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주거의식변화에 따른 공동주택 커뮤니티시설 설치현황 및 특성 연구

        양소영,문정민,조성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8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3 No.4

        (연구배경 및 목적) 소비문화와 라이프스타일이 변하고 주택시장이 자유화되면서 다양한 편의시설을 갖춘 커뮤니티시설은 다양화, 대형화, 고급화로 공급되고 있으며, 거주지의 가치를 결정짓는 잣대가 되었다. 그러나 마케팅수단으로 커뮤니티시설을 보급하고 사전계획 전무, 현실과 다른 공동시설의 법 규정 등으로 인해 단지 내 커뮤니티시설은 빈 공간으로 남아 공간적 문제를 초래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주거의식에 대한 거주민의 요구를 수반하며, 공동주택의 새로운 주거트렌드를 나타내는 커뮤니티시설의 개념과 변화를 바탕으로 광주광역시 공동주택단지 커뮤니티시설의 설치 현황과 특성을 분석하여 향후 공동주택 커뮤니티시설의 개선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연구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둔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관련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커뮤니티시설의 이론적 개념을 정립하고 주거의식변화에 따른 커뮤니티시설의 변화를 파악하여 키워드를 도출한다. 그 후 커뮤니티시설의 유형을 재분류하고 특성을 도출하여 광주광역시 광산구 지역을 중심으로 2013년 이후 완공된 500세대 이상의 규모를 가진 단지 6곳을 사례로 한정하여 분석한다. (결과) 주거의식변화에 따른 커뮤니티 시설의 유형을 4가지로 분류할 수 있었으며, 첫째, 주민화합교류의 공간은 단지 중앙의 독립적 건물로 배치되거나 커뮤니티센터에 위치하여 시설간의 연계로 사용자의 자연스러운 동선을 유도하고 있었으나 출입구의 시각적 인지가 낮아 메시지 및 개방감을 확보하여 장소에 대한 접근이 요구된다. 둘째, 문화교육의 공간은 지하 내 운동시설과 함께 배치되어 있으며 소규모의 공간을 다목적으로 활용하고 취미와 연계된 프로그램이 제공되어 거주민들의 문화접촉기회를 증대시킨다. 셋째, 자연적 휴양의 공간은 단지 중앙이나 주거동 주변에 배치되어 있으며 녹지, 친수, 휴게가 복합적으로 작용될 때 그린 어메니티를 향상시키고 모임, 대화, 놀이 등의 다양한 행위를 유발한다. 넷째, 즐거움건강증진의 공간에서 실외는 단지 내 분산배치 되고, 실내는 지하 1층에 집중배치 되어 있으나 안전하게 시설을 활용하기 위해 출입구부터 차도와 보행로 분리가 요구되며 공통적으로 의자나 벤치의 휴식공간을 제공해 편의를 도모해야 한다. (결론) 주거의식변화에 따라 다양한 커뮤니티시설이 공급되었지만 사용계획이나 특성을 반영하지 않고 양적으로 제공하는데 급급함을 알 수 있다. 양적확보가 아닌 질적 활용으로 커뮤니티시설이 계획되어야 하며, 정기적으로 공간이 사용될 때 거주민들이 소통하고 공동의 가치와 커뮤니티가 실현될 수 있다. 본 연구는 광주광역시에 초점을 두고 진행함에 따라 지역적 한계를 지니며 향후 거주자들의 인식도, 수요특성 등의 설문조사 추가적으로 진행되어야할 것이다.

      • 미래 환경변화 및 청소년정책 전망 연구 I

        이경상,최항섭,그레이스정,차한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3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 No.-

