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국내 신생아와 소아 세균성 수막염의 원인균주(2000~2005)

        전윤숙,이수영,목혜린,이정현,김종현,허재균,강진한,Jeon, Yun Suk,Lee, Soo Young,Mok, Hye Rin,Lee, Jung Hyun,Kim, Jong Hyun,Hur, Je Kyun,Kang, Jin Han 대한소아감염학회 2006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Vol.13 No.2

        목 적 : 최근 국내에서 신생아와 소아 세균성 수막염의 발생빈도, 원인균주의 변화, 임상양상, 치료방법, 합병증을 파악하고 예후에 관련된 위험인자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 법 : 2000년 1월부터 2005년 12월까지 6년간 가톨릭대학교 6개 대학병원에 세균성 수막염으로 신생아실 혹은 소아과 병동에 입원한 57명을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 과 : 전체 57명 중 신생아는 22명, 1개월 이상 15세까지 소아는 35명이었고 남녀 성비는 1.7 : 1이었다. 연평균 입원 환아수는 $9.5{\pm}4.28$명이었다. 신생아군에서 GBS가 16례(72.7%)로 가장 많았고, 소아군에서는 폐구균 9례(25.7%), Hib와 수막구균이 각각 8례(22.8%)순이었다. 항생제 감수성결과가 확인된 43례에서 penicillin 혹은 ampicillin에 대한 내성률은 폐구균 87.5%, Hib 85.7%, 수막구균 40%, GBS 33.3%, E.coli가 25%이었다. 2차 병원수준에서 입원 24시간이내에 확인 가능한 제한된 정보를 이용하여 예후 예측가능성을 분석한 결과, 몸무게 3백분위수 이하, 중앙값이상의 증가된 CRP 값, 뇌척수액 검사에서 당 감소는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위험인자이었다(P<0.05). 결 론 : 신생아에서 GBS에 의한 수막염이 과거 국내자료에 비해 크게 증가되었다. 현재 국내에서 Hib와 폐구균 백신을 선별접종으로 시행하고 있지만 아직까지 폐구균과 Hib는 소아 세균성 수막염의 주요한 원인균주임을 확인하였고, 높은 CRP값, 낮은 뇌척수액 당 수치, 3백분위수 이하의 저체중은 위험 예후 인자임을 확인하였다.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epidemiologic change of the causative organisms of neonatal and pediatric bacterial meningitis in Korea. And we tried to evaluate the risk factors correlated with prognosis which was available on the day of admission. Methods : Retrospectively, we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57 patients admitted for bacterial meningitis at six hospitals affiliated with Catholic Medical Center for 6 years(Jan. 2000~Dec. 2005). Results : 22 cases(38.6%) of them were neonates under 28 days and 35 cases were infants and children ; 16 cases(28.1%), under 1 year ; 6 cases(10.5%), under 5 years ; 13 cases (22.8%), under 15 years. In neonates, 16 cases(72.7%) were caused by group B streptococcus (GBS). In infants and children, S. pneumoniae(25.7%), H. influenzae type b(Hib)(22.8%) and N. meningitidis(22.8%) were common cause of bacterial meningitis in order. In the informations available on the day of admission, weight deficit for age under 3 percentile, increased CRP level and decreased glucose level of CSF were related to poor prognosis(P<0.05). Conclusion : GBS became a leading cause of neonatal bacterial meningitis. Though, pneumoccocal, Hib and meningococcal meningitis were confirmed as major causes of bacterial meningitis. The routine immunization of pneumococcal and Hib vaccines will be considered, and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meningococcal vaccines to our country in the future.

