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동남아시아 문화연구의 특징과 전망

        홍석준(Hong, Seok-Joon) 한국문화연구학회 2013 문화연구 Vol.2 No.1

        이 글에서는 우선 영국에 기원을 둔 문화연구의 특징과 발전과정, 그리고 그 내용과 전술, 전략에 대해 살펴보고, 말레이시아를 중심으로 동남아시아 문화연구의 동향과 전망, 그리고 말레이시아에서 문화연구가 출현하게 된 배경과 특징, 말레이시아 문화연구와 포스트콜로니얼리즘과의 상호 관계, 말레이시아 문화연구와 인류학적 연구와의 상호 관련성이라는 각각의 주제를 고찰한다. 문화연구 전체의 구도 속에서 동남아시아의 문화연구, 특히 말레이시아 문화연구의 동향과 전망에 대한 고찰은 문화연구의 역사적 기원이나 계보학이 그다지 중요하지 않다고 하더라도 레이먼드 윌리엄스나 스튜어트 홀, 그리고 그 이후의 주요 문화연구자들이 문화연구를 둘러싸고 어떠한 상황에 직면해 ‘문화’와 관련된 연구 질문이나 문제를 제기하고, 어떠한 구체적인 기술과 분석을 수행해 왔는지에 대해 살펴보는 일과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 이는 문화연구의 특수성과 보편성의 변증법적 상호작용에 대한 관심과 필요를 불러일으킬 것이다. 이 글에서 영국 문화연구의 초기 역사와 활동 내용을 소개하고, 설명하는 데 상당한 분량을 할애한 것은 동남아시아, 특히 말레이시아에서는 ‘문화연구’라는 용어가 아직까지도 인문사회과학계를 포함한 학계일반에 널리 소개되지 않고 있을 뿐만 아니라 그 내용의 특성이나 의미에 대한 해석과 주장을 둘러싸고 의견이 분분한 사정이 현재까지도 지배적이라고 보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말레이시아 문화연구의 동향과 그 특징에 대한 설명에 이어서, 앞으로 말레이시아 문화연구의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고, 말레이시아 문화연구의 문제점에 대해 비판적 진단과 평가를 한 후에,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을 제언하는 것으로 말레이시아 문화연구의 동향과 전망에 대한 검토 작업을 마무리하고자 한다. This paper examines the current situation and future prospects of cultural studies in Southeast Asia, with special reference to cultural studies in Malaysia. In this paper, I review the characteristics and the processes of development of British cultural studies, and the contents, methodological strategies and tactics of cultural studies, originated from British cultural studies. Then, I investigate the historical backgrounds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cultural studies in Malaysia, the thema on the interactions between Malaysian cultural studies and postcolonialism, and the interrelationships between cultural studies and anthropological studies in Malaysia as well. This has relation to explore the reason why cultural studies in Southeast Asia with special reference to Malaysia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non-Western societies and postcolonial situation in the age of globalization. In the world of cultural studies, the investigation of the current situation and future prospects of cultural studies in Southeast Asia, especially cultural studies in Malaysia is an inseparable relations to the examination or review of the description and analysis of the concept of culture in cultural studies in Malaysia as well as in British cultural studies. This work evokes the interest in the dialectical interactions between specialty and universality of cultural studies in general and that of cultural studies in Malaysia in particular. For this purpose, I do explain the current situation and its characteristics of cultural studies in Malaysia, and suggest the future prospect of cultural studies in Malayisia. Then, from a critical point of view, I do diagnose and estimate the problems of cultural studies in Malaysia. In conclusion, I propose how to develop and improve the current situation of cultural studies in Malaysia more successfully and meaningfully.

