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70년대 노동현실을 여성의 목소리로 기억/기록하기: 여성문학(사)의 외연 확장과 70년대 여성노동자 수기

        김양선 한국여성문학학회 2016 여성문학연구 Vol.37 No.-

        This paper tries to read the latent cracks and various aspects in the memoirs on the ‘literary’ position. And through this trial, I want to define these memoirs which have not entered into the institutionalized literary field as the one of women’s literary history. The texts are as follows.; Seok Jeongnam’s The Light of Factory, ‘I want to live as human’, ‘the burning tears’ published in <Daehwa(Dialog)>, Jang Namu’s Deprived Workplace, Song Hyosoon’s The Way to Seoul. In chapter 2 ‘Between the desire for self improvement, being a man-machine and sentimental nostalgia’, I notice that there are desire for culture and intelligence, the desire for self-development and self-discipline. The frugality, savings, and the wish for best worker means that this girl worker has been trapped the watch time of industrialization era and the man-machine system. However, whenever she forces her body to equalize in the industrialized plant system, she reminded of hometown and miss her mother. Through the emotional and sensual portrayal, the longing for mother and nostalgia for a rural village takes on concreteness. In chapter 3 ‘being literary women, practice of writing women’, Seok Jeongnam and Jang Namsu’s reading, especially reading literary works did various roles from romantic longing toward literature to the establishment of identity as laborers. The act of reading literary works motivated them to do writing practice, and to memorize and record laborer’s situation and movement. In chapter 4 ‘the collective memory/documentary about laborer movement and the territorial expansion of literature’, I notice that the memoirs mixed the literature and its outside writings like drama script, statement, fight journals, court judgments, etc. These writings try to mix various sub genres to maintain the objectivity as the public record, and to convey specific messages. The self-history narratives of fellow women workers on The Way to Seoul obtain a publicity, complementing each other’s narratives, showing the typicality of women workers’ life in 1970s. These formal attempts have resulted in extending the territory of literature. In conclusion, women laborer’s memoirs in 1970s should be recorded as a case that the women growed themselves as subjects of knowledges and writing. Their memoirs can be evaluated that expanding the territory of women’s literary history. 본고는 1970년대 여성노동자 수기에 잠복된 균열과 다양한 결, 문학에 대한 열망을 적극적으로 읽음으로써 제도화된 문학 장으로 진입하지 못 한 이 기록물들을 (여성)문학(사)의 영역으로 끌어들이고자 한다. 대상 텍스트는 석정남의 『공장의 불빛』, 『공장의 불빛』 출간 전에 『대화』에 게재되었던 「인간답게 살고 싶다」, 「불타는 눈물」, 장남수의 『빼앗긴 일터』, 송효순의 『서울로 가는 길』이다. 2장 ‘자기 계발과 인간-기계 되기에 대한 욕망과 감상적 향수 의식 사이’에서는 수기에 드러난 교양과 지성을 쌓으려는 욕망, 자기 수양과 자기 계발을 위한 욕망에 주목했다. 절약과 저축, 자기 일의 영역에서 최고가 되고 싶다는 다짐 내지 소망은 여성노동자가 산업화와 근대화가 요구하는 시계 시간, 그리고 인간-기계의 시스템에 포획되었음을 환기한다. 그런데 자신의 신체를 산업화된 공장의 시스템에 맞춰야 하는 이들은 힘들 때마다 자신이 떠나온 고향을 떠올리고 어머니를 그리워한다. 어머니에 대한 그리움과 떠나온 농촌 마을에 대한 향수는 감성적이고 감각적인 묘사를 통해 구체성을 띠게 된다. 3장 ‘문학하는 여성, 글 쓰는 여성되기의 실천’에서는 석정남과 장남수의 수기에서 독서, 특히 문학 작품 읽기가 문학소녀 취향의 낭만적 동경에서부터 노동자로서의 정체성 확립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역할을 한다고 보았다. 문학 작품 읽기는 이들이 글 쓰는 여성이 될 수 있었던 원천이자 당대 노동 현실과 운동을 기억, 기록할 수 있는 내적 동인으로 작용한다. 4장 ‘노동운동에 대한 집단 기억/기록물과 문학의 영토 확장’에서는 수기가 공적 기록물로서의 객관성을 담보하는 과정에서 문학과 문학 외부의 것을 가로지르고 섞는, 일종의 장르혼합 양상을 띠었다는 점에 주목했다. 수기 텍스트 안에는 특정한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해서 연극대본, 시, 대담, 선언문, 투쟁일지, 법정판결문 등이 삽입되어 있다. 한편 『서울로 가는 길』에 기술된 동료 여성노동자들의 자기 서사는 서로를 보완하면서 1970년대 여성노동자의 삶의 전형성을 보여주는 공공성을 획득하게 된다. 이런 다양한 형식적 시도들은 문학의 영토를 확장하는 결과를 낳았다. 결론적으로 70년대 여성노동자 수기는 여성이 앎과 글쓰기의 주체로 스스로 성장해 간 사례로 기록되어야 하며, 여성문학사의 외연을 확장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표준보육과정과 2007년 개정유치원교육과정에 반영된 유아문학교육의 의미 분석

