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모성보호에 대한 의료법리적 이해

        김향미 ( Hyang Mi Kim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2 No.11

        모성은 생식과 관련되는 기능을 하는 잠재적인 어머니로서의 여성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모성은 가족을 이루는데 핵심적인 구성요소일 뿐만 아니라 사회적으로는 국가구성원인 국민의 생산적 모체를 이루게 하는 중요한 임무가 있는 존재라고 볼 수 있다. 모성을 보호한다는 것은 생식과 관련된 어머니로서의 여성 그 자체를 보호하는 것으로, 비단 임신과 출산이라는 생리적인 기능뿐만 아니라 정신적인 기능 등에 대하여 광범위하게 또한 포괄적으로 보호한다는 의미를 갖는다. 모성의 보호양상은 사회적·경제적·문화적인 요인으로 인하여 각 국가마다 다양한 모습으로 나타난다. 최근 세계적으로 모성보호에 있어서 생식건강의 개념을 도입하여 모성의 보호를 임신과 관련되는 시기뿐만 아니라 크게 여성의 전 생애로 확대하고 모성의 건강의 중요성에 큰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 여성에 있어 모성이라는 의미는 사회적으로 그만큼 중대하며, 지대한 관심을 가지고 장기간에 걸쳐 적절한 관리를 필요로 한다. 모성과 관련하여 의료법리적인 보호에 대하여 살펴보았고, 이를 통해서 보호방향에 대하여 제시하여 보면, 모성보호차원에서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점은 모성의 온전성을 확보하는데 있다. 모성은 `모체로부터`와 `모체 안에서` 이루어지는 연속적인 과정 안에서 획득된다고 볼 수 있으며, 모성의 온전성을 위해서는 본질적이며 분리할 수 없는 요소로 온전한 한 인간 존재의 성립을 위한 기본 전제가 된다. 모성보호를 위한 정책은 온전한 사회구성원을 양육한다는 관점에서 개인이나 가정에서만의 문제가 아니라 사회전체가 책임을 나누어 가지는 차원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모성보호와 관련되는 정책은 여성의 모성으로서의 권리, 노동권, 양성평등권에 대하여 사회적으로 인정하는가의 정도에 따라 결정이 되는 것이지만, 여권과는 다른 법리적 차원에서 논의되어야 하는 국가적 과제로서 접근해야 할 것이다. 무엇보다도, 모성보호와 관련되는 모든 제도적 장치와 법체계는 모성의 온전성의 확보와 특별한 보호의 보장이 최우선의 목표가 되어야 할 것이다. 모성보호를 위해 모성의 온전성을 확보와 더불어 여성의 생식건강과 관련된 부분에 초점을 두어 모성의 건강문제를 다루어야 할 것이다. 모성의 건강문제를 관리함에 있어서, 국가의 커다란 틀 안에서 정책을 결정하고 실행할 경우에는 여성의 전반적인 건강에 대하여 직접 다루고 있는 산부인과 의사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앞으로 모성이라는 가치에 대하여 새롭게 조명하고, 다양한 학문분야에서 관련 이해 당사자들이 모여 담론할 수 있는 열린 의사소통의 마당을 만드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Maternity has the concept of woman who can be a mother having the reproductive function. It is not only an important factor for making the family, but also socially an important duty for producing the members of nation. The protection for maternity means the woman as a mother with reproduction and also means widely and comprehensively protecting for the psychological function as well as the physiological function including the pregnancy and procreation. The methods for maternity protection are various on the social, economic, and cultural factors by the individual nations. Recently the concept of the reproductive health in maternity protection is introduced and it is expanded to the whole woman`s life from the period related with the pregnancy. The maternity in women is socially very important and needs for the deliberate concern and the long term proper care. I reviewed the various medicolegal aspects for the maternity protection. And from it, I pointed out the direction for protection. In the level of the maternity protection, it must be firstly considered that the completeness of maternity is preserved. Maternity is the natural process completed by pregnancy and procreation. Maternity is gained from the continuing process of `from the mother` and `in the mother`, and two factors are essential and inseparable for preserving the completeness of maternity which is a basic premise forming the human beings. The protection of maternity is the right of the person who will be born, and it is also a duty of the social members. The related legal system needs to be prepared by the systemic process for the special protection of the right. It is important to focus at the preservation of the maternal completeness for the maternity protection and the maternal health with women`s reproductive health.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make the field of the discussion and the communication with the related person in the various studies.