      • KCI등재

        군기(軍旗)와 과학 - 만주사변 이후 경성제국대학의 방향전환 -

        정준영 만주학회 2015 만주연구 Vol.- No.20

        This article attempts to examine the implications of changing direction in Mission of the Keijo Imperial University(京城帝國大學, KIU) after Manchuria incident, through the formation and activities of Manmou Cultural Research Society(滿蒙文化硏究會, MCRS) and Tairiku Cultural Research Society(大陸文化硏究會, TCRS). MCRS(and TCRS as the successor of MCRS) aims for knowledge production of the Continent which is the area including Manchukuo(滿洲國) and Inner Mongolia from a scientific perspective, and tries to distribute the wide knowledge and various information acquired by its academic researches to the colonial society in conformity with the national policy of Japanese Empire. Effectively, they functioned as the research units of the KIU, because the president of KIU was spearheading the organizing of MCRS and TCRS, and major academics of KIU participated in their activities. Then, why did the KIU organize them under the circumstance where the KIU was searching a new direction as ‘the only Imperial University in continental Asia’ and What did the KIU expect through the formation and activities of them? This article deals with these questions. 이 연구는 경성제대 만몽문화연구회의 설립과 활동을 중심으로, 만주사변 이후 경성제대가 모색했던 방향전환의 의미와, 그 결과로서 체계적으로 전개되었던 ‘대륙’연구가 가졌던 지향과 특징을 검토했다. 경성제대는 만주사변 이후 일본제국의 판도에 ‘공식적’으로 편입된 ‘만몽’을 새로운 연구의 대상으로 설정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대륙유일의 제국대학’으로서 경성제대의 존재의의를 새삼 인정받고자 시도했다. 대학의 전학적인 연구조직인 만몽문화연구회와 이것의 확장버전인 대륙문화연구회는 경성제대의 고유한 연구기반을 조선을 중심으로 한 ‘동양문화’에서 제국의 대륙적 확장에 부응하는 만몽문화, 나아가 대륙문화로 확대해 나가려는 대학 나름의 시도였고, 새롭게 학문적 대상으로 부상한 ‘대륙’을 둘러싸고 누가 제국의 국책에 부응할 것인가를 다투는 경합의 산물이었다. 경성제대는 대륙연구를 통해 국체(國體)와 학리(學理)의 공존, 군기(軍旗)와 과학의 깃발의 일치를 모색했지만, 결과적으로 학리와 과학은 국체와 군기 속에 파묻혀 철저히 수단으로 전락하고 만다.

      • KCI등재

        냉전과 월남지식인, 냉전문화기획자 오영진 : 한국전쟁 전후 오영진의 문화 활동

        이봉범 ( Lee Bong-beom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6 민족문학사연구 Vol.61 No.-

