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구적 변환, 아시아의 부상, 그리고 한국의 역할

        임현진(Hyun-Chin Lim)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2011 아시아리뷰 Vol.1 No.2

        이 글은 세계화로 대표되는 지구적 변환 속에서, 동북아시아 지역공동체 건설의 가능성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아시아의 부상을 서구적 근대성에 대한 단순한 반작용이 아닌 문명사적 관점에서의 헤게모니 이동으로 해석했다. 다음으로, 이러한 지구적 변환의 핵심 요소로서 세계화의 복합적인 효과를 검토하면서, 세계화가 가져오고 있는 새로운 가능성과 위협을 식별하였다. 마지막으로, 비교발전론적 관점에서 아시아의 발전 경로를 유럽과 대비해 본 후, 아시아, 특히 동북아시아 3국이 공유하고 있는 특징을 살펴보았다. 또한 역사 갈등과 영토분쟁 등 동북아시아의 독특한 중층적 갈등구조를 숙고하면서, 지역공동체 건설의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이 지역의 지나친 국가주의와 민족주의 경향, 지지부진한 경제적 통합 수준을 고려할 때, 지역공동체 건설을 향해 경제적 접근과 문화적 접근을 병행하는 것이 유용하다. 특히, 역사적으로 대국적 팽창주의의 희생자였던 한국이 비(非)팽창주의적 입장을 통해 이 과정에 기여할 수 있음을 주장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the formation of a regional community of Northeast Asia in the age of globalization. First, this paper interprets the rise of Asia not merely as a consequence entailed in response to the dominance of Western Modernity, but as a natural phenomenon of the transition of hegemony in the history of civilization. Secondly, premised upon the notion that globalization, with its signification in diverse areas, is the central factor in this global transformation begot by the rise of Asia, this paper identifies the new possibilities and threats of globalization. Thirdly, after a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the developmental path of Asian countries and that of Europe, it examines characteristics that are common among Asian countries, with special attention given to the three Northeast Asian countries, China, Japan, and Korea. Lastly, taking into account the reality of certain conflicts specific to Northeast Asia, I will suggest ways in which a Northeast Asian regional community may become possible. I believe that my method of taking both economic and cultural approaches toward the creation of a regional community is meaningful, especially in the context of Northeast Asia where their radical nationalist attitudes have resulted in minimal efforts for considering an economic integration. Above all, this paper argues that South Korea, a past victim in the history of expansionism by powerful nations, will to able to contribute in this course by setting an example that proves cooperation through a non-expansionary stance is possible.

      • KCI등재

        동아시아 공동체 담론 리뷰

        박승우(Seung Woo Park)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2011 아시아리뷰 Vol.1 No.1

        본 논문은 1990년대 초부터 등장한 우리나라의 동아시아 담론을 ‘경제공동체 담론’, ‘정치안보적 동아시아 담론’, ‘동아시아 아이덴티티 담론’, ‘대안체제 담론’ 등 네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여 각 담론이 등장하게 된 사회적 배경과 그 주된 내용 및 주장을 비교하여 살펴보고, 이들 담론이 안고 있는 문제점과 한계를 검토하였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이상 네 가지 담론의 문제점을 나름대로 교정하고 그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시도의 하나로 ‘동아시아공동체 담론’이라 명명한 새로운 유형의 담론을 소개하였다. 이를 위해 동아시아의 외연, 동아시아 공동체의 성격, 동아시아 공동체 구축과 정체성 형성의 방법론 등과 관련하여 지금까지 제기된 여러 가지 논의와 관점 중 일부를 취사선택하고 다듬어 이 새로운 담론 유형의 전제로 삼았다. 이는 그간 각각의 분과학문의 경계 내에 머물러 있던 동아시아 담론들 사이에, 분과학문의 경계를 넘나드는 보다 전향적이고 역동적인 학문적 소통을 재촉하기 위한 것이다. Since the early 1990s, many Korean scholars in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have been engaged in the discussions on East Asia, such as on the issues of identity or community. Altogether, they form what can be called the ‘discourse of East Asia,’ which is divided into four groups: the ‘economic community discourse,’ ‘political and security discourse,’ ‘East Asian identity discourse,’ and ‘alternative social order discourse.’ This study examines the theoretical and political arguments of each discourse, and identifies the problems and limitations in each of them. This study also suggests a new type of discourse of East Asia, which I have termed, ‘East Asian Community discourse.’ It is based on various differing perspectives on the scope and meaning of ‘East Asia’ and the East Asian community, and on the methods of creating a regional identity or building a regional community. One of the purposes of this endeavor is to facilitate communication among scholars of various disciplines, engaged in the study of the discourse of East Asia.

