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과학관에서의 통합적 디지털 스토리텔링에 대한 관람객 반응 및 지식통합 양상

        박현진,소효정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019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5 No.3

        This study proposes an ‘integrated digital storytelling’ to overcome the segmented exhibition experience at science museums, and explores its impact on children and their knowledge integration. To this end, this study examined the prior studies to derive design principles in the structure, content, and knowledge integration for the development. The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How is the aspect of the application of mobile-based integrated digital storytelling to children?; (2) How does the integrated digital storytelling affect their knowledge integration?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14 elementary school students (ages 10~12) at the National Children’s Science Center, and the participants experienced the digital storytelling about biology. To identify its impact, we recorded their discourse, writings, and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Based on the data, the main themes were derived through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s. As a result, three themes emerged in response to the digital storytelling: a) positive and cognitive perception, b) the subject of the digital storytelling, and c) the relation between me and the digital storytelling. Regarding the knowledge integration, two major themes were derived: a) the structure of the story and knowledge integration, and b) changes in understanding of living things and the environment. Overall, the derived design principles served the purpose. However, the content and structural principles emphasizing the completeness of story were ineffective for certain participants, confirming the need for elaborated narrative construction. In respect to the knowledge integration, participants organized their meanings on learning topics rather than acquiring fragmented knowledge. This implies the digital storytelling provided the opportunity for knowledge integration. In conclusion, this study is meaningful considering it proposes integrated digital storytelling as a new technique for improvement in the fragmented exhibition experiences, and provides a basis for new exhibition techniques for knowledge integration. 본 연구는 과학관의 분절적 전시관람 경험의 한계를 해결하기 위해서 ‘통합적 디지털 스토리텔링’을 제안하고 이것의 작용과 지식통합 양상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고찰하여 개발의 근거가 되는 설계원칙을 구조적, 내용적, 지식 통합적 측면에서 도출하였으며, 실험으로 이것의 작용 양상을 탐구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모바일 기반 통합적 디지털 스토리텔링의 설계원칙은 어린이 관람객의 과학관 학습 경험에 어떠한 작용을 하는가?; (2) 통합적 디지털 스토리텔링은 어린이 관람객의 지식통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실험은 서울 소재 어린이과학관에서 초등학생(10세~12세) 14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으며, 연구참여자들은 생물과 환경을 주제로 한 통합적 디지털 스토리텔링을 전시와 함께 경험하였다. 이 때 참여자들의 담화와 자기보고 서술 내용을 취합하고 그룹별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수집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통해 도출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통합적 디지털 스토리텔링의 작용 양상에는 1) 정의적 및 인지적 인식, 2) 통합적 디지털 스토리텔링의 주제, 3) 통합적 디지털 스토리텔링과 나와의 연관성의 세 가지 주제가 도출되었다. 지식통합과 관련해서는 크게 1) 스토리의 구조와 지식통합, 2) 생물과 환경에 대한 이해 변화 두 가지 주제가 도출되었다. 도출된 설계원칙은 대부분 연구자의 의도대로 작용하였다. 그러나 이야기의 완성도를 강조하는 내용적, 구조적 원칙이 특정 참여자에게는 유효하지 않아, 정교한 이야기 구성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지식통합 결과에서는 디지털 스토리텔링이 정의적 측면에서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참여자들은 디지털 스토리텔링을 통해 단편적 지식 습득보다 학습 주제에 대한 저마다의 의미를 구성하여, 이것이 지식통합의 기회가 제공되었다고 유추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단편적인 관람경험을 지원할 수 있는 새로운 기법으로 통합적 디지털 스토리텔링을 제안하고, 향후 지식통합을 위한 새로운 전시기법 연구의 근거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 KCI등재

        대학생의 디지털 스토리텔링 활동이 학습자의 자기존중감,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와 자기존중감과 창의성의 관계 분석

        김수연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23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41 No.5

