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서양고전문헌학과 동양고전문헌학의 만남

        안재원(Ahn, Jae-Won) 한국서양고전학회 2017 西洋古典學硏究 Vol.56 No.1

        이 글은 서양고전문헌학과 동양고전문헌학의 관계를 추적하는 것이다. 글은 먼저 서양고전문헌학을 방법론적인 관점에서 하나의 학문으로, 교육의 관점에서 하나의 교육 기관으로 제도화시키는 데에 성공한 19세기 독일고전 문헌학의 전개 양상을 고찰하였다. 그 사례로 뵈크가 발전시킨 서양고전문헌학의 체계를 소개하였다. 다음으로 이를 바탕으로 독일고전문헌학이 일본과 중국의 국학의 성립에 이념적으로, 방법론적으로 어떤 영향력을 끼쳤는지를 추적하였다. 일본의 경우, 하가 야이치라는 학자가 중요하다. 그는 베를린에 유학했고, 그곳에서 서양고전문헌학을 배웠다. 일본 국학의 정립을 위해서 그가 독일고전문헌학으로부터 도입한 것은 두 가지였다. 방법론적인 관점에서 일본 국학의 현대화를 위해 그는 서양고전문헌학의 실증주의 전통과 백과사전적인 방법론을 일본 문헌학에 적극적으로 도입했다. 이념적인 관점에서 그는 19세기 독일의 국가주의 이를테면 훔볼트의 국민교양정신을 받아들여 일본의 이른바 국수주의의 확립에 결정적으로 기여한다. 중국의 경우, 량치차오가 중요하다. 량치차오도 하가 야이치와 마찬가지로 중국 국학의 현대화를 위해서 서양고전문헌학의 방법론을 중국문헌의 정리 작업에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함을 강조한다. 이 둘 사이에 있는 차이는 다음과 같다. 하가 야이치가 문학에 방점을 찍었다면, 량치차오는 역사학에 무게 중심을 두었다. 여기서 중국의 『유장』 사업의 의미를 추가했다. 그 이유는 간단하다. 한국 ‘고학’을 국학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현대화와 보편화가 필요한데, 이와 관련해서 서양고전문헌학이 방법론적으로 실질적인 도움을 제공할 것이고 또한 이념적으로도 참고할 만한 대목이 있는 논쟁의 선례를 제공하기 위해서였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Western] Classical Scholarship and Sinology. “German Philology” contributed a great deal to the establishment of Japanese national study(國學: Kokugaku) and Chinese philology (文獻學) in the early 20th century. For establishing Kokugaku, Haga Ya’ich (芳賀矢一, 1867-1927) who studied Western scholarship, including philology for about two years(1901-02) at Berlin University brought the idea of “Altertumswissensaft” characterized with positivism and encyclopedia into Japanese philology from German Philology regarding methodology. He took Enzyklopaedie und Methodenlehre der philologischen Wissenschaften of August Böckh as an important reference for it. Regarding ideology, however, the Kokugaku was footed on the idea of Wilhelm von Humboldt (1767-1835) who regarded philology as “Wissenschaft der Nationalität.” In China, Liang Qichao (梁啓超, 1873-1929) was an important scholar who received a strong influence from Haga Ya’ici. To modernize Chinese philology, Liang suggested that they should accept the methodology of textual criticism. The difference between Haga and Liang lies in the point that Haga put weight on Japanese poems, while Liang on history. Also, the paper added some observation of how Western Sinology was indebted to the classical scholarship in its methodology, agreeing to D. B. Honey’s book(Incense at the Altar: 2001). Furthermore, the paper introduced the Ru-Zang (儒藏) project driven by Beijing University, urging that it is time for us Koreans to compile and publish a work we may call tentatively Thesaurus Litterarum Coreanarum (『한국인문대전』).

