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형기 비평의 논리와 국민문학론

        고봉준(Ko Bong-jun) 한국현대문학회 2008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24

        이 논문은 최재서의 비평을 중심으로 전형기 비평담론의 의미와 한계를 짚어보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 전형기 비평의 성격은 근대 비판과 새로운 세계원리의 모색으로 요약할 수 있다. 중일전쟁과 파시즘 체제의 등장으로 상징되는 이 시기, 조선의 문학비평은 현대를 위기와 모색의 시간으로 사유했다. 최재서의 초기비평을 관통하고 있는 주지적 경향에 대한 탐색은 현대의 극복에 대한 이론적 모색의 하나였다. 기존의 연구에서 최재서의 주지주의 문학론은 외래사조의 수입과 영향으로, 40년대 이후의 국민문학은 친일문학으로 평가되어 왔다. 그러나 최재서의 비평은 단순히 수입이나 친일이라는 평가만으로 부정할 수 없는 이론체계를 갖추고 있는 바, 이 이론체계의 현실적합성과 이율배반을 정당하게 해명하는 일이야말로 전형기 비평담론의 핵심을 올바르게 이해하는 길이라고 할 수 있다. 최재서는 전통적 세계관의 해체와 보편적 담론의 부재를 현대의 혼돈으로 간주했다. 그가 집요하게 파고들었던 주지주의 문학은 현대의 혼돈을 극복하기 위한 노력의 하나였지만, 조선이 전통을 상실한 세계로 인식되는 한 영미문학과 일본 사상계의 영향은 필연적인 것이었다. 최재서는 혼돈의 극복이 현대의 시대 정신이라고 보았고, 같은 맥락에서 보편의 회복만이 그것을 가능하게 한다고 생각했다. 이때 ‘보편’의 범주를 어떻게 설정할 것인가라는 문제가 남게 되는데, 최재서의 초기비평은 그것을 ‘세계’의 수준에서 사유했지만, 1937년 이후 급속하게 ‘일본’ 쪽으로 기울게 된다. 이 사상적 변화를 가능하게 했던 이론이 바로 내선일체이다. 그러나 〈일본=조선〉이라는 등식으로 표현되는 내선일체는 식민지라는 조건을 부정하거나 제국과 식민지를 관념의 층위에서 동일시할 때에만 가능한 것이었다. 당시 조선 및 일본의 비평담론에서 이것은 보편과 특수의 구도 속에서 사유되었고, 때문에 조선의 지식인들은 내선일체를 긍정하면서도 여전히 조선적인 것의 성격에 대해 질문하지 않을 수 없었다. 이처럼 전형기 비평담론에서 ‘조선적인 것’은 식민지라는 특수성의 장소이면서, 동시에 내선일체의 불가능성이 확인되는 곳이었다. 1940년대 초반 국가총동원이라는 신체제 운동의 문학적 표현으로 등장한 ‘국민문학’은 이 불가능성을 국가주의의 수준에서 봉합하려는 시도였다. 그러나 ‘국민문학’은 일본 제국주의의 식민지 지배 욕망과 〈조선=일본〉이라는 등식의 내면화를 근거로 스스로를 세계사의 보편의 위치에 놀려놓으려는 식민지 지식인의 욕망의 공모관계에서 형성된 측면이 강하다. 물론 이것은 내선일체의 등식화가 내면화될 수 있다는 오인(誤認)의 구조에 의해서만 작동되는 것이었다. 최재서의 일제말기 비평은 내선일체의 불가능성과 국민문학의 오인 구조를 믿음, 신념, 피에 기대어 돌파하려는 시도의 하나였고, 그의 뒤늦은 창씨개명은 그 성공에 대한 확인 작업이었다. 그러한 감정과 관념 차원의 동일시가 일본의 국책을 되풀이하는 하위주체의 노예언어라고 평가하는 것이 불가능한 것은 아니다. 그러나 그것은 전형기의 비평담론을 부정하거나 무시하는 논리는 될지언정 올바로 사유하는 것은 아니다. 이런 맥락에서 본 연구는 일제말기의 국민문학이 식민지와 제국의 욕망의 공모관계의 산물임을 해명하려 했다. 이 공모관계를 가능하게 만들었던 두 가지 사건이 바로 파리함락과 징병제 실시선언이었다. 그러나 그것은 내선일체의 불가능성, 보편=특수라는 오인의 구조를 관념의 층위에서 긍정하는 것이라는 점에서 처음부터 한계일 수밖에 없었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critical discourse during Korea's late colonial period in the 1930s and 40s, focusing on Choe Jae-seo's criticism. Critical discourse during the late colonial period in Korea can be summarized as the critique of the modern and the search of universal principle. Literary criticism during this period, which is symbolized by the Sino-Japanese War and the emergence of Fascist regime, depicted the modern as the time of crisis and searching. The search of intellectualism that cuts across Choe Jae-seo's early criticism was one of the theoretical approaches to overcome the modern. In the existing research, Choe Jae-seo's intellectualist literary theory, especially the post-1940s' National Literature was considered as the pro-Japanese literature that was influenced by the introduction and influence of the foreign ideas. However, Choe Jae-seo's criticism has a theoretical structure that cannot be easily done away with the comment that it was simply something imported or