        최근 교육부는 디지털 인재 양성에 가중치를 두기시작하였다. 이에 대학 교양 수업에서도 디지털 도구를 활용하여 학습자에게 어떻게 융합적으로 접목시킬수 있을지에 대한 교수자들의 고민이 커지고 있다. 현재 재학 중인 학생들은 디지털과 친근한 디지털 네이티브(digital natives)세대로 표현되지만, 입시 스트레스를 겪은 세대로 대학 진학과 동시에 진로와 취업, 경제적 문제 등의 고민을 안고 살아가는 세대이다. 이는 자기존중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부정적인자기 인식은 창의성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모든 것이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빅블러(Big Blur)의 시대 환경에 적응할 수 있도록 돕는 창의성은 매우 중요한요소이다. 따라서 선행연구에서도 언급한 창의력에 영향을 주는 학습자들의 자기존중감의 관계 분석이 디지털 스토리텔링 활동에서는 어떻게 결과가 나타나는지에 대해 상관관계를 분석해 보고자 한다. 디지털 스토리텔링을 통한 디지털 융합 교육이 자기존중감과 창의성 두 변인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가에 대한교육적 발견은 더욱 가치가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자신들의 경험과 스토리를 엮어서 디지털 도구를 활용하여 교훈적인 요소를 포함한자기 생각과 자기표현을 하는 디지털 스토리텔링 활동이 대학생의 자기존중감과 창의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또한 자기존중감과 창의성과의 연관성은어떠한지, 자기존중감이 높을수록 창의성에 긍정적인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연구하는 것이다. 본 논문의구성은 디지털 스토리텔링 활동의 교육적 특징, 자기존중감과 디지털 스토리텔링 활동의 연관성, 창의성과디지털 스토리텔링 활동의 연관성, 자기존중감과 창의성의 관계에 대해 논하였고 분석 과정을 통해서 변인간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 수도권 C 대학의 필수 핵심 교양수업을 한 학기 동안 수강한 82명의 학습자이다. 연구 방법으로는 수업 전과수업 후 설문지를 통해서 진행되었으며, 분석은 SPSS 25.0으로 진행하였다. 자기존중감과 창의성의 사전-사후 검사는 대응 표본 t 검정으로 분석하였으며, 자기존중감과 창의성의 관계는 상관관계분석, 자기존중감이 창의성에 주는 영향은 단순 회귀분석을 활용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응 표본 t-검정 결과 대학생의 디지털 스토리텔링 활동이 자기존중감,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은모두 사전보다 사후 결과에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상관관계 분석 결과 대학생의 디지털 스토리텔링 활동에서 창의성과 자기존중감의 관계는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수업 전의 자기존중감과 창의성의 상관관계에서는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는데, 수업후의 자기존중감과 창의성의 상관관계에서는 정(+)적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본 디지털 스토리텔링 수업이 자기존중감과 창의성에 모두 영향을미친 것을 확증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셋째, 단순 회귀분석 결과 대학생의 디지털 스토리텔링 활동에서 자기존중감은 창의성에 유의한 정(+) 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기존중감이높아질수록 창의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디지털 도구를 활용한 디지털 스토리텔링 활동이 학습자의 자기존중감, 창의성에 미치는 긍정적인 효과를 도출하였고, 디지털 스토리텔링수업 후 자 ... The recent emphasis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on cultivating digital talent has prompted a shift in focus. Consequently, educators are increasingly contemplating how to integratively incorporate digital tools into university general education courses. While current students are often characterized as digital natives, they face the challenges of navigating not only university education but also career choices, employment, and economic concerns amid the stress of the competitive entrance exam generation. This can negatively impact their self-esteem, influencing creativity adversely. Adaptability to the rapidly changing environment of the Big Blur era becomes crucial for these students. Therefore, investigating the correlation between learners' self-esteem, as discussed in previous studies, and creativity in the context of digital storytelling activities is essential. Educational discoveries regarding the positive impact of digital storytelling activities on self-esteem and creativity among university students would be highly valuable. This paper aims to explore whether engaging in digital storytelling activities, where students intertwine their experiences and stories to express their thoughts and ideas using digital tools, positively influences self-esteem and creativity. Additionally, the study seeks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creativity and whether higher self-esteem correlates with a positive impact on creativity. The structure of this paper involves discussions on the educational characteristics of digital storytelling activities, the correlation between self-esteem and digital storytelling activities, the correlation between creativity and digital storytelling activitie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creativity. Through the analysis process, the paper examines the influence of variables on each other. The study involved 82 learners who took a core mandatory general education course at a university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for one semester. The research utilized pre-and post-course surveys, and the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25.0. Pre-post comparisons of self-esteem and creativity were analyzed using paired-sample t-tests.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creativity was analyzed using correlation analysis, and the impact of self-esteem on creativity was assessed through sim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the paired-sample t-test results confirm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self-esteem and creativity among university students after engaging in digital storytelling activities, compared to the pre-course results. Secondly, correlation analysis indicate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reativity and self-esteem in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ing in digital storytelling activities. While a negative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self-esteem and creativity before the course, a positive correlation emerged after the course, suggesting that the - 54 - digital storytelling class positively influenced both self-esteem and creativity. Thirdly, simple regression analysis reveals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f self-esteem on creativity in university students engaged in digital storytelling activities. Higher self-esteem is associated with higher creativity. Therefore,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digital storytelling activities utilizing digital tools have a positive effect on learners' self-esteem and creativity.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creativity after the digital storytelling course reveals a positive correlation. These findings suggest the potential of digital storytelling activities, employing digital tools, to foster self-esteem and creativity in learners. This study aims to contribute meaningful insights for the future utilization and application of digital storytelling education.

