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내외 디지털인문학 교육 사례와 고전문학 교육에의 시사점

        이승은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22 고전문학과 교육 Vol.51 No.-

        본고는 국내외 대학의 디지털 인문학 교육 사례를 검토하고, 이를 통해 대학에서 고전문학 교육에의 시사점을 도출한 것이다. 이는 디지털 전환이라는 사회적 흐름에 부응하는 동시에, 디지털 네이티브로 정의되는 지금의 대학생에게 보다 실효성 있는 고전문학 교육을 제공할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기획되었다. 먼저 미국과 중국・대만의 디지털 인문학 교육 현황을 개괄적으로 살피고, 문학 교육에 접목된 사례를 분석하였다. 미국의 경우 대학, 연구소, 도서관이 디지털 인문학 교육의 주체로 기능하고 있다. 학부와 대학원에서는 디지털 인문학 학위 과정 및 인증 제도를 운영하고, 연구소와 도서관은 정기적・비정기적 워크숍 등을 통해 교육과 연구를 지원한다. 반면 중국과 대만의 경우 정부 주도로 디지털 인문학 교육이 활성화되고 있으며, 대학과 연구소를 중심으로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해외 디지털 인문학 교육은 종래의 인문학 탐구에 컴퓨팅적 방법을 적용한 것을 중심으로 하였으며, 문학 교육에서도 디지털 도구를 활용한 텍스트 분석, 전자지도 제작, 네트워크 분석 등이 주를 이루고 있었다. 또한 이론에 대한 교육뿐만 아니라 프로젝트 수행을 필수화하여, 학생들이 각자의 관심 영역에 대한 디지털 결과물을 제작, 발표하도록 하는 것은 공통적이었다. 다음으로 국내 디지털 인문학 교육의 현황과 문학 교육의 사례를 분석하였다. 국내 대학의 디지털 인문학 교육은 시작 단계로, 방향성을 정립해가는 과정에 있다고 볼 수 있다. 그중에서 고전문학의 소재를 디지털 인문학 강의에서 활용한 사례를 통해 교육의 난점과 효과를 분석하였다. 고전문학 교육에 있어 디지털 인문학 교육 사례가 지니는 시사점은 세 가지이다. 첫째, 문학 작품과 그것을 둘러싼 맥락을 디지털 환경에서 표현하는 법을 교육할 것, 둘째, 디지털 도구를 활용해 분석하는 법을 교육할 것, 셋째, 디지털 환경에서의 확장성을 이용해 문학이 아닌 다른 것들과 겹쳐 읽기를 시도하고 그로부터 새로운 해석을 이끌어내는 법을 교육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교육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데이터 리터러시 교육의 기반 위에서 고전문학 데이터의 이해-구축-분석-시각화-해석의 데이터 처리 및 실습을 교육과정으로 정립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디지털 인문학 교육의 현장

