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현대시에 투영된 이방인과 다문화

        고봉준(Ko, Bong-Jun) 한국문학회 2013 韓國文學論叢 Vol.64 No.-

        As per Karatani Kojin's indication about modern literature, Korean modern literature was formed centering on the trinity of ‘country= capital=nation’ and has been growing thereafter in the context of a nation-state/a single race. This historical context acted as a basic condition when modern literature imagines community, human, and reality. So to speak, in modern literature, communities occurred within the boundary of the nation and the state, humans were understood as a synonym of citizens or nation, and reality referred to diverse events and accidents occurring in the boundary of the nation and the state. However, these unconscious premises have been rapidly shrinking recently because maintaining physical distances from 'foreigners' has become impossible because of the appearance of neoliberalism and experiences that go beyond the boundary of the state/nation have been generalized. Neoliberalism erased the traces of the nation/state from both ‘capital’ and ‘labor’ to trigger their global movements. In this time of the wide ranged global movements unprecedented in the history of the world, the appearance of discourses on multiculturalism and tolerance is never an accident. This paper examined the limitations of discourses on multiculturalism and the meaning of the scene where the figuration of ‘foreigners-others’ fails repeatedly centering on the figure of foreigners drawn in Korean modern poetry. This is closely related to the issue of subalterns. This paper critically considered discourses on multiculturalism centering of the false nature of the reality termed ‘multiculturalism’. In addition, a conclusion was drawn indicating that modern poetry repeatedly fails in the figuration of the figure of foreigners because ‘foreigners-others’ are kept being perceived as an extension of the identity-entity. 이 논문은 2000년 이후 한국시에 투영된 이방인과 다문화의 흔적을 살피고, 그 재현 방식과 맥락들이 지닌 함의를 비판적으로 성찰하려는 목적에서 집필되었다. 오늘날 신자유주의의 지구적 확장으로 인해 한국은 대표적인 노동 수입국의 하나가 되었고, 결혼이주여성이 증가함에 따라 빠르게 다문화적인 환경으로 변해가고 있다. 이러한 환경의 변화는 문학적 상상력에도 적지 않은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2000년 이후에 이방인/이주자가 등장하는 시가 창작되기 시작한 것이 대표적인 사례이다. 하지만 이러한 변화는 두 가지 불편한 문제를 낳고 있다. 하나는 ‘다문화’가 현실을 지시하는 개념이기보다는 이데올로기 수준의 담론으로 기능하고 있다는 것이고, 또 하나는 이방인/이주자의 삶을 재현하려는 문학적 시도들이 대부분 예술적으로 실패를 거듭한다는 것이다. 각각 ‘담론’과 ‘예술’의 문제로 요약할 수 있는 이 두 문제는 사실상 하위주체에 대한 재현의 불가능성이라는 하나의 문제로 압축될 수도 있다. 이는 하위주체를 재현하려는 문학적 시도의 실패와 좌절이 시인 개인의 재능에서 비롯되는 것이 아니라 시 장르의 특징과 재현불가능이라는 조건 때문에 발생하는 것이라는 뜻이기도 하다. 이러한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먼저 이 글에서는 한국 현대시에 이방인/이주자가 등장하게 된 역사적ㆍ현실적 배경과 그것이 문학장의 변화를 추동하는 측면을 집중적으로 살폈다. 한국문학에 있어서 이방인/이주자의 등장은 단순한 소재의 확장이 아니라 ‘국가(state)=자본(captia)=네이션(nation)’의 삼위일체에 의해 지탱되어온 문학장 자체의 변화를 요청하고 있다. 만일 한국의 근대문학이 ‘상상의 공동체’를 구성하는 데 일조했다면, 이방인/이주자의 등장이 특징인 21세기의 문학은 더 이상 그러한 기능을 수행할 수 없는 상황에 직면하게 된다. 바로 이 지점이 ‘다문화’의 도래가 문학에 새로운 충격으로 작용하는 지점이기도 하다. 이러한 변화의 요청은 정치철학적 물음, 즉 윤리적 성격을 띠면서도, 다른 한편으로는 미학적 물음, 즉 하위주체의 재현이라는 문제로 이어진다. 특히 후자의 문제와 관련하여 이 글은 서발턴에 대한 스피박과 존 베벌리의 문제제기를 적극적으로 받아들였고, 그것을 재현의 불가능성이라는 철학적 문제가 아닌 선(善)한 의도와 미학적 균열 사이의 이율배반을 중심으로 전유하고자 했다. 이것은 이방인/이주자의 삶을 적극적으로 형상화해야 한다는 윤리적 당위의 힘이 강할수록 예술적 생산물의 수준은 떨어진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2000년 이후에 출간한 하종오의 시집들, 특히 그것들의 미학적 실패는 이를 분명하게 보여준다. 하종오의 경우와 비교하기 위해 이 글에서는 장석주, 강연호, 김사이, 정현종 등의 시를 비교 고찰했는데, 이들은 이방인/이주자를 하종오와는 다른 맥락 속에서 형상화하고 있다. 정현종의 시가 비교적 뛰어난 예술적 성취를 보여주고 있는데, 아이러니하게도 이방인/이주자에 대한 그의 태도는 가장 추상적이었다. 이는 하위주체의 문학적 재현이 구체성을 띨수록 문학적 효과를 획득하는 데 불리하다는 것을 의미하는데, 재현과정에서 작가들이 겪게 되는 이 난점을 재현의 불가능성이라는 포스트콜로니얼리즘적 문제의식에 견주어보는 것이 이 논문의 의도 가운데 하나였다. 하지만 최근의 한국문학연구에서 유행처럼 번지고 있는 다문화 열풍은 문학적 재현의 문제만은 아니어서 이 글의 서론과 결론 부분에서는 다문화 없는 다문화주의의 이데올로기적 성격을 지적하고, 어렴풋하게나마 이방인/이주자의 등장이 우리 시대에 던지는 문제를 올바로 받아들일 수 있는 방향에 관해 살펴보았다.