        이 연구의 목적은 2040년까지의 미래 청소년 환경변화를 전망하고 이를 바탕으로 미래청소년 정책 비전과 과제를 제시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첫째, 올해 2013년에는 미래 청소년 환경 트렌드에 대한 전망을 제시해보고, 둘째, 내년 2014년에는 올해 연구를 바탕으로 미래 청소년정책 비전과 과제를 전망적으로 제시해보고자 한다. 올해 2013년 1차년도 연구에서는 첫째, 문헌 및 통계자료 분석을 통해 사회전체적인 수준에서의 환경을 인구구조, 개인의식, 사회관계, 사회인식, 사회구조, 기술환경 차원으로 나눠 6가지 메가트렌드들을 추출하였고, 둘째, 문헌 및 통계자료 분석을 통해 청소년들이 인접한 미시환경을 가족, 또래, 학교, 매체, 진로환경 측면으로 나눠 20가지 미시환경트렌드들을 추출하였으며, 셋째, 앞에서 추출한 6가지 메가트렌드들과 20가지 미시환경 트렌드들의 출현가능성과 정책적 중요성에 대해 관련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전문가조사를 실시하여, 최종적으로 미래 청소년환경 트렌드에 대한 전망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메가트렌드로는 첫째, 인구구조 차원에서 ‘고령화사회와 가족구조의 다양화’, 둘째, 개인의식 차원에서 ‘고립사회와 개인주의의 강화’, 셋째 사회관계 차원에서 ‘감정사회와 현재주의의 강화’, 넷째, 사회인식 차원에서 ‘저신뢰사회와 갈등 증가’, 다섯째, 사회구조 차원에서 ‘양극화사회와 위험 증가’, 여섯째, 기술환경 차원에서 ‘네트워크사회와 위험 증가’를 제시하였다. 미시환경트렌드로는 가족환경 영역에서 ‘가족내 세대간 갈등의 증가’ 등 7가지, 또래환경 영역에서 ‘다문화 또래환경의 증가와 다문화갈등 증가’등 3가지, 학교환경 영역에서 ‘인성과 사회적 역량의 약화’ 등 3가지, 매체환경 영역에서 ‘청소년 정보통신기술의 이용 증가’ 등 4가지, 진로환경 영역에서 ‘청소년 경제적 역량 강화 필요 증대’ 등 3가지 미시환경트렌드들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ject the environment change of future youths until the year of 2040 and to present the vision and subject for a future youth policy thereby. To achieve this, first, this study projected the environment trend of future youths in 2013, and second, tried to project the vision and subject of a future youth policy for 2014 based on the projection for 2013. In the first year study for 2013, first, this study produced six mega-trends of population structure, personal consciousness, social relationship, social structure, and technic environment at the level of the entire society through the analysis of literature and statistic data. Second, it produced 20 micro-environment trends by dividing the micro-environment of youths into family, peers, school, madia, and course environment through the analysis of literature and statistic data. Third, it finally presented the prospect for the future youth environment trend by surveys on experts about the strategic importance and potential appearance of the six mega-trends and 20 micro-trends.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mega-trends, first, presented the diversification of the structures of old age society and family on the dimension of population structure, second, the strengthening of isolation society and individualism on the dimension of personal consciousness, third, the strengthening of emotion society and present pursuits on the dimension of social relationship, fourth, the increase of low trust society and confliction on the dimension of social recognition, fifth, the increase of bipolar society and risk on the dimension of social structure, and, sixth, the increase of network society and risk on the dimension of technic environment. The micro-trends presented seven trends such as the increase of the conflicts between generations in the family in the area of family environment, three trends such as the increase of diversified culture and peer environment and of the conflicts between multiple cultures in the area of peer environment, three trends such as the weakening of personality and social power in the area of school environment, four trends such as the increase of the use of telecommunication technology by youths in the area of media environment, and three trends such as the increase of the need for the strengthening of youths’ economic power in the area of course environment.

      • KCI등재

        사회트렌드 변화에 의한 로하스 제품 소비자 선호도 특징 분석

        남미경(Mee Kyung Nam)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0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6 No.1