      • KCI등재

        한국의 동남아 경제 연구

        박번순(Bun-Soon Park)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2011 아시아리뷰 Vol.1 No.1

        이 연구는 1970년대 말 이후 한국에서의 동남아 경제 연구의 성과를 개관한 것이다. 시기별, 주제별, 지역별 연구의 현황, 그리고 연구자의 성격을 분석했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한국에서 동남아 경제 연구는 국제경제연구원에서 시작되어 현재 대외경제정책연구원에 이르기까지 정부 출연 연구기관이 상당한 역할을 했다는 사실을 알 수 있고, 연구결과는 주로 정책보고서가 중심을 이루고 있었다. 일반 학술 논문의 경우도 정책지향성이 강했다. 시기별로는 동남아 외환위기가 발생한 1997년 이후의 연구가 많았고 지역으로는 베트남이 상대적으로 높은 관심을 끌었다. 연구주제는 현지 경제연구가 많았으나 한국기업의 진출 환경, 한국과 동남아와의 협력관계에 대한 연구도 많았다. 동남아 현지 경제를 연구한 경우, 일반적인 경제분석이 많아서 연구의 구체성과 깊이가 부족한 것으로 보인다. 동남아 경제 연구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인력양성을 위한 대학교육과정의 개편, 국제경제론의 방법론 대신 지역지향적인 현장 연구 강화, 정부나 대학에서의 연구지원 강화 등이 필요하다. This research is a survey on Southeast Asian studies undertaken in Korea since the late 1970s, which analyzed them according to their different themes, areas within Southeast Asia, and types of researchers. This survey reveals that the Korea International Economics Institute (KIEI) and Korea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conomic Policy (KIEP) have played a leading role in the field of Southeast Asian studies, and that most of their research outputs have been in the form of ‘policy briefing.’ In general, most academic papers on Southeast Asia were on the topic of ‘policy advice.’ In terms of time period, most research papers on Southeast Asia were written after the 1997 Asian financial crisis and analyzing Vietnam was relatively popular in particular. In terms of research topics, studies dealt with not only on the economic issues of Southeast Asia, but also topics related to Korea such as the business expansion environment for Korean corporations, or the co-operative relations between Korea and Southeast Asia. Yet, researches on Southeast Asian economy were mostly general economic analyses that lacked depth or detail. In order to encourage more research on Southeast Asia, university curricula must be reformed in order to train students as experts. Moreover, researches should be more areafocused, rather than based on international economics. The government should also expand their support.

      • KCI등재후보

        1등 (혹은 2등) : 1894~2014년간의 동아시아 질서에서 일본에 대한 미국의 선호

        브루스 커밍스(Bruce Cumings),나지원(번역자)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2015 아시아리뷰 Vol.4 No.2