pro-Japanese. Hence, giving a fair chance to judge the compatibility and antinomy of his theoretical structure is the key to understanding the essence of critical discourse during the late colonial period. Choe Jae-seo considered the collapse of traditional world view and the absence of universal discourse as a chaos. His vigorous attempt to pursue the intellectualism in literature was one of the efforts to overcome the modern as a chaos, but it was inevitable to receive influence from the English literature and Japanese ideas insofar as Joseon was recognized as the world that already lost its tradition. He thought that overcoming the chaos was the task of the modern, and within the same context, believed that recovering the universal was the only solution. Here, defining the range of 'the universal' becomes a problem. In his early criticism, Choe Jae-seo thought of it on the level of 'the world.' However, after 1937, his idea of the universal shifts dramatically to Japan. What triggered this change was the theory of Naisenittai(the unification of Japan and Korea). Nevertheless, Naisenittai was possible only insofar as Korea's condition as the colony was denied or the empire and the colony were identified on the conceptual level. In the critical discourse of Japan and Korea, it was considered within the structure of the universal and the particular, hence, leaving the Korean intellectuals to acknowledge the theory of Naisenittai, but simultaneously, raise the question of what is Korean. Thus, in the critical discourse of the late colonial period, 'what is Korean' was the locus of particularity and, at the same time, the point where the impossibility of Naissenittai was recognized. The emergence of 'national literature(gukmin munhak),' which was a literary expression of the new structure movement, i.e. the national mobilization, in the early 1940s was an attempt to suture this impossibility on the level of statism. However, Japan's imperialist desire to dominate Korea and the colonial intellectuals' desire to put Korea on the universal position in the world history by internalizing the idea that Korea is equated with Japan have conspired to form the national literature. This could only be operated on the misperception that the equation of Korea and Japan could be internalized. Choe Jae-seo's criticism in the late colonial period was an effort to struggle through the impossibility of Naisenittai and the misconception of national literature with faith, conviction and blood, and his belated decision to change his name from Korean to Japanese was a confirmation that it would eventually succeed. It is not impossible to think of such identification on the emotional and conceptual level as a slavish language of the subaltern that merely repeats the national project of the Japanese empire. Such judgment could be a logic that negates or ignores the critical discourse of late colonial period, but it is not a f

