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보육과정 컨설팅을 통한 교사와 유아의 경험의 의미

        강성희(Sung-Hee Kang),제경숙(Kyung-Sook Jae),김현주(Hyun-Joo Kim) K교육연구학회 2024 사회과학리뷰 Vol.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자기반성적 실행과정에 기반하여 4차 표준보육과정 맞춤형 보육과정 컨설팅을 제공하여 컨설팅 과정에서의 교사와 유아의 변화과정에 대해 탐색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교사들의 4차 표준보육과정 실행을 지원하기 위해 A육아종합지원센터에서 실시한 보육과정 컨설팅 사업의 일환이며, 연구대상은 보육과정 컨설팅 사업에 참여한 6명의 국공립 어린이집 교사들이다. 연구절차에 따라서 심층면담, 온라인 면담, 연구참여자의 저널, 놀이사진, 동영상, 보육계획안, 보육일지, 연구자가 만든 놀이과정 PPT, 연구자 노트 등의 자료를 수집하여 질적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교사들은 유아들이 놀이의 의미를 찾아서 유아가 주도적으로 놀이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자신들도 놀이를 즐기게 되었으며, 반성적 사고를 통해 성장하였다. 둘째, 유아는 보육과정 컨설팅을 통해 주도적으로 놀이를 실현하였고, 적극적으로 자신들만의 새로운 놀이를 구축해 나갔으며 놀이를 통해 기쁨과 만족감을 느끼고 성장과 발달에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자기반성적 실행과정을 통한 맞춤형 보육과정 컨설팅은 교사들이 놀이중심 유아중심 교육과정을 실천하도록 지원하여 교사의 교육과정 운영에 있어 변화를 가져왔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plore changes and progress observed in both teachers and children during customized childcare curriculum consulting sessions developed based implementation of self-examination. The research was carried out among 6 teachers of childcare centers. This research was conducted in conjunction with the childcare curriculum consulting project of “A” Childcare Support Center as part of the 4th Standardized Childcare Curriculum implementation. The following were collected: in-depth qualitative interviews, journals kept by research participants, pictures of playtime, video clips, and researcher notes. The collected materials were transcribed and coded with coded responses grouped based on themes as needed. The results were the followings. First, teachers observed with care when children were playing and supported children to find purpose and lead their play time. Second, children became more independent during their playtime and proactively created their own plays. The childcare curriculum consulting supported teachers to implement goals of play-centered and child centered childcare curriculum through implementation of selfexamination.

      • KCI등재

        제4차 표준보육과정에 따른 보육교직원의 놀이실행에 대한 연구

        조경선(Kyung Sun Cho),김경윤(Kyung Yoon Kim),김세라(Se Ra K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1

        Objectives In this study, the operation status of the childcare faculty members as play supporters was identified. Method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51 heads of daycare centers and 211 teacher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do.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frequency analysis, ANOVA and Scheffé tests. Results First, most of the childcare faculty members were playing based on the ‘play-oriented’ and ‘young children-centered’ childcare curriculum emphasized in the fourth standard childcare curriculum. Second, except for the type of institut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lay implementation according to the age, educational background, status, and career of childcare faculty members. Third, the lack of ability to operate the standard childcare process (53.9%) was the highest in the recognition of childcare faculty members, followed by the limit of resource support (25.5%), individuality recognition and respect (11.8%), differences in perception (4.8%), and others (3.9%). Conclusions The result of stable play is very encouraging. In order to realize the purpose of the 4th standard childcare process, it is necessary for young children, teachers, principals, parents, and local communities to work together. 목적 본 연구에서는 놀이지원자로서 어린이집 교사와 원장을 포함한 보육교직원의 놀이실행에 대한 운영실태를 파악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 소재 어린이집원장 51명과 교사 211명, 총 262명을 대상으로 놀이실행에 대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와 빈도분석, ANOVA, Scheffé tests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대다수의 보육교직원들은 제4차 표준보육과정에서 강조하고 있는 ‘놀이중심’과 ‘유아중심’의 보육과정을 토대로 놀이실행을 하고 있었다. 둘째, 기관 유형을 제외하고 보육교직원의 연령과 학력, 지위 그리고 경력에 따라 놀이실행의 유의미한 차이가 존재하였다. 셋째, 보육교직원이 인식하는 어려움은 표준보육과정 운영 능력의 부족(53.9%)이 가장 높았으며, 자원지원의 한계(25.5%), 개별성 인정·존중(11.8%), 인식의 차이(4.8%), 기타(3.9%)의 순으로 나타났다. 결론 놀이실행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는 결과는 매우 고무적이다. 제4차 표준보육과정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영유아, 교사, 원장, 부모, 지역사회가 함께 노력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 KCI등재

