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도움닫기 거리의 변화가 초등학교 아동의 멀리뛰기 발구름 동작에 미치는 영향

        배성제 ( Sung Jee Bae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1 한국초등교육 Vol.22 No.3

        본 연구는 초등학교 아동을 대상으로 멀리뛰기 도움닫기 거리 변화(15m, 25m, 30m)에 따른 발구름 동작 형태간의 관계를 규명하고, 아동의 발달학적 측면에서 초등학교 학생의 멀리뛰기 동작의 정량적인 자료를 확보하여 초등학교 현장에서 효율적인 멀리뛰기 지도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멀리뛰기 동작 분석은 DLT를 이용한 3차원 영상 분석법을 이용하였고 저역통과필터(Lowpass Filter)방법에 의해 스무딩(smoothing)하였으며, cut off frequency는 6.0 Hz로 하여 3차원 좌표 값을 계산하였다. 멀리뛰기의 발구름 동작을 개선하여 최대의 도약 거리를 획득하기 위해서는 구름발이 이지(離地)하는 순간에 신체 중심을 높게 하고 도약 속도를 줄이지 않도록 하면서 최적 도약 각도를 유지하는 것이 효율적인 동작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도움닫기와 발구름 준비 단계에서 획득한신체 중심의 속도를 줄이지 않고 구름발이 지면에 떨어지는 순간까지 유지를 하면서 최적의 도약 각도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구름발의 순발력이 매우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도약 속도를 최대한 유지하면서 최적의 도약 각도에 접근한 도움닫기 거리는 25m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초등학교 체육수업 현장에서 멀리뛰기 기술을 지도할 때 멀리뛰기동작에 대한 정확한 진단 및 평가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경기력 향상 측면에서 초등학교 멀리뛰기 선수 및 코치들에게 멀리뛰기 운동 수행을 개선시킬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The long jump motion is considered as simple projectile motion, the flight distance is determined by the initial state of athlete`s motion which include the take off velocity, take off angle, angular momentum at the moment of takeoff. However, due to the construction of human body distinctive movement patterns during the run-up, takeoff, flight, and landing phases are evolve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long jump takeoff motion effect of 15m, 25m, and 35m run-up distance by performed elementary school athletes. Sixteen elementary school male athletes who achieved at least the 3rd place in the long jump at the Korea Gangwon-Do elementary school track and field meetings were selected as subjects. The long jump motions performed by the subjects were recorded using two 8mm cameras at the nominal speed of 90 frames per second. The Direct Linear Transformation technique was adopted from the beginning of filming to the final stage of data extraction. KWON 3D motion analysis package program was used to compute the 3 Dimensional coordinates, smoothing factor in which the lowpass filtering method was used and cutoff frequency was 6.0 Hz. The movement patterns during foot touchdown and takeoff for takeoff phase were related with the biomechanical consideration. Within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it is concluded:At 25m run-up distance, the takeoff velocity in long jump was the fastest. The body C.O.G(Center of Gravity) height should be raised at the instant of leg touchdown and takeoff during the running than 35m run-up distance. As increase the takeoff velocity, while taking a slightly greater body lean angle within the range of the subject`s long jump motion during takeoff-foot touchdown and takeoff phase would reult in greater flight distance. And, when the run-up distance was 25m, the angular velocity of foot joint torsion increase. The angular velocity of foot joint torsion of the 25m run-up distance is larger than that of other run-up distance at touchdown and takeoff phase. In order to get rid of the joint injuries, as the takeoff velocity increase, the supination must be increased. Also, as the takeoff velocity increase, the angular velocity of Achilles tendon increase at the touchdown and takeoff phase. Because the increasing takeoff velocity make up ankle ligament injuries, we need to thicken the portion of the metatarsal a litter bit when the long jumper`s shoes selected. And, as the takeoff velocity increase, the shank angular velocity with respect to a transverse axis through the center of gravity should be increased during the takeoff-foot touchdown and takeoff. Therefore, the active landing style described as clawing the ground with the sole of the foot should be performed during the takeoff-foot touchdown and takeoff phase.