        임영심 ( Young Sim Lim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09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0 No.2

        본 연구는 국가수준 유아교육과정의 성격, 목표, 내용에 유아문학교육이 어떻게 반영되어 있는지를 분석해봄으로써 유아문학교육에 대한 교육적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분석대상은 국가수준의 유아교육과정인 표준보육과정(2005, 여성부)과 2007년 개정유치원교육과정(2008, 교육과학기술부) 및 유치원교육과정해설III(2008)로 하였으며, 분석의 범위는 표준보육과정의 의사소통영역, 예술경험영역과 2007년 개정유치원교육과정의 언어생활영역과 표현생활영역의 성격, 목표, 내용으로 하였다. 분석의 결과, 첫째, 현재 표준보육과정의 의사소통영역, 유치원교육과정의 언어생활의 성격, 목표, 내용에 반영되어 있는 유아문학교육은 유아언어교육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의 기능은 충분할지 모르지만 유아문학교육의 본질적 목표를 달성하기엔 미흡하며 문학 예술적 기능을 소홀히 다루게 될 우려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육과정의 성격, 목표, 내용에 반영된 유아문학교육은 아동중심교육철학을 실천하기 위한 좋은 자원이 될 수 있음을 내포하고 있었으며, 표준보육과정의 의사소통영역과 유치원교육과정의 언어생활을 지원하는 좋은 자원이 될 수 있음을 강조하고 있었다. 셋째, 1969년 1차 유치원교육과정의 탄생 이후 최초로 유아교육과정내용에 ‘문학’의 용어가 사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유아교육과정 내에서 유아문학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유아문학의 의미해석을 시도하는 단초를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고무적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유아교사가 유아문학교육의 본질적 목표와 내용을 통합 운영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유아교육과정은 의사소통영역 및 언어생활과 예술경험영역 및 표현생활이 유기적이고도 통합적으로 연결되도록 재정립하여 유아들의 문학교육활동이 문학예술활동이면서 동시에 언어 예술활동으로 발현될 수 있도록 도와야 할 것이다. Young children`s literature could present a direction for a reconstruction of aesthetic appreciational experiences on a basis of literate imagination rather than a simple delivery of their mean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et some educational suggestions by analyzing how young children`s literature education is reflected on the characteristics, goals and contents of Standard Educare Curriculum, Kindergarten Curriculum as a national level curriculum. The objects of analysis are Standard Educare Curriculum(2005,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 Introduction of Kindergarten Curriculum revised in 2007 (2008,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and The Commentary of Kindergarten Curriculum III (2008). The category of analysis is including a field of communication and art experience of Standard Educare Curriculum, as much as the characteristics, goals and contents of a field of linguistic life and expressional life of Kindergarten Curriculum. The Results of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a field of communication of Standard Educare Curriculum and young children`s literature education reflected on the characteristics, goals and contents of linguistic life might be a sufficient function of reaching a goal of young children`s linguistic education. But they are insufficient for achieving a essential goal of young children`s literature education and literal artistic function is thought to be worried over neglecting its value. Second, young children`s literature education may be an excellent resources to practice a child-focusing education philosophy and is emphasizing to support a field of communication of Standard Educare Curriculum and a linguistic life of Kindergarten Curriculum. Third, the term of "Literature" is used first on young children`s curriculum after the born of first Young Children`s Curriculum in 1969. It is seems to be encouraging to make an implication of analyzing a meaning of young children`s literature education in young children`s education. Young children`s education should be clearly established for connecting a field of communication with that of art experience systematically and coordinately. It will be so useful for teachers to coordinate an essential goals and contents of young children`s literature education. The activities of young children`s literature education should be manifested and enjoyed as both literal artistic and linguistic artistic activities.

