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수면클리닉을 방문한 환자들의 불면증에 대한 인식조사

        소민아 대한수면의학회 2019 수면·정신생리 Vol.26 No.1

        Objectives: Insomnia is not only the most common sleep-related disorder, but also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Knowledge of the comorbidities of insomnia is essential for proper treatment including pharmacological and non-pharmacological methods to prevent disease chronification.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sleep clinic patients’ knowledge of insomnia. Methods: This study recruited 44 patients (24 males and 20 females; mean age 54.11 ± 16.30 years) from the sleep clinic at National Center for Mental Health. All subjects were asked to complete a self-report questionnaire about their reasons for visiting a sleep clinic and about their knowledge of treatment and comorbidities of insomnia. Results: The reasons for visiting the sleep clinic were insomnia symptoms of daytime sleepiness, irregular sleeping time, nightmares, snoring, and sleep apnea, in that order. Of the responders, 72.7% had a comorbidity of insomnia, and 22.7% showed high-risk alcohol use. In addition, 70.5% of responders chose pharmacological treatment of insomnia as the first option and reported collection of information about treatment of insomnia mainly from the internet and medical staff. More than half (52.3%) of the respondents reported that they had never heard about non-pharmacological treatments of insomnia such as cognitive behavioral treatment (CBT-I) or light therapy. The response rate about comorbidities of varied, with 75% of responders reporting knowledge of the relation between insomnia and depression, but only 38.6% stating awareness of the relation between insomnia and alcohol use disorder. Of the total responders, 68.2% were worried about hypnotics for insomnia treatment, and 70% were concerned about drug dependence.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patients at a sleep clinic had limited knowledge about insomnia. It is necessary to develop standardized insomnia treatment guidelines and educational handbooks for those suffering from insomnia. In addition, evaluation of alcohol use disorders is essential in the initial assessment of sleep disorders. 목 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수면장애로 수면클리닉에 내원하는 환자들을 대상으로 수면클리닉을 방문하게 된 이유, 찾게 된 경로, 수면클리닉을 찾게 되는 가장 흔한 증상이자독립질환인 불면증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그 의미를 해석하여 향후 수면장애의 치료와 환자교육에 도움이 되고자하였다. 방 법 : 2018년 4월부터 10월 사이 6개월 간 국립정신건강센터의 수면클리닉을 방문한 외래환자들 중 만 19세 이상의 초진환자를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을 진행하였다. 이때, 지적장애, 치매 등 심한 인지기능을 동반한 환자등을배제하였고, 총 44명(남성 24명, 여성 20명)이 연구에 참석하였다. 설문지는 자체개발한 설문지로 수면클리닉을 방문한이유, 수면클리닉을 알게 된 경로, 수면클리닉 방문 이전 수면질환의 치료력, 불면증의 인식에 대한 질문, 불면증의 치료에 대한 인식, 불면증의 동반질환(comorbodity)에 대한 지식을 묻는 질문으로 구성되었다. 결 과 : 연구에 참가한 대상자들은 총 44명으로 평균 연령은 54.11 ± 16.3세로 남성은 24명(54.5%), 여성은 20명(45.5%)였으며, 40대 이상의 중장년층이 전체의 77.3%를 차지했고, 81.8%(36명)가 고졸이상의 학력을 갖추고 있었다. 환자들의 72.7%(32명)가 공존질환을 갖고 있었으며, 22.7% 에서 고위험음주를 보였다. 수면클리닉에 내원한 이유는 잠들기 힘들고 중간에 자주 깸, 낮에 피곤하고 졸림, 불규칙한수면시간, 악몽을 자주 꿈, 코골이와 수면 중 숨막힘 등의순서였고, 93.2%에서 불면증을 인식하고 있었고, 가족 친지, 방송, 인터넷 등을 통해 본인이 불면증에 대한 지식을얻게 되었다고 하였다. 불면증의 치료에 대해서는 70.5%가약물치료를 떠올렸고, 이에 대한 정보는 인터넷과 의료진을통해 주로 얻고 있었으며 불면증의 비약물학적인 치료방법에 대해 52.3%가 들어본 적이 없다고 하였다. 불면증의 치료선호도를 묻는 질문에 45.5%가 특별한 선호도 없이 의사의 권유대로 따르겠다고 하였고, 불면증의 공존질환 중 우울증, 신체질환, 알코올사용장애을 알고 있는지를 묻는 질문에 대해 각각 75%, 50%, 38.6%의 응답률을 보였다. 수면제 복용 시 의사의 지침을 준수해야 한다는 것에 대해서는75%에서 알고 있었지만, 전체 응답자의 68.2%가 수면제 처방에 대해 걱정을 하고 있었고 이들 중 70%가 약물의존에대해 걱정된다고 하였다. 결 론 : 내원자의 56.8%가 내원전 타의료기관에서 수면장애로 치료를 받고 왔음에도 불구하고, 불면증의 치료, 특히 비약물학적인 치료에 대한 잘 알고 있지 못했으며, 본인의 수면제 복용여부와 상관없이 수면제에 대해서는 약물의존에 대한 걱정을 많이 하고 있었으나 상대적으로 불면증과공존질환으로서의 알코올 사용문제에 대해서는 간과하고있었다. 향후 일선 일차의료담당자의 불면증치료에 대한 이해증진 및 표준화된 불면증치료안의 개발이 시급할 것으로생각된다. 또한 알코올 사용장애에 대한 구체적인 평가가초기 면담에서 반드시 필요하다고 하겠다.

