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진단도구의 개발 논리에 대한 의문점

        신재홍 ( Shin Jae-hong ) 한국문학치료학회 2009 문학치료연구 Vol.12 No.-

        문학치료를 위한 연구의 현 단계에서 `문학치료는 작품서사를 통하여 자기서사를 치료하는 것`이라는 정의가 제시되어 있다. 그런데 이는 `서사`라는 용어를 문학 작품과 인생에 동질적으로 적용함으로써 논의의 대상에 혼란을 가져왔다. 진단의 자료가 되는 서사에 여러 `분기점`을 설정하여 진단하려는 시도에도 문제가 있다. 서사는 처음부터 끝까지 이야기되었으므로 그 중간에 갈림길을 두어 독자에게 다른 방향을 선택하도록 할 수 없다. 한 작품을 다 읽은 다음에 추체험을 통해 이야기의 고비마다 느낀 것과 생각한 것을 말할 수 있을 뿐이다. 더욱이 서사의 분기점을 설정하는 데에 진단자의 자의적 판단이 개재할 염려가 있다. 서사의 경우와 수준을 `가르기`, `밀치기`, `되찾기`, `감싸기`로 나눈 것도 의문이다. 다양한 서사 작품들을 이 넷으로 나눈 근거가 분명치 않을뿐더러 네 용어 사이에 어떤 일관된 기준이나 맥락을 찾기 어렵다. 기초 서사의 척도를 `순응`, `선택`, `지속`, `양육` 등으로 파악한 것도 재고할 필요가 있다. 이 네 주제는 대개 보수적인 가치들인데, 이와는 다른 관점에서 작품을 읽게 되면 다른 주제를 척도로 삼게 될 것이다. 여기에 제시된 것은 이야기 해석의 한 관점일 따름이므로 보편적인 척도가 되기 어렵다. 본고에서 지적한 것들이 진단 도구 개발을 위해 보완될 점들로서 문학치료의 방법론을 수립하는 데에 다소간 참조가 되기를 바란다. In these times, the definition of literary therapy is that it is a therapy of self narrative through narrative works. But this definition brings confusion of objects of discussion by using the term, narrative. An attempt to diagnose through setting divergent points in a narrative has problem. As a narrative is described from the beginning to the end, the reader can`t have option on divergences. He can merely speak his thoughts and emotions through retrospective experiences. It is also problem that the narratives` cases and levels are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such as division, pushing, recovering, and protection. The basis of dividing into four is not evident and the logical connection among them can`t be found. It is necessary to rethink of the therapeutic measures for basic narratives such as adaptation, choice, continuation, and fostering. These four themes are conservative ideas catched by the advocator. But from other viewpoints the narratives can be interpreted into other themes. The problems indicated in this review would become complementary points in the study of literary therapeutic methods.

      • KCI등재
      • KCI등재

        고전 소설의 재미 찾기

        신재홍 ( Shin Jae-hong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13 고전문학과 교육 Vol.26 No.-

