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원도심 지구단위 도시재생이 도시이미지와 거주의사에 미치는 영향분석

        윤갑석,박태원 한국도시행정학회 2016 도시 행정 학보 Vol.29 No.2

        본 연구는 지구단위 도시재생 수단을 통하여 장소성의 변화가 가능하고, 변화된 장소성은 도시이미지 및 거주의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가능성을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의 대상지역은 오랜 시간 서울의 부도심 역할을 담당하여왔던 영등포 일대로 선정하였다. 영등포지역은 도시내 산업의 거점으로 1940년경에는 서울 공업생산량의 80%를 차지하였고 이로 인하여 그 당시 도시이미지는 발전하는 산업도시의 역동적 이미지였다. 하지만, 시대의 흐름에 따른 공업지역의 쇠퇴에 따라 상대적으로 낙후된 지역이라는 부정적인 이미지로 변화하였으며, 도시재생의 시대를 맞아 새로운 도시이미지 창출의 필요성이 제기되기 시작하였다. 2000년대에 들어 기존 ㈜경방의 공장이전적지에 타임스퀘어가 개발되고, 영등포 부도심에 새로운 활력을 제공하는 기회가 되었다. 서울시의 부도심권역에 지구차원의 도시재생이 과연 거주민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기존 도시의 이미지 및 거주의사에 관점으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지구차원의 도시재생으로서의 타임스퀘어개발이 촉발한 장소성의 변화는 영등포 원도심이 가지고 있던 도시이미지에 변화를 주었으며, 거주욕구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지구단위 도시재생으로서의 테마형 쇼핑몰의 입점은 기존 노후산업의 도시이미지에 변화로 주었고, 거주민과 방문자그룹에서는 거주의사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블루칼라 이미지의 노후 산업지역도 새로운 도시재생 전략에 의해 기존 도시가 가지고 있지 못했던 상업적 활력, 엔테테인먼트, 문화예술적 기능의 도입을 통해 기존의 도시이미지를 변화시킬 수 있다는 가능성을 도출하였다는 의미를 찾을 수 있다. 다만, 영등포 타임스퀘어의 장소성의 변화는 거주의사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보다는 도시이미지를 매개변수로 하여 거주의사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되었다.

      • KCI등재

        도시 이미지가 행정만족도, 도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김도헌(Do Heon Kim),김상덕(Sang Duck Kim) 한국유통학회 2017 流通硏究 Vol.22 No.3

        국가의 인구 감소와 경제 침체로 인하여 각·시도별 도시의 활성화를 위하여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그에 따라 학문적으로도 도시 마케팅, 도시 이미지, 행정 만족도 관련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창원시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통해 도시 이미지가 행정 만족도와 도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각 영향에 대한 지역 자부심의 조절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200명의 창원시민을 표본으로 자료 수집을 하였으며, SPSS 프로그램을 통한 신뢰성, 탐색적 요인분석을 하고 AMOS 패키지를 사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 및 구조방정식 모델 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시민친화적 이미지는 행정 만족도에 유의한 正의 영향을 미쳤으며, 쾌적한 이미지와 시민친화적 이미지는 도시 충성도에 유의한 正의 영향을 미쳤다. 쾌적한 이미지와 포용적 이미지가 행정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負의 영향을 미쳤다. 포용적 이미지는 도시 충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조절 효과 모형에서는 시민친화적 이미지가 행정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의 지역 자부심의 조절효과는 조절효과가 나타났으며 지역자부심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보다 더 강한 正의 영향을 나타내었다. 쾌적한 이미지가 행정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지역 자부심의 조절 효과는 조절효과는 나타났으나 지역 자부심이 낮은 집단이 높은 집단보다 더 높은 경로계수를 나타내어 가설은 기각되고 방향성은 나타났다. 포용적 이미지가 행정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의 조절효과와 쾌적한 이미지, 시민친화적 이미지, 포용적 이미지가 도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의 조절효과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 KCI등재

