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평양성 출토 고구려 刻字城石의 판독 및 위치 재검토

        기경량(Ki, Kyoung-ryang) 한국사학회 2017 史學硏究 Vol.0 No.127

        장안성은 고구려 후기의 도성이다. 최근 고대 도성사 연구가 활기를 띠고 있는 점과 연동하여 많은 연구자들의 주목을 받고 있는 대상이기도 하다. 장안성 연구에 있어서 가장 기본이 되는 자료는 평양에서 출토된 고구려 시기의 刻字城石으로, 지금까지 5개가 출토되었다. 평양성 각자성석 연구에는 아직 미진한 부분이 존재한다. 판독에 있어서도 학자들 간 견해가 갈리는 부분이 있고, 특히 출토지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하게 나뉘어 사실상 정설이라고 할 것이 없다. 각자성석의 출토지에 대한 논란이 혼란스럽게 전개되는 이유는 각자성석에 대한 조선시대 문헌 기록에 보이는 정보의 비일관성 때문이다. 따라서 이를 합리적으로 분석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이 글에서는 그동안 논란이 분분하였던 평양성 출토 각자성석 제1석의 발견 위치에 대해 새로운 안을 제시하였다. 『해동금석원』에 전하는 김정희의 글과『삼한금석록』의 오경석이 전하는 바에 따르면 오탄에서 각자성석이 출토되었다고 한다. 그러나 제2석과 제3석은 外城남쪽의 한사정에서 출토된 것이 분명하다. 따라서 오탄에서 출토되었다는 각자 성석은 제1석이었던 것으로 이해된다. 제1석의 발견지가 오탄 부근이 틀림없다면, 제1석에 새겨진 축성 내용은 中城남쪽 성벽에 대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제5석의 출토지 위치에 대해서는 1978년 북한의 최희림이 저술한 『고구려 평양성』의 오류가 현재까지 답습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구글 어스 등의 도구를 이용하여 이를 교정한 위치를 제시하였다. Jangan Fortress is a castle in the late Goguryeo. In connection to the vitalization of studies of the history of ancient castles, it attracts researchers’ attention. The most basic materials in studies of Jangan Fortress are the inscription stones excavated in Pyongyang during the Goguryeo period, and till now, five stones have been excavated. Research on the inscription stones of Pyongyang Fortress is still insufficient. There are divided opinions among the scholars in deciphering them, and especially, their opinions were divided very much, concerning the excavated area, so virtually, there is no established theory about them. The reason why disputes over the area where the inscription stones were excavated are developed confusingly is the inconsistency of information that is seen in the literature record on inscription stones during the Joseon Dynasty perio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work on analyzing this reasonably. This study made a new proposal about the location where Inscription Stone No. 1 excavated in Pyongyang Fortress, was found, over which there have been divergent disputes till now. According to Kim Jeong-hee’s writing in Haedonggeumseogwon and Oh Gyeong-seok’s in Samhangeumseongnok, inscription stones were excavated in Otan. However, it is clear that Stones 2 and 3 were excavated in Hansajeong Pavilion in the south of the outer castle. Therefore, it is understood that the inscription stone alleged to have been excavated from Otan was Stone 1. In addition, if it is certain that the site where Stone 1 was discovered is near Otan, the content of the fortification inscribed in Stone 1 is concerned with the wall in the south of the middle castle. Concerning the location of the area where Stone 5 was excavated, it was found that errors in Goguryeo Pyongyang Fortress written by Choi Hee-rim of North Korea in 1978 are followed till now. This study presented the location that corrected this, using a tool like Google Earth.

      • KCI등재

        고국원왕대 ‘평양동황성(平壤東黃城)’의 위치와 이거(移居) 기록의 성격

        기경량 ( Ki Kyoung-ryang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20 한국학연구 Vol.0 No.57

        427년 고구려는 평양으로 천도를 단행하였다. 이후 평양 지역은 고구려가 멸망할 때까지 왕도로 기능하였다. 그런데 천도 이전부터 이미 고구려왕이 평양 지역을 국정 중심지로 삼았음을 시사하는 기록이 있어 연구자들의 주목을 받은 바 있다. 『삼국사기』 고국원왕 13년조(343)에 따르면 고국원왕이 “平壤東黃城으로 移居하였다”고 한다. 이에 적지 않은 학자들이 고국원왕이 이거하였다고 하는 ‘평양동황성’의 위치를 규명하고자 연구를 진행하였다. 『삼국사기』 기록에는 ‘평양동황성’이 “지금의 서경 동쪽 목멱산 중에 있다”는 설명이 부가되어 있다. 이는『삼국사기』가 편찬되었던 고려 시대에 덧붙여진 정보로서, ‘평양동황성’의 위치를 추정하기 위한 중요한 단서이다. 조선 시대 제작된 지리서와 고지도들에는 실제로 평양의 동쪽에 위치한 의암동 일대에 목멱산이라는 지명과 ‘황성’이라는 유적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다. 일제시기에 진행된 조사에 따르면 의암동 일대에는 실제로 토성 유적이 존재하였다. 최근 새로 발굴된 자료인 『朝鮮城址實測圖』에는 의암동 토성의 실측 도면이 실려 있어 그 규모와 형태를 파악할 수 있다. 여러 정황으로 보아 의암동 토성 유적이야말로 ‘평양동황성’, 즉 ‘평양 동쪽에 있는 황성’의 실체라고 판단된다. 다만 이 성은 규모가 매우 작고 입지상으로도 왕성으로 인정하기 어렵다. 낙랑군이 존속하던 시절 하부 행정 단위의 시설이거나 대동강의 渡江 위치에 설치된 거점 방어 시설로 이해하는 것이 타당해 보인다. 고국원왕이 이곳으로 이거하였다는 『삼국사기』 기록이 과연 고구려 당대의 것이 맞는지도 그 사실성을 신뢰하기 어렵다. 『삼국사기』 편찬 당시 여러 자료를 취합하는 과정에서 의암동 토성과 관련해 평양 현지에서 떠돌던 부정확한 전승이 채록되어 삽입되었을 가능성이 높다고 여겨진다. King Jangsu of Goguryeo transferred the capital to Pyeongyang in 427. Later, the Pyeongyang area acted as the king’s city until Goguryeo collapsed. But there is a record that suggests that kings of Goguryeo took this place as the center of state affairs even before the reign of King Jangsu, staying in the Pyeongyang area, which drew researchers’ attention. It is the record in Year 13 of the reign of King Gogugwon in The Chronicles of the Three States (Samguk Sagi). According to the record, King Gogugwon “migrated to Pyeongyang Donghwang Fortress” in 343. Thus, many researchers have investigated and researched the location of ‘Pyeongyang Donghwang Fortress’ to which King Gogugwon migrated. And yet, in the record of The Chronicles of the Three States, there is a description that ‘Pyeongyang Donghwang Fortress’ is “in Mt. Mongmyeok-san, east of Seogyeong of today.” This is the information added during the Goryeo Dynasty period when The Chronicles of the Three States were compiled, which is an important clue for the estimation of the location of ‘Pyeongyang Donghwang Fortress.’ In Geographic books and old maps produced during the Joseon Dynasty period, it can be found that there was a place name of Mt. Mongmyeok-san, and there was a relic named ‘Hwang-seong’ in the area of Euiam-dong located east of Pyeongyang. In the area of Euiam-dong, there was a relic of a fortress, which was verified in a survey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Especially, in the newly excavated material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Joseon Seongji Silcheukdo, there are the surveyed drawings of Euiam-dong Fortress, which help understand its size and shape. From various situations, the relic of Euiam-dong Fortress is judged to be the substance of ‘Pyeongyang Donghwang Fortress’, that is, ‘Hwang-seong located east of Pyeongyang.’ And yet, this fortress is very small, and it is hard to accept it as a king’s fortress. It is reasonable to understand it as a facility of the subordinate administrative unit when there was Nangnang-gun or a facility for strongpoint defense installed in the place for crossing the Daedong-gang River. It is difficult to trust the record that King Gogugwon moved here is that of the Goguryeo period. It is judged to be reasonable to understand it as a record inaccurately passed down related to the relic of Euiam-dong Fortress inserted in the process of collecting various materials during the Goryeo Dynasty period when The Chronicles of the Three States were compiled.

