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아동학대행위부모에 대한 행동적 부모훈련의 효과: 1년 후 재학대율, 양육스트레스, 양육태도, 피해아동의 공격적 행동문제를 중심으로

        조고은,김윤희 한국상담심리학회 2021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33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 of a behavioral parent training program for child abusers on re-abuse rates, parenting stress, parenting attitudes, and destructive behavior in children. The subjects were 19 pairs of parents who had been accused of child abuse and neglect. The intervention was the behavioral parent training program developed by Kim et al., 2018. Before and after parent training, the Parenting Stress Index, Parenting Attitude Test, and Eyberg Child Behavior Inventory were administered. Assessment results and re-abuse rates of participants were collected at one year after completion of the program. A large effect size was found for decreases in parenting stress and increases in positive parenting attitudes. A very large effect size was found for decreases in negative parenting attitudes and children’s destructive behavior. Re-abuse rates (5.2%) were 50% lower than national re-abuse rates during the same year.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학대행위부모 대상 행동적 부모훈련 프로그램이 학대행위부모의 양육스트레스, 양육태도와 학대피해아동의 공격적 문제행동 및 재학대율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아동학대로 신고되어 판정받아 OO광역시 가족기능강화사업에 의뢰된 19가정의 학대행위부모이다. 처치도구로는 김윤희, 박영순, 소명희, 정신혜와 조고은(2018)이 개발한 행동적 부모훈련을 사용하였다. 부모훈련 실시 전과 종료 후, 양육스트레스, 양육태도, 아동의 공격적 행동문제를 측정하였고 종료 1년 후 재학대율을 추적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부모훈련 종결이후 양육스트레스가 높은 효과크기로 감소하였다. 긍정적인 양육태도는 높은 효과크기, 부정적인 양육태도는 매우 높은 효과크기로 감소하였다. 둘째, 부모훈련을 실시한 후, 아동의 공격적 행동문제의 발생빈도와 심각도가 매우 높은 효과크기로 감소하였다. 셋째, 부모훈련 종료 1년 후 재학대율을 추적한 결과 5.2%로 나타나 당해년도 전국 재학대율 10.3%의 절반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아동학대 행위자에게 행동적 양육기술을 훈련시킴으로써 부모의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태도, 아동의 공격적인 행동문제를 개선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재학대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후보

        의사소통 훈련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부모의 양육태도와 부모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김미경(Kim, Mikyong),김성현(Kim, Sunghyun) 한국학부모학회 2018 학부모연구 Vol.5 No.1

        이 연구에서는 의사소통 훈련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부모의 양육태도와 부모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연구가 진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의사소통 훈련 부모교육 프로그램은 초등 학부모 양육태도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가 둘째, 의사소통훈련 부모교육 프로그램은 초등 학부모의 부모효능감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가 이다. 본 연구에서의 대상은 J시 초등 학부모 22명이었다. 조사도구로는 양육태도 척도와 부모효능감척도를 사용하였고, 분석방법으로는 빈도, t-검증, 공변량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의사소통 훈련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초등 학부모의 양육태도에 증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의사소통 훈련 부모교육 프로그램은 초등 학부모의 부모효능감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를 통해 초등학부모를 위한 의사소통훈련에 시사점을 제공한다고 볼 수 있다. In this study, the research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mmunication Training Parent Education Program on parenting attitude and parental efficacy of elementary parents. In this study, research problem was set as follows. First, the effect of Communication Training Parents Education program on the parenting attitude of elementary parents. Second, Communication Training Parent Education Program has effects on parental efficacy of elementary parent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2 elementary parents in J city. We used the parenting attitude scale and the parental efficacy scale as the survey instruments. Frequency, t-test, and covariance analysis (ANCOVA) were used as the analysis method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ommunication Training Parent Education program promotes parenting attitude of elementary parents. Second, Communication Training Parents Education program improved parental efficacy of elementary parents. This study provides suggestions for communication training for elementary parents.

