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락국의 삼대사찰에 관한 연구 - 부암(父庵)을 중심으로

        강영규,김종두 한국선학회 2022 한국선학 Vol.- No.63

        The Garak temples known to have a history of 2000 years are scattered in Gyeongsangnam-do and Busan. It is said that the temple was built during the active period of King Suro and Empress Heo. Among them, the three major temples in Garak are Buam(父庵), Moam(母庵), and Jaam(自庵). The Buam appears not only in literature such as 『Garaksamwangsajeokgo(駕 洛三王事蹟考)』, 『Sungseonjeonji(崇善殿誌)』, Gimhae-eupji(金海邑誌), and Miryangeupji(密陽邑誌), which are historical records of the late Joseon Dynasty, but also in old maps such as Haedongjido(海東地圖) and Jiseung Miryangbu(地乘密陽府). It is said that Buam was founded by King ‘Ra’(羅王) in Miryang-eupji, so we looked into whether to view King ‘Ra’ as the king of Silla or interpret it as the king of Gara, another name of Gaya. It was possible to infer the possibility that the place name ‘Jusan(主山)’ mentioned in Gimhae-eup may be related to the king of Gaya. Relics presumed to be Gaya were identified. The stonework of Bueunsa Temple, presumed to be Yoni, could be identified as Yoni used for religious purposesin India in that it has a differentshape and purpose from the millstone. ‘Taemudeom’, which is said to have buried the placenta of the Garak royal family near Buam, can be seen as one of the rings connecting Buam and Gaya. This paper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Buam and Gaya, focusing on the literature related to Buam published in the late Joseon Dynasty, Yoni stoneware, old site excavation earthenware, Taemudeom (Taebong), Tongcheon Doryang(通天道場), and Mago seokgul(Cave), but it could not be concluded that Buam was founded 2,000 years ago. However, it was confirmed that the belief that Buam was a temple related to Gaya was shared at least before and after the Joseon Dynasty through various historical records and artifacts. 경남·부산 지역에는 약 2000년 역사를 가졌다고 알려진 가락국 시대의 고찰이 산재해 있다. 전해오는 말로 수로왕과 허황후 활동 시대에 창건된 사찰이다. 그중 가락 3대사찰은 부암·모암·자암이다. 부암은 조선 후기 사료인 『가락삼왕사적고』, 『숭선전지』, 김해읍지, 밀양읍지 등 문헌과 「해동지도」, 「지승 밀양부」 등 고지도에 나타난다. 밀양읍지에서 부암은 ‘라왕(羅王)’ 이 창건했다고 나오는데 이 라왕을 신라(新羅)의 왕으로 볼지 가야의 다른 이름인 가라(加羅)의 왕으로 해석할지 살펴보았다. 김해읍지에서 언급한 ‘주산’이라는 지명이 가야왕과의 관련 가능성을 유추할 수 있었다. 가락시대로 추정되는 유물을 확인했다. 요니로 추정되는 부은사 석물은 맷돌과 형태와용도가 다르다는 점에서 인도에서 종교적 목적으로 사용된 요니와 공통점이 있다고 판단된다. 부암 인근에 가락 왕족의 태를 묻었다고 전해오는 태무덤은 부암과 가야를 연결하는 고리의 하나로 볼 수도 있다본고는 조선 후기 발간된 부암 관련 문헌들과 사찰에 전해오는 요니 석물, 명문 기와, 옛터 발굴 토기, 태무덤(태봉), 통천도량 명문, 정식의 시, 마고석굴 등을 중심으로 부암창건과 가야의 관련성에 대해 분석했지만 부암을 2000년 전에 창건했다고 단정할 수는 없었다. 그렇지만 각종 사료와 유물을 통해 적어도 조선시대 전후로 부암이 가야와관련 있는 사찰이라는 믿음이 공유되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지역문화콘텐츠 융합 공공미술 연구 - 부암동 공공미술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

        박 수 진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22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40 No.2

