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반공주의와 그 적들

        선우현(Sunwoo, Hyun) 사회와철학연구회 2014 사회와 철학 Vol.0 No.28

        일련의 사회적 정치적 현안들을 통해, 현 보수 정권은 ‘총체적’ 무능과 부도덕성, 오만과 독선, 부정의와 퇴행적 민주주의의 실체적 본성을 여실히 드러내 보여주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실상에도 불구하고, 한국사회 구성원들의 ‘절반’(?)은 그야말로 철옹성처럼 단단히 결집하여 현 집권 세력을 한 결 같이 지지 옹호하고 있다. 이처럼 비합리적인 ‘모순적인’ 사태가 야기된 데에는 다양한 요인이 작용했을 것이다. 그럼에도 논자는 다음의 사실을 ‘주된 원인’의 하나로 주목해 볼 필요가 있음을 제언하고자 한다. 곧 시대착오적 유물로 전락해 가고 있다고 봤던 반공주의라는 ‘사상적 망령’이 현 보수 집권 세력에 의해 다시금 정교하게 변용되어 정치적으로 악용되고 있는, 오늘의 한국 사회의 ‘실체적 진실’이 바로 그것이다. 현 보수 정권은, 과거 독재 체제의 ‘정당화 논리’로 기능했던 반공주의를 변화된 시대 상황에 맞게끔 변용하여, 한층 더 왜곡되고 강화된 ‘전투적 이념 대결 구도’를 구축하여, 현정권에 부정적인 구성원들에 대해서는 소위 ‘적대적 이념 세력’으로 규정하여 배제해 버리면서, 오직 현 정권을 지지하는 구성원들만을 공고히 규합 통합하는 소위 ‘배제적 국민 대통합’ 전략의 기본 원리로서 활용하고 있는 것이다. 그런 한에서, 명색이 ‘민주화된’ 오늘의 한국 사회에서 반공주의는 일종의 변형된 ‘정권 정당화’ 논리로서 새롭게(?) 그 역할과 기능을 수행하고 있는 것이다. Through a series of social political pending issues and problems, the current conservative regime of Korea has been revealing its overall incompetence, immorality, arrogance, self-righteousness, and its true colors of the regressive democracy. But in spite of such a true state, the nearly "half(?)" of the members of Korean society support ardently Park regime as ever in a mass like an impenetrable fortress. Maybe various factors and causes have brought out such an irrational contradictory situation. Nevertheless I would like to suggest a inference as given below as a main cause. That is to say, the "Korean reality" that the present governing power is making a bad use of anticommunism which seemed an anachronistic relics politically by transforming exquisitely it in various different forms, that is what I call the main cause of such the state of affairs. In short, by transforming the anticommunism which has played a role the justification logics for the dictatorship government in the past,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d situation of Korean society, and constructing the militant ideological confrontation which is distorted and fortified, the present ruling clique utilize it politically as a fundamental principle of the exclusive-integrative two nation strategy. And it is contrived as a sort of method of ruling which on the one hand, excludes the Korean members who have the negative and critical attitude to Park regime by dint of defining them as the hostile ideological forces, on the other hand, gathers and consolidates the Korean members who will back up and advocate ardently Park regime. In that sense, in the so called ‘democratized’ Korean society of today, the anticommunism is performing its role and function now as a sort transformed justification logics of the present regime.

