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문제행동을 가진 아동과 일반아동의 학교 생활화 반응 특성 연구

        김기보 한국예술치료학회 2013 한국예술치료학회지 Vol.13 No.1

        본 연구는 초등학교에서 문제행동을 가진 아동을 조기에 발견하고 치료하기 위해서, 적은 시간과 간편하게 실시할 수 있는 KSD를 사용하여 문제행동을 가진 아동과 일반 아동의 그림상의 차이를 살펴보려고 한다. 연구를 위해 초등학교 4학년 남 25명, 여 22명으로 총 47명을 아동;청소년 행동평가척도(K-CBCL) 활용하여 독립표본 T검정 (Independent samplet-test)으로 문제행동을 가진 아동집단과 일반 아동집단의 차이를 검정하고, 두 집단의 학교생활화(KSD)에 나타난 표현상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자료 분석은 본 연구의 자료는 설문지를 통하여 수집된 자료를 통계 프로그램 SPSS 14.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K-CBCL 문제행동 증후군 척도 T점수를 통하여 일반아동과 문제행동아동 간에 독립표본 T-검정을 통하여 각 집단 간 평균 비교를 분석하였으고, 두 집단 간의 세부부분(나, 교사, 교우)에 대하여 교차분석을 실시하여 독립성 여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아동;청소년 행동평가척도(k-CBCL)의 문제행동 증후군 척도 T점수 65를 통하여 일반아동과 문제 행동아동 간에 독립표본 T-검정을 통하여 각 집단 간 평균 비교를 분석하였는데 각각 의 문제행동 증후군 척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따라서 T점수 65 점을 기준으로 나눈 두 집단이 다른 집단임을 알 수 있다. 2. 이 같은 절차로 나눈 일 반아동과 문제행동을 가진 아동 간에 학교생활화(KSD)에서는 인물상의 행위, 인물상 의 특징, 역동성, 양식, 상징의 5개의 영역을 살펴보았다. 첫째, 인물상의 행위에서는 교사 협동성 부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인물상의 특징에서는 나 얼굴표 정, 교사눈 강조, 나 지우기, 교사 지우기, 교사를 그린 필압과 교사를 그린 선에서도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역동성 부분에서는 교사 인물상 방향과 교우 인물상의 크기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넷째, 양식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난 부분이 없었다. 다섯째, 상징에서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난 부분이 없었다.