        역사적으로 부침이 있었지만 사실 일본에 대한 미국의 인식, 그리고 동아시아에서 일본의 역할에 대한 미국의 관점은 양국이 수교를 맺은 이래, 150여 년 동안 상당히 일관적이었다. 시어도어 루스벨트를 기점으로 미국이 태평양으로 눈을 돌리고 동시에 일본이 러일전쟁에서 승리하면서 태평양에서 잠재적인 패권 경쟁 구도가 나타날 조짐이 보이기도 했지만 그것은 황색 언론과 대중의 막연한 인종주의적 공포에 기인한 바가 컸던 것이 사실이다. 심지어 워싱턴 해군 회의로 일본이 다시금 영미 국제 체제 내에서 하급 동반자의 위치에 머물렀던 1920년대까지, 아니 1930년대 초반까지도 일본은 (미국과의 대결의 불가피성에 대한 군부의 인식과는 별개로) 대외적으로는 이러한 세계 체제를 묵인하고 수용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런 관점에서 보자면 태평양전쟁 시기의 일본의 모습은 오히려 예외적인 것이었다. 이러한 역사적 전개를 설명하기 위해 니체의 ‘계보’와 ‘생성’이라는 개념을 원용할 수 있을 것인데, 다시 말하자면 역사적으로 결정적인 몇 기의 시기를 통해 서구인들의 인식에 ‘일본’이라는 어떤 특정한 관념이 생성되었고, 그와 동시에 ‘2등으로서의 일본’이라는, 이 시대 전체를 관통하는 계보를 확인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런 과정은 세계 체제 내에서 격렬한 경제 전쟁과 산업 경쟁을 빼놓고는 설명할 수 없는 현상이다. 즉, 서구인들이 가진 ‘일본’과 ‘중국’이라는 관념의 부침은 실제로 일본과 중국이 행동을 바꾸었기 때문이 아니라 그들에 대한 서구의 상대적 위치가 변화함에 따라 끊임없이 재해석되고 재구성되는 변주 과정인 것이다. 니체와 벤야민을 인용했던 푸코의 논지를 다시 빌리자면, 역사란 그 자리에 있던 사실을 발굴하기만 하면 되는 작업이 아니라 존재론적 인식을 우선 가진 상태로 행해지는 주관적 과정이며, 그 와중에 기존 담론의 상실과 말소는 필연적으로 일어난다. 일본에 대한 미국의 인식 변화, 혹은 그것을 관통하는 일관성 역시 이러한 계보와 생성의 상호작용 속에서 미국 스스로도 “인식하지 못한 동기”를 바탕으로 “인지하지 못한 목적”을 이루려고 한 것이었다. 제2차 세계대전 후 현실에서도 상당 부분 구현되었던 케넌과 애치슨의 일본 부흥 계획은 간헐적인 적대 관계를 압도하는 미일 관계의 태생적인 친밀감을 여지없이 보여주는 사례다. 이 역시 1960년대 미국의 상대적 쇠퇴와 일본의 경제적 부흥으로 또 다른 생성을 낳았지만 결과적으로는 1980년대 말 일본의 거품경제 붕괴와 함께, 더 정확히는 중국의 부상과 함께 다시 수면 아래로 가라앉았다. 더불어 (유럽의 나토 체제와 비교했을 때) 상대적으로 너무나도 부실한 동아시아의 다자주의적 제도와 규범은 미국이 여전히 양자적 동맹 체제 속에서 동아시아 외교를 꾸려나가는 원인이기도 하지만 동시에 미국이 전후 합의를 통해 스스로 창출한 구조이기도 했다. 그리고 일본 역시 그런 구조 속에서 상대적 이익과 혜택을 누리면서 현상을 적극적으로 개선할만한 의지를 보여주지 못했다. 더욱이 동아시아 국제 관계의 고질병이라 할 수 있는 역사와 민족, 영토 문제는 이러한 미국 중심의 비대칭적 다자 관계를 심화시키는 데에 일조했다. 문제는 현재 미국 정부는 당파와 무관하게 동아시아에서 적극적인 현상 타파를 해야 할 이유도, 명분도, 능력도 없으며(수사와는 별개로) 그럴 필요성이나 위기 역시 실제로는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는 사실이다. 하지만 동북아의 해묵은 역사 문제로 최근 집권한 각국 지도자들 간의 관계가 악화 일로에 있는 상황 속에서는 동아시아 국제 관계에서는 1등, 자신과의 위치에서는 2등으로서 일본의 입지를 유지하고자 하는 미국의 의도가 뜻대로 실현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The United States view of Japan’s role in the region has been consistent during the past 150 years. Japan accepted the West-dominated international order and its role as a second Japan until the 1930s. Japan during the pacific war was an exception. To the eyes of the Westerners, view of Japan has been incessantly reinterpreted and reconstituted. After the end of the Pacific War, a friendly US-Japan relationship was recovered by the arrival of the Cold War in Asia while multilateralism was fragile. The US-centered asymmetrical relations in East Asia including the US-Japan relations have also been strengthened by historical and territorial problems. Problems with the United States today concern its inability and ignorance of the need for revising the existing order. It is likely that the country will not be able to realize its will of maintaining Japan’s status as a second Japan in the region where inter-state relations have become aggravated with history issues.