      • KCI등재

        동적 스트레칭이 제자리 멀리뛰기 동작의 운동역학적 수행력에 미치는 효과 분석

        정광석,김성민,문제헌 한국체육교육학회 2023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28 No.2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체육 현장에서 수행할 수 있도록 고안한 동적 스트레칭이 제자리 멀리뛰기 동작의 운동역학적 수행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있다. 방법: 본 연구에서는 C 지역 소재 대학에 재학 중인 남자 대학생 24명(Age: 22.13±2.28 years, Height: 174.34±4.92 cm, Weight: 70.46±7.24 kg)을 대상으로 신체에 마커 부착 후 준비운동을 실시하고 지면반력 측정기위에서 제자리 멀리뛰기를 1분 간격으로 3회 실시하였다. 그리고 준비된 동적 스트레칭을 10분 간 수행한 후 동일한 방법으로 제자리 멀리뛰기를 3회 실시하였다. 측정변인은 제자리 멀리뛰기 동작을 통해 제자리 멀리뛰기의 기록, 신체중심의 최대 수평속도, 전후/좌우 방향의 지면반력, 전후면 방향의 엉덩, 무릎, 발목관절 최대각도, 각속도, 모멘트를 산출하였다. 모든 통계분석은 대응표본 차이검정을 적용하였고 통계적 유의수준은 α=.05로 설정하였다. 결과: 제자리 멀리뛰기 기록은 동적 스트레칭 전 보다 동적 스트레칭 후 약 7 cm 증가하였고, 신체중심 수평속도는빠르게 나타났다(p<.05). 무릎관절의 최대 폄 각속도와 발목관절의 최대 발바닥굽힘 각속도는 좌우측 다리 모두 동적스트레칭 실시 전 보다 빠르게 나타났다(p<.05). 최대 전후 및 수직 지면반력은 좌우측 다리 모두 증가하였다(p<.05). 결론: 동적 스트레칭을 통해 제자리 멀리뛰기 기록, 신체중심 수평 속도, 무릎 및 발목관절 각속도, 최대 전후/수직 지면반력을 증가시킬 수 있었다.

      • KCI등재

        멀리뛰기 경기에서 선수의 시기별 심리경험 추이

        김덕현,윤영길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2023 체육과학연구 Vol.34 No.4

        [목적] 본 연구는 멀리뛰기 경기에서 심리경험을 탐색하고, 시기별 심리경험 연속성을 이해할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방법] 본 연구에서는 성인 멀리뛰기선수 남자 18명, 여자 10명 총 28명이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제공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귀납적 내용분석을 통해 심리경험을 추출하고 Excel을 활용해 응답빈도비율을 산출하여 시기별 심리경험의추이를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멀리뛰기 경기에서 심리경험은 펀더멘틀 경험, 경기지능 경험, 정서조절 경험, 소통역량 경험의 일반영역으로 범주화하였다. 둘째, 멀리뛰기 경기에서 1차시기는 불안감과 압박감 조절, 자신감과 집중력, 2차시기는 동료소통과 분석력, 3차시기는 실천지능과 압박감 조절, 4차시기는 학습능력과 창의력, 5차시기는 학습능력과 지도자소통, 6차시기는 투지와 창의력이 중요하다. 셋째, 멀리뛰기선수의 시기별 심리경험에서 펀더멘틀은 유지, 경기지능은 2차시기와 4차시기에 상승, 정서조절은 하락, 소통역량은 5차시기까지 상승하다 하락하는 양상을 보여준다. [결론] 멀리뛰기 경기에서 심리경험은 시기별 역동적으로 변화하며 경기기록에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가 심리적 연속성에 대한 이해 증진에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PURPOSE This study explored psychological experiences in long jump competitions and examined the continuity of psychological experiences over time. METHODS A total of 28 adult long jumpers, 18 men and 10 women, were provided data through in-depth interviews. Data on psychological experiences were extraced through inductive content analysis, while continuity by period was analyzed by calculating the response frequency ratio using Excel. RESULTS First, the psychological experience in the long jump competition was categorized as fundamental, competition intelligence, emotional control, and communication capacity experience. Second, in long jump competitions, results showed that jumpers experienced mixed feelings of anxiety and pressure, self-confidence, and concentration in the first period; peer communication and analysis thinking were necessary in the second period; practical intelligence and pressure control were important in the third period; learning ability and creativity were crucial in the fourth period; learning ability and coach communication were applied in the fifth period; and fighting spirit and creativity were present in the sixth period. Third, the psychological experience of long jumpers by period, basicphysical strength was maintained; competition intelligence increased in the second and fourth periods; communication skills increased until the fifth period, and decreased after; while emotional control decreased. This reflects the contextual changes over time andthe change in competition records owing to that. CONCLUSIONS In the long jump competition, psychological experience changes by period and affects competition records.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further understanding of psychological continuity.

