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어린이집 아동학대에 대한 보육교사의 경험, 인식 및 상담 요구도에 관한 연구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중심으로-

        박진아 ( Jin Ah Park ),이경숙 ( Kyung Sook Lee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5 유아교육연구 Vol.35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의 어린이집 아동학대 관련 경험, 아동학대 증가 및 발생 원인에 대한 인식, 아동학대 예방 및 근절을 위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상담 및 상담 기관에 대한 요구도는 무엇인지를 심층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소재 어린이집 원장 및 보육교사 7명이며, 연구방법은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사용하였다. 첫째, 보육교사의 아동학대 관련경험은 목격 경험이 있으나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았고, 학대 사례 판정과정은 체계적 조사부재·장기간 시간 소요·아동학대 판정기준 모호함·보육현장 고려한 전문가 부재 의미범주로 구분되었으며, 아동학대 신고 전 보육교사와 부모 간 의견 조율 조정기관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아동학대 증가에 대한 인식은 직업정체감 혼란 및 직무만족도 저하, 아동학대 관련 과도한 심리적 부담감 및 좌절감, 아동학대 정의 및 범주의 모호성으로 인한 보육의 어려움의미범주, 셋째, 아동학대 발생 원인은 보육교사 요인, 영유아 요인 및 부모 요인 의미범주, 넷째, 아동학대 관련 상담 요구도는 보육교사, 영유아 및 부모를 위한 상담 및 심리치료, 영유아발달상담전문요원의 보육관련 심리지원, 보육교사 권리보호 지원 의미범주, 다섯째, 아동학대 관련 상담기관 요구도는 보육교사 아동학대 전담 상담 기관 신설 및 형태 의미범주, 마지막으로 아동학대예방 및 근절을 위해 필요한 조치는 보육현장을 고려한 아동학대 예방 교육, 보육교사 간 내부모니터링 체계 구축, 보육교사 자격정지 및 법적조치 의미범주로 구분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어린이집 아동학대 예방을 위한 효과적인 상담 프로그램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is an in-depth examination of child abuse experience at day care centers, perception of increase and cause of child abuse by day care center teachers, and teachers’ need for counseling and a counseling center to prevent and eliminate child abuse. A focus group interview with a director and seven teachers of a day care center located in Seoul revealed the following findings. First, the interviewees had experience of witnessing child abuse and taking no actions. Problems with assessment of child abuse cases included lack of systematic investigation, a long period of evaluation, unclear standards for assessment of child abuse, and absence of expertsspecialized in child care. It was also found that a mediating organization was required to arbitrate between parents and teachers before child abuse cases were reported. Second, perception of increase in child abuse cases among teachers included confusion of job identity, decline of jab satisfaction, excessive psychological burden and frustration regarding child abuse, and difficulty in child care due to unclear definition and classification of child abuse. Third, cause of child abuse included teacher factors, child factors, and parent factors. Fourth, need for counseling regarding child abuse included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for teachers, children, and parents, psychological support for child care by child development and psychology experts, and protection of rights of teachers. Fifth, need for a counseling center about child abuse included establishment of a counseling center specialized in child abuse by day care center teachers. Finally, measures to prevent and eliminate child abuse included training for prevention of child abuse in consideration of the current situation of child care services, installation of the internal monitoring system among day care center teachers, and suspension of and legal regulation against teachers involved in child abuse. Implications and follow-up studies were also suggested.