        국가수준 영유아보육과정 실행의 관점에 관한 연구: OECD 6개국의 국가수준 영유아보육과정의 비교를 중심으로

        정선아 한국보육지원학회 2014 한국보육지원학회지 Vol.10 No.1

        본 연구는 OECD 국가인 호주, 뉴질랜드, 스웨덴, 노르웨이, 영국, 한국의 국가수준 영유아보육과정의 실행 관점을 ‘충실도’, ‘상호적응’, ‘생성’의 관점에서 비교·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비교의 내용은 각국 영유아보육과정의 명칭, 문서의 목적, 학습 및 발달 목표, 적합성 검토 방법, 자체 영유아보육과정 수립의 자율성, 영유아보육과정 설계 과정, 실행자료 지원의 7가지 영역이다. 분석 결과 우리나라를 제외한 국가의 영유아보육과정의 실행은 ‘상호적응’과 ‘생성’의 관점에 기반으로 하고 있으나, 우리나라 국가수준 영유아보육과정은 ‘상호적응’의 관점에서 실행을 지향하고 있으나현장에서는 ‘충실도’의 관점에서 실행이 일어나도록 하고 있다. 향후 개발될 0-5세 통합 국가수준영유아보육과정은 ‘충실도’의 관점을 벗어나 ‘상호적응’ 혹은 ‘생성’의 관점에서 실행될 수 있도록그 관점을 확대시킬 필요성이 제기된다.

      • KCI등재

        영아교사의 표준보육과정의 실행 수준과 장애 요인과의 관계

        김지영(Ji-Young Kim) 한국콘텐츠학회 2014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4 No.10

        본 연구의 목적은 영아교사의 표준보육과정의 실행 수준과 장애 요인을 분석하고, 두 요인간의 관계성을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전라남도의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204명의 영아교사이며, 연구도구는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연구목적에 적절하게 제작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질문지는 2013년 5월 6일부터 6월 13일 까지 배포?수거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일원변량분석, Pearson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영아교사의 표준보육과정의 실행 정도는 “비교적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영아교사의 근무기관 유형, 학력, 경력에 따라 표준보육과정의 실행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영아교사의 표준보육과정 운영의 장애 요인은 “보통 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영아교사의 근무기관 유형, 학력, 경력에 따라 표준보육과정 운영의 장애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셋째, 영아교사의 표준보육과정 운영의 실행 수준과 장애 요인간에는 부적인 관련성이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practice level and obstacle factors for national childcare curriculum of infant teachers. The subjects were 204 infant teachers who are working in day care centers in Jeonnam. A questionnaire was made by the researcher on the basis of relevant material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May 6 to June 13. The data were analyzed by statistical methods such as frequency, descriptive, ANOVA and Pearson-correlation with the SPSS Windows 18.0 program.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ractice level for national childcare curriculum of infant teachers was relatively high level. There were no significantly different practice level of national childcare curriculum according to teacher’s career, teacher’s academic degree and teacher’s workplace type. Second, obstacle factors for national childcare curriculum of infant teachers was normal level. There were no significantly different obstacle factors of national childcare curriculum according to teacher’s career, teacher’s academic degree and teacher’s workplace type. There were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practice level and obstacle factors for national childcare curriculum of infant teacher’s.

      • KCI등재

        만 2세 다정반의 놀이 중심 보육과정 실천에 대한 실행연구

        이옥희 ( Lee Ok Hui ),박성은 ( Park Sung Eun ),송나리 ( Song Na Ri ) 한국유아교육학회 2021 유아교육연구 Vol.41 No.2

        본 연구는 만 2세 다정반의 놀이 중심 보육과정 실천에 대한 과정과 영아와 교사의 경험을 탐색하고자 다정반 교사와 영아 4명을 대상으로 실행연구를 수행하였다. 2020년 10월부터 12월까지 참여관찰 일지, 영아의 놀이 장면을 녹화한 동영상, 교사의 반성적 저널, 교사와 연구자의 면담, 보육일지 등의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다정반의 놀이 중심 보육과정 실천에 대해 살펴본 결과 ‘문제파악 및 변화의 계획단계: 진짜 놀이에 대한 고민과 실천을 위한 발돋움하기’, ‘실천과 변화: 놀이 들여다보기와 놀이 지원하기’, ‘반성 단계: 상호작용을 통한 놀이의 의미와 배움을 발견하기’, ‘발전 계획: 교사가 주도하는 놀이에서 영아가 주도하는 놀이로 변화하기’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놀이 중심 보육과정을 실천하는 과정에서 영아들은 긍정적 몰입을 통한 즐거운 놀이, 자발적이고 주도적인 놀이, 소통을 통한 협동 놀이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사는 놀이 중심 보육과정을 실천하는 과정에서 놀이 중심 보육과정의 이해 및 교사의 인식 변화, 영아에 대한 이해 증진, 시행착오를 통한 교사 효능감 증진을 경험하였다. 본 연구는 놀이 중심 보육과정이 실제 보육현장에서 어떻게 실천되어 나가며 영아와 교사가 어떤 경험을 하게 되는지를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action research was conducted with the teacher and four two-year-old infants of Class Dajeong in order to explore the process of play-centered childcare of the class and their experiences. From October to December 2020, observation logs, video recording of the infants playing, the teacher's reflective journal, the results of an interview with the teacher, and childcare journal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e results of investigating the play-centered childcare of Class Dajeong are as follows. First, the process included “Problem identification and planning for change: Contemplating on the real play and improving for practice,” “Practice and change: Looking into and supporting play,” “Reflection: Discovering the meaning and learning of play through interaction,” and “Development plan: Transforming from teacher-led play to infant-led play.”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infants experienced joyful play through positive immersion, initiative and proactive play, and cooperative play through communication during the process of practicing play-centered childcare. In addition, the teacher experienced a change in understanding and perception of play-centered childcare, increased understanding of infants, and improved teacher efficacy based on trial and error.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examined how play-centered childcare is practiced on the ground, and what experiences infants and teachers undergo.

