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신분열병 환자의 말초 임파구에서 도파민 수용체 mRNA의 변화

        곽용태,최철희,김옥준,주연호,김형섭,강성숙,구민성,선우일남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9 신경정신의학 Vol.38 No.5

        연구목적 : 정신분열병은 주로 청소년기에 발병하는 정신과에서 가장 흔한 질환 중의 하나이다. 이 질환의 원인이나 병인은 아직 불확실하지만 뇌 도파민계의 기능장애가 중요한 기전으로 생각되고 있으나 부검없이 뇌 도파민계를 직접 관찰할수 없으므로 많은 혼란이 있어왔다.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최근에 발견된 말초 임파구의 도파민 수용체를 이용하여 정신분열병에 있어서 말초 임파구 도파민 수용체가 뇌 도파민계의 기능을 반영하는 말초표식인자일 가능성이 있는지를 규명한다. 방 법 : 3년 이상 항정신병 약물을 복용중인 정신분열병 환자(약물투약군) 44명, 최근 3개월 이상 항정신병 약물을 복용하지 않은 환자(약물비투약군) 43명, 정상대조군 31명을 대상으로 말초 임파구의 D3, D5 도파민 수용체를 정량적 역전사 중합효소 연쇄반응(quantitative reverse transcritpase polymerase chain reaction)을 이용하여서 정량 비교하였고, 또한 항정신병 약물을 복용하지 않은 환자들에 있어서 약물 투여 후 도파민 수용체의 변화 및 임상양상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결 과 : 1) 말초혈액 임파구의 D3R/βA는 약물비투약군에서 정상대조군이나 약물투약군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있게 증가되어 있었다. D5R/βA의 경우 약물비투약군이 약물투약군에서만 비하여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그러나 약물투약군과 정상대조군 간에는 도파민 수용체 mRNA(D3R/βA, D5R/βA)양에 있어서 차이가 없었다. 2) 항정신병 약물을 새로 투여하는 환자에서 항정신병 약물을 투여 후 임파구 도파민 수용체의 변화를 추적 관찰한 결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3) 약물비투약군을 정상 대조군과 비교하여 D3R/βA mRNA가 정상범위에 속하는 군과 높은 군으로 나누어서 임상척도와 비교 분석한 결과 임파구 도파민 수용체가 증가한 군에서 다음과 같은 임상특징을 관찰할 수 있었다. (1) 정신병리증상이(BPRS) 현저하였다. (2) 약물치료에 대해 양성 정신병리증상(pBPRS)의 호전도가 낮았다. (3) 약물치료시 추체외로 부작용이 심하였다. 결 론 : 이상의 연구결과로 말초 임파구에서 발현되는 도파민 수용체는 정신분열병의 소군 분류 및 예후 예측에 있어서 임상적 의의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말초임파구에서 발현되는 도파민 수용체는 비록 이에 상응하는 뇌의 해부학적 위치는 알 수 없지만 중추신경계의 도파민 수용체의 기능을 반영할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되었다. Objectives : Schizophrenia, commonly developed in adolescence and young adulthood, is one of the most common mental diseases in psychiatry. The etiology or pathogenesis of this disease is uncertain yet, but the dysfunction of dopaminergic system in the brain has been proposed. However, there is no direct evidence of dysfunction of brain dopaminergic systems in schizophrenic patients because the direct assessment of brain dopaminergic systems is almost impossible at present. To overcome this problem, recently founded dopamine receptors and their mRNAs in peripheral lymphocytes was us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fine whether the dopamine receptors of peripheral lymphocytes can be the peripheral markers of schizophrenia or not. Methods : The total numbers of subjects are 87 schizophrenic patients. Among them 44 patients were schizophrenics who had been taking antipsychotic drugs for more than 3 years(medicated patients), 43 schizophrenics who recently are not taken antipsychotic drugs for more than 3 months(drug-free patients). For controls age and sex matched 31 healthy persons were enrolled. Sequential reverse transcription and quantitative polymerase chain reaction of the mRNA were used to investigate the expression of dopamine receptors in peripheral lymphocytes. The gene expression of dopamine receptors were compared in each groups and after starting antipsychotic medicines in drug-free patients, the clinical scales and the dopamine receptors of peripheral lymphocytes were sequentially studied before, 2 weeks after and 8 weeks after medication. Results : 1) In drug-free schizophrenics, D3 dopamine receptor mRNA expression of peripheral lymphocyte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ing with that of controls and drug-medicated schizophrenics and D5 dopamine receptor mRNA expression was increased comparing with only that of drug-medicated schizophrenics.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controls and drug-medicated schizophrenics. 2) After antipsychotic medication, dopamine receptors of lymphocytes were increased tendency. 3) Drug-free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dopamine receptor expression in controls to evaluate the significance of increased dopamine receptor expression. The group of patients with increaseddopamine receptor expressio had following clinical characteristics. (1) More severe psychiatric symptoms (2) Poor pharmacological response of pBPRS on medicines (3) Severe extrapyramidal side effects after pharmacological treatment Conculsion : These results revealed that the molecular biologically determined dopamine receptors of peripheral lymphocytes were reactive, and increased expression of dopamine receptor in peripheral lymphocyte had clinical significance for subgrouping and prognostication. These findings suggested that dopamine receptors of peripheral lymphocyte may represent dopamine receptors of the brain, even the location cannot be determined.

