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Handgrip strength is associated with depressive mode in COPD : Analysis of data from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4 and 2016

        김호철,김주영,이향래,주선미,유정완,이승준,조유지,정이영,이종덕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2018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추계학술대회 초록집 Vol.126 No.-

        목적: 만성폐쇄성폐질환에서 근력 감소와 우울증은 흔하게 관찰되는 폐외증상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에서 말초골격근의 근력을 나타내는 악력과 우울장애와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방법: 2014년과 2016년 국민건강영양자료를 토대로 분석하였다. 만성폐쇄성폐질환은 40세이상의 성인으로 폐기능검사에서 FEV1/FVC이 0.7 이하인 경우로 정의하였고, 우울장애의 척도는 우울증선별도구 (PHQ-9) 점수로 평가하였다. 악력 력은 양측 손에서 각 3번 측정한 값의 평균을 더하여 평가하였다. 결과: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와 폐기능이 정상인 성인 사이의 PHQ-9 점수는 유의한 차이는 없었지만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중에서 GOLD stage III-IV 이상인 경우가 GOLD stage I 또는 II에 비해 PHQ-9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다(4±4.9 vs 2.37±3.76 vs 2.2±3.4, p=0.012). 악력은 폐기능이 정상인 경우과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의 GOLD stage에 따른 차이도 보이지 않았다.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에서 악력이 낮을수록 PHQ-9 점수가 높은 경향을 보였다(r=- 0.204, p<0.001). 다변량분석에서 나이, 성별, 체질량지수를 포함해도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p=0.023). 결론: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에서 악력의 감소는 우울감과 관련이 있으므로, 악력이 우울장애의 척도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만성폐쇄성 폐질환의 진단 및 치료

        박근민 동국대학교 의학연구소 2009 東國醫學 Vol.16 No.1

        만성폐쇄성 폐질환은 전세계적으로 만성질환으로 인한 사망 중 네 번째 원인을 차지하는 질환으로, 한국에서도 그 유병률이 점점 증가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2008년 개정된 GOLD 지침서를 중심으로 만성폐쇄성 폐질환의 진단 및 치료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만성폐쇄성 폐질환은 최근에는 예방가능하고 치료가능한 질환으로 개념이 바뀌었고, 기도염증으로 인한 기류 제한 뿐 만 아니라, 의미있는 폐외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정의되고 있다. 만성폐쇄성 폐질환의 진단은 호흡곤란. 만성 기침, 객담이 있으면서 흡연 등의 위험인자에 대한 노출력이 있는 경우 고려되어야 하고,폐활량 측정법에 의해 확진되며, 기류제한의 정도에 따라 4단계로 분류된다. 만성폐쇄성 폐질환의 발생을 예방하고, 병의 진행을 늦추는 가장 중요한 치료는 금연이며, 병의 경과에 대한 이해와 위기상황에 대처 등에 대한 환자교육이 필요하다. 약물치료는 지속형 흡입 기관지확장제 및 흡입 부신피질호르몬제의 단독 또는 병합치료가 주가 되며,단계에 따라 재활치료,산소치료, 수술적 치료가 도움이 될 수 있다. 만성폐쇄성 폐질환 급성악화의 가장 흔한 원인은 호흡기 감염이며, 다른 질환과의 감별이 필요하다. 급성악화의 치료는 속효성 흡입 기관지 확장제 및 전신적 부신피질호르몬제 치료가 중요하며, 호흡부전이 동반된 경우 우선적으로 비침습적 기계환기를 고려해야 한다. Chronic obstructive lung disease (COPD) is the fourth leading cause of chronic morbidity and mortality in the world, and its prevalence is also increasing in South Korea. In this article, I will describe about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COPD with the GOLD guideline which is updated in 2008. By definition, COPD was recently changed to preventable and treatable disease, and it has some significant extrapulmonary effects in addition to airflow limitation due to airway inflammation. A clinical diagnosis of COPD should be considered in any patient who has dyspnea, chronic cough, or sputum production, and/or a history of exposure to risk factors for the disease. COPD is confirmed by spirometry and it is classified with 4 stage by the degree of the FEV1 decline. Smoking cessation is the single most effective and cost effective intervention and patient education is needed for the natural course of disease and response to exacerbations. In pharmacologic treatment, single and combined therapy of long-acting inhaled bronchodilator and inhaled corticosteroid is the principal. Pulmonary rehabilitation, oxygen therapy, surgical treatment could be considered by the stage. Exacerbation of COPD is mainly caused by respiratory infection, but differential diagnosis with other disease is needed. During the exacerbation of COPD, treatment with short-acting bronchodilator and systemic corticosteroid is important, noninvasive ventilation should be considered primarily in case of respiratory failure.