      • KCI등재

        다문화 담론 지형의 변화와 언론의 재현: <조선일보>와 <한겨레신문>의 다문화 관련 기사분석을 중심으로

        황경아,이인희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18 다문화사회연구 Vol.11 No.1

        As signs of topographic change of multicultural discourse in Korean society are becoming visible, this study focuses on the media as the major producer of multicultural discourse and examines how the media coverage of multicultural discourse is changing. During the analysis period, the quantity of press release associated with multiculture tended to decrease. However, discourses related to anti-multicultural emotions such as racial discrimination, xenophobia, and the enactment of the prohibition on discrimination had been discussed more seriously. As previous studies pointed out continuously, it could be confirmed that the media's representation method maintained the subsumption strategy for settlement type migrants such as internationally married migrant women and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e logic of exclusion on migrants, who were not allowed to settle in south Korea, such as immigrant workers. As a result, the media are failing to draw a wide variety of discussions about multiculturalism and co ntribute to the fo rmatio n o f a bro ader alternative discourse in the current situation, which is symbolized as the so-called ‘multiculturalism backlash’. 본 연구는 한국사회 내 다문화 담론 지형의 변화 움직임이 가시화되고 있는 가운데, 다문화 담론을 둘러싼 언론 보도의 변화 양상에 초점을 맞춰 언론은 어떠한 이슈에 보다 주목하여 의제화하는지를 살펴보고, 그 과정에서 언론의 보도 방식과 재현작용의 특징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우선 다문화 관련 연도별 기사 양과 주요 이슈를 살펴본 결과, 다문화 관련 언론 보도는 양적으로 감소 추세를 보였으며, 주요 이슈로는 인종차별과 외국인 혐오 문제를 비롯해 제도적 차원에서의 차별금지법 제정과 같은 반다문화 담론과 관련된 논의가 의제화되는 양상을 보였다. 다음으로 다문화 담론 생산의 실질적인 행위자로서의 역할은 언론사 내부 인력보다는 학술 영역의 지식인이나 관련 전문가 집단에 상당 부분 의존하고 있다. 또한 다문화 주체에 대한 언론의 재현방식은 결혼이주 여성의 경우, 사회 진출에 성공한 경제적 주체로 부각시키거나, 유권자라는 국민으로서의 권리를 지닌 주체로 새롭게 제시하고 있지만, 실제 현실에서는 제대로 발휘될 수 없는 상징적 차원의 의미였을 뿐, 이들은 ‘절반의 한국인’이라는 제한된 위치에 머물러 있었다. 이주노동자의 경우, 보수언론은 ‘효용적 가치’ 측면에서, 진보언론에서는 ‘인권적 가치’ 측면에서 이들에게 부여하는 사회적 위치성과 정체성 구성에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결과적으로 다문화 담론을 둘러싼 언론의 재현 방식과 그 보도양상은 여전히 한국사회의 주류적 관점과 입장에서 동화적 차원의 제한된 논의 범주에 갇혀 있거나, 인권과 시혜 차원의 수준에 머물러 있다. 이로 인해 언론은 ‘다문화주의에 대한 반격’으로 상징되는 지금의 상황에서, 다문화를 둘러싼 다양한 논의를 이끌어내고, 보다 확장된 대안 담론 형성에 기여하지 못하고 있다.