      • KCI등재후보

        초임보육교사의 어려움과 지원 요구

        전윤숙 한국보육학회 2011 한국보육학회지 Vol.11 No.4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difficulties of beginning teachers at educare center, who the most supports them and what kind of support they requires on site. The following study questions are selected: 1) What is the most difficulty for beginning teachers at educare center? 2) What kind of support do beginning teachers require? Beginning teachers of edudcare center in Busan are selected as subjects of this study. 40 teachers were selected and interviewed. They are under 2-year teacher's experience after getting educare center. But only 30 beginning teacher's response are analyzed.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y have difficulties about 'teaching basics of life'(24.6%), 'the lack of time for prepare instruction'(22.9%), 'managing schedule'(10.2%), 'the lack of teaching material'(10.2%), 'the lack of knowledge'(8.5%). Second, beginning teachers at educare center request 'the time for development of their professionality'(29.3%), 'reasonable pay for workload'(26.8%), and 'the backup person'(22.0). 본 연구는 보육시설에 근무하는 초임교사들의 어려움과 그들의 지원요구를 파악함으로서 보육현장의 문제를 개선하고 나아가 교사준비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 소재 보육시설기관에 근무를 시작한지 2년 미만의 초임교사 50명을 대상으로 그들이 느끼는 어려움과 요구하는 지원을 일 대 일 면접을 통해 조사하였다. 이중 불성실하게 응답한 15명의 사례를 제외한 최종 35명의 반응을 분석대상으로 확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어려움과 지원요구로 나뉘어 분류되었다. 유사한 내용으로 1차 유목화하였으며 이를 다시 상위 유목화 하였다. 이상을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임보육교사는 유아의 생활지도(24.6.0%)에 있어 가장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으며, 다음으로는 과다한 잡무로 인한 수업준비 시간 부족(22.9%)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다. 둘째 초임보육교사 요구하는 지원은 자기개발에 투자할 수 있는 시간 확보(29.3%)와 업무량에 준한 정당한 보수(26.8%), 그리고 긴급시 대처할 수 있는 기관내 인력확보(22.0%)였다.

      • KCI등재

        유치원 교사의 유아 창의성에 대한 암묵적 지식 확인

        전윤숙 한국유아교육학회 2009 유아교육연구 Vol.29 No.5

        Because teachers are in frequent contact with children and are in charge of teaching creativity to them, this study asks what teachers know implicitly about the concept of children’s creativity. A survey of open questions concerning the characteristics of creative children was sent to 30 teachers. Based on the survey’s results, a questionnaire of 54 questions with a 7 point scale was prepared. The questionnaire was then sent to 200 teachers and 118 responses were selected for an analysis which reveals 5 factors crucial to teachers’ defining characteristics of children’s creativity. They are 1) Curiosity and Openness, 2) Sociability and Friendliness, 3) Deviation from norms, 4) Self-reliance and self-absorption, 5) Diverse. 본 논문은 구체적인 유아 창의성의 개념을 규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아를 일상에서 가장 자주 접하고 동시에 그들의 창의성 교육을 일선에서 담당하고 있는 유치원 교사를 대상으로 그들의 창의성에 대한 암묵적 이론을 확인함으로써 유아 창의성 개념 정의를 시도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유치원 교사 30명을 대상으로 창의적인 유아의 특성을 묻는 개방형 질문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수집된 최종 54개 문항으로 유아 창의성 개념을 묻는 7점 척도의 설문지를 완성하였다. 이 설문지를 총 200명의 유치원 교사에게 송부하였으며 이중 118개가 분석대상이 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요인 분석을 통해 최종 5개의 요인이 추출되었다. 그 결과 요인 1은 호기심 및 개방성, 요인 2는 친사회성, 요인 3은 탈규범성, 요인 4는 주도성 및 자기몰입, 요인 5는 다양성으로 명명하였다. 이를 통해 유치원 교사의 유아 창의성에 대한 암묵적 지식은 기존의 명시적 이론과 매우 유사함이 밝혀졌다.

      • 입체적 도로시스템을 갖춘 메가스트럭쳐에 관한 연구

        전윤숙,안재룡,이정수,송용호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07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07 No.1

        Since the Industrial Revolution, the gravitation of population toward cities caused the congestion of cities. And green space which was more needed in the cities was encroached upon by building and street.Even if a external space for green areas was secured by high storied buildings, it has reached limits of securing space, because of the structure of a city which is divided into three parts like street, building and external space. Therefore, I will try to find out the answer throughout a conversion of the structure that is divided into only two parts like the green space and the architecture that building astreet and linked top to bottom.