      • KCI등재

        중증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를 위한 복합호흡운동과 신경근전기자극의 효과

        강정일(Jeong-Il Kang),박준수(Jun-Su Park),정대근(Dae-Keun Jeong)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9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3 No.7

        복합호흡운동과 넙다리네갈래근의 신경근전기자극 치료가 중증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들의 폐기능과 대뇌겉질 활성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60~80세 중증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 20명을 대상으로 실험군은 복합호흡운동과 넙다리네갈래근의 신경근전기자극을, 대조군은 복합호흡운동만을 실시하였다. 사전 검사로 폐기능과 대뇌겉질 활성도를 측정하였고, 중재는 6주 간, 주 4일, 1일 1회, 30분씩 각 집단에 시행한 후, 사후검사를 사전검사와 동일하게 재측정하였다. 그 결과 집단 내 폐기능 변화는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1초간 노력성 날숨량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01)(p<.05), 집단 간 폐기능 변화 비교에서 1초간 노력성 날숨량의 변화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집단 내 대뇌겉질의 영역 별알파파 변화 비교에서는 Fp1, Fp2, F3, F4 영역에서 대조군과 실험군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1)(p<.05). 따라서 6주 동안의 복합호흡운동과 넙다리네갈래근의 신경근전기자극은 중증 만성폐쇄성 폐질환들의 폐기능을 향상시키고, 대뇌겉질 활성도에서 앞이마부 영역의 알파파가 증가되어 긍정적인 호흡의 변화가 나타났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중증의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들에게 복합호흡운동 뿐만 아니라 부가적으로 넙다리네갈래근에 신경근전기자극을 병행하면 보다 좋은 치료적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effects of complex breathing exercise and neuromuscular electrical stimulation of Quadriceps Femoris muscle on pulmonary function and cerebral cortex activity in patients with severe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After collecting samples from 20 patients with severe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aged 60 to 80, 10 patients each were randomly placed in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conducted complex breathing exercise and neuromuscular electrical stimulation of Quadriceps Femoris muscle, and the control group only conducted complex breathing exercise. As a pretest, pulmonary function and cerebral cortex activity were measured. The intervention program was applied to each group for 30 minutes, once a day, for 4 days a week, for 6 weeks, and the posttest was carried out the same way as the pretest. As a result, both group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FEV1.0(Forced Expiratory Volume in One Second)(p<.001)(p<.05),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as well(p<.05). When comparing alpha waves in each domain of cerebral cortex, both of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Fp1, Fp2, F3 and F4 domains (p<.01)(p<.05). During the 6-week experiment, complex breathing exercise and neuromuscular electrical stimulation of Quadriceps Femoris muscle improved pulmonary function of patients with severe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and in relation to cerebral cortex activity, a positive breathing change was found due to the increase of alpha waves in the forehead domain.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applying neuromuscular electrical stimulation of Quadriceps Femoris muscle to patients with severe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additionally along with complex breathing exercise will bring a better therapeutic effect.

      • KCI등재

        노인 호흡기질환의 효과적 관리 : 노인 만성폐쇄성폐질환

        이관호 ( Kwan Ho Lee ) 대한내과학회 2008 대한내과학회지 Vol.75 No.2

        우리나라도 고령화 사회가 되면서 만성폐쇄성폐질환 빈도가 증가될 것으로 예상되며, 이에 따른 사회-경제적 부담이 증가될 것으로 추정된다. 만성폐쇄성폐질환은 폐기능검사로 확진되며, 진단 기준으로 FEV1/FVC 고정비 70%이하에 대해서는 나이를 보정한 새로운 가이드라인의 제정이 필요하겠다. 노인 만성폐쇄성폐질환 치료는 일반적 치료인 금연, 기관지확장제, 흡입스테로이드, 산소, 폐재활 치료 등과 차이가 없다. 노인에서 흡입기를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정확하고 반복적 교육이 필요하다. 노인 만성폐쇄성폐질환의 동반질환이 환자의 예후와 삶의 질에 중요한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진단과 관심이 필요하다.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is a major cause of morbidity, mortality, and health care problems in older patients. Recently, our country became an ageing society and the prevalence of COPD in older patients will be increasing continuously. The diagnosis of COPD is confirmed by spirometry. An obstructive defect is defined as a reduced post expiratory volume in 1 second (FEV1)/forced vital capacity (FVC) ratio. Using the fixed FEV1/FVC ratio may create a risk for under diagnosis in young patients and overdiagnosis in older patients. The FEV1/FVC ratio decreases with age and clear consensus definition of diagnostic criteria for COPD in older patients is needed. Older patients who have COPD benefit from all effective therapies available to treat COPD. Older patients have more comorbidities that influence quality of life, prognosis and medical management. Attention for comorbidities improves the lives of older patients who have COPD. (Korean J Med 75:149-152, 2008)