      • 다문화 구성원의 미디어 노출 관행과 다문화교육적 대응

        임정수(Lim, Jeong Soo) 한국다문화교육연구학회 2012 다문화교육 Vol.3 No.1

        This research reviews the practices of immigrants representation by Korean media and explores educational approaches which deal with their probable negative results. The media not only represents multicultural social reality but also has some effect on what and how we may think of immigrants. Further, it has been reported that the media can form popular opinion to government policies which are favorable and supportive to minorities. Korean media often focuses on successful individuals those who overcome disadvantageous social conditions by their great diligence and efforts. Immigrants are sometimes described those who are in need. On the other hand, they are over-represented as causes or victims of social problems such as crimes, domestic violence, high divorce rate among international couples etc .. Recently multicultural families are described as the main beneficiaries of government's multicultural policies. Those representation practices decontextualize social factors which define and influence social environment surrounding immigrants. Consequently, prejudice and discriminative attitude to immigrants are reinforced. This research seeks for educational responses to probable negative media effect and recorrunend 'media as representations and symbols approach' and 'media production approach' as effective multicultural education strategies. 본 논문은 미디어 속 다문화 구성원 재현 관행의 유형과 그 문제점을 분석하고, 다문화교육에서 미디어를 다루는 접근 방식을 탐색하는 데 있다. 사회의 다문화화와 더불어 미디어 공간의 다문화화도 급속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미디어는 단순 현실 재현에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교육적 효과를 가지며, 사회 여론 형성 및 집단적 의사 결정에까지 영향을 미친다. 특히 소수자에 대한 보수적 재현은 편견을 재생산 하고 소수자 지원 정책에 대한 저항 여론을 형성한다고 보고되고 있다. 우리 사회의 미디어는 이주민을 불우한 처지에도 불구하고 사회적 성공을 이루어 낸 미담의 주인공으로 그리거나 사회적 지원과 동정을 필요로 하는 불우한 이웃으로 묘사하는 경향이 강하다. 최근에는 매매혼, 불법체류, 각종 범죄 등과 관련된 일탈자 혹은 사회부적응자로서의 재현이 빈번해지고 있다. 또한 다문화주의가 관주도적인 사회통합정책의 일환으로 추진되면서 복지서비스 수혜자로서의 모습이 뉴스 보도에서 과대 재현되고 있다. 이러한 미디어 재현 관행은 다문화 구성원이 겪는 문제를 탈맥락화하여 개인의 문제로 협소화하고 다문화 구성원에 대한 고정관념적 인식과 부정적 태도를 확산시킬 수 있다는 데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논문은 미디어 교육과 다문화 교육의 접점 모색이 필요하다고 제안 하며, 그 구체적인 전략으로 '표상과 상징으로서의 미디어'를 적극적으로 다루는 것과 '미디어 제작'을 특히 강조하고 있다.