      • KCI등재

        ADHD 아동을 위한 인지증진훈련, 사회기술훈련, 부모교육 병합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박현진,허자영,김영화,송현주 한국정서ㆍ행동장애아교육학회 2011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27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주의력결핍 및 과잉행동장애 아동에 대한 조기 개입 방안 마련을 위해 인지증진훈련과 사회기술훈련, 부모교육이 병합된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성을 검증하는 데 있다. 문헌연구와 현장전문가, 교사, 학부모 요구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20회기의 아동 프로그램과, 10회기의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었다. 경기, 전남, 강원, 경북의 7개 지역에서 개발된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통제집단을 구성한 후 사전, 사후 주의력장애진단시스템(ADS), 한국판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평정척도(K-ARS), 사회기술평정척도(SSRS), 부모양육효능감, 부모 양육스트레스 검사 결과에 대한 T-test와 공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효과성 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지증진, 사회기술훈련, 부모교육 병합 프로그램은 아동의 시각충동성 및 청각부주의 감소와, 부모가 지각한 아동의 부주의 감소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지증진, 사회기술훈련, 부모교육 병합 프로그램은 부모와 교사가 지각한 아동의 사회기술 증가에 있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셋째, 개발된 프로그램은 부모로서의 효능감 증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양육 스트레스 감소에는 유의미한 차이를 가져오지 않았다. 즉, 인지증진훈련, 사회기술훈련, 부모교육 병합 프로그램은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증상 감소와 바람직한 사회기술향상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며, 부모의 양육효능감 증진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시사점과 더불어 본 연구의 한계점을 논의하고 후속연구를 제안하였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develop a counseling intervention program for ADHD children and their parents and to test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Literature review, and needs assessment with field experts, teachers and parents and conducted, and the 20-session of cognitive enhancement - social skills training program for children and the 10-session of parent training program were constructed. The program was conducted at a counseling center in 7 different areas. 26 children and their parents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13 of them participated in the program. The other 13 were alloted in the control group. In order to test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participants rated on the ADS, K-ARS, SSRS, Parenting Efficacy Scale, and Parenting Stress scale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ognitive enhancement - social skills training program affected positively in the reduction of participated children's visual impulsitivity, auditory inattention, and overall inattention which is rated by their parents. Second, the program influenced positively in the enhancement of social skills among participating children. Lastly, while parenting efficacy has been significantly increased among participating parents upon the completion of the program,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the level of parenting stress. Overall, the cognitive enhancement-social skill training program for ADHD children and parent training program for their parents positively affected in those children's symptom reduction and social skills, and also increased their parents' parenting efficacy.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are also discussed.

