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반논문 : 대학 교양교육에서 고전 활용에 대한 연구 -한국,일본,미국 대학의 교양 고전교육 사례 비교-

        함정현 ( Joung Hyun Ham ),민현정 ( Hyun Jung Min )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2014 동방학 Vol.30 No.-

        대학 교양교육에서 고전교육은 소외되고 있던 인문학의 부활과 인재가 갖추어야 할 인성의 중요성이 대두되며 대학생에게 필요한 교육 중 하나로 점차 확대되고 있다. 한국 대학의 경우 교양필수 또는 교양선택강좌에서 고전읽기·고전세미나·주제로 읽는 고전 등 고전을 활용한 교양교육이 점차 증가 하고 있다. 일본의 경우 메이지 유신 시기 왕성했던 고전교육은 이 점차 사라져 현대의 교양교육에서는 고전교육의 활용을 찾아보기 어렵다. 미국 대학의 고전교육은 1900년대 시작되어 현대까지 대학 교육의 중심에서 다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논문은 교양교육의 목적 달성을 위해 높은 교육적 가치를 가지고 있는 고전을 "사고와 표현" 강좌에 적용하여 실질적 고전교육뿐만이 아니라 쓰기와 말하기라는 현대적 활용 단계까지 발전시킬 수 있는 방안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기존의 "사고와 표현" 강좌가 대학생에게 필요한 일반적인 기술적 교육이었다면 이를 개선할 수 있는 방안으로 고전을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고와 표현: 쓰기"의 경우 "동호문답을 통한 문답식 글쓰기", "난중일기를 통한 자기성찰 글쓰기", "목민심서를 통한 정보전달 글쓰기" 등을 구성하여 고전탐구를 통해 다양한 종류의 쓰기 활동을 제안할 수 있다. ``사고와 표현: 말하기"의 경우 또한 "논어와 정서표현 말하기", "맹자와 지성적 말하기", "도덕경과 논리정보 말하기", 한비자와 말하는 설득과 토론"등으로 말하기 활동을 적용할 수 있다. 그러나 시간적·범위적 여건의 제한으로 각 고전의 일부를 선정하여 집중 탐구해야 하는 제약은 대학별 학사일정에 따라 점차적으로 개선해야 할 필요가 있다. Recently, classical literature has been slowly gaining in popularity and classical literature`s greatest skill is its ability to teach humanism and good characteristics to university students. This research was designed to find out how Japan, America, and Korea teach classical literature to university students to achieve the goals of general education. Classical literature has educational value, and we can apply it to thinking and expression classes in general studies. We can also look for a way to develop classical literacy in modern subjects. On Hanseo University`s cases, it designs into two classes: thinking and expression writing, thinking and expression speaking. In writing class, there is interrogatory writing through Donghomoondab, and persuasion writing through Baekbumilji. In speaking class, there is sentimental speaking through Noneo, logical information speaking through Dodukkyung, rational speaking through Mookja, persuasion and debate speaking through Hanbija. The value of classical literature for thinking and expression class can give a change to think through the history and events of philosophy and it is a guide to solve problems, it can also help one to develop wisdom to see more out of live. For the limitation of this research, the range of classical literature is huge and the academic schedule is short so the class must be adaptable and flexible.