      • KCI등재

        청소년 문학의 향유 맥락과 문학교육적 함의

        오윤주 한국문학교육학회 2018 문학교육학 Vol.0 No.58

        이 연구는 청소년 문학의 향유 맥락을 살피고 그 문학교육적 함의를 모색하는 데에 목적을 둔다. 문학교육의 목표가 교실을 넘어 소설 문화를 스스로 향유하는 평생 독자를 기르는 것이라면, 청소년 문학을 통한 독자층의 형성은 학교 안과 밖을 아우르는 중요한 문학 교육의 전제가 된다. 그러나 청소년 문학은 어른들이 바라는 청소년의 모습을 반영하여 계도의 관점으로 치우치거나 학습과 지나치게 긴밀하게 묶이면서 본래의 문학적 본질로부터 멀어지기도 하였다. 청소년이 당사자로서 자신의 목소리를 내며, 자신의 문제를 해결하는 문학을 향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청소년 문학 및 문학 교육의 새로운 변화가 요청된다. 무엇보다도 청소년을 계도하고 훈육해야 할 미완의 존재이자 어떻게든 포박하고 이 세계 내로 불러들여야 할 불온한 타자로 볼 것이 아니라 그 자체로 온전한 의미를 갖는 현재형의 주체로 존중하는 패러다임의 변화가 필요하다. 이는 문학 교육 전체의 판도를 바꾸는 것이며, 그보다 더 나아가 교육과 사회, 그리고 삶을 바라보는 관점을 전환하는 일이다.

      • KCI등재

        평생학습 시대의 초등 문학능력과 평가의 기능

        진선희 한국문학교육학회 2018 문학교육학 Vol.0 No.58

        이 연구는 ‘평생학습’시대의 초등 단계의 문학능력과 문학교육의 평가 기능을 탐색하였다. 특히 초등의 문학교육에서 길러주어야 할 평생학습 요소로서 ‘문학의 즐거움’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미래사회에 초등문학교육에서 평가가 갖추어야 할 기능도 정리해 보았다. 미래사회의 특징과 평생학습의 의미를 탐색하였다. 인류는 ‘소유’가 아닌 ‘존재’로서의 삶을 살아가기 위해 ‘평생학습’시대를 맞이하고 있다. 특히 초등문학 교육에서 평생학습시대에 교육해야할 문학능력인 ‘문학의 즐거움’에 대해 기존 교육과정 탐색을 바탕으로 세 가지 유형을 제시하였다. 즉, ‘문학 자체의 즐거움’, ‘문학이 삶에 대해 이야기 하고 있음을 깨닫는 즐거움’, ‘문학이 주는 독자와 공동체를 비추어보게 하는 즐거움’을 초등에서 강조하여야 할 대표적 문학능력으로 제시하였다. 또 ‘문학의 즐거움’이라는 문학능력을 기르기 위한 초등 문학교육에서의 평가가 가져야할 기능을 네 가지로 정리하였다. 즉 문학이 인간의 삶을 성찰하고 소통하는 즐거움을 준다는 점을 경험하고 깨닫도록 하는 평가, 학생 개개인의 문학적 즐거움의 특성을 확인하는 과정으로서 평가, 문학경험에 대한 자신감을 제공하는 평가, 문학과 독자의 유기적 친연성을 강조하는 평가를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at finding out the functions of the elementary literary evaluations and literary competence. Especially I focused on ‘the pleasure of literature’ which should be cultivated in elementary literature education. Of course I arranged the functions of the evaluation in future elementary literature education as belows. The human-beings must live the lives not as ‘to have’ but as ‘to be’ in future periods. The lives of ‘to be’ could be achieved by the experiencing pleasure of literature. I suggested 3 types of the pleasure of literature. That were the pleasure of literature itself, the pleasure of the awakening of life by the literature and the pleasure of introspections that the literature gave to the readers and societies. Conclusionally I suggested the functions of evaluation which could cultivate the pleasure of literature as 4 types. That is the evaluations which could find out the pupils experienced the pleasure to introspect and communicate from the literature, the evaluations to identify the pleasure of the individual pupil, the evaluations which could give the pupils the confidence in literary experience and the evaluations which could emphasize the organic affinity between the literatures and readers.

      • KCI등재

        문학 언어의 정치적 가능성에 대한 시론

        정민구(Jeong, Min-gu) 전남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2017 전남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학술지 어문논총 Vol.- No.31

        본 논문은 문학=언어를 의사소통의 특수한 도구가 아니라 의사소통의 보편적 현상(활동)으로 전제한다. 문학 언어에 관한 기존의 관점들에 노정되어 있는 것처럼, 문학 언어는 특수한 언어로 구성되어 있다고 간주하거나 문학의 언어가 정치적인 역량을 가지고 있다고 기대하는 방식은 그것을 항상 ‘보이지 않는 것’, ‘암호화된 것’, ‘개별적인 것’으로 잔존하게 만든다. 그러나 만약 문학 언어라는 형식이 우리들의 삶에 어떤 구원을 줄 수 있는 것이라면, 그것은 오히려 ‘보이는 것’, ‘판독된 것’, ‘보편적인 것’이어야 한다. 그것이 진정한 구원의 방식이다. 문학 언어가 보편적인 구원을 수행하는 자리에서, 그 언어는 ‘문학의’ 언어가 아니라 ‘아무나의’ 언어가 된다. 따라서 문학 언어의 정치적 가능성은 우선적으로 ‘문학의 언어’에서 ‘문학과 언어’로 옮겨가는 인식론적 전환을 통해 모색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assumes that literature=language is not a special tool of communication but a universal phenomenon of communication (activity). As included in existing perspectives on literary language, the way in which literary language is considered to be composed of a particular language or language of literature is presumed to have political competence makes it always "invisible", "encrypted" or "individual". But if the form of literary language is something that can deliver salvation to our lives, it should rather be `visible`, `decrypted`, or `universal`. The universal way of salvation in the true sense would be like that. In the place where literary language performs universal salvation, it becomes the language of `everyone` rather than the language of `literature`. Therefore, the political possibilities of literary language can be searched first through the epistemological turn from `language of literature` to `literature and language`.