      • KCI등재

        동남아시아 지역학의 정체성과 지속가능성에 대한 담론 연구

        현시내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2022 아시아리뷰 Vol.12 No.3

        The article examines the discourses around the identity and sustainability of Southeast Asian Studies since the Second World War and compares them to those of Korean Southeast Asian studies. The article consists of four main parts, the first two being dedicated to the study of the Southeast Asian studies in Europe and North America and the last two focusing on the Korean case. After briefly surveying the debates around autonomous history, regional identity, and the “Thailand controversy”, the second part delves into the so-called area studies crisis in the 1990s and the rise of “indigenous” and “home scholars” in the area studies. The same part elaborates on the “transition” of the area studies from West to Southeast Asia and how the local scholars have responded to the socalled “Asianization of the Asian Studies”. In the latter half of the paper, these historical discourses become a lens to view Korean Southeast Asian studies. The third part examines the debates around the beginning of the area studies in Korea and research methodologies and approaches. The fourth part deals with the feasibility of taking the “Korean perspectives” in Southeast Asian studies. 이 글은 동남아시아 지역학이 본격적으로 발전한 제2차 세계대전부터 현재까지 제기되었던 지역학의 정체성과 지속가능 성에 대한 주요 담론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유럽이나 미국보다 상대적으로 지역학의 역사가 짧고 규모가 작은 한국의 동 남아시아 지역연구가 당면한 과제가 무엇인지에 대해 생각해본다. 글의 전반부에서는 1940년대부터 급성장한 북미지역 의 지역학이 제기했던 동남아시아라는 지역의 정체성과 지역연구의 방향성 문제, 그리고 윤리성과 실용성에 대한 논의를 살펴본다. 이어서 1990년대의 세계화 시대에 등장한 동남아시아 지역 출신 학자들의 지역학의 현지화 노력과 이를 둘러 싼 논쟁을 살펴보면서, 토착 학자들의 소속감과 정체성의 딜레마에 대해 생각해 본다. 후반부는 한국에서의 동남아시아 지역학의 발전과정에서 등장한 담론들과 문제점들이 앞서 논의한 쟁점들과 어떻게 맞닿아 있는지를 살펴보고 한국에서의 동남아시아 지역학이 지향해야 할 방향을 탐색한다.

      • KCI등재

        한국의 아세안 연구: ‘아세안학’의 모색?

        김형종(Hyung-Jong Kim)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2017 아시아리뷰 Vol.7 No.1

        한국 내 아세안 연구는 아세안의 설립과 제도화 진행에 따른 전략적 중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양적·질적으로 성장해왔다. 아세안의 발전이 동남아시아 정체성 형성에 기여했듯이 아세안 연구는 전통적 분과학문과 지역연구의 결합을 통해 다양한 차원의 동남아시아를 이해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이 글은 국내 아세안 관련 학위논문, 학술논문, 단행본 등을 검토하여 아세안 연구 동향과 특징을 살피고자 한다. 아세안공동체의 출범, 동아시아 지역주의 확대, 한-아세안 관계의 심화 등은 아세안의 가치와 관련 연구를 촉진하는 계기가 되었다. 국제관계 분야의 전공자 그룹이 매우 제약적인 상황에서 다양한 학문적 접근이 증가하고 있다. 아세안공동체 건설에 따른 정책적 연구를 넘어 ‘아세안학’ 모색을 위한 정책적·학문적 노력이 필요하다. Studies on the Association of Southeast Asian Nations (ASEAN) in Korea have developed with the incremental institutionalization of ASEAN and its growing strategic importance. The development of ASEAN has contributed on the formation of regional identity in Southeast Asia. ASEAN Studies are expected to provide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Southeast Asia as a single entity by bridging traditional disciplines and area studies. This article aims to draw the characteristics of ASEAN studies in Korea by reviewing academic researches published in various forms including PhD dissertations and MA thesis, journal articles and books. It is discovered that several factors including the establishment ASEAN community, East Asian regionalism, ASEAN-Korea relations have also encouraged ASEAN-related studies in Korea. ASEAN has increasingly attracted a wide range of research groups beyond the traditional IR approach. Greater institutional support and academic attention are needed to explore “ASEAN studies” beyond policy studies.