      • KCI등재후보

        수업의 질에 따른 언어적 Scaffolding 활용의 차이 분석

        전윤숙 미래유아교육학회 2004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11 No.2

        본 연구는 유치원 수업장면에서 활용되는 Scaffolding의 유형을 밝혀보고 이를 통해 수업의 질적 향상을 위한 일 방안으로서의 Scaffolding 활용을 제안해 보고자 한다. 이에 수업을 잘하는 교사와 그렇지 못한 교사를 구분하여 이들의 실제 Scaffolding 활용의 차이를 양적 질적 분석하였다. 그 결과 수업을 잘하는 것으로 인정받은 교사들과 그렇지 못한 교사들 간에는 수업시간에 사용하는 언어의 양은 차이가 없었으나 그 내용에 있어서는 큰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수업을 잘 하는 교사들의 경우 일반적인 언어가 아니라 수업과 관련된 Scaffolding을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양적 질적 분석을 통해 확인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an approach to Scaffolding for the qualitative improvement of the instruction of kindergarten by finding out the differences in types of Scaffolding between two groups of teachers : one group of teachers who were recommended for “good-at-teaching” and another group of teachers who wrer not. For this study, twelve teachers were selected by an administrator. Six teachers were recommended as “good-at-teaching” and the other six teachers were selected as “poor-at-teaching”. All teachers were observed and videotaped for their free activity session for 3 days. The freqency of Scaffolding utterance of teachers were counted with the checklist based on six types of Scaffolding suggested by Tharp & Gallimore(1988).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There was no meaningful difference in frequency of utterance between the two groups. However, 91.84% of utterance of “good-at-teaching” teachers were related with Scaffolding while only 47.42% were for the other group. To clarify this significant difference, detailed analysis was done. The “good-at-teaching” teachers were placing much importance on free activity session. They sufficiently prepared, deeply interacted, and paid much attention in scheduling so that the free choice activity would not be interrupted by the arrival and greetings of other children. For the contents of the activity, they planned and prepared various activities focused on children’s self exploration, investigation, and observation. This sufficient preparation encouraged deep interaction possible between the teacher and the children. In contrast, the “poor-at-teaching” teachers used free choice activity time simultaneously with arrival and greeting time and their prepared activity were consisted of one or two activities such as drawing and handcrafting. Interruption by other children’s arrival and inferior preparation made teachers ask simple questions rather than interactive conversation.

      • KCI등재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의 보육교사 직무수행능력에 대한 운영주체에 따른 보육교사의중요도 인식 비교

        전윤숙 한국보육학회 2017 한국보육학회지 Vol.17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wareness of daycare teachers by the nursery school operation performance of th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NCS). For this purpose, 35 public and private daycare center, home daycare centers and corporation daycare center teachers were randomly sampled in Busan Metropolitan City. We conducted a questionnaire consisting of 230 sub - elements based on 45 sub - competency unit elements extracted from 12 areas of job ability of the national competence standards. Final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117 questionnaires of 28 national daycare teachers, 30 private daycare teachers, 30 home daycare teachers, and 29 corporation daycare teachers. As a resul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awareness of importance among the four groups in all 12 performance capability units. For the 12 job performance units, the importance was recognized in the order of corporate daycare center, national daycare center, home daycare center, and private daycare center. Among them, "Establishment of Child Care Center Management Policy", "Construction of Child Care Service", "Child Care Activity Management", "Infant and Child Playing Guide", "Body and Art Activity Guidance", "Language, Nutritional guidance"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corporate daycare teachers and national daycare teachers, and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national daycare teachers and home daycare teachers. However,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corporate daycare teachers and home daycare teachers.. There is also a difference in the awareness of importance between home daycare teachers and private daycare teachers. In the remaining five job competence units, "Child Care Assessment", "Support for Infant and Toddler Development", "Cooperation with the Home and Community", "Child Care Management", and "Child Care Research", corporation daycare centers, national daycare center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wareness of importance, bu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e private daycare teachers. Also this tendency was consistently observed in 45 sub-capacity unit elements. 본 연구는 국가직무능력표준(NCS: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에서 제시하고 있는 직무수행능력에 대한 어린이집 운영추체별 보육교사의 중요도 인식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 소재 국공립어린이집, 민간어린이집, 가정어린이집, 법인어린이집 교사 각 35명을 무선표집하였다. 이들을 대상으로 국가직무능력표준의 직무능력단위 12개 영역에 근거하여 추출된 45개의 하위 능력단위요소를 토대로 작성된 하위요소 230개를 문항으로 작성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국공립 어린이집 교사 28명, 민간어린이집 교사 30명, 가정어린이집 교사 30명, 법인어린이집 교사 29명 총 117명의 설문지가 최종 분석대상이 되었다. 설문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12가지 모든 직무수행능력단위에 있어 네 집단 간 중요도 인식에는 차이가 있었다. 12가지 직무수행능력단위에 대하여 법인어린이집, 국공립어린이집, 가정어린이집, 민간어린이집 순서로 중요도를 인식하고 있었다. 그중, 「어린이집 운영방침 수립」, 「어린이집 활경구성」, 「보육활동운영」, 「영유아 놀이지도」, 「신체·예술활동지도」, 「언어, 수·과학활동지도」, 「건강·안전·영양지도」의 일곱 가지 에 있어서는 법인어린이집 교사와 국공립어린이집 교사들의 중요도 인식은 차이가 없었으며, 국공립어린이집 교사와 가정어린이집 교사 간에도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법인어린이집 교사들과 가정어린이집 교사 간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정어린이집교사들과 민간어린이집 교사들 간에도 중요도 인식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머지 다섯 가지 직무능력단위인 「보육평가」, 「영유아발달지원」, 「가정·지역사회와의 협력」, 「보육운영관리」, 「보육연구」에 있어서는 법인어린이집, 국공립어린이집, 가정어린이집 교사들의 중요도 인식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민간어린이집 교사들과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5가지 하위 능력단위요소에 있어서도 이러한 경향은 일관되게 나타났다.