      • KCI등재후보

        자폐 범주성 장애 아동의부모 참여 중재에 관한 국외 연구 분석 : 1996년부터 2007년까지의 실험연구를 중심으로

        박나리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08 특수교육 Vol.7 No.1

        This article provides a systematic overview of the current empirical researches (1996-2007) on Parent education/Parent training for Autism Spectrum Disorders. Twenty- one studies coded for overview. This article was compared in three main areas: (1) purpose of Parent education/Parent training intervention, (2) research methodology, age of participant children and method used to assess outcome (3) Parent education/Parent training procedures: setting of Parent education/Parent training, format of Parent education/Parent training, instructional methods and Parent education/Parent training program contents. Results indicate that there are three main results: (1) The areas targeted in intervention is improving parenting practices, increase child development, improve child behavior management, improve parent-child relationship and increase parental stress management. (2) The most frequently used experimental design was a single subject design and almost age of participant childrens was under age 5. (3) The most frequently used setting of Parent education/Parent training was home, The most frequently used format of Parent education/Parent training was individual family. Instructional methods were employed at least two techniques that include manual or written materials, didactic instruction, trainer modeling, role-playing and feedback. Parent education/Parent training program contents were various for individual family and children. The practical implications of this research and future study were recommended. 본 연구는 자폐 범주성 장애 아동의 부모 참여 중재에 관한 국외 연구들을 분석하여 부모 교육/훈련의 목표, 부모 교육/훈련 환경, 양식, 방법, 내용 요인들을 고찰 하였다. 1996년 이후부터 2007년까지 부모 참여 중재가 포함된 국외 연구들이 분석 대상이 되었으며, 연구 대상에 부합한 논문은 총 21편이었다. 부모 참여 중재의 목표로는 가정에서 부모의 교육적인 역할/기능, 아동의 발달에 관한 연구가 가장 많았고, 그 외의 아동의 문제 행동 조절, 올바른 반응, 부모와 아동의 상호작용, 부모의 정신 건강을 중재 목표로 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단일 대상 연구가 대부분이었고, 대상 아동의 연령은 5세 미만의 영유아가 많았다. 중재 환경은 주로 가정과 기관을 함께 병행하였으며, 중재 양식은 개별적인 교육/훈련이 가장 빈번하였다. 중재 방법은 강의, 교재, 시범, 역할 놀이, 피드백 제공 등 다양한 방법이 사용되었으며, 중재 내용은 중심축 반응 훈련(PRT)이 가장 빈번하였고 그 외 개별 아동과 부모에게 적합한 다양한 내용의 중재가 이루어졌다.

      • KCI등재

        부모효율성훈련이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유진희 ( You Jinhee ),김진숙 ( Kim Jinsook ) 열린부모교육학회 2018 열린부모교육연구 Vol.10 No.1

        본 연구는 유아와 초등학생의 자녀를 둔 어머니를 대상으로 부모효율성훈련이 양육태도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고든(Gorden)의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이론과 선행연구를 근거하여 개발한 부모효율성훈련 프로그램을 경상북도 P시에서 12명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실시하였고, 사전, 중간, 사후 검사를 통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부모효율성훈련이 어머니의 부정적 양육태도인 거부적 양육태도와 통제적 양육태도는 감소하였고, 긍정적이고 바람직한 애정적 양육태도와 자율적 양육태도는 증가하였다. 둘째, 부모효율성훈련이 어머니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행복감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사전검사에는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행복감은 통제적 양육태도가 높을수록 행복감도 높아지는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그리고 중간 검사에는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행복감의 상관관계는 관련성이 없었고, 사후 검사에는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행복감의 상관관계는 자율적 양육태도가 높을수록 행복감도 높아진다는 결론을 얻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parent effectiveness training on parenting behaviors and happiness of mothers having infants and elementary school student children. To get answers, parent effectiveness training developed on the basis of theory and precedent study of Gorden’s parent education program was applied to 12 mothers in P city, Gyeongsangbuk-do Province, and analyzed through preliminary, intermediate, and post test. This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arent effectiveness training is effective in reducing mother’s rejective and controlling parenting behaviors which are negative, and in increasing affectionate and self-regulating parenting behaviors which are positive and desirable. Second, this study shows that the effects of parent effectiveness training on mother’s happiness are significant. Third, when it comes to the correlation of mother’s happiness with parenting behavior, the study shows that the higher scale of controlling parenting behaviors leads to the higher scale of mother’s happiness in preliminary test. In intermediate test, there’s no correlation between mother’s parenting behavior and happiness, and the higher scale of self-regulating parenting behaviors leads to the higher scale of mother’s happiness in post test.

