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보육교사의 부정적 훈육행동과 관련변인들 간의 관계 구조분석

        이희은(Lee, Hi-Eun),김순호(Kim, Soon-Ho),김현익(Kim, Hyun-Ick),우연희(Woo, Yean-Hee),문수백(Moon, Soo-Back)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3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8 No.4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부정적 훈육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직무스트레스, 공감, 보육교사가 지각한 직장 내 지지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보육교사 505명을 대상으로 부정적 훈육행동,직무스트레스, 공감, 직장 내지지 질문지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수집된 자료는 AMO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스트레스와 공감은 보육교사의 부정적 훈육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직장 내 지지는 보육교사의 부정적 훈육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낮고 공감이 높을 때, 보육교사의 부정적 훈육행동을 낮아짐을 의미한다. 둘째, 공감은 직무스트레스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직장내 지지는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직장내 지지가 높을 때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낮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직장 내 지지는 보육교사의 공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직장 내 지지가 많을수록 보육교사의 공감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결론적으로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공감 그리고 직장내 지지는 보육교사의 부정적 훈육행동을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임이 확인되었으며, 보육교사의 부정적 훈욱행동을 예방하기 위해 어린이집 내의 보육교직원들 간의 지지적 관계를 유지할 수 있는 환경적 맥락 내에서 보육교사의 공감을 증진시키고 직무스트레스를 줄이는 방법을 모색하고 제공해야함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different variables related to negative discipline behavior. Questionnaires on negative discipline behavior, job stress, empathy and workplace support were distributed to 505 childcare center teachers residing in Gyeongsangbuk-Do and Daegu Metropolitan City in Korea. A variance-covariance matrix of this sample was analyzed using AMOS 20.0, and the maximum likelihood minimization function. The study produce three findings: First, on teachers" negative discipline behavior, child care teachers" job stress and empathy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rect effect while workplace support had none. Second, on teachers" job stress, workplace support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rect effect while teachers" empathy had none. Third, on teachers" empathy, workplace support had a direct effect.

      • KCI등재

        보육시설의 조직문화, 초임보육교사의 배경변인, 교사효능감 및 직무스트레스 간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유계숙 ( Gye Sook Yoo ),김수경 ( Soo Kyung Kim ),강경화 ( Koung Hwa Kang ),박지혜 ( Ji Hye Park ),황지영 ( Ji Young Hwang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1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18 No.3

        본 연구에서는 보육시설의 조직문화와 교사효능감이 초임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에 위치한 80개의 국공립보육시설과 151개의 민간보육시설에 근무하고 있는 1년 이하의 경력을 가진 초임보육교사 23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초임보육교사는 전반적으로 높은 교사효능감을 보고했고, 직무스트레스는 약간 낮은 경향을 나타냈다. 또한, 현재 근무하고 있는 보육시설 조직문화의 각 유형(개발문화, 합리문화, 집단문화, 위계문화)에 대해 다소 높게 지각하였다. 한편 초임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위계적 회귀분석한 결과, 보육시설의 조직문화 중 합리문화, 근무경력, 담당아동연령은 초임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에 유의한 영향력을 갖는 변인으로 나타냈고, 보육시설의 조직문화 중 집단문화, 합리문화, 위계문화, 근무시간, 교사효능감은 초임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유의한 영향력을 갖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organizational culture of child care centers and teacher efficacy on job stress among novice child care teachers. Data were collected from 231 child care teachers working in 80 national public child care centers and 151 private child care centers located in Seoul. All of them were newly appointed teachers with less than a year of employment.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novice child care teachers showed high levels of teacher efficacy and slightly low levels of job stress. They also perceived high levels of development, rational, group, and hierarchical organizational culture in the centers where they worked. The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revealed that the perceived levels of rational organizational culture in the child care centers, lengths of employment, and ages of children under care significantly predicted the levels of novice child care teachers` efficacy. The levels of teachers` job stress were also significantly predicted by the perceived levels of group, rational, and hierarchical organizational culture in the centers, their working hours, and levels of teacher efficacy.

