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30년대 식민지 조선의 동양음악론 : 동양음악과 서양음악의 관계 논의를 중심으로

        최혜진 역사학연구소 2022 역사연구 Vol.- No.45

        본 논문은 식민지 시기 동양음악에 대한 인식 변화를 살펴보고자 1930년대 담론공간에서 이루어진 동양음악 관련 논의를 검토하였다. 서양음악 종사자들 은 보편적 문명인 서구 근대 음악을 통해 자신들이 조선인과 조선음악계를 계몽 하고, 또 조선음악을 개조해야 할 주체로 인식하고 있었다. 그들은 서양음악의 관점에서 조선음악의 특징을 설명하고 평가하였다. 또한 문명주의 관점에서 조선음악, 나아가 동양음악을 정체적인 것으로 평가하였다. 여기에서 동양음악은 서구 문명주의에서 계몽과 개조의 대상이자 평가의 대상일 뿐이었다. 하지만, 1920년대 말부터 서양문명과 기술이 비판되고, 대신 동양문화와 정신이 강조되면서, 동양음악에 대한 인식이 변화되었다. 특히, 1930년대 들어서서 다수의 서양음악 종사자들은 동양음악과 서양음악의 상호 비교나 모방이 불가능하며, 그것들이 각각의 특성을 가진 대등한 것이라고 주장해, 양자를 등가화하였다. 이와 같은 변화 속에서 동양음악은 서양음악의 개조 대상이라는 위치 에서 벗어나 서양음악의 문제점을 비판하는 전거가 되었다. 이러한 속에서 1930년대 후반 동양음악은 역사적으로뿐만 아니라 음악적 가치의 측면에 있어서도 세계 최고의 음악으로서 서양음악을 포함한 세계음악의 모델이 되었다. 그러나 서양음악 종사자들의 동양음악에 대한 인식 전환은 제한된 의미를 가 진 것이었다. 그들은 동양이 강조되는 1930년대 ‘전환의 시기’에 영향을 받으면서 동양음악과 서양음악 모두를 상대화하여 동양음악이 주체적으로 자신을 정립 할 수 있는 단초를 마련했다. 나아가 그들은 동양음악을 서양음악과 대등한 것으로 등가화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것은 음악사적인 측면이 아니라 문화사적 가치라는 측면에서의 변화였다. 먼저 그들은 시대적으로나, 음악적으로나 조선고악과 동양음악이 보급되고 수용할 만한 가치를 가진 것은 아니라고 생각하였다. 뿐만 아니라, 동양음악이 서양음악의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는 상황에서도, 그들은 동양음악의 대중적 수용력을 부인하고 있었다. 이는 동양음악에 대한 서양음악 종사자들의 의식뿐만 아니라 1930년대 동양음악 논의의 특징을 보여주는 것이다. 그와 같은 모습을 보여준 논의의 특성은 논의의 주체와 관련된 것이기도 했다. 당시 담론 공간에서의 동양음악 논의 주체가 서양음악 종사자들이었던 반면에, 전통음악 종사자들 대다수는 교육 정도나 사회적 위치 등의 측면에서, 또한 담론 생산 능력이라는 측면에서 관련 논의에 참여할 수 없었다. 논의에 참여했던 일부 전통음악 종사자들의 경우에도, 그들의 논의는 동양음악에 대한 것이라기 보다는 전통악(樂)의 근대음악화와 관련된 것이었다. 이러한 논의 주체의 문제를 배경으로 하여, 동양음악 논의가 서양 음악 중심의 의식에 기초해서 이루어졌다.

      • KCI등재

        문화 : 동양(東洋)과 서양(西洋)의 전통수기요법(傳統手技療法) 교육(敎育) 비교(比較) 연구(硏究)

        정한석 ( Han Suk Jung ),함주현 ( Joo Hyun Ham )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2011 동방학 Vol.20 No.-