      • KCI등재

        그리스도교의 중심 이동과 도(道)의 신학

        김흡영(Heup Young Kim)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2012 아시아리뷰 Vol.2 No.2

        아직까지도 현대문명을 주도하고 있는 서구사상의 기조는 서구 그리스도교에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마찬가지로 한국을 비롯하여 중국, 일본, 싱가포르, 베트남 등 전통적으로 유교문화권에 속한 동아시아 국가들을 주도하는 동아시아 문화의 사상적 배경은 유교라고 할 수 있다. 동아시아가 서구가 주도한 현대문명의 만남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리스도교 사상(신학)과 유교 사상(유학)의 비교와 대화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더욱이 세계 그리스도교의 중심은 이미 전통적 그리스도교 문화권이던 유럽과 북미주로부터 이탈하여 남미, 아프리카, 아시아로 이동하고 있다. 이러한 새로운 글로벌 그리스도교의 지형에서 특히 유교는 그리스도교가 역사적으로 조우한 종교문화 전통들 중 마지막 변경이라고 할 수 있어, 동아시아의 그리스도교 신학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이 글에서는 서구 문명의 주체라고 할 수 있는 서구 그리스도교 신학과 동아시아 문화의 기조라고 할 수 있는 유교(신유학)와의 만남을 유교-그리스도교 대화의 두 실례(왕양명과 칼 바르트, 이황과 요한 칼뱅)를 통하여 고찰하고, ‘도의 신학’을 이러한 세계 그리스도교의 중심이 이동하는 맥락에서 새로운 글로벌 그리스도교 신학의 한 대안적 패러다임으로 제안하고자 한다. One cannot deny that Western Christianity provided the foundation for the Western thought, and that it continues to influence the contemporary Western civilization. Likewise, Confucianism provided the traditional basis for the East Asian cultures, such as that of Korea, China, Japan, Singapore, and Vietnam. Therefore, a comparative study through the examination of interreligious dialogue between the Confucian thought and the Christian theology is necessary for our understanding of the situation of East Asia vis-a-vis the contemporary Western civilization built upon the Western thought. Furthermore, the center of Christianity is no longer Europe―the home of Christendom―and North America, but rather, it has shifted to Africa, Latin America, and Asia. In this new map of the globalizing Christianity, the East Asian theology becomes significant for its bond with Confucianism, the last of the religio-cultural traditions historically encountered by Christianity. This paper examines the encounter between the Western Christian theology (the basis of Western civilization) and the Confucian thought (the basis of the East Asian cultures), by drawing on two examples of a Confucian-Christian dialogue (between Wang Yang-ming and Karl Barth, and between Yi Hwang and John Calvin). By doing so, this paper argues for the “theology of Tao” as the alternative paradigm in the new context of the center-shifting, globalizing Christianity.