      • KCI등재

        주요 우울증과 불면증이 신체화 증상에 미치는 영향

        전진용,김석주,이유진,조성진,Jun, Jin Yong,Kim, Seog Ju,Lee, Yu-Jin,Cho, Seong-Jin 대한수면의학회 2012 수면·정신생리 Vol.19 No.2

        배 경: 본 연구에서는 주요 우울장애와 불면증이 각각 신체화 증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려고 하였다. 방 법: 심각한 신체질환이 없는 181명의 성인(남자 73명, 여자 108명, 평균연령 $41.59{\pm}8.92$세)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정신과적 진단평가를 위한 구조화 면담과 불면증의 국제진단 분류를 근거로 주요우울장애와 불면증을 각각 진단하였다. 이를 기준으로 연구 대상을 1) 정상 대조군(n=127), 2) 일차성 불면증군(n=11), 3) 불면증상이 없는 우울증군(n=14), 4) 불면증상이 있는 우울증군(n=29) 이상 4개군으로 나누었다. 각 군의 신체화 증상 정도를 평가하기 위해 간이정신건강진단검사(Symptom Checklist-90, SCL-90)의 신체화 증상 차원의 12문항을 자가 작성하게 하였다. 결 과: 각 군의 신체화 증상 척도 점수는 서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F=25.30, p<0.001). 불면증상이 있는 우울증군은 정상 대조군(p<0.001), 일차성 불면증군(p=0.01), 불면증상이 없는 우울증군(p<0.001)에 비해 모두 신체화 증상 척도 점수가 높았다. 일차성 불면증군은 정상 대조군에 비해 신체화 증상 척도 점수가 높았다(p<0.01). 그러나 불면증이 없는 우울증 환자의 신체화 척도 점수는 정상 대조군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다중 회귀분석에서 불면증은 신체화 증상척도 점수를 유의하게 예측하였으나(beta=0.44, p<0.001), 주요 우울증은 통계적으로는 유의하지 않은 경향성만을 보여주었다(beta=0.14, p=0.08). 결 론: 불면증은 주요 우울증 유무와 독립적으로 신체화 증상과의 관계를 보였다. 일차성 불면증이 있는 경우 신체화 증상이 심했으며, 우울증이 있는 환자에서도 불면증이 동반된 경우에만 신체화 증상이 심했다. 이러한 결과들은 불면증상이 신체화 증상과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시사한다. Introduction: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dependent effects of major depressive disorder (MDD) and insomnia on somatization, respectively. Methods: A total of 181 participants (73 males and 108 females ; mean age $41.59{\pm}8.92$) without serious medical problem were recruited from a community and a psychiatric clinic in Republic of Korea. Subjects were divided into 4 groups based on the Structured Clinical Interview for DSM-IV axis I disorder (SCID-IV) and sleep questionnaire : 1) normal controls (n=127), 2) primary insomnia (n=11), 3) MDD without insomnia (n=14), and 4) MDD with insomnia (n=29). All participants were requested to complete the somatization subscores of the Symptom Checklist-90-Revised (SCL-90-R).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between-group differences in somatization score (F=25.30, p<0.001). Subjects with both MDD and insomnia showed higher somatization score compared to normal control (p<0.001), subjects with primary insomnia (p=0.01), or MDD subjects without insomnia (p<0.001). Subjects with primary insomnia had higher somatization score than normal controls (p<0.01), whil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DD subjects without insomnia and normal controls. In multiple regression, presence of insomnia predicted higher somatization score (beta=0.44, p<0.001), while there was only non-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MDD and somatization (beta=0.14, p=0.08). Conclusion: In the current study, insomnia was associated with somatization independently from major depression. Subjects with primary insomnia showed higher somatization. Within MDD patients, presence of insomnia was related to higher somatization. Our finding suggests that insomnia may part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somatization.

      • KCI등재

        성인 애착유형과 불면증

        김동욱,이경화,조성진,조인희,고승희,이유진,김종훈,김석주,Kim, Dong-Wook,Lee, Kyung-Hwa,Cho, Seong-Jin,Cho, In-Hee,Koh, Seung-Hee,Lee, Yu-Jin,Kim, Jong-Hoon,Kim, Seog-Ju 대한수면의학회 2009 수면·정신생리 Vol.16 No.1