      • KCI등재

        디지털 스토리텔링이 초등학생의 수학 학업성취도 및 태도에 미치는 효과

        권혁일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08 교육과학연구 Vol.39 No.3

        본 연구는 초등학교 수학교과 수업에 디지털 스토리텔링을 적용하고 그 교육적 효과를 분석하였다. 경기도에 위치한 한 초등학교 5학년 학급에 12주에 걸쳐 디지털 스토리텔링을 적용하여 수학수업을 실시하고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와 수학적 태도를 구술 스토리텔링 적용 학급 및 설명식 수업 학급의 학생들과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학업성취도 분석 결과 디지털 스토리텔링 적용 학급의 검사 점수가 비교 학급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학적 태도에 대한 분석 결과 디지털 스토리텔링 적용 학급은 비교 학급에 비해 정서적 측면에서의 태도 점수가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으나, 행동성과 인지성 측면에서의 태도 점수에 있어서는 학급 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디지털 스토리텔링 적용 학급 학생들과의 인터뷰를 통해 디지털 스토리텔링 경험이 수학 학업성취도 및 정서적 측면의 수학적 태도 향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가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멀티미디어의 활용이 학습자를 보다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스토리텔러가 될 수 있도록 지원하였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초등학교 수학교과 수업에 디지털 스토리텔링을 적용하는 것은 수학적 지식에 대한 스토리의 생성과 공유를 촉진시켜 줄 수 있으며, 이는 수학적 지식에 대한 유의미성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learner-directed digital storytelling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mathematics learning.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a learner-directed digital storytelling project of mathematics was devised and implemented for twelve weeks in a 5th grade class of an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Kyunggi-do. Upon completion of the project, post-tests of achievement and attitude were administered and compared with those of oral storytelling and expository classes at the same school. It was found that the achievement score of digital storytelling class was higher than that of oral storytelling and expository classes. Students' mathematical attitude score in emotional factor of the digital storytelling class was higher than that of oral storytelling and expository classes, while the scores of behavioral and cognitive factors of mathematical attitudes among the three class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or further analysis, interviews with digital storytelling class were conducted to find out the reason why digital storytelling influenced on learning. Interview results indicated that digital storytelling helped learners be motivated and understand mathematical concepts and principles more deeply. From the research results, it is possible to draw a conclusion that learner-directed digital storytelling has positive effects on achievement and emotional attitudes of learners. It is suggested that more in-depth empirical studies on the effects of digital storytelling are necessary for developing and diffusing of digital storytelling in classrooms.