      • KCI등재

        장애아전담보육시설 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직무스트레스와의 관계

        이제화 ( Jea Hwa Lee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1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아전담보육시설에서 근무하는 교사들의 전문성 인식과 직무스트레스의 관계를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대구광역시에 소재한 사회복지법인 장애아전담보육시설에서 근무하는 교사 110명의 전문성 인식과 직무스트레스 양상을 파악하고, 나아가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주는 전문성 인식 요인과 그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장애아전담보육시설 교사들의 전문성 인식 수준은 보통 이상이었다. 전문성 인식 정도는 교사의 연령, 학력수준, 평균보수, 결혼여부에 따라 차이를 보였는데 30세 이상, 4년제 대학 졸업 이상, 기혼여성, 평균보수 140만원 이상 교사의 전문성 인식 수준이 가장 높았다. 둘째, 장애아 전담보육시설 교사들의 직무스트레스 수준은 보통보다 다소 낮은 수준이었다. 직무스트레스 정도는 교사의 근무경력, 근무 시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근무경력이 1-5년 미만의 교사, 11시간 이상의 장시간 근무하는 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가장 높았다. 셋째, 장애아전담보육시설 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직무스트레스는 유의미한 부적상관이 있었으며 교사의 전문성 인식은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주고 있었다. 전문성 인식의 하위요인 중 사회·경제적 지위에 대한 인식 수준과 전문적 지식과 기술의 인식 정도의 순으로 직무스트레스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 Between awareness of professionalism and job stress of teachers at child care center for children with special needs. To this purpose, the level of awareness of professionalism and job stress of teachers at child care center for children with special needs and the influence of teacher`s awareness of professionalism on job stress in 110 teachers working in the social welfare corporation, child care center for children with special needs located in Daegu, were analyzed.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awareness of professionalism of teachers at child care center for children with special needs was more than moderate. The awareness of professionalism of teachers showed difference due to teacher`s age, schooling, average remuneration, marital status. Specifically, teacher`s awareness of professionalism was highest in the case of age over 30 years old, schooling over graduate from 4-year university, married women and average remuneration over \1,400,000. Second, the level of job stress of teachers at child care center for children with special needs was little lower than moderate. And job stres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teacher`s job career, working hours. Job stress was highest in the teacher with work career in 1-5 years and teachers working long time over 11 hours. Third, teacher at child care center for children with special needs showe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awareness of professionalism and job stress. The teacher`s awareness of professionalism affected job stress. In the lower factor of awareness of professionalism, it was found that job stress was significantly affected in the order of level of awareness of social and economic position, awareness of professional knowledge and technology.

      • KCI등재

        특수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교사효능감의 관계

        이금섭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07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4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교사효능감의 수준, 그리고 사회ᆞ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직무스트레스와 교사효능감의 차이, 그리고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완화요인으로서의 교사효능감의 영향력을 밝히는 것이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 검증 결과에 의해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수준은 보통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고, 교사효능감은 보통 수준이지만 유사한 일을 하는 다른 교사집단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ᆞ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특수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법인 보육시설, 장애아 전담어린이집, 미혼, 25세 미만, 4년제 대학 졸업 학력, 1년 미만의 교직경력을 가진 경우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셋째, 특수보육교사의 사회ᆞ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특수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은 대학원 재학 및 졸업 학력을 가진 경우에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넷째, 특수보육교사의 사회ᆞ인구학적 변인 중에는 법인 보육시설, 장애아 전담어린이집에 근무하고, 4년제 대학 졸업 학력을 가진 조건에서 아동관련, 교육활동 관련 스 트레스에 대한 설명력이 높다. 또한 교사효능감 하위요인 중에는 개인적 교사효능감이 낮은 경우, 학부모 관련 스트레스에 대한 설명력이 높게 나타났다.

      • 딥러닝 기반 기상위성 데이터를 이용한 익일 태양광 발전량 예측

        송근주(Song Keun Ju),박태섭(Park Tae Seop),정재익(Jeong Jaeik),권성철(Kwon Seong Chul),문종희(Moon Jong Hee),김홍석(Kim Hongseok) 한국통신학회 2022 한국통신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2 No.2

        최근 탄소 중립 정책으로 기존 전력 계통에 신재생에너지의 투입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계통 설비 및 운영에 있어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한 발전량 예측 기술이 중요해졌다. 신재생에너지의 발전원은 바람, 태양과 같은 기후 요소이기 때문에 시간 및 지형에 따른 시공간적 특징이 있다. 따라서 정확한 예측을 위해서는 발전소 특정 위치에 대한 기상정보가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예측 성능 향상을 위한 방안으로 기상위성 데이터를 이용한 익일 태양광 예측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이는 국내 태양광 발전소의 위도, 경도 정보와 거의 일치하는 기상 정보를 이용하는 것으로 간단한 딥러닝 구조만으로도 예측성능을 크게 향상할 수 있다. 시뮬레이션 결과 제안한 태양광 예측 알고리즘이 이용률 10% 이상 (낮 시간대)에서 5%대의 예측 오차율을 보였으며, 발전소들을 군집화하여 예측한 결과 3%대의 예측 오차율까지 달성하는데 성공했다.