        배 경:인간에 있어서 애착은 각종 정신생리적 증상과 관계가 깊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성인기 애착 유형과 수면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며, 애착 유형과 불면증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역사회 구성원을 대상으로 성인기 애착 유형과 불면증과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려고 하였다. 방 법:지역사회에 거주하는 19세 이상 성인177명(남자 74명, 여자 103명, 평균연령 $41.23{\pm}8.44$세)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연구참여자들의 애착 유형(안정형, 거부형, 의존형, 두려움형)을 평가하기 위해 자기보고형 대인관계 유형 설문지를 작성하게 하였다. 또한, 불면증의 임상양상을 조사하기 위해 지난 한달간 불면증의 존재, 형태, 빈도, 기간에 대한 설문도 작성하게 하였다. 결 과:불면증이 있는 경우 두려움형 애착 점수가 높았으며(t=2.87, p=0.005), 이러한 상승은 모든 유형의 불면증에서 나타났다(초기 불면, t=2.33, p=0.021;중기 불면, t=2.92, p=0.004;후기불면, t=2.89, p=0.004). 또한, 주 3회 이상의 잦은 불면증이 있는 경우 간헐적인 불면증에 비해 두려움형 애착 점수가 더 높았다(t=2.57, p=0.012). 반면, 6개월 이상 지속된 만성 불면증이 있는 경우 일과성 불면증에 비해 의존형 애착 점수가 더 높았다(t=2.57, p=0.012). 결 론:본 연구에서는 불면증 유무에 따라 애착 유형의 차이가 있었다. 두려움형 애착 유형은 다양한 형태의 불면증과 관련이 있었으며, 의존형 애착은 불면증상의 만성화와 관련이 있었다. 이는 성인기 애착 유형과 불면증의 임상 양상과 서로 관련이 있음을 시사한다. Introduction: Human attachment is known to be closely associated with psychophysiological phenomenon. However, there have not been enough researches on the relationship of the attachment with sleep, especially with insomnia.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ttachment styles and insomnia in community-dwelling population. Methods: One hundred seventy seven community-dwelling adults (74 males and 103 females;mean age $41.23{\pm}8.44$) participated in the current study. To assess the attachment styles (secure, dismissing, preoccupied and fearful), self-reporting Relationship Style Questionnaires (RSQ) were completed by the participants. Presence, type, frequency and duration of insomnia in the last month were also investigated. Results: Compared to subjects without insomnia, subjects with insomnia had higher fearful attachment scores (t=2.87, p=0.005). Higher fearful attachment score were found in all subtypes of insomnia (sleep-onset insomnia, t=2.33, p=0.021;maintenance insomnia, t=2.92, p=0.004;terminal insomnia, t=2.89, p=0.004). Subjects with frequent (${\ge}3$ per week) insomnia had higher fearful attachment scores than subjects with infrequent (${\le}2$ per week) insomnia (t=2.57, p=0.012). In addition, subjects with chronic insomnia (${\ge}6$ months) had higher preoccupied attachment scores relative to subjects with transient insomnia (<6 months), (t=2.57, p=0.012). Conclusion: In the current study, attachment styles we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insomnia. The fearful attachment was associated with the presence of insomnia, while the preoccupied attachment was associated with the chronicity of insomnia.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re may be some relationship between the adult attachment styles and the clinical features of insomnia.

      • KCI등재

        혈액투석 중인 만성 신부전증 환자에서의 불면증에 대한 연구

        김경률,양창국,한홍무,Kim, Gyung-Ryul,Yang, Chang-Kook,Hahn, Hong-Moo 대한수면의학회 1999 수면·정신생리 Vol.6 No.2