        오영진의 삶과 예술은 냉전과 불가분의 관계를 지닌다. 미소분할 점령 하 남북한 모두에서 민족국가(문화)건설에 실천적으로 참여했을 뿐만 아니라 지리적 경계를 넘나든 국제적 냉전경험을 바탕으로 문화냉전 전을 수행한 대표적인 지식인이다. 북한에서 조선민주당과 평양문협을 거점으로 한 민족문화건설이 좌절된 후 월남하여 대한영화사, 문총, 한국문화연구소 등을 기반으로 단정수립 후 격화된 남한사회의 ‘내부 냉전’의 중심에서 반공 분단국가 강화를 선도했다. 한국전쟁 기간에도 월남지식인들이란 특수집단을 기반으로 문총북한지부 결성 및 기관지 『주간문학예술』발간, 중앙문화사 창설 등 문예조직과 미디어의 공고한 연계를 토대로 한 전시 문화전을 주도했다. 조선민주당, 서북청년단, 반공통일연맹 등 월남인반공단체들과의 공조에 힘입은 바 크다. 오영진은 한마디로 숨은 냉전문화기획자 였던 것이다. 그 일련의 과정은 세계냉전과의 접속을 통해 촉진/ 제약된다. 오영진은 가장 앞서 세계자유문화회의, 유네스코 등 전후 문화냉전 전을 수행하고 있던 세계적 냉전문화 기구들과의 협력채널을 개척하여 연대를 모색했다. 이 채널을 통해서 최신의 서구 냉전문화를 수용하여 특유의 냉전문화론을 정립하는 한편 이를 자신이 관장한 미디어를 거점으로 효과적인 인정투쟁전략을 구사함으로써 문화 권력을 확보하기에 이른다. 또한 미공보원, 미극작가협회, 아시아재단 등 다양한 경로로 미국과 접속해 물적, 인적, 사상적 후원을 받게 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문화냉전 전이 가능했다. 이로 볼 때 오영진은 한국의 냉전문화연구의 유효적절한 텍스트라 할 수 있다. 오영진의 냉전문화기획이 가장 돋보인 것은 전향공간에서 그가 기획ㆍ총괄한 한국문화연구소 주최의 종합예술제 개최이다. 이 종합예술제는 문학예술계, 지식인사회 전체를 전향의 한복판으로 끌어들여 문화지식인들의 자진 전향을 독려ㆍ강제하는 역할을 함으로써 지리적, 사상적 남북적대를 확대재생산하는 동시에 지배체제의 우월성을 배타적으로 승인ㆍ공고화 하는데 결정적인 계기로 작용했다. 분산적으로 진행되던 문화적 내부냉전을 공세적으로 확산시켜 내부평정작업에 크게 기여했던 것이다. 문화적 헤게모니투쟁의 역동적인 장으로 기능했던 전향공간의 정치적 논리를 기회로 포착해 월남지식인이란 불리한 신원을 역전시키며 문화 권력의 중심부로 진입하는 놀라운 정치력을 발휘했던 것이다. 『살아있는 이중생 각하』는 전향공간에서 자기신원을 증명하기 위한 목적이 강하게 투사된 텍스트이자 내부냉전에서 승리한 친일문화인들이 냉전진영론에 입각해 한국문화계를 장악하고 구국 또는 애국의 이름으로 문화냉전을 주도하는 주체로 재탄생하는 극적 전환을 암시ㆍ정당화한 텍스트라 할 수 있다. 열전의 와중에서 전개된 오영진의 문화냉전 전은 조직, 미디어의 물적 토대에다가 국방부 정훈국, 미공보원, 아시아재단 등의 후원과 원조까지 받음으로써 더욱 공세적으로 추진될 수 있었다. 특히 아시아재단과의 긴밀한 유대를 통해 오영진을 정점으로 한 월남예술인 집단은 대한민국 국민으로, 문화제도권으로 안정적인 진입이 가능했고 대공 사상(심리)전, 문화전의 전초가 될 수 있었다. 오영진의 문화냉전 전의 예술적 전략과 논리는 ‘기록주의’이다. 기록주의는 민족현실에 대한 처절한 위기의식의 산물로서, 열전 및 냉전의 한복판에서 존망의 위기에 처한 민족현실의 특수성을 비판정신에 입각하여 리얼하게 형상화하는 정신 내지 방법으로 제기된 것이었다. 기록성에 대한 지향은 당면한 반공 산주의 투쟁의 효과적인 방법적 대안이었으며, 서구 냉전예술과 접속하는 매개 고리로 세계의 초점으로 부상한 민족현실에 대한 기록주의를 통해 문화냉전 전의 이니셔티브를 확보하기 위한 욕망의 발현이기도 했다. 그의 기록주의는 대중계몽성 제고의 가능성을 바탕으로 선전전, 심리전의 유력한 수단으로 기능하고 또 문학 예술적으로 새로운 기풍을 진작시켰음에도 불구하고 반공주의와 민주주의의 모순적 결합을 내포한 것이기에 저항적인 담론으로 발전하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소군정하의 북한』은 기록주의의 전략적 텍스트였다. Oh Young Jin``s life and art are undivided from the cold war. He practically participated in South and North Korea``s nation building, each were under US and Soviet Union military government. He was also a typical intellectual who performed cultural cold wars with his borderless, international cold war experience. He led to entrench anticommunism(and the divided country, the result of that) in the center of South Korea``s internal cold war that had been intensified after the establishment of separate government. During the Korean war period, he also led cultural wars by the stable connection between the media and the literature organizations of which the group of the defector intellectuals to south Korea. In a word, Oh Young Jin was a hidden cultural cold war planner. The process of that was promoted/limited by the access to the worldwide cold war. The cultural cold war planning by Oh Young Jin reached its peak at his planning of Composite Art Festival held by Korean Culture Institute. This Composite Art Festival bringing literature artists, intellectuals to the center of the conversion, encouraged and forced self conversions of them. So that it spread and reproduced geometric and ideologic hostility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and served to recognize exclusively the superiority of South Korean ruling system at the same time. Living Lee Jung Sang his excellency is the text for the strong purpose of proving Oh Young Jin himself in conversion situation, as it implies and justifies the moment pro-Japanese winning the internal cold war was reborn who dominated south Korean cultural fields by logic of ideological blocs and led cultural cold wars in the name of patriotism. Oh Young Jin``s cultural cold wars during the hot war could be pushed forward with material foundations of the institute and media, in addition to the aid from AFIED(Armed Forces Information and Education Division) of Korea defense ministry, the US information service, and Asia foundation. The group of defector intellectuals to south Korea was able to join stably in Korean nation and orthodox culture by the strong bond with Asia foundation especially, so that it made an outpost for ideological(psychological) and cultural wars to communism. The artistic strategy and logic of Oh Young Jin is ``record priority principle.`` The emphasis on record was a effective method for urgent anti-communism struggle, as a result of ambition to seize the initiative in cultural cold wars. It was also a method of an access to western cold war art that the ``record priority principle`` of Korean national reality which was focussed on globally. North Korea under Soviet Union military government is the strategic text on record priority principle.