      • 고대 그리스 할테레스(Halteres)에 관한 고찰

        신현규,홍기석,박주원 한국스포츠인류학회 2008 스포츠인류학연구 Vol.3 No.2

        The point of this study was to consider that why ancient Greek used stones called 'Halteres' when they did long jump. The results are same as following. First, ancient Greek long jump was a discontinuous multiplex spring with an approach run and Halteres. Second, the reason of using of Halteres in ancient olympic long jump was analyzed that using various size and weight of Halteres which is due to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sport that Arete in ancient Greek sport such as that persuade physical prominence and challenge the limitation of human faculty. Third, the purpose of using Halteres when doing the broad jumping in ancient Greek is two reason, one is purpose of extension of record and the other is maintaining balance of flying and landing. 본 연구의 초점은 고대 그리스식 멀리뛰기와 현대의 멀리뛰기에서 차이점을 보이고 있는 할테레스에 관하여 ‘왜 고대 그리스인들은 멀리뛰기 시 할테레스라는 돌을 사용하였는가?’를 고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대 그리스식 멀리뛰기는 도움닫기와 할테레스를 이용한 불연속적인 다중도약이었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둘째, 고대 그리스 올림픽의 멀리뛰기 경기에서 다양한 형태의 할테레스가 사용되었던 이유는 고대 그리스 운동에서의 아레테, 즉 신체적인 탁월성의 추구와 인간한계에의 도전 등과 같은 스포츠의 본질적인 특성에 기인하여 다양한 크기와 무게의 할테레스가 사용되었던 것으로 해석된다. 셋째, 고대그리스 시대 멀리뛰기 시 할테레스의 사용 목적은 2가지 이유로써 기록 신장의 목적과 비행과 착지의 균형유지의 역할 때문이라고 결론하였다.

      • 기초체력운동이 멀리뛰기의 개인기록 향상에 미치는 영향

        안농식 공주교육대학교 초등연구원 1985 公州敎大論叢 Vol.21 No.-

        A Study of the Influence of Basic Physical Exercise on Individual Record of Running Long Jump An, Pung-Sik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basic physical exercise upon the development of individual record in Running Long Jump. Two classes of sixth grade pupils in elementary school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height; male 145cm or more, male 145cm or less, female 145cm or more and femalel45cm or less Among them the experimental group(N=15)and comparative group (N=14) were trained for six weeks with Running Long Jump Course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educed from the data analysis based on a t-test. 1. In male 141cm or more,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Running Long Jump after six weeks. 2. In male 141cm or less experimental group showed gradual significant increase and comparative group after two weeks showed no improvement. 3. In female 145cm or mor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increase but the control group showed no improvement. 4. In female 145cm or less, experimental group showed gradual significant increase after four weeks but the control group showed accident differences after guiding. 5. In male 141cm or more, the differences of average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were increased after four weeks but did not show clear difference. 6. In male 141cm or less, the reccnrds of experimental group were superior after four weeks. 7. In female 145cm or more experimental and conrol group showed no remarkable differences in traing after six weeks. 8. In female 145cm or less the records of experimental group were superior after four weeks.