      • KCI등재

        김남주 시에서 ‘5·18’의 의미 - 광주항쟁시선집 『학살』(한마당, 1990)을 중심으로

        고봉준 ( Ko Bong-jun ) 영주어문학회 2021 영주어문 Vol.47 No.-

        이 글은 김남주의 시세계에서 ‘5·18’이 갖는 의미를 살피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김남주는 오월문학(May literature)을 대표하는 시인이다. 1980~90년대에 창작, 발표된 오월문학은 흔히 ‘증언’과 ‘기억’, ‘부끄러움’과 ‘원죄의식’을 주조로 삼고 있다. 한편으로는 공식적인 역사에서 ‘5·18’을 지우려는 권력의 망각-의지에 반(反)하여 국가폭력에 의해 희생당했거나 저항한 사람들이 있었음을 증언하려는 기억-의지가, 다른 한편으로는 80년대를 살았음에도 불구하고 아무것도 하지 못했다는 죄책감에서 나온 ‘부끄러움’과 ‘원죄의식’의 표현이 오월문학의 주류를 형성해왔다. ‘5·18’을 소재로 한 김남주의 시는 1990년에 출간된 시선집 『학살』에 수록되어 있다. 이 시집에 수록된 작품의 상당수는 감옥에 수감된 상태에서 창작된 것으로, ‘5·18’에 대한 부정확한 소문과 상상력이 만든 산물이다. ‘5·18’ 당시 김남주는 이미 구속된 상태였고, 따라서 그 사건에 대해 전혀 알지 못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자신이 ‘5·18’을 직접 경험하거나 목격한 것처럼 ‘증언’의 형식으로 다수의 시를 썼다. 하지만 김남주의 오월시에는 또 다른 특징이 존재한다. 그것은 ‘5·18’을 단순한 비극, 그리하여 슬픔과 애도의 대상으로 간주하지 않고, 폭력과 권력에 대한 저항의 사건으로 인식한다는 점이다. 김남주는 ‘5·18’에서 불합리한 현실을 뛰어넘는 혁명의 가능성을 읽어내고 있고, 그것은 주로 ‘마을’과 ‘공동체’의 형상으로 나타난다. 김남주의 시에서 이상적 세계는 ‘국가’가 아니라 그것과 대립적인 형태로 제시된다. 한편 1990년 이후 김남주 시에는 ‘5·18’에 대한 언급이 거의 등장하지 않는 반면 그 자리를 ‘일상’이 차지하고 있다. 1980년대의 김남주가 ‘5·18’을 중심으로 이상적 세계를 사유했다면, 1990년대의 김남주는 ‘일상’을 중심으로 이상적 세계를 사유한 것이다. 이처럼 김남주 시에서 ‘5·18’은 슬픔과 애도의 차원을 넘어서는 정치적 의미를 지닌다. This article investigates the meaning of the May 18 movement in the poem written by Kim Namju, who was the representative poet of May literature. May literature indicates literary works created and published in the 1980s through 1990s that had a theme of ‘testimony’, ‘recollection’, ‘shame’ and ‘guilty conscience of original sin.’ Mainstream of May literature was shaped by ‘recollection-willingness’ to testify that there were people who were sacrificed by the government or fought against the political force that tried to eradicate the memory of May 18 movement from official history, and by ‘shame’ and ‘guilty conscience of original sin’ felt by people who were ashamed of not having done anything about the democratic movement despite that they lived through the 1980s. Poem of Kim Namju written about the May 18 movement was published in an anthology ‘Haksal (Massacre)’ published in 1990. Quite a few poem in the anthology was written while the poet was imprisoned, and thus an outcome of inaccurate rumors and the poet’s imagination. At the time of the May 18 movement, Kim Namju was already in prison, and could not know about the incident accurately. Nevertheless, the poet wrote a number of poem in a format of ‘testimony’ as if he experienced or observed the event. There is another salient feature in his May poem. The poet did not regard the May 18 movement merely as a tragedy tinged with grief and mourning, but saw it as an event of resistance to violence and authority. The poet saw a possibility of revolution in the May 18 movement to overcome irrational reality, and the possibility is described in a form of ‘village’ and ‘community.’ In his poem, an ideal world is not a ‘country’ but an antagonistic entity to a country. Since the 1990s, the May 18 movement is all but seen in his poem, and its place is taken by ‘daily life’ instead. Until the 1980s, the poet thought about an ideal world revolving around the May 18 movement, but since the 1990s, daily life became a center in his mulling over an ideal world. In his poem, the May 18 movement contained political meanings that goes beyond mere grief or mourning.