      • KCI등재

        인문학(humanitas)의 학적 체계화 시도와 이에 대한 비판에 대해서

        안재원(Ahn, Jaewon) 한국서양고전학회 2010 西洋古典學硏究 Vol.39 No.-

        이 논문은 서양에서 인문학이 하나의 학제적 학문으로 어떻게 형성 되었는지를 탐구하는 글이다. 이와 관련해서 인문학의 기초 학문이라고 부르는 문법학, 논리학, 수사학 등에 대한 연구는 이미 독일의 고전학자 푸어만(M. Fuhrmann)에 의해서 검토되었고, 실용 학문이라 할 수 있는 군사학, 토목학, 의학 등에 대해서도 독일의 마이스너(Meissner)에 의해서 검증되었다. 사정이 이러함에도 이 연구를 시도했던 이유는, 한편으로 푸어만이나 마이스너가 검토하지 않았던 학문 분야가 있고, 다른 한편으로 독일의 학자들의 연구에는 ars 개념이 처음에 로마에 어떤 논의 과정을 거쳐서 정착하게 되었는지, 특히 ars 개념의 로마적 수용에 있어서 핵심적인 텍스트인 키케로의 『연설가에 대하여』에 대한 분석이 없었기 때문이다. 이런 이유에서 ars의 체계 형성에 대한 분석과 그 사례로 법학의 경우를 예증으로 제시하였다. 이와 같은 시도를 통해서 키케로의 인문학(humanitas)과 바로의 자유교양학문이 사이에 있는 공통성과 차이점이 있다는 점을 새로이 밝혔다. 공통성은 키케로의 인문학에 속하는 분과 학문들의 학적 체계가 소위 바로가 시도했던 자유 교양 학문의 학문 체계가 ars 라는 공동 개념을 기반으로 한다는 점이고, 차이는 이 양자가 지향하는 목적이 근본적으로 다르다는 사실이다. 전자는 인간을 기르는 교육에 중점을 두었다면, 후자는 진리와 새로운 기술의 확장과 획득에 무게를 두었다. 이와 같은 발견은 인문학의 연구와 교육에 있어서 이념과 이를 위한 실천 과제 설정을 함에 있어서 많은 추가 담론을 파생시킬 것이라 기대한다. 또한 논문에서 나는 근본적으로, 문법학, 수사학, 논리학이 학교에서 가르쳐야 하는 교육 내용이라할 때에, 이 지식들이 대개는 도구적 혹은 기능적 성격이 강한 앎이지, “인간에 대한 이해”라는 인간 교육의 목적 내용들로 구성된 학문 체계는 아니라는 점에 주목했다. 이와 같은 이유에서 키케로는 지식의 확장의 길로 향해 나갔던 바로 의 길을 걷지 않고 저술과 번역의 일에 매진했다. 로마에서 실제로 읽힐만한 책이 없었기 때문이다. 이 점에서 키케로와 바로의 차이가 선명하게 드러난다 하겠다. 아울러 이 글에서 나는, 책 읽기가 서구의 인문 교육의 중요한 방법 가운데에 하나였음에도 문법학, 논리학, 수사학과 동급의 위치에서 책 읽기에 대해서도 다루어지지 않았음을 지적하였다. 책 읽기가 로마에서 교육의 중요한 방법으로 자리 잡게 된 과정에 대한 연구를 새로이 제안하고자 한다. 이는 소위 “고전(classica)”읽기 교육과 직결되는 문제인데, 아마도 로마의 교육의 핵심교과였던 말하기 교육보다 읽기 교육이 중요한 자리에 놓이기 되는 과정에 대해서 살피는 일과도 연결된다고 보기 때문이다. On the issue of origin and development of artes liberales in ancient Greek and Rome, M. Fuhrmann has published a distinguished book in the year of 1960: Das systematische Lehrbuch-Ein Beitrag zur Geschichte der Wissenschaft in der Antike. In this book, Fuhrmann has suggested that liberal arts had been systematized as a kind of science in late roman republic times. His suggestion is now a common sense among classical scholars. Methodologically seen, Furhmann’s approach is based on the genus-concept and dihaeresis. However, he did not mention the concept of ars as a principle of science. In my view, the idea of ars should be regarded as an essential idea for the systematizing of the liberal arts. In this essay, thus, I have offered some details on the question of how Cicero did use the idea of ars for the building and systematizing of liberal arts. On related issue of whether Cicero had an intention to build studia humanitatis as science, I have argued that Cicero had intention to construct the system for a single art based on the help of the concept of ars because it is based on which all kinds of bonae artes are organized and systematized as science. Based on this, I have compared Cicero’s studia humanitatis with Varro’s artes liberales. The comparison between them comes to the conclusion that there is a big difference between Cicero and Varro, even though the system of a single art of Varro’s is the same with that of Cicero. The difference lies in the factor that contributes to the construction of ars as science. With humanitas program, Cicero tried to offer a human educational system, while Varro concentrated on providing the way by which the Latin knowledge and Roman science could be extended more widely and deeply. This is exposed clearly in the fact that Varro is the truly father of western encyclopedia tradition. On the contrary, Cicero criticized strongly the pedantic teaching ways of strict system of ars and the specifying and separating the sciences into a single art. For this, Cicero provided the idea of humanitas which delineates and embraces bonae artes as a whole. Cicero was truly the father of studia humanitatis in Latin educational tradition.