      • KCI등재

        일반 논문 : 현단계 현대문학 연구의 새 방향

        박태일 ( Tae Il Park ) 현대문학이론학회 2010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42

        본 논고는 세계화 지형 아래인 현단계 한국 현대문학 연구의 새로운 방향을 찾고자 하는 목표 아래 이루어졌다. 첫째, 학술 용어의 갱신이다. 이 일은 일반 용어 다듬기와 문학사 기술 용어 바루기로 나눌 수 있다. 쉽고 바른 토박이말을 가려 쓰고 우리가 주체가 된 역사용어를 골라 쓰는 데 힘을 기울여야 한다. 둘째, 북한문학은 지역문학이라는 층위에서 다루어야 한다. 이제까지 북한문학은 서울 중심화나 평양 중심화 논리에 따라 이중으로 억눌린 자리였다. 지역문학 연구는 그 점을 넘어 통일문학사를 겨냥할 주요 디딤돌을 놓을 전망이다. 셋째, 부왜문학 연구에서는 바탕을 넓히는 일이 급하다. 이를 위해 제국주의 수탈기구에서 낸 군소 매체에 걸친 1차 문헌 발굴과 일본어/한문어로 된 이중언어 문학을 갈무리하는 포괄적 정보 축적이 필요하다. 넷째, 어린이문학의 연구 방향이 깊어져야 한다. 갈래 안쪽으로는 유아, 청소년과 같은 세대문학론을 굳히고, 갈래 바깥으로는 어린이문학과 어른문학 사이 통합 시각을 갖출 일이다. 이러한 네 방향은 우리 현대문학 연구가 세계화 지형 아래서 담론 주도권을 튼튼하게 이어가기 위해 바쁜 미시 과제다. 연구자 한 사람 한 사람이 각고를 다할 일이다. It has been over 60 years since research of modern Korean literature started. So far, research of modern Korean literature was mainly done with help of imported foreign theories. However, stream of globalization demands self-examination about this academic phenomena. This writing aims to look around 4 tasks which research of modern Korean literature should overcome under the stream of globalization. First of all, renewal of academic terms is needed. Nowadays, globalization causes considerable damage to Korean language. Use of accurate academic term is essential in this situation not only for Korean academic identity itself but also to make research of Korean literature an international discussion. Improvement of general terms and correct use of technical terms are included in renewal of academic terms. Second, North Korean literature should be dealt as a regional literature. So far, research for North Korean literature has been locked in macro criterion of Marxism-Leninism literature. The research was distorted by Seoul-oriented or Pyongyan-oriented logic. Nevertheless, regional literature research would improve history of unified literature. Third, pro-japanese literature is reality in the past, presents, and future simultaneously. Hence, it is important to lay the foundation for pro-japanese literature research. The key point for pro-japanese literature research is discovery of primary references and investigation or accumulation of literature by Japanese or Chinese character. Fourth, children`s literature should be deepen. From inner part aspect, we need to subdivide research categories by introducing generation literary theory such as childhood literature and adolescent literature. From outer part aspect, it is time to focus on integrated research by demolishing the wall between children`s literature and adult`s literature. Above four tasks are essential for research of modern Korean literature to enhance self-generation ability and to keep discourse hegemony under the globalization. Globalization forces us to look around our literature multidirectionally at a higher level. Effort of each and every researcher is needed.