      • KCI등재

        ‘세계체계관점’과의 비교를 통해 바라본 메가아시아 개념의 특징: 이론적 체계와 방법론적 도구의 공존

        유성희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2022 아시아리뷰 Vol.1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identity of Mega-Asia. MegaAsia is a theoretical concept that envisions a new and integrated (or connected) Asia, which has recently been discussed by scholars. Given that Mega-Asia has theoretical or methodological strengths while distinguishing itself from existing Asian discourse, this theoretical idea of Mega-Asia may be used continuously in the future. Despite the importance and timeliness of the Mega-Asia concept, several questions arise around Mega-Asia. Among these questions, this study attempts to answer the question of what identity Mega-Asia has. To this end, we assume that Mega Asia has the characteristics of both a theoretical system and methodological tool, and then we bring an idea of Immanuel Wallerstein’s world-systems analysis, which encompass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theoretical system and methodological tool. By explaining world-systems analysis understood as a theoretical system and a methodological tool, we try to explore the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features embedded in the concept of Mega-Asia. Although we show some the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features of the Mega-Asia concept, we will clarify that this study is preliminary research in revealing the identity of Mega Asia. 본 연구는 메가아시아의 정체성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메가아시아 개념은 새로운 아시아를 구상하는 하나의 이론적 틀로서 최근 여러 학자들에 의해 논의되고 있다. 무엇보다 메가아시아가 기존의 아시아 담론들과 차별성을 가지는 동시에, 이론적 혹은 방법론적 강점들을 가진다는 점에서, 향후 지속적으로 사용될 개념어라고 생각한다. 메가아시아가 가지고 있 는 중요성과 시의적절성에도 불구하고, 메가아시아를 둘러싼 여러 의문점들이 생기는데, 본 연구는 메가아시아가 어떤 정 체성을 지니는지에 대한 질문에 답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메가아시아가 하나의 이론적 체계이자 방법론적 도구 임을 가정한 뒤, 이를 위해 이전에 유사한 이론적-방법론적 시도를 한 이메뉴얼 월러스틴의 세계체계분석을 가져와 그 의 미를 탐구하였다. 월러스틴의 세계체계분석을 통해 연구자는 메가아시아가 하나의 이론적 체계이자 방법론적 도구일 수 있다는 결론을 내렸지만, 월러스틴의 세계체계분석과 메가아시아가 동일한 이론적-방법론적 메커니즘을 지니고 있지는 않다는 점에서 본 연구가 메가아시아의 정체성을 밝히는 시론적 연구임을 명확히 하고자 한다.

      • KCI등재

        남아시아연구 리뷰

        이지은(Ji Eun Lee)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2011 아시아리뷰 Vol.1 No.1

        본 논문은 우리나라의 남아시아 연구 현황을 살펴보고 향후 연구의 방향성을 모색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우리나라 남아시아 연구에 시각과 방법론을 제공한 서구의 연구전통을 살펴본 바, 서구의 남아시아 연구전통은 오리엔탈리즘적 시각을 통하여 비서구 세계에 대한 왜곡된 이미지를 조성해왔다는 점이 특히 지적될 수 있다. 또한 우리의 남아시아 연구도 그 영향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1970년대 이전 2차 자료를 주로 이용한 종교와 철학 분야에 대한 연구가 우리나라 남아시아 연구의 중심을 이루다가 1970년대와 80년대에 학자들의 관심분야가 종교, 철학 이외에 정치 분야에까지 확대되는 시기를 거쳐, 1990년대부터는 사회과학의 모든 분야로 연구가 확대되면서 본격적인 지역연구가 시작되었다. 1990년대 이후의 연구 경향은 분과학문 전문가들의 활동이 두드러졌던 법칙정립적 사회과학 분야를 중심으로 한 연구와 지역전문가들이 주로 수행한 지역적 특수성을 강조한 연구로 대별될 수 있다. 전자는 이론의 도출을 위한 일반화를 목표로 하며, 보편성을 추구하는 성향을 갖는데 비하여, 양적인 비중에 있어서 주도적 흐름을 이루는 후자는 남아시아 지역에 대한 종합적 이해를 추구하며 지역의 특수성을 강조하고 있다. 향후의 남아시아 연구는 이러한 두 가지 경향이 상호보완적으로 발전하여 보편성과 특수성 사이의 균형을 찾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또한 이는 외부의 시각과 내부자적 시각의 공존과 균형을 의미하며, 더 나아가 우리의 독자적 시각과 연구방법, 이론을 도출해내는 기반이 될 것이다. This study reviews the research history of South Asian studies in Korean academia and suggests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Unfortunately, the perspective and methods of South Asian studies by Korean scholars have been modeled on the Western perspective in South Asian studies, which is an Orientalist view that seriously distorts the true non-Western world. .It is also pointed out that Korean trends of South Asian studies are not free from the influence of this Western idea. Before 1970, researches in the areas of religion and philosophy heavily relied upon secondary sources. Researches undertaken by Korean scholars in the 1970s and 80s show that their academic interests went beyond the fields of religion and philosophy to that of politics. From the 1990s, there has been a constant development in South Asian studies by Korean scholars in terms of both quantity and quality of research, dealing with topics in various new branches of studies in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Two distinctive trends dominated South Asian studies in the 1990s and the first decade of the 21st century. One trend, which shows up mainly in the studies of nomothetic approach in social sciences, emphasized universality with the aim of formulating theories through generalization. The other trend, which exceeds the former in number of research, emphasized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each area by using idiographic approach, ultimately aiming for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South Asia. For development of South Asian studies, future scholars should pursue both universality and uniqueness of research area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e two trends. This way, Korean scholars can be better aware of the coexisting internal and external perspectives, which will help them to come up with unique findings and theories of their own.