      • KCI등재

        扶餘 宮南池 출토 목간의 새로운 판독과 이해

        기경량(Ki, Kyoung-ryang) 한국목간학회 2014 목간과 문자 Vol.13 No.-

        궁남지 유적은 634년 백제 무왕이 만들었다고 전해지는 연못이다. 1960년대 후반 부여군 남쪽 지역의 저습지를 현재의 모습으로 복원하고, 1990년부터 2006년까지 국립부여박물관과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에서 순차적으로 발굴 조사를 하였다. 조사 과정에서 백제의 목간이 3점 출토되었는데, 1점은 1995년 조사에서, 2점은 2001년 조사에서 발견되었다. 궁남지 1호 목간은 일찍부터 주목을 받았던 문서 목간이다. 이 목간은 ‘西?後巷’이라는 문구를 통해 백제 도성의 행정구역에 대한 문헌 기록이 사실임을 증명하였고, ‘?夷’와 ‘?人’과 같은 용어를 통해 백제 경내의 外來人의 존재를 확인시켜 주었다. 그밖에도 ‘中口’와 ‘小口’ 등의 용어를 통해 백제가 民을 나이에 따라 관리하였음을 드러냈다. 그러나 궁남지 1호 목간은 그간 많은 학자들의 검토 대상이 되었음에도 여전히 판독상 미비함이 있다. 1999년 간행된 발굴 보고서에 실린 가장 이른 시기의 적외선 사진을 참고한 결과 뒷면에서 ‘干’자와 ‘畑’자를 추가적으로 판독해냈다. 이에 따라 ‘畑丁’이라는 용어의 사용 가능성을 염두에 둘 필요가 생겼다. 나주 복암리 목간의 판독과 연관하여 한때 논란이 되기도 하였던 ‘?人’을 ‘婦人’으로 고쳐서 판독하는 문제는 발굴 초기에 찍은 실물 사진과 적외선 사진을 참고했을 때 역시 ?‘ 人’으로 판독하는 것이 타당하다. 궁남지 2차 보고서 1호는 전형적인 글자 연습용 목간이다. 4개면에 동일한 글자들을 반복해 적고 있으며, 특별한 내용을 담고 있지는 않지만 그간 판독자별로 엇갈렸던 판독문을 이번에 정리하였다. 궁남지 2차 보고서 2호는 그동안 해석이 가능할 정도로 판독이 이루어지지 않았던 목간이다. 글자 연습용 목간이거나 편지 목간일 가능성이 제시된 바 있을 뿐이다. 이번 판독을 통해 몇 개의 글자를 더 읽어낼 수 있었는데, 그 내용은 특정 인물의 戰功에 대해 서술하고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이 목간은 백제의 군사 행정을 담은 문서목간으로 볼 수 있으며, 작성 주체는 『周書』에서 확인되는 백제 外官 중 하나인 司軍部로 추정된다. Gungnamji Site is a pond which is said to have been created by Baekje King Mu in A.D. 634. In the late 1960s, lowland in the southern region of Buyeo County was restored to what it looks now, and from 1990 through 2006, Buyeo National Museum and Buyeo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excavated and surveyed it sequentially. In the process of the survey, three wooden tablets of Baekje were excavated: one was discovered in the survey in 1995 and two, in 2001. Gungnamji Wooden Tablet No. 1 is a wooden tablet used as a document, which has attracted attention earlier on. This wooden tablet proved that the record in the document about the administrative areas of the capital city of Baekje is true, through the phrase, ‘Seobuhuhang (西?後巷),’ and through the terms such as ‘Bui (?夷)’ and ‘Gwiin (?人),’ it confirmed the existence of foreigners (外來人) in the precincts of Baekje. In addition, through the terms such as ‘Junggu (中口)’ and ‘Sogu (小口),’ it was found that Baekje managed the people according to their age. However, although the Gungnamji Wooden Tablet No. 1 has been a subject of study by many scholars till now, its has still been incompletely deciphered. As a result of reference of infrared photos from the earliest period on an Excavation Report, published in 1999, two letters, ‘Gan (干)’ and ‘Jeon (畑)’ were additionally deciphered. Accordingly, it came to be necessary to bear the usability of the term, ‘Jeonjeong (畑丁)’ in mind. In the meantime, regarding the problem of a need to change ‘Gwiin (?人)’ to ‘Buin (婦人)’ in deciphering, which had once been a controversy in relation to the deciphering of Naju Bogam-ni wooden tablets, it would be reasonable to decipher the word, ‘Gwiin (?人)’ as it is, when the pictures of the actual object and infrared photos of it taken in an early phase of excavation are referred to. Gungnamji Wooden Tablet No. 1 in the Second Report is a typical one for the practice of writing. The same letters were written on its four sides repetitively. No special contents were contained, but the differences between the readings by each decipherer were cleared up this time. Gungnamji Wooden Tablet No. 2 in the Second Report is one on which no deciphering has been done until now, so that it could be interpreted. However, just a possibility of its being a wooden tablet for the practice of writing or one used as a letter has been suggested. This deciphering could read several letters additionally, and it is considered a description of certain people’s distinguished service in war (戰功). Therefore, this wooden tablet can be regarded as one used as a document which contains military administration of Baekje, and it is assumed that the subject of preparation is Sagunbu (司軍部), one of the outer government offices (外官) of Baekje found in Juseo (『周書』).