      • KCI등재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다문화 멘토링 관련 연구 동향 분석

        윤희진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2020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Vol.9 No.1

        본 연구는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통하여 국내 다문화 멘토링 연구 동향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대상은 2007년부터 2019년까지 국내에서 발행된 다문화 멘토링 관련 학술지 논문과 학위논문 206편의 초록과 인용 정보이며 프로그램 R을 활용하여 토픽 모델링 분석을 실행하였다. 그 결과 다문화 멘토링 연구는 ‘다문화 지원 프로그램’, ‘한국 문화 이해’, ‘멘토링 경험’, ‘다문화사회 이슈’라는 네 가지 주제로 범주화되었다. ‘다문화 지원 프로그램’은 전 기간 꾸준히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멘토링 경험 인식’ 연구는 교과부의 다문화·탈북 학생 멘토링의 확대와 함께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2007년부터 2019년을 세 시기로 나누어 시기별 연구 주제를 분석한 결과, 연구 대상이 결혼이민자에서 다문화가정 아동과 청소년으로 변화하였고, 다문화 멘토링 경험 연구가 증가함을 밝혔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유학생이나 외국인 노동자 등 다문화 연구의 다양한 대상에 대한 다문화 멘토링 연구의 필요성과 텍스트 마이닝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질적 연구 분석이 동시에 이루어져야 한다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그간 이루어진 다문화 멘토링 연구의 성과를 파악하고 현재를 확인하며 향후 연구에 시사점을 주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사회복지관에서 바라 본 다문화수용성에 대한 고찰

        도현진(hyun jin Do),김병우(byung woo Kim),노근태(geun tae Noh),김신애(sin ae Kim),천문권(moon kwon Chun),박진희(jin hee Park) 한국사회복지상담학회 2020 사회복지상담연구 Vol.4 No.1