      • KCI등재

        김수영 시에 대한 `시선/시각성` 연구 재론

        고봉준 ( Ko Bong-jun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6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52

        이 글은 `시선/시각`을 중심으로 김수영 시를 해석하는 경향에 대한 문제제기이자 하나의 제언이다. 김현이「공자의 생활난」에 등장하는 “바로 보마”와 “반란성”을 가리켜 김수영 문학을 관통하는 문제의식이라고 주장한 이래로 지금까지 “바로 보마”라는 구절은 다양하게 해석되면서 김수영 문학을 해명하는 키워드로 기능하고 있다. 최근에는 이것을 `시선/시각`의 문제로 전유함으로써 김수영 시에 등장하는 `시선/시각`이 어떻게 근대적인 시각중심주의로부터 벗어나고 있는가를 해명하려는 연구가 이어지고 있다. 하지만 김수영의 이 구절을 김현과 동일한, 혹은 `시선/시각`의 문제로 해석하는 것이 올바른 것인지는 의문이다. 아울러 김수영 시의 `시선/시각` 문제를 해명하기 위해 그의 시에 등장하는 시각 관련 단어들을 찾는 연구 방법 역시 시어 자체와 `시선/시각` 이 직접적으로 연결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상당한 한계를 지니고 있다. 이상의 많은 연구들은 `근대=시각중심으로`라는 전제를 공유하고, 나아가 김수영의 시에 나타나는 `시선/시각`을 탈근대적인 것으로 해석하려는 태도를 취하고 있다. 하지만 이 논문은 50년대까지의 김수영 문학에서 나타나는 화자의 시각적 경험은 `주관화`라는 서정시의 일반적인 규범을 벗어나지 않는다는 것을 입증하려고 노력했고, 오히려 60년대에 새롭게 등장한 세계에 대한 긍정적 이해나 태도 등은 `산문적 시선`과 `시적 시선`에 대한 포스트콜로니얼리즘의 구분을 원용하여 해석하고자 했다. 이 논문은 한 시인의 시에 나타나는 `시선/시각`을 고찰하는 문제는 시어의 언어학적 분석이나 시각성에 대한 철학적 접근이 아니라 사물/대상/세계를 바라보는 시인의 시선의 질감이나 방향을 통해 설명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esent a question of how to interpret poems by Kim Su Young focusing on “gaze and visuality,” as a proposal. Since Kim Hyun argued that “I will see it straight” and “revolt” in Confucius`s Trouble of Life express the poet`s awareness of a problem which runs through his works, the phrase “I will see it straight” has been interpreted with various ways, functioning as a key word for understanding his poems. Recently some researchers attempted to explain how "gaze and visuality” in Kim`s poems grew out of modern visualcentrism by appropriating the phrase as a problem of "gaze and visuality.” However, it may be asked whether the phrase by the poet can be interpreted as a problem of "gaze and visuality,” or as argued by Kim Hyun. Some researchers have focused on searching for gaze-related words in his poems in order to explain the “gaze and visuality,” a research that has considerable limitations because poetic language is not directly associated with “gaze and visuality." Many studies share the premise that modernity is being visualcentrical, consequently interpreting that the “gaze and visuality” in Kim Su Young`s poems is that of postmodernism. We in this paper, however, attempted to prove that the visual experience of the narrator in Kim`s works until the 50s had not been out of general norms and that his positive understanding or attitude on the world newly expressed in the 60s could be interpreted by citing and applying post-colonialistic classification of “prosaic gaze” and “poetic gaze.” We argued in this study that considering “gaze and visuality” in works of a poet should not be a linguistic analysis of poetic dictions or a philosophical approach on visuality and that such question should be answered in terms of the texture or direction of the poet`s gaze toward things, objects, and the world.