      • KCI등재

        한국전쟁기 문학독본과 문학교육 : 한국전쟁기 독본 연구 2

        이순욱 한국문학회 2014 韓國文學論叢 Vol.66 No.-

        두루 알다시피 문학독본은 과거와 현재의 대표 작품을 수록하고 있다. 교과서와 마찬가지로 문학독본은 정전 형성 논리를 확인할 수 있는 주요한 매체 가운데 하나다. 편집자의 이념적 성향과 문학적 관점, 이를 뒷받침하는 문학사회의 이데올로기, 사회 정치적 상황, 출판 매체자본과 교육제도 동에 따라 수록 작가와 내용 구성에서 일정한 차이를 노정한다. 이 글은 한국전쟁기에 발간된 19종의 문학독본의 성격과 특성을 개관하고, 『조선현대시선』을 중심으로 문학독본의 특이성과 문학교육의 관련성을 해명하고자 했다. 한국전쟁기 문학독본은 학교현장에서 국어과 부독본으로 사용할 목적으로 발간되었을 뿐만 아니라 일반 대중에게 특정 이념이나 지식을 알기 쉽게 전달할 목적으로 출간되었다. 하지만 교과서에 비해 애국주의와 국가주의적 시선은 잃게 드리워져 있었다. 그런데도 문단재면의 논리를 반영하여 학생들에게 특정한 문학 지식과 교양을 전달하고 있다는 점에서 정훈적 성격 또한 지니고 있다. 중등학교 '국어 참고용' 혹은 '중등국어 부독본', '일반남녀 중학교 교재용', "고둥학교 국어 부독본"으로 사용하기 위해 발간된 문학독본이 바로 그것이다. 『중둥문예독본』, 『문학독본』, 『중동문학독본』, 『여학생문학독본』, 『중학생 문예독본』, 『고동 문예독본』, 『현대문예독본』이 대표적이다. 일반적으로 문학정전은 문학 내적요소와 사회 정치적 상황과 문학사회의 이데올로기 동의 외적 요소가 복잡한 방식으로 상호작용하는 해석과 선택과정의 결과로 볼 수 있다. 그런 까닭에 이러한 문학독본은 대체로 단정 수립 이후 국가이데올로기와 문학사회 재편의 결과를 반영한 문학정전을 구축하고 있었다. 따라서 수록 작가나 작품이 근대문학사를 재편하고 체계화한 문협정통파의 이데올로기를 반영하는 것은 지극히 자연스러운 일이다. 반면, 대학 교재로 사용된 『조선현대시선』은 편집 원칙과 수록 대상에서 중고등 문학독본과는 일정한 차이점 을 지니고 있었다. 단정 수립 이 후 문학 정전의 형성이 이데올로기적 요청과 필연적인 관련성을 지닌다고 볼 때, 특히 『조선현대시선』의 경우에는 월북, 재북, 입북시인을 수록하고 있다는 점에서 다분히 정치적이라 할 만하다. 비록 학회의 회원들에게 손에 넣기 어려운 시들을 소개하는 데 목적을 두었고 유인본으로 간행되었다 하더라도, 단정 수립 이후 작동된 정전 형성의 논리를 여지없이 허물어뜨리고 있었다. 이는 서정주의 『현대조선명시선』이나 임학수의 『시집』을 통해 에서 구축된 근대 시문학 정전텍스트와는 확연히 구분되는 자리다. 당대의 정치적 이념과 문학 재편 결과를 배제함으로써 온전한 근대시문학사를 구축하고자 한 노력의 산물로 읽힌다. Literary readers are known to feature the past and contemporary literary works. Just like textbooks, literary readers are one of the important media to find out the logic behind the canon formation. They revealed a distinct difference in the selection of writers and contents according to editor's ideological tendency and literary perspective, the ideology supporting the literary circles, sociopolitical situation, publishing media capital and educational system This study aims at explo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19 literary readers published during the Korean War period and shedding a light on the distinctive features of literary readers and their connection with literature education focusing on 『Joseon contemporary Anthology』 During the Korean War peri여, literary readers were published not only as a supplementary reader for Korean Language at school but also as a medium to easily transmit knowledge or specific ideology to the public. Compared to textbooks, however, the patriotic and nationalistic views were less pervasive. In a way, they were like the troop information and education as they delivered specific knowledge and liberal arts to students based on the logic for the literary circles realignment. Literary readers in this sense include 'Reference for Korean Textbook' for middle school or 'Supplementary Reader for Middle School Korean Textbook,' 'Textbook for Boys and Girls Middle Schools' or 'Supplementary Reader for High School Korean.' Cases in point are 『Middle School Literary Reader』, 『Literary Reader』, 『Middle School Literary Reader』, 『Girls' Literary Reader』, 『Middle School Students' Literary Reader』, 『High School Literary Selections』, 『Contemporary Literary Selections』. In general, literary canons can be seen as an outcome of interpretation and selection in the process of complicated interaction between literary internal factors and external conditions including socipolitical situation and ideologies of the literary circles. These literary readers tend to form the literary canon that reflected the ideology chosen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independent Korean government and the realignment of the literary circles. Therefore, it is natural that the selected writers and literary works mirrored the ideology of the orthodox faction of the Korean Literary Association which restructured and systemized the modem literary history. On the other hand, 『Joseon Contemporary Poetry Anthology』which were used as college textbooks displayed some differences from liter따y readers for middle and high schools in terms of editing principles and selection of works. Given that the canon formation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independent Korean government represent어 ideological requests and inevitable relevance, it is fair to say that 『Joseon Contemporary Poetry Anthology』was particularly political as it contains literary works of poets who defected to or stayed in North Korea. Even though its purpose was to introduce poems that were hard to find at the time to the members of the society as printed materials, it defied the dominant logic behind the canon formation at the time. In other words, it can be distinguished from modem poetry canon texts established by Seo Jeong-ju's 『Contemporary Joseon Poetry Anthology』or Im Hak-su's 『Collection of Poems』. This can be interpreted as a product of efforts to write a complete literary history of modem poetry by excluding any political ideologies or outcomes from the literary circles realignment.