      • KCI등재

        어린이집 아동학대에 대한 보육교사의 경험, 인식 및 상담 요구도 실태조사

        이경숙,박진아,최명희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015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Vol.21 No.2

        This study was intended to examine child abuse experience, response to child abuse, perception of the cause of child abuse, and need for counseling to prevent and eliminate child abuse among 514 day care center teachers across the country. First, 17.9% (92) of the teachers had experience of witnessing child abuse at day care centers. After such witness, the teachers mostly “paid attention to abused children and provided them with warm treatment” when they were abused by other teachers and “took no actions” when they were abused by directors of the day care centers. The biggest reason of not taking any actions was: they “had no authority to intervene in child care of other teachers” in case of child abuse by other teachers and “were afraid of responsibilities or roles that could be placed on them after reporting” in case of child abuse by day care center directors. Second, the biggest reason of child abuse by teachers was job stress followed by excessive work and mental health of teachers. Third, necessary actions when child abuse cases were found and confirmed were suspension of involved teachers and psychological evaluation for involved children and parents. Fourth, 88.9% (457) of the teachers responded that they would use an organization specialized in child abuse if such organization was built and that the organization would help them to decide on whether to report child abuse and prevention of and intervention in child abuse. They also said that such organization should be installed in the Counseling Center in the Comprehensive Child Care Support Center. Fifth, 95.3% (490) of the teachers answered professional counselors specialized in development and counseling of infants and toddlers were needed to address child abuse at day care centers. They demanded that such counselors should be able to administer psychological evaluation for young children and assess child abuse cases. Qualification of the counselors was at least college graduates who majored in psychology and child care, three to five years of experience in the field, and appropriate certificates or licenses. Finally, the teachers said that training and professional counseling about child abuse were required to prevent and eliminate child abuse at day care centers. Implications and follow-up studies were provided and suggested based on these findings. 본 연구는 전국 보육교사 514명을 대상으로 아동학대 관련 경험, 아동학대 목격 시 대처방안, 아동학대 발생 원인에 대한 인식 및 아동학대 예방 및 근절을 위해 필요한 상담 관련 요구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보육교사 중 92명(17.9%)이 어린이집 아동학대를 목격한 경험이 있었으며, 목격 후 대처방안으로 동료교사 학대의 경우, ‘학대 받은 영유아에게 관심을 갖고 따뜻하게 대해주었다’, 원장의 경우,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은 이유로 동료교사 학대의 경우, ‘보육은 담당교사의 권한이므로 간섭할 수 없어서’, 원장 학대의 경우 ‘신고 후 부과될 책임이나 역할이 부담스러워서’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 아동학대 발생 원인은 직무스트레스, 과다한 업무, 보육교사 정신건강 문제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넷째, 보육교사 아동학대 사례 판정 시, 필요한 후속조치로 보육교사의 경우 ‘교사 자격정지’, 영유아 및 부모의 경우 ‘영유아 대상 심리평가 실시’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보육교사 아동학대 전문 상담 기관이 신설된다면, 보육교사 중 457명(88.9%)이 사용할 의사가 있으며 본인의 아동학대 신고의사 결정 및 아동학대 예방과 개입에 도움이 될 것이고, 설치 장소로는 ‘육아종합지원센터 내 상담실’을 요구하였다. 여섯째, 보육교사 중 490명(95.3%)이 보육교사 아동학대 전문상담요원(영유아발달상담전문요원)이 필요하며, 담당 역할은 ‘영유아 대상 전문적 심리평가 및 사례판정’, 자격요건으로는 대졸이상, 심리학 및 아동학 전공, 3년-5년 경력, 자격증 보유를 요구하였다. 마지막으로, 보육교사 아동학대 예방 및 근절을 위해 필요한 조치로는 ‘아동학대 관련 교육 및 전문적 상담 실시’을 요구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시사점 및 추후연구를 제안하였다.