      • KCI등재

        A Study on the Mother Symbols in Folktales and Mythologies

        Park, Jeong-Hee(박정희)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7 인문과학연구 Vol.0 No.52

        모성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모성 상징을 연구함으로써 그 의미를 알아갈 수 있다. 본 연구는 모래놀이치료, 예술치료, 꿈 분석 등의 상담 치료 현장에서 절실히 요구되는 모성상징 이해에 대한 필요성에 연상과 확충의 분석심리학적 방법으로 모성 상징들을 도출하고 그 의미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모성원형은 궁극적으로 영적인 목적을 가지고 자기(Self) 통합을 향하여 나아가게 한다. 개인이 표상화한 모성상은 자아의 태도에 따라 긍정적, 부정적으로 작용하고, 모성상이 주는 고난은 자아의 태도가 변하기를 유도하는 목적을 지니고 있다. 신화와 민담에서 젊은 여성들은 새로운 모성상인 시어머니나 계모, 마녀 등이 주는 시련을 통과하면서 동일시한 모성성과 분리된다. 여성의 내적인격인 남성성과 관계를 맺으며 분별력과 지혜를 얻는다. 그리하여 내적인 선한 모성을 개인적인 인격에 구체화시키게 된다. 우리 건국신화에서 시련을 통과한 웅녀와 유화는 자아가 동물적인 무의식의 본능적이고 충동적인 에너지를 다룰 수 있게 됨으로 대극을 통합하고 하늘과 땅의 신성혼의 결합으로 조상의 지신과 곡신이 된다. 신화에서 남성 영웅들은 모성상에서 분리되어 자신의 여성성을 발달시키며 자기 통합의 길을 가게 된다. 시대와 지역을 뛰어넘어, 민담이나 신화에서 여성에게 있어 모성의 상징은 곰, 호랑이, 인내, 동굴, 길쌈, 옥함, 강물, 꽃, 호리병, 하늘과 땅을 연결하는 신성혼, 지신, 곡신, 약물, 샘물, 밭, 배, 버리는 어머니, 모함하는 계모, 강한 모성애를 상징하는 신비한 샘물, 빨래, 꽃, 호리병, 숫자 4 등으로 나타난다. 남성에게 있어서 모성의 상징은 요부, 마녀, 물질, 돼지, 지하세계, 동굴, 자궁, 돌봄, 배, 양육하는 자, 잡아먹는 자, 반려자, 여 전사, 영적인 세계와 인간 세상을 중재하는 자 등으로 나타난다. 모성의 상징에 대한 연구는 애착문제, 대인관계, 정서 불안 등의 상담 치료 현장에서 모성의 이미지의 상징의 의미를 깨닫게 하여 치유의 힘을 얻게 한다. 또한 내담자 심리의 흐름을 모성 상징의 변화를 통하여 이해하여 치료의 과정에서 직접적인 치료효과로 나타나게 된다. 이런 신화나 민담들 속에서 개인이 고난을 통과하며 획득해 가는 모성의 상징적 의미는 분리 죽음 재생 통합의 심리적 변환 과정을 겪으며 자기통합 되어가는 과정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maternal symbols to the necessity of maternal understanding required in counseling field such as sand play therapy, art therapy and dream analysis, etc. Those are derived from association and amplification of analytical psychological method. The mother archetype ultimately has the spiritual purpose and move towards its self-integration. The maternal image functions positively or negatively according to the person’s ego attitude, and the suffering given by the maternal image intends to change the ego attitude. Folktales and mythologies describe the process of women undergoing sufferings and changing themselves as individual characters. The negative maternal image, shown in folktales and mythologies, is not about the external actual mother, but is considered representing the mother archetypal power which changes the ego-attitude that delays the growth. Young women in mythologies and folktales undergo the trials caused by the new maternity represented by the mother-in-law, stepmother, witch, etc., and separate themselves from their early identified mothers. They form relationships with inner masculine(animus) and obtain discernment and wisdom. The internal good maternal image thus is embodied in individual characters. In Korea’s founding mythologies, Ungnyeo and Yuhwa, who undergo trials, can control their ego’s animal-like, unconscious, instinct and impulsive energy, thereby integrating opposite poles, and becoming the goddess of the earth and the goddess of cereals through the divine marriage of heaven and earth. In mythologies, men, separating themselves from the maternal image, develop their own female image and set out on the road to their own integration. The study of symbols of maternity makes it possible to realize the meaning of maternal image in counseling treatment such as attachment problem, interpersonal relationship, emotional anxiety, and gain the power of healing. Beyond the time and place, those maternal symbols are common in folk tales and myths of the East and the West. In the mythologies and folktales, the symbolic meaning of the maternity, which women acquire as they undergo trials, means the process of Self-integration as individuals undergo the psychological transformation of separation, death and rebirth.