        고전 문학의 연구와 교육에서 재미의 문제는 매우 중요하다. 오늘날 왜 고전을 읽어야 하는가라는 물음에 대한 답 중의 하나가 고전의 흥미성에 놓여 있기 때문이다. 관심, 이해, 해석 등을 통해 즐거움, 감동, 보람 등을 맛보는 전 과정에 걸쳐 재미의 요인이 들어 있을 것이다. 본고는 고전 소설이 지닌 재미의 영역과 편폭을 생각해 보고 그중 어느 지점에서 재미를 찾아 즐길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우선 연구와 교육의 장에서 고전 소설에 대한 관심과 해석, 교육 과정의 내용과 교수 학습 방법 등에 일정한 경향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대체로 여성, 환상, 생활ㆍ문화 등의 주제로써 작품을 감상, 분석하는 경향이 우세하고 재담이나 해학 문화의 면에서 고전 소설의 재미를 맛보도록 하는 학습활동이 위주가 되었다. 독자의 태도와 의식, 고전 소설의 내적 요소를 가지고 고전 소설이 지닌 재미의 편폭을 가늠해 보았다. 역사성에 대해 가깝게 느끼는 재미와 멀리 느끼는 재미, 형식에 대해 크게 보는 재미와 작게 보는 재미, 내용에 대해 현실 맥락의 재미와 현실을 뛰어넘는 재미 등 세 영역에서 재미의 편폭을 그려 보았다. 이 편폭은 단면적이지 않아서 여러 가지 요인의 상호 작용에 의해 얻게 되는 재미의 다양한 지점들을 지닌 채 펼쳐져 있다. 고전 소설연구와 교육은 이와 같은 재미의 영역을 새롭게 인식하고 확장하는 방향에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앞의 논의를 바탕으로 고전 소설에서 재미를 찾는 방법을 실례를 들어 제시해 보았다. 옛날의 신분 제도나 세시 풍속과 같이 현대에서 멀리 떨어진 역사적 배경을 접하며 시간적 거리감을 느끼는 중에 고전 소설의 재미를 맛볼 수 있다. 또한 고전 소설의 문학적 관습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하여 한층 더 깊이 있게 재미를 경험하는 길도 열려 있다. 이와 함께 시대를 뛰어넘어 과거와 오늘을 연결하는 보편적인 주제가 담긴 작품에서 인물, 사건, 배경이 어울려 형상화되는 주제의 보편성에 공감하는 방향에서 재미를 찾을 수도 있다. 고전에 대한 관심은 어느 시대나 있어 왔고 변화하는 시대에 대응하는 주체의 역량도 고전을 통해 더욱 신장되어 왔다. 우리 시대, 우리 사회의 문화적 역량을 키우기 위해서도 고전 읽기는 필수적이다. 고전 소설 읽기는 인간다운 삶을 위한 기초 교양을 쌓기 위해 현대의 삶과 중첩되는 동시에 과거, 미래와도 연결되는 즐겁고 보람된 일이다. 우리의 삶에 밀착된 인문정신을 새롭게 고양하는 길에서 고전 소설과 재미있게 만나기를 기대한다. The problem of interest in the study and education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 is very important. It may be one of answers to the question why we who live today should read the classics. The factor of interest lay on the whole process to experience of pleasure, impression, and worth through attention, understanding, and interpretation. So this paper examine the categories and breadth of interest of Korean classical novels and the points of finding out interest of it. Through this paper it is confirmed that there are certain trends these ten years in the study and education of Korean classical novels. Generally speaking, the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f classical works have been done with themes of female, fantasy, and daily life. And the education of the works in the curriculum of Korean middle school have been done to make students to experience the interest in the fun stories or humorous traditional language culture. We can measure the categories and breadth of interest of Korean classical novels with three levels. First, the interest from near to far encountering the historicity of works. Second, the interest from macroscopic to microscopic viewing the forms of works. Third, the interest from inner to over taking the contents of works. The interest of these levels could be took by interactions with various factors. We should study and educate to extend the range of interest of classical novels. In this paper the ways to find out interest from Korean classical novels are suggested with giving examples. We taste the interest by senses of distance between today and past with encountering the historical background like ancient status systems or seasonal customs. And the way is opened to experience the interest of works in the basis of understanding of literary conventions of Korean classical novels. Also there are the interest from the sympathy of common topics of the works with connection between today and past. The concern to classics have flowed ceaselessly all the times and the power to manage change of times could be gained by establishing self identity through reading classics. The reading of Korean classical novels is one of the pleased experiences to pile up the basic cultivations for human life.

      • KCI등재

        <최고운전>의 신라사 인식

        신재홍 ( Shin Jae-hong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09 고전문학과 교육 Vol.17 No.-