      • 청소년기 문제행동과 부모 양육행동에 관한 연구

        손석한,노경선,허묘연,정현옥,이소희,김세주 大韓神經精神醫學會 2001 신경정신의학 Vol.40 No.4

        연구목적 : 일반 청소년의 문제행동(내재화 문제, 외현화 문제)을 평가하고, 그들을 정상 집단과 문제행동 집단으로 나누어 집단간에 부모 각각의 양육행동이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방 법 : 서울 소재의 일반 고등학교 학생 792명을 대상으로 부모 양육행동 척도와 K-YSR을 실시하여 청소년이 지각하는 부모의 양육행동과 청소년의 문제행동을 평가하였다. 부모의 양육행동과 청소년의 문제행동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학생들이 보고한 각 문제행동을 상/하위 25% tile을 기준으로 정상 집단과 문제행동 집단으로 나누어 부모의 양육행도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결 과 : 다음과 같다. 1) 부모의 애정, 합리적 설명, 감독의 긍정적인 양육행동은 대부분의 청소년 문제행동들과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반면에 학대, 과잉간섭, 과잉기대, 방임, 비일관성이 부정적인 양육행동은 문제행동들과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2)내재화 문제를 보이는 청소년들은 정상 집단에 비해 부모로부터 학대, 과잉간섭, 과잉기대, 방임, 비일관성의 양육행동을 유의하게 더 많이 받았고, 반면에 애정을 유의하게 더 적게 받았다고 지각하고 있었다. 외현화문제를 보이는 청소년들은 정상집단의 청소년들에 비해 부모로부터 학대, 과잉간섭, 과잉기대, 방임, 비일관성의 양육행동을 유의하게 더 많이 받았고, 반면에 감독을 유의하게 더 적게 받았다고 지각하고 있었다. 3)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를 모두 보이는 집단이 내재화 문제만 보이는 집단과 외현화 문제만 보이는 집단에 비해서 양쪽 부모로부터 유의하게 더 많은 과잉간섭을 받을 것으로 지각하고 있었다. 또한, 내재화-외현화 집단과 내재화 집단은 외현화 집단에 비해서 어머니로부터 유의하게 더 적은 애정과 더 많은 방임을 받고 있고, 아버지로부터 유의하게 더 많은 학대를 받은 것으로 지각하고 있었다. 결 론 :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볼 때, 청소녕이 지각한 부모의 학대, 과잉간섭, 과잉기대, 방임, 비일관성의 양육행동은 청소년의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 모두와 유의한 연관이 있고, 반면에 부모의 애정, 감독, 합리적 설명의 양육행동은 다양한 청소년기 문제행동을 줄일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problem behaviors of adolescents and to discriminate between parenting behaviors of problem behavior groups and those of non-problem behavior group. Methods :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792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We administered 'parenting behavior Inventory' and Korean version of Youth Self-Report(K-YSR) to the subjects in order to evaluate the parenting behaviors perceived by adolescents and the problem behaviors of adolescents. We analzed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behaviors and problem behaviors. We classified the subjects into problem behavior groups(internalizing group, externalizing group, internalizing-externalizing group) and a non-problem behavior(normal) group. We studied the differences of parenting behaviors among the groups. Results :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re were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positive parenting behaviors such as affection, reasoning, and monitoring and the problem behaviors of adolescents. By contrast,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negative parenting behaviors such as physical abuse, intrusiveness, over-expectation, neglect, and inconsistency and the problem behaviors of adolescents. 2) Adolescents of the internalizing group perceived significantly more parental abuse, intrusiveness, over-expectation, neglect, and inconsistency than those of normal group. Meanwhile, they perceived significantly less affection than normal adolescents. Adolescents of the externalizing group also perceived significantly more parental abuse, intrusiveness, over-expectation, neglect, and inconsistency than those of normal group. Also, they perceived significantly less monitoring than normal adolescents. 3) Adolescents of the internalizing-externalizing group perceived significantly more intrusiveness from both parents than those of either the internalizing or the externalizing groups. Adolescents of the internalizing-externalizing group perceived significantly less affection and more neglect from their mothers than those of the internalizing of the externalizing groups. In addition, adolescents of the internalizing-externalizing group perceived significantly more physical abuse from their fathers than those of the internalizing or the externalizing groups. Conclusion : Parenting behaviors such as abuse, intrusiveness, over-expectation, neglect, and inconsistency are associated with both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problems. In contrast, our results suggest that parenting behaviors such as affection, monitoring, and reasoning might decrease the various problem behaviors of adolescents.