        목 적: 저자들은 본 연구에서 혈액투석 중인 환자들을 대상으로 불면증의 빈도, 불면증 환자들의 특성, 신체적 그리고 심인적인 증상들과의 상관관계, 수면에 대한 믿음과 태도 등을 조사하여 향후 진료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방 법: 부산시내 소재 4개의 혈액투석실에서 혈액투석을 받고 있는 만성 신부전증 환자 153명(남 87명, 여 66명)을 대상으로 저자들이 본 연구에 알맞게 개발한 수면관련 설문지, 벡 우울증 척도, 스필버거 상태-특성 불안 척도를 이용하여 환자들의 증상을 조사하였다. 결 과: 전체 153명의 혈액투석 환자 중 65.4%인 100명이 불면증을 호소하였다. 연령, 남녀비, 교육정도, 결혼상태, 평균 혈액투석 기간, 그리고 혈청 알부민을 제외한 조사된 혈액화학검사 소견들은 불면증군과 비불면증군 사이에 차이가 없었다. 불면증군은 비불면증군에 비해 유의하게 BDI 점수와 투석전 수축기 혈압이 높았고 혈청 알부민치는 더 낮았다. 또, 시각유도척도법을 이용한 두 군간의 주관적인 고통에 대한 조사에서 불면증군은 슬픔, 불안, 걱정, 피부 소양증, 그리고 일상생활에서의 기능장애 등의 주관적인 고통을 비불면증군보다 유의하게 더 많이 호소하고 있었다. 불면증의 심한 정도가 불량한 신체적 건강상태, 피부 소양증, 그리고 골관절 통증 등의 신체적 증상, 슬픔, 불안, 걱정 등의 심인적인 증상, 그리고 낮 동안의 졸음과 일상생활에서의 기능장애와 유의한 혈액투석 중인 만성 신부전증 환자에서의 불면증 132 상관관계가 있었다. 또, 불면증군은 비불면증군에 비해 수면에 대한 비기능적인 믿음이 더 많았다. 결 론: 혈액투석을 받고 있는 말기 신부전증 환자들은 일반 인구에 비해 불면증이 흔하였고, 이들 중 불면을 호소하는 환자들은 대조군에 비해 심인적인 증상과 신체증상 그리고 일상생활에서의 기능저하를 더 호소하였고, 수면에 대한 비기능적인 믿음이 많았다. 그리고 불면증의 심한 정도는 이러한 요인들과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이상의 요인들을 고려하여 수면장애를 개선한다면 이들 환자들의 진료에 도움을 주어 치료 순응도와 삶의 질을 높일 수 있으리라고 생각한다.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1) the incidence of insomnia, 2)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the insomniacs, 3) the correlation of severity of insomnia with somatic complaints and psychological distresses, and 4) the beliefs and attitudes about sleep in patients with chronic renal failure on hemodialysis. Methods: The author evaluated 153 patients, receiving hemodialysis therapy at the four outpatients hemodialysis units in Pusan, Korea. The patients had completed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package, which consisted of basic demographic findings, questions characterizing insomnia, Beck Depression Inventory(BDI), Spielburger's State-Trait Anxiety Inventory(STAI), and visual analogue scales measuring quantitatively the severity of the self-perceived psychological and somatic symptoms. And several laboratory data were collected. Diagnosis of insomnia was made in the base of insomnia criteria of DSM-IV and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sleep disorders. Subjects were dichotomized into those who reported any characteristics of insomnia or those who had no insomnia during the preceding two weeks. Results: Insomnia was found in 100(65.4%) of 153 patients. No statistical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he patients with and without insomnia in terms of age, gender, education, marital status, mean duration of hemodialysis and all considered laboratory findings except serum albumin. The patients with insomnia had significantly higher BDI score and predialysis systolic blood pressure, and lower serum albumin as compared to non-insomnia group.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wo groups in terms of self-perceived distress such as sadness, anxiety, worry, pruritus, and dysfunction of daily life. The data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insomnia severity and some variables such as physical dysfunction, pruritus, bone pain, sadness, anxiety, worry, dysfunction of daily life and excessive daytime sleepiness. The patients with insomnia had significantly several dysfunctional beliefs and attitudes about sleep than those without insomnia. Conclus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insomnia is very common in hemodialysis patients and likely contribute to the impaired quality of life experienced by many these patients. The author suggests that physical and psychological distresses would be reduced and the quality of life could be improved if their sleep disturbances are properly ameliorated in patients on hemodialysis.