        본 연구는 공공미술 프로젝트에서 장소특정성을 구성하는 요소로서 지역문화콘텐츠에 주목하는데서 시작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공공미술프로젝트에서 미술-장소의 관계를 규정하는데 있어서 지역성과 장소특정성을 융합하고 실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장소특정성의 역사적 이론적 토대를 연구하고 지역문화콘텐츠를 융합함으로써 장소특정성의 다양한 유형을 공공미술 프로젝트의 방향성으로 제시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은 장소특정성 개념을 고찰하고 미술-장소의 관계를 규정하는 지역문화콘텐츠의 융합으로 장소특정성은 어떻게 발현되고 실현되어야 하는가를 살펴보았다. 또한 장소특정적 공공미술프로젝트 사례의 특징 및 시사점을 분석함으로써 동시대 공공미술 프로젝트의 실천을 고찰하였다. 나아가 장소특정적 공공미술 프로젝트인 부암동 공공미술 프로젝트 부암동 공공미술 프로젝트(주죄: 종로구, 주관: ㈜아트컨설팅에스에이씨, 예술감독: 박수진, 작가: 리금홍)는 ‘2021년도 주민참여사업’으로 선정된 사업으로 종로구 공공미술 프로젝트로서, 2021년 6월부터 12월까지 제작 설치되었다. 이 프로젝트의 목적은 지역 문화와 예술적 경관을 반영한 대상지의 정체성과 상징성을 갖춘 도시공간조성 및 주민생활환경개선이다. 의 장소적 특성과 지역문화콘텐츠를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부암동 공공미술의 기본방향과 조성과정 및 작품을 연구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과정을 통해 부암동 공공미술 프로젝트에서 지역문화콘텐츠 융합 공공미술의 연구 결과 및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맥락 특정성은 지역의 역사, 문화, 예술, 자연 콘텐츠와 연계하여 과거와 미래를 잇는 현재성을 구현했다. 둘째, 공동체 특정성은 스토리텔러로서 지역주민, 콘텐츠 생산자로서 지역주민을 발굴함으로써 공동체 공감을 이끌어내고 현재 지역문화콘텐츠를 구현했다. 셋째, 프로젝트 기반 공공미술은 작가가 장소와 커뮤니티에 어떻게 개입하는가에 따라 공공미술 프로젝트의 장소특정성이 구현됐다. 이번 부암동 공공미술 프로젝트를 진행함에 있어서 covid19와 서울 도심의 느슨한 커뮤니티는 한계였지만, 이는 향후 도심 공공미술 프로젝트에서 새로운 매체 실험과 장소특정성에 대한 다양한 변용 가능성을 기대한다. This study started from paying attention to local cultural contents as a component of site- specificity in public art projec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egrate and implement the locality and site-specificity in defining the art-place relationship in a public art project. In this context, this study examined the historical theoretical foundation of cite-specificity and integration of local cultural contents to proposed various types of cite-specificity as the direction of public art project. This study also examined the concept of cite-specificity and how site-specificity should be expressed and realized through an integration of local cultural contents that define the relationship between art and place. In addition, it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and implications of site-specific public art project cases to propose what to consider for contemporary public art projects. Furthermo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place and local cultural contents of the Buam-dong public art project, a site-specific public art project, were analyzed. Based on this analysis, the basic direction, creation process, and works of the Buam-dong public art project were studied. The results of the public art integration of local cultural contents study of Buam-dong public art project are as follows. First, context-specificity was realized through the presentness that connects the past and the future, by using local history, culture, art, and nature content. Second, community-specificity was realized through discovery of residents as storytellers and content producers of the community to draw community sympathy and realize the current local cultural contents. Last, in the project-based public art, the site-specificity of the public art project was realized according to how the artist intervened in the place and community. Covid19 and the loose community in downtown Seoul posed the limitation to the conduct of the Buam-dong public art project this time. However, for the future urban public art projects, new media experiments are needed and various changes to site-specificity are expected.