      • 결혼이주여성 관련 정책의 문제화 : WPR 접근을 사용한 한국 다문화 정책의 분석

        이화선,이소영 한국사회적질학회 2018 사회적질연구 Vol.2 No.3

        본 논문은 한국사회의 다문화 논의에서 중심적인 위치를 차지하는 결혼이주여성의 문제들을 문제화한 것이 다. 바키의 문제재현 분석틀(What problems represented to be: WPR)을 활용하여 특정 시기의 다문화 정 책이 문제로 삼은 것이 무엇이며, 그 문제 재현의 전제와 효과가 무엇인지 고찰하였다. 결혼이주여성의 문 제는 위장 결혼문제, 인권침해문제, 가족해체와 통합의 문제 등으로 재현되어 왔으며, 이러한 문제의 재현 에 상응하여 결혼이주여성은 속물적 기회주의자, 매매혼의 피해자, 가족 형성 및 유지자로서 다루어졌다. 바키의 WPR을 적용하여 보면, 문제화 과정에서 침묵 되어 있던 부분들이 수면으로 드러난다. 결혼에 포함 되는 모험심과 로맨스와 헌신에 관한 이야기, 능동적인 생존자와 주체적인 시민으로 사는 삶에 대한 논의는 재현되지 않은 채로 남겨져 있다. 그들의 목소리와 경험이 간과된 채 통치되어 온 결혼이주여성들에 관한 재현들을 전치시키고, 아울러 경합적인 재현을 탐색할 것이 요청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결혼이주여성의 주 체성 혹은 에이전시(agency)의 재현에 대한 주목이 필요하다. This paper problematizes the problems of married immigrant women who have taken a central position in the discussion of multiculturalism in Korea. Using Bacchi 's WPR (What problems represented to be), I examined what the problem of the multicultural policy of a particular period was, and what the premise and effects of the problem representation were. The problems of married immigrant women had been represented as the followings: the problems of disguised marriage, human rights violation, and family disorganization and integration. As a result, in response to such representations, married immigrant women had been treated as vulgar opportunists, victims of bargained marriage, and the ones who form and maintain families. When Bacchi's WPR is applied, the parts that remained silent during the problematic processes come to the surface. However, their stories of adventures, romance and devotion involving their marriage, and the experiences of lives as active survivors and independent citizens remain unrepresented. It is required that the existing representations of married immigrant women who have been ruled with their voices and experiences overlooked should be replaced, and a competitive representation should be explored. In this context, more attention should be paid to the representation of the subjectivity or agency of a married immigrant woman.