      • 일·가정양립 지원 정책 평가와 정책과제 - 모성보호제도와 출산의 관계를 중심으로

        박종서,김문길,임지영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6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보고서 Vol.2016 No.-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모성보호제도를 중심으로 일·가정양립 제도의 정책평가를 실시하여 향후 정책 개선 과제를 도출함을 목적으로 하였다. 일·가정양립정책의 목표는 여성의 고용 안정과 자녀 양육 기간을 보장하고, 또한 출산에 유리한 환경을 조성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출산율 제고를 위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기존의 연구는 주로 고용의 측면에서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현실적인 자료의 한계 등으로 출산에 대한 정책평가는 거의 이루어지지 못했다. 본 연구는 정책의 고용효과분석은 기존 연구로 대신하고 모성보호제도를 중심으로 사업평가와 출산에 대한 효과평가에 초점을 두었다. 2. 주요 연구 결과 주요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제도의 포괄성 측면에서 전국의료기관 분만자의 건강보험 가입자 대비 제도 이용자 규모를 파악한 결과, 2011~2015년 사이에 임신일 기준 건강보험 직장가입자의 약 25%, 연간 4만 명 규모가 분만 전에 직장을 그만두는 것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2015년 기준으로 출산전후휴가를 이용하지 않은(못한) 사람은 임신일 기준 직장가입자의 41.0%, 분만일 기준 직장가입자의 21.2%로 나타난다. 같은 해 육아휴직을 이용하지 않은(못한) 사람은 임신일 기준 직장가입자의 49%, 분만일 기준 직장가입자의 31.8%로 나타난다. 2015년 기준으로 출산전후휴가 종료 후 1년 이내에 고용보험 자격을 상실한 비율이 22%, 육아휴직 종료 후 1년 이내에 고용보험 자격을 상실한 비율이 32.1%로 나타났다. 이로써 제도의 사각지대가 광범위하게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제도를 이용한 이후에도 고용을 유지하지 못하는 규모 또한 광범위하며, 지난 10여 년간 이런 규모가 지속됨으로써 모성보호제도 활용을 저해하는 노동시장 내 구조적 요인이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모성보호제도의 급여 적정성을 분석한 결과, 출산전후휴가급여의 임금대체율 연 평균은 2006년 87.4%에서 2015년 70.3%로 지속적인 하락추세를 보이고 있다. 임금분위별 출산전후휴가급여의 임금대체율 역시 전반적인 감소 추세가 나타나고 있다. 육아휴직급여의 임금대체율 연 평균은 2006년 35.7%에서 2015년 32.1%로 제도의 변화에 따라 증감하는 경향을 보인다. 여성 근로자를 대상으로 모성보호제도 이용 경험과 이용 행태를 분석한 결과, 출산 전후 6개월 이내에 경력단절 경험이 있는 여성의 경우는 경력단절 경험이 없는 여성에 비해 제도 활용도가 극히 낮았다. 모성보호제도 이용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분석 결과 상용근로자에 비해 임시일용근로자가, 공공부문에 비해 민간부문 근로자의 제도 활용도 또한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고용안정성과 공공-민간 영역에 따라 제도 활용도가 차별적인 것이 확인되고 있다. 모성보호제도가 출산에 미치는 효과성 분석 결과에 따르면, 순수한 정책 효과로서 제한적이지만 출산전후휴가를 이용한 집단이 미이용자 집단보다 추가자녀 출산 확률이 1.2배 높게 나타났고, 육아휴직 이용자 집단이 미이용자 집단보다 추가자녀 출산 확률이 1.3배 높게 나타났다. 3. 결론 및 시사점 분석 결과에서 알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정책적 함의는 모성보호제도가 노동?쳄揚?구조적 요인과 밀접히 연계되어 있다는 점이다. 즉 현재 모성보호제도가 가지고 있는 한계나 효과는 노동시장의 구조적 장애요인으로 인하여 결정되고 있다는 의미이다. 제도의 사각지대와 여성의 경력단절 문제가 구조화되어 모성보호제도의 활용도를 떨어뜨리고, 노동시장 특성집단 간 제도 활용의 보편성을 훼손시키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따라서 향후 모성보호제도 개선을 위해서는 노동시장의 구조화된 관행을 함께 개선하려는 조치가 병행되어야 한다. 모성보호제도 자체만의 부분적 수정을 통해서는 고용 효과나 출산율 제고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울것으로 판단된다. 사각지대 해소를 위해 고용보험 가입 현황에 대한 점검이 필요하다. 모성보호제도의 활용도가 고용안정성에 따라 크게 영향을 받는 상황에서 제도의 보편성을 보장하기 위한 조치가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여성의 고용을 안정화시킬 수 있는 조치가 필요하겠지만, 비정규적 고용 형태의 경우 특별한 보호 조치가 필요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모성보호제도와 노동시장의 구조적 관행에 대한 연계 조치로서 근로감독 체계의 강화가 주요한 수단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근로감독 체계와 관련하여 모성보호제도 관련 근로감독 업무의 전문성과 지속성을 확보할 수 있는 조치가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suggest policy recommendations by evaluating the work-family reconciliation policy, especially the maternity protection scheme. Six key findings were identified. Firstly, many female workers were excluded from the benefit of the maternity protection scheme. About a quarter of those covered by the employment insurance did not, or could not, take maternity leave, and approximately one-third did not, or could not take parental leave in 2015. Secondly, the utilization rate of the paid leave is relatively low in the vulnerable group in the labor market, such as low-wage workers, micro-enterprise workers and the service workers. It means that the universality and equality of the policy has not been guaranteed. Thirdly, the average annual maternity leave replacement rate had declined gradually since 2006 although the declining trend varied across income quintile, The middle-quintiles are more likely to see a sharp decrease among all groups. On the other hand, the average annual parental leave replacement rate had fluctuated between 29.2% and 40.3% from 2006 to 2015. Fourthly, women who experienced career interruptions within six months before or after the delivery had extremely low utilization rate of the paid leave compared to the women who had not experienced career interruption. In addition, the utilization rate of the non-regular workers and the private sector workers were lower than regular employee and those of the public sector, respectively. Fifthly, there was a strong correlation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maternity protection policy and the fertility rate at the country level among OECD countries. The length of maternity and parental leave, the paid leave replacement rate, and the social expenditures related to the maternity protection policy as a percentage of GDP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national fertility rate. While there was no causal relationship between length of maternity and parental leave, paid leave replacement rate and fertility rate. Lastly, there was a positiv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f parental leave on having additional children.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f maternity leave on having additional children. The most crucial implication from our various analyses is that the maternity protection policy is intimately related to the labor market institutions. The effect and limitation of maternity protection policy were determined by labor market vulnerabilities. The blind spot in maternity protection scheme and the issue of career interruption are structured, which lowers the utilization of the policy and undermines the universality of utilization. Therefore, the reform of the labor market is essential in order to improve the effects of maternity protection policy on employment and fertility. In detail, it is necessary to inspect the excluded female workers from the employment insurance for removing the blind spot of the maternity protection scheme. Next, increasing job security is needed since the utilization of the maternity protection scheme is affected by the job security. The special protection measures would be required for non-regular workers as well as the general measures to stabilize female employment. In addition, strengthening of the labor inspection system would be a solution for promoting the job security of female workers. Finally, the wage replacement of paid leave is raised in order to increase the rate of maternity and parental leave utilization.