      • KCI등재

        대학 교양교육에서 고전 활용에 대한 연구 - 한국 · 일본 · 미국 대학의 교양 고전교육 사례 비교 -

        함정현,민현정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2014 동방학 Vol.31 No.-

        대학 교양교육에서 고전교육은 소외되고 있던 인문학의 부활과 인재 가 갖추어야 할 인성의 중요성이 대두되며 대학생에게 필요한 교육 중 하나로 점차 확대되고 있다. 한국 대학의 경우 교양필수 또는 교양선택 강좌에서 고전읽기·고전세미나·주제로 읽는 고전 등 고전을 활용한 교 양교육이 점차 증가 하고 있다. 일본의 경우 메이지 유신 시기 왕성했던 고전교육은 이 점차 사라져 현대의 교양교육에서는 고전교육의 활용을 찾아보기 어렵다. 미국 대학의 고전교육은 1900년대 시작되어 현대까지 대학 교육의 중심에서 다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논문은 교양교육의 목적 달성을 위해 높은 교육적 가치를 가지고 있는 고전을 ‘사고와 표현’ 강좌에 적용하여 실질적 고전교육뿐만이 아 니라 쓰기와 말하기라는 현대적 활용 단계까지 발전시킬 수 있는 방안 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기존의 ‘사고와 표현’ 강좌가 대학생에게 필요한 일반적인 기술적 교 육이었다면 이를 개선할 수 있는 방안으로 고전을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고와 표현 : 쓰기’의 경우 ‘동호문답을 통한 문답식 글쓰기’, ‘난 중일기를 통한 자기성찰 글쓰기’, ‘목민심서를 통한 정보전달 글쓰기’ 등 을 구성하여 고전탐구를 통해 다양한 종류의 쓰기 활동을 제안할 수 있 다. ‘사고와 표현 : 말하기’의 경우 또한 ‘논어와 정서표현 말하기’, ‘맹 자와 지성적 말하기’, ‘도덕경과 논리정보 말하기’, 한비자와 말하는 설 득과 토론’등으로 말하기 활동을 적용할 수 있다. 그러나 시간적·범위적 여건의 제한으로 각 고전의 일부를 선정하여 집중 탐구해야 하는 제약 은 대학별 학사일정에 따라 점차적으로 개선해야 할 필요가 있다. Recently, classical literature has been slowly gaining in popularity and classical literature’s greatest skill is its ability to teach humanism and good characteristics to university students. This research was designed to find out how Japan, America, and Korea teach classical literature to university students to achieve the goals of general education. Classical literature has educational value, and we can apply it to thinking and expression classes in general studies. We can also look for a way to develop classical literacy in modern subjects. On Hanseo University’s cases, it designs into two classes: thinking and expression writing, thinking and expression speaking. In writing class, there is interrogatory writing through Donghomoondab, and persuasion writing through Baekbumilji. In speaking class, there is sentimental speaking through Noneo, logical information speaking through Dodukkyung, rational speaking through Mookja, persuasion and debate speaking through Hanbija. The value of classical literature for thinking and expression class can give a change to think through the history and events of philosophy and it is a guide to solve problems, it can also help one to develop wisdom to see more out of live. For the limitation of this research, the range of classical literature is huge and the academic schedule is short so the class must be adaptable and flexible.

      • KCI등재

        문화 : 동양(東洋)과 서양(西洋)의 전통수기요법(傳統手技療法) 교육(敎育) 비교(比較) 연구(硏究)

        정한석 ( Han Suk Jung ),함주현 ( Joo Hyun Ham )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2011 동방학 Vol.20 No.-