      • KCI등재

        ‘동양’의 발견과 국민문학 - 김종한론

        고봉준 ( Ko Bong-jun ) 한국문학이론과 비평학회 2007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35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works of Kim Jong Hwan, especially, based upon the concepts of National Literature and New Localism. Most of Kim Jong Hwan's early works were new folk songs and ariettas. He thought new folk song was the result of modern technology, for example, radio and record player made it possible to be made and distributed of new folk song. Kim emphasized new folk song could reflect of the spirit of the times. In the late of 1930', he didn't related folk poetry with nationalism. Rather, he thought the concept of local color as original nature of modern art. The concept of new-localism were frequently discovered since he participated in magazine 『Kukminmunhak』. New localism of the age meant korea was only a local of japan. He regarded that the emphasis on 'new localism' could offer a korean distinctiveness to eastern literature. However, he failed to be free from the logic of national literature. New localism was just one of the rules of national literature.

      • KCI등재

        일반논문 : 80년대 문학의 전사(前史), 포스트-유신체제 문학의 의미 -1979.12. 12부터 1983년까지의 비평담론

        고봉준 ( Bong Jun Ko ) 한민족문화학회 2015 한민족문화연구 Vol.50 No.-

        이 논문은 12ㆍ12 사태 이후의 문학적 상황을 연구 대상으로 삼고 있다. 이는 이 시기의 문학적 현실을 재구성하는 작업이 1980년대 문학의 기본성격을 살피는 첫 걸음이라는 문제의식의 산물이다. 일반적으로 한국의 현대문학사는 10년 단위를 중심으로 분절되어 기술되어 왔다. 이런감각에 기초하여 1980년대 문학이 1980년 5월에 발생한 광주민중항쟁에서 시작된다고 보는 시각이 지배적이었다. 하지만 이 논문에서 살피고 있는 것처럼 1980년의 문학적 상황은 오늘날 우리가 1980년대 문학의 특징으로 간주하는 항목들과 많은 점에서 불일치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가령 1970년대 문학을 계간 문예지의 시대로 규정하고, 1980년대 문학을 무크지의 시대로 규정하는 기존의 학설은 역사적 사실을 왜곡할 위험을 내포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1980년대를 세 개의 시간단위로 분절해서 살펴야 한다는 주장을 제시했고, 특히 1980년대 문학을 무크지의 등장과 연계시켜 설명할 때에는 1984년 이전과 이후를 명확하게 구분할 것을 제안했다. 이런 맥락에서 본 논문은 이 시기에 창작과비평사에서 출간한 기획 단행본 「한국문학의 현단계」와 자유실천문인협의회의 기관지였던 무크 「실천문학」, 문학과지성사에서 출간한 무크 「우리 세대의 문학」이 1980년대를 어떻게 이해했는가를 비교ㆍ분석하는 데 집중했다. 이 비교ㆍ분석에 따르면 「한국문학의 현단계」는 당시를 분단시대로 인식하면서 민족문학론을 주요 이론으로 내세웠고, 무크 「실천문학」은 지식인 문학을 넘어서는 문학의 실천성에서 새로운 문학의 가능성을 찾았으며, 「우리 세대의 문학」은 보편담론을 중심으로 근대 또는 자본주의와의 긴장관계를 강조하는 방향을 선택했다. This study researched literary situations after the 12ㆍ12 Military Insurrection. This is the product of the critical mind that the work of reorganizing the literary reality during this period is the first stage in examining the basic characteristics of literature in the 1980s. In general, Korea`s modern literary history has been described via its segmentation on a 10-year basis. Based on this, a dominant viewpoint was that literature in the 1980s began with the Gwangju Democratic Movement which broke out in May 1980. However, as reviewed in this study, literary situations in 1980 shows discrepancy in many points with the items regarded as the characteristics of literature in the 1980s. For instance, the existing theory defines literature in the 1970s as the era of quarterly literary magazines and literature in the 1980s as the era of mook. However, this theory involves the risk of distorting historical facts. In this regard,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1980s should be examined by segmenting the period into three time units.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explaining literature in the 1980s in connection with the emergence of mook, this period should be clearly divided into before and after 1984. In this context, this study focused on comparing and analyzing 『한국문학의 현단계(The Current Stage of Korean Literature)』, a special book published by Changbi Publishers, the mook 『실천문학(Practice Literature)』, an in-house magazine of the Association of Writers Practicing Freedom, and the mook 『우리 세대의 문 학(Our generation`s Literature)』published by Moonji Publishing in terms of how these magazines understood the 1980s. Based on the comparison and analysis, 『The Current Stage of Korean Literature』perceived the respective time as the error of division and suggested national literary theory as a major theory. The mook 『Practice Literature』found the potential for new literature in literary practicality beyond the literature of intellectuals. On the other hand, 『Our generation`s Literature』selected the direction of emphasizing the tense relationship with the modern era or capitalism based on universal discourses