        도시마케팅을 위한 도시의 인지적 이미지, 정서적 이미지와만족 간의 구조모형분석: 아산시를 사례로

        이정란 한국지역학회 2009 지역연구 Vol.25 No.2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dentify the determinants of cognitive image and to examine the effect of cognitive image on affective image and satisfaction for city marketing. And to identify the mediation roles of affective image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cognitive image and satisfaction. For these purposes the author developed a structural model which consists of several variables. The data were collected 409 city residents and analyzed using SPSS Win/PC 14.0 and LISREL 8.5W.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ognitive image has a positive effect on positive affective image and satisfaction. Specially, symbolism, public service, development capability and facilities furtherance has a positive effect on positive affective image and satisfaction. Second, affective image has a positive effect on satisfaction. Third, cognitive image has a positive effect on satisfaction through mediating role of affective image. At the end of this paper, discussions and city image's managerial implications for city marketing. Also the limitations and the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suggested. 본 연구는 인지적 이미지의 각 차원이 정서적 이미지와 만족에 직․간접적으로 미치는 영향을 구조모형분석으로 규명하고자 하며, 이를 통해 핵심 인지적 이미지 속성을 밝혀내고자 한다. 특히 도시가 갖는 고유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국내 전체 도시의 일반적 특성보다 특정 도시를 선택함으로써 해당 도시의 보다 현실적이고 구체적인 도시마케팅을 위한 정책 제안을 제시하는 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연구목적을 위해 아산시에 거주하고 있는 20대 이상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수집한 자료 중 409부를 최종분석에 활용하였으며, SPSS Win/PC 14.0 프로그램과 LISREL 8.5W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선행연구를 통한 도시의 인지적 이미지는 문화성, 상징성, 구조성, 전통성, 공공서비스, 혁신성, 발전가능성, 시설조성, 환경성, 경제성, 교육성과 시민성의 12개 차원으로 도출하였고 실증분석을 통해 문화성, 상징성, 구조성, 전통성, 공공서비스, 발전가능성과 시설조성의 7개 차원으로 재정리되었다. 실증모형에 따르면 제안모형은 만족스러운 모형 적합도를 보여주었으며 도시의 인지적 이미지는 정서적 이미지와 만족에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서적 이미지가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지적 이미지 차원별 영향력은 상징성, 공공서비스, 발전가능성과 시설조성이 정서적 이미지에 직접적으로 정(+)의 영향을 미치며, 정서적 이미지를 통해 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지적 이미지는 만족에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해당 도시의 도시마케팅과 관련된 도시이미지 제고 방안들을 제안하였으며 연구의 한계점을 언급하였다.

      • KCI등재

        한성과 경성의 불안한 공존: 식민지시대 서울의 도시 이미지 형성에 대한 연구

        성효진 ( Sung Hyojin )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2018 미술사와 시각문화 Vol.22 No.-

