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부모와 교사의 지원 및 성취압력이 학업성취집단별 자기결정성 동기에 미치는 영향

        김신아,오인수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14 교육과학연구 Vol.45 No.1

        본 연구는 부모와 교사의 지원과 성취압력이 학생의 자기결정성 동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특히 학업성취가 낮은 학생과 높은 학생을 비교해 영향력에 어떠한 차이가 존재하는지 분석하였다. 「한국교육종단연구 2005」의 2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성취도점수의 평균을 기준으로 성취상위집단과 하위집단을 구분한 후 성취하위집단을 참조집단으로 하여 잠재평균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성취상위집단이 하위집단에 비해 부모의 지원, 부모의 성취압력, 교사의 지원, 부과된 조절동기, 확인된 조절동기, 내재적 조절동기에서 높은 값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고, 하위집단은 상위집단에 비해 외적 조절동기만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성취집단에 따라 부모와 교사의 지원 및 성취압력이 자기결정성 동기에 이르는 경로계수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부모의 지원이 외적 조절동기, 확인된 조절동기와 내재적 조절동기에 이르는 경로에서 집단별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부모의 성취압력이 외적 조절동기, 확인된 조절동기와 내재적 조절동기에 이르는 경로에서도 집단별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학습자의 학업성취정도에 따라 부모와 교사의 영향력이 자녀의 동기에 다르게 작용함을 밝혔으며, 이를 바탕으로 자기결정성 동기를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상담적 방법을 제시하고 이와 관련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The present study identified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effect of support and accomplishing pressure of parents and teachers on the self-determination of students between the above average group and the below average group in academic achievement. It classified the above average group and the below average group in school achievement on the basis of academic achievement level and aims to identify factors can improve the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by group. Data analyzed to solve the research problems is the second year data of 2005 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The study results of latent mean analysis with the below average group as a referent group are as follows. It was found that the above average group has higher values in the support of parents, the accomplishing pressure of parents, the support of teachers, introjected regulation motivation, identified regulation motivation, intrinsic regulation motivation than the below average group. And as for the estimation of effect size, the accomplishing pressure of parents and the support of parents have the effect in the middle size level, and the rest of factors have small size effects. As for the study results for the difference analysis in path coefficient that leads the support and accomplishing pressure of parents and teachers to the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according to groups in academic achievemen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These findings showed how to improve the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in the way of educational counseling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ies and proposed related suggestions.

      • KCI등재

        초등학생이 지각하는 부모양육태도와 인터넷 이용동기가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 자기통제력의 매개효과

        조한익 ( Han Ik Jo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11 청소년복지연구 Vol.13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지각된 부모양육태도와 인터넷 이용동기가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지각된 부모양육태도와 인터넷 이용동기가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자기통제력이 매개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지역 초등학교 4개교에 재학 중인 597명이었고, 사용된 측정도구는 부모양육태도 척도, 인터넷 이용동기 척도, 자기통제력 척도, 인터넷 중독 척도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양육태도가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모양육태도 하위요인들 모두 인터넷 중독을 유의미하게 예언하였다. 즉, 부모애정이 높을수록 인터넷 중독이 낮아지는 반면에, 부모거부와 부모과보호가 높을수록 인터넷 중독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터넷 이용동기가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에서 인터넷 이용동기의 하위요인들 모두 인터넷 중독을 유의미하게 예언하였다. 즉, 인터넷을 사용하는 동기로써 정보추구동기가 높을수록 인터넷 중독이 낮아지나, 반대로 오락휴식동기나 사회적 상호작용 동기가 높을수록 인터넷 중독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양육태도와 인터넷 이용동기가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자기통제력이 매개하는지를 검증한 결과, 부모양육태도 하위요인 중 부모애정이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효과를 자기통제력이 완전매개(complete mediation)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인터넷 이용동기 중 정보추구동기가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자기통제력이 완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초등학생이 지각하는 부모애정이 높거나 정보추구 동기가 높으면 자기통제력이 높아지게 되고 결과적으로 인터넷 중독은 낮아지게 된다는 의미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초등학생의 인터넷 중독을 예방하고 감소할 수 있는 보호요인으로써 애정적 부모양육태도, 정보추구동기 그리고 자기통제력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학생과 학부모를 위한 인터넷 중독 예방 및 상담치료 방안과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perceived parenting attitude and internet use motives on internet addiction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lso this study was done to test whether self-control mediated the effect of perceived parenting attitude and internet use motives on internet addiction. The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597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Seoul.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parents` love significantly reduced internet addiction. However, parents` rejection and parents` overprotection significantly increased internet addiction. Second, information motive significantly reduced internet addiction. However, recreation/rest motive and social interaction motive significantly increased internet addiction. Third, the effect of parents` love on internet addiction was completely mediated by self-control, which means that parents` love increased self-control, thus contributing to decreased internet addiction. Fourth, the effect of information motive on internet addiction was completely mediated by self-control, which means that information motive increased self-control, thus contributing to decreased internet addiction.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청소년의 성 관련태도 및 부모됨의 동기가 청소년미혼부모지원 정책에 대한 지지도에 미치는 영향