        본고는 <최고운전>이 역사적 소재를 바탕에 두고 설화들을 엮은 작품임을 밝히고자 하였다. 작품 서두의 금돼지 삽화와 작품 전반에 드러나는 민족의식이 신라 시대의 역사적 사실과 관련될 수 있다고 보았다. 이러한 관점에서 <최고운전>에 접근하는 데 유용한 자료가 『화랑세기』이다. 이 책에 기술된 마복자 제도는 임신한 여자가 상층의 남자와 성관계를 맺은 후 낳은 아들을 그의 양자로 삼는 제도이다. 신라 시대에 만연한 색공 문화, 그것을 통해 형성된 가족 관계를 잘 보여 준다. 이것이 <최고운전>에 금돼지 삽화로 그려져 있다고 생각된다. 금돼지 삽화에 나타나는 모순점들은 마복자 제도에 비추어 보면 이해가 간다. 한편, <최고운전>에는 중국에 대항하는 신라의 민족의식이 나타나 있다. 그 원천에 대한 논의가 있어 왔는데, 본고는 『삼국사기』와 『화랑세기』에 보이는 민족의식을 통해 그 역사적 실재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그리하여 신라 상하층의 합력, 영웅의 형상, 중국과 대등한 문화적 역량 등이 <최고운전>과 역사서에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민족의식의 양상임을 보였다. 이렇듯 <최고운전>은 신라의 제도, 인물, 사상을 근간으로 하였으나 그것이 지닌 설화적 성격 또한 뚜렷하기에 기존 논의에서도 이 점이 집중적으로 조명되었다. 본고는 『삼국유사』 소재 설화와의 관련에 주목하여 그 설화들이 중층적으로 구성된 것으로 보았다. 추남·거타지·보양 설화 등은 작품의 줄거리를 이루고, 백월산·동명·수로 부인·원효 설화 등은 서사 맥락에 따라 변용되었으며, 만파식적·선덕여왕·욱면비·제상 부인 설화 등은 발상 면에서 상통한다. 이상에서 <최고운전>의 설화적 성격과 함께 신라의 제도와 사상을 담은 역사적 성격에 대해 살펴보았다. 소재의 원천이 신라의 역사적 사실에 있고 작품 분위기도 신성성을 유지하고 있는 점을 고려할 때, <최고운전>은 16세기보다 훨씬 이른 시기에 창작되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본다. This study is a historical interpretation of Choigowoonjeon which has many fables and shows the nationalism of Shilla. That is to interpret the Korean classical novel through the historical records of Samguksagi and Samgukyusa, especially those of Hwarangsegi. The episode of golden pig which located in the beginning of the work is queer in that the monster who snatched other men's wives lives with nobleness in the transcendental utopia. It can be explained with the conventional parental authority system, Mabokja which recorded in Hwarangsegi. Mabokja is a son delivered after pregnant woman's sexual intercourse with the noble man, such as Seonggol or Jingol which is the high classes of Shilla. Considering these records, the hero Choichiwon in Choigowoonjeon is a Mabokja who was delivered from woman being snatched by golden pig. In the Choigowoonjeon the nationalism shows on the whole work. The Shilla people's pride and antagonism against China in the work is a remained thought from Shilla dynasty. The nationalism can be found in Samguksagi and Samgukyusa, but it reveals more clearly in Hwarangsegi. The people of Shilla recognized their country as God-nation, and believed the superiority and originality of God-nation which is different from Chinese culture. They named the period of every king's reign with their own naming from early age and got the idea of the unification of Three-kingdoms. The nationalism like this have been continued and put into the Choigowoonjeon. Choigowoonjeon is a classical novel which get the materials of the system and thought of Shilla. As a fiction, the aspects of remaking history in the work are considerable. Therefore it has similarities with the fable book Samgukyusa than the history book Samguksagi and Hwarangsegi. The tales of Kimyusin, Geotaji, Boyang etc. in Samgukyusa could influenced the construction of stories of Choigowoonjeon. With this discussion we can guess the time to create the work earlier than 16C. So Choigowoonjeon may be important work in early period of Korean history of classical novels.