      • 도파민의 위암세포증식에서의 역할

        정희준,박기호,채현동,Jeong, Hee-Jun,Park, Ki-Ho,Chae, Hyun-Dong 대한위암학회 2006 대한위암학회지 Vol.6 No.3

        목적: 도파민은 중추신경전달물질이지만 위장관에서 도파민수용체와 결합하여 점막상피세포 증식, 상피세포의 보호, 위암 세포증식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위암에서 기원한 세포주를 이용하여 도파민과 각각의 도파민 수용체가 위암 세포 증식과 억제에 작용하는 역할에 대해 알아보았다. 대상 및 방법: 위암세포기원에서 각각 유래한 세포주인 SNU601과 KCU-C2를 이용하여 RNA 추출 후 RT-PCR 시행 후 도파민수용체 D1, D2L과 D2S 각각에 대한 primer로 PCR을 시행하여 수용체 유전자의 상대적인 발현정도를 측정하였다. 도파민과 Dl 수용체의 대항제인 SCH 23390과 D2 수용체 대항제인 raclopride를 사용하여 약물처리에 따른 위암세포주에서 세포 증식에 대한 분석을 하였다. 결과: KCU-C2 세포주에서 D1과 D2L과 D2S 유전자 mRNA의 상대적인 발현정도는 모두 높은 발현을 보였지만, SNU 601 세포주에는 mRNA의 발현이 모두 낮은 수준이었으며, 특히 D2L mRNA는 발현되고 있지 않았다. 약물처리에 따른 위암세포주에서 세포증식에 대한 분석에서는 D1과 D2S 수용체를 통한 도파민의 신호는 세포의 증식을 억제하였고 D2L 수용체를 통한 도파민의 신호는 세포의 증식을 유도하였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도파민이 위암의 세포증식과 억제에 관여하며, 도파민의 이러한 효과는 도파민의 신호가 어느 수용체를 통해 전달되었느냐에 따라 위암세포의 증식과 억제가 이루어짐을 알 수 있었다. Purpose: Dopamine is a neurotransmitter, but in the GIT, the roles of dopamine are a regulator of epithelial cell proliferation, an endogenous protective factor, and a regulator of stomach cancer cell proliferation. By using two different gastric-cancer cell lines, we assessed the effects of dopamine and dopamine receptors on the proliferation of human gastric-cancer cells. Materials and Methods: To assess the effects of dopamine and dopamine receptors on the proliferation of human gastric-cancer cells, we investigated cell proliferation and the expression of D1, D2L, and D2S receptor in two gastric-cancer cell lines, SNU 601 and KCU-C2. The effects of dopamine and dopamine receptors on the level of the cell proliferation were determined by staining with an A/H/E (acridine orange, hoechst and ethidium bromide) mixture. Results: After dopamine treatment, the cell viability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SNU 601 cells (P<0.05) where the D2L receptor was absent, but not in KCU-C2 cells. After treatment with raclopride, a D2 receptor antagonist, dopamine-dose-dependent inhibition of cell proliferation was observed in SNU 601 cells (P<0.05). After treatment with SCH 23390, a D1 receptor antagonist, dopamine significantly increased ceil proliferation in KCU-C2 cells (P<0.05), but inhibited ceil proliferation in SNU 601 cells (no D2L receptor). Conclusion: The dopamine signal via the D1 or the D2S receptor inhibited proliferation of gastric-cancer cells, but that via the D2L receptor increased prolifera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regulatory effects of dopamine in the gastric-cancer cell proliferation may be controlled by using dopamine receptors.