        본 논문은 옛 동양권 문화에서 발전한 수기요법이 현재 국내에서는 그 역사가 깊지 않고 생소한 학문의 분야 중 하나인 서양의 카이로프랙틱 (chiropractic)으로 알려지고 널리 보급되어 있는 종주국인 미국을 포함한 타 서양의 카이로프랙틱 교육과정과 동양의 교육과정에 대해 비교분석 하였다. 현재 동양권 특히, 국내에서는 카이로프랙틱이라는 학문은 원 명칭보다는 한방에서의 추나라는 명칭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허준의 <동의보감>을 보면 안교, 도인, 안마 등 추나의 옛 명칭이 소개되어있다. 그러나 유교주의 국가이념을 바탕으로 한 조선시대의 사회분위기로 볼 때 신체의 노출과 남녀의 신체접촉이 허용되지 않았으며, 육체노동을 천시하는 경향이 만연하여 앞서 언급한 근골격 질환과 통증에 대한 특별한 효과를 가진 수기요법의 발전을 저해했다. 일제강점기를 거치며 수기요법은 의료행위라기 보다는 민간요법으로 전락하였다.30 이러한 사실은 한국뿐만이 아니라 동양권 문화의 여러 나라에서도 동일한 현상을 보여 체계적인 학문으로서 발전하지 못해 한때 수기치료에 있어 많은 발전을 이루었던 동양 보다는 오히려 서양의 수기치료인 카이로프랙틱이 발전하는 계기가 되었다. 즉 동양의 추나가 서양으로 건너가 체계적이고 과학적으로 입증되어 발전하여 카이로프랙틱이라는 학문으로 발전하여 전 세계적으로 널리 보급되었다. 전통적인 추나요법은 오랜 임상을 통하여 얻어진 경험에 의한 산물이지만, 현대의 추나요법은 전통적인 방법에 해부학과 생리학 등 현대 의학지식을 결합한 것 이다. 한국추나요법은 동양수기요법인 중국의 추나(Tuina)와 일본의 정체법 및 고동법 그리고 서양수기요법인 카이로프랙틱 및 등의 장점을 수용하여 발전시켜 다양하고 효과적으로 발전시킨 것 이다.30 이렇듯 카이로프랙틱이라는 학문은 1895년 미국에서 캐나다인이었던 D. D. Palmer에 의해 탄생하였고 1897년에 학교가 설립되면서 서양에서는 의학적 지식의 발달과 함께 과학적 근거가 더하여 하나의 독립적인 학문으로 발전되어 널리 보급되었다. 현재에는 전 세계 27개의 대학에서 동양의 수기치료가 카이로프랙틱이라는 학문으로 발전하여 정식과정으로 수많은 카이로프랙틱의사들을 배출하고 있다. 그러나 아시아지역에서는 한국, 일본 그리고 말레이시아에서 3개의 정식교육과정이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을 포함한 아시아지역에서는 체계적인 교육의 확립에 있어 우리 고유의 한방문화의 역사적인 배경과 더불어 그 보급에 있어 많은 어려움이 있었기 때문이다. 이 논문은 이러한 관계형성에 있어 동양에서 발전되었던 수기치료법이 현재에 와서는 쇠퇴되어 서양에서 발전하게 된 역사적 배경을 설명하고자 하였다. 특히 현재 미국을 포함한 서양에서 발전된 카이로프랙틱교육과 동양의 카이로프랙틱교육 특히, 한국 카이로프랙틱교육의 상황을 비교분석하여 그 우수성을 입증하고 향 후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학문으로서 동양 수기치료 발전의 가능성을 도모하고자 하였다. Manipulation has been existing since the beginning of human civilization. An ancient Chinese text indicates that manipulation techniques were being used in that country as early as 2700 B.C. In 1897, D. D. Palmer founded the first chiropractic school in Davenport, Iowa. Since then, chiropractic as a profession has been developed and promoted through chiropractic schools around the world. Currently, there are 27 accredited chiropractic schools in the world; including 15 (18 campus) in the United States, 2 in Canada, 4 in Europe, 4 (5 campus) in Australia, 1 in New Zealand, 1 in Korea. While chiropractic as a profession is booming around the world, the situation in Asia is not that optimal; there is only 1 accredited independent school. To most Asian countries, "chiropractic" is a new term; the interpretation of "chiropractic" is different. Among those who are practicing "chiropractic", most of them are medical doctors, oriental medical doctors practicing "tuina", physical therapists, and marital artists who have no formal chiropractic training.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first to compare the HanSeo University chiropractic program, the only accredited independent chiropractic program by Council on Chiropractic Education Australasia in Asia, to other accredited program in the West, such as Australia and the US, and second to other short term non-government recognized chiropractic programs in Korea in order to reveal the real status and quality of chiropractic education in Korea. The results may shed the light of current chiropractic educational situation among the countries in the West and the East.