      • KCI등재

        환도성·국내성의 성격과 집안 지역 왕도 공간의 구성

        기경량(Ki, Kyoung-ryang) 한국사학회 2018 史學硏究 Vol.0 No.129

        고구려 왕도의 형태에 대하여 최근까지 통용되는 학설은 100여 년 전 일본 학자 關野貞이 제시한 ‘평지성-산성 조합설’이다. 평상시에는 평지성에 머물다가 전란이 일어났을 때 산성으로 들어가 지키는 형태였다는 것이다. 하지만 실제 자료를 면밀히 검토해 보면 이러한 도식은 실제와 부합하지 않는다. 국내 지역에는 산성과 평지성이 모두 존재하지만 關野貞의 모델처럼 기능하지는 않았다. 문헌 기록에 따르면 산성에 해당하는 환도성이 더 이른 시기에 만들어졌고, 왕성으로 이용되었다. 환도성은 단순한 피란성이 아니라 그 자체로 왕성이었던 것이다. 그러다 244년 魏의 장군 관구검에 의해 환도성이 함락되며 파괴되었다. 이에 247년 평지에 새롭게 성을 축성하였는데 이것이 집안 평지성이다. 초기에는 새로 만든 평지성을 평양성이라 불렀으나, 고국원왕대부터는 국내성으로 부르게 된 것으로 여겨진다. 국내성이 새로운 왕성의 기능을 하게 됨에 따라 환도성은 주로 제의 공간으로서 기능하게 되었다. 환도성의 입구 앞쪽에는 대규모 고분군이 조영되었는데, 이는 제의 공간으로서의 환도성의 성격을 경관적으로 뒷받침해 주었다. 왕도의 중심 취락지는 국내성 일대를 중심으로 형성되었다. 도시의 확장은 환도성과 연결되는 북쪽 지역에서 우선적으로 이루어졌을 가능성이 높다. 실제로 국내성에서 성문의 숫자가 가장 많이 확인되는 곳은 북쪽 성벽이다. 이후 도시의 확장은 동쪽으로 전개되었다. 국내 지역은 동천․중천․서천․미천의 4개 하천을 통해 구역 구분이 되었다. 하천을 경계로 동양․중양․서양․호양의 4개 소구역이 만들어졌는데, 이중 중심 취락지는 동양과 중양 지역이었다. 중심 취락지의 바깥쪽에는 거대한 규모의 왕릉들이 조영되었다. 국내 시기 고구려인들이 인식하였던 왕도의 공간적 범위는 동쪽으로는 동천을 경계로 하고, 서쪽으로는 호양의 서쪽을 막고 있는 산줄기까지의 지역이었을 것이다. 방위명 5부 역시 주로 이러한 자연 지형에 근거하여 설정되었을 것이다. The theory that has been widely used for the royal city(王都) of Goguryeo is a combination theory of ‘flatland fortress and mountain fortress’ proposed by Japanese scholar Sekino Tadashi(關野貞) more than 100 years ago. This theory is that while inhabitants lived in a flatland fortress, they entered a mountain fortress and defended themselves when wars occurred. However, a detailed investigation of actual literature shows that this theory is not exactly correct. In Goguryeo, there were both the mountain fortress and the flatland fortress, but their functions were not the same as those in Sekino’s theory. Literature shows that Hwando seong(Hwando Fortress), which is a mountain fortress, was built earlier and was used as a royal castle(王城). Hwando Seong itself was a royal castle, not merely a fortress for refuge. In 244, this Hwando Seong was collapsed and destroyed by General Guanqiu Jian of Wei(魏). Therefore, in 247, a new fortress was built on a plain, which is Guknae Seong(Guknae Fortress). In the early days, the newly built flatland fortress was called ‘Pyeongyang Seong(Pyongyang Fortress)’, but it is considered to be called Guknae Seong(Guknae Fortress) since the reign of King Gogukwon. As Guknae Seong newly served as a royal castle, Hwando Seong was mainly used as a space for rituals. Large-scale ancient tombs were built in front of the entrance of Hwando Seong, and their landscape supported that Hwando Seong was used a space of rituals. The central village of the royal city was formed around Guknae Seong. It is highly likely that the city was expanded first in the northern region, which was connected to Hwando Seong. In fact, the largest number of gates in Guknae Seong was found around the north wall. Then, the eastward expansion of the city was achieved. Goguryeo was separated by four rivers: Dongcheon (East River, 東川), Jungcheon (Central River, 中川), Seocheon (West River, 西川), and Micheon (Beautiful River, 美川). Each river served as a boundary and divided into four subregions: Dongyang, Jungyang, Seoyang and Hoyang. Of them, central villages were Dongyang and Jungyang region. Outside of the central villages, huge royal tombs were built. The spatial range of the royal city known to Goguryeo people was probably bounded by Dongcheon in the east and by the range of mountains blocking the west of Hoyang, in the west.