      • KCI등재

        플라톤과 서양철학사 : 자체성(auto kath’ auto)과 철학적 최상급의 개념을 중심으로

        남경희(Nam, Kyung-Hee) 한국서양고전학회 2020 西洋古典學硏究 Vol.59 No.1

        플라톤이 서양 철학사에 끼친 영향은 기초적이고 다기적이나, 본고에서는 자체성과 철학적 최상급의 개념을 중심으로 살펴보며, 이들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대안적 사유법을 위한 단서를 제안한다. 서구 철학의 주축적인 사유틀이나 개념들의 원류가 되는 것이 플라톤의 ‘바로 그것, 그 자신에 즉해 있는 것(auto kath’ auto: itself by itself)’ 또는 간단히,‘자체적인 것’이라는 개념이다. 이는 그가 형상을 규정하는 가장 대표적이며 고유한 표현으로, 자기동일성, 불가환원성, 독립성, 실체성 등을 함의한다. 자체적인 것의 개념은 두어 단계의 추론을 거치면, 비트겐슈타인이 말한 바, ‘철학적 사실’, 또는 ‘철학적 최상급’의 개념을 형성하게 한다. 자체성이나 최상급의 개념은 이후 서양철학자들, 가령, 데칼트의 절대 확실성 (인식적 최상급), 칸트의 정언명령이나 선의지(윤리적 최상급), 정치철학의 이상국, 논리실증주의의 이상 언어(언어적 최상급) 등의 개념 형성에 영향을 주며, 근현대의 인식론, 윤리학, 논리학 둥에 지대한 영향력을 행사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이들 사유범주들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검토한다. 이런 검토에서 비트겐슈타인, 소쉬르, 데이빗슨 등의 논의를 원용한다. 전면적 회의나 절대 확실성의 개념은 부조리하고, 철학적 사실 또는 최상급을 상정할 때, 규칙 준수의 역설에 봉착한다. 보편자, 추상체 둥의 자체적인 것 또는 최상급적 존재는 사념의 대상으로서 그 객관성을 확보할 수 없는 사밀적 존재이기에, 언어의 의미 기초가 될 수 없다. 이런 문제점들은 자체성이나 철학적 최상급 개념, 그리고 이를 토대로 하는 서구 철학의 제 개념들이나 사유법이 재고되어야 함을 보여준다. 우리는 새로운 사고법을 모색해야 하며, 이를 위한 단서로 비트겐슈타인, 소쉬르 등이 제안하는 언어의 중심성, 마음의 사회성, 관계성, 그리고 동아시아적 사유법 등을 제안한다. 우리는 동아시아에서는 자체성, 실체성, 최상급, 심지어 진리 개념이 없이도 오랜 철학의 전통을 지속해 왔음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Plato’s influences on Western philosophies are basic and manifold. This paper focuses on his concepts of ‘auto kath’ auto’ and philosophical superlatives. It further examines problems of these concepts and their history of influences on western philosophy, and suggests clues for alternative thinking. It is Plato’s ‘auto kath’ auto(itself by itself)’ that is the source of the main reasoning and concepts of Western philosophers. This is the most representative and unique expression when Plato defines main features of his Form. This phrase implies self-identity, irreducibility, independence, and essence. This concept leads Plato to form what Wittgenstein mentions as ‘philosophical facts’ or ‘philosophical superlatives.’ The concept of superlative is the logical basis for central concepts of major Western philosophers, such as the absolute certainty of Descartes (epistemological superlative), Kant’s categorical imperative or good-will (ethical superlative), the ideal language of logical positivism (linguistic superlative). These concepts have exercised long-lasting influences on modern epistemology, ethics and logic. This paper points out problems of these concepts, utilizing discussions of Wittgenstein, Saussure, and D. Davidson. The notion of absolute certainty or global skepticism is logically absurd, and assumming existence of philosophical facts leads us to lace the rule following paradox. It is argued that the self-identical or superlative being such as universals or abstracts turns out to be private entities which cannot provide the objective foundation for meanings of language. Thus the concepts of self-identity and philosophical superlative, and thought-categories of Western philosophy based on these must be critically reconsidered. These criticisms do not entail the end of philosophy. We need to look for new ways of thinking, and we may find some clues in centrality of language suggested by Wittgenstein, sociability of the mind, inter-dependance of existence, and East Asian concept of Li(禮) or correct name(正名). We should note that East Asian philosophers have developped a long tradition of philosophy without concepts of self-identity, philosophical superlatives, or even without the notion of truth.