      • 가정어린이집 CCTV 설치 의무화에 따른 보육교사의 인식

        황은심 한국영유아보육교육학회 2018 영유아보육교육연구 Vol.1 No.2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지역과 경기도지역에 소재한 가정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 319 명이다. CCTV 설치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을 알아본 결과, CCTV 설치 의무화 이후 CCTV가 100% 설치되어 있었으며, 문제행동 수정용을 위해 영아에게 CCTV 설치가 필요하다고 인식 하였고 CCTV를 활용에 관한 보육교사의 인식을 알아본 결과, 안전사고 예방과 문제발생시 확인하는 ‘안심보육’의 용도가 가장 높았으며 전반적으로 아동학대 예방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CCTV의 교육적 활용은 ‘영아의 자유놀이 관찰 및 분석’이 가장 높았으며 CCTV 설치로 인해 가장 혜택 받는다고 생각하는 집단은 ‘부모와 영아’로 나타났다. CCTV의 설치로 ‘보육시설과 교사에 대한 부모의 인식’이 긍정적으로 바뀌었으며 반면 ‘교사와 아동의 사생활 침해’라는 부정적 인식이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CCTV 설치 후에 느끼는 변화 차이를 살펴본 결과, CCTV를 설치한 후 교사들은 변화를 인식 하지 못하고 있었으며 CCTV 설치 필요성에 관계없이 전반적인 반응은 영아를 대하거나 말할 때, 행동할 때 제약을 받는 다고 인식하였다.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319 childcare teachers, currently working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s. A preliminary study was conducted with 20 teachers, and the main investigation was carried out with 319 teachers. PASW(Predictive Analytics Software) Statistics 18.0 Program was utilized for statistical analysis. In order to examine teachers’ perception of CCTV installation, frequency and descriptive statistics were executed. Also, to investigate CCTV operating condition and teachers’ perception, Chi-squre test was conducted. Last, to compare the conditions before and after installing CCTV, Chi-square statistics and independent sample t-test were carried out. The results of the current studies are: First, after the law on CCTV installation was passed, every childcare centers installed CCTVs, and the teachers perceived that CCTV installation was necessary in order to monitor and guide children’s problem behaviors. Second, childcare teachers perceived CCTV as a measure to secure child care by preventing accidents, and identifying problems in case of accidents. This indicates that teachers generally perceive CCTV installation has positive effect on preventing child abuse. When CCTVs were used for educational purpose, teachers observed and analyzed young children’s free-play behaviors through CCTVs. Also, teachers thought that parents and infants would get benefits the most. While parents’ perception of childcare centers and teachers changed to positive, teachers perceived that CCTV installation violated children’s and their privacies. Finally, after installing CCTVs, childcare teachers did not perceive differences, and regardless of the need to install CCTV, they thought that their actions would be restricted. After the law was passed, 99.96% of home-based day care centers installed CCTVs. As the most of the day care centers have utilized CCTVs, it is necessary to discuss the measures to relieve teachers’ burden, and use CCTV in appropriate ways.