        이 글은 식민지시대 서울의 도시 이미지가 만들어지는 과정에서 한성(漢城)과 경성(京城)을 상징하는 장소들이 공존한 양상을 살펴보려는 시도이다. 이는 한성에서 경성으로의 변화와 그 이미지의 형성을 이분법적인 분리보다는 복잡하게 얽힌 중첩으로 이해하려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주목한 것은 두 가지이다. 첫째, 한성과 단절된 듯한 도시로 여겨진 경성의 도시 이미지에서 한성을 상징하는 요소들이 발견된다는 사실이다. 둘째, 경성의 도시 이미지는 당대인들의 인식 및 반응과 시각문화를 활용한 일본의 정책이 교차하는 지점에 있다는 것이다. 이를 논의하기 위해 본고는 1897년에서 1939년까지의 시기를 세 부분으로 나누어 경성의 도시 이미지가 만들어지는 과정에서 한성과 경성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시기 구분은 당대인들이 한성에서 경성으로의 전환을 인식할 만한 시각적인 변화들이 나타나 도시 이미지가 형성되었다는 사실에 바탕을 두고 있다. 1897년에서 1910년까지의 시기에 한성의 도시 공간에서 나타난 변화들은 한성의 저항과 경성의 태동으로 이해될 수 있다. 한성의 도시 공간에서는 대한제국의 상징인 경운궁(慶運宮)을 중심으로 근대화사업이 시행되었으며 아울러 서양 공사관 영역과 일본인 거류지가 형성되었다. 이들 사이의 균형은 러일전쟁을 기점으로 무너졌다. 한성은 경성으로 불리기 시작하였으며 남촌 전반으로 확장된 일본인 거류지 인근에서는 경성박람회(京城博覽會)가 열렸다. 이와 대조적으로 한성을 상징하는 장소인 남대문(南大門) 일대의 성벽은 해체되었으며 창경원(昌慶苑)은 동물원으로 격하되었다. 덕수궁(德壽宮)으로 불리게 된 경운궁에는 1910년에 서양식 건물인 석조전(石造殿)이 완공되었다. 이와 같이 경성의 태동과 한성의 쇠락은 도시 공간에서 압축적으로 드러났다. 1910년에서 1920년대 중반까지 경성의 도시 이미지가 형성되어가던 과정은 식민지 조선의 수도인 경성의 건설과 조선왕조의 왕도(王都)였던 한성에 대한 기억의 공존으로 논의될 수 있다. 경성으로 바뀐 도시 공간에서 한성을 상징하는 장소들은 점차 사라졌다. 이 공간은 식민 지배를 상징하는 건물들인 조선총독부 청사(朝鮮總督府廳舍), 조선신궁(朝鮮神宮) 등으로 채워졌다. 경성의 건설은 다양한 행사와 매체를 통해 기념되었다. 당대의 조선인들은 새로운 시각 경험을 즐겼으나 동시에 조선인 지역인 북촌과 일본인 지역인 남촌을 구분 지으며 일본인들의 북부 진출을 우려하였다. 이 과정에서 그들은 한성을 상징하는 장소들이 사라져간다는 사실을 인식하며 이 장소들을 기억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이 경성의 도시 이미지에는 한성을 상징하는 장소들이 지속적으로 남아있었다. 경성은 1920년대 중반에 이르러 ‘대경성(大京城)’으로 불렸다. 1926년에서 1939년에 이르기까지 대경성과 그 이미지는 소비문화의 정점에 있었으나 이는 허상에 가까웠다. 남촌의 중심인 조선은행 일대는 백화점과 함께 근대 도시 대경성의 핵심적인 이미지로 굳어졌다. 한성을 상징하는 장소들은 여가의 중심지인 공원으로 변용되었다. 그러나 대경성은 남촌과 북촌이라는 각각의 도시로 여겨질 정도로 격차가 심화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당대인들은 대경성의 도시 이미지 속에서 스스로를 파편으로 보았다. 산책자(flaneur)도 그들 중 하나였다. 대경성의 거리를 부유하며 남촌과 북촌 어디에도 소속되지 못한 이들은 조각난 대경성이미지 그 자체였다. 이는 경성의 도시 이미지가 하나의 이미지가 아닌 파편화된 이미지들의 종합으로만 이루어질 수밖에 없었음을 보여준다. 경성의 도시 이미지 안에서 이렇게 한성과 경성은 불안하게 공존하고 있었던 것이다. This paper attempt to explore the coexistence of Hanseong and Gyeongseong in the urban image of Seoul during the colonial period. It examines the transition from the capital city of the Joseon dynasty (1392-1910) Hanseong to the modern city of Gyeongseong and the formation of the image of the city. There are two main focuses in this study. Firstly, it is the fact that elements representing Hanseong are found in the image of Gyeongseong, which seems to be disconnected from Hanseong. Secondly, the image of Gyeongseong is located at the intersection of Japanese politics. The period from the founding of the Great Korean Empire (Great Han Empire) to the 1910 Korea-Japan annexation treaty witnessed the birth of the modern city of Gyeongseong. Modernization projects on the Gyeong’un Palace (Gyeong’ungung) were carried out. At that time, there were a Legation Quarter around the Gyeong’un