      • KCI등재

        『釋迦如來行績頌』에 나타난 浮庵無寄 四土三身 淨土觀의 天台的 繼承에 관한 검토

        김태수 한국정토학회 2019 정토학연구 Vol.31 No.-

        『釋迦如來行績頌』에서 나타난 浮庵無寄(14세기 경)의 淨土觀은 體用相卽論에 의거한 四土三身觀을 전개한다는 점에서 天台智顗(538-597)의 구도를 따른다. 하지만 중생구제를 위해 彌陀淨土 뿐만 아니라 彌勒下生의 末法思想 및 稱名念佛을 아우르는 특성을 보인다. 즉 아미타 관법․修懺持戒․다라니 등 여러 방편을 통해 彌陀往生을 추구하면서도 彌勒下生의 龍華道場을 위해 持戒바라밀 등의 末法行을 중시한다. 四土三身說의 적용에서도 一心과 一乘因果, 三昧와 念佛行 간에 융통자재한 유연성을 보인다. 四土觀의 경우, 天台에 비해 體와 相이 상호 전화될 수 있는 열린 구조를 나타낸다. 이 점에서 淨影寺 慧遠(523-592)의 淨土觀과도 상통하는 요소가 있다. 나아가 穢土衆生의 往生을 위한 方便行을 포괄하는 무차별 지향을 지닌다. 三身說에서도 末法衆生의 구제론 측면에서 淨土의 교주를 報土․應土에까지 化現시키는 彌陀三昧․彌勒信仰 및 念佛行을 포괄한다. 한편, 이러한 실천수행론에 나타난 구제론의 특성에는 唯心적 지향이 두드러진다. 하지만 自性身․受用身을 變化身과 구분하는 唯識․法相 계열에 비해 수평적 구도를 지닌다. 이 점에서 무기의 四土三身說은 천태의 단순한 계승이 아니라, 末法時代 인식에 상응한 天台圓敎의 方便門的 淨土往生論과 念佛觀을 實踐的으로 계승한 淨土觀으로 평가할 수 있다. Mugi’s view of pure land follows the scheme of Tiantai Zhiyi in the sense that he shows the view of ‘Four Lands and Three Bodies of Buddha’ based on the discourse of mutual congruity between substance and function. Yet, it reveals the features of encompassing the thought of the era of decline of Doctrine and invoking the name of Amitabha for the redemption of the people, along with the thought of Amitabha pure land. For this, he uses many skillful means(upaya) like the practice of contrition in the name of Amitābha and dhāraṇī, in company with Pāramitā of upholding precepts for preparing the descent of Maitrea. Meanwhile, the characteristics of saving the people in Mugi’s view of practice shows horizontal feature compared with Mind-only or Faxiang thinkers who differentiate the Svabhāvakāya and Saṃbhogakāya from Nirmanakāya: In this sense, the view of Mugi’s pure land is not just a succession of Tiantai, but a view developing the theory of pure land not only from the perspective of perfect teaching in Tiantai, but also from the aspect of upaya while invoking the name of Amitabha Budha in a more practice-oriented way.

      • 에코뮤지엄의 개념 적용을 통한 지역문화자원개발 방안 : 종로구 부암동을 중심으로

        강효정,김진영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2015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학술대회 Vol.2015 No.1

        지역 내에 존재하는 다양한 문화자원들은 물리적으로나 상징적으로나 상당한 의미를 내포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가치를 인정받지 못한 채 산업화의 메커니즘 속에서 소멸되어 가고있다. 즉, 경제적 이익창출에 치중한 개발로 인해 우리 문화의 고유한 정체성이 훼손되고 그 가치가 파괴되어 가는 것이다. 이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워주기 위해 ‘도심 속의 시골’이라 불리는 서울시 종로구 부암동 일대를 중심으로 에코뮤지엄의 개념을 적용시켜 보았다. 이를 통해 우리의 소중한 고유문화유산을 소개하고 에코뮤지엄으로 재구조화함으로써 보존이 주는 진정한 아름다움이 무엇인지 고찰 할 것이다.