      • KCI등재

        창의형 미디어 스토리텔링 교육 방안

        한혜원(Han, Hye-Won) 인문콘텐츠학회 2014 인문콘텐츠 Vol.0 No.32

        본 연구는 스토리텔링 교육 과정 설계에 필요한 교육 가치를 제시하고 이를 실제 구현할 수 있는 개념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을 둔다. 국내 대학에서의 스토리텔링 교육은 이론적 체계를 구축해야 하며 동시에 문화 산업에 기여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학부 단위의 수평적 확대와 대학원 단위의 수직적 탐색이 동시에 이뤄져야 한다. 스토리텔링 교육은 다양성(multiplicity), 학제간 연구(interdisciplinarity), 트랜스매개성(transmediality)을 추구한다. 따라서 학부 단위에서는 다양한 학문과의 인접과 연접을 모색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국내 대학의 ‘디지털 스토리텔링’ 교양 교과목을 중심으로 분석했다. 나아가 전공 단위의 심화 교과목으로는 ‘인터랙티브 스토리텔링’을 분석했다. 마지막으로 대학원 단위의 스토리텔링 교육 방법 및 산학연계의 방안으로는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을 통해 고찰했다. 특히 실제 국내의 기업과의 산학연계 프로젝트를 통해서 학문의 체계가 기업의 혁신성과 연계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했다. 디지털 스토리텔링, 인터내릭트 스토리텔링,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은 모두 스토리텔링 교육 과정에서 파생된 개념들로 대상과 결과에 따라서 차별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스토리텔링 교육은 보편과 특수, 원형과 변형, 진리와 효용성의 양면을 전부 아우를 수 있어야 한다. 또한 단순한 글쓰기 수업이나 표현의 기교를 전달하는 과정에서 나아가, 디지털 시대 인간의 자기표현과 의사소통에 대한 근본적 해법을 탐구하는 과정이 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pose the fundamental concept and educational value for designing storytelling curriculum in higher education institution. The educational effects of storytelling at Korean universities must contribute to the cultural industry and at the same time improve its own academic scheme. It was a quest not only for the undergraduate curriculum in the horizontal expansion but also for the graduate curriculum in the vertical analysis as a ground work. Thus, storytelling education in Korea pursues multiplicity, interdisciplinarity and transmediality. In this paper, I suggest the subject of ‘Digital Storytelling’ which is a media based genetal class in a department of liberal art. Furthermore, ‘Interactive Storytelling’ can be adapted as an efficient educational method for major students through the participation in experiments and practices complementing theoritical study. In addition, ‘Transmedia Storytelling’ can be using education program to improve the link between industry and university. One example is the collaborative project or workshop which can be efficient co-operation model focused on organizational innovation and performance. In essence, it is imperative to explore the model of sustainable and possible education system of storytelling.