      • KCI등재

        보육교사의 스트레스와 영유아 돌봄에서 연기에 대한 인터뷰

        김종두,김은종 한국연기예술학회 2019 연기예술연구 Vol.16 No.3

        이 연구는 보육교사와 학부모에 대한 인터뷰와 매스컴의 자료들을 통해 보육교사의 스트레스와 연기 의 의미를 도출한 것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리고자 한다. 첫째, 보육교사들의 스트레스 해소를 위한 어린이집의 대처방안이 필요하다. 보육의 상황에서 문제발생을 사전에 예방하는 차원에서 보육교사들의 스트레스 해소를 위한 문화생활 지원 즉, 영화관람권, 콘서트 입장권 등의 제공으로 대처할 필요가 있다. 둘째, 학부모들이 보육교사를 대하는 부모교육이 필요하다. 보육교사들의 가장 많은 스트레스는 학부모 와의 관계형성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어린이집에서는 학부모들을 대상으로 하는 공개특강과 같이 어린 이집 운영과 학부모간의 신뢰형성을 위한 프로그램을 만들어서 운영하는 것도 학부모로 인한 스트레스 를 줄이는 좋은 방법이라고 사료된다. 셋째, 어린이집에서 보육교사들은 원장과의 갈등으로 인해 스트레 스를 받으며, 동료교사들과의 스트레스는 상대적으로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보육교사들의 영유아 돌봄은 사명감과 직업관이 강할수록 연기 활동에 익숙하며, 또 밝은 표정과 친근한 행동이 몸에 배여 있 음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학부모는 기본적으로 어린이집을 신뢰하여야 한다. 매스컴에 나타나는 일부 어린이집들의 행태에 대해 너무 부화뇌동하지 않아야 한다. 여섯째, 학부모도 보육교사를 대할 때 연기 가 필요하다. 학부모 또한 일상생활이 항상 즐거울 수는 없으며, 기분이 좋지 않는 날에도 보육교사를 대 할 때는 밝은 표정을 짓는 연기 활동이 필요하다. 이러한 현실적 상황에서 보육교사들이 받는 업무적 스 트레스와 대안에 대해 알아보고, 영유아들의 돌봄 과정에서 연기의 적용이 어떻게 이루어져야 하는가와 더불어 학부모의 어린이집에 대한 인식을 인터뷰를 통해 알아보는 것은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고 하겠다. Through interviews and media sources, the study draws on the need and meaning of daycare center operations and the performance of daycare teachers, and aims to conclude the following. First, there is a need for daycare centers to cope with stress relief for day care teachers. In order to prevent problems from occurring in the context of childcare, the government needs to deal with them by providing movie tickets for cultural life and concert tickets. Second, it is necessary to teach parents how to deal with child care teachers. The most stress of day care teachers was shown by their relationship with their parents. Therefore, it is considered a good way to relieve stress by operating daycare centers and creating and operating programs to build trust between parents, such as open special lectures for parents. Third, day care teachers at daycare centers are stressed out by conflict with their principals, and stress with their fellow teachers is relatively low. Fourth, it was found that the stronger the sense of mission and professionalism of child care teachers, the more familiar they were with acting, and the brighter their facial expressions and friendly acts were on their bodies. Fifth, parents should basically trust daycare centers. The behavior of some daycare centers appearing in the media should not be too hatching. Sixth, parents also need to act when dealing with child care teachers. Parents can't always be happy, but even on bad days, they need bright-faced acting when dealing with child care teachers.

      • KCI등재후보

        보육교사의 정서노동과 교수몰입의 관계 :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임혜원(Lim, Hye-Woun),장영숙(Jang, Young-Sook)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18 교육논총 Vol.38 No.3

        본 연구에서는 보육교사의 정서노동과 교수몰입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이 지니는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위하여 서울, 경기도, 인천에 소재하고 있는 어린이집의 보육교사 251명을 대상으로 정서노동, 자아탄력성, 교수몰입을 측정하기 위한 질문지를 배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4.0 통계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관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분석되었고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Sobel Test가 시행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정서노동과 자아탄력성 및 교수몰입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본 결과, 보육교사의 정서노동과 자아탄력성, 정서노동과 교수몰입은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자아탄력성과 교수몰입은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보육교사 정서노동이 교수몰입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본 결과, 보육교사의 정서노동 중 유아에 의한 정서노동은 교수몰입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이었다. 또한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이 교수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 중 흥미와 관심의 다양성, 감정조절이 교수몰입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육교사의 정서노동과 교수몰입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알아 본 결과 매개변인인 자아탄력성은 독립변인인 정서노동과 종속변인인 교수몰입의 관계에서 완전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보육교사의 교수몰입을 높이기 위해서는 보육교사의 정서노동을 감소시키고 자아탄력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데 시사점을 제공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mediating effect of ego-resilience on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teaching flow of day care center teachers. The subjects were 251 teachers working at day care centers located in Seoul, Gyeonggi-do and Inchoen. The data were collected by a questionnaire and analyzed by Pearson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using Statistics Program SPSS 24.0 for IBM.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and mediating effects were verified by a Sobel test.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three variables, i.e. emotional labor, ego resilience, teaching flow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one another. Second, the emotional labor of day care center teachers had a negative effect on their teaching flow, accounting for 5.0% of the total variance. The ego-resilience of day care center teacher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ir teaching flow, amounting to 32.0% of the total variance. Third, there was a perfect mediating effect of the ego-resili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motional labor and the teaching flow. These results imply that we need to come up with effective ways to decrease the emotional labor and to increase the ego-resilience for the improvement of the day care center teachers teaching flow.