      • KCI우수등재

        이육사의 시와 화랑도의 향가 비교 고찰

        신재홍(Shin, Jae-hong) 국어국문학회 2015 국어국문학 Vol.- No.170

        이육사의 시가 지닌 정형성에 대해서는 연구 초기부터 주목을 받아 왔다. 기존 논의는 대개 한시나 시조와의 관련성에 집중되었는데, 본고는 거기서 나아가 향가와의 비교를 시도하였다. 한국 서정시의 전통이 면면히 이어져 왔다는 전제하에 향가와 현대시의 비교를 통해 형식과 내용상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드러내고자 한 것이다. 먼저, 고전 시가에 대한 이육사의 관심을 논의의 발판으로 삼았다. 그는 직접 한시와 시조를 지었을 뿐 아니라 시와 산문 속에 잡가, 민요 등에 대한 이해도 드러난다. 고전 시가의 여러 장르에 걸쳐 폭넓은 관심을 지니고 있었던 것이다. 이는 기승전결의 한시 구성법이 끼친 영향만으로는 이육사 시의 정형성을 충분히 설명할 수 없음을 시사한다. 다음으로, 이육사의 시가 지닌 형식적 특징을 살펴서 이를 향가와 비교해 보았다. 그의 시는 3연, 5연, 6연 및 2행, 3행 구성이 주류를 이루는데, 그중에서도 2행 5연의 시가 가장 많다. 이들 작품은 대개 3단의 의미 구조로 짜여 있다. 이는 2행 혹은 4행1구로 된 10행 향가의 3단 구조와 비교된다. 제1구를 바탕으로 제2구가 전개되다가 낙구에서 시상의 도약이나 전환이 이루어지는 10행 향가와 구조상 유사한 것이다. 또한, 이육사의 2행 4연으로 된 시는 8행 향가의 형식과 관련지을 수 있다. 외형상으로는 4단 구조이지만 의미상 3단 혹은 2단 구조로 수용될 수 있다는 점이 공통된다. 형식에 이어 주제 면에서 이육사의 시와 향가를 비교해 보았다. 이육사 시에 두루 통하는 주제는 지조라고 할 수 있는데, 이는 향가의 주제와 비교된다. 자신의 ‘꿈’을 끝까지 지켜나간 이육사의 지사적 태도는 중세 시가에서 중요한 절의, 지조의 주제와 연결되는바, 이는 신라 시대의 화랑도가 지은 향가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 이와 같은 형식적, 내용적 근거 위에서 작품 비교를 시도하였다. 〈절정〉은 기승전결로 구성되어 있으나 그것은 다시 3단 구조로 분석될 수 있다. 이는 8행 향가의 형식과 유사한 점이다. 〈광야〉는 10행 향가의 형식과 상통하면서도 차이점이 나타나는 바, 3단 구조에서 공통되지만 행수, 연의 기능 등에서 차이가 난다. 한편, 주제 면에서 공통점과 차이점이 드러난다. 〈절정〉, 〈광야〉은 엄혹한 상황을 극복하고 역사의 전망을 획득하는 길을 모색하고 있다. 이에 비해 〈모죽지랑가〉는 화랑에 대한 낭도의 신뢰와 지조를, 〈찬기파랑가〉는 기파랑에 대한 추모와 서원을 표현하였다. 이렇게 차이가 나는 한편, 화자가 취하는 꿈 혹은 삶에 대한 일관된 태도 면에서 이육사의 시와 화랑도의 향가는 상통한다. 이상에서 형식과 주제 면에서 이육사의 시와 향가를 비교하였다. 한국 서정시가 지닌 형식적, 내용적 특질이 오랜 시간을 지나서도 서로 연결되는 지점이 어딘지 찾아본 것이다. 이러한 시도는 신라 향가에서 1,200여 년을 건너 뛰어 현대시와 비교한데 따른 비약과 무리가 있었으리라 생각된다. 양 시대의 중간 지점들에 산출된 여러작품을 가져와 비교 연구의 폭을 확대할 필요가 있는데 이는 추후의 과제로 남겨 둔다. Yiyooksa’s poems have forms which are very refined and themes of constancy. The forms of Yiyooksa’s poems have been considered with influence of Chinese poetry. But it is more useful to compare those to Hyanggas on the same linguistic basis of Korean poetry. Through comparing Yiyooksa’s poems to Hyangga in the forms and themes we can find some features of Korean lyrics. Yiyooksa composed Chinese poems and Shijos for himself. And passages which show the poet’s concerns of Korean traditional poetry are found in his poems and proses. With this we know that the poet have wide concerns for various genres of Korean poetry. Therefore the viewpoint of influence of Chinese poetry could not be enough to understand forms and themes of Yiyooksa’s poems. The forms of three, five, six stanzas and two, three lines are mainstreams in Yiyooksa’s poems. The poems of five stanzas with each two lines are constructed by three paragraphs. This form could be compared with that of Hyangga which is set by three paragraphs with each two or four lines. The meaning structure of ten lines Hyangga which the second paragraph(from fifth to eighth line) is developed on the basis of the first paragraph(from first to fourth line) and the third paragraph(ninth and tenth line) is jumped or changed is different from that of Chinese poetry constructed by four paragraphs. And Yiyooksa’s poems of four stanzas with each two lines could be compared with eight lines Hyangga. The two poetic forms have common features which could be analyzed by three paragraphs in spite of outward appearance of four paragraphs. In addition, theme of constancy in Yiyooksa’s poems could be compared with that of Hyangga. The constant attitude for independence of his own fatherland is connected to the medieval poet’s loyalty for his own king. This theme could be found in Shijos which are prevailed on the period of Choseon dynasty, but we can go back to Hyangga of Shilla dynasty, So we compared Yiyooksa’s poems to Hyanggas of Hwarangdo that is a group of the noble young men of Shilla dynasty. The peak, one of Yiyooksa’s poems, is appeared to be constructed by four paragraphs, but could be analyzed by three paragraphs. This meaning structure have similarities with eight lines Hyangga. The plain, another Yiyooksa’s poem, has common structure with ten lines Hyangga in the three paragraphs meaning structure. But it shows some differences in the number of lines and the function of stanzas. Themes of The peak and The plain are converged on taking historical prospect after overcoming severe situations of the days. Compared with this, Mojukjirangga, one of eight lines Hyanggas, shows theme of subordinate’s loyalty to his chief, and Changiparangga, a ten lines Hyangga, expresses theme of pursuit of sublime ideas. Yiyooksa’s poems and Hwarangdo’s Hyanggas have common attitudes of constancy for dream of life. Like this, refined forms and themes of constancy of Yiyooksa’s poems could be compared with Hwarangdo’s Hyanggas. With this comparing some persistent features of Korean lyrics would be revealed.