      • KCI등재

        연구자의 사적 이익과 연구윤리

        선우현(Sunwoo Hyun) 사회와 철학 연구회 2008 사회와 철학 Vol.0 No.15

        이 글은 연구 작업을 수행해 나가는 과정에서―학문적 진리탐구나 학자적 사명의식 못지않게, 연구 활동의 활발한 추진과 그에 따른 학문적 성과를 산출해 내는데 있어서 주된 동력원으로서 기능하고 있는―연구주체의 사적 이익은 연구윤리를 준수하고 그것에 의해 인도되어 추구되는 경우에만 규범적 차원에서 정당한 추동력으로 인정받을 수 있으며 아울러 사적 이익의 성취 역시 윤리적 보증 아래 정당하고 안전하게 달성될 수 있다는 사실을 통찰함으로써, 공익이나 규범적 정당성에 ‘전적으로’ 의거하여 연구윤리의 준수를 요구하는 기존의 윤리학적 논의방식의 한계를 지적하고, 이어 연구부정행위를 방지하고 연구주체들에 의해 자발적인 연구윤리의 준수가 현실화될 수 있는 실천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면 ‘윤리적 당위성’ 뿐 아니라 ‘현실적 필연성’에도 주목하여 ‘연구윤리학적 접근방식’이 새롭게 재구성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설득력 있게 보여주는 데 일차적 목적을 두고 있다. In this paper, I intend to point out the limits and problems of the existing ethical processes of argument which demands the observance of research ethics from researcher ‘entirely’ relying on public interests or normative justifiability, by inquiring into the fact that the private interests of researcher can be recognized as legitimate dynamic in the normative level and the fulfillment of private interests can be achieved justifiably and safely under guarantee of ethics only in case of observing research ethics and being guided by that. Then in doing so, I also intend to show the fact that if we want to try to grope for the practical way to realize the prevention of research misconduct and the spontaneous observance of research ethics, we have to reconstruct newly ‘research ethical approach’ focusing on not only ‘ethical justifiability’ but also ‘actual necessity’.

      • KCI우수등재
      • KCI등재

        문화산업 논리의 구현체로서 디즈니 만화영화 : 문제점과 극복방안

        선우현(Sunwoo Hyun) 사회와 철학 연구회 2008 사회와 철학 Vol.0 No.16

        디즈니 만화영화는 우리 아이들에게 건전한 오락과 즐거움을 제공하고 상상력과 창의적 사고를 자극하며 건강한 심성을 함양하는데 기여하는 등 전반적으로 유익하고 훌륭한 ‘교육적 매체’라는 인식이 한국사회에 널리 퍼져 있다. 실제로도 유아나 아동을 자녀로 둔 학부모나 일선 교육현장에서 아이들을 돌보고 가르치는 교사들의 경우, 디즈니 만화영화에 대해 ‘교육적으로 바람직하다’는 견해가 압도적인 추세를 이루고 있다. 하지만 표면적으로는 폭력적이거나 선정적인 장면이 거의 없는, 무해하고 유익한 게다가 교훈적이기까지 한 내용을 갖춘 건전한 아동용 오락물로서 비쳐지고 있지만, 그 내면에는 어린 아이들에게 치명적인 악영향을 미칠 수 있는 문화상품적인 속성과 논리가 자리하고 있다. 그에 따라 어른의 시선에서도 쉽사리 포착되지 않는 비가시적(非可視的) ‘상징 폭력’을 지속적으로 우리 아이들에게 행사하고 있는 것이 디즈니 만화영화의 실체라 할 수 있다. 실상이 이렇다면, 디즈니 만화영화는 현대산업사회의 자본의 논리를 체현하고 있는 ‘문화산업(Kulturindustrie)’의 매체 중 하나이자 무반성적이며 비주체적인 개인을 형성해 내는 ‘문화상품’에 다름 아니라는 사실에 대한 비판적 자각과 인식이 절실하게 요구되는 것이 작금의 한국적 현실인 셈이다. 이러한 문제 상황을 염두에 두면서, 이 글은 우리 아이들에게 흔히 유익하고 유용한 이른바 시청각 교육매체로서 간주되고 있는 디즈니 만화영화가 실은 현대 자본주의 체제 하에서 문화산업의 논리를 완벽하게 구현하고 있는 문화상품으로서 그 역할과 기능을 충실하게 수행하고 있다는 사실을 비판적으로 규명해 보는데 일차적 목적을 갖고 있다. 이를 위해 이 글은 먼저 오늘날의 문화산업의 논리와 본성, 그 부정적 기능과 역할을 비판적으로 소개하고 이러한 논의에 의거하여 우리 아이들에게 직간접적으로 미치는 디즈니 만화영화의 본질적 한계와 문제점을 비판적으로 지적해 보려 한다. 이어 디즈니 만화영화의 문화산업적 속성에 따른 부정적 영향과 폐해로 인해 우리 아이들의 정체성과 가치관, 세계관이 왜곡된 방식으로 형성 · 정립되는 위험한 사태를 방지하기 위한 이론적?실천적 방안의 모색과 관련하여, 몇 가지 대안적 견해를 제시하고자 한다. Disney animated cartoons seem to be harmless and instructive, what is more very educative for our children as a sound entertainment. But in them, there are a good many fatal properties and ideological elements which can have injurious and evil effects on the majority of children. For that reason, Disney animations continuously exercise invisible symbolic violences on most children. In light of these actual circumstances, Disney animated cartoons must be the major medium of culture industry that embodies the logic of capital in the industrial society, and the cultural commodity which cultivates the man of nonreflective and non-subjective character. Therefore it is required acutely to recognize critically and realize reflectively the substance of Disney animations in Korean society. Taking theses matters into consideration, this paper is intented to examine closely and critically the fact that Disney animated cartoons carry on the role and the function completely as the cultural commodity which embodies perfectly the logic of culture industry under the modern capitalistic regime.