        김현(Kim, Hyeon) 인문콘텐츠학회 2018 인문콘텐츠 Vol.0 No.50

        최근 수년 사이 한국의 인문학 연구자들 사이에서도 디지털 인문학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고, 디지털적 방법으로 인문학 연구를 수행하려는 시도가 확산되어 가고 있다. 그러나 디지털 인문학이 무엇이며, 그것이 현대의 인문학 활동에 왜 필요한지를 논하는 원론적 논의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그것을 우리의 교육ㆍ연구의 현장에서 실천하는 과제에 대해서는 여전히 많은 사람들이 ‘쉽지 않은 일’로 생각하며, 그길에 들어서기를 주저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디지털 인문학의 세계는 이론으로 설명하고 이해하면 되는 대상이 아니다. 데이터를 만들고 그것과 씨름하는 가운데 유용한 지식을 찾아가는 실천적인 노력이 전제될 때에만 그 세계에 대한 올바른 접근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디지털 환경에 익숙하지 않은 기성세대가 당장 그 과실을 얻으려 하기보다는 미래의 인문학을 이끌어갈 우리의 후학들이 미래의 인문학이 요구하는 연구 역량을 갖출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이 분야에서 더 중요한 과제이다. 필자는, 미래 세대를 위한 디지털 인문학 교육은 소통과 협업에 의한 인문학 지식탐구의 방법을 알려 주는 것에서부터 출발해야 한다는 관점을 세우고, 다음과 같은 단계적 수행 절차를 제안하였다. 그 첫 번째는 ‘서버’ 운영을 통해 학생들이 그들의 저작물을 가지고 세계와 소통할 수 있는 무대를 마련하는 것이고, 두 번째는 ‘위키’와 같은 디지털 환경에서 협업가능한 데이터를 만드는 교육을 시행하는 것이다. 처음에는 그 데이터가 인간이 읽는 글의 형식을 취하겠지만, 그 다음 단계에서는 컴퓨터도 읽을 수 있는 명시적 데이터를 만들 수 있어야 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컴퓨터가 우리 지식의 외연을 넓히고 엄밀성을 강화하는 협업의 동반자가 될 수 있게 하는 일련의 일들이 ‘디지털 인문학 교육의 현장’에서 단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교육 과제이다. The world of digital humanities is not something to explain and understand in theory. The right approach to the world can only be achieved when practical efforts are made to find useful knowledge in creating and processing the humanities data. It may also be a more important task to ensure that our future generations have the research capabilities that future humanities require rather than we are trying to pursue the interest of contemporary researchers. From this point of view, I have discussed what questions the college’s digital humanities education should begin with and what specific ways to take its first step. I have established the view that digital humanities education for future generations should start with teaching them how to explore humanities knowledge through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and proposed the following stepwise implementation process. The first step is to set up ‘online server systems’ where the students can publish their own digital contents and communicate with each other with their contributions. The second is to educate them to create collaborative data in digital environments such as Wiki. At first, the data will take the form of human reading, but the next step is to be able to create explicit data that can also be read by a computer. By doing so, computers should be our collaborators investigating meaningful humanities knowledge. This series of tasks is the basic educational challenge that should be pursued at the practical site of digital humanities education.

      • KCI등재

        미국 대학의 디지털 인문학 교육 프로그램 연구

        이지수,이혜은 한국정보관리학회 2019 정보관리학회지 Vol.36 No.4

        This study examines cases of digital humanities education programs at universities, university libraries and digital humanities centers in the United States. As a result of the research, it was analyzed that the university-centered education program operates in conjunction with other departments to take courses related to humanities and digital technology in general. The digital humanities education program is not operated as a full degree program, but most programs are operated as graduate certificate programs, and it is required to require a graduate degree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and humanities in advance. Most of the digital humanities centers run educational programs centered on faculty and postdoctoral researchers in universities in connection with universities and university libraries to support the humanities scholars. Lastly, the university's digital humanities education program is operated in the form of research support for students and researchers of all majors. In addition, the content of the educational program focused on the practice for digital projects rather than theory. Empowering digital literacy and supporting digital technology-based research has become a new role for university libraries, which requires libraries to play a central role in digital humanities education. 본 연구는 미국의 대학, 대학도서관 및 디지털 인문학 센터의 디지털 인문학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사례를 조사한 것이다. 연구의 결과 대학 중심의 교육 프로그램은 타 학과와 연계하여 인문학 및 디지털 기술의 관련된 강좌를 전반적으로 수강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디지털 인문학 교육 프로그램은 완전한 학위 과정으로 운영하기 보다는 대학원 수료증 과정으로 운영되며, 이수를 위해서는 사전에 문헌정보학 및 인문학의 대학원 학위를 필수로 요구하는 기관이 대부분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디지털 인문학 센터는 인문학 전공자의 연구지원을 위해 대학 및 대학도서관과 연계하여 대학 내의 교수진 및 박사 후 연구원 등을 중심으로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며, 프로그램의 유형은 워크숍 또는 수료증 과정이었다. 한편, 대학도서관의 교육 프로그램은 대학의 모든 전공의 학생 및 연구자를 대상으로 연구지원의 형식으로 운영하고 있으며, 교육 프로그램의 내용은 이론 중심보다는 디지털 프로젝트를 위한 실습에 중점을 두고 있어 대학도서관은 가장 다양한 이용자를 대상으로 실용적인 디지털 인문학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디지털 리터러시의 역량을 키우고 디지털 기술을 기반으로 한 연구를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은 대학도서관의 새로운 역할이 되었고 이를 위하여 도서관이 디지털 인문학 교육에 있어 중심적인 역할을 수행해야 하는 것은 분명하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기 위한 전문가를 양성하기 위하여 문헌정보학과에서 디지털 인문학 교육도 함께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대만과 한국의 디지털 인문학(고전) 교육 정책 연구