      • KCI등재

        스토리텔링 연구의 성과와 과제

        최병우(Choi, Byeong-Woo) 한국문학회 2013 韓國文學論叢 Vol.64 No.-

        본고는 최근 학계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스토리텔링 연구의 성과를 디지털 스토리텔링, 현실 공간의 스토리텔링, 문화산업 관련 등 세 분야로 나누어 그 연구 성과를 점검하고, 앞으로의 스토리텔링 연구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 논문이다. 디지털 스토리텔링 분야 중 연구의 역사가 긴 사이버문학은 연구 성과 또한 적지 않아 연구 의의를 중심으로, 디지털 게임서사는 최근 집중적으로 축적된 성과를 시기별로, 디지털 공간의 스토리텔링 연구는 인터넷 신문, 인터넷 광고, 웹 뮤지엄, 디지털 에듀테인먼트 등 분야별로 그 성과를 점검하였다. 현실 공간의 스토리텔링 분야는 박물관이나 미술관의 스토리텔링과 축제나 테마파크 등에서 사용되는 스토리텔링에 관한 연구 성과를 정리하였다. 문화산업 관련 연구 성과는 스토리텔링 과정 중의 콘텐츠 변이 양상 연구, 스토리텔링이 갖는 문화산업으로서의 가치 연구, 스토리텔링 전문가를 양성 방안 연구 등을 점검하였다. 이러한 연구 성과에 대한 점검을 바탕으로 앞으로 스토리텔링 연구가 추구하여야 할 방향을 점검하였다. 그 구체적인 방안으로 스토리텔링 연구의 지속적이고 실제적인 발전을 위한 스토리텔링 연구의 시각 조정, 현황 중심으로 이루어져 온 스토리텔링 연구의 반성, 스토리텔링 활동과 그 결과물을 분석하는 이론적 틀의 구안, 상업적 성과 위주인 스토리텔링 연구의 인문학적 가치 지향 방안 모색, 스토리텔링에 관한 이론 연구에서 실제 제작으로의 관심 전환, 스토리텔링의 실제 경험을 공유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 구축 등을 제시했다. This paper reviews achievements in studies on storytelling, which has recently attracted attention from the academic world, by dividing it into three fields, digital storytelling, storytelling in the real world spaces, and cultural industry relatedness, and explores directions that research in storytelling should take in future. This study reviews the achievements in studies on cyber literature with focus on the significance of the studies, which has a long history of research among other fields of digital storytelling and has seen a considerable amount of achievements, the recently accumulated achievements in studies on digital game narratives in each period, and the achievements in studies on storytelling in digital spaces in each subfield including internet newspapers, internet advertisements, web museums, digital edutainment etc. As for storytelling in the real world spaces, this study summarizes the achievements in storytelling for museums and art halls, and for festivals and theme parks. And, as for the achievements related to the cultural industry, work on aspects of variations in contents in the course of storytelling, on values of storytelling as a field of the cultural industry, and on plans for the cultivation of storytelling experts. Based on the reviews of the achievements, this paper examines some directions that studies on storytelling should pursue. This paper proposes as concrete methods, adjustment of storytelling research for its continuous and practical development, reflections on storytelling studies that have been carried out with focus on trends, establishment of theoretical frameworks in which storytelling activities and their outcomes are analyzed, exploration of methods for the humanities oriented values of storytelling studies, bringing attention from theoretical work on storytelling to its practical production, construction of database for sharing actual experiences in storytelling.

      • 디지털 스토리텔링 활용방안 연구

        한혜원 한국디지털스토리텔링학회 2007 디지털스토리텔링연구 Vol.2 No.-

        바야흐로 ‘스토리텔링’의 시대이다. 오늘날 스토리텔링의 활용 범위는 언어라는 표현수단과 책이라는 보존 형태에 국한되지 않는다. 영화, 드라마, 애니메이션, 게임 등 엔터테인먼트 콘텐츠는 물론이고, B.I(Brand Identity), 광고, 마케팅, 갤러리, 테마파크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영역에서 활용되고 있다. IT 혁명을 통해 탄생한 정보의 홍수는 인간 두뇌의 처리 능력을 넘어서고 있다. 때문에 가치중립적이고 인지주의적인 정보 전달보다 감성적이면서도 구성주의적인 전달 방식을 선호하게 된다. 이에 따라서 사회 각 분야에서 디지털 패러다임에 맞는 스토리텔링의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스토리텔링에 대한 광범위한 요구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국내의 학문적 연구 성과는 미미한 편이다. 2003년 국내에서 처음으로 디지털 스토리텔링과 관련된 연구서가 발간된 이래 꾸준히 관련 연구서가 발간되고 있기는 하다. 그러나 대부분 문학의 서사 이론을 그대로 답습한 정통 서사학파적(the traditionalist school) 입장을 고수한다는 점, 뉴미디어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상태에서 이론을 전개한다는 점, 특정 장르에 한정된 이론으로 디지털 스토리텔링 전반을 아우르지 못한다는 점, 무엇보다도 연구 성과가 축적되지 못하고 학문의 통합적 체계화가 이뤄지지 못했다는 점 등이 한계로 지적된다.