      • KCI등재

        부모행동이 청소년의 심리ㆍ행동문제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유지아,김영희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2015 미래청소년학회지 Vol.12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ffects of parental behavior on adolescents' psychological & behavioral problem, and school adjustment.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772 middle school students drawn from 12 middle schools in Chungbuk, Chungnam, Gyeonggi, Gangwon, Gyeongnam, and Daejeon city. Data were analyzed by SPSS 18.0 program and the test of model was done with analysis of correlation matrix in AMOS 18.0 program using a path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father's affectional and monitoring behavior had direct effects on school adjustment of male students whereas mother's affectional and monitoring behavior influenced directly on school adjustment of female students. More especially, father's affectional and abuse behavior had direct effects on psychological problem of male students while father's affectional and monitoring behavior, and mother's abuse behavior had direct effects on psychological problem of female students. Second, psychological problem had a direct effect on behavioral problem of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In addition to, psychological problem did not have direct effect on school adjustment of male students whereas psychological problem did have a direct effect on school adjustment of female students. Also, behavioral problem had a direct on school adjustment of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Furthermore, psychological and behavior problem had a mediate between parental behavior and school adjustment of adolescents. In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e effects of parental behavior of adolescents' psychological & behavioral problem, and school adjustment. The result showe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parents' effect on their adolescents according to gender. 본 연구는 부모행동이 청소년의 심리․행동문제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지를 성별에 따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대상은 충북, 충남, 대전, 경기, 강원, 경남에 소재한 12개교에 다니는 중학생 772명이었고, 자료는 질문지법으로 수집하여 SPSS 18.0과 AMOS 18.0 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첫째, 아버지의 애정행동과 감독행동은 남학생의 학교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고, 어머니의 애정행동과 감독행동은 여학생의 학교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남학생의 심리문제에는 아버지의 애정행동과 학대행동이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고, 여학생의 심리문제에는 아버지의 애정행동과 감독행동, 어머니의 학대행동이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 심리문제가 행동문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고, 남학생의 경우 심리문제가 학교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여학생은 심리문제가 학교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 행동문제가 학교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청소년의 심리문제와 행동문제는 부모행동을 매개하여 학교적응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부모행동이 청소년의 심리․행동문제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이 청소년의 성별에 따라 차이를 보여 부모가 자녀에게 미치는 영향이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 KCI등재

        초등학교 장애학생의 정서·행동문제의 양상과 특수교사의 대처전략 및 지원요구

        박명화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017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3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ppearance of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of elementary schoolers with disabilities and to investigate the support needs and coping strategy of teachers for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of elementary schoolers with disabiliti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61 special education teachers, 322 elementary schoolers with disabilities who have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as distribution of externalizing and in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of elementary schoolers with disabilities in the normal, quasi-clinical and clinical levels.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total behavior problem and 4 low types of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were appeared in students of special school higher than students of special classroom. Second, Special school teachers more often used positive prevention strategy Ⅱ for in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of elementary schoolers with disabilities than special classroom teachers. And Special school teachers more often used positive prevention strategy Ⅰ, Ⅱ for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of elementary schoolers with disabilities than special classroom teachers. Finally, Both of special school teachers and special classroom teachers’ the most highly support needs for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of elementary schoolers with disabilities were supply and development of behavioral intervention manual and arrange behavioral intervention specialist. 본 연구는 초등학교 장애학생의 정서․행동문제의 양상이 어떠하며, 정서․행동문제에 대한 특수교사들의 대처전략과 지원요구는 어떠한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장애학생의 정서․행동문제의 예방 및 대처를 위한 교사 지원 및 교사 재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초등특수교사 161명과 정서․행동문제를 보이는 장애학생 322명이었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특수학교․급에 입급된 장애학생의 정서․행동문제는 내재화문제와 외현화문제, 총행동문제 및 8개 하위유형 모두 임상범위와 준임상범위, 정상범위에 분포되어 있었고, 외현화문제와 총행동문제 및 4개 하위유형은 특수학교 초등학급 장애학생의 발생률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학교 장애학생의 내재화문제에 대한 대처전략은 특수학교 초등교사가 특수학급 초등교사보다 긍정적 예방전략Ⅱ를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외현화문제에 대해 특수학교 초등교사가 특수학급 초등교사보다 긍정적 예방전략Ⅰ과 긍정적 예방전략Ⅱ를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초등학교 장애학생의 정서․행동문제 대한 특수교사의 지원요구는 내용면에서는 학급에서 실시할 수 있는 예방 및 행동중재 메뉴얼 개발 및 제공에 대한 요구가 가장 높았고, 지원형태는 전문가 배치에 대한 요구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장애학생의 교육권과 안전은 물론 특수교사의 교권과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요구되는 실질적인 교사지원 및 교사 재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게 되었다.