      • KCI등재

        한국에 선호되고 있는 일본 그림책 현황 분석

        전윤숙 한국일본근대학회 2019 일본근대학연구 Vol.0 No.6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esent situation of picture books in Japan which is preferred in Korea. To that end, we collected a list of books selected by bestsellers and steadysellers from January through December 2018 at three online bookstores in Korea (Kyobo Book Center, Aladdin, and Yes 24). Of these, 75 works written by Japanese author were selected for analysis. The final selection of 75 books in Japan was classified into year of publication, author, genre, and subject. The results are as follow. First, Japanese picture books have been increasing in number since 1991, and the largest number of picture books were translated in 2018. Second, there were 24 writers who wrote 75 books, and 7 of them wrote more than two works. Third, 78.6% of the 75 books that are preferred in Korea were fiction, and they mainly had the form of ‘story with short narrative’. Fourth, 58.6% of them were related to ‘life・independence’ (24%), ‘friends and play’ (18.6%) and ‘family’ (16.0%). As a result, the number of picture books in Japan, which are preferred in Korea, is gradually increasing, and many contents related to the everyday life of Japanese young children are predominant. 본 연구는 한국에서 선호되고 있는 일본 그림책의 현황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최대 매출량을 기록하고 있는 한국의 온라인 서점 세 곳(교보문고, 알라딘, 예스 24)에서 2018년 1월부터 12월까지 베스트셀러와 스테디셀러로 선정된 유아용 도서 중 일본작가에 의해 집필된 작품 75권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최종선정된 75권의 일본 그림책은 출판년도, 작가, 장르, 주제로 분류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본 그림책은 1991년을 시작으로 그 출판된 그림책의 수가 점점 증가하고 있으며, 2018년 가장 많은 그림책이 번역 출판되었다. 둘째, 총 75권을 집필한 작가는 총 24명 이었으며, 이 중 7명의 작가가 2편 이상의 작품을 집필하였다. 셋째, 한국에서 선호되고 있는 그림책 75권 중 78.6%가 픽션 이었으며 주로 ‘짧은 서사가 있는 이야기’ 형식을 띄고 있었다. 넷째, 주제별로는 ‘생활・자립’(24%), ‘친구・놀이’(18.6%), ‘가족’(16.0%,)과 관련된 내용이 전체의 58.6%를 차지하였다. 이를 통해 한국에서 선호되고 있는 일본의 그림책은 그 수가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주로 일본 유아의 일상생활과 관련된 내용이 다수를 자치하고 있었다.