      • KCI등재

        김현 비평에서 “공감의 비평”론과 “현실 부정의 힘으로서의 문학”론의 상관성 연구 -아도르노 미학과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한래희 ( Lae-hee Han ) 한국문학연구학회 2014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53

        이 글은 김현의 『문학과 유토피아』라는 평론집에 ‘공감의 비평’이라는 부제가 붙어 있는 이유가 무엇일까라는 의문에서 시작되었다. ‘문학은 유토피아에 대한 꿈’이라는 명제가 문학의 사회적 역할에 관한 것이고 ‘공감의 비평’이 김현이 비평가로서 작품을 대할 때 지향하는 태도와 관련된 것이라고 할 때 제목과 부제의 연관성은 겉보기보다 이해하기 쉽지 않다. 이런 문제의식 하에 본고는 ‘공감의 비평’이 ‘현실 부정의 힘으로서의 문학’론과 어떻게 연결되며 그것이 가진 비평사적 의미와 한계는 무엇인지에 대해 탐구해 보았다. 이를 위해 김현이 문학론을 정립할 때 영향을 받았던 아도르노 미학의 주요 개념을 살펴보고 그것을 김현이 어떻게 수용, 재구성하였는지에 대한 논의를 우선적으로 진행하였다. 수수께끼, 가상, 비존재자의 드러남, 유토피아 등의 아도르노적 개념의 관계에 대한 분석을 통해 아도르노 미학에서 예술이 사회에 대한 부정이 될 수 있는 것은 예술이 사회에서 물화의 상태에 빠진 존재자와 다른 ‘비존재자’를 드러내고 현실에서는 불가능한 ‘초월’을 경험할 수 있기 때문이라는 점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문학과 사회의 관계에 대한 김현의 비평적 태도의 특징을 파악하기 위해 김현이 아도르노 미학을 어떤 방식으로 수용, 재해석하고 있는가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였다. 김현이 아도르노 이론에 주목했던 것은 직접적 방법을 통한 문학의 사회 참여가 예술이 자기를 부정하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는 통찰이다. 부정적 사회에 대한 저항과 부정은 형식을 통한 형상화를 통해서만 가능하다는 아도르노적 관점은 김현이 문학적 형식을 강조하게 된 이론적 배경을 제공한다. 그런데 문학적 형상화가 사회에 대한 부정으로 기능하기 위해서는 매개가 필요한데 김현 비평에서 그것은 본질을 형태 속에 잡아내려는 의지이다. 이런 의지는 예술 탄생의 내재적 요인이 아리라는 점에서 아도르노 미학과 김현 비평이 갈라지는 지점이 된다. 이렇게 미적 계기와 구별되는 요소로서의 의지가 주체의 ‘감시’와 ‘반성’에 의해 보충될 때 비로소 문학적 체험은 사회에 대한 부정이 될 수 있는데 여기서는 김지하의 시 <무화과>에 대한 김현의 평론에 대한 분석을 통해 공감의 비평이 사회를 부정하는 힘으로서의 문학론과 연결되는 양상과 조건을 살펴보았다. 공감의 비평은 미적 가상을 통한 화해의 체험이지만 그런 화해는 불가능한 비존재를 통한 초월이라는 점에서 허위의식으로서의 화해이기도 하다. 화해이자 허위의식인 공감의 비평이 부정적 사회와의 싸움의 계기가 되려면 매개 고리가 필요한데 그것이 자기 대상화를 통한 욕망의 분석과 ‘고문하는 의식’을 통한 자기반성이고 이것이 김현의 공감의 비평을 사회 부정의 힘으로서의 문학론과 연결시키는 매개임을 살펴보았다. 문학을 통한 초월이 하나의 ‘물신’으로 전락할 수 있다는 점에 대한 경계, 예술은 허위의 진실을 진실의 허위성에 대한 인식으로 바꾸는 과정이라는 김현의 문학적 입장은 문학이 물신이기를 자처하는 오늘의 사회적 현실에 그의 비평이 던지는 메시지 중 하나일 것이다. This thesis is to understand why Kim Hyun`s book, ‘Literature and utopia’ has a subtitle criticism of sympathy. It seems that there is not any relationship between the title and subtitle because the title ‘Literature and utopia’ means literature is the dream about utopia, and the subtitle is related with the attitude toward literary work. The main theme of this thesis is the relationship between criticism of sympathy and the Kim Hyun`s theory of the literature as the power of reality negation. The theory of Th. W. Adorno has a big impact on the Kim Hyun`s criticism. First of all, I examine how Kim Hyun adopt and reinterpret he theory of Th. W. Adorno. The main concept of Adorno`s aesthetics is the puzzle, aesthetic illusion, revelation of nonexistence. In Adorno`s aesthetics, the reason art is the antithesis of society is that art reveals the nonexistence and we can experience the transcendence which is impossible in real world. Kim Hyun`s theory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iterature and the society is another main issue. Understanding the way Kim Hyun adopt and reconstruct the Adorno`s theory is a good way to grasp the issue. Kim Hyun is influenced by the Adorno`s idea that the direct participation in society could bring about the self-negation of art. Adorno`s theory that the resistance through the literary form is the only way to fight the oppressive society contributes the formation of Kim Hyun`s literary theory. Kim Hyun emphasize the will to capture the essence of the reality. This will is the intersection between Adorno and Kim Hyun. Reflection is another important factor for literature`s function as negation of society. We can understand the relationship Criticism of sympathy and Literature as negation of society in Kim Hyun`s criticismby analysing of Kim Hyun`s essay on the poem ‘fig’. Criticism of sympathy is the experience of transcendence through the aesthetic form, but it also means false awareness because such transcendence is not real. There needs to be an intermediation between the criticism of sympathy and the theory of literature as negation of society. Self-reflection and torture is the key of that intermediation.