      • KCI등재

        유아의 문제행동 지도를 위한놀이치료 현장 적용 사례연구

        권지은(Ji-Eun Kwon),정재은(Jae-Eun Jung),김성현(Seong-Hyun Kim)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15 한국교육문제연구 Vol.33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유아의 정서·사회적 문제행동을 평가하고 놀이치료 접근을 통해 문제행동을 지도하여 유아의 정서·사회적 문제행동 지도의 효과적인 교육적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연구 참여자는 K도에 위치한 S어린이집에 다니는 정서·사회적 문제행동을 보이는 만 5세 유아 2명을 선정하였다. 연구절차는 유아·부모 기초검사를 수행하고, 문제행동 지도를 위한 놀이환경을 구성한 후 놀이치료에 기반한 정서·사회적 문제행동 지도를 시행하였다. 기초검사는 부모상담, 원장님 면담, 유아의 주의력결핍과 유아 행동평가척도를 이용하여 유아의 정서·사회적 문제를 측정하였으며 놀이치료에 기반한 유아의 정서·사회적 문제행동 지도는 본 연구자가 매주 1회, 40분씩, 총 20회기를 개별적으로 실시하였고, 놀이치료가 이루어진 이후 부모상담도 함께 이루어졌다. 자료 수집은 양적 및 질적으로 이루어졌다. 놀이치료에 기반한 정서·사회적 문제행동 지도 전과 후에 따른 차이의 양적 분석을 위해 주의력결핍과 유아 행동평가척도(K-CBCL)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질적 자료는 놀이치료에 기반한 정서·사회적 문제행동 지도 과정의 비디오 녹화 및 전사, StainBack & StainBack 현장노트기록, 부모 상담을 통해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유아들은 주의력결핍 및 유아행동문제에서도 모두 정상군의 수치로 나타났고, 자신감 있게 정서를 표현하고 사회적 유능감이 향상되었다. 결론적으로 유아의 정서·사회적 문제행동을 지도하는데 있어 놀이치료에 기반한 본 연구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The Purpose of this cas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ogress of change in children through the children's emotional and social problem behavior guidance based on play therapy and to suggest effective educational guidanc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subjects were 2 children who have emotional and social problem behavior. They were 5 year olds children who go to the S daycare center in K-do. For the study, parents counseling, directors of the child care centers counseling, K-ARS and K-CBCL, and SSCT were used to examine children's emotional and social problem. The children's emotional and social problem behavior guidance were carried out in the playroom. The researcher conducted the children's emotional and social problem behavior guidance based on play therapy for each child. Each case consisted of 20 sessions and each 40 minutes session was conduced once a week. Th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data was collected. The qualitative data were the video clips and scripts of the process of the children's emotional and social problem behavior guidance based on play therapy, StainBack & StainBack's(1984) field note, and records of parents counseling. The quantitative data K-ARS and K-CBCL were used. In conclusion, children’s emotional and social problem behavior guidance based on play therapy was effective for children’s emotional and social problem.

      • KCI등재

        현장교사들이 생각하는 학교에서의 학생 문제행동에 대한 단계별 지도 매뉴얼 개발 연구

        현진이,김지혜,김송연,김은영,백다은,서찬양,이용균,최서연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24 敎育問題硏究 Vol.37 No.1