      • KCI등재

        한국에 선호되고 있는 일본 그림책 현황 분석

        전윤숙 한국일본근대학회 2019 일본근대학연구 Vol.0 No.63

        본 연구는 한국에서 선호되고 있는 일본 그림책의 현황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최대 매출량을 기록하고 있는 한국의 온라인 서점 세 곳(교보문고, 알라딘, 예스 24)에서 2018년 1월부터 12월까지 베스트셀러와 스테디셀러로 선정된 유아용 도서 중 일본작가에 의해 집필된 작품 75권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최종선정된 75권의 일본 그림책은 출판년도, 작가, 장르, 주제로 분류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본 그림책은 1991년을 시작으로 그 출판된 그림책의 수가 점점 증가하고 있으며, 2018년 가장 많은 그림책이 번역 출판되었다. 둘째, 총 75권을 집필한 작가는 총 24명 이었으며, 이 중 7명의 작가가 2편 이상의 작품을 집필하였다. 셋째, 한국에서 선호되고 있는 그림책 75권 중 78.6%가 픽션 이었으며 주로 ‘짧은 서사가 있는 이야기’ 형식을 띄고 있었다. 넷째, 주제별로는 ‘생활・자립’(24%), ‘친구・놀이’(18.6%), ‘가족’(16.0%,)과 관련된 내용이 전체의 58.6%를 차지하였다. 이를 통해 한국에서 선호되고 있는 일본의 그림책은 그 수가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주로 일본 유아의 일상생활과 관련된 내용이 다수를 자치하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esent situation of picture books in Japan which is preferred in Korea. To that end, we collected a list of books selected by bestsellers and steadysellers from January through December 2018 at three online bookstores in Korea (Kyobo Book Center, Aladdin, and Yes 24). Of these, 75 works written by Japanese author were selected for analysis. The final selection of 75 books in Japan was classified into year of publication, author, genre, and subject. The results are as follow. First, Japanese picture books have been increasing in number since 1991, and the largest number of picture books were translated in 2018. Second, there were 24 writers who wrote 75 books, and 7 of them wrote more than two works. Third, 78.6% of the 75 books that are preferred in Korea were fiction, and they mainly had the form of ‘story with short narrative’. Fourth, 58.6% of them were related to ‘life・independence’ (24%), ‘friends and play’ (18.6%) and ‘family’ (16.0%). As a result, the number of picture books in Japan, which are preferred in Korea, is gradually increasing, and many contents related to the everyday life of Japanese young children are predominant.

      • 좋은 수업에 대한 유아교육전문가 개념도 연구

        전윤숙,이경진 한국유아교육학회 2016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Vol.2016 No.1

        본 연구는 유아교육 전반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유아교육 전문가인 예비교사 양성기관의 대학 교수, 유아교육 행정담당 장학사, 유아교육 현장의 기관장으로서의 원장, 수업실천가로서의 교사가 그들의 관점에서 `유치원에서의 좋은 수업`에 대한 인식구조를 탐색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개념도 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연구하였다. 개념도 연구절차에 따라 초점 질문을 개발하여, 교수, 장학사, 원장, 교사를 대상으로 직접 인터뷰를 통해 초점질문에 대한 최초 아이디어 진술문 476개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아이디어 진술문을 유목화하고 내용을 종합 편집하여 적절성 검토를 통해 최종 진술문 47개를 추출하였다. 최종진술문은 각각 낱장의 47개 카드로 제작되어 교수 10명, 장학사 10명, 원장 10명, 교사 10명에서 유사 분류하도록 하였다. 네 집단이 응답한 유사성에 근거한 다차원 척도법(MDS: multi dimensional scaling)과 군집분석(hierarchical cluster analysis)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유아교육에서의 좋은 수업에 대한 개념도는 교수집단에서만 유의미하게 추출되었다. 유아교육과 교수의 개념도 분석 결과 두 가지 차원이 추출되었다. 1차원(X축)은 유아중심(정방향), 절차중심(부방향)이었으며 2차원(Y축)은 구성주의적 관점(정방향)과 성숙주의적 관점(부방향)으로 나타났다. 이두 축을 중심으로 유아중심, 절차중심의 대군집 2개가 추출되었으며, 유아중심 군집은 다시 구성주의적 유아중심, 성숙주의적 유아중심 관점의 군집으로 분류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