        최지연,이해윤 근역한문학회 2023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Vol.64 No.-

        Various incidents that caused an uproar in society, such as the emergence of AlphaGo in 2016 and the COVID-19 pandemic that has persisted since 2020, accelerated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se waves of change produced great impacts on the humanities. Such changes serve to redefine the role of humanities researchers. The expansion of research areas beyond the humanities to engineering has brought about many different possibilities. However, such an expansion in the absence of sufficient preparations has caused unexpected problems. Humanities researchers sometimes experience difficulties in communication due to their limitations in engineering knowledge, and in some projects, they are tasked with performing simple and mindless duties rather than playing a central role. Most of the difficulties that humanists have in relation to digital technologies are represented as common problems for researchers. Accordingly, in order to address such problems, more systematic solutions should be found at the organizational level rather than at the individual level. In this context, to find a path forward, this paper aims to examine cases on display in Taiwan, which has already implemented digital policies for humanists (“digital humanities” policy), one step ahead of Korea. This paper largely deals with educational policies related to digital humanities in Taiwan and Korea. For Taiwan, the “Digital Humanities Promotion” policy, implemented by the Ministry of Science and Technology from 2013, and the “Plan for Fostering Innovative Talents in the Digital Humanities,” from 2018, were mainly analyzed. These two digital humanities policies are organically connected based on education, and they are characterized by creating educational curricula based on existing domestic and foreign digital archives and research results, along with the three elements that form a virtuous cycle: research, development of tools, and education. In addition, they place great emphasis on sharing educational resources, collaboration, and networking. Korea also has high-quality data resources that have been built up over the years in this field. An in-depth discussion is needed in order to form and spread the educational curricula suitable for Korean literature in Chinese(漢文學) based on such resources. Thus, it is hoped that Chinese literature will continue to create research achievements suitable for the digital age while retaining its own unique meaning, and that it will establish itself as a distinctive field of digital humanities. 2016년 알파고의 출현, 2020년부터 지속되는 코로나19 등 사회의 여러 사건들은 4차 산업혁명을 가속화시켰고 그 변화의 파동은 인문학계도 출렁이게 하였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인문학 연구자들의 역할이 재조정되고 있다. 인문학 영역을 넘어서 공학까지, 연구 영역의 확장은 다양한 가능성을 가져왔다. 그러나 충분한 준비 없이 맞이한 확장으로 예상하지 못한 문제도 함께 발생했다. 공학적 지식의 한계로 소통의 어려움을 겪기도 하고, 프로젝트의 경우 중심 역할보다는 단순한 역할을 맡는 경우도 생겼다. 디지털 기술과 관련하여 인문학자들이 갖는 어려움은 대부분 연구자가 공통으로 갖는 문제로 개인적 차원에서보다 좀 더 조직적이고 체계적인 해결 방안이 마련돼야 할 필요성이 있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한국보다 한발 앞서 인문학자를 위한 디지털 정책, 즉 ‘디지털 인문학’ 정책을 시행한 대만의 사례를 살펴보고 앞으로의 방향 설정에 도움을 얻고자 한다. 본고는 크게 대만의 디지털 인문학 교육 정책과 한국의 디지털 인문학 교육 정책을 소개한다. 대만의 경우, 2013년부터 시행된 과학기술부의 ‘디지털 인문학 진흥’ 정책과 2018년부터 시행된 ‘디지털 인문학 혁신인재 양성계획’ 정책을 집중적으로 분석하였다. 이 두 디지털 인문학 정책은 교육을 중심으로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기존 국내외 디지털 아카이브와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교육 커리큘럼을 만들고 연구, 툴 개발, 교육, 이 세 요소가 선순환 구조를 이룬다는 특징이 있다. 또한 교육 자원의 공유, 협업, 네트워크 구축을 매우 강조한다. 한국도 이미 수년간 구축해 온 양질의 데이터 자원을 보유하고 있다. 이러한 자원을 응용하여 한문학에 적합한 교육 커리큘럼을 만들고 교육하기 위한 깊이 있는 논의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한문학의 고유한 의미를 잃지 않으면서 디지털 시대에 걸맞은 연구 성과들을 지속적으로 만들어 내고 특색 있는 디지털 인문학의 한 분야로 자리매김하기를 바란다.