      • KCI등재

        향가의 기억과 서정성

        신재홍 ( Jae Hong Shin ) 한국시가문화학회(구 한국고시가문화학회) 2016 한국시가문화연구 Vol.0 No.37

        본고는 기억이라는 개념을 가지고 향가의 서정성에 접근해 보았다. 기억은 인간을 특징짓는 의식 작용이고 서정시 창출의 원동력이기도 하다. 시대마다기억의 주체, 대상, 조건 등이 다를 것인데, 이에 대한 분석을 통해 향가가 지닌 역사적 특질을 드러낼 수 있다. 이를 위해 현존 향가 중 기억의 소재가 두드러진 < 원왕생가 >, < 모죽지랑가 >, < 원가 >, < 찬기파랑가 > 등 네 편을 집중적으로 논의하였다. < 원왕생가 >는 현재 여기의 사건을 기억으로 만들고 오랜 과거의 기억을 가져와 왕생극락의 종교적 염원을 표현하였다. 화자와 달과 아미타불의 염원이 같은 것임을 기억의 연쇄를 통해 드러냄으로써 그 마지막 지점에서 왕생극락이 실현되리라 믿었다. < 모죽지랑가 >는 과거의 좋은 기억과 현재의 시름겨운 상황이 서로 긴장을 유지하며 시상이 전개되었다. 현 상황이 어렵지만 과거의 기억을 토대로 화랑 죽지가 낭도인 자신을 구원하러 오리라 확신한다. 여기서의 기억은 화랑 집단의 소속감을 다지고 기억의 공동체를 이루는 사회적 성격을 지니고 있다. < 원가 >는 과거의 특별한 사건과 일상적인 사건을 차례로 기억함으로써 효성왕의 마음을 돌이키려고 하였다. 정치적 관계로 맺은 약속의 기억이 복권이라는 의도가 담긴 이 작품의 중심 소재가 되었다. < 찬기파랑가 >는 기파를 추모하는 자리에서 그의 유언을 기억하여 그 속에 담긴 뜻을 되새기고, 역사의식과 지조를 갖춘 화랑도에게 현세 초극이 삶의 지표임을 선포하였다. 임종 시의 기억을 집단적 기억으로 승화함으로써 기파가 남긴 뜻을 시대적 이념으로 자리 잡도록 하였다. < 원왕생가 >와 < 찬기파랑가 >는 종교적, 이념적 성격이, < 모죽지랑가 >와< 원가 >는 사회적, 정치적 성격이 우세하다. 전자는 현세 초극의 의지가 나타난 데 비해 후자는 개인과 개인, 개인과 집단 간의 관계가 문제되었다. 이에 따라 주제와 형식상 전자는 서원이, 후자는 신의가 주로 다루어졌다. 이는 신라 사회의 집단 표상으로서의 문화적 기억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작품 성격을 고려하면서 네 작품에서 기억이 어떻게 형상화되었는지 살펴보았다. < 원왕생가 >는 기억의 영속성 확보 및 기억의 생성과 반복, < 모죽지랑가 >는 기억과 현재의 긴장 및 기억을 믿음의 근거로 삼기, < 원가 >는 기억의 일관성에 대한 문제 제기 및 기억의 병렬과 확장, < 찬기파랑가 >는 기억의 흔적 찾기 및 기억의 확산과 집중 등의 방식이 쓰였다. 기억의 형상화에 따라 작품의 서정성도 심화되었다. 영원성에 닿아 있는 왕생극락에의 희구, 고립에서 귀속으로의 구원 소망, 깨어진 약속의 원상 복귀, 추모를 통한 기억의 이념화 등의 주제가 기억을 통해 구현되었다. 또한, 부처 앞에서 정성을 쏟아 갈구하는 모습, 일상에 기초한 화랑과 낭도의 연대감, 궁정을 배경으로 한 친밀한 관계와 그것이 깨어진 상황, 스승의 뜻을 이어가려는 문도들이 의지 등이 뚜렷히 그려졌다. 그리고 기억의 생성과 반복, 근거로 삼기 병렬과 확장 확산과 집중 등의 방법에 의해 작품의 시상을 구조화하였다. 이렇게 하여 기억과 결부된 의식과 정서, 심상과 분위기가 서정시로서의 향가 작품에 구현되었다. 기억이 작품의 주제, 심상, 구조 등에 작용함으로써 서정성이 심화됨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is an approach to lyricism of Hyangga through the concept of memory. The memory is a conscious behavior of human being and a motive of creating lyrics. The historical features of Hyangga could be appeared with memory approach attended to various subjects, objects, and conditions of memory in each age. In Wonwangsaengga the religious wish is expressed through which the poetic speaker makes the happening of this time and space to be memory and brings the memory of long time ago to this time. The speaker believes rebirth in Nirvana with showing the series of memory of himself, the moon and the Amitabha. In Mojukjirangga poetic thoughts are developed with tensed relation between past good memories and today sorrowful situations. In spite of anxious situations, the speaker has a conviction to be relieved by his chief on the base of past memories. The memory of this poem has a feature of social relations in Shilla dynasty. In Wonga the poetic speaker wants king’s mind to turn toward himself with memories of particular and routine happenings. In order to be reinstated he deals with memories of promise of political relations. In Changiparangga it is proclaimed that people cherishing the memory of Hwarang’s leader get the rising above the world to Nirvana as their idea of life. The speaker makes the memory of leader’s last words to become a corrective memory and to be idea of the age. Wonwangsaengga and Changiparangga have religious and ideal features, Mojukjirangga and Wonga have social, political ones. Comparing that transcendental wills are appeared in those poems, problems of relation between individuals or groups are figured in these. With this we could know that themes of vow and faithfulness would be cultural memory of Shilla society. In four poems memories are figured with various ways fitted each works. There are the ways of getting memorial eternity and making memories in Wonwangsaengga, tension between past and present and belief based on memory in Mojukjirangga, raising a question of memorial consistency and expending of memories in Wonga, finding out memorial traces and concentration of memories in Changiparangga, The lyricism of Hyangga is intensified by figuration of memory. Themes of wish for the rebirth in Nirvana, desire to be relieved by belonged group, recovery of promise which is broken, making memory to be idea through cherishing are versified by figuration of memories. Also figures ofa sincere prayer, solidarity of Hwarang and Nangdo, intimacy of sovereign and subject, will of succession to master’s idea have been made explicitly. And poetic thoughts are structured by the ways of making memories, expending of memories, and concentration of memories. With these ways consciousness and feelings, images and atmospheres are figured in Hyangga poems. So we could confirm that the lyricism would intensified by memories to working in themes, images and structures of lyrics.