        이주현 ( Joo Hyun Lee ),유계숙 ( Gye Sook Yoo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12 청소년복지연구 Vol.14 No.1

        본 연구는 청소년미혼부모지원 정책의 대상인 465명의 청소년(중고생 232명, 대학생 233명)을 설문조사하여 이들의 개인적 특성과 성 관련태도 및 부모됨의 동기가 청소년미혼부모지원 정책에 대한 지지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정책적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대상 청소년의 성 관련태도, 부모됨의 동기, 청소년미혼부모 지원 정책에 대한 지지도의 전반적 경향을 살펴본 결과, 피임사용 의도와 이타적 부모됨의 동기는 높은 수준이었으며, 낙태 허용성과 선택적 부모됨의 동기는 보통 수준이었고, 성관계 허용성은 낮게 나타났다. 또한 연구 대상 청소년들은 청소년미혼부모지원 정책에 대하여 전반적으로 높은 지지도를 나타냈다. 한편 청소년의 개인적 특성, 성 관련태도 및 부모됨의 동기가 청소년미혼부모지원 정책에 대한 지지도에 미치는 영향을 중다회귀분석한 결과, 중고생의 경우 성관계 허용성과 피임사용 의도, 이타적 부모됨의 동기가 정책 지지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대학생의 경우에는 성관계 경험 유무, 낙태 허용성, 피임사용 의도, 이타적 부모됨의 동기가 정책 지지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침으로써 연령집단에 따라 청소년미혼부모지원 정책 지지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차이가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sexual attitudes and motivations of parenthood on support for policies for adolescent single parenting among junior/high school and college students. Data were collected from 465 adolescents(232 junior and high school students aged 13 to 17 and 233 college students aged 19 to 24).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Adolescents showed high levels of intention of using contraception and altruistic motivation of parenthood. They also showed mid levels of permissibility of abortion and optional motivation of parenthood with low levels of sexual permissiveness, highly supporting policies for adolescent single parenting.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revealed that junior and high school students` sexual permissiveness, intention of using contraception, and altruistic motivation of parenthood significantly predicted their support for policies for adolescent single parenting. College students` experiences of sexual relations, permissibility of abortion, intention of using contraception, and altruistic motivation of parenthood positively related to the their support for policies for adolescent single parenting.

      • KCI등재

        부모의 학업지지와 자녀의 진로성숙 관계에서 자기결정성 동기의 매개효과

        이문희 ( Mun Hee Lee ),신효정 ( Hyo Jung Shin ) 안암교육학회 2015 한국교육학연구 Vol.21 No.3

        본 연구는 부모의 학업지지와 진로성숙의 관계에서 자기결정성동기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하였다. 이를 위해 교육종단연구 5차 데이터 고등학교 2학년 학생 총 6,908명(남학생 3,617명, 여학생 3,291명)의 자료를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부모학생관계에서 부모의 학업지지, 진로성숙도, 자기결정성동기 변인을 사용하였고, 구조방정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부모의 학업지지와 진로성숙관계에서 자기결정성 동기가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의 학업지지와 진로성숙의 관계에서 자기결정성 동기의 하위변인들 중 내재적 조절동기, 확인된 조절동기, 부과된 조절동기는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반면 부모의 학업지지와 진로성숙의 관계에서 자기결정성 동기의 하위변인들 중 외재적 조절 동기는 억제효과가 나타났다. 이는 진로성숙을 돕기 위해서는 부모의 학업지지와 같이 자율성을 증진시키는 환경적인 뒷받침을 통해 청소년에게 있어 자기결정성 동기인 내재적 조절동기, 확인된 조절동기, 부과된 조절동기를 촉진시키는 상담개입이 중요함을 보여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determin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academic support and Career Maturity. The 5th year data of Korea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KELS) was used. The participants were 6,908 (3,617 boys and 3,291 girls) high school students. The data analyzation was used to estimate the mediating effects b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 indicated that introjected regulation, identified regulation, and intrinsic regulation of Self-determination were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academic support and Career Maturity. However, external regulation was confirmed not mediator but suppression variable in between parental academic support and Career Maturity. These finding suggest that improving level of autonomy, such as introjected regulation, identified regulation, intrinsic regulation, may be effective on intervening Career Maturit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based in the results were discussed with some suggestions for the future research.