      • KCI등재

        골프선수의 경기력 수준에 따른 도파민 수준의 차이

        최상범 한국골프학회 2013 골프연구 Vol.7 No.2

        본 연구는 골프선수의 경기력 수준에 따라 도파민 수준의 차이를 규명하기 위하여 한국프로골프협회 소속 PGA 프로선수 35명과 아마추어 선수 30명 그리고 일반 골퍼 25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고, 자료는 SPSS 15.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 하여 구체적으로 성별에 따라 도파민의 수준을, 경기력 수준에 따라 도파민의 수준을 규명하기 위하여 t 검증과 변량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골프선수의 성별에 따라 도파민 수준에는 차이가 나타났고 여자에 비해 남자의 도파민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골프선수의 경기력 수준에 따라 도파민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했으며 경기력 수준이 높을수록 도파민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경기력 수준을 높이기 위해서는 도파민 수준이 높게 작용되어 심리적 안정이 고취해야 한다는 결론을 얻었다. 즉 훈련 및 운동을 통해 도파민 호르몬 활성화를 유도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경기력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다고 판단된다. 이에 후속연구에서는 심리적 특성을 대변할 수 있는 다양한 유전자를 접목시킨 연구가 반드시 수행될 필요가 있다고 제언 한다. This research was conducted in order to examine the impact of the amount of dopamine for performances of golf players. The data has been collected from 35 PGA pro golfers, 30 amateur players, and 25 general golf players. Using SPSS 15.0 program, we analyze the amount of dopamine by gender and by the performance of each player based on the t-verification and the variance analysis, which l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 amount of dopamine has shown huge differences between genders. Male has shown higher level of dopamine than that of their counterpart. Secondly, the differences of the amount of dopamin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ccordance with the level of their performance capabilities. More precisely, the higher level of their performance shows the higher amount of dopamine. Base on this study, we conclude that mental stability of a player must be preceded before the games by higher level of dopamine in order to enhance the level of performance capabilities In other words, by seeking a way to revitalize the dopamine hormone through training and exercise, the enhancement of performance capabilities of a player would be considerably progressed. The further study that is combined with various genetic science which could represent the mental characteristics of a player should be conducted.

      • KCI등재

        도파민 뉴런들의 광유전학적 활성화가 변별 공포 기억에 미치는 영향

        조용상,최준식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2016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Vol.28 No.1