      • KCI등재

        팬데믹 이후 대학 문학교육의 전환

        황혜진 한국문학교육학회 2024 문학교육학 Vol.- No.83

        이 연구는 팬데믹 이후 대학에서 진행되는 문학교육 현상을 기술하고, 디지털 전환에 따른 문학교육의 변화를 성찰하기 위해 기획되었다. 팬데믹을 거치며 가장 큰 변화는 ‘디지털 전환’이다. ‘디지털 전환’은 기존 지식을 전수 받던 학습자를 능동적이고 창조적인 행위자로, 지식을 보유하고 전달하던 교수자를 지식의 플랫폼이자 학생들의 조력자로 그 위상을 변화시킬 수 있는 계기가 된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부각된다. 이 연구에서는 범지구적 차원에서 미래 교육의 비전과 방향을 꾸준히 탐구하고 제안해 온 OECD가 제시한 ‘2030 학습 나침반’을 교육자에게 필요한 ‘교육 나침반’으로 삼아보려 하였다. 변혁적 역량에 속한 ‘새로운 가치 창출’, ‘긴장과 딜레마의 조정’, ‘책임감 가지기’ 등은 대학의 학습자들에게도 필요한 것들이기에 교육적 지침이 될 수 있다고 판단하였다. 연구자는 2023년도 2학기에 문학을 교육하는 두 수업을 담당하였다. 하나는 학부생을 대상으로 한 ‘고전문학과 콘텐츠’이며, 다른 하나는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한 ‘고전서사와 콘텐츠’이다. 두 수업의 강좌명은 대동소이하지만 내용은 크게 다르다. 전자는 고전문학을 현대적으로 변용한 콘텐츠에 대한 이론과 디지털 콘텐츠 생산에 관한 것이요, 후자는 디지털 인문학의 전공 지식에 따라 고전문학을 디지털화하는 작업을 직접 수행하는 것이다. 수업 실행의 결과, 디지털 전환으로 인해 전반적으로 학생들의 행위주체성이 높아졌다고 평가할 수 있는데, 이와 정비례하여 교육자의 노고로움은 증대하였다. 그렇지만 이 현상을 학생들의 행위주체성뿐 아니라 교육자의 행위주체성이 높아진 것으로도 해석할 수 있다. 교수자나 학생이나 디지털 인문학 분야에서는 초심자이다. 전공 지식을 디지털 인문학과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교수자 역시 새로 배워야 한다. 이 수업 경험을 통해 연구자는 학생들과 함께 수평적 관계에서 서로 배움을 나누며 함께 길을 찾아 가는 새로운 교수-학습자상을 갖게 되었다. The most significant change after the pandemic is the 'digital transformation.' This goes beyond the establishment of two-way online education and the use of digital media, transforming the status of students and educators. The education sector inevitably requires a more fundamental revolution because it needs to anticipate the experiences future generations will face, identify the necessary capabilities, and be responsible for designing and implementing educational practices for them. This study attempted to consider the '2030 Learning Compass' presented by the OECD as a 'Education Compass' for educators. It was judged that the guidelines for education, including 'Creating New Values,' 'Balancing Between Growth and Dilemmas,' and 'Taking Responsibility,' which are transformative competencies, could be beneficial for university students. I was in charge of two literature education classes in the second semester of 2023. One was 'Classical Literature and Contents' for undergraduate students, and the other was 'Classical Narratives and Contents' for graduate students. Although the course titles of the two classes were similar, their content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The former focused on theories related to transforming classical literature into contemporary contents and contents production, while the latter involved directly digitalizing classical literature based on expertise in digital humanities. As a result of implementing the courses, it can be evaluated that overall, students' agency has increased due to digital transformation, along with a corresponding increase in the efforts of educators. However, this phenomenon can be interpreted not only as an increase in students' agency but also as an increase in educators' agency. In other words, educators also enhanced their agency by actively learning and mastering media and digital technologies while conducting these courses, finding their way through new learning experiences. Whether educators or students, both are beginners in the field of digital humanities. To combine disciplinary knowledge with digital humanities, educators also need to learn anew. Through this course experience, the researcher developed a new teacher-learner relationship, sharing learning with students in a horizontal relationship and finding a new teacher-learner model together.