      • KCI등재

        문화콘텐츠에서의 디지털스토리텔링 양상과 방향 연구

        허만욱(Hur Man-wook) 우리문학회 2008 우리文學硏究 Vol.0 No.23

        본 연구는 디지털시대에서의 문화콘텐츠와 스토리텔링의 관계, 특히 현재 디지털스토리텔링의 연구 상황에 대한 분석 및 향후 발전 방향에 대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디지털시대의 새로운 문학 환경과 이러한 환경에서의 새로운 글쓰기 양식으로 출현한 디지털스토리텔링의 양상과 그것의 올바른 방향을 살펴본다면 향후 문화콘텐츠의 확장과 창출의 한대안이 드러날 것이기 때문이다. 먼저 디지털스토리텔링은 차세대 문화콘텐츠의 핵심으로 떠올랐으며, 사회와 경제와 문화 등 전 분야에서 디지털스토리텔링 기법을 활용하고 있기 때문에 더욱 활성화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스토리텔링이 디지털 매체로 이동하면서 발생하는 문화콘텐츠의 지각 변동은 실로 엄청나기 때문에 디지털스토리텔링을 중심으로 문화산업의 미래를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보다 새로운 이야기의 개발, 기획 능력, 그리고 능력을 가진 많은 이야기꾼을 길러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신화와 전설 같은 인문학적 콘텐츠들을 확보하고, 온라인상에서 통하는 이야기의 구성 원리를 찾아내어 이 둘을 결합시키는 등의 다양한 방안이 시도되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스토리 창출의 능력에 가장 근접해 있다 할 수 있는 국문학도들이 문화콘텐츠의 창작에 필요한 실효성 있고 새로운 방법론을 모색하여야 할 것이다. 이것은 기존 국문학의 역량에 새로이 더욱 커다란 힘을 보태는 일이 될 것이다. The research which it sees until now investigated the culture contents from digital age and Digital Storytelling relationship, specially currently Digital Storytelling against the analysis against the research situation and a hereafter developmental direction. It will have the character of include essay but and the research which it sees until the next now from to have the plan which is discussed and to each style and to confront concrete and depths Digital Storytelling by the research must be complemented. When until now it arranges the main subject which is discussed, with afterwords it is same. First, Digital Storytelling rose with focus of the next generation culture contents. And Digital Storytelling technique from field before society and economy and culture back. Must activate consequently more. The second, Digital Storytelling moves with a digital medium and the perception fluctuation of the culture contents which occurs is absurd really. Digital Storytelling there is a necessity which tries to think the future of culture industry in the center because like that. Of a consequently has a development newer talk and planning ability and an ability and the talk professional route the infield will do. Third, myth and legend is same and it secures the literature contentses which are, the composition principal of the talk which leads at on-line and it searches inside it does. And it means the plan which the back which combines this two is various must be attempted. The fourth, a scholar on Korean literature are necessary to the creation of the culture contents must grope a new methodology. This will be day when a newly more it makes up huge force in ability of the existing Korean literature.