      • KCI등재

        부모애착이 전문대학생의 자기결정성동기에 미치는 영향: 그릿의 매개효과

        김대명 대한경영학회 2022 大韓經營學會誌 Vol.2022 No.특별호3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애착이 전문대학생들의 자기결정성동기 간의 관계에서 그릿(Grit)의 매개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남 S시의 전문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 572명을 연구에 활용했다. 부모애착, 그릿, 자기 결정성동기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SPSS 21.0과 AMOS 21.0을 이용하여 구조방정식모형(SEM)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다룬 연구문제는 전문대학생들의 부모애착, 그릿, 자기결정성동기 간에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며, 부모애착과 자기결정성동기 사이에서 그릿의 매개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에 대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애착은 그릿과 외재적 동기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무동기에는 유의한 부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부모애착은 내재적 동기에는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그릿은 내재적 동기와 외재적 동기에는 유의한 정적 영향을, 무동기에는 유의한 부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애착이 내재적 동기와의 관계에서 그릿은 완전매개효과 있었으며, 외재적 동기와 무동기에는 간접매개효과가 있었음이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론에 따른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대학생들에게도 부모애착이 중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기에, 전문대학 신입생들을 대상으로 부모와의 상호작용이 긍정적인지 부정적인지에 대한 탐색과 이를 회복하기 위한 프로그램 등의 개발 및 운영을 통해 안정적인 대학 생활을 유지 및 발전시켜 나갈 수 있는 방법들에 대해서 고찰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또한 재학생들 역시 담당 교수와의 면담 안에서 부모와의 긍정적인 상호작용 여부에 대한 확인을 통해 안정적인 대학 생활 및 진로 탐색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전문대학생들의 그릿을 높이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된다. 그릿은 단순히 시간이 지나면서 획득되는 요인이 아니기 때문에 학교 내 각종 교육프로그램 안에서 그릿 역량을 개발할 수 있는 비교과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러한 그릿의 영향을 감안한다면 학교 내 비교과 프로그램 개발에서 그릿을 높이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은 무엇보다도 시급하다고 보여진다. 그리고 전문대학을 운영하고 있는 학교 경영자들에게 이론적 의의와 실무적 시사점을 함께 논의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mediating effect of gri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lf-determination motives of junior college students. To this end, 572 college students enrolled in vocational colleges in S, Jeollanam-do, were used for research. In order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attachment, grit, and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SEM) was analyzed using SPSS 21.0 and AMOS 21.0. The research problem covered in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attachment, grit, and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of junior college students, and to find out the mediating effect of grit between parental attachment and self-determination motivation.The results of the study on this are as follows. First, parental attachment has been shown to have a significant static effect on grit and extrinsic motivation, an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asynchronousness. However, parental attachment has not been shown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intrinsic motivations. Grit, on the other hand, has been shownto have a significant static effect on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s, an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asynchronousness.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attachment and intrinsic motivation, grit had a fully mediated effect, and extrinsic motivation and asynchronousness had an indirect mediating effect. The implications of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ince we have confirmed that parental attachment is important for college students, it will be necessary to consider ways in which new students in colleges and universities can maintain and develop a stable university life through the exploration of whether the interaction with parents is positive or negative, and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programs to restore it. In addition, current students will also be able to check with their professors to see if they have a positive interaction with their parents to help them find a stable college life and career path. Seco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programs to increase the grit of professional college students. Since grit is not simply a factor that is acquired over time, it will be necessary to develop comparisons and programs to develop grit competencies within the various educational programs in the school. Given the impact of this grit, the development of programs to increase grit in in-school comparisons and program development seems to be of paramount urgency. In addition, theoretical significance and practical im- plications can be discussed with school managers who operate community college.