      • KCI등재

        고구려 초기 왕도 졸본의 위치와 성격

        기경량 ( Ki Kyoung-ryang )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7 인문학연구 Vol.0 No.34

        고구려 초기 왕도인 卒本의 위치에 대하여 크게 세 가지 의견이 제시된 바 있다. 下古城子城, 喇哈城, 高力墓子村 일대가 그 후보이다. 그러나 하고성자성은 광개토왕비문 내용과 방위가 어긋나며, 나합성은 오녀산과의 거리 및 고고학 자료의 불합치성이라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최근 주목받고 있는 것이 환인댐 건설로 수몰되어 있는 고력묘자촌이다. 하지만 고력묘자촌 역시 협소한 장소라는 점에서 왕도의 중심지였다고 보기는 어렵다. 고력묘자촌 일대는 주몽의 건국지와 昇天地가 결합되어 있는 성소였다. 졸본은 주몽의 사적이 남아 있는 성소를 가리키는 이름이기도 하며 주변의 취락지까지 포괄하는 광의의 지역명이기도 하다. 한편 학계에서는 고구려 왕도가 왕이 평상시 머무는 평지성과 전란이 일어났을 때 들어가 농성을 하는 산성의 세트로 이루어졌다는 견해가 통설화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모델은 졸본 시기 고구려 왕도의 실상과 부합하지 않는다. 우선 평지거점이 반드시 城의 형태였다고 보기는 어렵다. 또한 이 시기 고구려 왕은 평지에 여러 개의 離宮을 만들어 옮겨 다니며 거주하였다. 현전하는 각종 기록을 보면 고구려인들은 평지의 거점보다 산성의 위상과 역할을 강조하고 있음이 주목된다. 고구려인들에게 산성은 전시에 피난 용도로 사용하는 제한적 기능의 장소가 아니라 왕도의 상징적 권위가 부여된 곳이었다. There have been three opinions on the location of Jolbon (卒本), the early capital of Goguryeo. Hagosungjasung (下古城子城), Rahapsung(喇哈城), and Goryeokmyojachon(高力墓子村) are the areas which are presumed to have been Jolbon. However, the bearings of Hagosungjachon are different from those of Jolbon inscribed in the tombstone of King Gwanggaeto the great. Rahapsung also has a problem to be considered as the capital of Goguryeo when considering the distance from the Ohnyeosan (五女山) and the inconsistency with archaeological data. Consequently, recent attention has been paid to Goryeokmyojachon that has been submerged by the Hwanin(桓仁) dam construction. However, it is difficult to say that Goryeokmyojachon was the center of the Kingdom because it was also a narrow place. The whole of Goryeokmyojachon was the holy place where Jumong(朱蒙) both founded the Kingdom and ascended to heaven. Jolbon was originally the name referring to the sanctuary in which Jumong`s historic site remained, but it is gradually presumed to become a broad local name covering the surrounding settlements. On the other hand, in the academic world, it has been conventional wisdom that the capital of Goguryeo was made up of two parts, one of which was Pyongji-sung (which means a castle built on a flatland) where the King usually stayed, and the other of which was the mountain fortress which the King took refuge in, resisting the enemy and waiting for them to retreat, when wars broke out. This model, however, does not correspond to the reality of the capital city of Goguryeo at that time. First, it is difficult to say that a base on a flatland constituted the form of a castle. Also during this period, the Kings of Goguryeo lived in several detached palaces [royal villas] built on flatland, moving from one palace to another. According to various historical records, it can be seen that the Goguryeo people emphasized the status and role of the mountain fortresses rather than those of the bases on the plains. For the Goguryeo people, the mountain fortresses were not the places with limited function like evacuation in war, but the places to which the symbolic authority of the capital of the Kingdom was given.

      • KCI등재

        집안고구려비의 성격과 고구려의 수묘제 개편

        기경량(Ki, Kyoung-ryang) 한국고대사학회 2014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76