      • KCI등재

        어머니 독자와 김만중의 소설 창작

        신재홍 ( Shin Jae-hong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19 고전문학과 교육 Vol.40 No.-

        김만중이 유배지에서 윤 부인을 위해 소설을 창작했다는 것은 여러모로 음미할 만한 문제이다. 본고는 사대부가 여성 독자가 했던 가문 내적 역할과 관계적 특성을 고려하여 ‘어머니 독자’라는 개념으로써 그것에 접근하였다. 소설 창작의 사회 문화적 배경으로서 17세기 어머니 독자 현상을 논하고, 윤 부인의 독서인다운 면모를 드러내고, <구운몽>과 <사씨남정기>에서 어머니 독자를 고려한 면모에 대해 살펴보았다. 어머니 독자의 존재는 17세기 사대부가에서 확인된다. 가모(家母)가 소설책을 읽고, 베끼고, 나누고, 빌리고, 보존하는 등의 역할을 하였다. 어머니 독자는 소설 독서를 함께한 여성뿐 아니라 가문의 대를 잇는 친인척 자녀에게도 영향을 끼쳤다. 사대부가 아들이 어머니의 필적을 소중히 보관한 것은 소설 독서를 낙으로 삼은 어머니의 삶을 수용하는 의미가 있다. 김만중의 어머니 윤 부인은 평생을 독서인으로 살았다. 그녀는 역사와 인물 이야기에 관심을 두었고 독서를 통해 인격을 닦았다. 김만중은 평소에 윤 부인의 독서 경력, 교양과 지식, 인격 등에 부응하는 한글 소설을 지었을 것이고, 유배지에서 지은 <구운몽>의 경우에는 어머니를 의식하여 높은 문학성과 깊이 있는 주제가 요구되었을 것이다. 김만중의 소설 속에는 어머니 독자를 고려한 양상이 나타난다. <구운몽>은 남녀 결연의 배후에 어머니의 존재감이 드러나고 어머니를 중심으로 한 수준 높은 독서와 품평의 일상이 그려져 있다. <사씨남정기>는 여성의 덕성과 고난이 강조되었고 가문의 몰락과 회복이 앞뒤에서 상응하는 구성을 취하였다. 여기에는 가문 회복에 대한 작가의 염원과 함께 어머니와 여성의 삶에 대한 응원의 의미가 담겨 있다. 사대부 작가의 소설 창작이 어머니 독자를 위한 효도의 일환으로 인식된 것은 소설 창작 및 향유에 일정한 명분을 얻은 것이다. 작가의 입장에서는 허구에 대한 흥미와 유교 이념의 제시 사이에서 폭넓은 창작의 영역을 확보한 것이기도 하다. 어머니 독자와의 관계를 고려할 때 사대부 작가가 소설을 통해 여성을 일방적으로 가르치기보다는 일정한 교양과 지식을 갖춘 고급의 여성 독자에게 그와 함께한 인생만큼 독서의 기억을 담아 소통의 읽을거리를 제공하려는 의도가 있었다고 하겠다. 이러한 17세기 어머니 독자의 사회 문화적 배경하에서 수준 높은 한글 장편 소설이 나올 수 있었다. There are many ways to study the meaning of the fact that Kim Man-jung wrote a novel for Mrs. Yoon in the exile. This paper approached it as a concept of 'maternal reader' considering the internal role in the family and relational features that the female reader had. As a socio-cultural background for novel writing, I discussed the phenomenon of maternal readers in the 17th century, revealed the aspect of Mrs. Yoon's reading, and examined the aspect of considering maternal readers in Guunmong and Sassinamjeonggi. The maternal readers appeared in some families of Sadaebu in the seventeenth century. The female reader of the family read, copied, shared, borrowed, and preserved books of novel. These maternal readers influenced not only women who read novels together but also relatives of family members. The fact that the son of Sadaebu cherished his mother's handwritings has the meaning of accepting the life of his mother who made the novel reading a pleasure. Kim Man-jung's mother, Mrs. Yoon, lived her life as a reader. She was interested in history and character stories and cultivated her personality through reading. Kim Man-jung would have wrote Korean novels that could correspond to Mrs. Yoon's reading concern, culture, knowledge, and personality. In the case of Guunmong written on the exile, he would have been conscious of his mother and demanded high literary and in-depth themes. In Kim Man-jung's novel, there is a pattern considering the mother's reader. In Guunmong the presence of mother behind the relationship between men and women is revealed, and the daily life of high-level reading and evaluation centered on mother has been depicted. In Sassinamjeonggi the virtues and hardships of women are emphasized, and the collapse and recovery of the family has been taken a corresponding composition between first and last part of the work. This is the meaning of the support for the life of mother and woman along with the desire of the writer for the restoration of his family. The writing of novels by the writer of Sadaebu was recognized as part of the filial piety for the maternal readers, and it became a certain cause for novel writing and enjoyment. From the standpoint of the writer, it was also a wide range of creative areas between the interest in fiction and the presentation of Confucian ideology. Considering the relationship with the maternal readers, the writer intends to communicate with readers, providing them with a memory of reading from his life with a high-quality female reader, rather than teaching women unilaterally through novels. Under the socio-cultural background of the maternal readers of the 17th century, high-quality Korean novels came into existence.

