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6차산업 체험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성별의 차이를 포함하여 -

        정병규,최양애 한국기업경영학회 2019 기업경영연구 Vol.26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factors affecting the 6th industry experience by applying the extended push-pull-mooring model. The theoretical model is an extended PPM model that introduces new variables based on PPM. The pull factor of the newly introduced variables was reconstructed based on the SERVQUAL model. The dependent variable adopts recommendation intention and continuous use based on the customer loyalty model.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were tested and the moderating role of gender in this process was tested. The research model of this study was tested by structural equation model based on 314 effective questionnaire data. The most significant factor affecting experience intention was the pull factor. Pull factor had a positive effect on experience intention. Push and mooring factors have a negative effect on experience intention. Experience inten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recommendation intention and continuous use. Male and femal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pull and mooring factors. Push factor was analyzed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experience intention only for women, and mooring factor had a negative effect on both men and women, but women were more affected than men. These results theoretically test that the mooring factors also have an important effect on the experience intention in the sixth industry experience. Based on the SERVQUAL introduced as a pull factor, the proposed extended PPM model proved to be a useful analysis framework. In practice, it was able to provide implications on what factors should be strategically and marketingly focused to activate the 6th industry experience. 본 연구의 목적은 6차산업 체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장된 PPM모델(extended push-pull-mooring model)을 적용하여 탐색하는 것이다. 이론적인 모델은 PPM을 근간으로 하여 새로운 변수들을 도입한 확장된 PPM모델이다. 새롭게 도입된 변수 중 pull요인은 SERVQUAL 모형을 바탕으로 재구성하였다. 종속변수는 고객 충성도 모형을 바탕으로 추천의향과 지속이용을 채택하였다. 선행 변수와 이들 간 영향 관계를 검정하였고 이 과정에서 성별의 조절 역할에 대해 검정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모형을 314개 설문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여 구조방정식으로 검정하였다. 연구결과 체험의도에 영향을 가장 크게 미치는 요인은 pull요인으로 밝혀졌다. Pull요인은 체험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Push요인과 mooring요인은 체험의도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체험의도는 추천의향 및 지속이용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성별에 있어서 남성과 여성은 pull요인과 mooring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났다. Push요인은 여성에게만 체험의도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mooring요인의 경우 남성과 여성 모두에게 부(-)의 영향을 미쳤지만, 여성이 남성보다 더 영향을 받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이론적으로는 6차산업 체험에 있어서 기존의 pull, push요인 위주의 분석에서 나아가 mooring 요인도 체험의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검정하였다. Pull요인으로 도입된 SERVQUAL을 바탕으로 제안된 확장된 PPM모델이 유용한 분석의 틀이 될 수 있음을 검정하였다. 실무적으로는 6차산업 체험을 활성화하기 위해 어떠한 요소에 전략적으로나 마케팅적으로 집중해야 하는지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었다.

      • KCI등재후보

        대학생의 전공만족도가 취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IPP형 장기현장실습 경험 유무 집단 간 차이를 중심으로 -

        정병규,Chung, Byoung-gyu 한국벤처혁신학회 2020 벤처혁신연구 Vol.3 No.1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전공만족도가 취업스트레스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해보고, 장기현장실습을 경험한 학생집단과 그렇지 않은 학생 집단 간 전공만족도와 취업스트레스가 유의한 차이가 나는지를 검정하였다. 연구를 위한 모집단은 4학년 학생 중 IPP(Industry Professional Practices) 장기현장실습을 경험한 학생과 IPP를 포함한 장기현장실습을 전혀 경험하지 않는 학생으로 하였으며, 분석을 위한 샘플은 각각 100명씩 200명에게 설문조사를 통해 취득하였다. 결과분석은 IBM SPSS Statistics 24.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실증적 연구 분석결과, 첫째, 전공만족도는 취업스트레스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공만족도중 교과만족은 인지적, 신체적 스트레스에 부(-)의 영향을 미쳤으며, 관계만족 역시 인지적, 신체적 스트레스에 부(-)의 영향을 미쳤다. 반면, 일반만족은 정서적 스트레스에만 부(-)의 영향을 미쳤다. 둘째, 전공만족도와 취업스트레스는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공만족도는 장기현장실습경험집단이 높게 나타났으며, 취업스트레스는 반대로 낮게 나타났었다. 셋째, 실습을 한 학생 집단의 경우 교과만족이 정서적 및 신체적 스트레스에 부(-)의 영향을 미친 반면, 실습을 하지 않은 학생 집단의 경우 교과만족이 취업스트레스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관계만족의 경우 비실습 집단만 인지적 스트레스와 신체적 스트레스에 부(-)의 영향을 미쳤다. 일반만족의 경우 실습 집단만 정서적 스트레스에 부(-)의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취업스트레스에 전공만족도가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이론을 지지하였고, 두 집단간 차이가 있음을 확인했다는 점에 연구 의의가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학술적인 시사점과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mpirical analysed how student's major satisfaction affected job-seeking stress. It also analysed the mean differences of major satisfaction and job-seeking stress between two groups(IPP experienced, non-experienced groups). 200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field survey questionnaires administered to a quota sample of university students who had IPP experience or non-experience. For hypothesis testing, the IBM SPSS Statistics 24.0 was used. As a result of empirical research analysis, first, it was found that major satisfaction had a negative effect on job-seeking stress. Among major satisfaction sub categories, subject satisfaction had negative effects on cognitive and physical stress,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also had negative effects on cognitive and physical stress. On the other hand, general satisfaction had a negative effect only on emotional stress.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ajor satisfaction and job-seeking stress. Major satisfaction of IPP experience group was high, and the job-seeking stress was low. Third, in the group of students who practiced IPP, subject satisfaction had a negative effect on emotional and physical stress, whereas subject satisfaction in the group of students who did not practice IPP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job-seekingt stress. In the case of relationship satisfaction, only non-practice groups had a negative effect on cognitive stress and physical stress. In the case of general satisfaction, only the IPP group showed negative effects on emotional str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pported the preceding studies that major satisfaction had an effect on job-seeking stress, and the study was meaningful in that it confirm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the IPP experienced, non-experienced groups. Based on this results,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suggested.