      • KCI등재

        기획 특집 : 모성 담론의 문화적 형성과 재현 ; 고대에서 근대전환기까지 모성 담론의 문화적 조명 : 장편고전소설에 나타나는 어머니의 존재방식과 모성

        한길연 ( Gil Yeon Han )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07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0 No.14

        모성은 어머니 일 개인의 경험과 인식의 차원 안에 한정되지 않고, 어머니를 둘러싼 여러 제반 환경과의 관련 구도 속에 자리한다. 한편 모성은 여성을 옥죄는 수단으로 변질되기도 하지만, 여성의 새로운 가능성을 발견할 수 있는 지점으로서의 의미를 지니기도 한다. 이러한 두 가지 관점에서 장편고전소설에서의 주목할 만한 모성 형상에 대해 살펴보았다. 먼저 ``父-母`` 관계구도에서 ``식견 없는`` 어머니로 형상화되는 <임화정연>의 진부인 등의 경우, 아버지의 사유방식과 권위를 내면화하는 전략적 기제의 한 방편으로서 감성을 중시하는 모성은 일체의 가치 없는 것으로 왜곡되면서 ``소외``되고 있었고, ``식견 있는`` 어머니로 형상화되는 <완월회맹연>의 주부인 등의 경우, 수직적이고 독단적인 성향이 짙은 부성과는 달리 수평적이고 관계지향적인 모성은 그 가치를 발하면서 ``옹호``되고 있었다. 한편, ``父-母-母`` 관계구도에서 ``이기적·의존적`` 어머니로 형상화되는 <사씨남정기>의 교씨 등의 경우, 일부다처제의 압박 속에서 자식을 죽이거나 버리면서까지 정실 자리를 차지하려 함으로써 모성이 ``遺棄``되고 있었고, ``주체적·이타적`` 어머니로 형상화되는 <화정선행록>의 충효혜 등의 경우, 가부장제적 억압 속에서도 자신을 자각하고 타인을 배려하는 가운데 자식에 연연하지 않고 남편의 또 다른 아내와의 상호 신뢰 속에서 자식을 맞바꿈으로써 모성은 ``교환``되고 있었다. 이처럼 비공식적 담론에 속하는 장편고전소설에는 행장이나 제문 등 공식적 담론에서는 좀처럼 볼 수 없었던 다채로운 어머니상이 존재한다. 공식적인 담론체계에서는 누락되었을, 당대 현실에서의 구체적인 모성상에 대한 조명, 나아가 당대 현실을 뛰어넘어 미래적 가치를 지향하는 혁신적인 모성상에 대한 조명을 가능케 한다는 점에서 이는 그 의의가 크다. 조선후기 모성 담론을 적실히 고찰하기 위해서는 장편고전소설에서의 모성 형상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 또한 여기에 있다. Motherhood places on the many situations beyond her own experience and recognition. And motherhood changes to the method of oppressing womanhood, on the other hand has the meaning of discovering new possibility of womanhood. This thesis surveyed the style of motherhood standing out in the river novels. The emotional motherhood of madam Jin described as mother with no knowledge in Imhwajeongyeon is alienated as having no value in the monogamy system. And the mild and harmonious motherhood of madam Ju described as mother with knowledge in Wanwolhyemaengyeon is defended giving out forth the values different with highhanded paternity. On the other hand, the motherhood like madam Gyo described as selfish and dependent mother in Sassinamjeongki is abandoned, because she efforts to kill or discard the child and to occupy the status of legal wife in the polygamy system. And the motherhood like Chunghyohye described as independent and altruistic mother in Hwajeongsunhaengnok is exchanged, because she is conscious of herself and shares agony of women under the restraint of patriarchic society, and interchanges children believing the other wife of husband. Like these, diversified portraits of motherhood exist in the river novels as unofficial discourse differently with official discourse like memorial addresses or funeral addresses. This is meaningful in the point of possibility of vivid observation on the concrete real portrait of motherhood of the same age, and of observation on the innovative portrait of motherhood holding the value of future. The reason why we pay attention to the figuration of motherhood in the river novels to observe the discourse of motherhood of the late Chosun dynasty surely is also in here.