        A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eachers’ perceptions and demands for student problem behavior in schools, and to develop a problem behavior checklist, guide, and problem behavior dealing flow chart. For that, The study conducted need analysis to analyze teachers’ perceptions and needs using survey methodology. Based on the results of demand analysis and literature review, initial checklist, guide, and problem behavior dealing flow chart was developed. The usability evaluation of the developed field solution was conducted through the second questionnaire.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checklist of the final problem behavior stage was classified into three stages of problem behavior according to words and actions, attitudes, risk and 3 stages by severity. The problem behavior guide introduced a problem behavior guidance method that can be used for students' problem behaviors divided into three stages depending on whether they are initially, middle, or continuous interference. Finally, through the problem behavior flow chart, the role of school administrators was emphasized when problem behavior occurred.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에서의 학생 문제행동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요구를 파악하여 이를 바탕으로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학생 문제행동 지도 매뉴얼(체크리스트와 지도 가이드, 대처 흐름도)을 개발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교사들의 인식과 요구를 분석하기 위한 설문조사(survey methodology)를 활용하여 현장교사들이 생각하는 문제행동에 대한 인식과 요구를 1차로 조사하고, 요구분석 결과와 선행문헌 분석을 바탕으로 한 초기 학생 문제행동 지도 매뉴얼을 개발하였다. 이후 개발된 현장 해결안의 사용성 평가(타당성, 유용성, 만족도)를 2차 설문을 통해 실시한 후, 사용성 평가를 토대로 학교현장에 실질적 도움이 되는 학생 문제행동 지도 매뉴얼을 최종 개발하였다. 최종 문제행동 단계 체크리스트는 언행, 태도, 위험도와 심각도를 기준으로 문제행동을 3단계로 구분하여 학생의 문제행동이 해당하는 단계를 교사가 스스로 판단하도록 하였다. 최종 문제행동 지도 가이드는 3단계로 구분된 학생의 문제행동에 대해 초기, 중기, 지속적 방해 여부에 따라 활용할 수 있는 문제행동 지도법을 소개하였다. 마지막으로, 최종 문제행동 대처 흐름도를 통해 문제행동이 발생했을 때 각 교육 주체들의 역할에 맞는 적절한 대처 방법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유아교사의 문제행동지도 자신감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행동 관리능력

        양수영(Su Young Yan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4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9 No.2

        본 연구는 교사의 문제행동지도 자신감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행동 관리능력을 지도전략사용능력과 문제행동 유형인식, 원인인식능력으로 나누어 파악하고자 실시하였다. 이를 토대로 현재 교육 패턴을 점검할 수 있으며, 주로 단기간에 이루어지는 교사교육의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도록 교육의 주안점 마련을 위한 근거를 제시할 수 있을 것이고, 교사들의 문제행동지도 자신감 증진을 위한 효과적인 교육 방향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총 177명의 현직 유아 교사를 대상으로 문제행동지도 자신감과 문제행동 관리능력에 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문제행동 원인인식능력이 문제행동지도 자신감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문제행동의 원인에 중점을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다양한 문제행동 사례와 토의를 활용한 교사교육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the main ability a teacher needs to manage problem behavior-an ability that affects the teacher`s confidence in being able to so manage a child`s problem behavior. The results should provide a direction for organizing the educational contents for in-service teachers such that their confidence in managing the children`s problem behavior would be enhanced. A total of 117 teachers participated in an e-mailed questionnaire survey. After collecting the dat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determine the main ability for managing problem behavior from among the following management abilities: ability to perceive different kinds of problem behavior, ability to perceive their causes, and ability to use intervention method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ain factor affecting teacher`s confidence in managing the children`s problem behavior was the ability to perceive the causes of problem behavior. Thus, teacher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that focuses on the causes of the problem behavior through real various examples and discussion.

      • KCI등재후보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er Efficacy, Perception of Problematic Behavior in Young Children, and Guidance Strategies