      • 기술수용 모델의 비교분석 : UTAUT1과 UTAUT2를 중심으로

        정병규 사단법인 한국벤처혁신학회 2018 벤처혁신연구 Vol.1 No.2

        New technology had been introduced continually and in many cases, we approached technology persepectives when the new technology were introduced. It was very important that researching users acceptance of the new technology in the areas of marketing and strategy. Regarding to user accepatance of new technology, many research models had been exited. This study compared with 2 models which were proposed by Venkatesh et al. named UTAUT1, UTAUT2 based on the criteria which composed of application context, variables of model, the impacts of variables. The dominant matric which was applied in all functions and industries was not exited.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predictability, single or compound matrics were useful according to industries and usage. 새로운 기술이 끊임없이 나오고 있으며 새로운 기술이 도입되는 초기에는 기술적인 관점에서 많이 접근해왔다. 아무리 새로운 기술도 고객이 외면하면 효용성이 없으므로 고객의 관점에서 이러한 새로운 기술을 어떻게 수용하고 있는지에 대한 연구는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기술수용에 관한 연구는 지속되어 오고 있으며 다양한 연구 모형이 존재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Venkatesh 등이 제안한 UTAUT1과 UTAUT2를 모형이 적용되는 맥락, 모형에 사용된 변수, 요인간 영향력의 차이 관점에서 비교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어떠한 모형도 모든 산업에 그리고 모든 상황에 적용되기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며, 각 모형이 가장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는 맥락을 찾고 여기에 맞게 적용하는 것이 중요함을 제시하였다. 외생변수, 내생변수, 새로운 매개 및 조절변수, 새로운 결과 메카니즘을 끊임없이 찾아 그 적합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

      • 3D 프린팅 : 새로운 산업혁명인가?

        정병규 사단법인 한국벤처혁신학회 2019 벤처혁신연구 Vol.2 No.1

        Many research or consulting institute refered to Artificial Intelligence, Internet of Things, Blockchain technology and 3D Printing as key driving forces and technologies of 4th industrial revolution. Compared with traditional manufacturing as a subtractive manufacturing(SM), 3D printing technology as an additive manufacturing(AM) will revolutionary impacts on many industries. This study compared 3D printing with traditional manufacturing in the economic, manufacturing, and marketing perspectives. This study also analyzed issues of 3D printing for the purpose of building business ecosystem. Finally agenda for the further research were suggested. 다양한 연구기관에서 4차 산업혁명을 이끌 핵심기술로 AI, IoT, Blockchain 등의 기술과 더불어 3D 프린팅 기술을 들고 있다. 3D 프린팅은 전통적인 생산방식인 subtractive manufacturing(SM)과는 대조적으로 additive manufacturing(AM)으로 그 영향력이 매우 커 혁명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기도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3D 프린팅 산업의 특성을 경제 관점, 생산 관점, 마케팅 관점에서 전통적인 방식과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이후 비즈니스 생태계 구축 측면에서 쟁점을 분석하였다. 끝으로 향후 연구를 위한 아젠더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실무적으로는 3D 프린팅을 둘러싼 핵심적인 이슈 파악 및 향후 적용을 위한 단초를 제공하였다. 학문적으로는 기존의 연구 이슈에 대해 쟁점을 정리함으로써 향후 연구를 위한 틀을 제시하였다. 향후 연구에서는 이러한 논의를 토대로 실제 사례를 중심으로 실증적인 분석이 뒷받침될 필요가 있다.

