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도로다이어트를 위한 차로폭 설계 기준에 관한 연구

        도충현,이영우 한국도로학회 2010 한국도로학회논문집 Vol.12 No.1

        Rapid urbanization causes a variety of transportation problems, including traffic delay. Then transportation engineers would get involved in trying to solve traffic delay through road constructed and uncongested policy. But lately, traffic policy changed from vehicle-dominated to human-dominated and green transportation. Road diet is one of green transportation. Road diets reduce the number of lanes, lane width because supplement space for green transportation including a bicycle road, side-walk, etc. A study on road diets not enough then this study performed a basic study for road diets. This study on lane width reduce for road diets through analyzes sway of moving vehicle. This study results shows lane width of a compacts-size car needs 2.34~2.70m and lane width of a full-size car needs 2.62~2.89m. According to this study lane width can reduce therefore lane width design criterion have to be relieved. This study will be used in a road width reduce including a road diets, road in process of construction and so on. 급격한 도시화는 교통지체를 포함하여 다양한 교통문제를 유발하였다. 따라서 도로건설, 교통소통 위주의 정책을 통해 교통지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그러나 차량중심의 교통소통 정책의 한계를 인식하고 최근에는 인간중심의 녹색교통 정책으로 전환되고 있다. 도로다이어트는 이러한 녹색교통의 하나로 추진되고 있는 개념이다. 도로다이어트는 차로수, 차로폭 등을 줄여서 확보된 공간에 자전거도로, 보행자를 위한 쾌적한 보행로 등 녹색교통을 위한 공간으로 활용하고자 하는 방법이다. 도로다이어트는 최근에 도입된 개념으로 아직 구체적이고 실증적인 연구가 많이 수행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로다이어트를 위한 차로폭 축소 방안에 대한 기초적이고 실증적인 연구를 수행하였다. 현장조사를 통해 차로를 주행하는 차량의 차로중심선에서 이격량을 분석하여 차량이 주행시에 필요로 하는 최소한의 차로폭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소형차의 경우 조사지점별로 2.34~2.70m, 대형차의 경우에는 2.62~2.89m의 차로폭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나 도로다이어트 등 설계자의 목적에 따라 차로폭을 다소 축소할 수 있도록 설계기준을 완화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결과는 도로다이어트, 도로공사 등으로 인해 통행이 가능한 도로폭이 축소되었을 때 차로폭 축소를 위한 설계기준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폭원 9m 미만 도로 내 교통사고 영향 요인 분석

        임유진,문학룡,강원평 한국ITS학회 2014 한국ITS학회논문지 Vol.13 No.3

        급속한 경제발전으로 인한 차량중심의 도로교통정책으로 보행자 환경은 상대적으로 열악해졌고, OECD 회원국 평균 보행자 사고율은 17.8%인데 비하여 우리나라는 36.4%의 높은 보행자 사고율을 기록하였다(2009년 기준). 보행환경 개선 을 위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보행을 보장하고 안전하게 보행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 다. 이에 본 연구는 보행자 안전성 증진을 위하여 집 앞 도로, 즉 집·분산도로를 포함할 수 있도록 폭원 9m 미만 도로 에 대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분형 로지스틱회귀모형을 사용하였으며, 종속변수는 폭원 9m 미만 도로에서 발생한 교통사고 여부, 독립변수는 교통사고 자료에서 얻을 수 있는 변수를 추출하였다. 폭원 9m 미만 도로 내 교통사고에 영 향을 미치는 변수로는 운전자가 직진 중 일 때, 운전자가 여성일 때, 보행자가 차도로 통행 중일 때, 자전거 운전 중 일 때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 폭원 9m 미만 도로에 직진차량 속도저감 기술, 교통약자 보호, C-ITS를 이용한 안전한 보행환경 조성 등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Necessarily traffic policies have been biased in car than pedestrian, so pedestrian`s environment is getting worse. Result of this situation our accident rate is high as 36.4%, compared to OECD member countries with average rate of 17.8%(in 2009). Increasing interest for pedestrians environment improvement, and it make an effort to build environment to guarantee walk and safety of pedestrians. Analysis on the binary logistic regression(BLR) was used. The dependent variable is occurring from the road width of less than 9m accident, and independent variable extracted can be obtained from the traffic accident data. Traffic accident on roads having width of less than 9 meters affecting variables is when the driver is straight, when the driver is female, when the pedestrian is walk driveway, and so on. To prevent it, efforts is demanded to protect handicapped, to build safe pedestrians environment using C-ITS and to decrease speed of going straight vehicle on roads having width of less than 9 meters.