        본 논문은 옛 동양권 문화에서 발전한 수기요법이 현재 국내에서는 그 역사가 깊지 않고 생소한 학문의 분야 중 하나인 서양의 카이로프랙틱 (chiropractic)으로 알려지고 널리 보급되어 있는 종주국인 미국을 포함한 타 서양의 카이로프랙틱 교육과정과 동양의 교육과정에 대해 비교분석 하였다. 현재 동양권 특히, 국내에서는 카이로프랙틱이라는 학문은 원 명칭보다는 한방에서의 추나라는 명칭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허준의 <동의보감>을 보면 안교, 도인, 안마 등 추나의 옛 명칭이 소개되어있다. 그러나 유교주의 국가이념을 바탕으로 한 조선시대의 사회분위기로 볼 때 신체의 노출과 남녀의 신체접촉이 허용되지 않았으며, 육체노동을 천시하는 경향이 만연하여 앞서 언급한 근골격 질환과 통증에 대한 특별한 효과를 가진 수기요법의 발전을 저해했다. 일제강점기를 거치며 수기요법은 의료행위라기 보다는 민간요법으로 전락하였다.30 이러한 사실은 한국뿐만이 아니라 동양권 문화의 여러 나라에서도 동일한 현상을 보여 체계적인 학문으로서 발전하지 못해 한때 수기치료에 있어 많은 발전을 이루었던 동양 보다는 오히려 서양의 수기치료인 카이로프랙틱이 발전하는 계기가 되었다. 즉 동양의 추나가 서양으로 건너가 체계적이고 과학적으로 입증되어 발전하여 카이로프랙틱이라는 학문으로 발전하여 전 세계적으로 널리 보급되었다. 전통적인 추나요법은 오랜 임상을 통하여 얻어진 경험에 의한 산물이지만, 현대의 추나요법은 전통적인 방법에 해부학과 생리학 등 현대 의학지식을 결합한 것 이다. 한국추나요법은 동양수기요법인 중국의 추나(Tuina)와 일본의 정체법 및 고동법 그리고 서양수기요법인 카이로프랙틱 및 등의 장점을 수용하여 발전시켜 다양하고 효과적으로 발전시킨 것 이다.30 이렇듯 카이로프랙틱이라는 학문은 1895년 미국에서 캐나다인이었던 D. D. Palmer에 의해 탄생하였고 1897년에 학교가 설립되면서 서양에서는 의학적 지식의 발달과 함께 과학적 근거가 더하여 하나의 독립적인 학문으로 발전되어 널리 보급되었다. 현재에는 전 세계 27개의 대학에서 동양의 수기치료가 카이로프랙틱이라는 학문으로 발전하여 정식과정으로 수많은 카이로프랙틱의사들을 배출하고 있다. 그러나 아시아지역에서는 한국, 일본 그리고 말레이시아에서 3개의 정식교육과정이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을 포함한 아시아지역에서는 체계적인 교육의 확립에 있어 우리 고유의 한방문화의 역사적인 배경과 더불어 그 보급에 있어 많은 어려움이 있었기 때문이다. 이 논문은 이러한 관계형성에 있어 동양에서 발전되었던 수기치료법이 현재에 와서는 쇠퇴되어 서양에서 발전하게 된 역사적 배경을 설명하고자 하였다. 특히 현재 미국을 포함한 서양에서 발전된 카이로프랙틱교육과 동양의 카이로프랙틱교육 특히, 한국 카이로프랙틱교육의 상황을 비교분석하여 그 우수성을 입증하고 향 후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학문으로서 동양 수기치료 발전의 가능성을 도모하고자 하였다. Manipulation has been existing since the beginning of human civilization. An ancient Chinese text indicates that manipulation techniques were being used in that country as early as 2700 B.C. In 1897, D. D. Palmer founded the first chiropractic school in Davenport, Iowa. Since then, chiropractic as a profession has been developed and promoted through chiropractic schools around the world. Currently, there are 27 accredited chiropractic schools in the world; including 15 (18 campus) in the United States, 2 in Canada, 4 in Europe, 4 (5 campus) in Australia, 1 in New Zealand, 1 in Korea. While chiropractic as a profession is booming around the world, the situation in Asia is not that optimal; there is only 1 accredited independent school. To most Asian countries, "chiropractic" is a new term; the interpretation of "chiropractic" is different. Among those who are practicing "chiropractic", most of them are medical doctors, oriental medical doctors practicing "tuina", physical therapists, and marital artists who have no formal chiropractic training.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first to compare the HanSeo University chiropractic program, the only accredited independent chiropractic program by Council on Chiropractic Education Australasia in Asia, to other accredited program in the West, such as Australia and the US, and second to other short term non-government recognized chiropractic programs in Korea in order to reveal the real status and quality of chiropractic education in Korea. The results may shed the light of current chiropractic educational situation among the countries in the West and the East.