      • KCI등재

        담화의 논리

        류은영(Ryu, Eun-young)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0 외국문학연구 Vol.- No.39

        구술에서 디지털스토리텔링까지, 인간의 담화양식은 말, 문자, 활자, 영상 그리고 디지털에 이르는 매체의 발달과 더불어 변화해왔다. 오로지 기억에 의존해 소통을 하던 구술시대, 그저 구술의 기록이 목적이던 필사시대, 단순한 필사가 아닌 쓰기와 텍스트 고유의 양식이 정립된 인쇄시대, 다감각적 재현을 이룬 영상시대, 그리고 상호작용적 가상체험이 가능해진 디지털시대의 담화는 각기 그 매체 고유의 미학적 논리가 있다. 하지만 어떤 담화의 논리건, 그 논리의 가치는 절대적이 아니라 상대적인 것이며 상호 단절적이 아니라 상관적, 순환적인 것이다. 필사는 구술에 종속적이었으며, 인쇄는 필사를 자족적 텍스트로 만들었고, 영상은 텍스트를 다감각화했으며, 디지털은 다시 구술의 인터랙티비티를 복원하였다. 이렇게 담화양식은 상대적인 동시에 상관적, 순환적인 것으로 오늘날 스토리텔링 혹은 디지털스토리텔링 양식의 기원은 구술이다. (시공간적) 현장성, (다감각적) 재연성, (상호작용적) 소통성을 기본 속성으로 하는 구술 양식은 스토리텔링의 전형이며, 디지털 양식의 원형이다. 21세기의 담화는 시간적, 인과적, 형식적 내러티브 양식에서 시공간적, 다감각적, 상호작용적 (디지털)스토리텔링 양식으로 이행하고 있다. 변화하는 문화적 소여 속에 내재하는 패러다임을 담화원리화하면서 기존의 내러티브 한편으로 시대적 가치를 지향해가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내러티브에서 스토리텔링으로의 흐름이 곧 담화양식의 진보를 의미하는 것일까? 이에 본 논문은 스토리텔링 혹은 디지털스토리텔링의 논리 및 비전을 체계적으로 담론화하기 위한 기초 연구의 일환으로, 구술에서 디지털스토리텔링까지 인간 담화양식의 시대별 기본 원리 및 내용과 형식상의 문제, 나아가 21세기 디지털스토리텔링의 비전에 이르는 기본적이고도 다각적인 논의를 지향하였다. From oral performance to digital-storytelling, the human discourse mode has changed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such media as word, letter, type, screen and digital. As shown in the oral culture where people communicated by depending only on their memories, in the scribal culture where the recording oral discourse was mainly focused, in the print culture where the characteristic style of writing and text was established beyond a simple transcription, in the screen culture where multi-sensory representation was accomplished and in the digital culture where interactive virtual experience became possible, every culture has always an aesthetic logic peculiar to its own medium. However, no matter what the logic of the discourse is, the value of each logic is not absolute but relative, and not mutually-separative but correlational and circulative. Transcription was subordinate to oral performance, printing developed transcription into self-sufficient text, screen made text multi-sensory and digital restored the interactivity of oral performance. Likewise, as discourse modes are correlational and circulative as well as relative, today's storytelling or digital-storytelling is originated from the oral mode. With basic properties such as (time-spacial) presence, (multi-sensory) replay and (interactive) communication, the oral mode is not only the prototype of storytelling but the archetype of digital mode. The discourse in the 21st century is switching from temporal, casual and formal narrative mode to time-spacial, multi-sensory and interactive (digital-)storytelling mode. This is to seek the discourse mode of the times on the other side of the existing narrative mode, by creating discourse principles with the paradigm inherent in the changing cultural datum. Then, does the flow from narrative to storytelling mean a progress of discourse mode? Thus, as part of a basic study to present a systematic discourse on the logic and vision of storytelling or digital- storytelling, this paper provides basic and multilateral discussions covering the basic logic with content and form by human discourse modes from oral performance to digital-storytelling as well as the vision of digital-storytelling in the 21st century.