      • KCI등재

        한국의 모성사망 원인과 경향 분석(2009-2014)

        박현수 ( Hyun Soo Park ),권하얀 ( Ha Yan Kwon ) 대한주산의학회 2016 Perinatology Vol.27 No.2

        목적: 본 연구는 2009년부터 2014년 사이 우리 나라의 모성사망 경향과 원인을 분석하고자 시행되었다. 방법: 모성사망의 경향과 원인을 분석하기 위하여 2009년부터 2014년까지 통계청에서 조사한 사망원인보완조사 결과를 사용하였다. 산모의 나이, 주거지, 사망원인, 사망 시 임신 주수 등의 정보를 추출하였다. 모성사망비(maternal mortality ratio)와 모성사망율(maternal mortality rate)을 계산하였으며 산모의 나이, 주거지역에 따른 모성사망비를 분석하였다. 모성사망의 원인을 세계보건기구(WHO)에서 제안한 기준으로 국제질병코드(ICD-10)를 이용하여 분류하였다. 결과: 연구기간 동안 평균 모성사망비는 13.16, 평균 모성사망율은 0.45였다. 모성사망비는 2011년에 17.2로 가장 높았고, 2012년 9.9로 가장 낮았다. 각 지역별 모성사망비는 광주 7.51, 제주 26.84로 큰 편차를 보였다. 연령별로는 20-24세 그룹이 6.9로 가장 낮았고 45-49세 그룹이 143.7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다. 직접모성사망과 간접모성사망은 각각 평균 66.2%와 29.9%를 차지했다. 모성 사망의 3대 원인은 산과적 색전증(24.4%), 산후출혈(18.3%), 임신 중 고혈압성 질환(5.5%)으로 나타났다. 결론: 연구기간 동안 점차 모성사망비가 줄어들기는 했지만, 산모의 연령, 주거지 등에 따라 매우 큰 차이를 보였다. 모성사망을 줄이기 위한 방법으로, 모성 사망 중 예방가능한 원인에 대한 대처법을 찾고, 지역별로 이용가능한 의료자원의 편차를 줄이는 방법 등을 고려해 볼 수 있을 것이다.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recent trends and causes of maternal mortality in Korea between 2009 and 2014. Methods: We investigated trends and causes of maternal death using the data from Complementary Investigations on the Infant, Maternal, and Perinatal Mortality carried out by Statistics Korea between 2009 and 2014. Maternal age, administrative district, causes of death and gestational age at the time of death were collected from data. Statistics including maternal mortality ratio (MMR) and maternal mortality rate were calculated. We also analyzed MMR according to the age, and administrative districts. The causes of maternal death were sorted and classified using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Diseases and World Health Organization recommendations. Results: The average MMR during 6 years was 13.16 and maternal mortality rate was 0.45. MMR was highest in 2011 (17.2) and lowest in 2012 (9.9). The average MMR of the administrative districts varied greatly from 7.51 (Gwangju) to 26.84 (Jeju). The average MMR during the study period was lowest in maternal age of 20- 24 (6.9), and highest in 45-49 (143.7). On average, direct and indirect maternal deaths accounted for 66.2% and 29.9% of total maternal death, respectively. The three most common causes of maternal deaths were obstetrical embolism (24.4%), postpartum hemorrhage (18.3%), and hypertensive disease of pregnancy (5.5%) in decreasing order of frequency. Conclusion: Although MMR is decreasing during the study period, it fluctuates widely according to maternal age, districts, and constant effort for improvements is necessary. To reduce maternal deaths, solution to control preventable causes of maternal deaths, careful management of pregnancies with advanced maternal age, and policy to solve the discrepancy in the medical services among diverse regions in the country are needed.