      • KCI등재

        중국의 동양고전 관련 디지털인문학 현황 -정책, 성과, 교육을 중심으로-

        최지연 한국한문교육학회 2022 한문교육논집 Vol.58 No.-

        중국의 디지털인문학 현황 연구에는 빈공간이 존재한다. 중국은 정부의 관심과 적극적인 지원 아래 디지털 관련 기술이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기술적 변화는 디지털인문학 분야에 그대로 적용되어 동양고전과 관련된 다양한 연구 성과를 만들어 내었다. 한국과 중국은 예부터 한자라는 공통분모를 가지고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다양한 문화를 공유하고 있다. 동양고전과 관련된 중국의 디지털인문학 현황에 대한 이해는 우리의 동양고전 연구와 교육에 상당한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은 중국의 동양고전 관련 디지털인문학 현황을 분석하고 시사점을 찾아보는 것을 목적한다. 2장에서는 중국의 동양고전 관련 디지털인문학 정책과 연구 성과를 검토하고 3장에서는 중국의 동양고전 관련 디지털인문학 교육을 정규교육과정과 비정규교육과정으로 나누어 분석한다. 이를 통해 한국의 동양고전 연구와 교육 분야에 시사점을 찾는 것은 물론이고, 더 나아가 중국 디지털인문학의 전체적인 모습을 이해하고 중국이 어떠한 어젠다를 가지고 디지털인문학을 이끌어 가는지를 고찰해 볼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present situation of digital humanities in China, focusing on policy, achievement, and education. Digital technology is developing rapidly. The field of digital humanities also has a different appearance every day, so it is very important to grasp the present appearance. However, there is an empty space in the study of the present situation of Chinese digital humanities in Korea. In addition, the focus is on the digitalization of Chinese classics and the research on its results, so it is difficult to know in what context and what kind of support the digitalization of Chinese classics received and aimed a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look at China's policies, achievements, and education related to digital humanities to draw a big picture of China's digital humanities, and to find out what agenda the Chinese government is leading digital humanities with. Many implications will be obtained in the field of digital humanities related to Chinese Classic in Korea.

      • KCI등재후보

        디지털 시대 주체 회복을 위한 대학 글쓰기 교육의 필요성

        정희모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15 리터러시 연구 Vol.- No.12

        This article deals with the characteristics of college writing under the global competition and the crisis of the humanities. Under both liberal and general education, college’s liberal education aims to improve humans to holistic existence. In this article, the emphasis is on college writing education’s relevancy to inner maturity or holistic human cultivation, which the liberal education accentuates. This is because the act of writing makes it possible for us to grow into social subject through self-reflection and inner maturity. With this discussion, this article also emphasizes that writing education should belong to communication education, because writing education deals with the problem of self-expression using language that is structured with various characters. In this regard, college writing education is situated at a significant position in liberal education, because it deals with humanistic building on one hand, and language expression on the other hand. Unlike other language education, college witing seeks for the improvement of humanistic thinking through expression instruction. In addition, this article also suggests few tasks that college writing should respond with as it encounters the advent of hypertext era through digital media. Firstly, college writing needs to reestablish the problem of writing subjects in response to the digital age’s dispersing and breaking up disintegrate subjects. Secondly, a program that allows humanistic self-examination in response to softness of knowledge and weight lightening of knowledge in the digital age needs to be developed. Lastly, college writing needs to develop various digital writing education programs in response to hypertext’s rising and convergence curriculum development. 이 논문에서는 글로벌 경쟁과 대학 인문학의 위기 속에서 대학 글쓰기 교육의 대응 방안에 관한 논의를 담고 있다. 이런 논의를 위해 이 논문은 교양교육 속에서 대학 글쓰기 교육이 차지하고 있는 특수한 위치, 즉 인문학 교양과목이면서도 의사소통교육(혹은 언어 교육)에 속하는 대학 글쓰기 교육의 성격을 탐색한다. 대학의 교양교육은 자유교육과 일반교육의 정신 아래 인간을 전인적 존재, 총체적 인간으로 성장시키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대학 글쓰기 교육은 교양교육에서 강조하는 전인적 인간 양성 및 내면적 성숙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다. 글을 쓰는 행위는 우리로 하여금 자기반성과 내면적 성장을 통해 사회적 주체로 성장시켜 주기 때문이다. 이런 특성과 함께 대학 글쓰기 교육은 글을 쓰는 능력을 함양하는 의사소통교육(언어교육)적 요소도 가지고 있다. 글쓰기 교육은 기호로 된 언어를 조작하고 조직하여 사용하며 궁극적으로 자기표현의 문제를 다루고 있기 때문이다. 대학 글쓰기 교육은 한 편으로 인문적 교양을, 다른 한 편으로 언어 표현을 다루기 때문에 교양교육 속에서도 특별한 성격을 가지게 된다. 글쓰기는 개인이 자기 삶의 지평에서 세계에 관한 자기 생각을 형성해 가는 과정이며, 나아가 인류가 보존한 높은 문화적 산물과 정신적 가치를 만나는 과정이 되기도 한다. 그렇기 때문에 글을 읽고 쓰는 것은 하나의 개인을 교양적 인간, 세계적 인간으로 성장시키는 인문학적 의미를 담고 있는 것이다. 또 이와 함께 대학 글쓰기 교육은 언어 표현이 가지고 있는 창조적인 성격을 함께 담지하고 있다. 좋은 생각은 좋은 표현을 통해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또 좋은 표현이 좋은 생각을 만들어 내기도 한다. 글쓰기 교육에서는 좋은 생각과 사상을 창조하기 위해 쓰기 능력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강조한다. 여러 연구결과를 보더라도 언어능력이 좋은 필자들이 좋은 생각과 사상을 창조했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이 논문에서는 디지털 매체를 통한 하이퍼텍스트 시대의 도래에 직면하여 대학 글쓰기 교육이 대응해야 할 몇 가지 과제를 제시하고 있다. 첫째 대학 글쓰기 교육은 디지털 시대의 분산되고 해체되는 주체에 대응하여 쓰기 주체의 문제를 다시 정립해야 한다. 둘째, 디지털 시대에서 지식의 연성화, 지식의 경량화에 대응하여 대학 글쓰기 교육은 인문학적 자기 성찰을 중시해야 한다. 셋째, 대학 글쓰기 교육은 하이퍼텍스트의 도전과 융·복합적 교육과정 개발에 대응하여 다양한 디지털 글쓰기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