Palace and a Japanese town near the Catholic Cathedral. The political balance among the Korean Empire, the Western superpowers, and Japan collapsed during the Russo-Japanese War. After this event, Hanseong began to be called Gyeongseong. The Gyeongseong Fair was held near the Japanese settlement that extended to the whole of Namchon (South Village). In contrast, the walls near Namdaemun (the Great Southern Gate), a place symbolizing Hanseong, were demolished. In the Gyeong’un Palace, which was called Deoksu Palace (Deoksugung), the construction of Seokjojeon (Stone Hall), a Western-style building, was completed. The emergence of Gyeongseong and the decline of Hanseong appeared together simultaneously in the formation of the modern city of Seoul. During the period from 1910 to the mid-1920s, when Hanseong was replaced by Gyeongseong, the image of Seoul based on the construction of the colonial capital was created. During the time, Korean people attempted to remember the lost Hanseong. Their strong feelings of nostalgia for the lost capital city of the Joseon dynasty were found in numerous textual records. The places symbolizing Hanseong were gradually dismantled. This space was filled with buildings that symbolized colonial rule. The construction of the modern city of Gyeongseong was commemorated by various events and popular media. While Koreans enjoyed a new visual experience of witnessing the birth of a modern city, they worried that the Japanese would occupy Bukchon (North Village), the Korean territory in the city. In this process, they recognized and remembered the places symbolizing the old capital city of Hanseong that was disappearing and fading into oblivion. As a result, the urban image of the new capital city of Gyeongseong was filled with Korean people’s sorrowful memories of Hanseong. After the mid-1920s, Gyeongseong came to be called Dae-Gyeongseong (Great Gyeongseong). The image of Dae-Gyeongseong was created and constantly reproduced in popular media. The rise of modern consumer culture played a key role in the proliferation of the urban image of Dae- Gyeongseong. However, the image of Dae-Gyeongseong was nothing but an illusion. In the urban space of Dae-Gyeongseong, the difference between Namchon and Bukchon was extremely huge to the extent that they appeared to be two separate cities. In this situation, the city-dwellers of the time saw themselves as fragments in the city. The flaneur was one of them. The flaneur who did not belong to either Namchon or Bukchon strolled the streets of Daegyeongseong. The sense of alienation and uncanniness that the flaneur felt was inseparable from the fragmented urban landscape of Dae-Gyeongseong. The urban image of Dae-Gyeongseong can only be achieved by a synthesis of fragmented images rather than a single image.