      • KCI등재

        復菴 李偰의 漢文散文 硏究

        조상우 동양고전학회 2013 東洋古典硏究 Vol.0 No.50

        본고는 이설의 문집인 {복암집}에 실려 있는 한문산문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본고에서는 이설의 한문산문 내용 분석에 앞서서 이설의 가문과 이설이 살아온 과정을 살폈다. 이설은 조선조의 명문가인 연안 이씨의 후손으로 그 선조들은 대대로 문장가였으며, 직계 조상인 이귀와 그 아들들은 반정을 통해 사회의 모순을 바로 잡기도 하였다. 이설의 한문산문을 분석한 결과 “華夷論의 구현과 항일 의지, 사회 안정을 위한 시무 방안 제시”로 대별하여 제시하였다. 전자에 대해서는 일본에 의해 망해가는 조선의 암울한 현실을 제시하고 무엇이 문제인가를 서술하였다. 그러면서 청을 배반하지 말고 일본은 축출해야 할 원수 나라임을 밝히고 있어 이설의 확고한 항일 의지를 알 수 있다. 후자에서는 조선 후기에 있었던 난민과 동학의 무리들을 원래의 상태로 되돌리기 위한 방안을 제시해 놓고 있다. 그 방안을 보면 “애통하는 조서를 내려 뉘우치는 뜻을 보이고 백성을 위로하기, 賑恤하는 정치를 급히 시행하여 흩어져 있는 백성들을 편안하게 하기, 궁궐을 엄히 지키어 奸細輩의 출입을 끊기, 구하는 길을 널리 열어 놓고 여러 사람의 계책을 듣기, 원병의 도움을 믿고 武備를 늦추지 말기” 등이다. 이상의 서술로 볼 때 이설은 의리를 목숨보다도 중요하게 여겼고, 자신이 옳다고 여긴 것은 행동으로 옮겨 실천하려고 노력한 인물이라 평할 수 있다. The present study examines some essays by Yi Seol (李偰, 1850-1906; pen name Bogam), a government official at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Written in Classical Chinese, the essays are contained in The Collected Essays of Bogam (Bogam munjib). The study begins with a brief review on the Yeonan Yi Clan to which the official’s family belonged, and then on his personal life history. The study goes on to analyze the contents of Yi’s essays, which are classified into two themes: 1) his affirmation of the contemporary idea that saw the world as divided into the Chinese and the Barbarians, which justified and reinforced his resistance against Japan; and 2) his views on how to regain social stability. Concerning the former theme, Yi asserts that Joseon should not betray Qing China and should purge his nation of Japanese influence. Naming Japan as the evil enemy of Joseon, Yi expresses his firm resistance against the neighboring nation. As for the latter theme, his essays put forth an array of suggestions on how to disband the Donghak rebels, who emerged at the end of Joseon, and how to restore people displaced in the aftermath of social uprising. Although the suggestions are mostly general ones, he repeatedly stresses the importance of social stability in some of his essays addressed to the king.

      • KCI등재

        도심주거지의 여가공간화 변천과정 연구: 아쌍블라주(Assemblage) 개념을 통해 본 부암동 골목길의 변화

        이경은 ( Kyungeun Lee ) 한국도시지리학회 2015 한국도시지리학회지 Vol.18 No.3

        In recent years, it seems that the place of alleys on Buam-dong where has undergone a transition from an exclusive residential pathway is famous for a new leisure place in Seoul. This research examines this changing process by doing archive analysis, in-depth interviews from several fieldworks. The author augues that with an inflow of diverse constituents, Buam-dong alleys are undergoing an heterogeneous state which creates “assemblage” of the use, exchange and symbolic value by various actants who are favoring particular place units over others. When these dynamic processes make them together to form relational “assemblage,” they create way for a unique and mixed, yet accessible sense of place. As part of the urban planning paradigms in post-modernist society, leisure spaces take on a borderless, shapeless form and remain autonomous from external or material influences. This research on the Buam-dong case study aims to demonstrate how various actants who proactively seek recreation can deconstruct the conventional territoriality of previous urban space, alternatively leading way to the production of fluid placeness.