      • KCI등재

        빈곤 여부, 지각된 부모양육태도, 학업동기, 심리적 안녕감과 청소년의 학교적응 간의 구조적 관계

        송희원(Hee Won Song),최성열(Sung Yeol Choi) 한국교육심리학회 2012 敎育心理硏究 Vol.26 No.3

        본 연구는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대한 다차원적 접근과 통합적인 이해를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으며, 이를 위해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측되는 가정의 빈곤 여부, 지각된 부모양육태도, 학업동기, 심리적 안녕감을 학교적응 관련 변인으로 설정하고, 각 변인들과 청소년의 학교적응 간의 구조적 관계와 영향력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의 빈곤 여부, 지각된 부모양육태도, 학업동기, 심리적 안녕감과 학교적응 간의 구조적 관계는 어떠한가? 둘째, 가정의 빈곤 여부, 지각된 부모양육태도, 학업동기, 심리적 안녕감과 학교적응 간의 영향력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D광역시에 소재한 3개 중학교 2, 3학년 남녀 564명과 4개 고등학교 1, 2학년 남녀 739명으로, 총 1303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먼저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 검사, 학업동기 검사, 심리적 안녕감 검사, 학교적응 검사를 실시하고, 보건복지가족부가 공표한 최저생계비를 기준으로 빈곤 가정 청소년과 비빈곤 가정 청소년을 구분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각된 부모양육태도, 학업동기, 심리적 안녕감, 학교적응 간의 상관분석 결과, 각 변인들의 관계는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가정의 빈곤은 지각된 부모양육태도와 학업동기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며 지각된 부모양육태도와 학업동기를 통해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각된 부모양육태도는 학업동기와 심리적 안녕감을 통해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며, 학업동기와 심리적 안녕감은 학교적응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업동기와 심리적 안녕감은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직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가정의 빈곤과 지각된 부모양육태도는 학교적응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각된 부모양육태도, 학업동기, 심리적 안녕감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간접효과를 검증한 결과, 세 변인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빈곤 여부, 지각된 부모양육태도, 학업동기, 심리적 안녕감은 모두 학교적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pproach and understand school adjustment of adolescents multi-dimensionally and integratively. This study also investigates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school adjustment of adolescents and variables including poverty level, perceived parental rearing attitude, learning motiva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ll of which are expected to influence school adjustment of adolescents. To achieve the objective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investigated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poverty level, perceived parental rearing attitude, learning motiva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chool adjustment? Second, do poverty level, perceived parental rearing attitude, learning motiva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have an impact on school adjustment? A total of 1303 students including 564 boys and girls in the second and third grades of three middle schools, and 739 boys and girls in the first and second grades of four high schools located in Daegu were studied for this research. First of all, tests of perceived parental rearing attitude, learning motivatio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chool adjustment were conducted. Then, based on the minimum cost of living released b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tudents from poverty level and non-poverty level families were divid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revealed that there were passive correlations among variables after analyzing correlations among perceived parental rearing attitude, learning motivatio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chool adjustment. Specifically, poverty level influenced perceived parental rearing attitude and learning motivation indirectly, and it had an impact on school adjustment through perceived parental rearing attitude and learning motivation. Perceived parental rearing attitude affected school adjustment through learning motiva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nd learning motiva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had a direct effect on school adjustment. Second, this study shows that learning motiva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have a direct and indirect impact on school adjustment, and both poverty level and perceived parental rearing attitude influenced school adjustment indirectly. Through the results of verifying the indirect impact of perceived parental rearing attitude, learning motiva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n school adjustment, it is revealed that these variables have statistically meaningful meditation effects. Therefore, it is shown that poverty level, perceived parental rearing attitude, learning motiva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school adjustment.