      • KCI등재

        고대 그리스어 ‘einai’에 해당하는 한국어는? : 비정언적 존재 개념으로서의 ‘있음’과 ‘einai’

        강성훈(Sung-Hoon Kang) 韓國西洋古典學會 2012 西洋古典學硏究 Vol.48 No.-

        본 논문은 그리스어 ‘einai’와 한국어 ‘있다’, 그리고 영어 ‘be’와 ‘exist’를 비교 검토한다. ‘exist’는 정언적 존재를 의미하는데 ‘있다’는 비정언적 존재를 의미하기에 두 개념은 정확히 일치하는 것이 아니지만, 둘의 차이가 상당히 미묘하기 때문에 한국인들은 ‘exist’에 대한 주장과 ‘있다’에 대한 주장을 혼동하기 쉽다. 반면, 현대 서구어에는 비정언적인 존재를 나타내는 표현이 없는데, ‘einai’는 ‘있다’와 같이 비정언적 존재를 나타내는 표현이기에 서구 학자들은 ‘einai’의 의미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어려웠던 것으로 보인다. 처소 문장에서 우리말은 ‘있다’를 사용하지만 영어는 ‘exist’를 사용할 수 없다. ‘있다’는 비정언적 존재 개념이어서 특정 장소에 국한한 존재 주장을 얼마든지할 수 있지만, ‘존재(existence)’는 정언적 개념이기에 이렇게 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영어는 이런 경우 장소적 계사 ‘is’를 사용하지만, 계사는 독립적 의미를 갖지 않고 단순히 주어와 술어를 연결해주는 허사이다. 어떤 것의 존재를 특정장소에 국한해 주장할 때 영어는 ‘there is’를 사용할 수 있으나, 여러 가지를 고려해 볼 때 ‘there is’는 비정언적 존재를 주장하는 표현이라고 보기 어렵다. 영어에서 존재사 ‘there is’를 쓰는 경우와 장소적 계사 ‘is’를 쓰는 경우에 모두 우리말은 ‘있다’를 사용하는 것처럼, 고대 그리스어는 양자에 모두 ‘einai’를 사용한다. 또 영어에서는 ‘is’가 아니라 ‘have’를 사용하는 소유 구문에서 우리말은 ‘∼에게 있다’를 사용하듯이 그리스어는 ‘einai’를 사용한다. 명사류 서술문의 경우, 우리말의 ‘∼이다’가 ‘∼으로 있다’와 근본적으로 의미차이가 없고 양자 모두 정체성을 표현하는 것이라면, 처소와 소유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이 경우도 비정언적 존재의 의미가 표현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스어의 명사류 서술문에서도 ‘einai’가 단순히 주어와 술어를 연결시켜주는 계사의 역할만하는 것이 아니라 정체성을 나타내는 비정언적 존재의 의미를 가진다는 것을 시사하는 사실들이 있다. 이 모든 경우에서 ‘einai’와 ‘있다’는 거의 같은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보이지만, 형용사 서술문에서는 양자의 유비가 깨지며, 이것이 우리가 양자를 동일시할 수 없는 가장 중요한 이유가 된다. 그리스어는 형용사 서술문에 ‘einai’를 사용하지만, 우리말은 형용사가 동사와 비슷한 독립품사여서 ‘있다’나 ‘∼이다’를 전혀 사용하지 않는 것이다. 그리스어에서는 형용사가 일종의 명사 상당어이고 우리말에서는 이것이 일종의 동사 상당어라는 사실은 그리스 철학의 어떤 부분들을 이해하는 데 우리에게 심각한 방해요인이 된다. 하지만, 이 부분을 제외하고 보자면, ‘einai’를 ‘있다’와 같이 비정언적 존재 개념으로 파악함으로써 ‘einai’의 애매성과 관련한 해석의 문제들을 상당 부분 해소할 수 있다. In this paper, I compare the Greek word ‘einai’ and the Korean word ‘itta’ together with the English words ‘be’ and ‘exist’. ‘Exist’ and ‘itta’ are different in the sense that the former is a categorical concept and the latter represents a non-categorical concept of existence. But since the difference is very subtle, Korean readers often misunderstand claims about existence for claims about ‘itta’, and vice versa. Likewise, if ‘einai’ represents a non-categorical concept of existence like ‘itta’, as I argue it does, Western readers may have misunderstood the true meaning of ‘einai’, because modern Western languages lack any concept corresponding to the non-categorical concept of existence. In locative sentences, you use ‘itta’ in Korean while you cannot use ‘exist’ in English. Since ‘itta’ represents a non-categorical existence, you can assert ‘itta’ with regard only to specific places. But you cannot do that with ‘exist’. You use the locative copula ‘is’ in such cases, and a copula has only grammatical functions and lacks any concrete meaning. Although you can use the locution ‘there is’ in asserting existence of a certain thing in a certain place, in several important respects the locution does not represent a non-categorical concept of existence. A ‘there is’ sentence and a corresponding sentence with the locative copula ‘is’ are translated into the same Korean sentence using ‘itta’ and the same Greek sentence using ‘einai’. Also, in possessive sentences ‘itta’ and ‘einai’ are used in Korean and Greek. In the case of nominal sentences, if Korean ‘ida’ and ‘~ro itta’ express the idea of identification, a kind of non-categorical existence is meant here as in locative and possessive sentences in Korean. And several facts about ‘einai’ in nominal sentences suggest that it also plays the role of identification. In all those cases ‘einai’ seems to mean almost the same as ‘itta’. But in adjectival sentences, ‘einai’ is used in Greek but there is no corresponding expression in Korean. Adjectives in Korean are like verbs: they can be predicates by themselves. The fact that Greek adjectives are like nouns and Korean ones are like verbs presents a serious obstacle to a clear understanding of some parts of Greek philosophy for Korean readers. With the exception of this aspect, however, taking ‘einai’ as a non-categorical concept of existence as ‘itta’ is will help explain away a lot of interpretative difficulties concerning the ambiguity of ‘einai’.