      • KCI등재

        김춘수 시론에서 ‘무의미’와 ‘언어’의 관계

        고봉준(Ko, Bong-Jun) 한국시학회 2017 한국시학연구 Vol.- No.51

        이 논문은 김춘수의 ‘무의미’ 시론이 제기한 시의 언어에 대한 문제의식을 중심으로 현대시에서 ‘언어’가 차지하는 기능과 위상을 살피고, 나아가 ‘무의미’ 시론의 시사(詩史)적 의미와 한계를 살펴보려 한다. 알다시피 시는 대표적인 ‘언어예술’로 평가된다. 하지만 시를 가리켜 ‘언어예술’이라고 말할 때의 ‘언어’가 정확하게 무슨 의미인지, 그것이 일상어는 물론 소설의 언어와 어떻게 같고 다른지는 여전히 해명되지 않고 있다. 20세기 후반의 현대철학은 상이한 철학적 입장에도 불구하고 이 ‘언어’의 특성을 ‘언어 정보 모델’과의 차별성을 통해 설명하려는 공통점을 보였다. 이는 ‘언어’가 안정적인 의미를 실어 나르는 전달 수단의 기능을 중지할 때에 비로소 문학, 특히 시의 언어일 수 있다는, 따라서 시의 언어는 표면적으로 ‘의미’를 전달하는 것처럼 보일 때조차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해야 한다는 합의가 전제된 것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언어의 반(反)소통적 성격만으로 현대시의 현대성이 모두 설명될 수는 없겠지만, 상징주의 이후 유럽의 현대시가 일정 부분 이 합의의 범위 안에서 발화되어 온 것도 사실이다. 김춘수의 무의미시론은 이러한 언어의 반(反)소통적 특징, 즉 시의 언어적 특성을 ‘언어정보 모델’의 외부에서 찾으려는 실험으로 읽을 때 비로소 그 의미가 분명하게 드러난다. 다만 그는 언어의 반(反)소통적 성격을 회화에서의 ‘추상’과 동일한 층위에서 사고함으로써 시를 추상의 차원으로 개방하는 데는 성공했으나 결정적인 문제에 봉착하게 된다. 그것은 추상회화는 ‘대상’을 갖지 않을 수 있으나, 시는 우연성에 기초하여 철자와 구문을 해체하는 것 외에는 ‘대상’을 갖지 않기가 어렵다는 장르적 차이가 바로 그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김춘수의 시론의 전개ㆍ발전과정을 이런 관점에서 조망하고, 그것의 의미와 한계를 통해 시에서 ‘언어’의 문제를 다시 환기하고자 했다. This paper examines the function and status of ‘language’ in modern poem focusing on the critical mind by on poetic language suggested by Kim Chun-Su in his ‘meaninglessness’ essay on poetry. The paper also examine the meaning and limitation of ‘meaninglessness’ essay on poetry from an aspect of poetic history. As is generally known, poem is often evaluated as representative ‘language art.’ Nevertheless, we have no clue as to what exactly ‘language’ in ‘language art’ means or how it can be compared to everyday words and language in novels when we call poem as ‘language art.’ Despite the completely different philosophical standpoint, modern philosophy in the late 20th century commonly attempted to explain the characteristics of this ‘language’ in ‘language art’ by differentiating it from ‘language information model.’ We can say that this is based on an agreement that ‘language’ can become literary language, particularly poetic language, only when it ceases to function as a delivery tool that carries stabilized meaning. That is, language in poems should fulfill its function beyond the carrier even when it seems to deliver ‘meaning’ on the surface. Surely, anti-communicative characteristics of language alone cannot fully explain the modernity of modern poem. However, it is true that modern poem in Europe has been developed based on this agreement after symbolism to a certain degree. Meaninglessness essay on poetry by Kim Chun-Su can be truly understood when we read it by focusing on the anti-communicative characteristics of language. In other words, understanding the essay is an experiment of finding the linguistic characteristics of poem outside the ‘language information model.’ He successfully opened the abstract dimension of poem by understanding the anti-communicative characteristics of language in a similar context to ‘abstract’ paintings. However, he was encountered by a critical problem, which comes from the difference of genre. While abstract painting can have no ‘object,’ poem is unlikely to have no ‘object’ other than disassembling spelling and sentence based on its fortuitousness. This paper sheds lights on the developing and unfolding process of Kim Chun-Su’s essay on poetry from this point of view and attempts to attract attention to the issue of ‘language’ in poem through its meaning and limitations.