      • KCI등재

        지각된 부모양육태도와 인터넷 사용동기가 인터넷 과다사용과의 관계

        조한익,이경호 한국청소년학회 2009 청소년학연구 Vol.16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perceived parenting attitude and motivations for internet use on internet overuse. In term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attitude and internet overus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father's supervision and abuse significantly predicted internet overuse. Also, mother's supervision, rational explanation, overprotection, and abuse significantly affected internet overuse. Concer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motivations for internet use and internet overuse, seeking for interaction, avoidance from reality, information use, sexual pleasure, and obsession significantly affected internet overuse. In addition, the interaction effects between perceived parenting attitude and motivations for internet use were found significant. That is, the effects of perceived parenting attitude on internet overuse varied based on the levels of motivations for internet us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perceived parenting attitude and motivations for internet use should simultaneously be considered when counselors intervene people who excessively use internet. Implications for counseling for internet overuse and the limit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지각된 부모양육태도와 인터넷 사용동기의 관계, 인터넷 사용 동기와 인터넷 과다사용과의 관계를 알아보고, 지각된 부모양육태도와 인터넷 사용동기 수준이 인터넷 과다사용과 어떠한 관계를 나타내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지각된 부모양육태도에서 부의 감독과 학대가 인터넷 과다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모의 감독, 합리적설명, 과잉간섭 그리고 학대가 인터넷 과다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터넷 사용동기는 상호작용, 현실도피, 정보이용, 성(性)적, 집착 사용동기가 인터넷 과다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로 지각된 부모양육태도와 인터넷 과다사용과의 관계가 인터넷 사용동기 수준에 따라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각된 부모의 양육태도에서 부감독이 인터넷 사용동기의 현실도피 사용동기, 모감독의 양육태도가 현실도피 사용동기, 정보이용 사용동기 수준에 따라 인터넷 과다사용에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지각된 부모양육태도와 인터넷 사용동기가 인터넷 과다사용에 영향을 주고, 지각된 부모 양육태도는 인터넷 사용동기 수준에 따라 인터넷 과다사용을 예측하는 변인임을 나타낸다. 따라서 인터넷 과다사용이라는 청소년 문제행동을 지각된 부모양육태도와 인터넷 사용 동기를 파악하여 적절한 개입과 예방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부모 애착이 식습관에 미치는 영향 : 자율적 동기와 통제적 동기의 매개효과

        박문경,이윤정 대한산업경영학회 2023 산업융합연구 Vol.21 No.3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부모 애착과 식습관의 관계에서 동기의 매개효과를 확인함으로써 올바른 식습관 형성을 위 한 중재 방안 마련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의 대상자는 간호학과에 재학 중인 학생 총 125명이다. 자료는 SPSS/WIN 26.0, AMOS 26.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Pearson’s correlation, 경로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식습관과 자율적 동기, 부모 애착은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고 통제적 동기는 자율적 동기와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 다. 부모 애착은 자율적 동기와 식습관에 유의한 직접적인 정적 영향을 주고, 자율적 동기는 식습관에 유의한 직접적인 정적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 애착과 식습관의 관계에서 자율적 동기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였다(β=.09, p =.003, 95% CI: 0.29~0.19). 그러므로 향후 연구에서는 바람직한 식습관 형성을 위해서는 부모 애착과 더불어 자율적 동기를 강화할 수 있는 프로그램 전략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imed to identifying the mediating effects of motiv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 attachment and eating habit among nursing students. The survey participants was 125 college student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WIN 26.0 and AMOS 26.0 version program,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and path analysis. Eating habit, parent attachment and autonomous motivation were positive correlations. Controlled motivation was positive correlations with autonomous motivation. Parent attachment directly positive related to autonomous motivation and eating habit. Autonomous motivation directly positive related to eating habit. Autonomous motivation has a mediating effects between parent attachment and eating habit (β=.09, p =.003, 95% CI: 0.29~0.19). Therefore,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develop and evaluate programs that include strengthening parental attachment and autonomous motivation.

      • KCI등재

        A Longitudinal Study on the Parenting Effectiveness of Multicultural Families and Self‐esteem and Achievement Motivation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Verification of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