      • 긍정적 부모역할 프로그램 (Positive Parenting Program) 의 국내도입을 위한 기초연구

        김연수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연구센터 2004 이화사회복지연구 Vol.4 No.-

        본 연구는 부모를 대상으로 하여 가족의 기능을 강화하고 아동의 문제를 예방하기 위한 목적으로 호주에서 실시되고 있는 대표적 프로그램의 하나인 '긍정적 부모역할 프로그램(Positive Parenting Program)'의 국내도입을 위한 기초연구이다. 긍정적 부모역할 프로그램은 사회학습이론 에 바탕을 둔 행동적 가족개입모델에 이론적 근거를 두고, 아동의 사회적 능력을 증진시키며, 발달적 및 행동적 문제를 예방하기 위한 목적으로 부모에게 필요한 아동양육의 구체적 지식 및 기술을 훈련하는 구조화된 프로그램이다. 단계별 개입에 있어서 긍정적 부모역할 프로그램은 지역사회 내의 모든 부모와 아동양육자들을 대상으로 한 예방적 차원의 정보제공에서부터 복잡하고 다양한 아동문제와 가족문제를 가진 부모를 대상으로 한 집중적 프로그램 실시에 이르기까지 점층적으로 강도를 높여 개입하는 총 5단계로 구성된 다차원적 프로그램이다. 프로그램의 토대를 이루는 기본원칙은 아동에게 안전하고 흥미로운 환경구성하기, 긍정적인 학습 환경 만들기, 명료한 훈육방법 사용하기, 현실적인 기대감 갖기, 그리고 부모로서 자기 자신 돌보기로 구성되어 있다. 긍정적 부모역할 프로그램은 호주와 뉴질랜드, 미국, 캐나다, 서독 등의 서구국가 뿐 아니라 홍콩, 싱가폴 등의 동양문화권 국가에서도 활발하게 적용 및 실천되고 있으며 그 효과성이 입증되고 있으나 현재까지 국내에는 소개되지 않은 프로그램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긍정적 부모역할 프로그램을 기존에 국내에 도입되어 실시되어온 대표적 부모역할 프로그램인 부모효율성훈련(Parent Effectiveness training), 체계적 부모역할훈련(Systemic Training for Effective Parenting), 그리고 적극적 부모역할훈련(Active Parenting Today)과 비교분석하고, 국내 적용 시 기대되는 실천적 함의에 관하여 논의해보았다. 이 연구는 지역사회를 기반으로 하여 가족기능을 강화하기 위한 구체적 실천도구가 부족한 사회복지계의 현실을 가만할 때, 실천현장에서 가족을 대상으로 구체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소개하였다는 점과, 나아가 사회복지실천 프로그램으로서 '긍정적 부모역할 프로그램'의 국내도입 및 활용가능성을 모색하기 위한 논의의 기초를 제공하였다는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is about Positive Parenting Program(Triple P) in Australia, which aims to enhance family functioning and prevent preadolescent children's problems through the systemic approach based on Behavioral Family Intervention Model. The program has a multilevel system which provides five levels of intervention of increasing strength from a universal population-level media information campaign to family programs for children at risk with more severe behavioral problems. The program uses flexible delivery modalities including individual, group, and self-directed programs provided depending on the requirements of individual families. However, the program hasn't been introduced to Korea in spite of the effectiveness and wide range of practice in many countries. Therefore, in this study. Positive Parenting Program was introduced and compared with the other programs which were already practiced in Korea, such as Parent Effectiveness training(PET), Systemic Training for Effective Parenting(STEP), and Active Parenting Today (APT) in terms of program theory, principles, and contents. Also, the applicability into Korea and practical usefulness of the program was discussed in the perspective of community based social work practice for families. In conclusion,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introduce a new parenting program for enhancing parent's competence and strengthening family in the community level and to explore the applicability of Positive Parenting Program into Korea as a family intervention tool. I suggest it is needed that the Program into be actually practiced and evaluated the effectiveness as a community based family supporting program in Korea.