      • KCI등재

        2형 당뇨병 환자에서 불면증과 우울 증상의 관련성

        이진환,전진숙,최영식,김호찬,오병훈 한국정신신체의학회 2019 정신신체의학 Vol.27 No.1

        Objectives:Many of the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are associated with sleep problems, and the rate of insomnia is known to be higher in the general population.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know the frequency and clnical characteristics of insomnia, and related variables to insomnia in patients diagnosed with type 2 diabetes. Methods:For 99 patients from 18 to 80 years of age (65 males and 34 females) with type 2 diabetes, interviews were performed. Total sleep time and sleep latency was evaluated. Insomnia was evaluated using the Korean Version of the Insomnia Severity Index (ISI-K). Severity of depressive symptoms were evaluted using the Korean version of the Hamilton Depression Scale (K-HDRM). According to the cutoff score of 15.5 on the ISI-K, subjects were divided into the group of type 2 diabetics with insomnia (N=34) and those without insomnia (N= 65) at first, and then statistically analyzed. Results:TInsomnia could be found in 34.34% of type 2 diabetics. Type 2 diabetics with insomnia had significantly more single or divorced (respectively 11.8%, p<0.05), higher total scores of the K-HDRS (11.76±5.52, p< 0.001), shorter total sleep time (5.35±2.00 hours, p<0.001), and longer sleep latency (50.29±33.80 minutes, p< 0.001). The all item scores of the ISI-K in type 2 diabetics with insomnia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type 2 diabetics without insomnia, that is, total (18.38±2.69), A1 (Initial insomnia) (2.97±0.76), A2 (Middle insomnia) (3.06±0.69), A3 (Terminal insomnia) (2.76±0.61), B (Satisfaction) (3.18±0.72), C (Interference) (2.09±0.97), D (Noticeability) (2.12±1.09) and E (Distress) (2.21±0.81) (respectively p<0.001). Variables associated with insomnia in type 2 diabetics were as following. Age ha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A3 items of the ISI-K (β=-0.241, p<0.05). Total scores of the K-HDRS ha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hile total sleep time ha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all items of the ISI-K (respectively p<0.05). Sleep latency ha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otal,, A1, B and E item scores of the ISI-K (respectively p<0.05). Conclusions:Insomnia was found in about 1/3 of type 2 diabetics.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insomnia, clinical characteristics including sleep quality as well as quantity seemed to be different. Because depression seemed to be correlated with insomnia, clinicians should pay attention to early detection and intervention of depression among type 2 diabetics. 연구목적: 2형 당뇨병을 지닌 환자의 다수에서 수면문제가 동반되며, 이들에서 불면증의 비율은 일반 인구에 비해서높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2형 당뇨병 환자에서 불면증의 발생빈도, 불면증의 임상적 특징 및 이에 연관되는 변인을 알아보기 위함이다. 방법: 2형 당뇨병으로 진단받은 18세에서 80세 이하의 99명(남자 65명, 여자 34명)을 대상으로 연구자 1인(제1저자)가 면담을 시행하였다. 면담으로 수면 잠복기, 총 수면시간을 조사하였고, 한국판 불면증 심각도 지수(Korean Version of Insomnia Severity Index, ISI-K) 평가하고, 우울증상의 심각도는 한국판 Hamilton 우울증평가 척도(Korean Version of the Hamilton Depression Rating Scale, K-HDRS)로 평가하였다. ISI-K의 절취점 15.5점을 기준으로 불면증 있는 군(N=34명)과 불면증 없는 군(N=65)으로 양분하여 불면증군과 대조군의여러 변인과의 연관성을 상관분석하고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검토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결과: 2형 당뇨병 환자의 34.34%(N=34)에서 불면증이 있었다. 불면증이 있는 2형 당뇨병 환자군은 불면증이 없는2형 당뇨병 환자군보다 유의하게 미혼(11.8%)이나 이혼(11.8%)이많았고(p<0.05), K-HDRS 총점(11.76±5.52 점)이 높았으며(p<0.001), 총수면시간(5.35±2.00시간)이 짧았고(p<0.001), 수면잠복기(50.29±33.80분)가 길었다(p<0.001). 불면증이 있는 2형 당뇨병 환자군은 불면증이 없는 2형 당뇨병 환자군보다 ISI-K 검사상 합계(18.38±2.69점), A1 (입면)(2.97±0.76점), A2 (수면유지)(3.06±0.69점), A3 (일찍 깸)(2.76±0.61점), B (수면만족도)(3.18±0.72점), C (수면장애로 인한 기능방해)(2.09±0.97점), D (남이 알아차림)(2.12±1.09점), E (수면장애에 대한 걱정)(2.21±0.81점) 등 모든 항목의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다(각각 p<0.001). 2형 당뇨병 환자에서 불면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다음과 같다. 나이는 ISI-K A3 항목과 유의한 역상관관계가 있었고(β= -0.241, p<0.05), K-HDRS 총점은 ISI-K 모든 항목과 유의한 순상관관계가 있었으며(각각 p<0.05), 총수면시간은 ISI-K 모든 항목과 유의한 역상관관계가 있었다(각각 p<0.05). 수면잠복기는 ISI-K 합계, A1, B, E 항목과 유의한 순상관관계가 있었다(각각 p<0.05). 결 론: 2형 당뇨병 환자의 약 1/3에서 불면증이 존재하며, 불면증이 없는 2형 당뇨병 환자군과 수면의 양적 및 질적차이가 있음을 시사한다. 우울증상의 심각도는 2형 당뇨병 환자의 불면증과 상관관계가 있으므로 우울증의 조기 발견과 치료가 요구된다.

      • KCI등재

        주관적-객관적 수면시간 차이를 보이는 불면증 환자에서 일반적 불안에 비해 불면증 관련 자극으로 인한 뇌활성에 관한 기능적 자기공명영상 연구

        김남범,이재준,조서은,강승걸 대한수면의학회 2020 수면·정신생리 Vol.27 No.1

        Objectives: Subjective-objective discrepancy of sleep (SODS) is a common symptom and one of the major phenotypes of insomnia. A distorted perception of sleep deficit might be related to abnormal brain reactivity to insomnia-related stimuli. We aimed to investigate differences in brain activation to insomnia-related stimuli vs. general anxiety-inducing stimuli among insomnia patients with SODS, insomnia patients without SODS, and healthy controls (HCs). Methods: All participants were evaluated for subjective sleep status using a sleep diary and questionnaires; occult sleep disorders and objective sleep status were assessed using polysomnography and actigraphy. Task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was performed during insomnia-related stimuli (Ins) and general anxiety-inducing stimuli (Gen). Brain reactivity to Ins versus Gen was compared among insomnia with SODS, insomnia without SODS, and HC groups, and a combined insomnia disorder group (ID, insomnia with and without SODS) was also compared with HCs. Results: In the insomnia with SODS group compared to the insomnia without SODS group, the right precuneus and right supplementary motor areas showed significantly increased BOLD signals in response to Ins versus Gen. In the ID group compared to the HC group, the left anterior cingulate cortex showed significantly increased BOLD signals in response to Ins versus Gen. Conclusion: The insomnia with SODS and ID groups showed higher brain activity in response to Ins versus Gen, while this was not observed in the insomnia without SODS and HC groups, resp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somnia patients with sleep misperception are more sensitive to sleep-related threats than general anxiety-inducing threats. 목 적:주관적-객관적 수면시간의 차이는 불면증의 흔한 증상이자 주요한 유형이다. 본 연구는 주관적-객관적 수면시간 차이가 있는 불면증군, 주관적-객관적 수면시간 차이가 없는 불면증군, 건강대조군을 대상으로 전반적 불안- 유발 자극에 대비하여 불면-관련 자극에 대한 뇌활성의 군간 차이가 있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방 법:모든 피험자들은 수면일기와 임상척도로 주관적수면상태를, 수면다원검사와 활동기록기로 객관적 수면상태와 불면증 외의 수면장애를 확인하였다. 기능적 뇌영상촬영동안 불면증-관련 문장 자극과 일반 불안-유발 문장자극을 피험자들에게 주어 유발되는 뇌활성의 세 군간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하였다. 뇌활성은 전체 불면증군(주관적- 객관적 수면시간의 차이 여부에 상관없이)과 건강대조군두 군간에도 비교되었다. 결 과:주관적-객관적 수면시간 차이가 없는 불면증 군에 비해 차이가 있는 불면증 군에서 일반적 불안-유발 자극대비 불면-관련 자극에 대해 우측 설전부와 보조운동영역에서 유의하게 증가된 blood oxygen level dependent (BOLD) 신호를 보였다. 또한, 같은 자극에 대해 통합 불면증군이 대조군 보다 좌측 앞 대상회 영역에서 유의하게 증가된 BOLD 신호를 보였다. 결 론:본 연구의 결과는 주관적-객관적 수면시간 차이를 가지는 불면증이 주관적-객관적 수면시간 차이가 없는불면증에 비해 일반적 불안-유발 자극보다 불면-관련 자극에 대해 더 선택적인 집중과 불안을 가지고 증가된 뇌활성을 보인다는 결과로 수면상태 오지각이 증가된 불면증 자극에 선택적인 불안을 보임을 시사한다.