      • KCI등재

        <남원고사>, 이야기에 얽힌 욕망과 인식

        신재홍 ( Shin, Jae-hong ) 겨레어문학회 2011 겨레어문학 Vol.46 No.-

        <춘향전>의 공통 이야기와 <남원고사>와 같은 이본에 두루 반영된 향유층의 의식은 욕망과 인식이라는 개념을 통해 살펴볼 수 있다. 욕망과 인식의 주체 및 대상을 기준으로 <춘향전>은 ① 이도령이 춘향을 욕망하다, ② 변사또가 춘향을 욕망하다, ③ 암행어사 이도령이 춘향의 실상을 알아 가다, ④ 춘향과 월매가 이도령을 만났으나 실망하다, ⑤ 춘향과 이도령의 욕망이 성취되다 등의 이야기로 정리할 수 있다. 발단부는 이도령이 춘향을 욕망하는 이야기이다. 춘향을 본 이도령은 그녀가 누구인지를 알려고 방자에게 묻고 방자가 대답한다. 이 대화에 나타나는 인식 방법은 은유적 인식, 전거에 의지한 인식, 현존의 대상으로부터 멀어지는 인식 등이다. 주로 이도령이 취하는 이런 방법에 대해 방자가 부정하고 물질적인 보상을 전제로 사실을 알려준다. 전개부는 변사또가 춘향을 욕망하는 이야기이다. 변사또는 신임 사또로서 떳떳치 못한 욕망을 가진데다 이속을 다그쳐 알아내려는 기생적인 방법을 취했기에 욕망 성취가 지체되고 인식도 방해를 받는다. 인사치레나 유흥 같은 사회적 관습이 변사또 같은 구시대적 인물에게까지 제약을 가하는 상황, 기생 점고를 명분으로 내세우나 마지막까지도 춘향의 이름이 불리지 않는 것이야말로 문제적인 상황이다. 위기부의 앞부분은 암행어사 이도령이 춘향에 대해 탐문하는 이야기이다. 이도령의 탐문은 애초 개인적 욕망에서 나왔지만 이제 백성의 질고를 살피는 공적인 인식 과정이 된다. 농민, 선비, 초동, 주막 영감 등을 차례로 만나며 여론을 묻고 시행착오도 겪다가 결국 춘향의 편지를 보고 실상을 파악한다. 방자가 그랬던 것처럼 물증을 통해 대상 인식에 도달 한다. 위기부의 뒷부분은 먼저 월매가 이도령을 만나는 이야기가 나온다. 돌아온 이도령이 누군지 알아맞히려는 월매의 말에는 부녀자 겁탈 같은 병리 현상까지 내포된 일상생활의 모습이 담겨 있다. 그녀는 이도령의 거짓말을 사실로 받아들이며 어사 출도 소식을 듣고서도 사실을 모를 만큼 겉모습에 의존하는 인식 태도를 보인다. 이는 당대 서민에게 닥쳤을 인식상의 혼란이 반영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춘향이 이도령을 만나는 이야기가 이어진다. 춘향은 전거를 나열하거나 일상생활의 요소들을 통해 상대를 알고자 하는데 이는 이도령을 만난다는 사실 앞에서 숨고르기를 하는 모습이다. 이도령의 말을 그대로 믿는 점에서 월매와 비슷하지만 사태 파악 후 취하는 말과 행동은 다르다. 자기가 죽은 후에 이도령이 처할 상황을 대비하는 보살핌의 자세를 취하고 있다. 변사또에 대한 저항과 이도령을 위한 절개는 춘향의 이러한 선한 성품에서 나온 것으로 이해된다. <남원고사>에 그려진 욕망과 인식의 양상에서 <춘향전> 이야기를 좀 더 깊이 이해할 단서를 얻을 수 있다. 우선 판소리계 소설의 관습적 표현을 언어유희로만 볼 수 없도록 한다. 욕망과 인식의 내용 및 방법이 담겨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인물들의 욕망과 인식이 계층별, 지역별, 성별뿐 아니라 세대별에 따라서도 차이가 난다. 자기 연령대의 욕망과 인식을 보여 주는바 청년기 춘향과 이도령의 애정과 신의, 장년기 변사또의 욕망과 탐학, 장년기 혹은 장년기~노년기 월매의 기대와 절망이 그려져 있다. 한편 인물이 겪는 사건에서는 신세 변화 혹은 인생 역전이 두드러진다. 변화하는 시대의 굴곡 많은 인생살이가 그려져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욕망과 인식을 통해 <남원고사>과 <춘향전> 이야기를 읽는 것은 작품에 반영된 당대 삶의 내용과 방식, 작품이 지닌 흥미 요소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 We can divide Chunhyangjeon story into some steps in the point of subject and object of desires and cognitions. Through this view we analyzed and interpreted Namwongosa which is one of representative versions of Chunhyangjeon. The opening step is a story which Lee-doryeong desired Chunhyang. Lee-doryeong who saw Chunhyang