        자신의 건강과 행복만이 아니라 소외계층에 대한 배려, 나아가 후세에 물려줄 환경까지 생각하여 친환경적이고 합리적인 소비 패턴을 지향하는 로하스 트렌드와 같은 현상들은 라이프스타일 변화에 따른 소비성향의 변화와, 감성적 요소가 증가된 일상생활용품의 변화로부터 기인한다. 따라서 기업들은 미래 소비환경을 급격하게 변화시킬 중요한 한 가지 요인으로 로하스 개념이 부가된 제품에 관심을 가지며 상품개발을 서두르고 있다. 본 연구는 2000년대 이후 사회문화트렌드에 의해 변화하는 소비자의 로하스제품 선호도 특성을 분석하여 신흥 글로벌시장(Emerging Global Market)에 대처할 수 있는 국내 로하스제품디자인 개발의 체계적·이론적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의 주된 범위에는 사회트렌드와 소비성향과의 상관관계, 라이프스타일에 의한 소비자 특징 연구, 그리고 미국, 일본, 한국 등 각 지역별 소비자 로하스제품 선호도 특성에 대한 분석이 포함되어진다. 본 연구의 내용과 결과로서 사회트렌드 변화에 의한 로하스 제품 소비자 선호도 특성을 파악하는데 필요한 이론들을 정리·제시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새로운 형태의 로하스제품디자인 개발 및 글로벌 마케팅 기회 창출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정보들을 제공하고 있다. Lohas trend represents eco-friendly and rational consumption attitude to composed by the holistic consideration of the environmental for next generation, and social and economic impacts of products, processes and systems besides personal health and happiness. The new phenomenon related in Lohas trend is caused by the changes in the propensity to consume lifestyle and the increase in the sentimental elements of commodities. Companies begin to have interests in the development of Lohas concept products to cope with the radically changing consumption environment in the future. This article is designed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Lohas product consumer preference by the social trend alteration, and to offer systematic theoretical data could develop Lohas products to handle with emerging global market. Main scopes of this article are formed with relationship between social trend and consumer preference tendency, consumer character by lifestyle, and analyses of Lohas product consumer preference character in each region of USA, Japan and Korea. The content and result of this research will provide information for the development of new Lohas product design and the global marketing opportunities and provide the theoretical backgrounds necessary for the understanding of the Lohas product consumer preference character by new social trend alteration.

      • KCI등재

        이성분트렌드매핑 기법을 이용한 우리나라 인구 변화의 시공간적 역동성 시각화

        김현미 ( Hyun-mi Kim ),이상일 ( Sang-il Lee ) 한국사진지리학회 2021 한국사진지리학회지 Vol.31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인구 변화의 시공간적 역동성을 시각화하는 대안적인 시도를 소개하고, 이를 우리나라 시군구 인구 데이터를 사례로 검토해보는 것이다. 본 연구는 Schroeder(2010)가 제안한 이성분트렌드매핑 기법을 적용하여, 이 새로운 접근법이 1975년부터 2020년까지 우리나라 인구 변화의 시공간적 패턴을 얼마나 효과적으로 시각화할 수 있는지 살펴보았다. 이성분트렌드매핑 기법은 지도 범례 기능을 하는 이성분트렌드매트릭스를 통해 주성분 분석을 이변량 코로플레스 매핑과 결합시킨 기법으로, 다양한 형태의 트렌드를 동시에 효과적으로 하나의 지도로 시각화한다. 연구 결과, 이 대안적 기법이 비선형적인 트렌드의 공간적 패턴을 효과적으로 시각화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 기법이 이변량 색채배열을 논리적이고 적절하게 사용함으로써 시공간적 역동성을 직관적으로 해석하기 쉽도록 한다는 점도 확인하였다. 이에 더해 이 기법이 우리나라 인구 변화의 시공간적 역동성을 탐색하는 데 매우 유용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서울을 둘러싼 수도권과 대도시 중심의 전반적인 인구 변화의 공간적 패턴을 시각화하는 것을 넘어서, 흥미로운 인구 변화의 지역적, 국지적 패턴을 섬세하게 드러내며 기존의 접근법으로는 포착 할 수 없었던 새로운 정보를 시각화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an alternative attempt to visualize the spatio-temporal dynamics of population change and to examine this new approach by using si-gun-gu level population data in Korea. This study applied the Bicomponent Trend Mapping technique proposed by Schroeder (2010) to assess how effectively this new technique can visualize spatio-temporal patterns of population change in Korea from 1975 to 2020. The bicomponent trend mapping technique combines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and bivariate choropleth mapping through a bicomponent trend matrix serving as a map legend to simultaneously and effectively depict various types of trends on a single map.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is alternative technique could effectively demonstrate the spatial patterns of non-linear trends, and that it made it easy to intuitively interpret spatio-temporal dynamics through using logical and suitable bivariate color scheme. In addition, this technique was found to be quite useful for exploring the spatio-temporal dynamics of population change in Korea. Beyond visualizing the spatial patterns of overall trends in the metropolitan area surrounding Seoul, it delicately revealed interesting regional and local patterns of population trend variations and presented new information that could not be well captured by the existing approaches.

