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국제개발협력에서 문화적 인식과 NGO활동에 대한 질적연구: 네팔 사례를 중심으로

        김인설,조영미,조성희,정경은 한국문화예술경영학회 2023 문화예술경영학연구 Vol.16 No.2

        Since the 1950s,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NGOs have played an active role as an alternative system equipped with an independent and neutral stance replacing national and international organizations’ foreign aid system. However, there are also critical views on whether the quantitative expansion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NGOs and their contributions have actually brought meaningful changes and development in the third world countries. Nepal, known as one of the world's poorest countries and neglected nations in the international society, has served as a core stage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NGOs’ activities; also, the number of international NGOs and local NGOs has increased dramatically in Nepal. To tackle this situation, our study focuses on the research question on ‘In what direction are local NGOs in Nepal has evolved and what is the reason behind it?' by adopting Korten's (1987;1990) NGO Generation Theory for analyzing the data. This study used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by interviewing the founders, employees, and activists of two local NGOs in Nepal that were engaged in clothing recycling and education projects in mountain villages. As result, these Nepalese local NGOs have the corresponding characters of the 4th generation of NGOs in terms of their organizational purpose, problems, actors, roles, and management. In addition, the main characteristics of these 4th generation NGOs were based on the positive cultural perception of their countries. This study confirms that understanding the cultural awareness of the local people about their own country is a key factor in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1950년대 이후 국가나 국제기구를 통한 해외원조 시스템을 근본적으로 보완하는데 있어 독립성과 중립성을 갖춘 대안체제로 국제개발협력 NGO들의 활동이 활발해지기 시작했다. 그러나 국제개발협력 NGO의 양적 팽창이 과연 제3세계 국가들의 발전에 실질적으로 긍정적이고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해서는 일부 비판적인 시각도 존재한다. 세계 최빈국 중 하나이며 국제정세에서 소외된 국가로 알려진 네팔은 국제개발협력 NGO들의 핵심 활동 무대로, 세계 각국에서 파견된 국제 NGO와 현지 NGO가 폭발적으로 증가한 국가 중 하나다. 본 연구는 이러한 환경에서 ‘네팔 내 현지 NGO들은 어떠한 방향으로 진화하고 있으며, 그 이유는 무엇일까’에 대한 연구질문을 중심으로, 이를 코르텐(Korten, 1987;1990)의 NGO 세대론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네팔 현지 NGO 중 의류 재활용과 산악마을에서 교육 사업을 펼치고 있는 2개 단체의 대표, 직원, 활동가들을 중심으로 면접조사를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네팔의 현지 NGO는 코르텐이 주장한 제 4세대 NGO의 목적, 과제, NGO의 주요 행위자, 역할, 관리방식에 부합하는 특성을 가진 것으로 도출됐다. 또한 이러한 제 4세대 NGO의 주요 특성은 이들 NGO 단체의 구성원이 가진 자국에 대한 긍정적 문화적 인식에 기초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를 통해 발견한 주요한 시사점은 현지 NGO의 성원들이 가진 자기 문화에 대한 인식이 이들 NGO활동 전반에 걸쳐 일하는 방식과 성격, 목적과 역할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다는 점이다. 즉, 현지인들이 가진 자국에 대한 문화적 인식에 대한 파악은 국제개발협력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실마리를 제공하는 주요 요소임이 확인되었다.

      • KCI등재

        사회자본이론(Social Capital Theory)을 통해서 본 예술의 사회적 영향

        김인설 한국문화예술경영학회 2012 문화예술경영학연구 Vol.5 No.2

        예술의 가치에 대한 합의와 그에 대한 사회적 정당성은 예술의 자율성 확보를 위한 전제조건이며 정책적 지원의 근거자료이다. 본 논문에서는 예술의 가치에 대한 사회적 합의 과정의 한 사례로, 미국 National Endowments for the Arts(NEA)의 위기를 가져왔던 문화전쟁(1989-1998)의 배경과 그 과정을 살펴본다. 문화전쟁 전후를 기준 으로 예술의 사회적 가치의 초기개념이었던 예술의 우수성과 접근성을, 이후 예술옹 호론자들이 논쟁의 발판으로 삼았던 예술의 본질적 혜택과 도구적 혜택의 개념과 그 배경을 이해하고 분석한다. 이를 바탕으로, 본 논문은 예술의 가치에 대한 사회적 합의와 사회적 정당성 획득에 필요한 이론적 틀의 하나로 사회자본이론(Social Capital Theory)의 유용성과 예술의 사회적 영향과의 연계성을 설명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 KCI등재
      • KCI등재

        디지털 예술치유 프로그램의 효과와 전망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 <찾아가는 예술처방전> 사업을 중심으로