      • KCI등재

        디지털인문학 교육의 사례 연구: 초기 내한 선교사 사료 수업과 연계하여

        한미경 ( Han Mikyung Kim ) 연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1 人文科學 Vol.123 No.-

        본 연구는 최근 국내에서도 활발해지고 있는 디지털인문학이 더욱 균형적인 발전을 이루기 위해서는 디지털인문학 교육도 더 효율적이 되어야 함을 전제로 실제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수업의 모델을 고안하는 것이다. 먼저, 디지털인문학 교육 관련하여 현재 세계 각지에서 수행되고 있는 교육 사례들을 총체적으로 개관하였고, 이어서 정규 교육으로 개설되었던 수업 중 여섯 가지 사례를 선정하여 그 특징들을 분석하였다. 그 다음 구체적인 사례로 정부의 지원으로 수행되고 있는 <내한 선교사 편지 디지털 아카이브> 프로젝트와 연계하여, 연세대학교 연합 신학대학원이 디지털인문학을 교회사의 새로운 수업 방법론으로 적용해 보기 위하여 개설되었던 < 선교사 편지 DB를 통한 재한선교사 연구 >의 핵심 내용을 소개하였다. 이 수업을 구성하고 있는 내용들은 기존의 디지털인문학 수업의 강점을 분석하여 본 수업의 취지와 목적에 부합하도록 창의적으로 적용해 본 결과들이다. 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은 사료적 가치가 충분한 내한 선교사 편지라는 1차 자료를 한국 교회사의 맥락에서 면밀히 연구할 수 있는 기회를 얻을 수 있었고, 디지털인문학의 기법을 교회사 연구에 접목하는 실전 교육을 받을 수 있었다. 인문학을 연구해 온 다수의 대학원생들은 디지털 기법에 익숙하지 않았기 때문에 이런 상황을 고려하여 수업을 고안했다. 특히, 기술적인 영역은 따로 제작한 영상을 이용하여 개인적으로 반복학습을 할 수 있도록 했다. 그 결과 수업을 마칠 무렵에 학생들은 몇 가지 디지털 툴을 능숙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학기말 과제는 출판을 전제로 고안되었으며 실제로 수업에 참여한 모든 학생들이 하나의 팀이 되어 완성한 과제물은 웹 사이트(www.kmhistory.com)를 통해 공유되었다. 그리고 수업의 중간 과제물이었던 선교사 편지의 전자 편찬은 XML-TEI 파일을 만들어 미국 디지털인문학 사이트인 TAPAS Project를 통해 출판했다. 웹 사이트의 구축의 경우 참여 학생들이 특정한 선교사에 대하여 연구한 뒤에 결과물을 워드프레스에 입력했고 매핑과 타임라인을 동료들과 협업하여 완성했다. 마지막으로 디지털인문학 교육의 향후 발전 방향은 융합적인 학문의 특정상 디지털인문학센터를 구축하는 것과 이를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함을 제안했다. This paper examines multiple cases of programs and courses related to digital humanities education offered in recent years in colleges and graduate schools in Korea and abroad. Six digital humanities courses were selected and analyzed to determine their characteristics in terms of teaching plans. This paper also introduces ‘Korean Church History in Missionaries Letters,' a digital humanities course offered in Spring 2021 at Yonsei University’s United Graduate School of Theology, which was designed based on the analyses carried out in the first part of this paper. The course allowed students to experiment with the primary sources of the early missionaries in Korea and familiarize themselves with various digital tools. Through the course, the students had the opportunity to complete a final project as a team-namely, building a website on the works of American Southern Presbyterian Missionaries in Korea. In addition, the students worked individually to create XML-TEI files, then uploaded them to the TAPAS Project website. Finally, the paper suggests the need for digital humanities centers, which can play a major role as a hub for digital humanities education on campus.