      • 미디어소통의 관점에서 본 조선족 여성의 재현

        신정아 한국소통학회 2019 한국소통학회 학술대회 Vol.2019 No.06

        미디어재현은 텍스트에 담긴 이미지와 스토리를 분석하는 관점이다. 미디어를 통해 재현된 인물과 사건이 갖는 의미를 생산과 수용이라는 관점에서 연구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양방향 미디어의 발달에 따른 콘텐츠 수용 방식의 변화는 더 이상 텍스트 연구만으로는 콘텐츠가 갖는 의미와 효과, 실천적 맥락 등을 통찰하기 어려운 시점에 와 있다. 미디어소통은 이러한 재현연구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한 콘텐츠 연구방법이다. TV 프로그램 연구에서 시작된 미디어소통 프로그램을 완결된 텍스트로 바라보지 않고, 프로그램을 둘러싼 사회문화적 맥락, 수용자의 상황, 재현된 미디어의 특성과 유통 생태계, 프로 그램의 포맷과 장르 등을 가로지르며 새로운 관계맺기를 시도하는 역동적인 소통의 장으로 파악한다. 이는 미디어를 통해 재현되는 이야기들이 다양한 플랫폼을 통해 수용되면서 누구에게, 어떤 공감대를 형성했는지를 파악하고, 그 의미와 효과를 분석하기 위함이다. 과거 시청자들이 수동적 소비자로 머물 러있을 때에는 텍스트의 내용과 의미, 수용상황과 맥락을 분석하는 것만으로 프로그램의 가치를 평가할 수 있었다. 그러나 본격적인 1인 미디어 시대의 도래와 다양한 플랫폼을 횡단하는 콘텐츠의 시대에 텍스트는 더 이상 일회성 생산물에 머무르지 않고, 이용자들의 다양한 욕구와 필요에 의해 자유로운 변형과 복제를 통해 새로운 정체성을 부여받는다. 달라진 미디어 환경에서 콘텐츠의 생애주기는 생산자 가 아닌 역동적 수용자의 해석과 변형, 유통에 따라 좌우된다. 따라서 콘텐츠는 미디어를 통한 양방향 소통의 산물로 인식되어야 하며, 콘텐츠가 갖는 의미와 효과 역시 생산과 전달이라는 일방향이 아닌 다양한 관계맺기를 통한 소통하기로 접근해야 한다. 미디어소통은 이기상의 ‘사이놓기 이성’, 플루서 의 ‘기술적 상상’ 등의 개념에 담긴 새로운 기술 시대의 주체와 세계 간의 관계맺기 방식에서 출발한 다. 미디어소통은 생산자와 수용자, 수신자와 발신자의 관계를 정보전달과 복제라는 수동적·일방향적 구조가 아닌 상호이해와 공존이라는 관점에서 바라보고, 문화적 가치가 발현되는 소통과 공감의 장으로 분석한다. 본 연구는 미디어소통의 관점에서 국내 미디어의 조선족 재현의 추이를 살펴보고, 최근 개봉한 영화 <우상>(이수진 감독, 2019)의 여성 조선족 재현이 갖는 의미를 분석한다. 한-중 수교를 전후로 하여 한국 미디어에 등장하기 시작한 조선족 캐릭터는 TV와 영화, 뉴스보도 등을 통해 다양하게 재현되어 왔다. 2010년 영화 <황해>(나홍진 감독)를 기점으로 조선족 남성 캐릭터의 폭력적 재현이 장르화되면서 이후 한국영화 속 조선족은 범죄자라는 인식이 강화되었다. 이러한 클리셰는 TV 드라마에도 그대로 적용되어 OCN과 SBS 등에서 조선족 남성을 잔혹한 범죄자로 반복 생산해오고 있다. 여성 조선족의 재현은 수교 초기에는 결혼이주여성으로 그려지면서 한국 사회에서 순응하는 캐릭터로 등장한다. 이후 식당도우미, 돌봄 노동자, 불법체류자 등의 이미지로 확대 재현되면서 비록 신분은 불안정하고 낮은 계층이지만 자기 주도적으로 운명을 개척해나가는 당찬 여성이미지가 새롭게 형성되기도 했다. 여성 캐릭터의 범죄 재현은 2016년 영화 <미씽: 사라진 여자>(이언희 감독)를 시작으로 본격화되었다. 2017 년 영화 <악녀>(정병길 감독), 2018년 드라마 <미스트리스>, 2019년 영화 <우상> 등을 통해 모성과 범죄를 결합시켜 추방과 배제의 서사가 생산되기 시작했다. 남성 조선족 재현이 잔혹한 범죄의 원형으 로 한국 수용자들에게 공포와 두려움의 대상이 되었다면, 여성 조선족의 재현은 모성의 실천이라는 궁극적인 윤리의 측면에서도 한국인 여성과의 대비 또는 한국인 남성에 대한 원한 등을 통해 폭력을 정당화시키는 잔혹한 캐릭터로 묘사된다. 미디어소통의 관점에서 볼 때 한국 미디어의 조선족 재현은 공포와 두려움, 혐오를 양산하는 장이 되어 왔다. 한국에 거주하는 85만의 조선족 동포들의 수용맥락을 고려하지 않은 채, 왜곡되고 과장된 이미지를 반복 재생산하면서 혐오의 일상화를 부추겨왔고, 이는 2017년 영화 <청년경찰>(김주환 감독) 을 기점으로 조선족 사회의 집단적 분노를 일으키는 계기가 되었다. 감독과 제작사를 상대로 한 명예훼 손 소송과 국가인권위원회 제소를 통해 드러난 재한 조선족 동포단체의 목소리는 한국 미디어의 부정적 재현에 대한 깊은 문제제기이자 새로운 소통의 장을 요구하는 공존의 몸부림이다. 본 연구에서는 미디 어소통의 관점에서 조선족 재현의 문제를 성찰하고, 다문화 혹은 상호문화의 시대를 맞이한 한국 사회 에 필요한 인식과 실천의 방법을 모색해본다.