        집안고구려비의 건립 시기에 대해서는 광개토왕대설과 장수왕대설로 나뉜다. 이중 광개토왕대설이 타당하다. 집안고구려비는 광개토왕이 시행한 1차 수묘제 개편의 내용을 담은 것이고, 광개토왕비는 장수왕이 시행한 2차 수묘제 개편의 내용을 담은 것이다. 집안고구려비는 개념상 守墓碑에 해당하지만 광개토왕이 先王들의 무덤 앞에 각각 세웠다고 하는 墓上碑라고 보기는 어렵다. 집안고구려비는 수묘제 개편의 내용과 근거에 대한 내용이 담겨 있는 律令碑에 해당하며, 각각의 왕릉 앞에 세워진 10기에 이르는 묘상비들과 함께 하나의 세트를 이루며 광개토왕의 의도를 구현하였다. 집안고구려비에 등장하는 ‘烟戶頭’는 광개토왕이 수묘제 개편을 통해 편성한 ‘첫세대 수묘인 연호’를 의미한다. 수묘역은 연호두의 자손들에게 세습되었다. 고구려 관청에서는 수묘인을 관리하기 위하여 戶籍에 근거한 명단을 작성하였고, 그 명단에 기재된 이름은 ‘출신지+인명’의 형태를 띠고 있었다. 이는 고구려가 수묘인뿐만 아니라 民을 행정적으로 관리하였던 기본 형태였을 것이다. 고구려인들은 묘상비에 ‘출신지+인명’의 형태로 수묘인 명단을 새기는 방식으로 수묘제도를 영구적으로 관리하고 유지할 수 있으리라 생각하였다. 수묘인연호의 ‘差錯’이란 수묘인이 상호 간 담당 왕릉을 바꾸는 ‘轉賣’ 행위와, 일반민을 사서 수묘역을 맡기는 ‘擅買’ 행위로 인해 발생한 현상이다. 광개토왕대의 1차 수묘제 개편에서는 수묘인연호의 차착을 막기 위한 정비가 이루어졌고, 그 실현 형태로 ‘墓上立碑’라는 조치가 취해졌다. 그 아들인 장수왕대에는 수묘인 구성원을 新來韓穢로 교체하는 대대적인 2차 수묘제 정비가 이루어졌다. 장수왕은 신래한예들이 수묘의 법칙을 모를까 우려하여 다시 舊民을 수묘역으로 추가하였는데, 이들은 기존에 수 묘역을 수행하고 있던 사람들을 재편성한 것이었다. 새로운 수묘제의 시행으로 인해 광개토왕대에 세워진 묘상비들은 그 기능을 다하고 폐기되었다. 고구려인들은 기존 수묘비들의 기능을 대체하기 위해 하나의 거대한 비를 건립하였다. 이것이 곧 광개토왕비이다. The period of erecting the Goguryeo Stele of Jian is presumed to be the time of King Gwanggaeto and the time of King Jangsu. Of the two, the time of King Gwanggaeto is reasonable. The Goguryeo Stele of Jian contains the contents of the first reform of the institution of guarding the royal tombs carried out by King Gwanggaeto while the King Gwanggaeto Stele contains the contents of the second reform of the institution of guarding the royal tombs carried out by King Jangsu. However, it is hard to consider the Goguryeo Stele of Jian a stele on a tomb erected in front of each of late kings’ tombs by King Gwanggaeto. The Goguryeo Stele of Jian is ‘Yullyeongbi(律令碑, a stele of a law)’ containing the contents of the reform of the institution of guarding the royal tombs and its grounds, and it realized King Gwanggaeto’s intention, forming a set with ten stela on tombs erected in front of each of the royal tombs. ‘Yeonhodu(烟戶頭)’ that appears in the Goguryeo Stele of Jian means ‘the first generation family of the guardian of the tomb’ organized through the reform of the institution of guarding the royal tombs by King Gwanggaeto. The duty of the guardian was passed on to the Yeonhodu’s offspring. The Goguryeo government office drew up a list to manage them based on the family register, and the Yeonhodu’s names written on the list were in the form of ‘ birth place + the person’s name.’ This might be the basic form of the administrative management of the people as well as the guardians of the tombs by Goguryeo. The people of Goguryeo thought that they would be able to manage and maintain the system of guarding the royal tombs permanently by the method of carving a list of the guardians of the tombs in the form of ‘birth place + the person’s name’ on the stela of the tombs. ‘Chachak(差錯)’ of the duty of the guardian is a phenomenon caused by an act of ‘Jeonmae(轉賣)’ that the guardians of tomb switch royal tombs with each other and an act of ‘Cheonmae(擅買)’ that they purchase the title of ordinary citizens and break away from the duty of the guardians of the tombs. During the time of King Gwanggaeto, overall revisions of the institution of guarding the royal tombs were made in order to prevent Chachak of the duty of the guardian, and an action of ‘Myosangibbi (to erect a stele on a tomb)’ was taken as the form of its implementation. During the time of King Jangsu, his son, the second extensive maintenance of the institution of guarding the royal tombs was carried out to replace the members of the guardians of the tombs with Sinraehanye (newly moved Han(韓) and Ye(穢)) was carried out. King Jangsu was concerned if Sinraehanye did not know the law of guarding the royal tombs, so he added the former people as guardians of the tombs, who were reorganized among those who had performed the role of guardian previously. With the enforcement of the new institution of guarding the royal tombs, the stela on tombs built during the time of King Gwanggaeto fulfilled its function and was disused. The people of Goguryeo established one giant stele to replace the function of the previous stela guarding the royal tombs. This is the very King Gwanggaeto Stele.