        김별희(Kim Byeol Hee),이경화(Lee Kyung hwa) 숭실대학교 영재교육연구소 2018 Global Creative Leader Vol.8 No.3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 유아문제행동 인식 및 지도전략 간에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그리고 유아교사의 배경변인(기관 유형, 근무 경력, 연령, 학력)에 따라 교사효능감, 유아문제행동 인식, 유아문제행동 지도전략 간에 차이가 있는지도 확인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수도권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교사 190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로는 교사효능감(이분려, 1998), 유아문제행동 인식(김경숙, 2008) 및 유아문제행동 지도전략(김연하, 2007) 등이었다. 연구결과는 첫째,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유아문제행동 인식 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교사효능감과 유아문제행동 지도전략 간에는 상관관계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문제행동 인식과 지도전략 간에도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유아교사의 몇 가지 배경변인에 따라 교사효능감, 유아문제행동 인식, 유아문제행동 지도전략 간에는 차이가 있었다. 즉, 유아교사의 근무기관 유형을 제외한 모든 배경변인에 따라 교사효능감에는 차이가 있었다. 그리고 유아교사들은 문제행동에 대해서는 유사하게 인식하고 있었으나, 유아문제행동 지도전략에서는 차이가 있었다. 이와 같은 변인간의 관련성 및 차이를 분석한 결과를 기반으로 유아들의 문제행동을 지도할 수 있는 교사교육 시스템 마련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teacher efficacy, perception of problematic behavior in young children, and guidance strategies. Also,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se variables according to the teacher’s background (institution type, work experience, age, education). The subjects of the survey were 190 teachers working at day care centers located in the metropolitan area (Seoul, Gyeonggi Provinc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statistics 24.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efficacy and perception of problematic behavior, but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teacher efficacy and teaching strategies. Second, 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ere were partial differences in teachers efficacy, perception of problematic behavior and teaching strategies for problematic behavior in young children. In teacher efficacy 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s, there was a difference in all variables except for working type. Althoug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wareness of problematic behavior in young children 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s, the difference in teaching strategies for problematic behavior was significant.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variables, it will be helpful to establish a teacher education system that can guide the problem behavior of young children.

      • KCI등재후보

        청소년문제행동과 보호환경의 관계에 대한 문제행동통제의 매개효과

        김진호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2010 미래청소년학회지 Vol.7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he related variables of adolescent's problem behavior. A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presented to describe the hypothetical causal relationships among situational factors, problem-control behavior, and their levels of problem behavior. In the model, problem-control behavior was assumed as a variable, which mediates the effects of situational factors on the levels of problem behavior. 10,850 youth were asked to respond the questionnaires which was conceived to obtain the measures of five latent variables(protective factors of family, protective factors of school, perceptions of dangers in community, problem-control behavior, adolescent's problem behavior). After screening the data, 7,374 responses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for this study. Lisrel 8.30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First, problem-control behavior had negative effects on adolescent's problem behavior. Second, problem-control behavior was affected by protective factors of family, protective factors of school, and perceptions of dangers in community. Third, adolescent's problem behavior was affected directly by protective factors of family, protective factors of school, and perceptions of dangers in community. Fourth, indirect effects of situational factors were mediated by problem-control behavior of adolescent. It shows that problem-control behavior mediate the effects of situational factors(protective factors of family, protective factors of school, and perceptions of dangers) on adolescent's problem behavior. All this findings were discussed for youth workers and researches. 본 연구는 청소년의 문제행동 통제를 청소년의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수로 가정하고, 그것이 어떠한 환경적 특성변수에 의해 결정되는지를 확인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선행연구에 기초하여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문제행동과 환경적 특성변수로서 가정환경, 학교생활환경, 지역사회 위험인지를 가정하였다. 그리고 청소년의 문제행동 통제를 환경적 특성변수가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변수로 가정하고, 이들 변수들이 청소년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구조방정식 모형에 적용하여 검증하였다.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총 10,85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한국청소년지표조사Ⅴ-안전(보호)지표』의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회수된 9,727매의 설문지 중 분석에 적합하지 않은 2,353매를 제외한 7,374매가 분석에 활용되었다. 자료는 Lisrel 8.30을 통해 분석되었다. 조사를 통해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문제행동 통제는 문제행동에 부적인 직접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긍정적인 환경적 특성변인은 청소년의 문제행동 통제에 정적인 직접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의 긍정적인 환경적 특성변인은 청소년의 문제행동에 부적인 직접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청소년의 환경적 특성변인이 문제행동 통제를 매개로 하여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한 결과, 긍정적인 가정환경과 긍정적인 학교환경, 그리고 지역사회의 위험인지는 문제행동 통제를 매개로 하여 유의한 간접효과를 가졌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들이 갖는 시사점이 논의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