      • KCI등재

        상호문화주의가 반영된 동시텍스트의 교육적 의의 탐색

        이운영 한국아동문학학회 2024 한국아동문학연구 Vol.- No.48

        이 연구는 상호문화주의 관점에서 김개미의 동시집 『티나의 종이집』에 반영된 다문화 아동의 재현 양상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교육적 의의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문화 간의 차이나 경쟁을 인정하는 가운데 문화적 융합을 추구하는 상호문화주의는 서로 다른 문화가 상생적인 방식으로 교류하게 한다는 점에서 다문화주의에 비해 윤리적인 관점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아동문학 및 문학교육에서는 상호문화주의 관점에서 다문화 문학작품을 고찰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에서는 상호문화주의 관점에서 『티나의 종이집』에 반영된 다문화 아동의 재현 양상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다문화 아동을 특수한 대상이 아닌 편견이나 선입견이 제거된 대상으로 형상화하였다. 둘째, 다문화 아동을 부수적인 존재로 객체화하지 않고 주체적인 존재로 구현하였다. 셋째, 다문화 아동을 또래 아동과 의미 있게 소통하고 상생적 성장을 도모하는 구성원으로 재현한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호문화주의가 반영된 동시텍스트는 학습자가 다문화 아동에 대한 편견이나 선입견을 극복하는 데 기여하고, 다문화 아동의 주도성을 인정하게 한다. 또한, 다문화 아동에 대한 상생적이고 협력적인 태도를 갖추게 할 뿐만 아니라 작품에 대한 학습자의 흥미와 호감을 증진하게 한다는 점에서 교육적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the reproduction patterns of multicultural children reflected in Tina's Paper House from a interculturalism perspective, and to explore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Poems for children reflecting interculturalism. Interculturalism, which pursues cultural convergence while acknowledging differences and competition between cultures, can be said to be an ethical perspective compared to multiculturalism in that it allows different cultures to interact in a win-win manner. Therefore, in children's literature and literature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consider multicultural works from a cross-cultural perspective. In this study, the reproduction patterns of multicultural children reflected in Tina's Paper House from the perspective of interculturalism were analyzed. As a result, first, multicultural children were embodied as objects that removed prejudice, not special objects. Second, multicultural children were not objectified as collateral beings, but as subjective beings. Third, it was confirmed that multicultural children were reproduced as members who communicated meaningfully with children their age and promoted win-win growth. Poems for children reflecting interculturalism are significant in helping learners overcome prejudice toward multicultural children, recognizing the initiative of multicultural children, developing a win-win and cooperative attitude toward multicultural children, and promoting learners' interest and favor in works of multicultural literature.