      • KCI등재

        근대 시민사회의 새로운 사회질서 구현의 정당화 논리로서 ‘Cogito ergo sum’

        선우현(Sunwoo hyun) 사회와 철학 연구회 2009 사회와 철학 Vol.0 No.17

        이 글은 데카르트 철학―특히 그의 철학적 문제의식과 그에 따른 새로운 철학체계의 정립 의도 및 방법론적 전략―에 관한 지금까지의 관행적인 해석상의 문제와 한계를 비판적으로 성찰해 봄으로써 ‘텍스트 중심주의’에 지나치게 한정하여 이루어진 ‘전통적인 데카르트 상(像)’에 반(反)하여, 데카르트 철학과 그 근본토대로서 ‘Cogito ergo sum’을 17세기 당시의 시 · 공간적 맥락과 현실적 상황에 연관지어 ‘사회철학의 관점’에서 새롭게 비판적으로 해명해 보고자 한다. 이러한 작업을 통해, 이 글은 무엇보다 철학의 제1원리로서 기능하는 ‘Cogito ergo sum’과 그것에 기초한 데카르트의 철학적 기획은, ‘종교적 세계관’에 근거하고 있던 17세기 당시 유럽의 ‘낡은 신분제적 질서’를 타파하고 ‘인간 중심의 근대 시민사회’를 건립해 나가는 데 있어서, 한편으로는 그러한 근대사회의 새로운 사회질서 구현의 ‘이념적 정당화 논리’로서 개진된 것이라는 점을, 다른 한편으로는 그처럼 탈종교적이며 탈신분제적인 근대적 시민사회 질서를 구현해 나갈 선도적 주체로서 당시 부상하고 있던 ‘시민계급’의 시대적 역할과 이해관계를 대변하고 옹호하는 ‘계급적 정당화 논리’로서 제기되고 있다는 점을 사회철학의 관점에서 규명해 보고자 한다. In this paper, I make an attempt to clarify anew the practicalphilosophical implications inherent in Descartes' philosophical first principle, namely ‘Cogito ergo sum’ and his philosophical project that is based on that first principle of philosophy. That is to say, I attempt eagerly to reveal from the social philosophical point of view the fact that such a fundamental principle and philosophical project have been presented, on the on hand as ‘the ideological justification logic’ of the realization of the new social order in the modern civil society, and on the other hand as ‘the class justification logic’ to speak for and defend the role of the times of bourgeoisie(class of citizens) and their interest of class, in doing away of the ‘theocentric’ society of status system in the 17th century and realizing the new ‘man-centered’ civil society.