      • KCI등재

        경계를 넘어서: 동아시아 시각에서 본 고구려 벽화

        김병준(Byung-Joon Kim)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2021 아시아리뷰 Vol.11 No.1

        본 논문은 고구려 벽화를 동아시아의 시각에서 살펴보고자 했다. 그동안 고구려 고분벽화를 고구려라는 고대 국가의 틀 안에서 바라보았던 것은 아닌가라는 반성에서 출발하였다. 고구려라는 국가의 틀과 그 문화적 특질을 너무도 당연한 전제인것처럼 생각해 왔지만, 혹 고대 국가를 근대 민족국가의 개념과 중첩시켜 이해했던 것은 아닌지 되돌아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적어도 문화의 수용과 교류라는 측면만큼은 국가라는 아이덴티티를 벗어나야 한다는 문제의식이다. 이러한 문제의식하에 나는 고구려 벽화를 국가 단위라는 기존의 도식에서 벗어나서 고구려 벽화를 이해하기 위해 두 가지 문제를 검토하였다. 첫째는 고구려 벽화의 보편성이다. 이를 위해 동아시아 벽화의 화제(畵題)에 관통하는 보편적 속성을 찾아보았다. 죽은 자가 묻히는 공간인 무덤 속 벽화의 화제가 추구하는 공통의 목적은 묘주의 사후 천상세계로의 승천이었다. 고구려 벽화 역시 이러한 보편성 속에서 이해하여 보려는 것이다. 둘째는 고구려 벽화의 개별성이다. 고구려라는 지역 전체의 특징을 찾기 이전에 그림 그 자체의 내용과 기법에 주목해 보아야 한다. 벽화는 화공이 학습한 동아시아의 벽화 전통과 자신이 속한 화공집단의 화풍, 그리고 화본(畵本)을 통한 새로운 유행의 수용 등이 기본이 되고, 여기에 묘주와 그 가족의 요청이 중첩되면서 만들어졌다. 그 때문에 고구려 내의 벽화는 개별성과 다양성을 띨 수밖에 없었다. 이러한 동아시아 벽화라는 보편성과 벽화의 개별성이라는 두 가지 요소가 조합되는 지역적 경향성이 곧 고구려 벽화의 특수성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Goguryeo murals from an East Asian perspective. It begins by noting that the murals of Goguryeo tombs have, until now, generally been viewed within the framework of the Goguryeo Kingdom. Although the adoption of such a premise and its accompanying cultural framework may at first appear to be unproblematic, the way in which this approach has resulted in the overlapping of the concept of the ancient state with the concept of the modern nation state was pointed out. Thus, the need to break free from the shackles of an identity based on the nation state – at least when exploring issues of cultural adoption and exchange –was proposed. From this standpoint, two issues were addressed in relation to Goguryeo murals. The first was the need for a critique of the notion of the universality of Goguryeo murals. For this purpose, universal attributes that penetrate all East Asian murals, were identified. In particular, it was noted that the common purpose of the messages presented by the murals of the tomb, a place where the dead were laid to rest, was the ascension from the tomb to the heavenly world in the afterlife. It was argued that Goguryeo murals must also be understood by taking into consideration this universal nature. The second issue was the individuality of the Goguryeo murals. Before looking for characteristics distinctive to Goguryeo, attention should be paid to the contents and techniques of the paintings themselves. Mural paintings were influenced by the tradition of East Asian mural paintings, the painting style of the painter’s group, and the acceptance of new pictorial trends, in addition to the requests of the deceased and his or her family. For this reason, murals within Goguryeo were bound to be individualistic and diverse. The combination of these two elements – of the universal nature of the East Asian mural tradition and the individual nature of the murals – can be put forth as the distinctive characteristic element of Goguryeo mura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