      • KCI등재

        텔레비전 코미디 프로그램에서 재현되는 소수집단 목소리의 타자화

        김정선(Jeong Seon Kim) SBS 2016 미디어경제와 문화 Vol.14 No.2

        현재 한국은 다양한 사회적, 문화적 현상이 공존하고 있다. 지금껏 은폐되었던 성 소수자 문제가 점차 가시화되고 있으며, 체류 외국인이 100만을 넘어선 상태로 본격적인 다문화 사회로 진입한 만큼 다인종, 다문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사회 문화적 현상에 주목하여, 본 논문에서는 한국의 미디어가 ‘타자’라고 명명되는 특정 집단을 어떻게 재현하고 있는가를 ‘목소리의 재현’ 측면에서 분석하였으며, 특히 본 연구에서는 텔레비전 코미디 프로그램에서 재현되는 남성 동성애자와 조선족의 목소리을 그 분석대상으로 삼았다. 이를 통해 현재 주류 미디어가 특정 집단의 목소리를 특정한 방식으로 재현함으로써 사회, 문화적 특수성을 드러냄과 동시에 특정 집단을 타자화하고 있다는 점을 밝히고자 했다. 분석결과, 한국의 미디어는 이성애 중심의 문화로 인해 남성 동성애자에게 거친 숨소리, 부자연스러운 고음과 같은 여성스러운 목소리를 선택하고 이를 재생산함으로써 이들을 성적 대상으로 볼거리화하고 있었다. 또한 조선족의 목소리에 음의 고저의 변화가 강하게 나타나며, 떨림이 심하고, 음의 지속시간이 짧아서 다소 급하게 들리는 등과 같은 듣기 불편한 목소리를 선택하였다. 한국의 주류 미디어에서 나타나는 이와 같은 목소리 재현 방식은 다양한 텍스트를 통해 끊임없이 재생산됨으로써 일종의 생산 관습으로 자리 잡혀 있었다. Various political and cultural phenomenon related to gay, korean Chinese currently exist in Korea. The issue of sexual minority that has been concealed and hidden, in particular, is being importantly dealt with from the commercial success of media texts with subject matter on sexual minority. Meanwhile, the interest in multi-ethnicity and multi-culture is increasing as the Korean society has become a multi-cultural society of over one million foreigners residing in Korea. Furthermore, the tendency of marginalizing regions or countries with low economic capital is still being revealed in Korea. Such tendency is specifically revealed through hierarchy of language. Accordingly, this paper analyzed from the aspect of ‘voice reproduction’ regarding how the Korean mainstream media are portraying minority groups in the gay, korean chinese aspect. Based on this, this paper sought to reveal that mainstream media are otherizing particular groups, while revealing the cultural and political specialness of social minority groups by reproducing their voices in certain ways. The analysis result showed that the Korean mainstream media were portraying sexual minorities(gay) as sexual objects by selecting and assigning rough breathing sound, unnatural high-pitched feminine voice for them as a result of the heterosexual love centered culture. In addition, voices of korean chineses were caricaturized or portrayed excessively emotionally for the sake of inducing laughter or emotional impact. The otherization from such voice reproduction shown in the Korean mainstream media had become a sort of productive custom as it was endlessly reproduced from the aspect of productive efficiency.

      • KCI등재

        다문화가정의 사소한 갈등

        강현민(Hyeonmin Kang) 한국콘텐츠학회 2015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5 No.8

        본 연구는 한국의 다문화 현실 속에서 미디어가 결혼이민자여성을 어떻게 재현하는지를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특히, EBS 다큐멘터리 <다문화 고부 열전>을 분석하여 이 콘텐츠가 여행서사를 채택하여 며느리와 시어머니 간의 고부 갈등과 그 갈등의 해결 과정을 보여준다는 것을 밝혔다. 여행서사는 며느라의 고향으로 시어머니가 함께 여행함으로서 상호이해와 문화 다양성을 보여주는 듯 하지만, 이들이 처한 문제와 갈등이 여행으로 해결될 수 있는 ‘사소한’ 개인들의 문제로 보이게 한다. 이러한 재현 방식을 통해 보여지는 이들의 삶은 ‘다큐멘터리’라는 장르의 특성상 수용자들이 ‘사실 그대로의 것’으로 받아들이게 한다. 즉, 이러한 재현은 이들이 처한 사회 구조적인 문제나 제도적 문제들이 은폐시킬 수 있으며, 이들의 갈등이 개인의 노력으로 해결 가능한 문제로 인식시킬 위험이 있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how the media represents marriage immigrant women in the reality of Korean multicultural society. In particular, by analyzing an EBS documentary titled, ‘Multicultural Fierce Conflicts between Mother-in-law and Daughter-in-law’, this study clarifies that this content adopted travel narrative to show conflicts between mother-in-law and daughter-in-law and solution of these conflicts. The documentary apparently shows mutual understanding and cultural diversity but still keeps representing these conflicts as individual’s ‘trivial’ problems. Under this way of representation, social and structural problem or institutional problem in reality can be covered up by the medium of travel. It makes such a conflict look like an individual’s ‘trivial’ problem can be solved by individuals.