      • KCI등재

        중국 ‘고전무(古典舞)’의 성립과 다원화

        남종진 ( Nam Jongjin )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2020 동방학 Vol.0 No.42

        중국의 ‘고전무’는 1954년에 새로운 무용교육과정으로 만든 ‘중국고전무(中國古典舞)’에서 시작되었는데, 본래 전통 희곡(戱曲)에 남아있는 무용 요소를 발췌한 신단(身段)을 발레의 훈련방법에 접목시킨 것이었다. 이후 무용의 중국적 정체성을 보완하려는 의도에서 중국의 고유한 문화적 색채를 가미하면서 ‘중국고전무’는 ‘신운고전무(身韻古典舞)’로 진전되었다. 그리고 문화대혁명이 끝나고 1979년에 이르러 둔황(敦煌)의 벽화에 묘사된 무용 장면에서 영감을 얻어 ‘돈황무(敦煌舞)’가 만들어 졌는데, 이것이 이론적 체계를 갖추면서 새로운 유파로 인정되면서 ‘고전무’는 마침내 다원화의 새로운 길로 들어서게 되었다. 이후 1995년에는 타이완(臺灣)의 한당악부(漢唐樂府)가 중세 이래로 푸젠성(福建省) 일대에서 전해지던 이원희(梨園戱)에 근거하여 ‘이원무도(梨園舞蹈)’를 만들었고, 2001년에는 베이징무도학원(北京舞蹈學院)의 쑨잉(孫穎) 교수가 문헌기록과 고고자료를 근거로 역사적 고증을 거쳐 ‘한당무(漢唐舞)’를 재구성해냈다. 이 두 유파는 무용이 지닌 역사성, 전승성, 정체성에 근거를 둔 것으로 기존의 ‘신운무’나 ‘돈황무’와 비교하여 전승의 기제가 확연히 다른 것이다. 또 2009년에 이르러 남방의 전통 희곡인 곤곡(崑曲)을 기반으로 ‘곤무(崑舞)’가 창안됨에 따라 ‘고전무’는 마침내 다섯 유파로 확대되기에 이르렀다. 그런데 오늘날 중국의 ‘고전무’는 규범성, 역사성, 계승성을 바탕으로 하는 ‘고전무용’과는 구별되는 것으로, 현대 중국의 무용 전문가들이 중국 전통 무용의 동작을 서양 발레의 훈련방법에 접목시켜 창안한 데서 출발한 새로운 춤이다. 따라서 고전무용을 계승한 일반적 의미의 ‘고전무용’과는 다르며, 고전 무용의 분위기를 담아낸 ‘고전풍의 춤’이라는 점에서 ‘모던 클래식(Modern Classic)’의 일종으로 규정되어야 한다. This paper examined the process of formation and diversification of contemporary ‘Chinese classic dance’. Contemporary ‘Chinese classic dance’ first emerged in 1954 as one of the dance curriculum of ‘Chinese Classic Dance(中國古典舞)’. Since then, it has been developed into ‘Shenyun Dance(身韻舞)’, incorporating the spiritual orientation of Chinese native culture to contain Chinese identity. And by the end of the Cultural Revolution, in 1979, ‘Dunhuang Dance(敦煌舞)’, which was inspired by dance scenes in the murals of Dunhuang, was created and recognized as a new school, contemporary ‘Chinese classic dance’ entered the path of pluralization. In 1995, the ‘Han-Tang Yuefu(漢唐樂府)’ of Taiwan presented the ‘Yiyuan Dance(梨園舞蹈)’ based on ‘Yiyuan Opera(梨園戱)’, which has been handed down to Fujian province in China since the Middle Ages. In 2001, ‘Han-Tang Dance(漢唐舞)’ was reconstructed after the historical testimony by professor Sun Ying(孫穎) of Beijing Dance Academy. These are based on the history, tradition and identity of Chinese traditional dance, so the mechanism of tradition is distinctly different from that of ‘Shenyun Dance(身韻舞)’ and ‘Dunhuang Dance(敦煌舞)’. And in 2009, ‘Kun Dance(崑舞)’ was created utilizing the southern main play, ‘Kun Opera(崑曲)’. Today, what is called ‘Chinese classic dance’ in China is different from what is commonly defined as ‘Classic dance’. Contemporary ‘Chinese classic dance’ is a new genre of dance that combines western ballet training with the style of traditional Chinese dance. Therefore, contemporary ‘Chinese classic dance’ is a ‘classical dance’ that recreates the atmosphere of ‘Chinese classic dance’, and is a kind of ‘Modern Classic’.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문학 : 고전시가의 텍스트 변이를 활용한 문화 읽기 교수 학습 방안 -<계녀가>류 가사를 중심으로-