      • KCI등재후보

        영아보육교사의 교수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강이슬,김민경 한국보육지원학회 2011 한국보육지원학회지 Vol.7 No.4

        본 연구는 영아보육교사의 내적 교육신념인 교수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에 대해서 알아보고 영아보육교사의 교수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의 상관관계 및 교수효능감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력은 어떠한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경기지역 국공립, 민간, 가정 보육시설에서 근무하고 있는 36개월 미만의 영아반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결과처리를 위하여 ANOVA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로 첫째, 영아보육교사의 교수효능감은 보통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일반적 교수효능감이 개인적 교수효능감보다 높게 나타나 전반적으로 영아보육교사 자신의 교수효능감을 높게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영아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보통보다 낮게 나타났다. 하위 영역별로 보면 업무관련 스트레스가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영아들과의 활동 스트레스, 개인관련 스트레스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셋째, 교수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간의 관계는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교수효능감의 하위 요인 중에서 일반적 교수효능감은 직무스트레스와 상관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개인적 교수효능감 만이 유의미한 부적상관을 보였다. 영아보육교사의 교수효능감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력은 개인적 교수효능감 만이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개인적 교수효능감이 높을수록 직무스트레스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 중에서는 교육수준, 월 급여, 근무시간이 직무스트레스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월 급여가 적을수록, 근무시간이 많을수록 영아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영아보육교사의 교수효능감을 향상시키고 직무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가교사-영유아 애착에 미치는 영향

        김선철,이주리 국제인문사회연구학회 2024 Studies o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SHSC) Vol.6 No.2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가교사-영유아 애착에 미치는 영향 김 선 철ㆍ이 주 리 연구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가 교사-영유아 애착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설문조사는 서울, 경기지역 보육교사 288명을 대상으로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 교사-유아 애착의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대한 빈도분석을 실시하였고, 기술통계를 실시하여 알아보았다. 변인 간의 관계는 Pearson 상관분석으로 측정하였고, 변인 간의 영향력은 다중회귀분석으로 측정하였다. 연구 내용: 첫째,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교사-영유아 애착은 서로 부적인 상관을 보였다. 둘째,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와 교사-영유아 애착은 정적인 상관을 보였다. 셋째, 직무스트레스의 하위변인 중 업무과부하 변인이 교사-영유아 애착에 유의한 영향을 나타냈다. 넷째, 직무만족도의 하위변인 중 사회적 인식 및 처우 변인과 보육환경과 복지 변인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섯째,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의 교사-영유아 애착에 대한 영향력은 직무만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및 제언: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낮을수록, 직무만족도가 높을수록 교사-영유아 애착 관계는 좋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무만족도가 직무스트레스보다 교사-영유아 애착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육교사의 직무에 대한 변인을 파악하여 지원할 필요가 있다고 할 것이다. 핵심어: 보육교사,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도, 교사-영유아 애착, 어린이집 The Influence of Childcare Teachers’ Job Stress andJob Satisfaction on Teacher-Infant Attachment DOI http://dx.doi.org/10.62783/SHSS.6.2.26 Sunchul Kim** & Julie Lee***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of childcare teachers on teacher-infant attachment formation. The survey conducted a frequency analysis of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job stress, job satisfaction, and teacher-infant attachment on 288 childcare teacher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nd conducted descriptive statistic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was measured by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the influence between variables was measured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irst, job stress of childcare teachers and teacher-infant attachment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each other. Second, job satisfaction of childcare teachers and teacher-infant attachment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Third, among the sub-variables of job stress, the workload variable showed a significant effect on teacher-infant attachment. Fourth, among the sub-variables of job satisfaction, it was confirmed that social perception and treatment variables, childcare environment, and welfare variables had a significant effect. Fifth, job satisfaction was found to be higher in the influence of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on teacher-infant attachment. It was revealed that the lower the job stress of the childcare teacher and the higher the job satisfaction, the lower the job stress of the childcare teacher and the higher the job satisfaction, the better the teacher-infant attachment relationship, and it was found that job satisfaction had more influence on the teacher-infant attachment relationship than job stress. It will be said that it is necessary to identify and support the variables of the childcare teacher's job. Key Words: Childcare Teacher, Job Stress, Job Satisfaction, Teacher-Infant Attachment □ 접수일: 2024년 4월 4일, 수정일: 2024년 4월 18일, 게재확정일: 2024년 4월 20일* 이 논문은 2022년 석사학위논문을 수정하여 2023년 아동학회지에서 발표된 논문을 수정보완하였음. ** 주저자,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과정(First Author, Doctoral Course, Chung-Ang Univ.)*** 교신저자, 중앙대학교 대학원 아동청소년학과 교수(Corresponding Author, Professor, Chung-Ang Univ., Email: julie@cau.ac.kr)

      • KCI등재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교사효능감, 조직헌신, 소진과 이직의도 간의 구조적 관계