      • KCI등재

        도시 디오니시아 축제와 아테네 민주정치

        문혜경(Hye-Gyoung Moon) 한국서양고전학회 2014 西洋古典學硏究 Vol.53 No.2

        본 논문은 고전기 아테네에서 도시 디오니시아 제식행사와 아테네 민주정치 간의 상호관련성을 탐구하고자 하였다. 고전기 아테네에서 가장 특징적인 제도중의 하나는 디오니소스를 숭배하는 도시적 축제였다. 도시 디오니시아 축제는 엘레우테라이에서 온 디오니소스의 첫 도착을 재연하는 것이었다. 도시 디오니시아는 매해 엘라우테라이의 디오니소스를 아테네로 모셔와 영접하고 신을 즐겁게 해드리려는 목적으로 도시의 중심부에서 거행된 축제의식이었다. 이 축제는 신을 영접하는 축제의 핵심인 경연 이전 식전행사에 해당하는 프로아곤과 전체 축제에 해당하는 경연인 아곤으로 분리되어 진행된다. 즉 신의 영접(eisagoge), 디오니소스의 나무상을 들고 희생제를 치르기 위한 디오니소스 성소까지의 종교적 행렬(pompe), 저녁에 축하 잔치(komos)형태로 구성되며, 비극과 희극의 드라마 경연(agone)으로 진행되었다. 연극경연 전 아테네인들은 도시 디오니시아의 종교적 제식에 전쟁고아의 완전무장한 갑옷을 입고 펼친 행진, 동맹시에서 온 공물전시, 명예의 관수여 등 도시적 행사를 추가하면서 통합된 데모스의 이상을 표출 하였던 것이다. 도시 디오니시아는 민주적 폴리스 삶 안에서 민주적 체제를 유지한 도시적 행사였으며 디오니소스적 제식이 함축된 축제였다. 도시 디오니시아는 아테네인들의 자의식의 성장을 보여주는 동시에 도시의 권위 그리고 정치적 우월성을 도시적 행사를 통해 표현했으며, 민주정 체제 속에서 국가와 개인 시민간의 상호간의 의무와 유대관계 형식인 선행과 감사를 통한 ‘보여주는 행사’였던 것이다. 도시 디오니시아 축제가 열리는 며칠 동안은 인간과 디오니소스 신간의 만남과 소통을 통한 기쁨과 즐거움 속에서 환희와 해방감을 누린 디오니소스 축제였다. This paper is focused on examining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City Dionysia festival and democracy in the Classical Athens. One of the most characteristic institutions of classical Athens was its civic celebration in honor of Dionysus. This festival is a reenactment of the original advent of Dionysus from Eleutherai. The focus of the festival is in the centre of the city. This core was the reception and welcoming of the Dionysus god. It is the City Dionysia that is focused on the reception of Dionysus. Its celebration included processions, choral competitions, sacrifice, feasting, revelry, and dramatic competitions. There is a preparatory day for the festival on which a proagon was held. The main festival"s proagon involved eisagoge, and a pompe, komos, then there were agones, which involved tragedies and comedies. The proagon is the core of the festival, and the whole festival apart from the agones. Before the performances began, agones, the Athenians staged still more civic rituals: the libation offered by the generals; the passing-out parade of the orphans of the war-dead, who had been brought up at the state"s expense; the handing over of the tribute brought by the allies, in the time of the Delian League; the proclamation of honours voted to distinguished foreigners and Athenians. These ceremonies occurred at the City Dionysia. The festival provided a good opportunity for the display of Athens" civic pride in the presence of a large audience of citizens and visiting foreigners. During the period of Athens" greatest dominance the Dionysia provided an occasion for the city to celebrate its power, display its wealth and proclaim its vitality both to its own citizens and to foreign visitors. The most important feature of City Dionysia festival is essentially Dionysiac event and closely linked to the life of the democratic polis. Festivals are linked to civic consciousness and serve to celebrate Athens" identity, freedom and power. The festival was a magnificent, enormous, politically significant undertaking and was recognized as such in the Athenian civic self-image. I think that the City Dionysia festival understood as a delight, enjoyment, and for a few days at least, the integration of all members of the community. In the theater, before performances began obviously represents, in symbolic form, the benefaction/gratitude of relations between citizen and city on display at this festival.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고전기 아테네의 식민 활동과 트립톨레모스