      • KCI등재

        우리 안의 타자로서 동서양

        권영우(Kwon Young Woo) 대한철학회 2016 哲學硏究 Vol.137 No.-

        본 논문은 동양과 서양을 이분법적으로 구분하는 세계관에 대해 비판하고 동서양을 상호적 타자인 주체로 인정해야 하는 하나의 ‘우리’로 이해해야 한다는 주장을 담고 있다. 동양이 ‘나’라면 서양은 분명 ‘너’가 될 것이고 그 반대도 성립될 것이다. 그래서 동양과 서양은 분명 다르다. 하지만 서로가 스스로를 주체로 의식함과 동시에 타자가 자신처럼 또 다른 주체가 될 수 있다는 점을 인정하게 된다면 동양과 서양이라는 서로 다른 주체들은 사실 더 큰 ‘우리 안의 타자’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19세기 이후 동양은 서양의 문화와 사상을 배우고 수용하는 데 매우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하지만 그 과정에서 동양은 서양을 ‘우리 안의 타자’로서가 아니라 ‘우리 밖의 타자’로서 또는 ‘내가 지향해야할 궁극적 나’로서 이해하고 있는 듯 보인다. 특히 서양에 대한 동양의 이러한 분열적 태도는 19세기 아편전쟁을 겪고 중화주의가 붕괴되는 과정에서 동아시아 전체에서 벌어진 현상이라고 생각된다. 그리고 서양 또한 동양을 ‘우리 안의 타자’로서 인정하지 않았다. 현재 인류가 ‘세계화’라는 가치를 지향하고 있는데 이러한 세계화가 동서양을 포함한 전체 인류공영의 가치를 실현시키기 위해서는 동서양이 서로를 ‘우리 안의 타자’로 이해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고자 한다. This article criticizes the dichotomous world view in which the East and the West are absolutely divided from each other and asserts that the East and the West should be understood as ‘we’ who ought to acknowledge each other not only as subjects but also reciprocally as ‘others’. If the East is ‘I’, then the West is ‘You’ and vice versa and as such, the East differs from the West. Hence, supposing that they both regard themselves as subjects and if they realize that they can also be others against the other subject, they as different subjects should be understood as ‘others in us’. Since the 19th Century the East has made efforts to learn and accept Western culture and thought. But it seems that the East has never regarded the West as an ‘other in us’, but rather as either an ‘other outside of us’ or as ‘the real I that it should develop into’. This shows the self-contradictory perspective of the East. It can be thought that such an attitude was revealed as typical of the Far East in the 19th Century, in which the Opium War broke out and Sinocentrism collapsed. On the other hand, the West has never recognized the Eastasan ‘other in us’. Nowadays we pursue the most actual value, that is, ‘globalization’. In order to realize that value for the development of the whole human, it is necessary that both the East and West should first recognize each other as the ‘other in us’.

      • KCI등재

        세계의 중심 이동과 동서 철학의 균형

        박이문(Ynhui Park)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2011 아시아리뷰 Vol.1 No.2

        3세기 전부터 근대 과학 기술 문명이 유럽에서 동북아시아로 이동하기 시작했고 그러한 흐름은 아직도 계속되고 있다. 이러한 문명의 흐름은 서양의 영향이 동북아시아로 미치고 있음을 뜻하고, 문명의 중심이 서양에 있음을 뜻한다. 문명의 이러한 판도는 유럽인들에 의한 근대적 의미의 과학적 지식 양식과 기술 능력의 개발에서 찾을 수 있다. 앎은 곧 힘이며, 서양이 개발한 과학이라는 앎의 양식은 가장 큰 실천적 힘을 발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서양의 과학 기술 문명과의 접촉으로 잠을 깬 동북아시아는 타의적으로나 자의적으로 지난 두 세기, 아니면 한 세기에 걸쳐 서양의 과학 기술 문명을 흡수하는데 열중했고, 21세기 초반인 오늘날 우리 모두는 서구의 선진국들과 상대해서 경쟁할 수 있는 수준에 이르렀다. 이런 점에서 세계 문명의 중심은 역전되어 서쪽에서 동쪽으로 이동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처럼 역전되어 가는 문명의 흐름에 대해서 서양은 자기 연민과 허탈감에, 동양은 자화자찬과 오만에 빠질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두 가지 생각과 태도는 모두 잘못이다. 지구가 하나의 세계라면 모두가 가까이 살 수밖에 없고, 또한 인류는 환경 오염, 핵전쟁, 생태계 파괴, 지구 온난화, 기아 등 문명의 총체적 위기에 직면하고 있다. 이런 문명사적 위기의 원인은 서양이 발명하고 이제는 동양이 기꺼이 추종한 과학 기술의 필연적 결과임을 부인할 수 없다. 그렇다면 과학 기술 문명을 거부하고, 그런 문명의 틀을 만든 서양 문명을 거부하고 동양의 전통적 문명으로 돌아가야 할 것인가? 그렇지 않다. 오늘날 과학적 사유와 힘에 의지하지 않고서는 어떤 인간 사회, 어떤 개인도 생존할 수 없다. 문제는 과학이 아니라 과학의 잘못된 활용이며 그 잘못은 서양의 잘못된 인간중심적 세계관에 있다. 오늘날의 문명사적 문제는 서양의 인간중심적 세계관을 동양의 생태친화적 세계관으로 대체하여 그 테두리 안에서 과학적 지식과 기술을 활용할 때 해결될 수 있다. 우리의 문제는 동/서 문명의 우/열, 과학의 내재적 선/악을 따지는데 있지 않다. 우리는 인류 문명의 지속적 발전을 위하여 소승적이 아니라 대승적 관점, 즉 동양인/서양인의 구별을 초월한 인류의 관점에서 위기에 처한 문명을 구제하기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For the past two or three centuries, the West has been the center of dominant power in the world, subsuming the rest of the world―such as the East and North Asia under its power. The role of advanced scientific knowledge and technology has been extremely crucial in this formation of hierarchical relationship. However, the center of the world has been visibly shifting from the West to the Far East during the recent decades, with the rise of East Asia as the new technological power. As this turn of the situation signifies for East Asia the recovery of its lost pride, the West has received it with fear and fright as a threat to its power, interpreting it as a sign of the decline of, or even the death of, the Western civilization.However, both attitudes are unconstructive. Instead, both parties of the East and the West should be willing to help each other and be thankful for what one owes to the other. Today, the overuse of technology has brought about problems such as ecological, environmental, so socio-political crises, all of which threaten the human civilization as a whole. It is now time for the West and the East to confront these global problems and cooperate together to resolve them, beyond competing for power as in the sense of superior-inferior relationship of the past civilization.