      • KCI등재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의 보육교사 직무수행능력에 대한 운영주체에 따른 보육교사의중요도 인식 비교

        전윤숙 한국보육학회 2017 한국보육학회지 Vol.17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wareness of daycare teachers by the nursery school operation performance of th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NCS). For this purpose, 35 public and private daycare center, home daycare centers and corporation daycare center teachers were randomly sampled in Busan Metropolitan City. We conducted a questionnaire consisting of 230 sub - elements based on 45 sub - competency unit elements extracted from 12 areas of job ability of the national competence standards. Final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117 questionnaires of 28 national daycare teachers, 30 private daycare teachers, 30 home daycare teachers, and 29 corporation daycare teachers. As a resul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awareness of importance among the four groups in all 12 performance capability units. For the 12 job performance units, the importance was recognized in the order of corporate daycare center, national daycare center, home daycare center, and private daycare center. Among them, "Establishment of Child Care Center Management Policy", "Construction of Child Care Service", "Child Care Activity Management", "Infant and Child Playing Guide", "Body and Art Activity Guidance", "Language, Nutritional guidance"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corporate daycare teachers and national daycare teachers, and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national daycare teachers and home daycare teachers. However,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corporate daycare teachers and home daycare teachers.. There is also a difference in the awareness of importance between home daycare teachers and private daycare teachers. In the remaining five job competence units, "Child Care Assessment", "Support for Infant and Toddler Development", "Cooperation with the Home and Community", "Child Care Management", and "Child Care Research", corporation daycare centers, national daycare center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wareness of importance, bu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e private daycare teachers. Also this tendency was consistently observed in 45 sub-capacity unit elements. 본 연구는 국가직무능력표준(NCS: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에서 제시하고 있는 직무수행능력에 대한 어린이집 운영추체별 보육교사의 중요도 인식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 소재 국공립어린이집, 민간어린이집, 가정어린이집, 법인어린이집 교사 각 35명을 무선표집하였다. 이들을 대상으로 국가직무능력표준의 직무능력단위 12개 영역에 근거하여 추출된 45개의 하위 능력단위요소를 토대로 작성된 하위요소 230개를 문항으로 작성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국공립 어린이집 교사 28명, 민간어린이집 교사 30명, 가정어린이집 교사 30명, 법인어린이집 교사 29명 총 117명의 설문지가 최종 분석대상이 되었다. 설문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12가지 모든 직무수행능력단위에 있어 네 집단 간 중요도 인식에는 차이가 있었다. 12가지 직무수행능력단위에 대하여 법인어린이집, 국공립어린이집, 가정어린이집, 민간어린이집 순서로 중요도를 인식하고 있었다. 그중, 「어린이집 운영방침 수립」, 「어린이집 활경구성」, 「보육활동운영」, 「영유아 놀이지도」, 「신체·예술활동지도」, 「언어, 수·과학활동지도」, 「건강·안전·영양지도」의 일곱 가지 에 있어서는 법인어린이집 교사와 국공립어린이집 교사들의 중요도 인식은 차이가 없었으며, 국공립어린이집 교사와 가정어린이집 교사 간에도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법인어린이집 교사들과 가정어린이집 교사 간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정어린이집교사들과 민간어린이집 교사들 간에도 중요도 인식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머지 다섯 가지 직무능력단위인 「보육평가」, 「영유아발달지원」, 「가정·지역사회와의 협력」, 「보육운영관리」, 「보육연구」에 있어서는 법인어린이집, 국공립어린이집, 가정어린이집 교사들의 중요도 인식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민간어린이집 교사들과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5가지 하위 능력단위요소에 있어서도 이러한 경향은 일관되게 나타났다.