      • KCI등재

        조선시대 선비들의 행락공간으로서 세검정 일대의 문화경관

        이제이 ( Jaei Lee ),성종상 ( Jong Sang Sung ),손용훈 ( Yong Hoon Son ),김태균 ( Tae Gyun Kim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2016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4 No.2

        세검정 일대는 조선시대에 절경을 찾아 풍류활동을 한 당시 선비들이 즐겨 방문하였던 곳이다. 세검정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전통사회의행락문화는 경관과 인간의 활동이 상호작용하여 만들어낸 문화경관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첫째, 고서, 지도등의 자료를 통하여 세검정이 복원되기 이전, 당시 선비들이 세검정을 중심으로 어떠한 행락활동을 즐겼는지를 밝혀냈다. 둘째, 세검정일대의 주된 경관요소들을 추출함으로써 선비들이 주변 자연경관과 상호작용하며 향유한 당시 세검정의 문화경관을 파악하였다. 관련 기록을 통해 탕춘대 및 연융대 바위를 세검정 일대로 포함시키고, 이 일대에서 이루어진 주요 행락을 유람, 조망, 시·서·화창작, 모임으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세검정의 경관이 정자를 중심으로 근경의 시냇물, 너럭바위, 돌, 소나무숲 및 원경의 탕춘대와연융대 바위 등의 경관요소로 이루어졌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종합한 결과, 세검정 일대에는 아름다운 자연경관을 찾아 떠나 온유람, 시원한 폭포가 흐르는 개천을 향해 세워진 정자에서의 조망, 자연경관에서 받은 감동을 읊거나 그린 창작활동, 너럭바위(차일암)에서의 연회 및 탕춘대에서의 모임 등의 문화경관이 형성되었음을 파악하였다. 이로써 세검정 일대가 조선시대 선비들이 지속적으로 찾는 유관의 장소이며, 유람의 거점이자 문인과의 교류 및 국가적 모임의 장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였음이 확인된다. 이는 세검정일대를 이루는 자연경관에 인간의 활동이 적극적으로 반영된 문화경관으로 해석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풍토와 정서를 바탕으로이루어진 행락공간의 문화경관을 이해하는 자료로서 의의가 있다. The area surrounding Segeomjeong, one of the famous pavilions near the capital in the Joseon Dynasty, was a favorite place of scholars to visit and enjoy the beautiful natural landscape. The recreational culture of Segeomjeong area in traditional societies representing the prototype of urban tourism in modern society indicates cultural landscape which is a combination of the surrounding landscape and human activities. At this poin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on Saegumjeong area as a recreation place was to examine recreational activities and landscape elements before restoration. Through the relevant historical literature, there were several recreational activities such as traveling to enjoy scenery, taking a view of stream with waterfalls, doing creative writing of reciting poems and drawing about the greatness of nature and gathering on a broad and flat rock or Tangchundae. Also, the main landscape elements-such as Saegumjeong, stream, broad and flat rocks, pine trees, Tangchundae Peak, and mountains-were extracted through paintings of Saegumjeong drawn before restoration. Consequently, in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Segeomjeong area was the spot that scholars visited consistently, the center for travel, and the place for communication between scholars and national banquet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drew conclusions on the cultural landscape of the Korean people through the ages and helped to discover the meaning and value of cultural landscape of recreation places based on Korean natural characteristics and cultural climate.

      • KCI등재

        육안으로 정상적인 파터 팽대부암의 감별진단과 예후

        정지봉,김용태,정용진,김지원,김병관,이국래,류지곤,윤용범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2008 Clinical Endoscopy Vol.37 No.3

        목적: 육안으로 정상적인 파터 팽대부 협착이 있는 경우 양성 또는 악성 여부에 따라 치료방법이 달라질 수 있고 환자의 예후가 다르므로 감별진단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육안으로 정상적인 파터 팽대부 악성협착 감별진단에 유용한 위험인자, 조직 생검의 진단적 정확도, 그리고 예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육안으로 정상적인 파터 팽대부 국소협착을 가진 환자를 대상으로 의무기록과 내시경적 역행성 담도조영술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악성협착 감별진단에 유용한 위험인자를 알아보고자 임상소견, 검사실소견, 총담관 직경 등을 비교하였다. 파터 팽대부 악성협착 환자에서 조직 생검의 정확도를 알아보았다. 또한, 추적 관찰을 통해 생존율 등을 조사하였다. 결과: 9명의 환자가 양성협착이었고 15명의 환자가 파터 팽대부암이었다. 혈청 빌리루빈, 알칼리성 포스파테이즈, 그리고 ALT 수치는 양성협착 환자보다 파터 팽대부암 환자에서 높았다(p<0.05). 악성협착에 대한 조직 생검 민감도와 특이도는 각각 73.3%와 88.9%였다. 파터 팽대부암으로 수술받은 환자 중 13예가 제I, II 병기였으며 평균 50개월 추적기간 동안 모든 환자가 생존하였다. 결론: 육안상 정상적이면서 팽대부에 국소협착을 동반한 파터 팽대부암의 감별진단에는 간기능 검사와 파터 팽대부 조직 생검이 유용하였다. 또한, 이들 환자에서 조기암이 많았으며 치료는 수술이 효과적이었고, 양·악성 감별진단을 위하여 적극적인 파터 팽대부의 조직 생검과 간기능 소견의 면밀한 검토가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 KCI등재후보