        본 연구는 사회복지 관점에서 양적연구와 질적연구를 통해 대한민국의 다문화수용성과 대구광역시 달서구 신당동의 다문화수용성을 비교하고, 이를 통해 사회복지관에서 지역사회 현실에 맞는 다문화 사업을 진행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양적연구를 위해 2019년 7월 약 한달 간 신당동 지역주민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활용한 면접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질적연구를 위해 대구광역시 신당동 지역에서 다문화사업을 4년 이상 진행한 실무자를 대상으로 FGI를 진행하였다.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양적연구의 결과 대구광역시 달서구 신당동의 다문화수용성이 전국의 다문화수용성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이는 다문화수용성에 대한 각 세부 영역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났으며, 신당동 주민들이 다른 지역의 주민들에 비해 다문화주민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형성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둘째, 질적연구의 결과 신당동에 거주하는 다문화주민들의 경우에서도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한국사회 적응문제, 다문화 2세대에 대한 보호문제 등 여러 가지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이는 다문화주민들이 겪는 보편적인 어려움들이지만 저소득층이 밀집한 지역에서는 이러한 현상들이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사회복지관에서 지역사회의 특성을 반영한 다문화수용성 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는 데 정보를 제공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사회복지 및 다문화기관, 각계 전문기관에서 후속연구가 지속된다면 다문화사회를 앞두고 있는 현 시점에서 다문화주민의 한국 정착뿐만 아니라 나아가 다문화사회를 준비할 수 있는 토대를 쌓아가게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multicultural acceptability of the whole country and Sindang-dong, Dalseo-gu, Daegu by conducting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in terms of social welfare. on this basis, provide basic data for social welfare centers to carry out multicultural projects tailored to the reality of the community. For quantitative research, 300 local residents of Sindang-dong were interviewed for a month in July 2019. For qualitative research, FGI was conducted for practitioners who had conducted multicultural projects in Sindang-dong, Dalseo-gu, Daegu for more than four years. The analysis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quantitative research, multicultural acceptability in Sindang-dong, Dalseo-gu, Daegu was higher than the whole country. This was the same in each detailed area of multicultural acceptability, and it can be seen that Sindang-dong residents form a positive perception of multicultural residents compared to those in other regions. Second, as a result of qualitative research, multicultural residents living in Sindang-dong were suffering from various difficulties, such as adapting to Korean society, and protection of the second generation of multicultural families, just like other regions. This is a common difficulty faced by multicultural residents, but these phenomenon were more pronounced in areas where low-income families were concentra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provide information on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multicultural acceptability Improvement programs that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munity in social welfare centers. In addition, if follow-up research continues by social welfare and multiculturalism, specialized institutions in various fields, at this point of set to be multicultural society, it will pave the way for prepare for multicultural society as well as multicultural residents to settle in Korea.

      • KCI등재

        중학교급 다문화예비학교 사례 분석

        이고운,박소영 한국다문화교육학회 2017 다문화교육연구 Vol.10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achievements and challenges of multi-cultural preliminary school project. With rising number of incoming adolescent from abroad, Ministry of Education needs to complement policies for multi-cultural population that have focused on multi-cultural families. Multi-cultural preliminary school project is to emphasize on including immigrants to the public schools not excluding them from general Korean adolescent. For the study, students in multi-cultural preliminary school and teachers involved in the school are interviewed, and more than one year of observation is added. As a result, regarding teachers, it is found that they perceive the policy effective, which is one of the accomplishments. The teachers believe that this policy improves student’s languages and cultural adaptiveness, which increases their responsibilities on the students. They also get advantages from financial supports from Ministry of Education, and communicate with local communities more often. Students also perceive that the policy is helpful especially in terms of friendship and various curriculum through inclusive class. They feel comfortable with homogeneous group before getting into the general class. However, it is challenging for teachers to teach students with Korean languages and with limited cultural background. They feel overwhelmed with demanding tasks as they are involved into the multi-cultural students. As limitations, students indicate over-burdening class- and home-work, and concerns on “entrance to general class”. As an exploratory study on Multi-cultural Preliminary School, it intends to inform actual management and practices on schools of policy makers and school managers. With increased population of immigrant adolescent, policy needs to be more refined reflecting practices.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예비학교의 운영 실제를 드러냄으로써 다문화예비학교 정책의 집행자와 수혜자가 인식하는 다문화예비학교의 성과와 과제를 밝히는 데 있다. 중도입국청소년의 증가에 따라 다문화예비학교의 수는 전국적으로 증가하고 있지만 이에 대한 연구는 현저히 적으며, 특히 중학교급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예비학교를 직접 운영하는 서울의 공립중학교에서 1년 동안 교사와 학생을 참여관찰하고 심층 면담한 결과를 토대로 다문화예비학교 성과를 밝혔다. 연구 결과, 교사가 인식하는 다문화예비학교의 성과는 본 정책이 중도입국학생을 위해 효과적이라는 확신을 갖게 되었다는 것과 다문화 학생들에 대한 책임감이 증대되었다는 것이다. 또한, 예산지원을 통해 다양한 프로그램이 실시되고 지역사회와의 협력이 증가하였다는 점도 중요한 성과로 인식된다. 학생의 경우 학생 집단의 동질감에서 오는 안정감과 다양한 한국문화 체험 학습의 경험을 중요한 성과로 보았다. 또한 일반반 입급을 통한 다양한 교과학습과 새로운 교우관계로 인한 한국 학교에의 빠른 적응 또한 성과로 언급하였다. 반면, 교사들이 인식하는 과제는 자원의 부족, 과도한 업무량 등이 있으며, 학생들이 인식하는 과제는 소규모 운영으로 인한 좁은 교우관계, 일반반 입급에 대한 불안감과 부적응 등이 있다. 본 연구는 다문화예비학교에 대한 탐색적 연구로서 다문화예비학교에 참여한 교사와 다문화 학생 중 일반반 입급에 성공한 학생을 중심으로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이후 연구에서는 일반학생의 인식과 다문화예비학교 초입에 있는 학생에 대한 연구도 진행되기를 바란다. 이 연구의 결과가 향후 다문화예비학교 정책 확대에서 실제 운영 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행위자-네트워크이론에 따른 국공립문화예술기관의 예술교육 변화를 위한 실행연구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ACC 어린이예술실험실’을 중심으로