asked his valet Bangja about her. The cognitive ways appeared in this dialogue are metaphorical, authoritative, and roundabout ones. Bangja denied these ways mainly showed by Lee-doryeong` talk and indicated objective cognition assuming practical compensations. The developing step is a story which Byeon-sato desired Chunhyang. Not only the gratification of Byeon-sato`s desires but also the actual cognition of objects was delayed and disturbed, because his desire for Chunhyang was shameful considering with his position, and he gathered informations through the way being parasitic to provincial officials. The first half of crisis step is a story which Lee-doryeong who became a secret inspector, Amhaengeosa took inquiries for Chunhyang. In spite of starting by personal desire, his inquiry became to collection of public opinions. By listening to people and through trial and error he got the objective actual cognition of real world. The the latter half of crisis step is a story which Weolme looked forward to her son-in-law, Lee-doryeong. When she met again Lee-doryeong, she showed naive and surface cognitive attitude, so she accepted Lee-doryeong`s lie straightforwardly. This may be a reflection of common people`s confused cognition of the day. And is a story which Chunhyang looked forward to Lee-doryeong. When she met Lee-doryeong in jail she also accepted Lee-doryeong`s lie, but after that she showed different attitude and behavior. She entrusted Weolme with future affairs of Lee-doryeong sincerely. The resistance against Byeon-sato and chastity for Lee-doryeong was founded on her good nature like this. Like this in the interpretation of Chunhyangjeon, it is necessary to see the work as an story in which people`s desires and cognitions of the day are involved. In this work old generation Byeon-sato and Weolme`s stories are overlapped with young generation Chunhyang and Lee-doryeong`s love story, and characters` bending and turning life stories are developed. In addition, the aspects of cognitive ways and attitudes in Namwongosa would be the cognition situations of the day this work was formed. The objective, actual, and daily-grounded cognitive ways take an opposite site to the metaphorical, authoritative, roundabout, and parasitic one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