      • KCI등재

        도시부 도로에서 주행차량의 횡방향 이격량 분석을 통한 곡선부 차로폭 연구

        이영우 한국도로학회 2011 한국도로학회논문집 Vol.13 No.2

        In this study, estimated the minimum lane width for the curved section by analyzing of lateral sway distance and compared the lane width for result of this study and a precedent study for straight section on urban roads. Then suggested minimum lane width of road alignments and vehicle classes. The lane width of curved section that was investigated was 2.79m~3.40m. Analysis of frequency distribute and cumulative frequency distribution for lateral sway distance on the basis of 85% of the suggested vehicles. The result of study, minimum lane width for the curved section was 2.31m~2.58m in the case of small size car and 2.80m~3.27m in the case of large size car. Result of this study is judged that it is necessary to case for introduction of green transit, during road construction and construct a road for small size car. Expect result of this study can be used for the application of flexible design standard according the purpose of road designer. 본 연구에서는 도시부도로의 곡선구간에서 주행차량의 횡방향 이격량을 분석하여 차량 주행에 필요한 최소 소요차로폭을 산정하였으며 본 연구결과와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직선구간에서의 최소 소요차로폭을 비교₩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도로의 선형과 차종에따라 곡선구간에서의 최소 소요차로폭을 제시하였다. 조사대상 곡선구간 도로의 차로폭은 2.79m~3.40m이다. 주행차량의 횡방향이격량의 분포 및 조사대상 차량의 85%를 기준으로 누적분포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곡선구간에서의 최소 소요차로폭이 소형차량의 경우 2.31m~2.58m, 대형차량의 경우 2.80m~3.27m로 산정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녹색교통 도입을 위한 공간, 도로공사 중,소형차 전용도로의 건설 등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설계자의 목적에 따라 유연한 차로폭 설계기준의 적용에 필요한 기초적인연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국지도로의 노상주차 특성에 관한 연구

        김기혁,이상인 대한교통학회 2004 대한교통학회지 Vol.22 No.7

        본 연구는 대구시내 국지도로의 노상주차장 설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노상주차장의 설치가 필요한 지역을 선정하고, 도로의 신설 또는 확폭시 합리적인 계획 폭원을 제시하기 위한 기초적인 연구로서 12개 시범지역의 교통환경을 분석하였다.교통량과 보행량을 제외하고 노상주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대부분이 계량화되지 않은 정성적인 자료이고, 종속변수인 노상주차장의 설치 유무도 질적인 자료이므로 수량화이론Ⅱ류의 분석방법을 사용하여 종속변수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고, 수집된 자료의 상관성을 검토하기 위해 판별분석을 시행하여 그 적중률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국지도로상에서 노상주차장의 설치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도로 폭원, 교통량, 보행자수, 노점상 등 상가적치물과 불법주차차량의 유무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도로의 신설 또는 확폭시 단지나 건축물내 발생 교통량과 통행량 분석과 인근지역의 노점상 점유와 불법주차 정도를 파악하여, 노상주차장 설치 여부를 결정하고 이에 적절한 도로 폭원을 계획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