      • KCI등재

        한국과 독일⋅오스트리아의 ‘디지털 인문학’ 교육 현황과 국내 독어학 전공교과 적용가능성 고찰

        류수린 한국독일어문학회 2023 독일어문학 Vol.100 No.-

        Ziel dieser Arbeit ist es, erstens den aktuellen Stand des derzeit in den geistes- und sozialwissenschaftlichen Bereichen expandierenden Studiengangs „Digital Humanities“ zu überblicken, der eine Neuordnung der Grenzen zwischen den Studienfächern auf Basis digitaler Technologien aufweist. Zweitens wird ein Unterrichtsmodell des Hauptfachs Germanistik als Bestandteil des Studiengangs „Digital Humanities“ vorgestellt. Am Gegenstand literarischer/kultureller Texte, sprachlicher Daten, Philologie sowie Geschichte und Soziologie werden Sentiment-/Emotionsanalyse, Netzwerkanalyse, Topikmodelling etc. hauptsächlich unter Verwendung natürlicher Sprachverarbeitungstechnologie und statistischer Techniken unternommen, sowie Visualisierung anhand zeitlicher und räumlicher Daten sowie automatische Klassifikation, Zusammenfassung und neue Interpretation sowie Generierung mithilfe von Machine Learning ausgeführt, was sich zum Schluss in die neuen Bildungsinhalte integrieren lässt. Diese Fachunterrichtsformen, die geistes-/sozialwissenschaftliche Inhalte und Digitaltechnik verbinden, bilden über die Grenzen bestehender Fachbereiche und Studienschwerpunkte hinweg einen neuen Studiengang „Digital Humanities“. Inmitten dieser Veränderungen kann eine Reihe von germanistischen Unterrichten mit Anwendung der digitalen Analysetools entwickelt und angeboten werden, wodurch die Bildungspalette der Germanistikabteilung bereichert werden kann. Dazu ergibt sich die Perspektive, dass digitaler Germanistikunterricht in einem Studiengang „Digital Humanities“ einen konstituierenden Studienschwerpunkt bildet. Darüber hinaus wurde sich mit den Vorzügen und Problemen bei der Durchführung dieses Unterrichts auseinandergesetzt, um zu Wandel und Weiterentwicklung des Hauptfachs Germanistik beizutragen. 본 논문은 최근 인문⋅사회학 분야에서 확산되고 있는 ‘디지털 인문학’ 교육의 국내, 그리고독일⋅오스트리아 대학의 교육과정 현황을 개괄하면서, (1) 디지털기술 기반 연구방법론에 근거하여 전공 간 경계가 새롭게 재편되는 양상을 살펴보고, (2) 이러한 변화의 구성 주체로서 독어독문학 전공교과의 디지털 교과 운영 가능성을 특히 독어학 전공 분야의 사례를 중심으로 검토하고자 한다. 2010년대부터 디지털화 digitization를 마친 대규모의 개별 문학/문화 텍스트, 언어코퍼스들이 주로 자연언어처리 기술과 데이터사이언스의 통계적 분석기법을 활용하여 감성/어조 분석, 관계/ 네트워크 분석 등 텍스트 마이닝 기법으로 연구되었다. 또한 문헌학, 역사학, 사회학 분야의 디지털 자료들이 다양한 시⋅공간 자료화에 근거한 시각화 및 이미지로 구현되어분석되었다. 인문⋅사회분야의 디지털 자료들은 최신 기계학습에 적용되어 자동 인식 및 분류, 서사 요약과 생성 등의 연구 성과로 이어졌다. 이들 연구 내용이 최근 새로운 디지털 인문학의교육 내용으로 자리 잡으면서, 기존 인문⋅사회학의 학과 및 전공의 경계를 넘어서는 ‘디지털인문학’ 전공과정, 대학 간 네트워크형 교육모델이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다양한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독어학 연구들과 이를 수업 내용으로 적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앞으로 디지털 독어학 교과의 개발과 운영을 통해 기존 독어독문학과 체계 내에서 전공교육의 선택지를 넓히고, ‘디지털 인문학’ 과정의 구성 교과로 적극 참여하면서 상호 발전하기위한 필요성을 논구하였다.

