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초등학교 교육구성원의 교육활동(교권) 인식 실태 분석을 통한 시사점 고찰
양소영,진은준 충북대학교 교육개발연구소 2025 한국교육논총 Vol.46 No.1
이 연구는 초등학교 교육구성원들의 교육활동(교권)에 관한 인식실태를 분석하여 시사점을 고찰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으로 FGI(반구조화)는 교사, 학교 행정가, 교육 전문직의 총 7명과 연구진이 참여하고, 다양하고 깊이 있는 전문 식견을 얻을 수 있는 전문가 1인의 일대일 심층면접을 함께 실시하였다. FGI 연구 결과 <교육활동의 존중과 침해> <교육활동 보호를 위한 주체별 역할> <새로운 정책에 의한 현장의 변화> <교육활동 침해 개선 방안>의 4개 영역으로 도출되었다. 심층면접의 결과는 <교권 개념의 정립> <도움 시스템으로써 교육청의 역할> <학교 교육 공동체가 만드는 매뉴얼> <교사 주도의 전문성 향상>으로 제시되었다. 이러한 연구를 통한 시사점으로 첫째 교육활동(교권)에 관한 명확한 개념 정립, 둘째 교육부 및 그 산하 기관의 실효성 가진 시스템 구축, 셋째 학교장 중심의 학교 자체 매뉴얼 정립, 넷째 학부모 의무 교육(가정교육의 중요성) 실시, 다섯째 범교과화로 확대된 학교 교육 범위의 축소 여섯째 문제 학생에 대한 교사 판단의 신뢰성 제고, 일곱째 교육전문가로써 교사의 자기연찬 강화가 도출되었다. 이러한 연구를 토대로 교사, 학생, 학부모가 함께 아이들 교육을 위해 하나 될 수 있는 학교 문화 형성에 기여하고자 한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perception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garding their educational activities (teachers’ rights) and consider their implications. To achieve this, it examines research trends related to teachers' rights, clarifies their definitions, and investigates the diverse perceptions of faculty members within the school setting. The research methodology included focus group interviews (FGI) with seven participants—teachers, school administrators, and educational specialists—as well as the research team. Additionally, one-on-on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gain diverse and detailed professional insights.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several key implications: First, there is a need to establish a clear and precise definition of educational activities (teachers' rights). Second,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its affiliated organizations should develop effective systems. Third, school-specific manuals should be created under the leadership of school principals. Fourth, mandatory parental education programs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home education should be implemented. Fifth, the scope of school education expansion due to cross-curricular integration should be reduced. Sixth, trust in teachers' judgment of problematic students should be strengthened. Finally, continuous self-improvement should be promoted among teachers.
선천성 시청각 장애 환자에서 점자법을 이용한 기계환기기 이탈 -증례 보고-
양소영,최용선,박진하,고신옥 대한중환자의학회 2011 Acute and Critical Care Vol.26 No.1
To achieve adequate depth of sedation and assess the severity of pain in mechanically ventilated patients in the intensive care unit, appropriate communication with the patients is necessary. Communication is also important for successful weaning from the mechanical ventilator as well as weaning predictors, such as respiratory muscle capacity. Here, we present a case report of a 39-year-old man with congenial blindness and hearing impairment who successfully weaned off ventilator support using Braille to communicate under an optimal level of sedation and analgesia after septic shock management.
음악역량 함양을 위한 창의적 사고과정 기반 초등음악창작수업 사례 개발
양소영 한국예술교육학회 2018 예술교육연구 Vol.16 No.4
The competency-based education mentioned in the 2015 revised music curriculum refers to ability to apply knowledge to new situations, not to just use it as it is. In such new circumstances, self-directed and active courses are emphasized. Therefore, this study plans music creation courses and apply them step by step (perception, training,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creative thinking process- based creative creation course model for the improvement of competencies in music. During the perception stage, students learn basic music concepts through ‘listen and sing along’ and ‘learn rhythm’ and experience simple physical expressions. In the training stage, based on whey they obtained from the perception stage, students express rhythm or melody patterns in the staff or iconic scores and sing a song in a chord. Lastly, ‘composition’ is a creation stage. Students’ creative thinking processes can be observed through diverse activities such as music making, singing and playing a musical instrument. In terms of implications acquired from the above case, students should be given an opportunity to freely express their thoughts and encouraged to take part in courses with confidence. Furthermore, teachers are required to pay attention to a type of class organization and support students’ activities. To help students build creativity, in addition, all music education activities including actual acts should be applied to creation courses. Considering the importance of students’ active participation for the improvement of their competencies in music, there should be continued studies on how to put it into practice. 새롭게 고시된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서 언급하는 역량 중심 교육은 지식을 고정적인 것이 아닌 새로운 상황에 활용하고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뜻하는 것으로, 학생의 자기 주도적이고 적극적 수행 과정을 강조한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창의적 사고과정 기반 창작 수업 모형인 <감지>, <숙련>, <구성> 단계에 따라음악창작 수업을 계획하고 단계별로 적용해 보는 과정을 거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첫째, 자기 주도적 능력을 기르는 데 체계적 과정을 제시해 준다. 둘째, 학생의 적극적 참여와 친구와의 협동 등 적극적 수행 과정및 협업을 실천할 수 있다. 셋째, 모둠별 창의적 산출물 분석을 통해 창의적 사고 과정과 발전 과정을 관찰할수 있다. 넷째, 수업 진행 시 문제 상황에 부딪혀 잘 해결되지 않는 경우, 서로 의견 충돌이 생겨 다툼이 생길경우 등 교사 역할의 중요성을 인식할 수 있는 계기가 된다. 음악 역량 함양을 위한 창의적 사고과정 기반 초등음악창작수업을 통해 학생의 내재된 지식을 적극적인 사고 경험과 상호작용으로 실천하고, 이러한 학생의적극적 수행 활동 과정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여 지속적으로 학교 현장에 실현될 수 있는 방안을 다각도로모색해야 한다.