        Midbrain dopamine neurons exhibit diverse responses to aversive stimuli, such as foot and tail shocks. Specifically one group of dopamine cells is phasically inhibited by the stimuli, whereas the other group is excited. A previous report indicated that mice whose dopamine neurons were genetically modified to disrupt the excited, but not inhibited, response to a shock exhibited generalized anxiety behavior after experiencing fearful events. Thus, it was hypothesized that an increase in dopaminergic excitation improved discriminatory fear learning. To test this idea, mice were trained in a discriminatory fear conditioning paradigm where one auditory conditioned stimulus (CS+) was paired with aversive footshock and the other tone (CS-) was not paired. Dopamine neurons in the ventral tegmental area were optogenetically stimulated during the presentation of one of the two CSs. The intensity of the footshock was strong enough for control mice to show generalized fear responses to both CSs. However, dopamine-stimulated mice was able to discriminate between two CSs, so that they freezed more time in response to CS+ than to CS-. These results suggest that dopamine neurons contribute to fear discrimination. 강화학습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알려진 중뇌의 도파민 뉴런들이 전기충격과 같은 혐오자극을 이용한 학습에도 기여한다고 보고되었다. 특히 도파민 뉴런들은 혐오자극과 연합된 자극이 제시되었을 때 억제되거나 활성화되는 상이한 반응을 보인다고 알려졌다. 유전자 조작을 통해 이 두 가지 도파민 반응 중에서 혐오연합자극에 대한 활성화 반응만 선택적으로 저하시킨 동물들을 공포스러운 경험에 노출시키면, 이후 일반화된 불안행동이 유발된다고 보고되었다. 따라서 역으로 혐오연합자극을 제시하는 동안 다수의 도파민 뉴런들을 인위적으로 활성화시켜 현저성 표상을 높이면 변별 공포조건화의 학습을 향상시킬 가능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 가설을 검증해 보기위해서 특정 조건자극(CS+)과 전기충격을 연합시키고 다른 자극(CS-)과는 연합시키지 않는 공포학습을 진행하는 동안 두 CS중 하나의 CS를 선택하여 해당 CS를 제시할 때 광유전학적으로 도파민 뉴런들을 활성화시켰다. 이후, CS+와 CS-만을 번갈아 제시하는 기억검사를 실시하면서 공포반응을 측정하였다. 도파민 뉴런들을 활성화시키지 않았던 통제집단은 두 CS에 동등한 수준의 동결반응을 보였으나, 도파민을 활성화시켰던 동물들은 CS-에 비해 CS+에 유의미하게 높은 공포반응을 보였다. 이러한 변별력 향상은 도파민 뉴런들이 공포 조건화 과제동안 자극 일반화에 기여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6-OHDA로 유도된 파킨슨 증후군의 동물 모델에서 도파민성 신경세포의 손실과 미세아교세포 활성 사이의 관계

        이진숙(Jin-Suk Lee),이지용(Ji-Yong Lee),조원길(Won-Gil Cho),양영철(Young-Chul Yang),조병필(Byung-Pil Cho) 대한체질인류학회 2013 해부·생물인류학 (Anat Biol Anthropol) Vol.26 No.1

        본 연구는 6-OHDA로 유도된 파킨슨증후군 동물 모델에서 활성화된 미세아교세포의 형태학적 특징 및 면역학적 표현형의 변화와 도파민성 신경세포와의 병리역학적 관계를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오른쪽 안쪽앞뇌다발에 6-OHDA을 주입하여 흑색질 치밀부에 있는 도파민성 신경세포의 변성을 유도하였다. 동물모델을 6-OHDA 주입 후 1주, 2주, 4주 그리고 8주에 각각 희생시켰다. 활성화된 미세아교세포의 기능적 활성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미세아교세포의 포식작용 표지자인 ED1과 쥐 활성미세아교세포 특이적 표지자인 OX6을 사용하여 면역조직화학법 염색을 수행하였다. 활성화된 미세아교세포는 6-OHDA 주입 후 1주에 흑색질 치밀부에 있는 변성된 세포돌기 그리고 도파민성 신경세포의 세포체 등에 선택적으로 부착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어서 흑색질 치밀부의 도파민성 신경세포와 신경섬유의 뚜렷한 손실을 나타내었다. 포식단계의 활성화된 미세아교세포는 6-OHDA 주입 후 2주에 가장 뚜렷하게 나타났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진적으로 줄어 들었지만 6-OHDA 주입 후 8주까지 남아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는 흑색질 치밀부에 있는 도파민성 신경세포수 계측의 결과와 일치함을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미세아교세포의 활성은 도파민성 신경세포의 변성과정에 영향을 주어 도파민성 신경세포의 손실을 촉진하며 지속적으로 신경세포사를 이끈다는 것을 시사한다. This study assessed the dynamics of morphological and immunophenotypic properties of activated microglia in a 6-hydroxydopamine (6-OHDA) induced Parkinsonian animal model. Neurodegeneration in the substantia nigra pars compacta (SNc) was induced by unilateral injection of 6-OHDA into the medial forebrain bundle. Parkinsonian animal model were sacrificed at 1, 2, 4 and 8 weeks after 6-OHDA injection. Changes in the functional activity of activated microglia were identified using different monoclonal antibodies: OX6 for major histocompatibility complex (MHC) class II, ED1 for phagocytic activity. Phagocytic microglia, characterized by ED1- or OX6-immunoreactivity, appeared in the SNc at 1 week after 6-OHDA injection, activated microglia selectively adhered to degenerating axons, dendrites and dopaminergic neuron somas in the SNc. This was followed by significant loss of these fibers and nigral dopaminergic neurons. Activation of microglia into phagocytic stage was most pronounced at 2 week after 6-OHDA injection and gradually subsided, but phagocytic microglia persisted until 8 weeks after 6-OHDA injection. Taken together, our results indicate that activated microglia is lead to persistently neuron cell death and promotes loss of dopaminergic neuron by degeneration of the dopaminergic neurons.