      • KCI등재

        지역 사회 노인을 대상으로 한 불면증 단기 치료 프로그램의 효과

        오의선,박경미,안석균,남궁기,심다혜,이은 대한수면의학회 2018 수면·정신생리 Vol.25 No.2

        Objectives: Insomnia is one of the major concerns in the elderly population. Cognitive behavioral treatment for insomnia is the rst line treatment option, but there are some limitations including time and cost burdens and the requirement for suf cient cog- nitive resources to obtain a proper treatment effect. The Brief intervention for insomnia (BII) is a treatment that focuses on be- havioral aspects of insomnia in primary care practi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BII in communi- ty-dwelling older adults. Methods: A total of 47 older adults with insomnia were enrolled from community centers between May 2016 and January 2018. They participated in the BII program for three weeks. We gathered sleep-related participant information with using the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PSQI), the Sleep hygiene index, and a sleep diary. Clinical ef cacy was evaluated by comparing total sleep time (TST), sleep latency (SL), waking after sleep onset (WASO), and sleep ef ciency (SE) before and after the treatment. Results: There was signi cant improvement in sleep-related features after BII. Global score and sleep quality from the PSQI, freshness, and WASO from the sleep diary showed statistically signi cant improvement. Conclusion: We found BII showed positive clinical ef cacy in community dwelling older adults, especially from the perspective of subjective sleep quality and WASO. This nding implies that BII can be effectively applied for the managment of elderly in- somnia patients in a community setting. 목 적:한국 사회의 고령화와 동반되어 노인 인구의 불 면증은 증가되는 추세이나 이로 인해 초래되는 개인 및 사 회경제적손실에비해적절한치료를받는환자의수는많 지 않다. 불면증 인지행동치료가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일차적인 치료로서 추천되고 있으나, 시간 및 경제적 제약, 인지적인 자원이 필요한 부담으로 인해 치료에 대한 접근성 이 제한된 실정이다. 불면증 단기 치료 프로그램은 이러한 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는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 구의 목적은 지역사회 거주 노인을 대상으로 불면증 단기 치료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방 법:2016년 5월부터 2018년 1월까지 서울 소재 3개의 노인 종합복지관을 방문한 65세 이상의 불면증을 호소하는 노인들 47명을 대상으로 3주에 걸쳐 불면증 단기 치료 프로 그램을 시행하였다. 프로그램의 전, 후의 수면의 질을 측정하 는 피츠버그 수면의 질 지수(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PSQI), 수면 위생 척도, 정서 관련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치료 기간 중 매일 수면 일지를 작성하도록 지시하였다. 임상적 효 과는 치료 전후의 총 수면 시간, 수면 잠재기, 수면 후 각성 시간 및 수면 효율로 평가하였다. 치료 전, 후의 변화를 비교 하기 위해 비모수검정 방법인 윌콕슨 부호 순위 검증(Wil- coxon’s signed-ranks test)을 이용하여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 과:불면증단기치료프로그램을시행한뒤,치료전 보다 대상자들의 PSQI 총점이 감소하였으며 PSQI 로 측정 한 주관적 수면의 질이 유의하게 호전되었다. 치료 전후에 시행한 수면 일지를 비교한 결과에서도 개운함 및 수면 후 각성 시간에 대해서 유의한 수준의 호전을 보였다. 결 론:개발된 불면증 단기 치료 프로그램은 지역 사회 노인의 불면증에 대해 긍정적인 치료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의 불면증 인지행동치료에 비해 시간적, 인지 적자원부담이적음을고려하였을때불면증단기치료프 로그램은 지역 사회 내에서 노인 불면증 치료에 대한 접근 성을 확대하는 데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불면증 수용과정에 관한 내러티브