      • KCI등재

        Exploring computer vision and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distance measurement tools for the standing long jump

        Cheng Jiang(강성),Jia-Qi Sun(손가기),Ke-Xin Qi(기가심),Xue Jiang(강설),Xiangchuan Jin(김향천),Xuanshang Jin(김현상)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 2022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Vol.24 No.1

        이 연구에서 제자리 멀리뛰기의 측정 범위에 대한 핵심 기술은 주로 두 가지의 단계를 거친다. 첫 번째 단계는 환경 초기화 단계로, 주로 제자리 멀리뛰기의 필드, 카메라 및 인체의 핵심 지점의 정량적 식별을 포함한다. 두 번째 단계는 범위 설정 단계로 카메라의 점프 프레임과 착지 프레임의 적정 세트를 추출하고 발가락과 발뒤꿈치 영역 또는 범위의 핵심 포인트를 식별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총 20회의 제자리 멀리 뛰기 동작을 측정하였으며 정확도를 평가한 결과 측정 오차는 0.58cm, 표준편차는 0.24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 연구는 제자리 멀리뛰기 동작의 결과에 대한 오차를 1㎝ 이내로 조절할 수 있다는 것이 입증되었으며, 이는 곧 높은 정확도를 지닌 도구로서 판단된다. 또한 이 연구는 일반적인 웹캠을 사용하기 때문에 다른 제자리 멀리뛰기 검사 방식에 비해 장비의 가격이 저렴하고, 유지비용 또한 부담을 덜어줌과 동시에 높은 지능을 가지고 있는 도구라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이 연구 결과를 통해 널리 보급되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The key technology of standing long jump ranging in this study are mainly manifested in two stages: the first stage is the environment initialization stage, which mainly includes the quantitative identification of standing long jump field, camera and human body key points; the second stage is the ranging stage, which consists of extracting the set of jump frame and landing frame and identifying the key points of toe and heel. After the evaluation of test accuracy, the measurement is conducted 20 times, the error is 0.58cm, and the standard deviation is 0.24. It is proved that this study can control the error of standing long jump test results within 1cm, which shows that the research results have high test accuracy. Because this study uses an ordinary webcam, compared with other standing long jump test methods, it has the advantages of higher intelligence, low price and low maintenance cost. The research results are easy to be widely popularized.

      • KCI등재

        초등학교 남자 멀리뛰기 경기 시 기록수준에 따른 도움닫기와 발 구름 동작의 운동학적 특성

        김호묵 한국초등체육학회 2012 한국초등체육학회지 Vol.1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남자 멀리뛰기 경기 시 기록수준에 따른 도움닫기와 발 구름 동작의 운동학적 특성을 규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제 39회 전국 소년체전의 초등학교 남자 멀리뛰기 경기에 참여한 선수 중에서 본선에 진출한 7명과 본선에 진출하지 못한 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멀리뛰기 경기 시 상위 수준 선수(본선에 진출한 선수)와 하위 수준 선수(본선에 진출하지 못한 선수)의 운동학적 특성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독립 t-test를 실시하였다. 이때 유의 수준은 .05로 설정하였다.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상위 수준 선수는 하위 수준 선수에 비하여 도움닫기 3보, 2보의 이지 시에 무게 중심의 높이가 높으며, 도움닫기 구간에서 무게 중심의 변화가 크며, 이지 시 무게 중심의 높이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 2) 상위 수준 선수는 하위 수준 선수에 비하여 발 구름 이지 시 리드하는 다리를 더 높이 들고 상체를 뒤쪽으로 적게 기울이며 신체각도를 수직방향으로 더 가깝게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상위 수준 선수는 하위 수준 선수에 비하여 발 구름 이지 시에 무게 중심의 수직속도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4) 상위 수준 선수는 하위 수준 선수에 비하여 발 구름 이지 시에 도약각도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Effects of a Play-Oriented Program on the Standing Long Jump Performance of Young Children with Cognitive Delays