        최혜영(Choi, Hae-Young) 한국서양고전학회 2016 西洋古典學硏究 Vol.55 No.2

        고대 지중해는 이주와 식민의 시대였다. 그런데 고대 그리스의 많은 이주나 식민 사례는 비슷한 전형적인 패턴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전형적인 유형의 창건자가 델포이 아폴론 신의 명령에 따라 새로운 곳에 식민시 아포이키아(apoikia)를 세우고, 이 창건자는 건국 영웅이 되어 숭배 의례의 대상이 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패턴은 많은 식민시 건설 이야기에서 거의 동일하게 반복된다. 오늘날은 이러한 식민시 건설이야기가 그대로의 역사적 기억이라기보다는 건국 과정의 정당성을 담보하기 위해서, 정치적 외교적 목적으로 후대에 정교하게 만들어낸 전통, 선전술로 해석하는 경향이 강하다. 그런데 그리스 식민 역사상 아테네는 독특한 경우에 속한다. 상고기(Archaic)에는 거의 식민 활동을 보이지 않다가, 고전기에는 가장 왕성한 식민 활동을 보이는 나라이기 때문이다. 이 글은 아테네가 고전기 활발한 해외 식민 개척을 정당화시키는 한 방편으로, 종전의 델포이 신탁을 대체할 수 있는 어떤 기제를 이용하고 선전하였는가를 살펴본 것이다. 이는 여러 가지 방법을 통하여 이루어졌을 것인데, 그 대표적인 것 가운데 하나가 트립톨레모스라는 신화적 인물을 통한 선전술이었다고 생각된다. 원래 엘레우시스 지역의 한 왕족이었을 것으로 보이는 트립톨레모스는 그 존재감이 희박하였던 인물이었다. 그러나 고전기 아테네에서 ‘아테네인’ 트립톨레모스는 곡물을 최초로 경작한 사람이면서, 곡물의 여신 데메테르 여신의 명으로 농경기술과 엘레우시스 미스테리아를 전세계에 전파한 이로 널리 선전되게 되었다. 이는 소포클레스의 비극이나 도기사료에서 잘 읽을 수 있다. 아테네로서는 트립톨레모스라는 상징적 인물을 통해서 아테네야말로 전 세계에 식량을 공급해준 농경의 모시이자 관련 비밀 제외의 주관자라는 점을 부각시키려 하였을 것이며, 이로써 모든 도시들의 모시로서의 아테네의 위상을 부각시키고자 하였을 것이다. 요컨대 트립톨레모스 이데올로기는 아테네의 위상, 해외 식민 건설의 당위성의 심리적, 이데올로기적 근거가 되어줄 수 있었을 것이다. The Archaic Age of the Mediterranean Area was an age of migration and colonization. It would be a mistake to understand Greek colonies in modern terms. In ancient Greece there were several types of colonies, known as ἀποικίαι, ἐμπορία and κληρουχίαι which are not the same as from the 18th century onward. Not only the terms, but also the mentalities and the practices around creating a colony were very different. If a Greek city was sending out a colony for various reasons, several formulae were generally adhered to its processes. Among those formulae, an oracle, such as the Oracle of Delphi was almost always consulted beforehand. It was like an indispensable ceremony before founding a colony. Athens was very unique in the ancient history of colonization: it had rarely founded colonies in the archaic age, but eventually became the most predominant country to establish colonies in the 5th century. Her colonies spread