      • KCI등재

        영·유아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 테크놀로지 자아효능감 및 디지털 스토리텔링에 대한 태도 간의 관계

        남창우,박영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6 교육과정평가연구 Vol.19 No.1

        본 연구는 교사교육 관점에서 영·유아 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 테크놀로지 자아효능감 및 디지털 스토리텔링에 대한 태도 간의 관계에 대해서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부산·경남 지역 의 유아교육기관에 재직 중인 교사 102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영·유아 교사의 디지털 스토리텔링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변인을 파악하고자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유아 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와 테크놀로지 자아효능감은 그들의 디지털 스토리텔링에 대한 태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영·유아 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와 테크놀로지 자아효능감은 디지털 스토리텔링에 대한 태도의 하위요인인 ‘스토리텔링에 대한 태도’, ‘디지털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스토리텔링에 대한 태도’, ‘디지털 스토리텔링 학습효과에 대한 인식’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논의 및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digital literacy, technology self-efficacy, and attitude toward digital storytelling with the perspective of teacher education. For this purpose, this study utilized online survey with 102 in-service teachers in the institute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Busan metropolitan city and Gyeongsangnam-do. In addition, it employ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early childhoodteachers' digital literacy and technology self-efficacy significantly affected their attitude toward digital storytelling. Second,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digital literacy and technology self-efficacy significantly affected the components of attitude toward digital storytelling ('attitude toward storytelling,' 'attitude toward storytelling utilizing digital technology,' and 'perceptions of the effects of digital storytelling on learning outcomes'). Based on these main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some discussions and implications.

      • KCI등재후보

        국어국문학(과)의 위기와 스토리텔링

        이용욱 국어문학회 2013 국어문학 Vol.54 No.-

        국어국문학의 본질은 스토리텔링이다. 스토리의 표현 수단은 언어이고, 표현 양식은 문학이다. 텔링의 수단은 언어이지만 텔링의 양식은 문학이다. 우리는 이 너무나도 명확한 사실을 잊고 있었다. 읽기, 쓰기, 말하기, 듣기는 스토리텔링의 근간이고, 서정과 서사는 스토리텔링의 기둥이며, 현실과 상상, 논픽션과 픽션은 스토리텔링의 두 얼굴이다. 국어국문학이 스토리텔링에 집중하는 것은 학문의 본령을 훼손하지 않으면서 시대가 요구하는 실용적 지식을 생산해내는 이중의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스토리텔링이 기술적 진보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면 우리가 주목해야할 것은 디지털이 스토리텔링의 방식에 미치는 영향이다. 미래의 스토리텔러는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디지털 세대의 감수성에 어필할 수 있는 디지털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는 멀티플레이어가 되어야 한다. 디지털 기술은 문자를 단독으로 처리하는 것이 아니라 문자를 비트화 시켜서 문자 이외의 다른 코드들(음악, 사진, 동영상 등)과 통합시키는 것이다. 이때 모든 코드들은 각각의 매체적 특징을 상실한 채 비트로만 표시된다. 우리가 디지털서사체라고 명명할 수 있는 무언가가 존재한다고 인정한다면 그것은 ‘문자만’이 아니라 ‘문자도’ 포함되어 있는 통합적 서사체가 되어야 한다. 따라서 디지털스토리텔링은 통합의 학문이다. 인문학, 사회과학, 자연과학, 예술학 등 학문 제영역 간의 통합이며, 기존 서사학과 새로운 매체 미학의 통합이며, 예술과 기술의 통합이며, 경험과 체험의 통합이다. 미래의 대학은 전공 지식을 강화하는 I자 인재가 아니라, 스페셜리스트인 동시에 제너럴리스트인 T자형 인재를 배출해 내어야 한다. 스토리를 매개로 하여 다양한 학문 영역들이 씨줄과 날줄을 형성, 궁극적으로는 스토리텔링이라는 그림판을 완성해 나가는 미래지향적 통섭 교육의 핵심은 대학의 자유로운 도전 정신이다. 인문학의 위기는 우리가 도전 정신을 잃고 지식의 도그마에 스스로를 가뒀기 때문이다. 스토리텔링이 과거가 국어국문학에 준 유산이라며, 디지털스토리텔링은 국어국문학이 미래에 전해 줄 선물이다. 가장 진보적이고 전위적인 학문으로 21세기에 국어국문학은 다시 출발하여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