      • KCI등재

        역사문화도시로서 부여의 도시이미지 형성방안 연구

        박철희(Park, Cheol-Hee),이정수(Lee, Jeong-Soo) 한국도시설계학회 2010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1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역사문화도시로서 부여의 바람직한 도시이미지 형성 방안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먼저 이론적 고찰과 선행연구를 통해 도시이미지의 개념과 전략사업 유형을 조사하고 역사문화도시 이미지 형성요소를 도출하였으며, 도출된 형성요소를 바탕으로 부여에 대해 현황 및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형성요소별 이미지 평가에서 부여는 역사부문은 긍정적인 이미지가 형성되어 있으나, 문화예술, 도시경관, 산업ㆍ경제, 주민의식부문에서는 부정적인 이미지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역사문화도시로서 긍정적인 도시이미지 형성을 위해서 긍정적인 이미지가 형성되어 있는 역사부문은 단순히 역사문화자원의 보존이 아닌 역사자원의 홍보와 브랜드화를 통해 긍정적인 이미지를 강화할 필요가 있으며, 부정적인 이미지가 형성되어 있는 문화예술, 도시경관, 경제, 문화공동체 의식부문은 부문별 체계적인 종합육성을 통해 긍정적 이미지 형성의 기반을 구축하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역사문화도시 이미지 형성 요소 및 접근방법을 바탕으로, 추후 형성요소에 대한 중요도 분석을 통하여 더욱 합리적인 도시이미지 형성 방안이 도출되길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how to make the image of Bu-Yeo as a historic & cultural city. For this purpose, first, the concept of city image and types of strategic business are drawn through theoretical and precedent study, and then, survey and analysis about the elements of city image are conducted with a focus of Bu-Yeo. As the results of the evaluation on the image elements of Bu-Yeo, we found that the image of historical sector is formed affirmatively, while the image of culture and art, urban landscape, industrial economy and resident awareness sector are formed negatively. To create a positive image of Bu-Yeo as a historic & cultural city, historical sector needs to make a brand and marketturastrategyhis to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not just to preserve. The sector of culture and art, urban landscape, industrial economy and resident awareness need to establish a comprehensive development plan system and promote strategic business about each sector. Based on the elements of city image, the proposals for image-making are suggested in this study. In the future we would like to propose a more reasonable scheme for image-making of city through the critical and weighted analysis on the image-making elements of historic & cultural city.

      • KCI등재

        경관계획을 위한 도시 이미지 설정 방안 연구 ― 과천시 사례를 중심으로

        홍관종 ( Hong Kwan-jong ),정윤희 ( Jung Yun-hee ),신영선 ( Shin Young-sun ),강영은 ( Kang Young-eun ),권윤구 ( Kwon Yoon-ku ),유미경 ( Yoo Mi-kyoung ),변재상 ( Byeon Jae-sang ),임승빈 ( Im Seung-bin ) 한국경관학회 2009 한국경관학회지 Vol.1 No.1

        본 연구는 경관계획을 수립하기에 앞서 경관계획의 기본방향을 도출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도시의 정체성 및 이미지를 살펴보고, 도시 이미지를 형성하는 요인들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경관 계획을 수립하는데 있어 도시 이미지를 설정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통해 과천시를 대상으로 현재 과천시의 이미지 및 미래의 바람직한 도시 이미지를 대응일치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도출하고, 과천시를 대표하는 지형지물의 이미지 및 도시 전체 이미지를 다차원 척도법(MDS)을 활용하여 비교·분석한 후 과천시에 적합한 대표 지형·지물 및 랜드마크 이미지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 과천시의 도시 유형은 전원도시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미래 과천시의 바람직한 도시 유형 또한 전원도시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도시 이미지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전국의 주요 도시 유형과 도시들 간의 관계를 대응일치분석을 통해 분석한 결과, 과천시는 자연도시, 전원도시의 특성을 다른 도시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이 지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과천시 대표 지형 및 지물로는 ‘관악산’과 ‘서울대공원’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과천시 대표 지형지물의 이미지와 과천시 전체 이미지를 분석한 결과, 과천시 이미지에 부합하는 랜드마크는 중앙공원과 시민회관으로 분석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향후 도시 이미지 형성 및 경관계획을 수립하는데 있어 기초자료가 될 것이며, 향후 도시 이미지 향상을 위한 경관계획 기법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city image in devising landscape planning by examining the image, the identity of cities and analyzing the factors that constitute the image of the cities as a method to deduce a fundamental course of landscape planning before establishing landscape planning. With these results, the study derived city image of Gwacheon and appropriate city image of the future by applying Correspondence analysis, then present appropriate representative geographic form, man made feature and landmark image by applying MDS(Multi dimension scaling), the method to compare each other to represent Gwache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At the present, the city type representing Gwacheon is a garden city resulted from the previous study and also the future city type from the research resulted as a garden city, the most suitable city type of Gwacheon. 2. Gwachen city has more characteristics as a green city and a garden city,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relation between the major cities nationwide and their classification of cities and the by Correspondence analysis as a fundamental data to improve city image. 3. The representative topography and man-made feature of Gwacheon city are 'Gwanak mountain' and 'the Seoul Grand Park', and also the landmark corresponding with Gwacheon city image are 'Choongang park' and 'city community center' that resulted from analyzing representative image of topography and man-made feature in Gwacheon city between the entire image of Gwache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applied as landscape planning method for forming city image and establishing landscape planning as a fundamental basis to improve city image in the future.