      • KCI등재

        하버마스의 비판적 사회이론과 황장엽의 인간중심철학 : 일원론적 역사유물론의 극복 시도로서의 두 ‘다원론적 실천철학 체계’에 대한 비교 검토

        선우현(Sunwoo Hyun) 사회와 철학 연구회 2010 사회와 철학 Vol.0 No.19

        이 글은 황장엽의 인간중심철학을 ‘우회적인 방식’으로 소개해 보려는 의도에서 기획된 것이다. 여기서 우회적인 방식이란, 인간중심철학의 내용을 직접 소개하기 보다는, 오늘날 서구 사회철학계 뿐만 아니라 한국의 실천철학계에서도 가장 영향력 있는 사회철학 체계로 ‘잠정’ 평가 받고 있는 하버마스의 비판적 사회이론과 상호 비교 고찰하는 방법을 통해 ‘비판적으로’ 소개해 보고자 하는 철학적 방식을 가리킨다. 이처럼 이 글이 황장엽의 인간중심철학을, 현재도 여전히 실천철학적 의미가 있다고 보이는 ‘마르크스(주의) 실천철학의 한계 극복 및 대안 제시’라는 사회철학적 주제에 초점을 맞추어, 비판적 사회이론과의 비교 검토 작업을 통해 성찰해보고자 하는 주된 이유는 다음과 같다: 곧 마르크스(주의) 철학의 한계에 대한 치열한 비판적 문제의식에 입각하여 새롭게 정립된 인간중심철학이 거둔 철학적 성과와 기여, 의의와 의미 등이 비판적 사회이론에 견주어 그리 작다고만은 할 수 없다는 점을 드러내 보여주고, 그에 대한 한국 사회철학계의 관심을 불러 일으켜 봄으로써 여전히 학문적 무관심과 경시, 저평가의 대상에 머물러 있는 인간중심철학의 현 상황이 조금이라도 개선되도록 하는데 일조하기 위해서이다. 동시에 하버마스의 비판적 사회이론과의 비교 속에서, 인간중심철학의 학문적 · 철학적 수준을 실제로 가늠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보려는 데에도, 이 글의 집필 의도가 또한 자리하고 있다. 이 글에서 특히 인간중심철학과의 비교대상으로 하버마스의 비판적 사회이론을 설정한 이유로는, 인간중심철학과 비판적 사회이론은 둘 다 실천철학사에서 가장 큰 영향을 미쳤던 마르크스(주의) 역사유물론의 시대적 한계와 이론적 · 실천적 난점을 비판적으로 인식하고 그것을 넘어서고자 기획 · 정립된 대표적인 실천철학 유형이라는 점을 꼽을 수 있다. 게다가 두 사회철학 체계는, 노동(생산)이라는 협소한 ‘일원론적(一元論的) 패러다임’에 전적으로 의존하여 인류의 역사 및 사회의 발전적 전개과정을 분석 · 해명하고 새로운 사회상을 제시하는 도정에서 마르크스(주의) 실천철학이 드러낸 결정적인 한계와 난점들을 통찰하고 그에 대한 대안적(代案的) 방안으로서, ‘다원론적 패러다임’의 구도, 즉 ‘이원론적(二元論的) 패러다임’ 혹은 ‘삼원론적(三元論的) 패러다임’을 새로운 사회철학 체계의 근본 토대로 각각 설정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상호 ‘이론 구성적 공분모’를 형성하고 있다는 사실 또한 적극 고려되었다. In this paper, I intend to introduce Hwang's Inganjoongshim(Human-centered) Philosophy critically in the indirect method. At this place, the indirect method designates the philosophical way which goes in for the critical introduction of Hwang's practical philosophy by carrying out the comparative study between Inganjoongshim Philosophy and Critical Theory of Society that is estimated temporarily today as the most influential social philosophy in the community of Korean practical philosophy as well as in the world of Western social philosophy, rather than introducing directly the contents of Inganjoongshim Philosophy. This paper thus is intended to accomplish the mutual comparisonexamination work between Hwang's social philosophy and Habermas's practical philosophy, focused on the social philosophical subject of 'the overcome of limits of Marxist practical philosophy and the presentation of alternative to that philosophy', which is still regarded as significant today. The main reason to carry out such a social philosophical work is as follows: In the first place, I reveal that the philosophical outcomes, contributions and consequences of Inganjoongshim Philosophy which is critically constructed newly on the basis of the intensive critical consciousness on the limits and problems of Marxist practical philosophy, are not so slight as compared with those of Habermas's Critical Theory of Society. Secondly, I am helpful toward improving the current unfavorable circumstances in which Inganjoongshim Philosophy is placed owing to the academic indifference to itself, by arousing the philosophical interests in Hwang's practical philosophy in the community of Korean social philosophy. Thirdly, I provide the opportunity to judge really the academic and philosophical level and degree of Inganjoongshim Philosophy, in the comparison with Habermas's Critical Theory of Society.