        성문상부암의 방사선치료

        남택근(Taek-Keun Nam),정웅기(Woong-Ki Chung),조재식(Jae-Shik Cho),안성자(Sung-Ja Ahn),나병식,(Byung-Sik Nah) 오윤경(Yoon-Kyeong Oh)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2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0 No.2

        Purpose : A retrospective study was undertaken to determine the role of conventional radiotherapy with or without surgery for treating a supraglottic carcinoma in terms of the local control and survival. Materials and Methods : From Jan. 1986 to Oct. 1996, a total of 134 patients were treated for a supraglottic carcinoma by radiotherapy with or without surgery. Of them, 117 patients who had completed the radiotherapy formed the base of this study. The patients were redistributed according to the revised AJCC staging system (1997). The number of patients of stage Ⅰ, Ⅱ, Ⅲ, ⅣA, ⅣB were 6 (5%), 16 (14%), 53 (45 %), 32 (27%), 10 (9%), respectively. Eighty patients were treated by radical radiotherapy in the range of 61.2∼79.2 Gy (mean : 69.2 Gy) to the primary tumor and 45.0∼93.6 Gy (mean : 54.0 Gy) to regional lymphatics. All patients with stage Ⅰ and ⅣB were treated by radiotherapy alone. Thirty-seven patients underwent surgery plus postoperative radiotherapy in the range of 45.0∼68.4 Gy (mean : 56.1 Gy) to the primary tumor bed and 45.0∼59.4 Gy (mean : 47.2 Gy) to the regional lymphatics. Of them, 33 patients received a total laryngectomy (±lymph node dissection), three had a supraglottic horizontal laryngectomy (±lymph node dissection), and one had a primary excision alone. Results : The 5-year survival rate (5YSR) of all patients was 43%. The 5YSRs of the patients with stage Ⅰ+Ⅱ, Ⅲ+Ⅳ were 49.9%, 41.2%, respectively (p=0.27). However, the disease-specific survival rate of the patients with stage I (n=6) was 100%. The 5YSRs of patients who underwent surgery plus radiotherapy (S+RT) vs radiotherapy alone (RT) in stage Ⅱ, Ⅲ, ⅣA were 100% vs 43% (p=0.17), 62% vs 52% (p=0.32), 58% vs 6% (p<0.001), respectively. The 5-year actuarial locoregional control rate (5YLCR) of all the patients was 57%. The 5YLCR of the patients with stage Ⅰ, Ⅱ, Ⅲ, ⅣA, ⅣB was 100%, 74%, 60%, 44%, 30%, respectively (p=0.008). The 5YLCR of the patients with S+RT vs RT in stage Ⅱ, Ⅲ, ⅣA was 100% vs 68% (p=0.29), 67% vs 55% (p=0.23), 81% vs 20% (p<0.001), respectively. In the radiotherapy alone group, the 5YLCR of the patients with a complete, partial, and minimal response were 76%, 20%, 0%, respectively (p<0.001). In all patients, multivariate analysis showed that the N-stage, surgery or not, and age were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the survival rate and that the N-stage, surgery or not, and the ECOG performance index were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the