다. 즉, 경쟁우위의 창출과 유지를 토대로 기업간 초과 수익의 차이를 설명하려고 시도한다. 본 논문은 인터넷 신생기업(New-comer)이 어떻게 성장통을 극복하고 지속성을 유지하는지 분석하고 있다. 즉, 비즈니스 모델(Business model) 관점에서 신생기업의 성공사례에서 핵심성공요인(Key success factor)을 도출하는 연구이다. 즉, 아마존닷컴의 지속성에 대한 원천을 비즈니스 모델의 역동적 진화에서 찾고 있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아마존닷컴은 온라인 서점, 온라인 소매점, 웹 서비스, 전자상거래 인프라에 이어 지금 현재 비즈니스 모델 융합을 시도하고 있다. 온라인 서점(Online bookstore)은 아마존 사이트에서 도서를 염가로 판매하고 배송하는 단순한 비즈니스 모델이다. 단일 아이템 서적으로 규모의 경제를 달성한 결과 비용절감과 호의적 입소문에 따른 브랜드 이미지를 구축하였다. 온라인 소매점(Online retailer)은 도서 이외의 내구재(Consumer goods)처럼 공산품을 박리다매로 판매하는 사업으로 진출하였다. 취급 품목의 다양성과 신속 정확한 서비스를 결합함으로써 ‘온라인 서점’ 모델의 성공적 확장 버전이다. 아마존 웹 서비스(AWS)는 자사의 잉여 IT자산을 개인 또는 기업고객들과 함께 공유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이다. 즉, 기업고객을 중심으로 수익기반을 확대하는 동시에 내부 핵심역량(예. IT자산)을 외부 고객들과 공유하는 의미를 갖는 사업 모델이다. 한편, 전자상거래 인프라 모델(Amazon Marketplace)은 개인 또는 기업고객들에게 전자상거래 구축, 운영 및 유지보수에 관한 토털 솔루션(Total solution)을 제공하는 사업이다. 즉 구매, 결제, 배송 물류 및 고객관리처럼 자사의 가치사슬 활동을 외부 고객들과 공유함으로써 비즈니스 모델의 성공적 진화를 제시하는 사례이다. 가장 최근의 전자책 사업(e-Book)은 디지털 컨텐츠 유통과 단말기 제조를 결합함으로써 이업종 참여자들간 비즈니스 모델을 공유하려는 시도이다. 고객, 저작권자, 출판사, 제조업체, 유통업체 및 통신사업자를 참여시켜 상호 공존과 공동 번영의 비즈니스 생태계를 조성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향후 아마존닷컴의 전자책 사업에 대한 성공 또는 실패는 조금 더 지켜봐야 할 것이다. 지금까지 아마존닷컴은 감동적인 고객 경험을 전달하는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을 시도해 오고 있다. 개인 또는 기업고객들에게 맞춤형 고객 경험을 전달하려는 아마존닷컴의 비즈니스 모델은 성공적 진화를 거듭하고 있다. 결국 기존 역량의 활용(Exploitation)과 신규 역량의 탐색(Exploration)을 바탕으로 차별화된 비즈니스 모델 수립과 실행에 집중한다. 아마존닷컴의 성공은 역량 축적과 개발, 핵심역량, 가치사슬 활동 및 비즈니스 모델을 상호 공유하는 진화 과정의 결과로부터 기인한다. 따라서 제품/서비스 시장에서 고객이 진정으로 원하는 경험을 창출하여 전달할 수 있는 기업만이 성공가능성을 제고할 것이다. 궁극적으로 고객 경험을 창출하고 전달하는 비즈니스 모델의 성공적 진화는 국내 IT산업의 재도약과 기업의 장기적 지속성에 필요한 현실적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연구결과의 일반화가능성을 위해서라도 성공 또는 실패의 다수기업에 대한 다중사례 분석이 필요할 것이다. 최소한 경성자료(Hard data), 또는 연성자료(Soft data)를 바탕으로 연구명제의 체계적 검증이 가능하도록 통계적 실증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한다. It has been interesting issues that find out the source of competitive advantage to create abnormal rate of return in strategic management. In other words, strategic management has been finding way to create sustain competitive advantage as a source of above-average rate of return. This study is to search for the source of sustainability of internet newcomer. In accordance with business model perspective, it was recognized that the sustainability could be resulted from business model evolution of dot.com player. According to the result of case analysis, Amazon.com could successfully extend online bookstore, online retailer, web service, and marketplace model to business model convergence, in due order. Early stage, online bookstore model is to sell books to target customers at a low price via Amazon.com site. The model could build favorable brand image as a result of carrying on viral marketing and cost reduction, i.e. first-mover advantage. Next, online retailer model is to build best practice as a low price, high volume that basic commodities, or consumer goods are heavily sold at cheap price. This one tried to apply online bookstore success formula to other product items. Unlike the first two models, Amazon Web Service(AWS) Model intends to rent its own IT assets like servers to external customers - individual and corporate. AWS could expand cloud computing which is a kind of sharing service to take out a lease on servers to corporate clients. Whereas, Amazon Marketplace is a unique business model in that agency service are offered to build, operate and sustain e-marketplace system for corporate clients to build e-Commerce platform. This model was designed to share business activities like buying, payment, shipping or after-service with external customers. At last, e-book business looks like simply business model to sell Amazon Kindle to the target customer. On the contrary, the model represents business convergence in that it was to sell digital hardware and contents simultaneously. Furthermore, it could lead to create business ecosystem to attract several participants such as customer, publisher, writer, manufacturer, retailer, and telecom service provider. However, business forecast of the e-Book is lingering issue to wait and see expected outcomes in the near future. Until now, as a result of business model evolution, Amazon.com has been capable of delivering individualized customer experience to target audience, integrating its own core competence into newly business model. That is, success or failure of business model evolution depends on resource building mechanism how to exploit existing competence or explore new resources. After all, internet newcomer can have ability to sustain competitive advantage to create total customer experience to individual customers. The study is to provide practical implications for firms or managers of e-business industry in Korea. Future research are required to carry on empirical study or multiple case studies in order to generalize the above resul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