      • KCI등재

        탈권위주의(화)로서의 민주화와 탈권위주의적 권위

        선우현(Sunwoo Hyun) 대한철학회 2005 哲學硏究 Vol.94 No.-

        한국사회에서 반민주적 군사독재 정권 시절을 통해 공고히 그 틀을 다졌던 권위주의 체제는 탈권위주의 사회를 지향하는 오늘의 시점에서도 여전히 '권위주의적 사유 양식과 행동 방식의 일상화'를 통해 그 건재를 과시하고 있다. 비록 그간의 각고의 노력을 통해 민주적 사회 구조가 그 틀을 잡아가고 있기는 하지만, 정치적 영역을 비롯하여 일선 교육 현장과 가정에 이르기까지 반민주적인 권위주의적 색채가 짙게 물들지 않은 곳은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 같은 현실을 고려하면서, 이 글은 과거 군부 권위주의 체제를 청산하고 민주적인 사회 체제를 건설해 나가고 있는 한국사회 내부에, 한편으론 사라진 줄 알았던 관료적 권위주의가 다소간 변형된 형태로 여전히 잔존해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 전통과 인습에 기초한 '전근대적 형태'의 권위에 대한 맹목적 복종과 그에 따른 권위주의적 사유·행위 양식이 유력한 삶의 유형으로 우리 사회를 감싸 안고 있는 실태를 비판적으로 고찰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이 글은 두 가지 종류의 권위주의 유형, 즉 '유사(類似) 관료적 권위주의'와 '전근대적·전통적 권위주의'를 개념적 분석틀로 활용하고자 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정치적 차원 혹은 '체계'의 관점에서 주로 이루어진 기존의 권위주의 실상에 대한 비판적 분석의 약점을 뛰어 넘어, 정치적 차원 뿐 아니라 일상적 삶의 수준에서 벌어지고 있는 권위주의 양태, 아울러 '생활세계'에 뿌리를 둔 권위주의적 사회조직 원리가 정치적·경제적 영역에 침투하여 초래시킨 권위주의적 양상을 비판적으로 드러내 보일 수 있다. 그리고 이로부터 탈권위주의(화)가 현 시점에서 실질적인 민주화 내지 민주화 운동으로 규정되어야할 규범적 및 현실적 필요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나아가 탈권위주의가 일체의 권위에 대한 부정을 의미하는 것이 아닌 탈권위주의적 속성의 권위를 요청하고 있다는 점에서, 변화된 민주화 이후의 민주주의 사회에 부합하는 새로운 권위로서의 '민주적·이성적 권위'의 수립 필요성과 그 성격을 개진하고자 한다. In Korean society, the authoritarian regime which has been solidified during the period of antidemocratic military dictatorship, is still thriving at the present point of time making a step forward post-authoritarian society, pervading authoritarian way of thought and mode of action all over the society. Taking this reality of Korean society into consideration, on the one hand, this paper aims at revealing that the bureaucratic authoritarianism which is known to be disappeared in our society is still surviving in a some varied form. And on the other hand, this thesis sets the goal to investigate critically the actual condition that the premodern traditional authoritarianism rooted in the irrational tradition and convention, is dominating our mode of living and thinking through the blind submission to undemocratic oppressive authority. For that purpose, this paper utilizes the two types of authoritarianism, that is to say, 'quasi bureaucratic authoritarianism' and 'premodern traditional authoritarianism' as the conceptual tool of analysis. In that case, we can disclose the negative respects of the transformed authoritarianism in which are resulted at the level of everyday life as well as in the political sphere of society. In addition, can we grasp the destructive aspects of authoritarianism which the principle of social organization rooted in the logic of life-world is causing, permeating into political economical fields of society. As a result of that, this paper tries to present the normative and realistic necessity to have to define post-authoritarianism as substantial democratization or democratizing movements. Furthermore on the ground that post-authoritarianism does not mean the total negation of the authority in general, but calls for post-authoritarian model of authority necessarily, we tries to propose the grounds and necessity to establish the democratic and rational authority as new model of authority coinciding with the democratic society after democratization.