      • KCI등재

        서정주와 발레리, 혹은 ‘동양적인 것’과 ‘서양적인 것’이라는 문제 : 서정주의 시론과 산문을 중심으로

        고봉준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18 한국문학연구 Vol.0 No.57

        In the history of Korean poetry, Midang Seo Jeongju is regarded as a poet who represents notion of ‘tradition’ and ‘the Orient.’ Modernization of the Korean society started with Japanese colonization, and it underwent a dual process of a severe cut from the old tradition and the import and replication of the ‘Western ideas and things.’ Considering that munhak―literature in Korean―is a translation of literature, or discontinuation from tradition, it was inevitable that modern literary figures reacted keenly to Western ideas and things. In this sense, Korean history of modern literature had a contradictory nature as it accommodated ‘Western ideas and things,’ and at the same time implied criticism over the society formed by westernization and modernization. However, Seo Jeongju was different. From early on, he portrayed images of life in farming villages by fusing ‘Western ideas and things’ with vernacular ideas and things; after liberation of the country, he strongly resisted a literary trend that pursued ‘Western ideas and things’ by emphasizing intangible, philosophical aspects of tradition, the Orient, Shilla Dynasty, and Buddhism. However, these concepts, which have been customarily used in Korea's literary history, were not clearly defined, and instead used loosely as antipodes to ‘Western ideas and things.’ For this reason, in context of writing, identity of ‘Western ideas and things’ always remained obscure, as they also are merely antipodes to ‘Oriental ideas and things.’ Noting this, we investigated how ‘the Orient’ and ‘the West’ are understood and set apart by examining Seo Jeongju's essays on poetry and prose. His ideas on the genre of poetry heavily relied on those of Paul Valery, although research on this topic has yet to be undertaken. Indeed Seo Jeongju repeatedly quoted arguments of Valery whenever he tried to explain characteristics of poetry. However, Valery's thoughts on poetry and language are definitively western. Nevertheless, Seo Jeongju saw Valery as possessing universal perception of ‘poetry’, not necessary ‘Western ideas and things.’ In this paper, we pursued this idea, and attempted to elucidate whether Seo Jeongju's thoughts on poetry are indeed founded on Oriental ideas and things, and what ‘the Orient’ and ‘the West’ means in such discourses. 한국 시사(詩史)에서 미당 서정주는 ‘전통’과 ‘동양’을 상징하는 존재로 평가된다. 일본의 식민지배와 함께 시작된 한국의 근대화는 전통과의 강력한 단절과 ‘서양적인 것’의 모방․수입이라는 이중적 과정으로 진행되었다. ‘문학’이라는 개념 자체가 전통과의 불연속, 즉 리터러처(literature)의 번역어라는 사정을 감안한다면, 그것을 바탕으로 작품 활동을 시작한 근대문학자들이 ‘서양적인 것’에 예민하게 반응하는 것은 불가피한 일이었다. 그런 면에서 한국의 근대문학사는 ‘서양적인 것’을 경유하면서도 그 ‘서구-근대’가 형성한 세계에 대한 비판을 함축하는 모순적인 성격의 역사라고 말할 수 있다. 하지만 서정주의 경우는 달랐다. 그는 일찍부터 ‘서양적인 것’과 ‘토속적인 것’의 융합을 통해 농경사회의 삶을 형상화했고, 해방 이후부터는 전통, 동양, 신라, 불교 등의 정신사를 내세워 ‘서양적인 것’을 추종하는 문화적 흐름에 강력하게 저항했다. 하지만 한국문학사에서 관례적으로 사용되어온 이 개념들은 ‘서양적인 것’과의 대척점을 형성하고자 할 때 느슨하게 사용될 뿐 엄밀하게 규정된 적이 드물다. 이러한 이유로 ‘서양적인 것’의 정체 또한 늘 불투명할 수밖에 없었는데, 그것은 ‘서양적인 것’ 또한 ‘동양적인 것’의 대척점으로서만 의미를 지니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이 논문은 서정주의 시론과 산문에서 ‘동양’과 ‘서양’이 어떻게 의미화되고 구별되고 있는지를 살폈다. 지금까지 본격적으로 연구되지는 않았지만, 시 장르에 대한 서정주의 사고는 폴 발레리의 시각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 실제로 시의 장르적 특성을 설명할 때마다 서정주는 반복적으로 발레리의 주장을 인용한다. 하지만 시에 대한, 언어에 대한 발레리의 사유는 지극히 ‘서양적인 것’이다. 예술에 대한 발레리의 사유는 그리스의 ‘미학’ 정신을 계승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서정주에게 발레리는 ‘서양적인 것’이 아니라 보편적 인식의 소유자처럼 이해된다. 이 논문은 이러한 문제의식을 밀고 나가 ‘시’에 관한 서정주의 사유가 정말 동양적인 것에 기초한 것인지, 그렇게 이야기할 때의 ‘동양’과 ‘서양’이 무엇을 의미하는지를 규명하고자 했다.