      • KCI등재

        도시이미지 인지와 선호등위선 개발 - 성남시를 대상으로 -

        변재상,Byeon, Jae-Sang 한국조경학회 2010 韓國造景學會誌 Vol.38 No.3

        도시 내 일부 부정적인 이미지를 지닌 지역은 도시 전체 이미지에 커다란 악영향을 미쳐 궁극적으로는 전체 도시이미지 향상을 저해하는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이러한 지역을 사전에 찾아내기 위하여 도시이미지를 도면화하는 것은 도시 정책 입안자들의 효과적이고 합리적인 정책 및 대응전략 수립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도시이미지에 대한 시민들의 인지도와 선호도를 기반으로 등위선을 제작하였으며, 이를 중첩하여 관리도면을 도출함으로써 도시이미지 전략을 결과 위주가 아닌, 프로세스 중심으로 변화시키는 초석을 마련하고자 진행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로서, 첫째, 성남시의 주요 상징물들의 인지도와 선호도를 분석한 결과, 인지도는 지역별로 큰 차이를 보이고 있었으나, 선호도는 비교적 균등한 값의 분포를 보이고 있었다. 둘째, 도시의 이미지 경향을 파악하고 진단하기 위한 인지와 선호등위선은 도시 전체 차원에서, 도시의 전반적인 이미지 경향을 한눈에 쉽게 판단하게 해주는 장점이 있다. 셋째, 인지와 선호등위선을 중첩한 도시이미지 관리도면에서는 4가지 유형으로 도시 권역을 구분할 수 있으며, 이들에 대한 관리방안에 있어서 인지도가 높으나 선호도가 낮은 지역은 특별히 이미지 관리의 우선지역으로 선정하여 도시 전체의 이미지 역량을 집중시킬 필요가 있다. 한편, 이상의 결과 이외에도 인지도가 높은 지역의 경우, 많은 사람들이 방문하거나 유동 인구가 많은 곳으로 판단할 수 있다. 특히, 해당 지역 중 선호도가 높은 지역들은 도시 관리를 위한 조망점 선정에 있어서 유력한 후보군으로 분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인지와 선호등위선은 향후 도시 관리를 위한 조망점 선정에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도시이미지 선호지역을 중심으로 외부 방문객들이 도시를 탐방하고 관광할 수 있는 도시탐방 네트워크 구성에 활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는 도시의 전반적인 이미지 향상에 새로운 활력을 제공해 주는 계기가 될 것이다. Areas with negative images in cities can degrade the image of the city as a whole and slow the city's efforts to improve its image. The identification of such areas and the development of a city contour that charts the images of various areas in advance can help urban planners establish relevant strategies to ameliorate detrimental images of the city. This study intends to draw a contour of Seongnam City according to citizen's cognition levels of and preference for city area images and aim to shift the strategy of urban image planning from being results-oriented to being process-orien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n analysis of the level of cognition of and preferences for Seongnam City's landmarks shows that the degree of cognition varies in different areas, whereas that of preferences remains similar; Second, the cognition and preference contour makes it easy to assess and diagnose city images; Third, the image management map, which merges the cognition contour with the preference contour, divides the city into four different areas. In order to manage city images, it follows that those areas with a high degree of cognition but low preference need to be classified and dealt with first. Further, this study shows that those areas with high cognition are the most populated and visited. Areas with high preference can become a strong candidate for being a landscape control point of a city, which adds to the usefulness of this study. The contour of Seongnam will contribute to networking sightseeing areas for visitors centered upon those places of high preference. It would appear that this type of networking will inspire a better image for the city.