      • KCI등재

        만성폐쇄성폐질환의 자가간호 중재연구(RCT) 효과에 관한 체계적 문헌고찰

        문경미,박인희,김현주 대한산업경영학회 2023 산업융합연구 Vol.21 No.8

        This study presents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aimed at integrating and analyzing the research findings regarding the components of various self-care intervention programs conducted for individual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both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The paper selection criteria were established based on materials from PubMed, CINAHL, EMBASE, /MEDLINE, RISS, DBpia, KISS, and KMbase databases, covering the period from January 1, 2000, to September 30, 2022. The inclusion criteria included controlled pre-post experimental study designs. A total of 23 studies were included in this systematic review. The intervention-related factors examined included the sample size, type of intervention mediator, intervention frequency, and duration. Additionally, factors associated with intervention effects, such as measurement tools and variables, were analyzed. The findings of the analysis support the notion that self-care intervention programs for COPD can contribute to the prevention of symptom exacerbation and hospital readmissions among patients. Consequently, the development of a tailored self-care intervention program specifically designed for COPD patients in South Korea is warranted, considering aspects such as patient accessibility, convenience, and motivation for long-term sustainability. 이번 연구는 국내·외 만성폐쇄성폐질환 대상자에게 시행된 다양한 자가간호 중재 프로그램의 내용에 대한 연구결과를 통합하고 분석하기 위해 수행된 체계적 문헌고찰 연구이다. 문헌선정기준은 2000년 1월 1일부터 2022년 9월 30일까지로PubMed, CINAHL, EMBASE, MEDLINE, RISS, DBpia, KISS 및 KMbase를 통해 검색된 무작위 대조군 실험연구로 사전- 사후 설계를 적용한 논문을 채택하였다. 체계적 고찰에 포함된 연구는 총 23편으로 중재 관련 요인으로는 연구대상의 수, 중재자 유형, 중재 제공 횟수 및 기간, 중재효과 관련 요인으로는 중재효과 측정도구, 중재효과 변수 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만성폐쇄성폐질환 자가간호 중재 프로그램은 환자의 증상 악화 및 재입원을 예방에 도움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우리나라 만성폐쇄성폐질환자에게 적합한 자가간호 중재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며 환자의 접근성, 편의성 및 지속을 위한 동기 부여 방법 등을 고려한 중재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 KCI등재

        만성 폐쇄성 폐질환 환자의 증상경험, 자기효능감, 우울과 약물복용 이행 간의 관계

        박수민,강윤희 병원간호사회 2017 임상간호연구 Vol.23 No.2

        Purpose: 본 연구는 만성 폐쇄성 폐질환 환자의 증상경험, 자기 효능감, 우울과 약물복용 이행 간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Methods: 연구 대상자는 만성 폐쇄성 폐질환을 진단받고 서울 1개 대학병원에서 외래 추적관찰 중인 환자 10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각 기술통계, t-test, one-way ANOVA, Tukey HSD 사후검증, Spearman correlation coefficien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Results: 증상경험은 자기 효능감과 부적 상관관계, 우울과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 효능감은 우울과 부적 상관관계, 약물복용 이행과 정적 상관관계가 있으며, 우울은 약물복용 이행과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Conclusion: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만성 폐쇄성 폐질환 환자의 증상경험이 클수록 우울이 높고 자기효능감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우울이 낮고 약물복용 이행이 높으며, 우울이 높을수록 약물복용 이행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만성 폐쇄성 폐질환 환자의 약물복용 이행 증진을 위해 자기 효능감 및 우울 정도를 사정하고 이에 대한 중재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among symptom experience, self-efficacy, depression, and medication adherence in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Methods: Participants were 100 patients with COPD recruited in one general hospital in Seoul. A structured questionnaire was used to measure the study variables.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and Spearman correlation coefficient. Results: Symptom experience and depression were positively correlated (r=.41, p<.001), symptom experience and self-efficacy were negatively correlated (r=-.21, p=.035). Depression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self-efficacy (r=-.60, p<.001) and medication adherence (r=-.48, p<.001). Self-efficacy and medication adherence were positively correlated(r=.76 p<.001). Conclusion: Findings from this study indicate that depression and self-efficacy are important variables related to medication adherence in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Therefore, depression and self-efficacy should be assessed, and customized nursing interventions should be provided in order to increase medication adherence.