      • KCI등재

        동서양의 사상이 애니메이션 스토리텔링에 미치는 영향

        이윤정,김해태 한국기초조형학회 2016 기초조형학연구 Vol.17 No.5

        This research discussed the impacts of oriental and western thoughts on animation storytelling, aimed to lay the foundation for developing new storytelling to have overall perspectives that integrated various points of view in the orient and the west. The animations including The Spiriting Away Of Sen And Chihiro (2001), Finding Nimo (2003), Leafie, A Hen into the Wild (2011) and How to Train Your Dragon (2010) were selected for the analysis, which have the theme of the growth of the main characters and in similar year of release. According to the analysis, in oriental animations, the main characters and the helpers had interactive relationships by growing together and the opponent characters were described ambiguously rather than in the form of complete evil. Western animations set the independent characters. Although they were influenced by the helpers, the role of the main characters was more significantly emphasized and the main characters were in confrontation with the opponents to overcome the hardship caused by the opponents using their physical power. In terms of the expression of the spaces, the spaces were not independent but connected with each other and the main characters suffer from psychological changes and conflicts after being influenced by the spaces in oriental animations. However, in western animations, the spaces are just independent spaces and the characters did not changed by the spaces. In terms of event and story, all events were in a causal relationship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s and with the nature were organically connected so that the characters were influenced with each other, converged and coexisted in oriental animations. On the other hand, all events had confrontation and the main characters address the issue with their physical power, resulting in an objective and clearly organized outcome in western animations. 본 연구는 동·서양의 사상이 애니메이션 스토리텔링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는 것으로 이러한 고찰을 통해 동서양의 사상이 통합적으로 작용하는 새로운 스토리텔링 개발의 근거를 마련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논의를 위해 선정한 애니메이션은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2001), 니모를 찾아서(2003), 마당을 나온 암탉(2011), 드래곤 길들이기(2010)다. 이들 애니메이션은 성장을 모티브로 하는 동일한 주제를 드러낸다는 점, 비슷한 시기에 개봉한 점에서 서로 비교될 수 있는 분석대상이라고 파악했다. 성장담은 특정 가치의 위상을 제고하고 지배이데올로기를 공고히 할 수 있으며 애니메이션 스토리텔링에서 자주 활용되는 기제라는 선행 연구들의 논의가 있었고, 인간 주체의 ‘심리적 성장 과정’을 통해 그들의 사상적 측면을 충분히 고려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연구방법은 내용분석을 통해 서사구조와 스토리텔링 요소인 캐릭터, 배경(공간), 사건(스토리)을 중심으로 이들 애니메이션의 사상적 특성을 드러내는 비교점을 파악하였다. 동양의 애니메이션에 나타난 주인공과 조력자간의 관계는 서로 상호작용하며 동반성장을 하였고, 주인공 캐릭터와 대립하는 캐릭터는 완전한 악의 형태가 아닌 모호한 캐릭터로 표현되었다. 서양 애니메이션에서는 독립적인 캐릭터의 설정으로 조력자의 영향이 있기는 하지만 주인공 역할이 더 크게 부각되었으며, 주인공은 대립자에게 받는 고난을 물리적인 힘으로 이겨내는 대립구도로 설정되었다. 공간에 대한 표현은 동양 애니메이션 속에서는 주인공을 변화시키는 중요 요소가 되고 상호작용하는 공간, 주인공의 심리 변화에 따라 배경(공간) 또한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서양 애니메이션 속의 공간은 독립적인 공간이며 파괴와 대결의 공간으로 표현되었다. 사건(스토리)의 경우 동양 애니메이션은 캐릭터간의 관계, 자연과의 관계 등이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영향을 주고받으며 공존하는 것으로 진행되지만, 서양 애니메이션은 모든 사건은 대결구도로 주인공이 물리적인 힘으로 해결하며 결말은 객관적이고 명확하게 마무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리하면, 최근 동양의 사상이 서양의 사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지만 근본적인 사상적 차이는 크게 변하지 않았다. 하지만 결과적으로 동양 애니메이션 보다 서양 애니메이션이 흥행에 성공을 하고 더 많은 사람들의 기억에 남는 다는 것을 생각한다면 동양의 사상적 측면과 서양적 사상적 측면을 고려해야 하는 것은 자명한 사실이다. 서양의 애니메이션에서 동양의 사상을 수용하여 스토리텔링의 변화를 가져온 것처럼 우리의 사상적 측면을 잘 이끌어가면서 그들의 사상적 측면에 공감갈 수 있는 이야기를 이끌어나가는 것이 필요한 것이다. 이러한 연구가 계속 되어야 하는 또 다른 이유는 스토리텔링이 완벽해야 시각적으로 효과적인 메시지 전달을 할 수 있을 것이며 그만큼 시각적 표현은 더 단단해 질 것이기 때문이다. 끝으로 우리만이 가지는 정서를 창의적인 기획과 표현력을 바탕으로 하되 모두를 고려한 제작 환경이 활발히 이루어지기를 기대해 본다.