      • KCI등재후보

        한국 유사 역사학의 특성과 역사 왜곡의 방식

        기경량 ( Ki Kyoung-ryang ) 강원사학회 2018 江原史學 Vol.0 No.30

        역사학계는 1970~1980년대 유사 역사학자들이 주도한 몇 차례의 역사 파동을 거치며 그들이 논리와 대화로는 설득이 불가능한 집단임을 깨달았다. 이에 그들의 도발을 무시하는 전략을 취하게 되었다. 역사학계가 방치하는 동안 유사역사학자들은 끊임없이 대중화 작업에 집중하였고, 결국 이들의 주장은 일반에 더욱 광범위하게 확산되고 말았다. 한국의 유사 역사학이 확산되는 데는 안호상, 문정창, 박창암, 임승국과 같은 극우 파시스트들이 핵심적 역할을 하였다. 이는 유사 역사학의 사상적 뿌리를 보여 준다. 유사 역사학은 한국 뿐 아니라 다른 나라에도 존재한다. 미국의 역사학자 Ronald H. Fritze의 분석을 참고하면, 미국의 유사 역사학은 ①증거의 선별적 채택, ②유통기한 지난 연구 이용, ③가능성과 개연성의 혼선, ④실재성에 대한 집착, ⑤예외적 증거에 대한 선호와 같은 특성을 보인다. 이는 한국의 유사역사학이 보이는 양태와도 정확히 일치한다. 최근 유사 역사학자 이덕일을 중심으로 제시되고 있는 대부분의 주장은 상기한 특성을 고스란히 품고 있는 왜곡물이다. 이는 학술 행위라기보다는 대중 선동의 영역에 속한다. 유사 역사학은 확증 편향적 사고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영토 문제에 이상 집착한다. 이들은 식민주의 사학에 대항한다고 자임하며, 한국사가 반도가 아닌 대륙에서 전개된 역사임을 증명하고자 노력한다. 하지만 이는 반도의 역사가 대륙의 역사보다 열등하다는 식민주의 사학의 대전제를 무비판적으로 수용하고 있다는 점에서 근본적인 결함을 가지고 있다. 정작 일제 강점기 식민주의 사학은 침략 대상이 확장됨에 따라 만주와 한반도의 역사를 묶은 滿鮮史나 몽골까지 포함한 滿蒙史 같은 관점을 창출한 바 있다. 또한 이란 동부 평원에서 발원한 ‘상상의’ 민족 집단을 상정한 투란주의(Turanism), 이에 입각한 대아시아주의를 주창하는 한편 일본·조선·만주·몽골이 같은 조상을 가졌다는 주장도 만들어냈다. 한국 유사 역사학의 뿌리는 일본 제국주의자들이 만들어낸 이 같은 대아시아주의에 닿아 있다. 유사 역사학은 파시즘의 유전자가 각인되어 있는 역사상이며, 반지성주의의 산물이다. 우리 사회에 역사적 반동이 도래하는 것을 경계하기 위해서라도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Academia of history realized that pseudo historians were a group that could not be persuaded by logic and dialogue, going through a few historical crises in the 1970s-1980s. Thus, it coped with that in the way of ignoring them. In the meantime, the pseudo-historians constantly focused on popularization, and finally, their claims became widespread as a result. In the expansion of Korean pseudo history, fascists as extreme rightists, including Ho-sang Ahn, Jeong-chang Moon, Chang-am Park and Seung-guk Lim played a major role. This shows the ideological root of the pseudo-history. The pseudo history exists in other countries as well as in South Korea. To sum up what was analyzed by American historian, Ronald H. Fritze, the pseudo-history has characteristics as follows: ① selective adoption of evidence; ② the use of research past expiration date; ③ the mixture of possibility and plausibility; ④ obsession about substantiality; and ⑤ preference for exceptional evidence. This is completely consistent with the aspects of the Korean pseudo history. Most claims recently suggested by pseudo-historian, Lee, Deok-il are products of distortion, which contain all above-mentioned characteristics of the pseudo-history. They belong to the area of demagoguery, and it is difficult to acknowledge them as a sincere academic category. The pseudo-history has a thinking structure with a confirmation bias and is obsessed with territorial problems. They pose themselves against the colonial view of history and make an effort to prove that the Korean history is a history developed from the continent, instead of the peninsula. However, this has a fundamental problem in that it uncritically accepts the colonial view of history that the peninsular history is inferior to continental history. The colonial view of history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had produced the Manchu-Korean history that combined the history of Manchuria with the history of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Manchu-Mongolian history that included Mongolia as the invasion targets expanded. In addition, Turanism appeared, which assumed an ‘imaginary’ ethnic group, which rose in the Eastern plain in Iran, and Pan-Asianism was claimed based on that. Even, a claim that Japan, Korea, Manchuria, and Mongolia had the same ancestors emerged. The root of the Korean pseudo history reaches Pan-Asianism made by Japanese imperialists. The pseudo-history is the concept of history in which the genes of the fascist forces as extreme rightists are carved and a product of anti-intellectualism.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society as a whole in order to protect from the advent of fascism.

      • KCI등재

        집안 지역 출토 고구려 권운문 와당 명문의 판독과 유형

        기경량(Ki, Kyoung-ryang) 고구려발해학회 2016 고구려발해연구 Vol.56 No.-

        중국 길림성 집안 지역에서 출토된 4세기 초~중반의 卷雲文 와당에는 銘文이 새겨진 경우가 많다. 실물 자료에 대한 접근의 어려움 때문에 중국 학자들의 판독안에 크게 의존하는 경향이 있는데, 한국 학계에서도 보다 적극적으로 독자적인 판독 작업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그간 공개된 사진과 탁본들을 이용하여 판독 작업을 수행한 결과 기존 판독의 오류를 일부 교정할 수 있었다. 대표적인 것이 己丑年 와당의 명문이다. 기존의 판독안은 판독 순서에 규칙성이 없었고, 일부 글자는 판독하지 못하였다. 기존에 잘못 판독하였던 ‘巴’와 ‘領’이라는 글자를 새로 읽어냈고, 글자가 시계 반대 방향으로 순서대로 배열되어 있어 문장을 형성하고 있다는 사실도 밝혀냈다. 그 외에도 몇 개의 와당에서 글자와 판독 순서를 바로잡았다. 고구려에서 가장 오래된 명문 와당으로 ‘태령 4년’명(326) 와당을 꼽아 왔다. 하지만 2001년 제2소학교에서 출토된 ‘甲戌’명 와당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와당의 형식을 통해 보았을 때 ‘갑술’명 와당은 314년에 제작된 것으로 보인다. 또한 남문리에서 출토된 ‘大吉’명 와당은 제작 기년이 ‘▨申’년인데, 이는 壬申年(312)일 가능성이 높다. 집안 지역에서 출토된 권운문 와당은 명문의 배열 형태에 따라 유형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A·B·C·D의 4개 유형을 설정하였다. A 유형은 다시 A-1형·A-2형·A-3형으로 세분할 수 있다. 이중 A-1형은 중심의 글자를 먼저 읽고, 1시 방향에서부터 시계 방향으로 4글자를 읽은 후, 다시 11시 방향으로 이동하여 이번에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 4글자를 읽도록 문장이 배열되어 있는 형태이다. 가장 이른 시기에 등장하여 다양한 제작 주체에 의해 만들어진 유형으로 주목된다. Inscriptions (銘文) are often found in the rolling cloud pattern (卷雲文) roof-end tiles of the early-to mid-4th century excavated from the Jian area in Jilin, China. Due to the difficulty of access to the actual materials, deciphering them is largely depended on Chinese scholars’ deciphering opinions, but it is necessary for Korean academic circles to carry out an independent deciphering work, more actively. As a result of a deciphering work using pictures and rubbings disclosed till now, some errors of the existing deciphers could be corrected. Most representative is the inscription on the roof-end tile of the year of gichuk (己丑年, 329). There was no regularity in the order of deciphering in the existing deciphering opinion, and a few letters were not deciphered. The letters, ‘pa (巴)’ and ‘ryeong (領)’ were newly read, which had been wrongly deciphered, and the fact that the letters were arranged in order counterclockwise to form sentences was revealed, as well. In addition, letters and the order of deciphering were corrected in a few roof-end tiles. As the oldest roof-end tile with an inscription in Goguryeo, the roof-end tile with an inscription, ‘fourth year of Taeryeong’ has been chosen, but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roof-end tile with an inscription, ‘gapsul (甲戌)’ excavated from Second Primary School in 2001. Judging from the form of the roof-end tile, it seems that the roof-end tile with an inscription, ‘gapsul’ was produced in 314. In addition, the year of production of the roof-end tile with an inscription, ‘daegil (大吉)’ excavated from Nammun-ri was the year of ‘-sin (▨申),’ which is very likely to be the year of ‘imsin (壬申)’ (312). The rolling cloud pattern roof-end tile excavated from Jian can be categorized according to the form of the arrangement of the inscriptions. Accordingly, four types, A, B, C and D were set up. Type A can be subdivided into Types A-1, A-2 and A-3. Of them, Type A-1 is in the form where sentences are arranged in a way in which one reads the letters in the middle first, reads four letters starting at 1 o’clock clockwise, moves to 11 o’clock and then reads four letters counterclockwise. Attention is paid to this as a type made by various producers, which appeared in the earliest time.