      • KCI등재

        해체의 철학과 건설의 철학

        선우현(Sunwoo Hyun) 대한철학회 2004 哲學硏究 Vol.89 No.-

        이 글은 황장엽의 '인간중심철학'의 현재적 의미와 위상을, '실천적 정치철학의 고전적 유형'으로서의 맑스주의 철학을 어떠한 의도와 방식을 통해 새롭게 비판적으로 재구성하고 있는가에 초점을 맞추어, 살펴보는데 일차적 목표를 두고 있다. 이에 따라 세계관과 사회 역사관 그리고 인생관의 몇 가지 사항에 초점을 맞추어 두 철학체계의 내용적 차이점을 개괄적으로 비교·검토해 본 결과, 인간중심철학이 단순히 맑스주의 철학의 얼개를 그대로 답습·수용하여 이를 부분적으로 수정하거나 보완한 사상체계, 즉 맑스주의 철학의 한 변형적 형태나 아류적 형태가 아님을 확인해 볼 수 있었다. 무엇보다 인간중심철학은 맑스주의 철학에서 제기한 '철학의 근본 문제'의 사유적 단초를 이어 받고 있으나, 그것을 비판적으로 재편하여 그에 대한 새로운 답변을 '철학의 근본 원리'로 제시함으로써, 맑스주의 철학과는 차원을 달리하는 '근본문제의 설정과 철학적 기본 원리의 정립'을 이루어내고 있다. 둘째, 인간중심철학은 '반계급주의적 인본주의'를 전면에 내세우면서 계급투쟁과 계급독재에 터하고 있는 맑스주의 철학과의 근본적인 단절을 꾀하고 있을 뿐 아니라 그 테두리에서 벗어나 고유한 '인간중심의 원리'에 바탕한 새로운 철학체계임을 밝히고 있다. 셋째, 물질에 대한 새로운 개념 규정과 생명론의 제시를 통해, 맑스주의 철학에서 결여되었거나 불충분했던 내용적 부분들을 새롭게 추가 보완함으로써 세계의 본성에 대한 해명을 보다 완결적인 형태로 추진할 수 있게 되었다. 넷째, 물질론과 생명론의 개진, 아울러 맑스주의 인식론인 '반영론'에 대한 근본적 비판을 통해 인간중심철학은, 미완결적 형태로 남아 있는 맑스주의 철학의 '실천론'을 보다 완결적 형태로 마무리짓고 있다. 끝으로, 인간중심철학은 사회분석의 과제를 노동과 인간(의식), 사회적 관계의 삼원론적 범주에 입각해 실행함에 따라, 노동 범주에 일면적으로 경도된 맑스주의 철학의 한계를 넘어서고 있다. 이 같은 내용을 고려해 볼 때, 맑스주의 철학의 긍정적 성과를 비판적으로 계승하여 새롭게 재편하면서 동시에 그 한계와 난점을 해소·극복한 새로운 철학유형을 제시하고 있다고 '잠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을 듯싶다. 요컨대 다양한 한계와 문제점을 노정하고 있는 맑스주의 철학을 오늘의 시대적 상황에 맞게 재구성하고 있을 뿐 아니라 궁극적으로 인류의 영원한 보전과 발전을 위한 운명개척의 새로운 철학을 기획·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인간중심철학은 맑스주의 철학의 비판적 재구성의 산물로서 평가받을 수 있을 것이다. In this paper, I set the goal of examining the current significances and aspects of 'Inganjungshim(Man-centered) Philosophy' of Hwang Jangyop, focusing on in what intention and by which way he makes an attempt to reconstruct critically the Marxist Philosophy as a classical type of practical philosophy. As a result of such examination, I would like to confirm that Inganjungshim Philosophy is not a type of social philosophy that follows and accepts merely the whole system of Marxist Philosophy modifying and compensating partially such philosophy, but the philosophy which reconstructs critically the Marxist Philosophy trying to overcome the limits and problems of such preceding philosophy and applying it reflectively to the situ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First of all, Inganjungshim Philosophy provides the more advanced newly fundamental question and the more complete basic principle of philosophy compared with those of Marxist Philosophy. Second, Inganjungshim Philosophy claims to stand for 'anti-classist humanism', trying out to break off the relation with Marxist Philosophy based on the class struggle and class dictatorship, and proclaims itself as a new type of philosophy depending on principle of man- centeredness. Third, it comes to present the more complete explanation of the nature of world through providing the new conception of matter and the theory of life which are insufficient and destitute of in Marxist Philosophy. Fourth, Hwang’s Philosophy accomplished more successfully the theory of practice, by way of the fundamental critique of the reflection theory as the epistemology of Marxist Philosophy and through the presentation of the newly type of theory of life including the life of collective body as well as that of individual. Finally, Inganjungshim Philosophy tries to overcome the labor-monism in Marxist Philosophy, providing the theory of threefold elements which is composed of three paradigms, labor, consciousness, social cooperation. Considering the contents stated above, we may estimate 'provisionally' that Inganjungshim Philosophy on the one hand presents a new model of social philosophy that can overcome and solve the different theoretical-practical problems and limits of Marxist Philosophy, and on the other hand critically takes over and reconstructs the productive theoretical-practical results of Marxist Philosophy.