        유현숙,권정해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7 유아교육학논집 Vol.2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 among child care teachers' job stress, teacher efficacy, organizational commitment,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and to the mediating effects of teacher efficacy, organizational commitment, burn-out on the relation between child care teachers'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517 child care teachers working in private child care centers located in D Metropolitan City. The teachers were assessed with measures of job stress, teacher efficacy, organizational commitment,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and AMO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hild care teachers' job stress had negative effects on their teacher efficacy, organizational commitment,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and child care teachers' teacher efficac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had negative effects on their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In addition, a significant relation was found between child care teachers'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Second, child care teachers' teacher efficacy,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burn-out had partial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 between their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child care teachers'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can be decreased by improving their teacher efficac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ccordingly, organizational efforts to promote child care teachers' teacher efficac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re needed, in order to prevent their burn-out and turnover and to improve the quality of child care services.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교사효능감, 조직헌신, 소진, 이직의도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 간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 조직헌신, 소진이 매개하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D광역시의 민간어린이집에 근무 중인 보육교사 517명을 대상으로 직무스트레스, 교사효능감, 조직헌신, 소진, 이직의도 척도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스트레스는 교사효능감에 부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스트레스와 교사효능감은 조직헌신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무스트레스와 교사효능감, 조직헌신은 소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소진에서 이직의도로 가는 경로, 직무스트레스에서 이직의도로 가는 경로도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과 조직헌신, 소진이 부분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이직의도에 직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치지만, 교사효능감과 조직헌신, 소진을 통해서도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결과는 직무스트레스로 인한 보육교사의 이직의도를 완화시키기 위해서는 교사효능감과 조직헌신을 높이고 소진을 감소시키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따라서 직무환경이 열악한 현장에서 보육교사의 이직을 예방하고 보육서비스의 질을 향상하기 위해,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조직헌신 증진을 위한 조직 차원의 노력이 요구된다고 하겠다.

      • 보육교사의 심리적 자본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보육교사의 심리적 자본 및 직무스트레스를 중심으로 -

        김춘영 글로벌경영학회 2017 글로벌경영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2017 No.2

        본 연구는 어린이집 보육교사들의 과도한 업무 확대로 인해 발생하고 있는 직무스트레스의 원인에 문제제기를 하면서 출발 하였다. 보육현장에서 발생하고 있는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직무스 트레스는 영유아 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최소화 하는 것은 보육의 질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 연구 결과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심리적 자본은 조직시민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직무스트레스 에는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또한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조직시민행 동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 연구 가설을 모두 만족 시켰다. 이번 연구를 통해 보육교사의 심리적 자본을 향상시켜 직무스트레스를 낮추고 조직시민행동을 높여 어린이집 보육사 업의 질적 제고에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과도한 조직시민행동 추구는 오히려 직무스트레스를 가중 시킬 수있다는 점도 확인 할 수 있었다. 따라서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심리적 자본을 높여 조직시민행동을 견인하고, 심리적 자본을 통해 직무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결론적으로 심리적 자본을 증진시켜 개인과 조직간의 관계를 좀 더 이해하게 되고, 조직구성원들에 대한 관심을 가져 보육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보육체계와 업무 환경의 개선이 필요하다.

      • KCI등재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 및 교사신념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이형민(Lee Hyung-Min)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09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56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배경 변인들에 따라서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과 교사신념 및 직무스트레스에 차이가 있는지와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과 교사신념 및 직무스트레스 사이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살펴보고 마지막으로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과 교사신념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상대적인 영향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및 경기 지역의 어린이집 교사 9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t, F 검증을 실시하고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하였으며,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과 교사신념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상대적인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보육교사의 배경변인 중 근무기관유형에 따라서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 교사신념, 직무스트레스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 및 교사신념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상대적인 영향을 알아본 결과, 교사신념이 가장 큰 설명력을 보였고 그 다음으로 교사효능감의 순으로 설명력을 나타냈다. 즉, 교사효능감이 높고 아동 중심적인 교사신념이 높은 교사일수록 직무스트레스를 적게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child care teachers' sense of efficacy, belief and job stress. In this study, the subjects were 92 teachers of child care center in Seoul and Kyunggi-Do. Teachers were subjected to teacher-report questionnaires which included on topics of child care teachers' sense of efficacy, belief and job stress. The data were analyzed by the statistical methods of frequencies, Pearson's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with SPSS program.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hild care teachers' sense of efficacy, belief and job stress according to the type of day care centers. Public child care centers' teachers showed higher scores in both sense of efficacy and belief to teachers in private ones. Also, Public child care centers' teachers exhibited less in job stress than private ones. Second, the child care teachers' sense of efficacy as well as belief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job stress. Specifically, the teachers who had higher sense of efficacy and child-centered belief showed significantly less in job stress. In terms of relative influences, child care teachers' belief was the most significant variable to explain teachers' overall job stress. In conclusion, child care teachers' sense of efficacy and belief was associated with job stress. Thus, it should be considered that child care teachers' sense of efficacy and child-centered belief are important factors in order to improve psychological well-being of child care teach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