        곽성희,우석봉,진명일 한국상담학회 2020 상담학연구 Vol.21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over the subjective meaning of the experiences of insomnia through the stories of people who experience insomnia and to explore the psychological process of accommodating insomnia in order to understand the psychology of people who experience insomnia in depth. To this end, three study participants who experienced insomnia participated and Narrative Inquiry, a qualitative method of research, was performed to reveal the meaning of insomnia experiences and the context of the acceptance process of insomnia, depending on the three-dimensional elements of the time, social, and space.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in accordance with the procedure of Narrative expeditions proposed by Clandinin and Connelly(2000). As the analysis results of the meaning and acceptance of insomnia, six main themes were derived such as; Fall into a deep well, Bear alone, Lost a Dream to Achieve the Dream, Walking along own Polaris, Accept self.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provide a framework for a broad understanding of the experiences of insomnia, and further help to provide a new change of perception for the behavior and psychology of people who experience insomnia and to form a culture of understanding and respect for their lives. This cultural formation is expected to provide a new positive framework for many people who have had negative perceptions about insomnia so far, and the formation of positive perception could provide new practical implications for counseling sessions aimed at treating insomnia. 본 연구는 불면증을 경험하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통해 불면증 경험의 주관적인 의미를 발견하고 더불어 불면증을 수용하게 된 심리적 과정을 탐색하여 불면증을 경험하는 사람들의 심리에 대하여 심층적으로 이해하려는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불면증을 경험하고 있는 세 명의 연구 참여자들이 참여하였으며, 연구 참여자들의 시간적, 사회적, 공간적의 3차원적 요소에 따라 불면증 경험의 의미는 무엇인지, 불면증의 수용과정의 맥락은 어떠한지를 질적 연구방법인 내러티브 탐구로 접근하였다. 수집한 자료의 분석은 Clandinin과 Connelly(2000)가 제안하는 내러티브 탐구의 절차에 따라 수행되었으며, ‘깊은 우물에 빠지다’, ‘홀로 견디다’, ‘꿈을 이루기 위해 꿈을 잃다’, ‘나의 북극성을 따라서’, ‘버팀목이 되어준 사람들’, ‘나를 받아들이다’라는 6가지 주제로 불면증의 의미와 수용과정을 분석하고 결과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불면증 경험세계에 대해 폭 넓게 이해하는 틀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며 더 나아가 불면증을 경험하는 사람들의 심리와 행동에 대한 새로운 인식의 변화를 주고 그들의 삶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문화를 형성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문화 형성은 그동안 불면증에 대해 부정적 인식을 갖고 있었던 많은 사람들에게 새로운 긍정적 인식의 틀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긍정적 인식의 형성은 불면증 치료를 목적으로 하는 상담 치료적 장면에 새로운 실천적 함의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만성 불면증 환자의 성격특성

        함병주,서광윤,김인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8 신경정신의학 Vol.37 No.2

        연구배경 :임상 실제에서 만성 불면증을 진단. 치료하는데 있어 환자의 성격적 특성을 이해한다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에 본 저자들은 만성 불면증환자의 성격적 특성을 파악하여 불면증의 취약성에 관여하는 성격적 요인을 보다 명확히 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연구방법 :만성 불면증의 진단에는 ICSD진단기준을 적용하였고 평가척도로는 환자의 성격 성향을 평가할 수 있는 성격요인검사 및 대처방식척도를 이용하였다. 1995년 11월부터 1996년 12월까지 불면증을 주소로 고려대학교 병원 수면장애 크리닉에 내원하여 정신생리성 불면중, 부적절한 수면위생 그리고 수면제 의존성 불면증으로 진단된 만성 불면증환자는 21명이었다. 이들과 성별, 연령. 학력을 고려하여 정상인 26명을 무작위로 추출하였고 이를 정상대조군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만성 불면증환자들은 성격요인검사상 대조군보다 자아강도(C 요인 : 4.57±1.89 vs 7.35±1.83), 지능도요인(B 요인 : 3.76±2.23 vs 6.54±1.96). 동기왜곡척도(MD 요인 : 5.05±1.72 vs6.62±1.53)에서 유의하게 낮은 점수를 나타내었으며 , 죄책감 요인(0 요인 ; 6.67±2.11 vs 3.81±1.65). 불안감 요인(0,요인 ; 7.57±2.29 vs 3.46±1.88)에서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p<.05).대처척도상에서는 만성불면증 환자들이 대조군보다 감정집중적 대처척도(30.30±9.53 vs 24.52±5.71) 상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대처양식을 적극적, 소극적 대처로 분류하였을 경우 환자군이 소극적 대처(50.75±13.76 vs 43.26±8.73)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보다 높은 점수를 보였다. 결 론 : 만성불면증 환자들은 낮은 자아강도, 놓은 불안감과 죄책감 때문에 스트레스 상황에서 일반인들보다 더욱 쉽게 우울해지거나 불안상태에 빠지기 쉽게 되고 따라서 보다 높은 각성과 조건화가 유발될 것이라는 것이 시사되었다. 또한 만성불면증 환자들은 소극적이고 감정집중적 대처양식을 사용함으로써 스트레스 상황시 외적으로 반응하지 뭇하고 내향화하기 쉬우며. 결과적으로 생긴 고조된 감정적 각성과 생리적 활성 상태의 유발이 불면증을 일으키고 만성화시킨다고 추정할 수 있었다. Objectives: It is very important to understand the personality characteristics of chronicinsomniacs for diagnosis and treatment in clinical practice. The authors investigated the personality factors and the ways of coping to define the personality characteristics which underly the development of insomnia. Methods :The authors used the diagnostic criteria of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Sleep Disorders to diagnose chronic insomnia, and performed 16 Personality Factors(PF) test and the Ways of Coping Checklist to both chronic insomniacs and normal controls. The diagnosis of chronic insomnia included psychophysiologic insomnia, poor sleep hygiene, and hypnotics dependent insomnia. The subjects were 21 chronic insomniacs and 26 normal controls: Results: The chronic insomniacs showed significantly lower stableness(C factor ; 4.57±1.89VS 7.38± 1.83), intelligence(B factor : 3.76±2.23 VS 6.54±1.96), motivation distorsion(B factor ; 3.76±2.23 VS 6.54±1.96) factor scores, and higher guilt-proneness(0 factor ,6.67± 2.11 VS 3.81 ±1.65), tension and anxiety(0₄ factor .7.57±2.29 VS 3.46±1.88) factor scores than controls in 16 PF. The chronic insomniacs had significantly higher emotional-focused coping(30.30±9.53 VS 24.52± 5.71) and passive coping pattern scores(50.75 ± 13.76 VS 43.26±8.73) than controls in the Ways of Coping Checklist. Conclusion : The authors suggest that chronic insomniacs are characterized by depressive mood and anxiety-proneness from low ego strength, high levels of anxiety and guilty feelings, and passive and emotion-concentrated coping pattern. This traits are supposed to be factors contributing the state of emotional arousal and resultant physiological activation that has developed and maitained the insomnia.