        정선희,김인설 한국문화예술경영학회 2021 문화예술경영학연구 Vol.14 No.2

        본 연구는 행위자-네트워크 이론을 적용하여 국공립문화예술기관의 사례를 중심으로, 예술교육의 새로운 시도와 변화, 그리고 이를 위한 제반 조건에 대한 조사를 실행연구를 통해 진행하였다. 연구의 목적은 예술교육에 필요한 진 화와 새로운 해석, 그리고 이를 통해 가능한 사회적 실천에 대한 함의 도출이다. 이 연구의 사례는 국립아시아문화전 당에서 제공되었던 동시대예술교육 프로그램으로, 시작과정인 개발부터 실질적인 운영, 그리고 폐지의 전 과정을 추 적‧분석 하였다. 연구 결과, 국공립문화예술기관이 예술교육 변화의 중요성을 인식하면서도, 이를 위해 적극적으로 모 색하거나 수용하지 않는 원인은 세 가지로 분석되었다. 이는 ①실험적인 예술교육의 필요성과 적용보다는 조직관리 상 행정 효율성이 우선된다는 점, ②시대적 흐름과 수요자의 요청을 수렴할 수 있는 기관운영책임자의 문화예술경영 에 대한 이해의 부족, ③ 기관의 의사결정권자는 혁신보다는 의례적으로 행해오던 방식을 선호하기 때문인 점이었다. 국공립문화예술기관이 이를 극복하고 예술교육의 혁신을 이루기 위한 조건은 우선 기관을 둘러싼 외부의 다양한 행 위자 네트워크를 이해하고 이들의 의견도 함께 반영하고자 하는 조직 내 의지와 노력이 요구된다. 또한 기관운영책 임자의 예술경영에 대한 철학과 지식 그리고 경험이 필요하다. 이는 국공립문화예술기관의 안정적인 예산과 인력구 성, 문화예술에 대한 공공성 확대의 책무 등을 행하며, 시대적 흐름을 선도하는 리더십과도 직결되어 있다. 이러한 기반 조건이 충족될 때, 국공립예술기관은 비로소 의례적으로 제공해 오던 교육프로그램 기획 방식에서 벗어나 실험 적이고 혁신적인 교육 모델 도입이 가능해질 것으로 분석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social practices for change and innovation of arts education in national and public museum by applying a action research methodology. For this, focusing on ACC's contemporary arts education case, the entire process of development, operation, and abolition was tracked according to the actor-network theory. As a result of the study, there are three main reasons why national and public museum recognize the importance of changes in arts education but do not actively seek or accept them. ① Judgment at the level of organizational management takes precedence over the justification or necessity of art education. ② It is the absence of the artistic management mind of the person in charge of managing the museum that can converge the trend of the times and the requests of consumers. ③ The decision-maker of the museum solves and judges problems by selecting a social perception (black box) that is already natural rather than innovation. The conditions for national and public museum to overcome this and achieve innovation in art education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be able to properly understand and apply the network of various actors, not just the opinions of the organizational decision maker. Also, the knowledge and experience of art management of the decision-maker of the museum are essential. Through this, national and public museum should grow models of change and innovation in arts education by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progressive experiments and attempts, leading the trend of the times based on a stable budget, manpower and public responsibilitie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olves problems in the field, which is the purpose of action research, and seeks better practices in the field of arts education for social change. And I hope that various studies for social practice will be expanded.