      • KCI등재

        만성폐쇄성폐질환에서 상피중간엽이행 조절을 통한 Celecoxib의 폐 손상 개선효과

        이선경 중소기업융합학회 2021 융합정보논문지 Vol.11 No.11

        본 연구는 만성폐쇄성폐질환(COPD)의 동물 모델을 이용하여 Celecoxib의 폐 손상 개선효과를 연구하였다. COPD는 LPS와 담배연기추출물(CSE)로 유도하여 in vitro와 in vivo에서 병행 연구하였다. In vitro는 인간 섬유아 세포(MRC5)에서 MTT assay, real-time PCR를 하였고 in vivo는 mRNA 발현, 기관지폐포세척액(BALF), collagen content, 단백질 발현을 확인하였다. 실험을 통해 Celecoxib는 BALF에서 염증세포 수의 감소와 사이토 카인, soluble protein의 축적을 감소시켰고 동물모델에서는 체중과 폐 무게를 감소시켰으며, 폐 콜라젠 축적도 개 선하였다. 또 웨스턴 블로팅과 real-time PCR을 통해 EMT 표지자의 감소를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Celecoxib는 EMT를 조절하여 LPS+CSE로 유도된 COPD의 폐 손상에서 개선제로 작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confirmed the effects of improving lung damage of celecoxib using an animal model of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COPD). It was induced in models LPS + CSE and performed in vitro and in vivo. MTT assay and real-time PCR were performed in MRC5 cells as in vitro, and mRNA expression, BALF, collagen content, and protein expression were confirmed as in vivo. Celecoxib reduced the number of inflammatory cells, cytokine and soluble protein accumulation in BALF, decreased body weight and lung weight in animal models, and improved lung collagen deposition. In addition, the reduction of EMT markers was confirmed through Western blotting and real-time PCR. Consequently, celecoxib is thought to improve lung damage of COPD induced to LPS+CSE by regulating EMT.

      • KCI등재

        만성 폐쇄성 폐질환 환자의 국내 연구 동향 분석: 연구 주제 및 관련 측정도구를 중심으로

        송효숙(Hyo-Suk Song),임소희(So-Hee Lim)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5

        연구목적: 본 연구는 만성 폐쇄성 폐질환 환자를 대상으로 실시된 국내 간호학분야 논문의 주요 연구주제 및 관련 측정도구를 시기별로 분석하여 간호연구의 방향을 제시 및 분석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방법: 분석 대상으로 선정된 논문은 국내 데이터베이스 초기부터 2018년 4월까지 게재된 논문을 중심으로 한국학술정보(KISS), 한국교육학술정보원(KERIS), 한국교육학술정보원(RISS4U), 누리미디어(DBpia), KoreaMed를 통해‘만성폐쇄성폐질환’, ‘간호’,‘환자’를 키워드로 선정하고 분석한 결과 최종 22편의 논문이 선정되었다. 연구결과: 총 22편 중 연도별로는 2005년 이전까지 5편, 2006년~2010년 7편, 2011년 이후에는 10편의 연구가 수행되었다. 연구 설계 유형은 서술적 조사연구가 17편(56.7%)로 가장 많았고,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실험연구 4편(18.2%), 질적 연구가 1편(4.5%) 순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연구의 자료수집방법으로는 설문지 방법이 17편(56.7%)로 가장 많았으며, 논문의 출처는 간호학회지가 20편(90.9%)로 출판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주요 연구개념은 생리학적 영역인 질병과 관련 개념이 가장 많았으며, 주요 측정도구는 자가간호를 측정한 도구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만성 폐쇄성 폐질환 환자를 위한 다각적인 측면에서의 연구가 필요하며, 다양한 개념을 적용한 연구방법과 만성 폐쇄성 폐질환 환자의 중재 프로그램의 개발이 요구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nd analyze the major research topic and related measurement tools of Korean nursing research conducted in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Methods: The selected articles were selected from the early period of the domestic database to April 2018, focusing on KISS, KERIS, RISS4U, DBpia, and the final 22 papers were selected based on the keywords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 nursing , and patient . Results: 5 out of the total 22 out of the year 2005, 7 from 2006 to 2010, and 10 from 2011 have been conducted. The research design type was descriptive research 17(56.7%), non-equality control design experiment 4(18.2%), qualitative research 1(4.5%),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survey method was 17 (56.7%) as the method of data collection, and the source of the article was published as 20 (90.9%) of the Nursing Journal. The major research concept was related to physiological disease, and the most important tool was self-care measurement. Conclusions: A multidisciplinary study is needed for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a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various intervention methods and intervention programs for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 KCI등재