      • KCI등재

        동양 식음시설에 대한 서구인의 의식 조사 - 워싱턴 수도권 소재 레스토랑/라운지/바에 대한 현지인들의 감성적 인지 특성을 중심으로 -

        백지원 ( Paik Jiwon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0 한국디자인포럼 Vol.29 No.-

        근래 서구사회에는 동양 식음시설의 수가 증가하고, 그 공간 디자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현상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식음공간의 특징은 음식의 맛, 종류와 함께 다양한 동양적 요소를 도입한 동양적 느낌의 공간 연출을 통하여 서구인에게 감성적인 공간의 인지를 유도하고 있다는 점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서양 내 동양 식음시설 및 이의 공간 디자인에 대한 서구인의 의식 및 선호가 꾸준한 성장을 이루고 있다는 전제 하에, 미국의 수도 워싱턴 DC 지역, 주요 동양 식음시설의 동양적 디자인 요소와 이에 대한 서구인들의 의식을 감성적 인지의 측면에서 조사, 분석함으로써 이들의 선호 요소 방향의 파악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본격적인 우리의 식음문화의 서구 진출을 위하여 선행되어야 할 현지인들의 동양 문화 공간에 대한 감성적 인식을 이해하는데 기여하리라 생각된다. 본 연구는 2010년 7~8월 중, 워싱턴 수도권 지역의 6개 동양 식음시설에 대한 현장관찰조사와 설문조사로 진행되었다. 조사 결과, 동양문화(Oriental Culture)`라는 개념에 대해서 현지인들은 동양의 철학, 종교와 예술 등 관념적 문화를 연상하는 빈도가 높았으며, 식음시설의 비율에 있어서도, 특정 한 국가를 배경으로 하는 시설보다는 동양 일반의 문화와 음식을 배경으로 하는 동양 퓨전 식음시설의 비율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현상은 동양적 이미지를 나타내는 공간의 디자인 요소에 대하여도 나타나 동양적 그림이나 문자, 장식품 등의 생활 문화에 나타난 예술적 요소와 함께 종교적 상징물 등을 동양적 이미지 연출을 위한 주요 디자인 요소로 사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n increasing number of Asian food and beverage facilities in Western society, and this result which gave increased interest in the interior design.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Asian food and beverage facilities are leading Western people with emotional cognition of the interior design derived with different kind of foods and the various oriental ornaments with the atmosphere. This study is based upon the premises of steady growth of Asian food and beverage facilities in the Western society and its spatial awareness and preference. The study was done in Washington Metropolitan area`s Asian food and beverage facilities interior design to determine and identify the Westerner`s elements of preferred oriental design in terms of emotional cognition and awareness. In addition, result of this study is also aimed to be used as future reference and contribute to Western cultural advancement of our food and beverage and also understand local people`s emotional recognition about Asian cultural space. In this study, on-site observations and surveys about the six (6) Asian food and beverage facilities in the Washington metropolitan area were conducted from July to August of 2010. As the result of the survey, `Oriental Culture` reminds local people the Eastern abstract culture such as philosophy, religion and art. Higher rate was found that general Asian fusion food and beverage facilities rather than facilities in contexts of particular countries. These phenomena represent the design elements for the oriental image of the space that appear in the Eastern pictures or letters, ornaments and other artistic elements along with Eastern religious symbols for coordinating Asian-like atmosphere.