locoregional control. In the radiotherapy alone group, multivariate analysis showed that the radiation response and N-stage were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the overall survival rate as well as locoregional control. Conclusion : In early stage supraglottic carcinoma, conventional radiotherapy alone is an equally effective modality compared to surgery plus radiotherapy and could preserve the laryngeal function. However, in the advanced stages, radiotherapy combined with concurrent chemotherapy for laryngeal preservation or surgery should be considered. In bulky neck disease, all the possible planned neck dissections after induction chemotherapy or before radiotherapy should be attempted. 목 적 : 성문상부암에서 방사선 단독치료 또는 수술 후 방사선치료를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방사선치료의 역할을 국소종양제어율과 생존율을 중심으로 후향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86년 1월부터 1996년 10월까지 134명이 성문상부암으로 진단되어 방사선단독 또는 수술 후 방사선치료가 시행되었고 이 중 계획된 방사선량을 조사 받은 11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1997년의 AJCC 병기분류체계에 의하여 재분류하였고 병기 Ⅰ, Ⅱ, Ⅲ,ⅣA, ⅣB의 환자 수는 각각 6 (5%), 16 (14%), 53 (45%), 32 (27%), 10 (9%)이었다. 전체 환자 중 80명은 근치적 목적의 방사선치료로 원발병소에 61.2∼79.2 Gy (평균 : 69.2 Gy), 경부림프절에 45.0∼93.6 Gy (평균 : 54.0 Gy)를 조사하였다. 전체 환자 중 병기 Ⅰ과 ⅣB 환자는 모두 방사선 단독치료를 시행하였다. 37명의 환자에서 수술 후 방사선치료를 받았고 원발병소 절제부위에 45.0∼68.4 Gy (평균 : 56.1 Gy), 경부 림프절에 45.0∼59.4 Gy (평균 : 47.2 Gy)를 조사하였다. 수술방법으로서 33명은 전후두적출술(±경부림프절 청소술), 3명은 부분후두적출술(±경부림프절 청소술), 나머지 1명은 원발병소만의 절제술이었다. 결 과 : 전체환자의 5년 생존율은 43%이었다. 병기 Ⅰ+Ⅱ와 Ⅲ+Ⅳ의 5년 생존율은 49.9%, 41.2%이었으나(p=0.27), 병기 I (n=6) 환자의 종양특성생존율은 100%이었다. 수술 후 방사선치료군(S+RT)과 방사선단독 치료군(RT)의 5년 생존율은 병기 Ⅱ에서 100% 대 43%, 병기 Ⅲ에서 62% 대 52%이었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고(p=0.17, p=0.32), 병기 ⅣA에서 58% 대 6%로 S+RT군의 생존율이 유의한 차이로 양호하였다(p<0.001). 전체 환자의 국소종양 제어율은 57%이었다. 병기별 국소종양제어율은 병기 Ⅰ, Ⅱ, Ⅲ, ⅣA, ⅣB에서 각각 100, 74, 60, 44, 30%이었다(p=0.008). S+RT군과 RT군의 국소종양제어율은 병기 Ⅱ에서 100% 대 68%, 병기 Ⅲ에서 67% 대 55%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p=0.29, p=0.23), 병기 ⅣA에서는 81% 대 20%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1). 방사선 단독치료를 받은 80명의 환자 중 방사선치료반응에 따른 국소종양제어율은 완전관해, 부분관해, 부분관해미만 군에서 각각 76, 20, 0%이었다(p<0.001). 전체환자에서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예후인자는 다변량 분석을 시행한 결과 N 병기, 수술 여부, 나이였고 국소종양 제어율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인자는 N 병기, 수술 여부, ECOG 활동도였다. 방사선 단독치료군에서 다변량 분석결과 생존율과 국소종양제어율 모두에 유의한 인자는 방사선치료 후 종양반응과 N 병기였다. 결 론 : 조기 병기의 성문상부암에서는 통상적인 방사선단독치료로 후두기능을 보존하면서 수술군과 대등한 종양제어율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진행된 병기의 경우에는 수술과 방사선치료의 병용요법 또는 후두기능의 보존적 측면에서의 동시적 항암화학방사선요법이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진행된 림프절 병소에 대해서는 가능한 한 방사선치료 전 또는 유도화학요법 후 계획된 경부림프절 청소술을 고려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