        김인설 한국융합과학회 2022 한국융합과학회지 Vol.11 No.1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a digital therapeutic arts program called, 2021 Delivering Arts Prescription, which offered by the Korea Arts & Culture Education Service. The study also aims to conclude a future perspective of digital therapeutic arts programs by applying Herman(1997)’s concepts of recovery and resilience for an analysis. Method This study used a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ology, and applied pre and post focus group interviews (FGI) as a research method. In the case of the pre-focus group interviews, 108 people were participated; and for the post-focus group interviews, 80 people were answered. The data collection period was two months from September to early November 2021. Result The psychological state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before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was dominated by feelings of helplessness and isolation, timidity and lack of confidence, anger and sensitivity, loneliness, and depression. The effects of the program were positive thinking, psychological comfort, and recovery to daily life were analyzed as the main effects of individual domains. The effects in the social domain can be summarized as enhancement of affinity, communication ability, and altruism, improvement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sociability. Conclus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digital art therapeutic program can be useful as an early intervention program that can help clients with severe feelings of depression. Thus, it is necessary to expand digital art therapy programs to the participants who feel severe psychological barriers to getting out of the fence at their homes, and to develop technological supports and strategies to better assist them. 연구목적 이 연구는 2012년 실시간 비대면으로 진행됐던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2021년 ‘찾아가는 예술처방전’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미래 디지털 예술치유 프로그램의 전망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분석을 위하여 사용된 이론적 틀은 Herman(1997)의 회복(recovery)과 회복탄력성(resilience)의 개념을 재구성하여 적용하였다. 연구방법 이 연구는 질적 사례 연구방법론을 사용하였으며, 연구방법으로 사전·사후 초점집단면접조사(FGI)를 사용하였다. 사전 초점집단 면접조사의 경우 108명의 연구 참여자가, 사후 초점집단 면접조사에서는 80명의 인원이 조사에 참여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프로그램의 시작인 1회기 차와 마지막 차인 5회기 차인 2021년 9월부터 11월 초까지 2달간 이루어졌다. 결과 프로그램 참여 전의 연구 참여자들의 심리상태는 무력감과 고립감, 소심함과 자신감 부재, 분노와 예민함, 외로움, 우울감 등이 지배적이었다면, 이후 자신감과 용기의 고취, 긍정적인 자아상, 자기돌봄, 자기성찰, 자기표현, 긍정적 사고의 전환, 심리적 위안, 일상의 생활로의 회복 등이 주요한 개인적 영역의 효과로 분석되었다. 프로그램의 사회적 영역으로 나타난 효과는 친화력과 소통능력의 증진, 타인에 대한 관심과 이타심의 증가, 대인관계 개선과 사회성 증진으로 요약된다. 또한 이들은 문화예술적 역량에 대한 변화도 나타났는데 자신의 예술적 재능과 관심을 새롭게 발견하고, 이를 더욱 갈고 닦을 수 있는 개발에 대한 욕구가 생긴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디지털 예술치유 프로그램은 오히려 무력감이나 우울감이 심한 내담자의 경우 접근성을 강화하여 이들의 심리적 치유를 도울 수 있는 초기개입 프로그램으로 유용할 수 있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디지털 예술치유 프로그램은 자신이 속한 집이라는 울타리를 벗어나는 데 심한 심리적 장벽을 느끼는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확장할 필요가 있으며, 좀 더 효과적인 프로그램의 결과를 위해 기술적인 보완을 단계적으로 시행할 필요가 있음이 시사된다.

      • KCI등재

        문화와 콘텐츠 산업: 사회자본 관점에서의 신한류 현상 분석

        김인설,이종석,Kim, InSul,Lee, Jongseok 한국산업정보학회 2012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Vol.17 No.7

        Unlike the first generation of Korean Wave (Hallyu 1.0), which mainly refers to the exports of Korean TV dramas via broadcasting systems, the New Korean Wave (Hallyu 2.0) era has been brought by K-pop (Korean popular music) via the rapid growth of social medi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impact of this significant shift in media on global fans and their way of adopting Korean cultural goods from a social capital perspective, in order to draw some implications for the current Korean content industries. Most global fans of K-pop are young and use social media to access digital content and share their opinions spontaneously. SNS providers such as YouTube and Facebook not only act as information providers to usher the fans to online music retailers; but also function as links between these fans and cultural producers by turning bonding social capital into bridging social capital. Telecommunication and advertising companies participate in this market as a third party by providing funds for supporting digital circulation and distribution. In this multi-sided market with the interdependent agents, it is extremely important to secure a platform that leads the evolution of its business ecology. Without owning the platform, there is also a very little chance to produce linking social capital as a means to maximize the impact of New Korean Wave. 드라마 위주의 방송을 매체로 한 이전의 한류와 달리, 케이팝을 중심으로 한 신한류의 확산은 소셜미디어를 통해 이루어졌다. 본 논문은 이러한 확산 방식의 차이가 사회자본 관점에서 한류의 수용층과 수용방식에 어떻게 영향을 미쳤는지 고찰하고, 이를 토대로 콘텐츠 산업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소셜미디어를 통한 신한류의 수용자들은 자발적으로 케이팝을 찾아 공유하고 자신들의 의사를 표출하는 젊은 열성 팬들로 구성된다. 유튜브나 페이스북과 같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 기업들은 이들을 결속형에서 교량형 사회자본으로 변화시켜, 음원제공 사이트에서 케이팝의 판매를 촉진하는 정보제공자의 역할을 한다. 통신사와 광고주는 이러한 시장에 제3자로 참여하여 미디어가 소비자들 사이에서 유통될 수 있도록 자금을 지원한다. 이처럼 서로가 서로를 지원하는 다면시장에서 생태계의 변화를 유도하는 플랫폼의 확보 없이는 신한류의 파급효과를 극대화하는 연계형 사회자본 형성은 어려울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