      • KCI등재

        비판적 사회철학과 도덕교육

        선우현 ( Hyun Sunwoo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1 초등도덕교육 Vol.0 No.37

        이 글은 프랑크프루트학파의 ``사회비판이론``의 주요 이념과 개념, 핵심 논지와 이론적 지향점 등을 살펴보고, 그 가운데 ``도덕교육``의 질적 제고에 기여할 수 있는 유의미한 지침과 시사점 등이 무엇인지에 관해 비판적으로 검토해 보는데 주력해 보았다. 그러한 비판적 검토를 통해 확인된 몇 가지 지침과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비판 이념의 도덕교육에의 도입 및 적극 활용, 둘째, 의사소통 관계에 기초한 교사/학생 관계의 수립 필요성. 셋째, 대화를 통한 문제해결 원칙의 비판적 수용, 넷째, 도덕적 분노와 그에 기초한 정당한 사회적 투쟁 개념의 수용, 다섯째, 가치중립성과 그에 기초한 실증주의적 사유방식의 허구성 비판 등이다. 이어 이 글은 사회비판이론의 관점에서, 현 한국사회의 도덕교육의 한계와 문제점을 대략적이나마 몇 가지 지적해 보고, 그것의 해결 혹은 보완 방안에 관해 단초적(端初的) 수준에서 짧게나마 그 방향성을 언급해 보고자 했다. 보완 내지 해결되어야 할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비판 이념의 중요성 간과(看過), 둘째, 사회의 부도덕성에 대한 사회비판 교육의 부족, 셋째, 도덕적 분노와 정당한 사회적 투쟁에 관한 부정적 거부감의 잔존, 넷째, 허구적 가치중립성 입장의 고수 등이다. In this paper, I look into the main ideas and concepts, the essential points of an argument and the theoretical orientations of the Critical Theory of Society, and among them I devote myself to investigating critically the meaningful guidelines and implications to contribute to the qualitative improvement of the moral education. A few guidelines and implications confirmed by means of such a critical examination are as follows: Firstly, the introduction of an idea of critique into the moral education and its active application; secondly, the necessity of the establishment of teacher/student relation based on communicative relation; thirdly, the critical acceptance of problem-solving principle through dialogue; fourthly, the embracement of moral anger and a concept of the just social struggle based on it; lastly, the critique on the value-neutrality and the fictiveness of the positivistic way of thinking based on it. Subsequently, I point out approximately the problems and limits of the present Korean moral education from the viewpoint of Critical Theory of Society. Then, I present shortly the direction about the solution or the way of supplement of those problems and limits on the level of clues. Some problems which should be solved or supplemented are as follows: Firstly, the overlook on the importance of an idea of critique; secondly, the deficiency of society-critique education about the immorality of society; thirdly, the survival of negative repulsion over the moral anger and the just social struggle; lastly, the adherence to the position with fictional value-neutrality.

      • KCI우수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