      • KCI등재

        서양고전문헌학과 동양고전문헌학의 만남

        안재원(Ahn, Jae-Won) 한국서양고전학회 2017 西洋古典學硏究 Vol.56 No.1

        이 글은 서양고전문헌학과 동양고전문헌학의 관계를 추적하는 것이다. 글은 먼저 서양고전문헌학을 방법론적인 관점에서 하나의 학문으로, 교육의 관점에서 하나의 교육 기관으로 제도화시키는 데에 성공한 19세기 독일고전 문헌학의 전개 양상을 고찰하였다. 그 사례로 뵈크가 발전시킨 서양고전문헌학의 체계를 소개하였다. 다음으로 이를 바탕으로 독일고전문헌학이 일본과 중국의 국학의 성립에 이념적으로, 방법론적으로 어떤 영향력을 끼쳤는지를 추적하였다. 일본의 경우, 하가 야이치라는 학자가 중요하다. 그는 베를린에 유학했고, 그곳에서 서양고전문헌학을 배웠다. 일본 국학의 정립을 위해서 그가 독일고전문헌학으로부터 도입한 것은 두 가지였다. 방법론적인 관점에서 일본 국학의 현대화를 위해 그는 서양고전문헌학의 실증주의 전통과 백과사전적인 방법론을 일본 문헌학에 적극적으로 도입했다. 이념적인 관점에서 그는 19세기 독일의 국가주의 이를테면 훔볼트의 국민교양정신을 받아들여 일본의 이른바 국수주의의 확립에 결정적으로 기여한다. 중국의 경우, 량치차오가 중요하다. 량치차오도 하가 야이치와 마찬가지로 중국 국학의 현대화를 위해서 서양고전문헌학의 방법론을 중국문헌의 정리 작업에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함을 강조한다. 이 둘 사이에 있는 차이는 다음과 같다. 하가 야이치가 문학에 방점을 찍었다면, 량치차오는 역사학에 무게 중심을 두었다. 여기서 중국의 『유장』 사업의 의미를 추가했다. 그 이유는 간단하다. 한국 ‘고학’을 국학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현대화와 보편화가 필요한데, 이와 관련해서 서양고전문헌학이 방법론적으로 실질적인 도움을 제공할 것이고 또한 이념적으로도 참고할 만한 대목이 있는 논쟁의 선례를 제공하기 위해서였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Western] Classical Scholarship and Sinology. “German Philology” contributed a great deal to the establishment of Japanese national study(國學: Kokugaku) and Chinese philology (文獻學) in the early 20th century. For establishing Kokugaku, Haga Ya’ich (芳賀矢一, 1867-1927) who studied Western scholarship, including philology for about two years(1901-02) at Berlin University brought the idea of “Altertumswissensaft” characterized with positivism and encyclopedia into Japanese philology from German Philology regarding methodology. He took Enzyklopaedie und Methodenlehre der philologischen Wissenschaften of August Böckh as an important reference for it. Regarding ideology, however, the Kokugaku was footed on the idea of Wilhelm von Humboldt (1767-1835) who regarded philology as “Wissenschaft der Nationalität.” In China, Liang Qichao (梁啓超, 1873-1929) was an important scholar who received a strong influence from Haga Ya’ici. To modernize Chinese philology, Liang suggested that they should accept the methodology of textual criticism. The difference between Haga and Liang lies in the point that Haga put weight on Japanese poems, while Liang on history. Also, the paper added some observation of how Western Sinology was indebted to the classical scholarship in its methodology, agreeing to D. B. Honey’s book(Incense at the Altar: 2001). Furthermore, the paper introduced the Ru-Zang (儒藏) project driven by Beijing University, urging that it is time for us Koreans to compile and publish a work we may call tentatively Thesaurus Litterarum Coreanarum (『한국인문대전』).

      • KCI등재

        Eastern and Western Philosophies : Epochs of Interaction

        Valeriy S. Khan 명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9 인문과학연구논총 Vol.30 No.-

        이 논문은 다양한 역사적 시대 안에서 서양과 동양 철학의 상호작용을 다루고 있다. 그러한 시대 중의 하나가 헬레니즘 시대이다. 그리스와 동양의 문화와 정신적인 전통의 상호침투는 이 두 전통의 혼합물로서 나타나는 헬레니즘 철학 현상으로 이끌었다. 그리고, 4-5 세기경 동양에서 그리스 문화의 팽창은 약화하기 시작했다. 비잔티움의 기독교 교회의 고대 유산에 대한 공격 이후, 수천 명의 네스토리아교인들은 사산조 이란과 중앙아시아로 피신했으며 그곳에서 그리스 형식의 학교를 설립했다. 그 학교들의 주요 목표는 번역(그리스어를 시리아어와 피흘레비어로)과주석이었다. 서양과 동양 철학간 상호작용의 물결은 중세 시대에 약화되었으며, 이는 이슬람의 발흥과 연계된다. 아랍 칼리프조의 수도인 바그다드는 철학과 번역에 있어 가장 큰 중심이 되었으며, 그곳에서 많은 저작물들이 그리스어, 페르시아어, 시리아어 그리고 인도어에서 아랍어로 번역되었다. 중앙아시아와 이란에 새로운 독립국이 형성되던 시기였던 9세기 말은, 철학과 과학의 중심이 중동으로부터 이 지역(중앙아시아의 동부 소요학파)으로 이동했다. 이 학파의 대표적인 저작은 라틴어로 번역되어 유럽 내에서 폭넓게 순환되었다. 13세기, 몽골의 중앙아시아 침략 후, 과학의 중심은 이곳에서 무슬림 스페인과 북아프리카와 같은 아랍 칼리파조의 서부지역으로 이동했다 지역 사상가들의 연구는 기독교 유럽 내의 철학에 커다란 영향을 미쳤다. 이곳에서, 그리스, 시리아 이란, 아랍, 중앙아시아 사상가들의 저작은 라틴어로 번역되었다 유럽인들은 유럽에서 훼손되었던 그리스의 작품들을 포함하여 철학과 과학 분야의 앞선 업적들과 친숙해질 온전한 기회를 부여 받았다. 13세기 전반기, 스페인은 아랍의 영향력으로부터 해방되었다. 그리고 곧, 유럽의 르네상스가 출현했다. 동부 소요학파는 르네상스시대 사상가들에게 알려지게 되었지만 유럽 철학은 점차 독립적인 성격을 갖게 되었다, 17세기에 그것은 유럽 자체의 발전에 의한 성과물로나오게된다. 동양과 서양 철학의 접촉이 재개되기 시작한 것은, 19세기에 서양의 과학기술 문명이 확장히는 것과 함께 했다, 20세기, 서양 철학의 지식은 동양의 몇몇 나라들에 매우 깊이 배어들기 시작했으며, 자체의 전통적인 철학의 생존이라는 문제를 제기하게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동양의 전통적인 철학 사상은 서양의 사상가들에게 또한 영향을 미쳤다. 오늘날, 동양과 서양의 철학의 상호작용은 세계화의 과정에 의해 영향을 받고 있으며, 이 지점에서 이문화간의 대화는 우리에게 있어 시대적 명령이 되는 것이다.