      • KCI등재

        대전시 상징물과 도시 이미지에 대한 비교 분석

        변재상,김대수,이정수,Byeon, Jae-Sang,Kim, Dae-Soo,Lee, Jung-Soo 한국조경학회 2010 韓國造景學會誌 Vol.38 No.2

        도시의 미래 모습을 결정하는 도시경관계획의 단계에서 도시 이미지가 어떻게 평가되고 있는가를 분석하여 바람직한 도시 이미지 형성 방향을 설정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선행과제가 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시민들이 주체가 되어 도시의 이미지를 어떻게 인지하고 평가하는지를 다차원척도법과 대응일치분석을 이용하여 계량적으로 연구하는데 있으며, 나아가 전문가와 관련 공무원들의 인지 경향을 파악함으로써, 도시 이미지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정량화된 정책 방향 설정에 도움이 되고자 수행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전시 이미지는 주로 역사성, 역동성, 규모성 등에 의해 평가되는 경향이 강하였다. 이러한 기준에 따라 대전시는 전체적으로 새롭고 변화하는 이미지가 강한 도시로 인식되었으며, 공무원들에게는 소박한 느낌의 도시, 전문가들에게는 평범한 느낌의 도시로 인식되고 있었다. 따라서 소박하고 평범한 이미지에 대응할 수 있는 대전시 정체성과 개성을 찾는데 보다 노력하여야 할 것이다. 2. 대전시의 이미지에 많은 영향을 끼치는 상징물 혹은 상징적인 공간으로는 갑천이나 둔산 신도심, 대덕연구단지 등을 들 수 있다. 이에 비하여 유성온천과 원도심, 엑스포 공원 등은 대전시와 이미지가 크게 다르게 나타나고 있었다. 이에 따라 대전시의 이미지를 희석시키는 낙후된 시설과 상징물들의 현대적 리모델링이 필요하다. 3. 도시 이미지의 선호도를 알 수 있는 ‘좋은-싫은’의 형용사 이미지의 경우, 일반인과 전문가들에게 있어서는 모두 싫어하는 경향을 나타나고 있었으나, 공무원들은 좋아하는 이미지를 지니고 있었다. 따라서, 세 집단 모두 좋아하는 둔산 신도심이나 대덕연구단지 등과 같은 현대적 첨단산업의 이미지를 투영시킬 필요가 있다. 4. 대응일치분석을 통한 이미지 분포도에서 대전시는 행정도시와 수평적 도시의 특성이 강한 도시로 분류되었다. 기존의 단순한 도시 이미지 분석 연구와는 달리 본 연구에서는 분석 내용을 토대로 비교적 명확한 진단을 통해, 도시의 미래상 및 방향 설정에 도움을 주고자 노력하였다. It constitutes a very important preliminary step to analyze how city image is assessed in order to determine the direction towards a desirable city image in planning on an urban landscape for future city image. This study aims to quantify the recognition and evaluation of a city image on the part of citizens, using multidimensional scaling and correspondence analysis. Furthermore, this study hopes to contribute to the quantified policy-making for improving city image by understanding how professionals and civil servants in the related field tend to recognize such image. The results from the study are as follow: 1. The image of Daejon City tends to be assessed strongly in the light of its history, dynamics, and size. While the City is recognized as new and changing in general, the civil servants consider the city as modest, and the professionals as mediocre. Therefore, the City should strive to conceive its own unique identity, which would lessen the current image of modest and mediocre. 2. Gap river, Dunsan New Town, and the Daeduk Reseach Complex turn out to be the symbolic representative venues of Daejon City, inspiring the city’s image. In contrast, Yoosung Springs, the original town, and the Expo Park do not fit the image of the City. The need to renovate these places presents itself. 3. As for the questions using “like” and “not-like”, citizens and professionals show the tendency of not liking the city’s image, whereas civil servants like it. It follows that the City needs to highlight its “modern and high-technological” image, illuminated by Dunsan New Town and Daeduk Reseach Complex. 4. An image positioning drawn from a correspondence analysis shows that the City of Daejeon can be classified as an administrative and horizontal city. As opposed to the prior simplistic analyses of city image, this study attempts to diagnose it accurately, so as to help with the gearing towards city images in the future.