      • 미래 환경변화 및 청소년정책 전망 연구Ⅱ

        이경상,박선영,조남억,공병권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4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 No.-

        이 연구의 목적은 2040년까지의 미래 청소년환경 변화를 전망하고 이를 바탕으로 미래 청소년 정책 비전과 과제를 제시해 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첫째, 전년도인 2013년에는 미래 청소년 환경 트렌드에 대한 전망을 제시하였고, 둘째, 올해 2014년에는 미래 청소년환경변화 전망, 국내 청소년정책 현황 분석, 외국 미래 청소년정책 현황 분석을 통해 미래 청소년정책 비전과 과제를 전망적으로 제시해보고자 하였다. 올해 2014년 2차년도 연구에서는 첫째, 26가지 환경트렌드 변수들을 추출한 후 전문가조사를 통해 26가지 환경트렌드 변수들간의 관계에 대한 전망을 분석, 단일시나리오로 제시하였고, 둘째, 문헌자료 분석을 통해 국내 청소년정책의 현황을 복지?건강, 안전보호ㆍ비행범죄, 교육ㆍ진로직업, 활동ㆍ권리참여 정책분야별로 나눠 분석하여 제시하였으며, 셋째, 문헌자료 분석을 통해 외국의 미래 청소년정책의 현황을 유럽연합, 유럽평의회, 뉴질랜드, 일본의 사례를 중심으로 검토,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그리고 이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미래 청소년정책 비전과 과제를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미래사회 청소년정책의 비전은 ‘행복한 청소년, 선진미래 창조’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비전달성을 위한 전략으로는 기회균등 강화, 공동체성 강화, 신뢰 강화, 소통합리성 증대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정책과제로는 청소년 수당제의 도입, 청소년 나눔활동(자원봉사, 기부 등)의 실질적 활성화, 학교 내 생활지도사제도의 시행, 신뢰에 대한 청소년 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및 실시, 좋은 친구관계에 대한 청소년 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및 실시, 세대간 이해 및 소통 증진에 관한 청소년 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및 실시, 소통 합리성 증진에 관한 청소년 교육의 실시의 일곱가지 과제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orecast the environmental changes of the youth up to 2040 and further to suggest the vision and directions of youth policies. In 2013’s first-year study, youth environmental trends for coming years were presented and in this 2014 study, prospects of future youth environmental changes, status of domestic youth policies and other countries’s youth policies will be looked into and based on the analysis of study findings, the visions and prospects of future youth policies will be suggested. In this 2014 second year study, 29 variables on environmental trends were selected; correlations among these 29 variables were analyzed and a single scenario from the analysis was induced. Analyzing the resources related to the nation’s youth policies categorized to youth welfare, health, safety, protection, crimes, education, career development and social activities, each topic was examined in detail. Next, the youth policy cases found in EU, the Council of Europe, New Zealand and Japan were studied and analyzed. Based on the analysis, visions and problems of future youth policy were set forth. In accordance with the study, the vision of future youth policy was set as ‘happy youth, advanced future society.’ Reinforcement of equal opportunities, community value, trust and rational communication were presented as strategies for non-transmission. And seven tasks that include adoption of payment service for youth, development of youth social distribution activity(volunteering, contribution, etc), enforcement of life instructor institution in school, development and enforcement of youth educations programs on trust and friendship, programs to promote inter-generational communication and understanding, and educational programs on rational communizations were set forth.