      • KCI등재

        보육교사의 회복탄력성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원장의 감성적 리더십의 매개효과

        좌승화(Jwa, Seung Hwa),오정희(Oh, Jung 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0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회복탄력성과 직무스트레스 및 보육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감성적 리더십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 회복탄력성과 직무스트레스 간의 관계에서 원장의 감성적 리더십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B시와 Y시에 소재한 어린이집에서 근무하고 있는 보육교사 275명을 대상으로 회복탄력성, 직무스트레스, 감성적 리더십 측정 도구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은 2018년 12월부터 2019년 1월까지 2개월 동안 직접 방문, 우편, 전자메일의 방법으로 배포·회수되었다. 수집된 설문지 분석을 위해 상관관계, 위계적 회귀분석,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보육교사의 회복탄력성과 직무스트레스 및 원장의 감성적 리더십 간의 관계를 살펴보면 모든 변인들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회복탄력성과 원장의 감성적 리더십은 직무스트레스를 예측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육교사의 회복탄력성과 직무스트레스 간의 관계에서 원장의 감성적 리더십은 완전매개효과가 있었다. 그러므로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경감시키기 위해서는 원장의 감성적 리더십이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향후 원장의 감성적 리더십 증진을 위한 직무교육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day dare center teachers’ resilience, job stress, and director’s emotional leadership. In addition, it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resilience on job stress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director’s emotional leadership. The subjects were 275 day care center teachers in the city of B and Y. The instruments were Resilience Scale(KRQ-53), Day Care Center Teacher’s Job Stress Scale, and Director’s Emotional Leadership Scale. The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and retrieved by direct visit, postal mail, e-mail from December, 2018 to January, 2019. The data were analysed by Pearson’s productive correlation, linear regression, and mediating effect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day care center teacher’s job stress ha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resilience and director’s emotional leadership. Second, day care center teachers’ resilience and director’s emotional leadership were the predictive variables with a negative impact on job stress. Third, director’s emotional leadership worked as whole mediation about day care center teachers’ resilience affection on job stress. Based on the result, it was suggested that director’s emotional leadership plays an important role in mitigating cay care center teachers’ job stress. In this sense, it indicates that training programs need to be developed.

      • KCI등재

        아동학대에 관한 보육교사의 어려움과 바람

        고영숙(Ko, Young-Suk),이대균(Lee, Dae-Kyun)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8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3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가 현장에서 동료 교사를 통해 들어보거나, 또는 직접 경험한 아동학대 사례 등을 통하여 보육교사들이 겪는 어려움이 무엇인지, 아동학대의 예방 및 근절을 위해 요구하는 바람들은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 심층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충청남도의 보육교사 10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으며, 연구방법은 심층면담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보육교사는 아동학대를 경험하며, 외부로부터 받는 시선과 인식, CCTV를 의식하며 놀이 참여자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어려움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동료교사의 고충에 공감하며, 내면에 일어나는 좌절감등의 경험으로 무너지는 신념의 어려움을 시사하고 있었으며, 보육교사들의 바람으로는 ‘쉼’ 으로 인한 심리적 회복과 보육 현장을 고려한 재교육의 실천, ‘좋은 교사’로 존중 받고, 신뢰 받으며 보육 현장에서 살아가기를 기대하고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어린이집에서 아동학대와 관련한 보육교사들의 어려움을 이해하며, 아동학대를 통하여 저하되는 보육교사들의 직무만족도를 회복할 수 있는 대응책을 마련하고, 아동학대 예방 및 근절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 적용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both the difficulties day care center teachers experience and the teachers’ desires to prevent and eliminate child abuse by listening to their colleagues and looking at direct experiences of the teachers. This study subjects included 10 day care center teachers in Chungnam province and in-depth interview was used for data collection. As a result, the teachers were having difficulties as a participant in activities due to their child abuse experiences, external perception and recognition, and their awareness of CCTV, Also, the results implicated difficulties in maintaining beliefs caused by sympathizing with colleagues’ difficulties and by experiencing sense of frustration from inside that led the teachers to hope for psychological recovery with ‘rest’, re-training programs in consideration of educational space, and life as ‘a good teacher’ respected and trusted in the field of child care. It is a hope that there will be an understanding of the difficulties child care teachers face in relation to child abuse in child care centers, countermeasures prepared to restore child care teachers’ job satisfaction which is degraded through child abuse, and programs developed for child abuse prevention and elimin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 KCI등재