        고구려 평양 장안성의 외성 내 격자형 구획과 도시 형태에 대한 신검토

        기경량(Ki, Kyoung-ryang) 고구려발해학회 2018 고구려발해연구 Vol.60 No.-

        고구려 평양 장안성은 외곽 둘레 약 17.4km, 안쪽 성벽의 길이까지 더할 경우 전체 길이 약 23km에 달하는 거대한 도성이다. 장안성은 북성 · 내성 · 중성 · 외성의 4개 공간으로 구분되어 있었다. 이중 외성의 경우는 성벽 안쪽 공간에 격자형의 구획이 이루어져 있어 오래 전부터 관심의 대상이 되었다. 하지만 유적에 대한 접근상의 어려움으로 인하여 연구에 제약이 있는 상황이다.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조선시대 그려진 평양 지역 고지도와 GIS 및 위성사진에 기반하고 있는 구글 어스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특히 일제강점기 세키노 다다시(關野貞)의 조사 내용이 상세하게 반영된 「平壤城址及遺存石表圖」(1929)라는 지도를 구글 어스로 불러들여 장안성 형태 복원에 이용하였고, 프로그램 상에서 거리와 면적 등의 실측이 가능하도록 조작하였다. 장안성 외성의 격자형 구획과 관련하여 연구 상에 혼선이 발생하고 있는 점은 크게 두 가지이다. 첫째, 정양문과 함구문 사이의 동서 구간이 3개 구역인가 4개 구역인가 하는 문제이다. 둘째, 장안성 외성의 격자식 구획의 형태가 정사각형인가, 가로가 긴 직사각형인가 하는 문제이다. 정양문과 함구문 사이의 동서 구간은 조선시대 그려진 고지도와의 교차 검증을 통해 4개 구역으로 이루어졌음을 확인하였다. 장안성 외성의 격자형 구획 형태에 대해서는 그간 ①정사각형설과 ②직사각형설, 그리고 ③ 정사각형 · 직사각형 혼합설의 세 개의 설이 제시되어 있었다. 이중 가장 뒷 시기에 제시된 정사각형 · 직사각형 혼합설이 최근까지 널리 수용되고 있었다. 그러나 구글 어스 상에서의 실측 결과 이는 정양문과 함구문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지 못하였던 데서 발생한 오류인 것으로 여겨진다. 실제로는 외성 내의 모든 공간이 일관되게 정사각형으로 구획되었던 것으로 파악된다. 외성의 도로폭은 세키노 다다시가 남긴 석표 간의 실측 수치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복원하였다. 그 결과대로 폭의 평균은 14.989m, 중로 폭의 평균은 4.823m로 확인되었다. 이는 고구려척으로 환산할 경우 각각 40척과 14척에 해당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정사각형 형태의 주거 구역은 한 변의 길이가 177.08m로서, 이는 고구려척으로 500척에 해당한다. Jang-an Fortress, Pyongyang, Goguryeo is a huge wall with the outer circumference of about 17.4km, which reaches a length about 23km if the length of the inner rampart is added. Jang-an Fortress was divided into four spaces, including the north fort, the inner fort, the central fort and the outer fort. Of them, the outer fort, consisting of a grid-type section in the space inside the rampart had become an object of concern since long ago. However, there is a limitation in research due to the difficulty in accessing to the relics. To overcome this, an old map of the Pyongyang area drawn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research was conducted, using Google Earth based on GIS and satellite photography. Especially, the Diagram of the Remaining Stone Mark in the Pyongyang Fortress Site, 「平壤城址及遺存石表圖」(1929), a map where the details of Sekino Tadashi’s (關野貞) survey in the Japanese Colonial Era were reflected in detail was retrieved by Google Earth and used for the restoration of the shape of Jang-an Fortress, and manipulated so that the distance and the area could be actually measured on the program. Broadly, there are two confusions in research concerning the grid-type section of the outer fort of Jang-an Fortress: First, whether there are three or four areas in the east-west section between Jeongyang-mun Gate and Hamgu-mun. Second, whether the shape of the grid-type section of the outer fort of Jang-an Fortress is a square or a rectangle with a long width. It was found that the east-west section between Jeongyang-mun Gate and Hamgumun Gate consisted of four areas through cross-validation with the old map drawn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Concerning the shape of the grid-type section of the outer fort of Jang-an Fortress, three theories have been presented, including ① the “square” theory; ② the “rectangle” theory; and ③ the “mixture of square and rectangle” theory. Of them, the mixture of square and rectangle theory presented the latest has recently been widely accepted. And yet, as a result of an actual survey on Google Earth, it seems that it was an error because the exact locations of Jeongyang-mun Gate and Hamgu-mun Gate were not understood well. In fact, it is judged that all spaces of the outer fort were consistently divided into a square. The road width of the outer fort was restored, actively utilizing the values actually measured between the stone marks left by Sekino Tadashi. According to the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average of the width of the main road was 14.989m, while that of the medium road was 4.823m. If these are converted to Goguryeo cheok (Measurement system), they correspond to 40 cheok and 14 cheok, respectively. For the residential area in a square shape, the length of one side is 177.08m, which corresponds to 500 cheok in Goguryeo cheok.

      • KCI등재

        도로 노면의 형상과 강우의 임계 지속시간을 고려한 적정 우수 유출량 산정 및 영향분석

        이종태,김영란,김갑수,윤세의,박영민 대한상하수도학회 2003 상하수도학회지 Vol.17 No.2

        When calculating the storm runoff from road surface, it is recommendable to introduce the critical duration of rainfall by means of the RUNOFF (SWMM) model, or the Rational method with the travel time values of the kinematic wave' or Kerby's equation modified by multiplying the correction factor of 2.3 or 1.1, respectively. But the travel time of 5-10 minutes suggested in the Guide Manual for Sewer Design is too long to use for calculating road surface runoff. The peak runoff rate increases as the road sectional slope increases, whereas it shows the opposite results for an increase in the longitudinal slope. Also, the effects of the width and length of the road on the surface runoff rates increases greatly, as their values increa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