      • KCI등재

        고구려 평양 장안성의 외성 내 격자형 구획과 도시 형태에 대한 신검토

        기경량(Ki, Kyoung-ryang) 고구려발해학회 2018 고구려발해연구 Vol.60 No.-

        고구려 평양 장안성은 외곽 둘레 약 17.4km, 안쪽 성벽의 길이까지 더할 경우 전체 길이 약 23km에 달하는 거대한 도성이다. 장안성은 북성 · 내성 · 중성 · 외성의 4개 공간으로 구분되어 있었다. 이중 외성의 경우는 성벽 안쪽 공간에 격자형의 구획이 이루어져 있어 오래 전부터 관심의 대상이 되었다. 하지만 유적에 대한 접근상의 어려움으로 인하여 연구에 제약이 있는 상황이다.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조선시대 그려진 평양 지역 고지도와 GIS 및 위성사진에 기반하고 있는 구글 어스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특히 일제강점기 세키노 다다시(關野貞)의 조사 내용이 상세하게 반영된 「平壤城址及遺存石表圖」(1929)라는 지도를 구글 어스로 불러들여 장안성 형태 복원에 이용하였고, 프로그램 상에서 거리와 면적 등의 실측이 가능하도록 조작하였다. 장안성 외성의 격자형 구획과 관련하여 연구 상에 혼선이 발생하고 있는 점은 크게 두 가지이다. 첫째, 정양문과 함구문 사이의 동서 구간이 3개 구역인가 4개 구역인가 하는 문제이다. 둘째, 장안성 외성의 격자식 구획의 형태가 정사각형인가, 가로가 긴 직사각형인가 하는 문제이다. 정양문과 함구문 사이의 동서 구간은 조선시대 그려진 고지도와의 교차 검증을 통해 4개 구역으로 이루어졌음을 확인하였다. 장안성 외성의 격자형 구획 형태에 대해서는 그간 ①정사각형설과 ②직사각형설, 그리고 ③ 정사각형 · 직사각형 혼합설의 세 개의 설이 제시되어 있었다. 이중 가장 뒷 시기에 제시된 정사각형 · 직사각형 혼합설이 최근까지 널리 수용되고 있었다. 그러나 구글 어스 상에서의 실측 결과 이는 정양문과 함구문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지 못하였던 데서 발생한 오류인 것으로 여겨진다. 실제로는 외성 내의 모든 공간이 일관되게 정사각형으로 구획되었던 것으로 파악된다. 외성의 도로폭은 세키노 다다시가 남긴 석표 간의 실측 수치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복원하였다. 그 결과대로 폭의 평균은 14.989m, 중로 폭의 평균은 4.823m로 확인되었다. 이는 고구려척으로 환산할 경우 각각 40척과 14척에 해당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정사각형 형태의 주거 구역은 한 변의 길이가 177.08m로서, 이는 고구려척으로 500척에 해당한다. Jang-an Fortress, Pyongyang, Goguryeo is a huge wall with the outer circumference of about 17.4km, which reaches a length about 23km if the length of the inner rampart is added. Jang-an Fortress was divided into four spaces, including the north fort, the inner fort, the central fort and the outer fort. Of them, the outer fort, consisting of a grid-type section in the space inside the rampart had become an object of concern since long ago. However, there is a limitation in research due to the difficulty in accessing to the relics. To overcome this, an old map of the Pyongyang area drawn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research was conducted, using Google Earth based on GIS and satellite photography. Especially, the Diagram of the Remaining Stone Mark in the Pyongyang Fortress Site, 「平壤城址及遺存石表圖」(1929), a map where the details of Sekino Tadashi’s (關野貞) survey in the Japanese Colonial Era were reflected in detail was retrieved by Google Earth and used for the restoration of the shape of Jang-an Fortress, and manipulated so that the distance and the area could be actually measured on the program. Broadly, there are two confusions in research concerning the grid-type section of the outer fort of Jang-an Fortress: First, whether there are three or four areas in the east-west section between Jeongyang-mun Gate and Hamgu-mun. Second, whether the shape of the grid-type section of the outer fort of Jang-an Fortress is a square or a rectangle with a long width. It was found that the east-west section between Jeongyang-mun Gate and Hamgumun Gate consisted of four areas through cross-validation with the old map drawn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Concerning the shape of the grid-type section of the outer fort of Jang-an Fortress, three theories have been presented, including ① the “square” theory; ② the “rectangle” theory; and ③ the “mixture of square and rectangle” theory. Of them, the mixture of square and rectangle theory presented the latest has recently been widely accepted. And yet, as a result of an actual survey on Google Earth, it seems that it was an error because the exact locations of Jeongyang-mun Gate and Hamgu-mun Gate were not understood well. In fact, it is judged that all spaces of the outer fort were consistently divided into a square. The road width of the outer fort was restored, actively utilizing the values actually measured between the stone marks left by Sekino Tadashi. According to the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average of the width of the main road was 14.989m, while that of the medium road was 4.823m. If these are converted to Goguryeo cheok (Measurement system), they correspond to 40 cheok and 14 cheok, respectively. For the residential area in a square shape, the length of one side is 177.08m, which corresponds to 500 cheok in Goguryeo cheok.