      • KCI등재후보

        도시이미지 향상을 위한 공공디자인 정책에 관한 연구

        안진근,김주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0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5 No.2

        세계가 단일 공동체화 되어가는 과정에서 경쟁 단위로서의 국가 개념보다는 도시를 중심으로 한 경쟁이 심화되고 있다. 이러한 도시간의 경쟁은 다양한 도시 마케팅을 통해서 차별화된 도시의 이미지를 만들고 있으며 그 중심에 공공디자인이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이미지 향상을 위한 중앙정부와 광역시도, 광역시도와 기초 도시들의 공공디자인 정책과 상호 업무 연계에 관해 연구하고 공공디자인으로 도시이미지 향상에 성공한 해외 도시들과 국내 도시들의 공공디자인 사례 분석을 통해 도시들의 공공디자인 정책과 방향에 관해 조사하고 효율적인 공공디자인 정책을 제안하려고 한다. 특히 도시이미지 향상을 위해서는 그 도시의 여건과 환경에 적합한 공공디자인 대상이 명확해야 하며 거기에 맞는 공공디자인의 방향과 정책의 운영이 필요하다.도시들의 공공디자인 정책에 꼭 반영되어야 할 내용은 그 도시의 아이덴티티를 반영한 건축물과 가로환경, 랜드마크의 보전과 관리, 역사전통지구의 보전 등이며 이러한 사업들이 도시의 경관 이미지를 좌우한다. In the process of a global community, the competition between cities has become more fierce than between countries, as a competition units. This competition between cities has made the differentiated city image with a variety of city marketing, and public design is at the center of city marketing. This paper will study the public design policy and mutual work connection among cental government, metropolitan and metropolitan cities, which are important to implement the public design policy for city image improvement study the public design policy and direction with a case study of Korea and overseas cities, which improved city image successfully, and then suggest a effective public design policy to improve each city's image in the era of local autonomy. Especially to improve the city image, there should be the clear public design's object proper to the condition and circumstances, and direction of public design and policy management. Cities' public policies should reflect the architectures and street environment, reflecting the city's identities, and preservation of landmarks and historical district, which determine the image of cityscape.

      • 불확실성 인식가능한 베이지안 순환신경망 사용 소프트 센서 개발

        이민정,김성범 한국품질경영학회 2021 한국품질경영학회 학술대회 Vol.2021 No.-

        딥러닝 모델을 활용한 데이터 기반 소프트 센서는 산업 공정의 주요 변수를 측정하는 데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공정 진행 중 예상치 못한 상황이 발생하거나 잡음이 있는 데이터가 입력될 경우 소프트 센서가 추정한 값을 신뢰하기 어렵다. 따라서 소프트 센서의 추정값을 얼마나 신뢰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불확실성 정보를 추정값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면 모델 추정값의 품질을 개선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베이지안 순환신경망을 사용하여 불확실성을 인식할 수 있는 소프트 센서를 제안한다. 제안 모델의 우수성 및 적용성은 운전자의 운전 패턴이나 도로 특성에 따라 다양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는 실제 자동차 산업 데이터를 사용하여 입증하였다. 실험을 통해 제안하는 소프트 센서가 예측 성능을 유지하면서 불확실성을 사용한 구간 예측까지 가능함을 보였다. 또한 측정된 불확실성을 이용하여 소프트 센서 성능 향상을 위한 추가 고품질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