        최은숙 ( Eun Sook Choi )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2011 동방학 Vol.20 No.-

        본 논문은 고전시가 작품 <계녀가>의 텍스트 변이에서 문화읽기와 관련한 교육적 단서를 확인하고, 고전시가 텍스트를 활용한 비판적 문화읽기 교수 학습 방안을 제안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하여 <계녀가>의 텍스트 변이와 의미, 그리고 그것이 교육적으로 어떤 의미를 지니고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에 대해 논의하고, 이를 토대로 학교 현장에서의 구체적인 교수 학습 방안을 제시하였다. <계녀가>는 교훈가사의 일종으로 주된 내용은 가정에서의 여성의 역할과 도리이다. 그러나 유통의 과정에서 향유자들의 욕구와 문화의 변동을 수용하면서 다양한 변이를 나타낸다. 이 가운데 자기서사의 확대는 학습자에게 문학의 당대적 자기화의 과정을 보여줄 수 있다는 점, 작가와 독자의 상호성을 특성으로 하는 고전시가의 형식적 특성을 이해할 수 있게 한다는 점, 학습자가 처한 현재의 자기 서사화를 가능하게 한다는 교육적 의미를 지닌다. 또한 인물형과 관련하여, 인물형의 변이를 확인할 수 있다는 점, 이상적 인물 유형이 당대의 요구에 따라 어떻게 새롭게 구성될 수 있는가를 보여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이를 바탕으로 비판적 문화 읽기의 실제적 교수 학습 방안을 텍스트 이해와 당대문화 읽기 단계, 문화사적으로 읽기 단계, 현재 문화 읽기 단계로 제시하였다. 이러한 교수 학습 방법은 교육 대상 및 텍스트 이해 방법의 확장, 문학과 문화 간의 역동성 이해, 비판적 사고 과정으로서 고전문학 읽기 등과 같은 교육적 의의를 가질 수 있다. This paper aims to discover educational clues related to cultural reading in changed text of a classical work of poetry <Gaenyeoga> and to propose a teaching & learning method of critical cultural reading of classical poetic text that utilized the clue. For that, this paper proposed the modification and meaning of <Gaenyeoga> text, its educational meaning and how it can be utilized for the purpose of education, and a concrete teaching & learning method in a school site based on that. The notable thing in text modification of <Gaenyeoga> is extension of self-narration and modification of a figure type. Among them, extension of self-narration has an educational meaning in that, first, it can show the learner a contemporary self-realizing process of literary; second, it allows the learner to understand the formal features of classical poetry characterized by interaction between the writer and the reader; and, third, it leads the learner to express the situation of the current self. Also, related to a figure type, it is significant in that, first, it can look at modification of a desirable figure type; and second, it shows how a desirable figure type can be formed according to needs of the contemporary society & culture. On the basis of that, a detailed teaching & learning method, devised centering around test of <Gaenyeoga>, can be proposed as follows. 1) Step of text understanding and reading contemporary culture : An activity of understanding text as such, reading contemporary culture and meaning related to text production and enjoyment. 2) Step of reading from the view of cultural history : An activity of expanding contemporary cultural reading through <Gaenyeoga> from the view of cultural history. For that, it is possible to examine a process of feminine images being changed, represented in popular songs in the past or in the early 20th century. 3) Step of reading current culture : 이 In this step, the leaner reads how the current culture the learner itself is in is composed. For that, a lesson of studying the figure type indicated in the media and ascertaining its modification phase. Meanwhile, such a teaching & learning method can have an educational meaning such as 1) expansion of persons subject to education and a method of understanding text, 2) understanding dynamism between literature and culture, 3) reading classical literature as a critical thinking process, etc.