      • KCI등재후보

        中韓古典文學妓女形象分析 -以女性對男性的救贖爲中心

        진려 단국대학교 한국문화기술연구소 2013 한국문화기술 Vol.15 No.-

        중·한 양국은 유교사상의 영향을 많이 받아 가부장제 의식이 강하다. 여성은 스스로 운명을 결정할 수 없었고, 인신매매의 대상으로 되어버리거나 남성의 놀이 감으로 몰락되는 경우가 흔하다. 특히 기생들의 운명은 더욱 그렇다. 중·한 양국 문학 작품에 여성의 비극을 그려준 작품들이 많이 있다. 한편, 중·한 양국 문학작품에 등장한 여성 주인공은, 독립적이고 자주적인 삶의 모습을 보여주는 경우도 적지 않다. 이런 작품은 흔히 여성을 스스로 운명을 결정할 수 있는 사람으로 등장시키고, 여성의 신분으로 남성을 구원하기도 한다. 그러므로 여성 주인공은 자신의 행동을 통하여 자신의 존재 가치를 보여주면서 남성한테서 인정을 받기도 한다. 가부장제 사상이 강한 중·한 양국의 현실 세계에서 여성의 신분으로 남성을 구원한다는 것은 보기 어렵다. 그러면 중·한 양국의 일부 작가가기생 출신 여성이 남성을 구원하였다는 인물로 형상화 시키는 이유는 무엇일까? 이에 그 이유를 밝힘으로써 당시의 사회 모습을 파악하고 당대여성의 사회 지위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와 더불어 작가의 창작세계 안에 흐르고 있는 여성 의식 및 현대 여성의 자주 의식을 깨우치는 데도 도움이 되지 않을까 한다. 본고는 주로 중국의 『李娃傳』·『警世通言』卷三에 수록한 『趙春兒重旺曹家莊』·『柳如是別傳』·『桃花扇』, 한국의 『玉丹春』·『洞仙記』·『玉樓夢』등 7편의 고전 소설에서 기생으로 등장한 8명의 여성주인공을 대상으로, 여성으로서 남성을 구원하고 자신의 가치를 과시하며 남성한테서 인정을 받게 된 이유를 살펴보고자 한다. 대개 이는 작품에서 사회 현실을 재현 한 것이고, 작자의 의식을 고스란히 보여 준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상기 8명 여성 주인공은 위기에 빠진 남성을 구원한 여성, 남성이 성공을 달성할 수 있도록 도와준 여성, 민족정절을 지킨 여성 등 3가지로 유형화 시킬 수 있다. 상기 작품에 대한 분석을 통해 중·한 작가가 각기 무엇 때문에 여성의 신분으로 남성을 구원하는 작품을 구조화시켰고, 또한 어떻게 구조화시켰는지를 파악함으로써 당대의 시대상과 당대 여성의 사회 지위를 살펴보고, 작자의 여성 의식과 창작 의식을 밝혀보고자 한다. 中韓兩國古代由於深受儒家思想影響,女性始終處於被男性支配的地位,女性不僅不能自主決定自己的命運,甚至經常被當作“貨物”與“工具”,特別是作爲妓女的女性,저們更是無法掌控自身的命運。中韓兩國的古典文學作品中出現了許多被男性掌控自身命運的妓女形象,但與之相反,中韓兩國有關描寫妓女的文學作品中,也有壹些作品把地位卑賤的妓女塑造成獨立自主的女性,저們不僅能自主決定自己的命運,而且還能影響決定著男權社會的掌控者男性的命運,저們用自己的行動實現了對男權社會掌控者男性的完美救贖,在這個對男性完美救贖的過程中,저們不僅救贖了男性,而且還實現了自身的價値。通過女性對男性救贖主題的硏究我們不僅可以還原當時的社會風貌、了解女性的社會地位,透視作者內心深處的潛在想法以及作者的女性立場,還可以以此계迪現代女性的自我獨立意識。本文選取與女性對男性救贖這壹主題相關的中韓古典文學作品中的妓女主人公作爲硏究對象,主要涉及的中國古典文學作品中的妓女主人公有四位,分別是『李娃傳』中的李娃、『警世通言』卷三『趙春兒重旺曹家莊』中的趙春兒、『柳如是別傳』中的柳如是以及『桃花扇』中的李香君,涉及的韓國古典文學作品中的妓女主人公也有四位,分別是『玉樓夢』中的江南紅和碧城仙、『玉丹春』中的玉丹春以及『洞仙記』中的洞仙。本論文通過對這壹主題相關小說的硏究,探究出了這壹主題文學作品被創作的社會及個人原因:壹社會現實在文學作品中的重現;二作者個人的原因。同時通過對這八位女主人公的進壹步細致解讀和硏究,將這八位女主人公分爲三個類型:壹拯救男性於危難之時型;二協助男性功成名就型;③堅守民族氣節型。通過對八位女主人公進行分類硏究後再進壹步探究出了女性對男性救贖這壹文學主題的中韓差異及原因,병由此透視當時的社會風貌、女性的社會地以及作家女性立場及作家意識等。