      • KCI등재

        평양 지역 고구려 왕릉의 위치와 피장자

        기경량(Ki, Kyoung-Ryang) 한국고대사학회 2017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88

        평양 시기 고구려 왕은 제20대 장수왕~제28대 보장왕까지 모두 9명이다. 이 중 보장왕은 고구려 멸망 후 당 수도인 장안으로 끌려가 그곳에 묻혔다는 기록이 남아 있다. 따라서 평양 지역에 조성된 고구려 왕릉은 모두 8기가 된다. 평양 일대에서 무덤의 규모와 형식 면에서 왕릉 후보군으로 꼽히는 것은 경신리 1호분, 傳 동명왕릉, 토포리 대총, 호남리 사신총, 전 동명왕릉 고분군 1호분, 전 동명왕릉 고분군 9호, 강서대묘, 강서중묘, 강서소묘 등이 있다. 이 중 선행하는 무덤 그룹은 경신리 1호분, 전 동명왕릉, 토포리 대총, 호남리 사신총의 4기이며, 모두 석축 기단 위에 봉토가 조성되어 있는 형태이다. 이는 계단식 적석총 형태의 왕릉을 조영하던 국내성 시기의 전통이 평양 지역의 봉토 석실분과 결합한 과도기적 양태로 이해된다. 이 중에서도 가장 이른 시기의 것으로 주목되는 무덤은 경신리 1호분이다. 경신리 1호분은 분구의 지름이 54m에 이르며 평양 지역에 조성된 고분 중 가장 규모가 크다. 석실 상부에서는 연화문 와당을 비롯한 기와들이 출토되었는데, 와당의 형태가 집안 지역에 있는 태왕릉이나 장군총에서 출토된 것과 유사하다. 특히 평양 지역의 봉토석실분 중에서 석실 상부에 와당과 기와가 확인된 것은 경신리 1호분이 유일하다. 이는 국내성 시기 왕릉급 적석총 상단에 ‘蓋墓瓦’를 덮었던 습속이 강하게 남은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점들을 감안하였을 때 경신리 1호분은 평양 지역에서 가장 이른 시기에 조영된 고구려 왕릉인 장수왕의 무덤으로 판단된다. 다른 무덤들의 묘주는 각각 전 동명왕릉=문자명왕, 토포리 대총=안장왕, 호남리 사신총=안원왕, 전 동명왕릉 고분군 1호=양원왕, 전 동명왕릉 고분군 9호=평원왕, 강서대묘=영양왕, 강서소묘=영류왕, 강서중묘=대양왕으로 비정하였다. 장지명을 나타내는 왕호와 고분의 입지, 고분의 상대 편년 등을 고려하였다. 이 중 토포리 대총과 강서소묘에는 석실 내부에 벽화가 그려져 있지 않은데, 이는 정변으로 인하여 시해된 왕들의 무덤이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There were nine kings of Goguryeo in the Pyeongyang era from the 20<SUP>th</SUP> King Jangsu thorough the 28<SUP>th</SUP> King Bojang. There is a record that, of them, King Bojang was taken to Chang’an, the Capital of Tang after the collapse of Goguryeo and buried there. Therefore, there are eight Royal Tombs of Goguryeo in total constructed in the Pyeongyang area. The candidates of royal tombs in terms of the scale and form of tombs in the Pyeongyang area include: Gyeongsin-ri Tomb No. 1, Claimed Tomb of King Tongmyong, Great Tomb in Topo-ri, Honam-ri Tomb of the Four Spirits, Ancient Tombs No. 1 Claimed Tomb of King Dongmyeong, Ancient Tombs No. 9 Claimed Tomb of King Dongmyeong, Large Tomb of Gangseo, Middle Tomb in Gangseo and Small Tomb in Gangseo. Of these, the group of the preceding tombs includes four units, including Gyeongsin-ri Tomb No. 1, Claimed Tomb of King Dongmyeong, Great Tomb in Topo-ri and Honam-ri Tomb of the Four Spirits, all of which are in the form in which a mound is constructed on the stonework stylobate. This is understood as a transitional aspect in which the tradition of Gungnae Fortress period that built tombs in the form of a stone mound tomb was combined with the form of a stone chamber tomb in the Pyeongyang area. Of these, the tomb to which attention is paid as the one in the earliest period is Gyeongsin-ri Tomb No. 1. In Tomb No. 1 in Gyeongsin-ri, the diameter of the mounded burial is 54m, which is the largest of the ancient tombs constructed in the Pyeongyang area. From the upper stone chamber, roof tiles were excavated, including lotus design roof-end tiles, and the shape of the roof-end tiles is similar to that excavated in Taewangreung or Janggunchong in the Jian area. Especially, Gyeongsin-ri Tomb No. 1 is the only one in which roof-end tiles and roof tiles were found in the upper stone chamber of the stone chamber tombs in the Pyeongyang area. It can be understood that this is a strong remnant of the usage of covering ‘roof tomb tiles’ on the royal tomb class upper stone mound tombs. Taking these into consideration, Gyeongsin-ri Tomb No. 1 is the tomb in Jangsu, the royal tombs of Goguryeo, built the earliest in the Pyeongyang area. The occupants of other Tombs were identified as follows: King Munjamyeong in Claimed Tomb of King Dongmyeong, King Anjang in Great Tomb in Topo-ri, King Anwon in Honam-ri Tomb of the Four Spirits, King Yangwon in Ancient Tombs No. 1 Claimed Tomb of King Dongmyeong, King Pyeongwon in Ancient Tombs No. 9 Claimed Tomb of King Dongmyeong, King Yeongyang in Large Tomb in Gangseo, King Yeongnyu in Small Tomb in Gangseo and King Daeyang in Middle Tomb in Gangseo. The title of the king, which represents a burial site, the location of the ancient tomb, and relative chronology of the ancient tomb were taken into consideration. Of them, no murals have been painted inside the chamber Tomb of Great Tomb in Topo-ri and Small Tomb in Gangseo, and it is assumed that these were the Tombs of the kings assassinated because of political upheava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