        건강한 삶의 질 향상을 위한 호흡운동의 효과비교분석

        정대근(Dae-Keun Jeong)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6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0 No.2

        본 연구는 장기간에 걸쳐 질환에 노출된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들의 중증도를 분류하여 호흡운동을 중재함으로써 폐기능을 알아보고, 비가역적변화를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을 강구하고자 한다. 그리고 우울정도와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임상에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중등증 등급 15명을 실험군I로, 중증 등급 17명을 실험군 II로 임상표본추출 하였다. 중재 전 폐기능과 우울정도 그리고 건강관련 삶의 질을 측정하였다. 호흡운동은 5주 간, 주 4회, 1일 1회, 1회 30분 간 중재하여, 중재 후 사전과 동일하게 재 측정하였다. 이를 토대로 집단 내 전․후 비교와 집단 간 비교를 통해 분석하였다. 실험결과, 실험군I 집단 내 비교에서는 우울정도와 건강관련 삶의 질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p<0.05), 실험군II 집단 내 비교에서는 폐기능에서만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5) 그리고 집단 간 비교에서는 우울정도와 건강관련 삶의 질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5). 이러한 결과는 폐쇄성폐질환의 주된 목표인 폐기능이 향상되어도 주관적인 지표인 우울정도와 건강관련 삶의 질은 같이 높아지는 것이 아니라 우울정도와 건강관련 삶의 질에 관한 심리적인 치료를 병행하여 보다 효율적인 중재방법을 설정하는데 활발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intends to investigate pulmonary function by mediating breathing exercise through classifying severity of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who have been exposed to this disease over a long period of time and search effect of effort to minimize irreversible change of this disease on depression degree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15 subjects who have middle level of the disease were randomly selected for experimental group I and 17 subjects who have severe level of this disease were randomly selected for experimental group II. This study measured pulmonary function, depression degree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before conducting mediation. And then breathing exercise has been mediated 30minutes a session, once a day, four times a week and for five weeks. After conducting mediation, these were remeasured equally and analyzed before and after results within group and between groups. There were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s in depression degree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within experimental group I(p<0.05) and there was a meaningful difference in only pulmonary function within experimental group II(p<0.05). And there were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s in depression degree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between groups(p<0.05). These results showed not improvement of depression degree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that are subjective index but improvement of pulmonary function that is a leading aim of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It is considered that active researches will be needed to make more effective intervention methods through running parallel with psychological treatment about depression degree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 KCI등재

        한국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 대상 임상 연구를 위한 온라인 등록 시스템 구축

        박지숙 ( Jisook Park ) 한국인터넷정보학회 2021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Vol.22 No.1

        지역사회획득폐렴은 만성폐쇄성페질환 환자 사망의 중요 원인 질환이며 폐렴구균은 폐렴의 중요 원인균이다. 폐렴구균에 의한 폐렴을 예방하는 대표적인 방법으로는 폐렴구균백신과 독감백신의 접종을 들 수 있다. 국내 주요 7개 대학병원에서는 전향적, 다기관, 코호트 연구를 통하여 폐렴으로 입원한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를 대상으로 폐렴구균예방접종과 독감예방접종여부에 따라 폐렴의 중증도에 차이가 있는지에 대해 연구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기관 연구자들이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의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수집하고 관리하도록 도움을 주는 온라인 등록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오프라인 임상 연구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정확한 데이터의 입력과 편리한 데이터 완성, 그리고 실시간 데이터 관리 등의 세 가지 기본 전략을 제시하였다. 개발된 온라인 등록 시스템은 다기관 임상 연구에 활용되어 그 성능을 평가받았다. Community-acquired pneumonia (CAP) is a major risk factor of mortality in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Streptococcus pneumoniae (colloquially known as pneumococcus) is one of important pathogens of CAP in patients with COPD. Preventive interventions for pneumonia include pneumococcal and influenza vaccinations. A prospective, cohort study has been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protective effects of pneumococcal and influenza vaccinations on the severity of community-acquired pneumonia requring hospital admission in patients with COPD. Seven university-affiliated hospitals in Korea have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nstruct an online registration system for the multi-institutional researchers that facilitates efficient collection and management of COPD patient data. This study has presented three basic strategies-accurate data input, convenient data completion, and real-time data management-to supplement the demerits of existing offline clinical study. The proposed online registration system has already been applied to a multi-institutional clinical study and was acknowledged for its high perform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