      • KCI등재

        국내 브랜드 아파트 주방공간 변화 특성 연구 - 2001년부터 2015년 까지 분양된 84㎡~102㎡ 아파트를 중심으로 -

        김가영,김지은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5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Vol.24 No.3

        This study purposes drawing changing tendency of apartment kitchen areas and character of that by figuring out type, form and per period cause of change of brand apartment kitchen areas. I adopted subject of study as the six leading construction companies considering the apartment rankings of brand and subcontract from 2001 to 2015 when brand apartment was activated(Samsung C&T corporation Raemian, Daelim Industrial Co., Ltd E-pyeonhansesang, Daewoo E&C Prugio, GS E&C XI, Posco E&C The sharp, Hyundai E&C Hillstate) and analyzed kitchen plane of 84㎡〜102㎡ housing units which were in great demand from apartment housing market. Also, I drew changing trends of kitchen areas by conducting a model house field survey. Through this study result, I will expect the utility of baseline data which is necessary for space development by figuring out kitchen culture, flows and cause of change. 본 연구는 브랜드아파트 주방공간의 유형 및 형식, 시대별 변화 요인을 파악해 봄으로써 아파트 주방공간의 변화 경향 및 특성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대상은 브랜드 아파트가 활성화된 2001년부터 2015년까지의 아파트 브랜드순위 및 도급순위를 고려한 상위6개 건설사(삼성물산 래미안, 대림산업 e-편한세상, 대우건설 푸르지오, GS건설 XI, 포스코건설 더샵, 현대건설 힐스테이트)로 선정하였으며, 아파트 주택시장에서 수요가 많은 84㎡ ~102㎡ 단위세대의 주방 평면을 분석하였다. 또한 모델하우스 현장조사를 통하여 주방공간의 변화트렌드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새로운 주방문화와 흐름을 파악하고 변화요인을 파악해 공간개발 연구에 필요한 기초자료 활용을 기대해본다.

      • KCI등재

        한국의 온실가스 배출 구조변화와 국제무역 관점에서의 파급효과

        김동구 한국전문경영인학회 2020 專門經營人硏究 Vol.23 No.3

        본 연구는 시계열 트렌드의 구조변화 분석방법을 적용해, 한국의 1990~2018년 기간 에너 지 및 산업공정 분야 온실가스 배출량에 대해 어느 시점에 어떠한 구조변화가 있었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국제무역 관점에서 온실가스 감축의 파급효과도 살펴보았 다. 시계열 분석결과, 한국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2010년을 전후로 증가세에 구조적 변화 가 발생했음을 알 수 있었다. 즉, 2010년을 기점으로 온실가스 배출량 증가세가 1/5 수준 으로 낮아진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변화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다는 점은 한국의 온실가스 배출이 본격적인 감소세로 진입하기 위해서는 여전히 갈 길이 멀다는 점을 확인시켜준다. 이와 같은 현실은 온실가스 배출 비중이 높은 기업에 대한 대내외 감축 압박이 더욱 강해질 것이라는 예상을 하게 한다. 국제무역의 관점에서 살펴보면, 에너지효율이 우수한 국내 산업에 대한 강화된 온실가스 감축 압박은 한국 산업의 국제경쟁력을 저하하고 국내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은 물론이거니와, 글로벌 온실가스 감축에서도 부정적인 파급효과를 줄 수 있다. 정책당국과 경영인들이 한국의 온실가스 배출추이와 국제무역 관점에서의 파급효과를 살펴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참고한다면, 기후변화 대응 노력의 효과를 보다 극대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the structural change of greenhouse gas(GHG) emissions in the energy and industrial process sectors in Korea by using a structural change analysis method of time-series trends. Also, from the perspective of international trade, the ripple effect of GHG reduction was examined. According to the analysis, Korea's GHG emissions showed a structural change in the increase around 2010. In other words, as of 2010, the increase in GHG emissions has decreased to the level of 1/5. Despite this structural change, however, the fact that Korea's GHG emissions remain on the rise confirms that it still has a long way to go before it enters a full-fledged reduction. Such a reality makes us to anticipate that domestic and foregin reduction pressure on companies with a high proportion of GHG emissions will be further strengthened. From the perspective of international trade, however, the increased GHG reduction pressure on Korean industries with high energy efficiency is found not only to undermine th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of Korean industries and negatively affect Korean economy, but also to have a negative ripple effect on global GHG reduction. If policymakers and business managers refer to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it is thought that they can maximize the effectiveness of their efforts to cope with climate change.