        Hyoung-Ha Lee(이형하)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9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24 No.11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가정 부모의 부모효능감과 다문화청소년의 자아존중감 및 성취동기 간의 관계를 종단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자료는 다문화청소년패널연구(MAPS)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2011년 1차(초등학교 4학년)에서 2016년 6차(중학교 3학년)까지 총 6차년에 걸친 데이터 중, 본 연구에서는 2012년(2차, 초등학교 5학년), 2014년(4차, 중학교 1학년), 2016년(6차, 중학교 3학년) 자료를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다문화가정 부모의 부모효능감과 다문화청소년의 자아존중감 및 성취동기 간의 종단적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자기회귀교차지연 모형을 적용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가정 부모의 부모효능감, 다문화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성취동기의 자기회귀효과는 각각 시간의 흐름에도 지속적인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이전 시점의 다문화가정 부모의 부모효능감은 이후 시점의 다문화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성취동기에 미치는 교차지연효과는 정(+)적인 방향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이전 시점의 다문화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은 이후 시점의 다문화청소년의 성취동기에 미치는 교차지연효과는 정(+)적인 방향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다문화가정 부모의 부모효능감은 다문화청소년의 성취동기에 미치는 교차지연효과의 영향력이 다문화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이 성취동기에 미치는 교차지연효과의 영향력보다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부모의 부모효능감과 다문화청소년의 자아존중감 및 성취동기 간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종단적 자료를 사용하여 시간의 흐름에 따른 세 변인 간의 인과적 방향성을 검증하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ngitudinally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effectiveness of parents of multicultural families and self-esteem and achievement motivation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The study used the data of Multi-cultural Adolescent Panel Survey (MAPS). Of the six years of data from the 1st survey (elementary grade 4 students) in 2011 to the 6th survey (3<SUP>rd</SUP> year middle school students) in 2016, this study employed and analyzed the data from year 2012 (2<SUP>nd</SUP> survey, fifth graders), year 2014 (4<SUP>th</SUP> survey, 1st year middle school students), and year 2016 (6<SUP>th</SUP> survey, 3<SUP>rd</SUP> year middle school students). The results of applying the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 to examine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effectiveness of multicultural families and self-esteem and achievement motivation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are as follows. First, parenting effectiveness of parents of multicultural families, and self-esteem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and autoregressive effects of achievement motivation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 effect with the passage of time. Second, the parenting effectiveness of parents of multicultural families at the previous time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the cross‐lagged effect on self-esteem and achievement motivation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at a later time. Third, the self-esteem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at the previous time at the previous time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in the positive (+) direction on the cross‐lagged effect affecting achievement motivation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at a later time. Fourth, it was found that the cross-lagged effect of the parenting effectiveness of parents of multicultural families on achievement motivation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was greater than the cross-lagged effect of self-esteem on achievement motivation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the longitudinal data are used to verify the causal orientation between three variables over time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effectiveness of parents of multicultural families and self-esteem and achievement motivation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 간호대학생의 부모 애착과 식습관의 관계에서 동기의 매개효과

        박문경,이윤정 한국웰니스학회 2021 한국웰니스학회 학술발표회 Vol.2021 No.4

        성인 초기인 대학생 시기는 건강습관 형성이 대부분 완성되는 시기이며, 다양한 대학문화를 접하고 또래와의 관계를 형성하면서 식습관 형성에 많은 변화가 발생하기도 하는 시기이다. 부모 애착은 아동청소년기에는 건강생활습관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주요 요인 중 하나이며 이는 성인기 이후에까지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바람직한 식습관을 형성하기 유지하기 위해서는 내면적 동기가 중요하며, 긍정적인 부모와의 애착은 내면적 동기에 영향을 주어 바람직한 식습관 형성에 영향을 줄 것으로 여겨진다.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부모 애착과 식습관의 관계에서 동기의 매개효과를 확인함으로써 바람직한 식습관 형성을 위한 가족중심의 식습관 형성과 관련된 중재 마련에 근거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의 대상자는 간호학과에 재학 중인 학생으로 총 125명이 포함되었다. 자료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온라인 조사로 시행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6.0, AMOS 26.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고, 기술통계,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경로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부모 애착은 평균 3.92점(SD=0.73; range 1~5), 자율적 동기 평균 5.79점(SD=0.95;range 1~7), 통제적 동기 평균 3.65점(SD=1.42; range 1~7), 식습관 평균 2.06점(SD=0.52; range 1~4)이었다. 식습관, 자율적 동기 및 부모 애착 사이에는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고, 통제적 동기는 자율적 동기와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경로 분석 결과, 부모 애착은 자율적 동기와 식습관에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주고, 자율적 동기는 식습관에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 애착이 자율적 동기를 통하여 식습관에 미치는 간접효과(β=0.09, p=.003, 95% CI: 0.29~0.19)는 유의하였고, 자율적 동기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였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바람직한 식습관 형성을 위해서는 부모 애착 증진과 자율적 동기를 강화를 위한 간호 중재 프로그램 전략이 필요할 것이며, 대학생 이전의 발달단계인 아동청소년기에서부터 식습관 형성에 부모애착 증진을 도모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