      • 발기부전 치료 접근에 대한 새로운 통찰 : Mucuna pruriens와 도파민의 역할

        조일영 대한중재학회 2024 중재학회지 Vol.1 No.2

        연구는 남성 발기부전(ED)의 치료에 있어 새로운 접근 방법으로 Mucuna pruriens의 도파민 작용을 활용하는 가 능성을 탐구하고자 하였다. 기존의 치료법(PDE5 억제제 등)은 주로 성기에 혈류를 증가시키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으나, 본 연구는 뇌의 역할, 특히 도파민의 역할에 주목하였다. 연구 방법으로 Mucuna pruriens의 도파민 증가 효과와 관련된 기존 문헌을 검토하였다. 결과적으로 Mucuna pruriens가 도파민 수치를 증가시켜 성적 흥분과 발기 유지에 긍정적인 영 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ED 치료에 있어 보다 포괄적인 접근 방법이 될 수 있으며, 향후 임상 연구 를 통해 그 효과와 안전성을 평가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explores the potential of Mucuna pruriens as a novel approach in the treatment of erectile dysfunction (ED) by leveraging its dopaminergic effects. Traditional treatments such as PDE5 inhibitors primarily focus on increasing blood flow to the penis. However, this study emphasizes the role of the brain, particularly dopamine, in ED treatment. Through a review of existing literature on Mucuna pruriens' dopamine-enhancing effects, this study found that Mucuna pruriens can positively impact sexual arousal and erectile maintenance by increasing dopamine levels. This suggests a more comprehensive approach to ED treatment, necessitating future clinical research to evaluate its efficacy and safety.

      • KCI등재후보
      • KCI등재

        Antioxidant Activity of Dopamine-Modified Hydrogels Containing Cross-linked Hyaluronic Acid

        Geun-Chang Ryu,Jeong Hee Hwang,Cheol-Woo Lee 대한시과학회 2018 대한시과학회지 Vol.20 No.4

        목적: 이 연구에서는 도파민이 적용된 히알루론산 가교 하이드로겔을 제조하고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였다. 방법: 먼저 히알루론산과 p(HEMA)로 구성된 상호침투고분자구조로 후처리 한 p(HEMA) 기반 하이드로겔을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아마이드 결합반응을 통해 도파민이 적용된 항산화 하이드로겔을 제조하였다. 항산화 활성의 평가는 ABTS 와 DDPH 라디칼 소거능 방법을 사용하였다. 결과: 도파민이 적용된 하이드로겔은 유의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히알루론산의 가교는 하이드로겔 표면의 습윤성을 개선시킨 반면에 도파민이 적용된 하이드로겔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못했다. 도파민이 적용된 하이드로겔은 높은 광투율을 나타내었다. (>88%) 결론: 도파민이 결합된 히알루론산의 가교에 기초한 항산화 하이드로겔의 개발이 안의료 및 생물의학 재질 개발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 : In this study, we made dopamine-functionalized hydrogels containing a cross-linked hyaluronic acid (HA) network and investigated their antioxidant activities. Methods : In the first step, we made poly hydroxyethyl methacrylate(p(HEMA))-based hydrogels post-modified with an interpenetrating polymer network(IPN) structure composed of HA polymers and a p(HEMA) network. The subsequent functionalization with dopamine via an amide coupling reaction resulted in the antioxidant hydrogels. Their antioxidant activities were evaluated using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nd 2,2-diphenyl-1-picrylhydrazyl radical scavenging assays. Results : The dopamine-modified hydrogels exhibited significant antioxidant activities, when compared to unmodified control. The presence of the HA–IPN structure improved the surface wettability of the hydrogel while dopamine-conjugated IPN hydrogel did not demonstrate the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ed to hydrogel control. Dopamine-modified hydrogels exhibited high transmittance (>88%). Conclusion :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development of antioxidant hydrogels based on dopamine-conjugated HA–IPN structures may help develop ophthalmic and biomedical materials.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6-OHDA가 흰쥐 등쪽솔기핵내 도파민성 신경세포와 별아교세포에 미치는 영향