      • KCI등재

        신 물류산업 트렌드에 관한 소고

        박종삼(Park, Jongsam) 한국문화산업학회 2021 문화산업연구 Vol.21 No.4

        코로나19로 인하여 위축된 소비와 생산활동이 전 경제활동 분야와 지역적으로 확대되면서 상품과 서비스의 이동이 제한되고 봉쇄되어 세계교역량이 심각하게 감소되어, 글로벌 물류활동이 크게 위축되고 있다. 이는 작년 초부터 시작된 코로나와 미·중 간의 무역갈등, 일본의 한국에 대한 중간재 제한조치 등으로 글로벌 공급망의 정상적인 활동이 어려운 상황 등이 나타나고 있다. 나아가 본고에서는 포스트 코로나19 이후의 불확실성이 높은 물류산업의 새롭게 대두되는 트렌드에 대한 발전과제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모색함으로써 앞으로의 물류산업이 전략적으로 대응하여 경쟁력 우위확보와 가치수익을 지속적 구현하기 방안 등을 살펴보는 것에 의미를 두면서, 우선, 지난 기간 동안 물류활동의 변화하는 단계 등을 살펴보고, 이어, 이러한 변화속에 나타나는 새로운 물류산업의 트렌드 등을 검토하는 것에 중점을 두면서, 앞으로 펼쳐지는 물류산업의 트렌드에 적절하게 효율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몇가지 방안 등을 제시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As consumption and production activities, which have been contracted due to COVID-19, expand to all economic fields and regions, the movement of goods and services is restricted and blocked, severely reducing world trade, and global logistics activities are greatly contracted. This is a situation in which normal activities of the global supply chain are difficult due to the corona that started early last year, the trade conflict between the US and China, and Japan"s measures to restrict intermediate goods to Korea. Furthermore, in this paper, by accurately identifying and seeking development tasks for the emerging trends in the logistics industry with high uncertainty after the post-COVID-19, the future logistics industry will strategically respond to ways to secure a competitive edge and continuously realize value profits. With the meaning of looking at it, first, looking at the changing stages of logistics activities over the past period, and then focusing on examining the new trends in the logistics industry appearing in these changes, I would like to conclude by suggesting several ways to properly and efficiently respond to the trends of the logistics industry in the future.

      • KCI등재

        BCG Matrix에 의한 코스메틱 제품 시장성 진단 및 트렌드 분석

        김장중(Jang Joong Kim),권병웅(Byung Woong Kwon)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2

        본 연구는 코스메틱 산업의 제품별 시장성 진단 및 트렌드 변화를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은BCG Matrix를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데이터 수집은 코스메틱 제품군 상세 카테고리를 기반으로 하였다. 데이터 기반 코스메틱 제품군 시장성 진단결과, 유망한 사업으로 분류되는 카테고리는‘스킨케어’, ‘바디’, ‘클렌징’이다. 데이터 기반 고성장 제품군 월별 온라인시장 트렌드 분석 결과, ‘스킨케어’ 카테고리 內 성장률이 높은 카테고리는 ‘세럼’과 ‘올인원’이다. 특히 ‘세럼’의 경우미세먼지나 COVID-19 등 외부 환경요인으로 인해 자극받는 피부 관리에 대한 소비자 니즈가증가함에 따라, ‘속보습’, ‘잡티’ 등을 케어할 수 있는 세럼이 주목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바디’ 카테고리 內 성장성이 큰 카테고리는 ‘바디로션’ 및 ‘핸드크림’이다. 또한 ‘클렌징’ 카테고리 內 성장성이 큰 카테고리는 ‘클렌징폼’ 및 ‘립앤아이리무버’다. 이 또한 COVID-19로 인해 급상승한피부 세정 및 세안에 대한 소비자 니즈가 높아진 결과로 볼 수 있다. 연구결과는 산업적으로는코스메틱 시장의 성장과 확장을 위한 기초자료로써 의의를 지니며, 코스메틱 제품의 계절별, 월별트렌드 변화를 예측하고 있어서 기업의 시장성 판단 및 비즈니스 전략의 마련에 유의미하다고본다. This study analyzed marketability diagnosis and trend changes for each product in the cosmetics industry. The analysis was done using BCG Matrix, and the data collection was based on the detailed category of the cosmetics family. The diagnosis of the marketability of data-based cosmetic products showed that the categories classified as promising businesses are “skincare,” “body,” and “cleansing.” The analysis of monthly online market trends in high-growth products showed that the categories with high growth rates in the category of “skincare” are “serum” and “all-in-one.” In particular, serum, which helps with “moisturizing” and treating “blemishes,” has attracted attention due to growing consumer needs for skincare, which is stimulated by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fine dust and COVID-19. The subcategories with high growth rates in the category of “body” are “body lotion” and “hand cream.” The subcategories with high growth rates in the category of “cleansing” are “cleansing foam” and “lip and eye remover.” This relates to growing consumer needs of cleansing due to COVID-19. The research results are meaningful as a basis for the growth and expansion of the cosmetics market and are significant in determining the marketability of the enterprise and preparing business strategies, as it predicts seasonal and monthly trends of the cosmetics product.