      • KCI등재

        동서양의 사고방식에 근거한 ‘한국적 디자인 씽킹’ 고찰

        김경원 한국기초조형학회 2020 기초조형학연구 Vol.21 No.3

        The formative and psychological tendencies in design that we pursue have been adapted from the Western mindset. However, people from different cultural background are constantly surrounded by the social norms prevailing in their own cultural environment from the moment they are born until they develop their own thinking. Therefore, design may be considered a meta-language in the network of social and cultural factors. Design thinking, which uses the concept of design as a tool, is a problem-solving tool used by people of a specific culture, and it needs to be developed based on the mindset of the people belonging to that culture. This study critically discussed the design thinking based on existing research that analyzed the differences between a Western and an Eastern mindset. First, the notion of current design thinking stems from the concept of design in the Western mindset. This is contrary to the way of thinking of Asians who aim for an interdependent and collectivistic society compared to Western society, which emphasizes independence. Second, the industry paradigm is extended and connected from a vertical hierarchy to a horizontal structure. The Western logic of productivity and efficiency can be improved through convergent thinking by changing to an Asian logic value that places importance on adaptation and relationships. Third, the West and the East differ in their perspectives of perceiving an object. If the West finds clues to new ideas through divergent thinking, the East affirms that solutions lie in convergent thinking. In deriving the results to a problem, unlike the Western way of thinking that concludes through convergent thinking, Asians recognize the category of results through divergent thinking. Korean society, particularly, is strongly aware that rationality can be found by expressing the degree to which a result belongs to a category rather than finding a single solution. Thus, ‘Design Thinking of the Korean Mindset’ in this study can be considered as an alternative methodology that is developed from the critical interpretation of the existing viewpoint. 지금까지 한국사회가 추구해 온 디자인은 그 발생이 서양의 산업화에서 출발했다는 이유로 조형성뿐만 아니라 심리적 경향까지 서구적 사고에 맞춰왔다. 하지만 서로 다른 문화에 속해있는 사람들은 태어나는 순간부터 특정한 사고의 습관을 가지도록 끊임없이 사회화된다. 디자인은 일종의 메타언어로사회‧문화적인 요인들의 관계망 속에 놓여있다. 따라서 디자인이라는 개념을 도구로 활용하는 ‘디자인씽킹’ 또한 그 문화에 속하는 사람들의 사고방식에 근거해 발전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서양과 동양의 사고 차이를 분석한 기존의 연구를 바탕으로 디자인 씽킹을 비평적으로 논의했다. 첫째, 현재 디자인 씽킹은 서양적 사고방식에 담겨있는 디자인의 개념이 그대로 이식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독립성을 강조하는 서양 사회와 비교해 상호의존적이고 집합주의적인 사회를 지향하는 동양인의사고방식과 대치될 수 있다는 전제를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산업의 패러다임이 수직적 위계에서 수평적 구조로 확장‧ 연결되었다는 점이다. 따라서 수렴적 사고를 통해 생산성과 효율성을 향상할 수 있다는 서양의 논리가치가 적응과 관계를 중심에 놓는 동양적 논리가치로 변화하고 있다는 점을 확인했다. 셋째, 서양과 동양이 공간을 비롯한 대상을 인식하는 관점이 다르다는 것이다. 서양인이 확산적 사고를 통해 새로운 생각의 단서를 찾아냈다고 한다면 동양인은 수렴적 사고의 강제화를 통해 문제에대한 창의적 단서를 발견한다. 문제의 결과를 도출하는 방법에 있어서도 수렴적 사고를 통해 결론을짓는 서양인의 사고방식과 달리 동양인은 다시 확산적 사고를 통해 결과의 범주를 재인식하는 태도를가진다. 특히 한국과 같이 동류의식이 강한 사회에서는 온전한 하나의 답을 구하는 것 보다 결과가 어느 범주에 속하는지의 정도를 표현하는 것에서 합리성을 발견하는 경향을 가진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의 결과로 제시된 ‘한국적 디자인 씽킹’은 기존의 관점을 비평적으로 해석하는 과정에서 발견한 대안적 방법론의 제안이라고 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