      • KCI등재

        인류학에서의 비교연구

        박환영(Park, Hwan-Young) 비교민속학회 2014 비교민속학 Vol.0 No.53

        문화를 연구대상으로 삼는 대표적인 학문분야는 인류학과 민속학이다. 두 학문분야에서 공통적으로 다루고 있는 문화연구의 차이점과 공통점을 고찰하기 위하여 인류학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비교연구의 관점과 연구주제를 본 논문에서 집중적으로 살펴보고 있다. 즉 인류학에서의 비교연구가 가지고 있는 관점과 연구주제를 중심으로 인류학적 입장에서의 비교를 집중적으로 살펴보고, 다음으로 이러한 비교연구가 민속학(특히 비교민속학)에서의 비교연구와 어떻게 연계되어 있으며 향후 비교민속학적 연구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를 본 논문에서 구체적으로 분석하고 있다. 인류학에서의 비교연구는 초창기에는 문화진화론적인 입장에서 일방적인 측면에서의 문화 비교를 하면서 점차로 19세기 이후부터는 문화상대주의적 입장에서 다양한 인류문화를 대등한 입장에서 바라보는 통문화적인 문화의 상호비교(cross-cultural studies)로 바뀌게 된다. 더욱이 anthropology at home과 같이 자신의 문화를 연구하는 인류학의 경향은 비교연구의 방법을 더욱더 세분화하고 정밀하게 발전시키는 계기가 된다. 한편 초장기 한국민속학에서 비교민속학적인 접근을 취했던 20세기 초반의 민속학자들과 그들의 업적 중에서 민속학의 고유한 방법인 역사지리학적 방법은 인류학에서의 문화전파론적 방법과 만난다. 또한 1990년 전 세계적으로 사회주의가 본격적으로 약화되면서 한국민속학에서 아시아지역의 민속문화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가 진행된다. 특히 중국과 몽골 그리고 구 소련연방(USSR)에 속했던 사할린 연해주와 중앙아시아 지역의 민속연구를 위한 현지조사가 가능해지면서 인류학의 통문화적 연구와 밀접한 연계를 가지게 된다. 더욱이 21세기 다문화사회(multicultural society), 탈사회주의 사회(post-socialist society)1), ‘아시아적 가치(Asian Values; 아시아 지역의 다양한 민족이 공유하거나 공감할 수 있는 문화적 가치) 등 이제까지 인류학에서 연구대상으로 삼았던 다양한 인류문화와 비교해서 아시아 지역을 중심으로 새로운 연구영역과 관심2)이 생겨나고 있어서 인류학과 비교민속학적 연구를 기대해 볼 수 있다. 즉 아시아 인류학자에 의한 또 다른 아시아의 문화연구는 비교민속학적인 입장에서 아시아 민속의 비교와 관련해서 살펴볼 수 있으며, 탈사회주의 사회에 대한 인류학적인 연구는 북한을 중심으로 사회주의 이전 문화와 사회주의 문화 그리고 향후 탈사회주의 문화를 상호 비교해서 한국의 민속문화와 비교민속학적으로 비교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주고 있다. This article deals with “comparative studies” and how anthropological approaches these studies from the standpoint of its perspectives and research subjects. It shows how anthropological comparative studies are closely linked to folklore studies and furthermore may have an impact on future comparative studies. Comparative studies in anthropology based on cultural evolutionism and therefore were focused on one-side direction. However when cultural relativism emerged, various human cultures were equally treated and valued. As a result, the comparative study of cross-cultural perspectives gradually developed and solidated to the realm of anthropology. Furthermore, some recent research trends in anthropology such as “anthropology at home” contributes to delicate and broaden the methodology of anthropological comparison. On the other hand, some efforts (i.e. geographical and historical methods) of comparative folkloristic researches on early 20th century in Korea are connected to cultural diffusionism in anthropology. Since the decline of socialism in Asia and Eastern Europe in 1990, Korean folklorists could extend their research interests towards Asian regions. In particular, Korean folklorists started to carry out fieldwork in China, Mongolia and Korean minority communities in USSR, thus they contributed to the cross-cultural studies of anthropology. Today new cultural distinctions (such as multi-cultural society, post-socialist society, Asian values) stimulate further research topics and hence surely lead to a new paradigm of future anthropology and comparative folkloric studies.