        Kim, Ji-Tae 한국특수체육학회 2004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1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7주 동안의 놀이 지향적 체육지도 프로그램이 인지장애 아동의 멀리뛰기 동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조사하는 것이었다. 본 연구의 참가자는 특수학교에 다니는 4-7세 사이의 인지장애 아동 34명이었다. 본 연구는 현장실험(field experiment) 연구로서 사전검사(1주), 중재(7주), 사후검사(1주)로 구분되었다.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는 멀리뛰기 동작을 평가하기 위하여 대근운동발달검사(Test of Cross Motor Development-2; TGMD2)와 미시간 대학의 기초 동작기술단계 특징(Motor Performance Study; MPS)을 사용하였다. 7주간의 중재 기간 동안에는 2개의 그룹을 학교별로 구분하여, 첫 번째 집단(School A)의 아동들은 주 3회, 1회당 15분 동안 놀이 지향적 지도를 받았으며, 두 번째 집단(School B)의 아동들은 같은 기간 동안 어떠한 지도도 받지 않았다. 독립표본 t-검증 결과에 의하면, 사전검사에서는 두 집단의 TGMD-2와 MPS 점수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사후검사에서는 두 집단의 TGMD2와 MPS 점수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대응표본 t-검증 결과에 의하면, School A에 있는 아동들은 사전검사와 사후검사 사이의 TGMD-2와 MPS 점수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School B에 있는 아동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놀이 지향적 체육지도 프로그램은 인지장애 아동의 멀리뛰기 동작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라고 결론지을 수 있었다.

      • KCI등재

        유연성 편평발 청소년에게 적용한 로우다이 테이핑 기법이 동적 균형과 제자리 멀리뛰기에 미치는 영향

        김은자,김진주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2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8 No.1

        유연성 편평발 청소년에게 적용한 로우다이 테이핑 기법이 동적 균형과 제자리 멀리뛰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연구의 대상자는 유연성 편평발 청소년 35명으로 탄력 테이프 17명과 비탄력 테이프 17명으로 로우다이 테이핑 기법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분석은 t-test 활용하여 그룹 중재 적용 전과 적용 후, 그리고 각각의 그룹 간을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동적 균형과 제자리 멀리뛰기에서 중재 적용 전과 적용 후에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으며(p<.05), 각각의 그룹 간 비교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5). 결론적으로 유연성 편평발의 청소년에게 적용된 로우다이 테이핑 기법은 동적 균형과 제자리 멀리뛰기에 효과가 있으며, 로우다이 테이핑은 안쪽 세로활 상승의 즉각적 효과를 보기 위한 중재 방법으로 적절하다.

      • KCI등재

        중․고등학생들의 멀리뛰기 기록에 관여하는 운동역학적 변인 비교 분석

        김정한,주명덕,김재삼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11 敎員敎育 Vol.27 No.2

        이 연구는 멀리뛰기 기록에 관여하는 운동역학적 변인들을 학년별로 비교 분석하여 체육교사의 멀리뛰기 실기 지도 능력 및 전문성 향상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각 학년별 신장과 체중, 실기능력이 평균치에 근접한 중1, 중3 남녀 각 5명과 고2 남녀 각 4명씩 총 28명을 대상으로 3차원 영상분석 장비와 지면반력 측정 장비를 이용하여 실험하였으며, 학년별 비교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분석결과 남학생들은 기록의 향상을 위해 구름발 이지 시 도약속도를 높이고, 그러기 위해서는 수평속도를 증가시킬 필요가 있으며, 특히 저학년을 지도할 때는 발구름 도약 시 발뒤꿈치로 착지하여 앞꿈치로 이지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그러기 위해서는 각근력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여학생들은 기록의 향상을 위해 수평속도 증가를 통한 구름발 이지 시 도약속도를 높이고, 발구름 소요시간을 짧게 해야 할 필요가 있다. 특히 고학년을 지도할 때는 발구름 시 뒤꿈치로 착지하여 앞꿈치로 도약할 수 있도록 마지막 보폭을 다소 크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그러기 위해서는 각근력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This study will offer PE teachers basic data to improve long-jump training skills. 28 people participated and they were comprised of 1st and 3rd students of middle school and 2nd students of high school students using 3D image analyzer and ground reaction force measuring unit. The conclusions were as follows. In order to improve the records, all the male and female students raise the resultant velocity by increasing the horizontal velocity when taking off, and they are supposed to be instructed landing on their heels and then taking off by sole of their feet. So as to do that, they are supposed to improve muscular strength of leg. Especially it was noted that the younger male of the group and the elder females of the group preferred to be instructed in the wa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