      • KCI등재

        손진태의 <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번역과 그 성격

        유정란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2019 동방학 Vol.0 No.41

        This article look at the characteristic aspects of the translated text <Nongawolryounga(農家月令歌 )> by Son Jin-tae in 1927. And review the cultural and political dynamics surrounding the translation. Son Jin-tae has made many achievements in the field of Chosun Literary and Poetry. Among them, he has done important work in translation and cultural history, translate the <Nongawolryounga> and published in magazine of 『Dongyang(東洋)』. This paper noted that the translation of <Nongawolryounga> was carried out in Japan by Son Jin-tae, an alien. The purpose of the book wa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 features of translation <Nongawolryounga>, which was different from those of the nationalist Joseon intellectuals. First of all, took a look at Son Jin-tae's academic journey and the opportunity for his translation. He was earlier approaching Joseon's literature to understand the ethnicity of Joseon and its spiritual world. In this situation, Son Jin-tae, who discovered <Nongawolryounga> emphasis on the historical aspect and introduces it to Japan. The specific aspects of translation are largely organized into two variations: shape and content. Separation of phrases and revision and addition of the original text through active interpretation have been attempted. This is a translation strategy to convey "the Joseon" most effectively. In order to gauge the character of the translation of <Nongawolryounga>, looked into it as well Son Jin-tae's theory of poetry and the context of its acceptance. As a result, the translated version of <Nongawolryounga> was provided to imperial Japan as a study of the ethnic life of colonial Joseon. revealed the point where Son's translation was linked to the establishment of the ethnography of Japan. 이 글에서는 남창(南滄) 손진태(孫晋泰)가 1927년 번역한 <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텍스트의 특징적 양상을 살피고 번역을 둘러싼 문화 정치적 역학들에 대해 검토하고자 했다. 손진태는 조선의 국문학, 구체적으로는 시가(詩歌) 문학 방면에 많은 업적을 남기고 있다. 그중에서도 번역문화사 방면에서 중요한 작업을 수행한 바 있는데 바로 <농가월령가>를 번역하여 잡지 『동양』에 게재한 것이다. 본고는 <농가월령가> 번역이 외지인 손진태에 의해 일본에서 수행되었다는 사실에 주목하였다. 민족주의 계열의 조선 지식인들과는 사정이 달랐다는 점을 시야에 넣고 번역문 <농가월령가>의 성격을 살피고자 한 것이다. 우선 손진태의 학문 여정과 <농가월령가> 번역의 계기를 짚어보았다. 그는 일찍이 조선의 민족성과 그 정신적 세계를 이해하기 위해 조선의 문학에 접근하고 있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농가월령가>를 발견한 손진태는 작품의 민족생활사 방면을 강조하며 번역해 일본에 소개한다. 번역의 구체적인 양상은 크게 형태상의 변형과 내용상의 변형 두 가지로 정리된다. 구(句)의 분리, 원문의 적극적 해석을 통한 수정 및 첨가 등이 시도되었는데 ‘조선적인 것’을 가장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번역 전략이라 할 수 있다. 이어서 <농가월령가> 번역의 성격을 가늠하기 위해 손진태의 시조론과 번역의 수용 맥락을 아울러 살폈다. 그 결과 <농가월령가> 번역문은 식민지 조선의 민족 생활을 연구하는 자료로 제국 일본에 제공되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손진태의 번역이 제국 일본의 민족지(民族誌) 구축작업에 연동한 지점을 밝힌 것이다.

      • KCI등재

        일반논문 : 교육고전의 양상과 대학<글쓰기> -『심청전』을 중심으로

        엄현섭 ( Hyun Sup Eum )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2015 동방학 Vol.32 No.-