      • 증강현실(AR) 기술 수용에 있어서 신뢰성의 역할

        정병규 사단법인 한국벤처혁신학회 2019 벤처혁신연구 Vol.2 No.2

        Various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factors influencing the adoption of new technologies. In particular, the factors influencing customers' acceptance of new technologies that emerged along with the arrival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oretical models are mainly based on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AM) or Extended Unified Theory of Acceptance and Use of Technology : UTAUT2). However, there are no trust variables in these models. In this study, we added trust variable and tested augmented reality(AR). Three types - trust as an independent variable, as a mediating variable, and as a moderating variable - were analyzed statistically. As a result, trust was most explanatory when viewed as a mediating variable between independent variables and intention to use. In theory, it has been shown that trust acts as a mediating effect. In practice, trust is most important in accepting new technologies, so it is important to prioritize trust. 신기술의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들이 다양하게 이루어져 오고 있다. 특히 4차 산업혁명의 도래와 더불어 등장한 새로운 기술을 고객들이 수용함에 있어서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이 요인의 영향력에 대한 다양한 연구들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론적인 모형으로는 기술수용모형(TAM) 혹은 확장된 통합기술 수용모형(UTAUT2)에 기반한 연구들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하지만 이들 모형에는 신뢰성(trust) 변수가 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신뢰성을 추가하여 증강 현실(AR)을 대상으로 검정을 하였다. 신뢰성을 독립 변수로 본 경우, 매개 변수로 본 경우, 조절 변수로 본 경우 3가지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신뢰성은 독립 변수들과 사용 의도(수용 의도)간 매개 변수로 보는 것이 가장 설명력이 높았다. 본 연구는 이론적인 측면에서는 신뢰성은 매개 효과로서의 역할을 하다는 점을 밝혔다. 실무적인 측면에서는 새로운 기술 수용에 있어서 신뢰성이 무엇보다 중요하므로 신뢰성 확보에 우선 순위를 두어야한다는 것이다.

      • KCI등재

        모바일 뱅킹 기술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신뢰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정병규 한국유통경영학회 2019 유통경영학회지 Vol.22 No.1

        Mobile banking was one of the core service technologies of the 4th industry revolution. Public acceptance of new technologies was a very important issue for market diffusion. Nevertheless, there were still few empirical studies on factors affecting acceptance or use intention and usage behavior of mobile banking technology.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factors affecting the technology acceptance based on the extended UTAUT(UTAUT2) model in the mobile banking industry and discussed it with the previous studies based on this analysis. As a result, the main variables of the existing UTAUT1 model, performance expectancy, effort expectancy, social influence, and habit of UTAUT2, had a significant effect on intention to use. In addition, the impact between these two factors was performance expectancy (β = .354, t = 7.477)> habit (β = .252, t = 4.842)> effort expectancy (β = .154, t = 3.476)> social influence( β=.138, t = 2.601).The facilitating conditions of UTAUT1 and the hedonic motivation of UTAUT2 were analyzed to have no significant effect on intention to use.The intention to use was analyze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actual use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On the other hand, the hypothesis that trust played a mediating role between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 has been accepted. In other words. trust was tested as a mediator between performance expectancy, effort expectancy, social influence, facilitating conditions, hedonic motivation, habit and intention to use. Therefore, all of the hypothesis established to test the mediating role of trust have been accepted. 모바일 뱅킹은 4차 산업의 핵심 서비스 기술 중의 하나이다. 시장 확산을 위해선 새로운 기술에 대한 소비자의 수용성 문제(public acceptance)는 대단히 중요한 이슈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반 소비자들의 모바일 뱅킹 기술에 대한 수용 내지 사용 의도나 사용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는 아직까지 많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뱅킹 산업에 있어서 확장된 UTAUT2 모형을 기반으로 기술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기존의 연구와 비교를 통해 논의를 하였다. 연구결과 기존의 UTAUT1 모형의 주요 변인인 성과기대, 노력기대, 사회적영향 및 UTAUT2의 습관이 사용 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또한 이들의 영향 관계는 성과기대(β=.354, t=7.477) > 습관(β=.252, t=4.842) > 노력기대(β=.154, t=3.476) > 사회적영향(β=.138, t=2.601)순으로 나타났다. UTAUT1의 촉진조건과 UTAUT2의 쾌락적동기는 사용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사용 의도는 실제 사용과 추천의향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한편, 신뢰성은 독립변수와 종속변수간에 매개 역할을 할것이라는 가설은 모두 채택이 되었다. 즉. 신뢰성은 성과기대, 노력기대, 사회적영향, 촉진조건, 쾌락동기, 습관과 사용 의도간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검정되었다. 매개 역할중 부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