      • KCI등재

        인지행동치료 기반 부모훈련 프로그램이 아동학대 가해 부모의 부모양육태도, 부모 자녀간 의사소통 유형, 정서조절곤란에 미치는 영향

        박초희 ( Chohee Park ),김정민 ( Jungmin Kim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1

        본 연구는 인지행동치료 기반 부모훈련 프로그램이 아동학대 가해 부모의 가해 행동과 관련된 변인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한 연구이다. 가해 부모 총 16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 8명, 통제집단 8명을 구성하여, 2019년 5~7월 동안 실험집단에 8회기 인지행동치료 기반 부모훈련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인지행동치료 기반 부모훈련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한 측정 도구를 부모양육태도, 부모 자녀간 의사소통 유형 및 정서조절곤란으로 구성하였고, 집단 간 사전-사후-추후 검사를 비교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인지행동치료 기반 부모훈련 프로그램이 부모의 아동학대 가해 행동을 감소시키고 재학대를 예방하는데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based parental training programs on variables related to the abused parents’ behaviors. For a total of 16 offender parents, 8 experimental groups and 8 control groups were formed, and the 8th session of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based parental training programs were applied to the experimental group from May to July 2019. The measuring tool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based parent training program consisted of parenting attitude, communication type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and emotional control difficulties, and pre-post tests amd follow-up test four weeks later were compared and analyzed between groups.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 than the control group. These findings suggest that cognitive-behavioral therapy-based parental training programs can be an effective method to reduce parental child abuse behavior and prevent re-abuse.

      • KCI등재

        ADHD 아동대상 부모훈련 연구 현황과 개선방안: 2006년~2015년 국내연구 중심으로

        배미정,박중규 한국재활심리학회 2019 재활심리연구 Vol.26 No.1

        임상에서 진단되고 투약치료 중인 ADHD 아동의 부모에게 실시된 부모훈련 연구의 현황을 알아보기 위해 2006년부터 2015년까지 10년간 국내 석․박사 학위논문과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 중 근거기반치료로 인정된 Barkley의 행동적 부모훈련 프로그램을 기초로 시행되었고 메타분석이 가능한 연구결과를 보고한 4편의 연구를 선정할 수 있었다. 부모훈련 프로그램의 주 내용은 ADHD 개관, 부모의 분노 스트레스 다루기, 순종/독립적인 놀이증가, 효과적인 명령법, Think Aloud, 공공장소 내 행동조절 방법, 의사소통 방법, 부모자신에 대한 인식, 자녀수용, 행동수정(토큰 경제, 긍정적 관심주기, 반응대가, Time-out) 등 이었다. 독립변인은 ADHD 아동대상 부모훈련 프로그램이었으며 종속변인은 각 연구의 성과 측정치였다. CMA2를 활용한 메타분석 결과, 첫째, ADHD 아동대상 부모훈련 프로그램 전체 평균 효과크기는 .685였다. 둘째, 종속변인 별로 평균 효과크기는 부모양육태도 및 관계는 .865, 아동의 변화는 .691, 부모내적변화는 .544였다. 셋째, 프로그램 유형에 따른 평균 효과크기는 Barkley의 행동적 부모훈련 프로그램은 .664, Barkley의 부모훈련 프로그램을 포함한 수정 프로그램은 .718였다. 임상군을 대상으로 한 매우 열악한 국내 연구의 현황을 논의하였고, 연구의 제한점과 추후 고려해야할 사항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놀이치료 수련자를 위한 부모상담 훈련 프로그램 개발