      • KCI등재

        한국문화교육 연구 동향 분석 - 주제와 방법론을 중심으로

        강승혜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2012 한국언어문화학 Vol.9 No.1

        본 연구는 한국어교육 분야에서 수행된 한국문화교육 연구를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여 한국문화교육 연구 동향을 분석한 것이다. 한국어교육 분야에서 수행된 한국문화교육 관련 연구들을 분석 대상으로 삼아 이 연구들에 대한 동향을 살펴봄으로써 한국문화교육의 실제를 반성하고 한국문화교육이 학문적 발전을 위해 연구가 갖추어야 할 측면들을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1980년대 이후 국내 대학원에서 학위논문으로 발표된 한국문화교육관련 석사, 박사학위 논문과 한국어교육관련 학술지로서 심사학술지에 해당하는 학술지 게재 논문들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하여 분석한 분석대상 논문은 419개이고 연대, 주제, 방법론 측면에서 분석되었다. 이들은 주제별로 총 8개의 학문적 범주로 구분된다. A comprehensive review of research in Korean Culture Education with the aim of examining the research topic and its methodology thus far not been executed, though lots of Korean Culture Education research has been accomplished since the eighties. A thorough review of the previous research on Korean Culture Education will assist in understanding the topic area needed to be studied in the field and the relevant methodology as well. This study will analyse previous research on Korean Culture Education, about 419 studies published in the journals related to Korean Culture Education and as well as academic dissertations made up the study. The research was analysed based on three variables: chronology, topic and methodology. There was a total of 8 academic categories for topics.

      • KCI등재

        귀국 학생을 위한 한국어문화교육 연구 동향 분석과 향후 과제 - 문화 교육을 중심으로 -

        김윤주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2015 한국언어문화학 Vol.12 No.3

        본고는 귀국 학생을 대상으로 한 그간의 연구 성과를 살펴보고 이들을 대상으로 한 문화 교육의 연구 동향을 분석한 후 향후 과제에 대해 논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1장에서는 귀국 학생의 현황과 특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귀국 학생을 위한 문화 교육의 문제를 논하기 위해 2장에서는 문화와 문화 능력의 개념, 언어 교육과 문화 교육의 관계에 대한 논의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귀국 학생을 위한 문화 교육의 성격과 방향에 대해 생각해 보고 그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3장에서는 앞서 살펴본 귀국 학생을 위한 문화 교육의 중요성에 기반해 그간 축적되어 온 관련 연구를 모두 살펴보고 연구 동향을 분석하였다. 4장에서는 분석 결과에 대한 논의와 향후 과제에 대한 제언을 보이는 것으로 마무리하였다. 귀국 학생 대상 문화 교육 내용과 교수요목 설계가 필요하며 학습자 특성에 대한 다층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특히 기존의 연구가 초등학생과 아동 대상 연구에 치중되어 있음을 감안하면 귀국 청소년 대상 연구가 좀 더 활발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학교급별, 학령별, 교과목별 문화 내용을 추출하는 작업이 이루어져야 하며 이를 문화 교육 내용으로 활용할 수 있어야 하겠다. This study aims to take stocks of research trends and outcomes of culture education for students who returned from abroad and tries to discuss the future direction of the educational area. Chapter 1 deals with current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students returned from abroad. In order to discuss culture education issues for the students, chapter 2 is dedicated to the discussions of the concept of culture, cultural capacity concept, and the relation between language education and culture education. In chapter 3, I analyze research trends about returned student education while emphasizing importance of culture education for them. Finally, in chapter 4, I discuss the results of analysis of this study and suggest future direction for this educational a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