      • KCI등재후보

        모성보호제도의 효과성 분석방법론 개발 및 모성보호제도 확산 방안

        임효창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16 경영컨설팅연구 Vol.16 No.1

        경영환경의 변화에 따라 직장-가정 균형이 중요한 인사관리 이슈가 되고 있다. 가정생활이 직장에 영향을 주고, 직장생활이 가정에 영향을 준다는 인식이 확산됨에 따라 친가정경영 및 직장-가정 균형은 기업의 경쟁력 강화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 특히 여성인력에 대한 적극적 활용은 여성인력의 역량을 극대화하고, 직원들의 직무태도를 개선하며, 기업 이미지 제고 및 우수인력 확보․유지에 도움을 준다. 여성인력의 계속 고용 및 적극적 활용을 위해 마련된 정책이 모성보호제도이다. 기업이 모성보호제도를 활용함으로써 어떤 효익이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모성보호제도에 대한 효과성 분석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하지만, 모성보호제도에 대한 과학적인 효과성 분석을 위한 방법론이 명확하지 않은 상황이다. 이러한 문제제기를 토대로 본 연구는 모성보호제도의 효과성 분석 방법을 마련하고 기업이 모성보호제도를 어떻게 바라보고 어떻게 운영하는 것이 바람직한지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직장-가정 갈등과 모성보호제도 효과성과 관련한 선행연구를 검토하고, 모성보호제도 현황 및 기업 사례를 살펴보았으며, 모성보호제도 효과성을 분석하기 위한 방법론을 개발하고, 기업이 모성보호제도를 성공적으로 시행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모성보호제도 효과성을 분석하기 위한 방법론은 크게 두 가지이다. 하나는 경영학에서 흔히 사용하는 비용-편익 분석(cost-benefit analysis)을 활용한 것으로 모성보호제도를 도입하였을 때 기업이 부담하는 비용과 효익을 비교하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인력교체유형을 분류하고 인력교체 유형간 비용을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성인력의 모성보호제도는 소극적으로는 법적으로 보호되고 있는 출산휴가와 육아휴직을 들 수 있고, 적극적인 의미에서 유연근무제와 시간제 일자리 등이 포함된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모성보호제도를 적극적으로 사용하지 않는 기업들은 직장-가정 갈등을 높게 인식하고 있는 여성 근로자가 퇴직하면 대체인력을 재고용하는 형태로 인력을 관리한다. 반면 모성보호제도를 적극적으로 사용하는 기업들은 모성보호휴가를 떠난 근로자 혹은 근로자의 근무단축을 대체하는 인력을 임시로 채용하거나 기존인력을 활용한다. 본 연구에서 전자를 인력교체유형 2로 규정하고, 후자를 인력교체유형 1로 규정하였다. 이러한 인력교체유형별로 발생하는 비용을 비교함으로써 모성보호제도의 효과성을 검증할 수 있다는 것이 본 연구의 모성보호제도 효과성 분석방법론의 핵심이다. 본 연구는 기업단위의 모성보호제도 활산 방안을 제안하였으며, 본 연구의 시사점과 연구한계를 제시하였다. Traditional gender roles is regarded men as breadwinners and women as caretakers but these roles are slowly changing due to the increase in dual earner families. However, employed mothers continue to be more closely associated with caretaking than employed fathers. Employed mothers face a unique bind between their caretaking and employment expectations. Indeed, employed mothers are more likely than employed fathers to report a conflict between work and home. There has been growing interest in family-friendly working arrangements, often referred to as work–life balance policies. In the context of growing business and family pressures, this interest in more motherhood protection program have developed as a potential way of helping families and employers to cope with the real life problems of employees in a competitive business environment. Yet the effectiveness of motherhood protection program has not been the subject of rigorous study, because the methodology for analysis of effectiveness on motherhood protection program has not been developed. This article try to suggest the methodology for motherhood protection program’s effectiveness and the general plan for more proactive use of female worker without career discontinuity. This article will go far toward solving the problem concerning replace manpower because of maternity leave and cost-benefit caused by motherhood protection practice and family-friendly culture in firms

      • KCI등재

        모성의 관계적 본질과 교육인간학적 의의

        황지영(Hwang, Ji Young),강기수(Kang, Gi Su)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2021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Vol.25 No.3

        이 연구는 모성의 정의와 기능을 이해하고 관계적 본질을 고찰한 다음, 그에 근거한 교육인간학적 의의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모성은 여성이 어머니로서 자녀에게 가지는 본능이며 실질적인 양육 활동 속에서 학습되는 경험으로, 어머니가 아이와 맺는 관계 속에서 형성된다. 모성은 인간을 탄생시키고, 그 생명을 보호하고 보존하며, 인간을 지적ㆍ정서적ㆍ신체적으로 양육한다. 모성은 생물학적 성(性)과 본질적인 동시에 비본질적인 관계를 맺고 있으며, 모성과 재생산 가능성의 관계를 통하여 성별을 지닌 존재로서의 인간을 이해하게 한다. 인간은 탄생성과의 관계를 통하여 이 세상에 태어나며, 어머니는 결핍된 상태로 낯선 시공간 속에 태어나는 아이를 돌봄으로서 모성을 실천한다. 유아는 모성적 돌봄이 행해지는 따뜻한 가정 속에서 자라나야 하며 그 경험이 발판이 되어 고유한 개별적인 존재로서 안정적으로 독립할 수 있게 된다. 모성의 교육인간학적 의의를 제시하면, 모성은 성(性)을 가진 인간에 대한 이해를 확장시켜 주며, 탄생성과 그로 인한 교육의 책임을 인식하게 한다. 또한 모성적 돌봄과 교육을 통해 인간이 자기완성에 이르게 하며, 개인화되고 물화(物化)된 현대사회에서 모성적 관계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definition and function of motherho d, to examine the relational nature, and to reveal the educational anthropological significance based on it. Motherho d is an instinct that a woman has for her child as a mother, and it is an experience that is learned through practical parenting activities, and is formed in a mother s relationship with her child. Motherho d creates humans, protects and preserves their lives, and raises humans intel ectual y, emotional y, and physical y. Motherho d has an es ential and non-es ential relationship with biological sex, and makes humans understand as beings with gender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 n motherho d and reproducibility. Humans are born in this world through the relationship with birth, and mothers practice motherho d as caring for children born in unfamiliar time and space in a state of deficiency. Infants must grow up in a warm family where maternal care is performed, and the experience becomes a stepping stone and can be stably independent as a unique individual being. Presenting the educational anthropological significance of motherho d expands the understanding of humans with sex and makes them aware of birth and the resulting responsibility for education. In addition, through maternal care and education, humans reach self-completion. And this suggests the importance of maternal relations in a personalized and materialized modern society.