      • KCI등재

        메타버스 시대의 인문학 교육 방법론에 관한 연구

        전준현,김경모 한성어문학회 2023 漢城語文學 Vol.48 No.-

        This article proposes a methodology for humanities education using metaverse technology, given the evolution and potential of metaverse technology in the field. Currently, the content being generated in the humanities extends beyond simple literary works like poems or novels and is taking on new forms that combine digital technology. In addition, digital analysis and transformation have been increasingly used in humanities research and education. This study proposes a methodology for humanities education that utilizes metaverse technology. Recently, metaverse technology has emerged as a new platform for various fields, including education. In particular, humanities education can provide an immersive and interactive learning experience through the use of metaverse technology. This study proposes a three-stage education curriculum for humanities education using metaverse technology, as well as various project and activity examples that can be implemented at each stage. The proposed education curriculum is centered on project-based learning that utilizes metaverse technology and enables students to develop skills in collaboration, creativity, problem-solving, and cultural understanding. Moreover, metaverse-based humanities education can increase cultural awareness and perception, and enhance students' ability to understand and respond to ethical issues related to metaverse technology. 본 고는 메타버스 기술의 개념과 활용이 지속적으로 진화함에 따라 인문 교육 분야에 메타버스 기술을 활용하는 방법론에 대한 고찰과 함께 메타버스 기술을 활용한 인문학 교육 방법론을 제시한 것이다. 현재 인문학 분야에서 생성되는 콘텐츠들은 시, 소설과 같은 문학 작품을 디지털 기술과 융합하는 형태로 나타나고 있으며 인문학 연구나 교육에서도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데이터 분석이나 디지털 전환이 활발하게 일어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메타버스 기술을 활용한 인문학 교육 방법론을 제안하고자 한다. 최근 메타버스는 교육 분야를 비롯한 다양한 분야에서 새로운 플랫폼으로 부상하고 있다. 특히 메타버스 기술을 활용한 인문학 교육은 학습자에게 일방적인 주입식 교육에서 벗어나 상호작용을 통해 이해력과 몰입감을 줌으로써 흥미있게 학습 경험을 제공해 줄 수 있다는 점에서 진행하였다. 본 고는 메타버스 기술을 활용한 인문학 교육을 위한 3단계 교육과정을 제안하고, 각 단계에서 구현 가능한 다양한 프로젝트 및 활동 예시를 제시한다. 제안된 교육과정은 메타버스 기술을 활용한 실습 중심의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구성하였으며, 이를 통해 구성원들 간의 협응 능력, 창의력, 문제해결력, 문화콘텐츠에 대한 이해력의 역량을 키울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인문학 메타버스 교육을 통해 인문학에 대한 관심을 함양하고 문화에 대한 이해와 인식을 높이고, 메타버스 기술의 윤리적 문제에 대한 이해와 대처 능력도 함께 강화될 것이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