      • KCI등재

        생활광고에 나타난 남성성 변화에 대한 분석

        김재희(Kim, Jae Hee),김문영(Kim, Mun Young)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8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34 No.-

        2000년대 들어 특징적인 사회 변화 중 가장 두드러진 현상은 남성과 여성의 성(性)정체성과 성 역할에 대한 고정관념이 모호해졌다는 것이다. 21세기에 들어와 도시남성들 사이에 여자와 같은 수준의 패션을 즐기는 메트로섹슈얼, 크로스섹슈얼 현상이나 꽃미남 열풍은 남성 또한 여성적 이미지를 받아들여 자신을 가꾸는 것과 동시에 남성의 역할과 외모에 많은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이러한 남성성은 다양한 방식으로 표현되고 있으며, 시대마다의 문화는 다른 종류의 남성성을 보여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생활 속에서 TV광고가 보여주고 있는 남성이미지의 유형을 분류를 통하여 현대 사회에서 나타나는 남성 이미지의 변화 요인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방법은 2000년대 이후 TV생활광고에 나타난 광고사진 72장 속의 남성이미지를 내용분석을 통하여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00년 초반의 전통적인 남성 이미지는 강하고 보수적이며, 가부장적인 이미지에서 2000년 후반의 남성이미지는 부드럽고 가정적이며 여성을 존중하는 페미니스트적 요소가 많은 이미지로 변모하였다. 둘째, 생활광고 속에 나타난 남성의 이미지 유형은 선행연구를 통해 보여지는 메트로섹슈얼유형과 크로스섹슈얼 유형의 복합적 구조로 외유내강형의 부드러운 이미지의 강인함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남성상에서 많은 변화를 보여주는 현대 남성의 이미지에 대한 연구는 패션산업의 새로운 시장으로 떠오르는 남성 패션산업의 기초정보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most prominent phenomenon of characteristic social changes in the 2000s is that the stereotypes about the sex identity and sex role of male and female have been blurred. In the 21stcentury, metrosexual, cross-sexual phenomenon, and pin-up boy fever, enjoying the same level of fashion as females among urban males lead to males also accepting female images to improve the ir appearances and at the same time a lot of changes in males’ roles and appearances. This masculinity is expressed in various ways, and the culture of each era shows different kinds of masculinity. Therefore, we intend to classify the type of masculinity that the TV ads of our era show, and analyze the various images that constitute the masculinity currently. The results and contents of the study investigating the phenomenon of change in masculinity through cases appearing in living ads since the2000s are as follows. First, although the strong type of male that was already present still exists, it has been transformed over time or is a to tally different type of masculinity emerging.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masculinity type emerges into cross-sexual type, which not hiding femininity, beyond metrosexual.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it is expected that the type of masculinity will continue to change and vary and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continuously carry out the study on the masculinity type which is subdivided specifically and chang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