        홍은석(Eun Seog Hong),남성안(Seong Ahn Nam),조승묵(Seung Mook Jo),강태천(Tae-Cheon Kang),원무호(Moo Ho Won),최창도(Chang Do Choi) 대한해부학회 1999 Anatomy & Cell Biology Vol.32 No.4

        신경독성물질인 6-hydroxydopamine (6-OHDA)이 중추신경계통 내 도파민성 신경세포에 미치는 영향과 이에 따른 별아교 세포들의 반응을 형태학적으로 규명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흰쥐의 가쪽뇌실에 6-OHDA를 투여한 후 면역조직화학 염색을 시행하여 광학현미경 하에서 등쪽솔기핵 내 도파민성 신경세포에 나타나는 퇴행성변화와 주위 별아교세포들의 반응양상 등을 경시적으로 제 3일, 제 5일, 제10일 및 제20일에서 관찰하였던 바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6-OHDA에 의한 도파민성 신경세포의 퇴행성변화는 약물투여후 제 3일군에서 세포돌기가 팽대되고, 제 5일군과 제 10일군에서는 세포돌기의 소실과 함께 세포체가 위축되었고, 제20일군에서는 세포체가 소실되었다. 또한 6-OHDA에 의해 도파민성 신경세포들의 손상이 진행되면서 별아교세포들의 반응양상은 제 5일에서 대조군에 비해 급격하게 증가하였으며, 제20일에 이르러 최고값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6-OHDA가 중추신경계통 내 도파민성 신경세포들에 선택적이고 강한 세포독성을 유발하여 퇴행성 변화가 진행되고, 세포 손상이 시간 경과에 따라 진행되면서 주위의 별아교세포들이 지속적으로 증가된 활동을 보인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clarify the cytotoxic effects of 6-hydroxydopamine (6-OHDA) on the dopaminergic neurons and astrocytes in the dorsal raphe nucleus (DRN), and to investigate neurodegenerative changes by immunohistochemistry. Adult male rats (Sprague-Dawley strain) weighing from 250 to 350 g were used as experimental animals. 6-OHDA (100 μg dissolved in 0.1% ascorbic acid) was injected into the lateral ventricle of the rat brain with the Hamilton syringe. The control rats were treated with the similar volume of 0.1 % ascorbic acid. The rats were sacrificed at the 3rd, 5th, 10th and 20th day, respectively, after the injection of 6-OHDA. The cytotoxicity of 6-OHDA resulted in severe neurodegeneration of the dopaminergic neurons in the DRN. In the 3rd day, the dopaminergic fibers were dilated. In the 5th and 10th days, the dopaminergic fibers were depleted, and dopaminergic cell bodies were shrunken. In the 20th day, the dopaminergic cell bodies were almost completely disappeared. Astroglial reactions induced by 6-OHDA were also observed in the DRN. In the 5th day, astrocyt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s compared with that of the control value. The value were reached at its maximum by the 20th day. Based on the present results, it suggests that 6-OHDA may act as a specific neurotoxin to dopaminergic neurons in the DRN, and induce severe neurodegenerative changes. Also, it suggests that the astroglial reaction in the DRN is gradually activated during the neurodegerative chang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