      • KCI등재

        기획 특집 : 모성 담론의 문화적 형성과 재현 ; 고대에서 근대전환기까지 모성 담론의 문화적 조명 : 신라 사회의 모성과 향가

        신재홍 ( Jae Hong Shin )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07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0 No.14

        본고는 모성(母性)이라는 주제를 통해 향가의 역사성과 보편성을 밝혀 보고자 하였다. <안민가>와 <도천수관음가>에 모성이 형상화되어 있는데, 그 의미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의 몇몇 사례만으로는 논의하기 어렵고, 『화랑세기』의 다양한 어머니상 및 모성의 정치적, 제도적 양상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화랑세기』의 어머니들은 아들에 관련된 일에 민감하고, 아들을 훈육하며, 아들로부터 사랑받고, 아들 앞에서 참회의 눈물도 흘린다. 그러면서도 인통 간의 갈등, 가도의 전승, 과도한 남성 편력, 아들과의 유별난 친밀감 등 당대적 양상을 드러낸다. 특히, 모성 정치의 비중이 크고 여러 제도에서 모성의 구현을 의도한 점 등은 신라 시대 모성의 특성을 잘 보여 준다. 신라는 골품제를 근간으로 한 신분제하에 색공제, 근친혼제, 모계제, 부권제 등에 의해 운용된 사회였다. 이러한 제도들 속에서 모성보다는 성(섹슈얼리티)이 우선함으로써 어머니역할에서 모성과 성 간의 갈등도 나타나고 마복자와 같은 특이한 제도도 생겨났다. 그리고 모성은 아이 양육의 면에서 개별적이기보다 집단적인 성격을 띠었다. 또한 부권제하의 모계 친족 사회였던 관계로 모성은 부권제에 따른 사회 통합적 가치관을 자식에게 가르치는 역할도 지녔다. <안민가>에서 모성은 사회 현실에 작용하는 사랑의 가치로 이념화되었다. ``신하는 어머니``라고 한 진술은 모계 친족 집단인 진골귀족이 임금을 올바로 보필하고 백성을 잘 부양할 것을 역설한 것이다. 신라 사회에서 차지하는 진골귀족 집단의 역할을 중시한 시대 의식이 깔려 있다. <도천수관음가>에서 모성은 종교적 지향과 실천을 통해 자비의 가치를 드러내었다. 아이의 눈을 뜨게 하려는 모성은 인간과 신 사이를 매개하는 데 그치지 않고 신성을 구현하는 주체가 되었다. 자녀를 위해 신앙의 힘을 빌리는 어머니의 모습에서 시대와 지역을 초월한 보편적 모성을 확인할 수 있다. This paper shows the particularity and universality of Hyang-Ga`s themes through investigation of motherhood in the Silla dynasty. Motherhood is depicted in Anmin-Ga and DoCheonsuGwaneum-Ga.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Hwarangsegi to understand the historical meaning of the motherhood in two works. The mothers in Hwarangsegi are sensitive and loved by their sons. They also educate their sons to accept the good values of society. These are universal aspects still relevant today. Nevertheless, they also contain particular aspects of Shilla. There are conflicts between family lines with the rights to the Queen`s throne, succession of family enterprises, involvements with many men, and special intimacy between mother and son. It is particular to note that mothers` politics has importance in Shilla imperial court and motherhood is clearly marked on many organizations in the nation. The Shilla society had the following systems: social status Golpum, intermarriage, maternal lineage, and patriarchy. Under these systems, sexuality took precedence over motherhood. As such, conflicts between motherhood and sexuality appeared frequently and the peculiar filial system called Mabokja was created. Mothers brought up their children collectively in the realm of noble classes. They had a role of teaching the socially integrating values under the coexistence of patriarchy and maternal lineage. Anmin-Ga shows motherhood as a love to be realized in the society. The passage of the poem ``the ministers are mothers`` means that the Jingol noble classes should support the throne and take care of people as well. The poem`s meaning is based on the thought of that times. DoCheonsuGwaneum-Ga shows motherhood as a mercy to be practised with religious attitude. Motherhood springing out mercy to disabled son does not only mediate between human and god, but also embodies the divinity. In the figure of mother`s prayer for son we can see the universal motherhood that defies times and spaces.