      • KCI등재

        불면증에 대한 인지행동치료 효과 연구 : 공존 불면증 환자를 대상으로

        김무경,권정혜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2018 인지행동치료 Vol.18 No.1

        본 연구는 서울 소재의 수면전문병원에 불면증을 주소로 내원한 환자들 중 불면증 인지행동치료에 의뢰된 총 154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은 불면증에 더하여 수면호흡장애와 하지불안증후군을 함께 갖고 있는 공존 불면증 환자들로서, 우울 및 불안을 포함한 전반적인 심리적 고통 수준 또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중 124명(남: 26명, 여: 98명)은 5회기의 불면증 인지행동치료(1회기의 개인 인지행동치료 + 4회기의 집단 인지행동치료)를 받았고, 30명(남: 10명, 여: 20명)은 비교집단(약물치료 대기집단)에 배정되었다. 치료집단과 비교집단의 사전, 사후 평가를 분석한 결과, 첫째, 치료집단은 비교집단에 비하여 불면증 심각도, 수면노력, 수면에 대한 비합리적 신념 및 태도, 수면 전 각성, 걱정, 우울, 불안, 자살사고, 삶의 질, 그리고 실제적인 수면(총 수면 시간, 수면잠복기, 수면효율성)에 있어서 유의한 개선을 보여, 불면증 인지행동치료의 치료효과가 검증되었다. 둘째, 불면증 인지행동치료의 효과가 치료 후에도 잘 유지되는지 살펴보기 위하여 치료집단을 대상으로 1개월 후 추후 평가를 실시한 결과, 수면 중 각성 횟수와 주간 유도제 복용 횟수를 제외한 나머지 모든 변인들, 즉 불면증 심각도, 수면노력, 수면에 대한 비합리적 신념 및 태도, 수면 전 각성, 걱정, 우울, 불안, 자살사고, 삶의 질, 실제적인 수면(총 수면 시간, 수면잠복기, 수면효율성)에 있어서 치료 효과가 지속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임상적 의의와 제한점에 대해 논하였다. Chronic insomnia is a very common disorder, and comorbid insomnia is much more prevalent than primary insomnia, however it has not received sufficient attention. Especially sleep breathing disorder (SBD) and restless legs syndrome (RLS) have shown high comorbidity with insomni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for Insomnia (CBT-I) would be effective for clinical insomnia patients who visited a sleep clinic located in Seoul.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compared to the comparison group, the treatment group achieved better insomnia severity, sleep effort, dysfunctional beliefs and attitudes about sleep, pre-sleep arousal, worry, depression, anxiety, suicidal idea, quality of life, and sleep measures (self-report of total sleep time, sleep latency, sleep efficacy). Therefore, this study showed the effectiveness of CBT-I for chronic insomnia patients comorbid with SDB and RLS. Second, in order to find out maintenance of the treatment benefits of CBT-I, one-month follow-up session was conducted. The results showed that with exception of times of arousal after sleep onset and times of weekly sleep medication intake, the treatment effect on the other outcome variables, such as insomnia severity, sleep effort, dysfunctional beliefs and attitudes about sleep, pre-sleep arousal, worry, depression, anxiety, suicidal idea, quality of life, and sleep measures (self-report of total sleep time, sleep latency, sleep efficacy), were sustain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