Gordon의 기능학습연계에 따른 초등학교 3학년 음악과 수업의 청각 인지 능력 신장 방안
양소영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09 敎員敎育 Vol.25 No.1
Children's musical ability has always been emphasized whenever there are changes of educational curriculum. But, compared with former attitude which have priority to creative function of musical ability, what is different now is that 'aural ability is more focused on. This has a thread of connection with characteristic of music as an subject. That is, it means that the ability of understanding music as 'sound' is considered as important thing. Thus, before explaining the sensible relationship about feeling and emotion of what listened and understanded on musical experience of students, it is important process of musical education in school to raise the music cognition ability which helps people listen music as grasping the relations between structure and meaning in a song. Another important concern in music education in an elementary school is setting up the sequence of entire education curriculum. If the purposes and the tasks do not have proper connection, teachers may fail to lead students into right purposes and interesting classes and even think that pleasure is the essence in music classes, which is wrong idea. In planing education curriculum of an year, in the long term, and each class, in the short term, if we can reach to the proper purposes and goals by setting the connection course as an link, teachers can have comprehensive sense to respond to the further condition with the careful view for educating. As an effort for this, in present study, for explaining about musical cognition ability and setting up educational connection to promote music cognition ability, I would suggest a guide plan for the second semester of third grade in elementary school. 본 논문에서는 앞으로 학교 음악교육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할 청각 인지 능력의 중요성과 그 신장 방안에 대해 살펴보았다. 어린이에게 음악 외적인 이미지 관련 모방이나 기술 습득 위주의 교육이 아닌 학생 스스로 음악을 대할 때 의미를 느끼고 생각하고 판단할 수 있는 청각 인지 능력의 습득은 현 초등 음악교육에서 무엇보다 중요하다 할 수 있다. 더불어 이러한 능력 신장을 위한 지도 방안 계획 시 Edwin.E.Gordon(이하 Gordon)의 기능학습연계를 축으로 하여 수업 연계성을 고려할 수 있도록 하였고 초등학교 3학년 2학기 수업 연계 계획을 정리하여 몇 개 제재곡의 차시별 수업안을 제시하였다. 수업 자체가 청각적 능력을 신장하는 지도 방안인 만큼 수업 방법에 있어 중요하게 언급된 수업 원리도 함께 제시한다.
양소영,이가연,백송이,김혜리,송경빈 한국식품과학회 2017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Vol.26 No.5
Duck feet gelatin (DFG) films were prepared and applied to the packaging of cherry tomatoes. Cinnamon leaf oil (CLO) was incorporated into the DFG films at concentrations of 0.5, 1.0, and 1.5% to provide antimicrobial activity. The DFG films with 1.0% CLO incorporation exhibited the most desirable tensile strength (41.6 MPa) and elongation at break (18.5%). Regarding the antimicrobial activity, the DFG films containing CLO significantly inhibited the growth of foodborne pathogens. In addition, the DFG film with 1.0% CLO was employed in the coating and wrapping of cherry tomatoes inoculated with Salmonella typhimurium. The DFG film with 1.0% CLO incorporation reduced the population of the bacteria to below the detection limit. Moreover, the DFG film with CLO delayed the color change on cherry tomatoes. Overall, the DFG film with CLO enhanced the shelf life of cherry tomatoes and can be used as an antimicrobial packaging.
2007년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6학년 음악 교과서 비교 분석 연구
양소영 한국음악교육학회 2014 음악교육연구 Vol.43 No.3
7차 교육과정 고시(1997.12.31),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의 고시(2007.02.28), 2009년 교육과정 자율화 방안(2009.9.) 발표, 2009 개정 교육과정의 개정ㆍ고시(2009.12.23) 등 최근 몇 년사이에 여러 차례 교육과정이 개정ㆍ고시되었다. 이 시기는 처음으로 음악 교과서가 국정에서 검인정으로 전환되는 중요한 시점으로 여러 교과서간의 비교 분석과 개선 사항을 살펴볼 필요성이 있다. 이에 연구에서는 여러 분석 관점을 정리하는 과정을 거쳐 네 가지 범주 즉, 구성 체제, 학습내용, 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 내용의 오류로 교과서를 분석하고어떠한 교과서가 수업의 교재로 도움이 되는지 어떠한 내용이 학생의 이해를 돕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는 앞으로 새로이 등장하게 될 교과서를 위한 방향 제시이자 현장적합성을 높일 수 있는 하나의 제안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