      • KCI등재

        보육교사의 표준보육과정 영역별 하위내용에 대한 인식과 실행 간의 차이

        안영혜 ( Young Hye An ),정선영 ( Sun Young Jung ),홍순옥 ( Soon Ohk Hong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2 아동교육 Vol.21 No.2

        본 연구는 표준보육과정 영역별 하위 내용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과 실행 간의 차이 및 보육교사의 배경변인별 차이를 살펴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부산시에 근무하는 보육교사 274명이며, 표준보육과정 영역별 하위내용 인식 및 실행에 대한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PASW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대응표본 t-검증, 일원변량분석, Scheffe 사후검증을 통해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자료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보육교사의 표준보육과정의 영역별 하위내용에 대한 인식과 실행 간의 차이는 기본생활영역에서는 인식과 실행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신체운동, 사회관계, 의사소통, 자연탐구, 예술경험영역에서 통계적인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보육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인식과 실행 간의 차이에서는 전공에 따라서는 사회관계, 자연탐구영역에서 통계적인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고, 경력에 따라서는 자연탐구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담당 반 연령에 따라서는 기본생활, 사회관계, 의사소통, 예술경험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any possible gaps between the awareness of daycare teachers on the different sections of the standard educare curriculum and their performance of those section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74 daycare teachers in the city of Busan. A survey was conducted to gather data with questionnaires that covered gaps between awareness and performance of the sections of the standard educare curriculum.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the PASW 18.0 program, and paired-samples t-test, one-way ANOV A and Scheffe post-hoc analysis were utilized.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for possible gaps between their awareness and performance in the sections of the standard educare curriculum, no gaps were found between their awareness and performance in the section of basic life, bu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gaps in the sections of physical movement, social relations, communication, nature inquiry and art experiences. Second, concerning gaps between their awareness and performance according to their background variable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gaps in the sections of social relations and nature inquiry according to their major, and significant gaps were found in the section of nature inquiry according to their career. And there were significant gaps in the sections of basic life, social relations, communication and art experiences according to the age of their classes.

      • KCI등재

        장애전담교사의 보육스트레스가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학부모 기대와 참여, 보육과정실행, 임파워먼트 다중매개효과 -

        윤일현 한국문화융합학회 2022 문화와 융합 Vol.44 No.1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the effect of childcare stress of teachers with disabilities on teacher efficacy, and to empirically analyze the multi-mediating effects of parental expectations and participation, implementation of childcare courses, and empowerment. The subjects were 349 teachers in charge of disability in areas G and J.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SPSS Process macro. The result is as follows.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care stress and teacher efficacy, parental expectation and participation, implementation of childcare courses, and empowerment had parallel and serial mediating effects. Third, simple mediation, double mediation, and triple mediation were fou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care stress and teacher efficacy. Based on the research, a reinterpretation of childcare stress of teachers in charge of disabilities, development of an empowerment program, and follow-up research were proposed.

      • KCI우수등재

        유아교사의 발달에 적합한 교육신념이 수학교과교육학지식에 미치는 영향

        양선영(Sunyoung Yang),김지현(Jihyun Kim) 한국아동학회 2018 兒童學會誌 Vol.39 No.2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educational beliefs in a developmentally appropriate practice (DAP) on mathematic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MPCK) via curriculum implementation. It also examines whether this pathway differs according to the experience of the teacher education on the early childhood mathematics during their pre-service or in-service period. Methods: For this purpose, 327 early childhood teachers of childcare centers in Seoul and the metropolitan area answered a questionnaire.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Conclusion: The teachers’ educational beliefs in DAP predicted MPCK directly as well as indirectly through curriculum implementation. In addition, when teachers had experienced pre-service or inservice teacher education on the early childhood mathematics, the teachers’ educational beliefs in DAP had a direct influence on the MPCK and an indirect one through the curriculum implementation. However, when teachers had not experienced that type of training, beliefs in DAP were indirectly influenced by curriculum implement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to explore ways to improve teachers’ mathematic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n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eachers’ education progra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