from Italy to the coast of Asia Minor and the Black Sea. According to traditional practices, Athenians needed a kind of Delphic oracle for justifying their colonization movement. This article aims to clarify the propagandic attempts of Athens for justifying its colonization instead of consulting the Delphic oracle: the spread of Triptolemus-ideology. In the Homeric Hymn to Demeter, Triptolemus was briefly mentioned only as one of the men who learned the secret rites of Eleusinian Mysteries. However, in the classical period of Athens, he became the most important person to spread grain cultivation and Eleusis’ mysteries all over the world. This new born Triptolemus was reflected in the lost tragedy of Sophocles and the Attice vases. The fragments of the Triptolemus of Sophocles relate to the instructions given by the goddess Demeter to Triptolemus for his journey to various parts of the world, spreading knowledge about grain cultivation. Likewise, in the red figure-vase paintings, Triptolemos is usually depicted sitting on his winged chariot in the company of Demeter departing for his mission around the world. In short, through emphasizing the role of ‘Athenian’ Triptolemus travelling all over the world doing good, Athenians tried to justify its colonization movement all over the Mediterranean area.

      • KCI등재
      • KCI등재

        서양고대철학 연구/교육과 시대착오의 문제—미카엘 프레데의 Historiography of philosophy에 대한 반성적 고찰—

        이영환 한국서양고전학회 2022 西洋古典學硏究 Vol.61 No.2

        이 논문은 최근에 Historiography of Philosophy라는 제목으로 출판된 미카엘 프레데의 넬리 윌리스 강의를 비판적으로 고찰함으로써 부족하나마 서양고대철학을 어떻게 연구하고 가르칠 것인지를 다루고자 한다. 프레데는 철학사 연구 방법을 세 가지 – 학술지적 연구, 철학의 철학적 역사, 철학의 역사적 역사 – 로 나누고 특히나 학술지적 연구에 대해 시대착오를 저지르고 있다는 비판은 이러한 연구방법들의 성격을 오해한 것이라고 주장한다. 필자는 프레데의 주장에서 첫 번째로는 이러한 삼분법을, 두 번째로는 철학사에 대한 철학적 접근방법에서의 시대착오의 중요성에 대한 프레데의 평가를 비판한다. 그 과정에서 철학사 연구와 철학 연구를 너무나 당연하다는 듯이 구별하는 프레데의 전제에 대해 독특하게도 철학에서는 ‘X는 X의 역사가 아니다’라는 너무나 상식적으로 보이는 원칙이 적용되지 않을 가능성을 논한다. 철학사 연구에 대한 이러한 반성적 성찰은 철학이 다른 학문 분야와 사뭇 구별되는 특징을 드러내줌을 통해 철학이 무엇인지에 대한 흥미로운 통찰을 제공해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