        조선시대에서 ``효(孝)``는 정치이념이었던 여러 사회사상에 공통적으로 강조되었다. 효는 단순히 부모와 조상에 대한 개인윤리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효제충신(孝悌忠信)``, ``충효절의(忠孝節義)`` 등과 같이 ``충``의 기초를 이루는 것으로 국가통치의 가장 기본적인 이념으로 인식되었다. 이러한 배경으로 <심청전>은 여성이 원 톱(one top) 주인공으로 대중성을 인정받은 작품이다. 왜냐하면 조선 후기로 들어오면서 효는 전사회적으로 확산이 되었고 사회에 집중화시키는 양상으로 변모하였다. <심청전>은 현대에 넘어오면서도 그 위력을 잃어버리지 않고 다양하게 매체를 활용해 변용되고 있다. 이러한 방식을 고전문학을 단순히 읽는 것을 넘어 대학의 <글쓰기>와 결합될 수 있는 여지가 많다. 원형을 갖고 있는 이야기는 단시간에 여러 작품으로 변형할 수 있고 자유롭게 수정할 수 있다. 스스로 엮어 낸 이야기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이 전해준 이야기도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할 수 있다. 인물을 바꾸어볼 수있고 배경을 고쳐볼 수 있으며 사건을 다양한 방식으로 변형할 수 있다. ``Filial duty(孝)`` of the Joseon Dynasty were highlighted common to many social thought was a political ideology. Effect simply been recognized as the most basic principles of the national government that forms the basis of the parents and not be limited to personal ethics of the fathers `` loyalty(忠)``. This, coming into effect late Joseon was transformed into a pattern that became more centralized in women spread throughout the society. With this background Simcheongjeon is recognized for its work in popularity. Simcheongjeon has been Transfiguration also take advantage of a variety of media without losing its power came over in modern times. In this way a lot of room to be combined with <Writing> University that beyond simply reading the classics. Talk to have a round can be modified in a number of work in a short time and can be modified freely. Self-made story, as well as others who say the story can be modified in various ways. Changing the figures we can see, it is possible to see the background corrected, can transform the case in a number of ways.

      • KCI등재

        韓・中・日 고전문학 속에 보이는 여성과 악기(樂器)

        이경미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2022 동방학 Vol.- No.47

        This paper delves into types of narratives about women playing musical instruments in the ancient East Asian literature. Though women under a patriarchal system led their lives in silence, they discovered their melodies and rhythms within the literary world and subtly rendered the songs about their joys and sorrows, nostalgia, eagerness and hope for the afterlife. In the society where the voices of women were suppressed, musical instruments - as they helped women express their identities- were channels for romantic relationships and sometimes even were seduction techniques. Occasions of women reaching the stage of unity with musical instruments were shown as they expressed emotions controlled under a patriarchal system. Moreover, they played heavenly sounds through the pursuit of pure artistry and the achievement of transcendence. It is undeniable that the images of women playing musical instruments are evidence of coercion. Yet, by using a musical instrument as a catalyst for interaction, a way to achieve unity with music through empathy and an adventure to their afterlife, they composed their own masterpieces- their lives. 본고는 한중일 고전문학 속에 보이는 여성의 악기연주에 관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가부장 체제의 구획된 틀 속에서, 무음(無音)의 삶을 살았던 여성들이었지만 문학의 세계에서는 자신만의 선율과 리듬을 발견하여 삶의 애환과 그리움, 간절함과 내세를 향한 희구(希求)를 은은하게 연주하고 있었다. 먼저 여성이 자신의 목소리를 낼 수 없는 사회에서 악기는 자신을 드러내기 위한 ‘매개(媒介)’로서 작용하여 사랑하는 임을 만나는 소통창구가 되기도 하였으나, 때로는 과감한 유혹의 통로가 되기도 하였다. 한편 시대의 한계 상황 속에서 억눌렸던 감정을 악기연주를 통해 발산하면서 여성과 악기가 ‘합일(合一)’의 경지에 이르는 모습도 발견할 수 있었다. 나아가 순수한 예술성의 추구와 신의 세계에 이르는 ‘초월(超越)’의 모습으로 천상의 소리를 연주하기도 하였다. 따라서 한중일 고전문학 속에 등장하는 여성들의 악기연주는 당시 가부장 사회의 틀 속에서 강요된 행위라는 측면도 부정할 수 없으나, 그 틈새를 통해 여성들은 타인과의 만남의 매개(媒介)로, 감정이입을 통한 합일(合一)로, 예술과 신의 경지로 들어서게 되는 초월(超越)이라는 다양한 모습으로 자신들의 인생을 연주하고 있었던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