      • KCI등재

        만주문학, ‘향토’서사로 다시 읽기 —량산딩(梁山丁)의 문학주장과 작품을 중심으로—

        정겨울 만주학회 2020 만주연구 Vol.- No.30

        Although research on Manchurian literature has been actively carried out in China recently, under political influence since the 1980’s it has generally done conducted from the polarised anti-Japanese or pro-Japanese perspective, without detailed analysis of the text in local context. With this situation, this study aims to explains the process and characteristics of the formation of Manchurian local literature, and based on this, attempts to reinterpret Liang Shanding’s novel The Valley of Green, setting emphasis on how author reproduces Manchurian local colours, a consideration of people and reflections of contemporary Manchurian society. For this, it firstly looks back on the process of the formation of Chinese local literature, analyses what connection this forms with contemporary literature in Russia and Japan, then discovering unique characteristics of narrative of Manchurian local literature. Finally, it suggests the possibility of applying various research methods to the study of literature in Manchukuo, which could lead to the discovery of new dimensions of the Manchurian local literature. 전쟁과 식민지라는 특수한 역사적 배경 하에 전개된 만주국의 문학은 당시 만주 지역의 복잡하고 다양한 사회・정치・문화 현상을 포괄하고 있다. 식민 지배라는 암울한 상황 속에서 만주국 문단에 등장한 중국인 작가들은 자신들의 민족적 고유성과 지역적 색채를 보존하는 방식으로 ‘향토문학’을 주장한다. 특히 1930년대 후반에 전개된 만주국 내 향토문학 논쟁은 ‘향토’ 개념에 대한 이들의 서로 다른 인식을 드러내는 계기가 되었으며, 이들이 주장하는 향토문학은 중국 문학의 전통을 비롯해 러시아, 일본 문학 등의 영향을 받으며 그 독자적 개념과 의미를 구축해 나간다. 이에 근거하여 본 논문은 당시 만주국에서 활발한 활동을 전개했던 중국인 작가 량산딩(梁山丁)과 그의 ‘향토문학’ 주장에 주목하며 그 속에 담긴 지역문화의 특색과 독자적 의미를 파악하고, 작가가 바라본 만주국 향토사회에 대한 고찰을 시도한다. 이에 대한 심도 있는 이해를 위해 만주국의 향토문학이 관내(關內)의 향토문학과 지니는 차이점을 고려하고, 량산딩이 주장하는 향토문학이 러시아, 일본의 문학과 어떠한 접점을 지니고 있는지 살펴본다. 나아가 이러한 문학 주장 속에서 ‘향토’의 개념과 인식이 변화하는 양상과 그 수용 과정을 되짚어 본다. 본고는 이러한 내용을 토대로 만주문학 내 향토문학의 특징을 이해하고 만주국 향토문학 연구에 대한 새로운 해석과 평가의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