      • KCI등재

        구술생애사를 통해 본 한국여성들의 모성인식에 대한 세대비교연구

        이선형(Lee Sun Hyoung) 한국여성연구소 2011 페미니즘 연구 Vol.11 No.1

        이 글은 30대에서 70대에 이르는 한국 여성들의 구술생애사를 통해 여성들이 스스로 구축해 온 모성에 대한 인식틀을 비교한다. 구체적인 모성실천과 경험보다는 그 경험에 대한 여성들의 의미부여방식에 집중함으로써, 모성개념의 확장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각 세대별 여성들은 모성을 ‘생존’, ‘여자의 임무’, ‘문화적·사회적 교류’, ‘인간에 대한 이해의 확장’등 자신의 생애사속에서 다양한 언어들로 모성을 의미화하였다. 특히 초기 양육기에 속한 30대 여성들 뿐 아니라 60-70대 노인여성들 역시 모성을 자신의 성장과정에 필요한 상징적 자원으로 활용하였다. ‘이해력과 포용력, 책임감, 생명의 고귀함’ 등과 같은 의미들은 여성들이 자신의 모성경험에 대한 성찰의 결과이다. 이러한 결과는 여성들이 자신의 모성경험을 모자녀 관계에 국한하지 않고 자신의 삶을 관통하는 사유의 기반으로 확장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그리하여 모성은 여성들이 타인에 대한 이해, 돌봄, 배려의 덕목을 상상하는 동시에 실천하는 장(場)이 된다. This study seeks to compare the conceptualization of motherhood of Korean women ranging in age from their 30s to their 70s. Oral life histories of Korean women show how they give meaning to their act of mothering. I focused on women’s voices and language rather than on the concrete mothering practice and experience so as to suggest an expansion of the concept of motherhood. Each generation of women has a distinct meaning of motherhood, as expressed by such words and phrases as ‘survival’, ‘women’s destiny’, ‘cultural and social exchange’, and ‘expansion of understanding’. Women use their mothering experience as a symbolic source to articulate their own development through their lives. Not only women in their 30s, in the early phase of mothering, but also women 60-70s years old express this experience similarly. ‘Understanding, tolerance, responsibility, and dignity of life’ - all of these concepts are the result of women’s reflections on their experiences. As a result, this study shows the possibility that women can expand their mothering experiences to a base of thinking for their whole life, beyond simply their mother-children relationships.

      • KCI등재

        “엄마가 되는 건 다른 작은 존재를 위해서 자기를 다 내줄 때에요”: TV 드라마 <마더>에 재현된 모성 실천에 관한 연구

        이은지(Lee, Eun Ji) 한국가족학회 2019 가족과 문화 Vol.31 No.3

        이 연구는, 드라마 <마더>에서 모성 실천이 어떠한 양상으로 재현되는지를 분석하고, 드라마에 재현된 모성 실천과 기존의 모성 실천 논의들을 교차하며, 모성의 의미를 해석하고자 하였다. <마더>는 기존의 드라마에서 주변화되었던 인물들의 모성 실천을 통해 그동안 전경에 부각되지 못했던 모성의 의미를 드러낸다. <마더>에서는 생물학적 엄마, 입양한 엄마, 보호시설의 엄마가 각기 모성을 실천하는 양상을 통해 사회적 안전망과 네트워크가 부재한 경우, 자녀를 학대 상황에 노출시킬 수도 있는 모성 실천을 보여주기도 하고, 한 아이가 일종의 모험을 통해 기존의 사고방식에서 벗어나 하나 의 인격체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으로의 모성 실천을 보여주기도 한다. 또한 자녀를 임신ㆍ출산한 것으로의 모성을 넘어서서 도움이 필요한 아이의 요청에 관심을 가지고, 이것에 응해 엄마가 되는 것으로의 사회적 모성에 관한 담론을 생산한다. <마더>에 재현된 모성 실천을 통해 볼 수 있는 모성의 의미는, 1) 사회적 모성: “제 손으로 아이를 키우는 것에 국한하지 않는”, 2) 존재에 대한 책임: “엄마가 되는 건 다른 작은 존재를 위해서 자기를 다 내줄 때에요”, 3) 인격체로의 존중: “엄마, 난 도망갈 거야”로 압축된다. “사회적 모성”, “존재에 대한 책임”, “인격체로의 존중”의 의미에 주목해 모성을 실천하고자 한다면, 더 이상 모성 실천을 여성의 본능이자 정체성이라고 규정할 수 없을 것이다. 또한 다양한 입장에서 모성이 발생되는 상황과, 문화적 조건에 주목해 연구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motherhood practice is reproduced in the drama Mother , and to intersect the motherhood practice recreated in the drama, existing motherhood practice discussions, and to interpret the meaning of motherhood. Mother reveals the meaning of motherhood that has not been highlighted in the foreground through the practice of the motherhood of the characters who have been marginalized in existing dramas. In Mother, various patterns of motherhood practice are exhibited by a biological mother, adopting mother, and mother in a protective facility, such as motherhood practice that may expose the child in an abusive situation amid lack of social safety net and network and motherhood practice that helps a child grow into a human being by escaping the conventional way of thinking and taking on a type of adventure. Furthermore, the drama also produces discourse about social motherhood, where a woman becomes a mother beyond the motherhood given to her through pregnancy and delivery, as she pays attention and responds to the requests and needs of the child who needs help. The fundamental meanings of motherhood implied by the motherhood practice in Mother are: 1) social motherhood: “not limited to raising a child by one’s own hands,” 2) responsibility for existence: “you become a mother when you give up yourself for another little being,” 3) giving respect as a human being: “Mom, I’m gonna run away.” If attempting to realize motherhood practice with a focus on the meanings of “social motherhood,” “responsibility for existence,” and “giving respect as a human being,” we no longer can define realization of motherhood practice as a woman’s instinct or identity. Moreover, it will be possible to conduct research with a focus on the circumstances and cultural conditions in which motherhood is manifes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