      • KCI등재

        한국소설에 나타난 결혼 이주여성의 재현 양상

        강진구(姜鎭求)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2011 다문화콘텐츠연구 Vol.0 No.11

        본 논문은 한국 현대소설 중 결혼이주여성이 등장한 작품들을 대상으로 결혼이주여성들이 어떻게 재현되고 있는지를 살피는 것이다. 이주여성을 다룬 문학 작품들을 살펴보면, 이주여성들이 국적에 따라 한국 남성과 ‘결혼/연애(성적 욕망의 대상)’의 대상으로 구분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시 말해 문학 작품에 등장하는 이주여성들은 그 국적에 의해 노동에 종사하는 여성, 성산업에 종사하는 여성, 결혼이주여성으로 분류된다. 본 논문은 다양한 이주여성 중 결혼이주여성을 형상화한 작품들의 재현양상을 분석하였는데, 그 특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① 소설의 창작자가 대부분 여성작가라는 점이다. ② 결혼이주여성의 삶이 파국으로 끝난다. ③ 결혼이주여성을 불평등한 국제 노동 분업의 이름 없는 부속품으로 여기거나 그 범죄의 희생양으로 이미지화 한다. ④ 이주여성들을 불임 또는 유산하는 여성으로 재현함으로써 정주(定住)의 가능성을 차단해 버린다.

      • KCI등재

        가족주의 관점에서 본 KBS<이웃집 찰스>의 이주민 가족 재현 연구

        박미경(Mi-Kyoung Park),이헌율(Hun-Yul Lee) 한국콘텐츠학회 2017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7 No.4

        본 연구는 이주민의 미디어 재현 변화를 분석하기 위하여, KBS <이웃집 찰스>에 나타난 새로운 이주민의 재현을 내용분석하였다. <이웃집 찰스>는 지상파 프라임타임 시간대에 편성되어, 안정된 시청률을 보이면서 방송되고 있다. 기존 이주민 프로그램과 비교, <이웃집 찰스>가 재현에서 보이는 차이점은 크게 인구 사회학적으로 다양한 속성의 이주민 출연과 결혼이주남성의 주인공 등장을 들 수가 있다. 차이의 원인을 보면, 최근 이주의 형태가 동남아 결혼여성과 노동자 중심에서 지역적으로 서구 사회를 포함하고 결혼남성이 증가하는 형태로 다양화하고 있다. 이런 변화가 미디어 재현을 부분적으로 견인하고 있다고 본 연구는 발견하였다. <이웃집 찰스>에서 이주민 재현 대상자는 다양해졌지만, 이주민을 한국 전통 문화에 통합되어야 하는 대상으로 간주했던 민족주의적인 특징도 잔존했다. 이주민의 활동을 공적 영역으로 확장시키고, 사회적 차이와 편견에 대한 의견 개진, 한국 전통문화에 대한 비판 등은 이주민의 재현을 긍정적으로 확장시킨다. 동시에, 젠더적인 관점에서 보면, 이주민 가족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형태의 문제들이 재현되었지만, 전통적인 가족주의 담론이 문제 해결 수단으로 제시되었다. 정리하면, 본 연구는 이주민과 관련한 사회적 변화와 함께 나타나는 이주민 재현 변화를 분석, 기존 이주민 연구를 보강하고자 한다. This paper analyzed the representation of migrants in television with the example of KBS‘s My Neighbor, Charles. This primetime TV show with consistent popularity has showcased different types of migrants from other Korean television shows in terms of gender and race, and, partly the difference brought popularity to it. This study finds the major reason of the difference from changed migration patterns in Korea. Until recently, the main population of immigrants in Korea was composed of female brides and workers, but it became diversified to include male and the West migrants. This triggered the changes in media representation, but not thoroughly. Though the faces of migrant protagonists have been diversified, the remaining ideology of nation-centric that has been the main frame to regard migrants as someone to be integrated through traditional values persists. This study finds a few conflicts between the traditional and the change. For example, represented realities of migrants are extends to include their activities in public domain, disputes of multicultural society such as social differentiation and bias, and the criticism of Korean traditional culture. In a gender perspective, while all the marriages represented showed different kinds of vulnerability, discourses of traditional familialism were also clearly presented through different tools of representation. This study aims at contributing existing studies of media representations of migrants with a more complicated pictures in the context of social changes and migration population chang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