        김경은 ( Kim Kyung-eun ),한유진 ( Han You-jin ) 한국놀이치료학회 2021 한국놀이치료학회지(놀이치료연구) Vol.2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놀이치료 수련자를 위한 부모상담 훈련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프로그램을 평가하는 것이다. 연구의 절차는 문헌고찰 및 요구도 조사, 프로그램 기초 설계, 전문가 검토, 최종 프로그램 개발의 과정으로 진행되었다. 프로그램의 목적은 놀이치료 수련자의 부모상담 어려움 극복을 도모하는 것이며, 훈련 내용은 ‘부모와 긍정적 관계 형성’, ‘정보 제공이다. 훈련 모델은 시뮬레이션 훈련 모형을 토대로 ‘토론-가상 상황-부모상담 역할 시연- 피드백- 재역할 시연- 디브리핑’으로 구성되었다. 프로그램 평가는 놀이치료 수련자가 프로그램 시작-중기-종결 후에 진행한 부모상담 내용을 담화 분석하였고, 만족도 조사를 통해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대상의 발달과정 특성과 훈련 방법의 요구를 주목하여 개발되었다. 둘째, 부모상담 훈련 방법이 임상수행과 학습된 지식 적용에 도움을 주었다. 셋째, 훈련 도구가 적절하게 구성되었다. 넷째, 심도 있는 추가 훈련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놀이치료 수련자의 요구에 집중하여 프로그램 방법 및 내용을 구성하였으며, 놀이치료 수련자를 위한 부모상담 훈련 프로그램을 국내 최초로 개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set out to develop, apply, and evaluate a parent counseling training program for play therapy trainees. The contents of the training covered the following areas; “the formation of positive relationships with parents” and “provision of information.” We utilized a simulation training model, which was comprised of “discussion-fictional situation- demonstration of parent counseling role-feedback-demonstration of re-role-debriefing.” In terms of the evaluation of the program, the content of parent counseling that the play therapy trainees conducted at the beginning, middle sequence and at the end of the program was analyzed by means of discourse analysis, with a satisfaction survey also included for further comparisons and analysis. The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training methods for parent counseling used in this study proved helpful both in terms of clinical performance and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the theoretical knowledge of the trainees. In addition, the composition of the training tools provided were found to be appropriate to the tasks at hand.

      • KCI등재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아동을 위한 부모 훈현 방안에 관한 문헌 고찰

        윤선아 ( Sun Ah Yoon )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2007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23 No.4

        본 연구는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를 위한 부모훈련중재를 실행한 선행연구 들을 분석한 문헌연구이다 선행연구 선정기준은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한 논문으로서 첫째, 독립변인으로 부모훈련을 포함하고 있는 논문, 둘째, 최근동향을 분석하기 위해 1997년 이후부터 지금까지 10년간의 논문, 셋째, 주으력 결핍 과잉행동 장애 아동과 부모의 관계, 효과적인 중재방법을 분석하기 위해 문헌연구, 조사연구, 사례연구를 제외한 실험연구들을 선정하였으며, 이러한 선정기준에 부합되는 14편의 논문이 최종 분석대상 논문이 되었다 논문 분석은 먼저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장애 아동의 부모 특성을 살펴봄으로서 상호영향을 주는 요소들을 선행연구들을 중심으로 부모의 기대, 부모의 스트레스와 우울, 부모의 귀인, 부모의 양육방식으로 구분하여 고찰하였다, 분석별과 나타난 부모의 특성은 부모훈련의 필요성 뿐 아니라 부모 중재 내용에 포함되아애 할 요소들을 반영하고 있었다 두 번째 분석은 중재 연구인 14편의 논문들을 중심으로 실제 선행연구들에서 실행된 주의력 결핍 과잉행덩 장애 아동의 부모훈련 중재 내용 및 중재효과들을 실행된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장애 아동의 부모후년 중재 내용 및 중재효과들을 모의 참여, 부의 참여, 접근 방식, 훈련지원 체계, 장기적 성과의 순으로 살펴보았다 논의에서는 분석된 경과들을 중심으로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의 부모 훈련 프로그램을 계획하고 실행하는 데 필요한 시사점들을 제언하였다 This article reviews the effectiveness of parent training intervention used in the treatment of children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e disorders (ADHD) because children with ADHD and their parents` relationships continuously affect their main symptoms The articles were selected using five criteria: (1) subjects are children or adolescents with ADHD (2) intervention components included parent training, (3) case studies, surveys and review articles were excluded (4) published from 1997 to 2007 Using these criteria 14 articles were selected This study analyzes and describes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adolescents with ADHD and their parents, and further analyzes mother`s participation father`s participation, theoretical basis, parent training, independent variable, training system, and long-term effects Discussions of the study and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provided regarding this study`s results and the of special education for learners with ADH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