        보육교사의 우울과 교사효능감과의 관계: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및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최형성 ( Hyung Sung Choe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6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3 No.2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우울이 교사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의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와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국 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보육교사 322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보육교사의 우울은 교사효능감에 부적인영향을, 사회적 지지는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우울이 교사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 사회적 지지가 조절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로분석결과 보육교사의 우울은 사회적지지에 부적인 영향을, 사회적 지지는 교사효능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우울이 교사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 사회적 지지의 완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이와 같은 본 연구의 결과는 보육교사의 우울과 사회적 지지가 교사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및 매개효과에 대한 이해를 돕고 더 나아가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 신장 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teacher efficacy of day care center teachers, focusing on moderating and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The participants were 322 teachers who work at day care centers in Korea. The results of hierarchical regression were that depression was negatively related to teacher efficacy and social support was positively related to teacher efficacy. Social support had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 between depression and teacher efficacy. The results of path analysis were that depression was negatively related to social support and social support was positively related to teacher efficacy. Social support had complete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 between depression and teacher efficacy. These results indicate the importance of social support to explai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teacher efficacy. In addition, these results can be used to develop teacher efficacy intervention programs for day care center teachers.

      • 보육교사를 위한 인형치료 집단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염창현(Yeom, Chang-hyun),선우현(Sunwoo, Hyun) 한국통합치료학회 2020 통합치료연구 Vol.11 No.2

        본 연구는 인형치료 집단프로그램이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과 회복탄력성의 효과성에 영향을 줄 수 있는지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대상은 보육교사 16명을 대상으로 ‘2016년 한국인형치료학회춘계학술워크샵’을 통해 소개된 15회기 집단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양적분석 방법은 자아탄력성 척도와 회복탄력성 척도를 사전-사후 측정하여 비교하였고, 사례분석 방법은 단계별로 나타난 자아탄력성과 회복탄력성의 하위요인인 자신감, 자기조절, 대인관계, 낙관적 태도의 변화를 통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사항을 알 수 있었다. 첫째, 인형치료 집단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에 긍정적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형치료 집단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보육교사의 회복탄력성에도 긍정적 효과가 나타났다. 셋째, 인형치료 집단프로그램 실시 후 보육교사의 자신감, 자기조절, 대인관계, 낙관적 태도와 같은 하위요인에서도 긍정적 효과가 나타났다. 이를 종합해 볼 때 인형치료 집단프로그램은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과 회복탄력성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향후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집단프로그램으로서도 유용한 가치를 가질 것으로 생각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the group figure therapy program has an effect on the child care center teacher s ego-resilience and resilience.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6 teachers working in day care centers located in Seo-gu, Incheon, Korea who agreed to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16 teacher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8 in the experiment group and 8 in the control group and 15 group programs that were introduced through the 2016 Spring Academic Workshop by Korean Association of Figure Therapy were used. The structured group program was conducted three times a week for two months for 40 minutes at each session, and then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was verified by quantitative analysis and case study. For the quantitative analysis, the ego-resilience measure and the resilience measure were measured pre and post the group sessions and compared using SPSS 21.0 using nonparametric statistical method Wilcoxon coding ranking verification. The case analysis method was examined through looking at the changes in confidence, self-control,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optimistic attitudes, which are considered the sub-factors of ego-resilience and resilienc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group figure therapy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child care teachers’ ego-resilience after administering the program. Second, group figure therapy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child care teachers’ resilience after administering the program. Third, group figure therapy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sub-factors such as confidence, self-control,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optimistic attitude of the child care center teacher after administering the program. In summary,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group figure therapy program has an effect on the ego-resilience and resilience required to alleviate the job stress of the child care center teachers, and it will be useful as a group program with regards to the psychology of child care center teachers in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