      • KCI등재

        일제 후반기 국민시의 성격과 형식

        고봉준(Ko, Bong?jun) 한국시학회 2013 한국시학연구 Vol.- No.37

        일제 후반기 시사에서 ‘국민시’의 비중은 생각보다 크다. 최근까지 ‘국민시’는 잡지『국민문학』의 ‘국민문학’ 담론과 연동되어 연구되었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국민시’와 ‘국민문학’ 담론이 마치 40년대의 독창적인 산물처럼 오인되는 경향이 있는데, 이는 역사적 사실과는 매우 다르다. 이에 본 논문은 1937년 중일전쟁을 기점으로 식민지 시대의 문학을 전반부와 후반부로 양분하고, ‘국민시/국민문학’을 후반기 문학의 이념적 특징 가운데 하나로 판단했다. 이를 위해서 이 논문은 『국민시가』(1941)에서『국민문학』(1941)을 거쳐『국민시인』(1945)으로 이어지는 문학에서의 ‘국민’ 담론에 주목했다. 특히 이 논문은 ‘국민시’를 국민문학 이념의 시적 미학이라는 관점에서 살폈다. 흔히 일제 후반기의 국민시/국민문학은 천황제 파시즘을 미화하고 전쟁의 정당성을 찬양한 친일문학 정도로 알려져 있다. 조선인들을 신민으로 완전히 동화시키기 위한 수단의 하나로 문학이 사용되었음을 감안하면 이러한 주장의 진위를 의심할 수는 없지만, 실제 이 시기 ‘국민시’ 논의는 파시즘과 전쟁을 옹호하는 내용적?이념적인 것에 국한되지 않았다. 즉 ‘국민시’는 단순히 일본의 지배를 찬양하는 친일시가 아니었다. 오히려 이 시기 일본에서 시작된 ‘국민시’ 논의는 내용만큼이나 형식,즉 일본적?동양적 형식을 강조했고, 이러한 전통 미학을 통해서 일본과 조선에 유입된 서구 근대시의 전통을 극복하려는 탈서구·근대초극의 의미를 지니고 있었다. 이러한 국민시의 형식적 특징이 중요한 까닭은 서구 근대시의 전통과는 다른 전통 미학의 복권이 집단적으로 시도된 것이 1930년대 후반의 문학적 상황이었기 때문이다. 비록 이 논문에서 살피지는 못했지만 일제 후반기의 ‘국민시’ 논의는 이처럼 30년대 말-40년대 초 조선에서 유행했던 향토적 경향과의 관계에서 새롭게 조명될 필요가 있다. This paper examined the nature of poems in the late Japanese colonial era through the concept of ‘national poems’. Discussion about ‘national poem’ in this era is generally studied centering on 『National Literature』. However, to consider the nature and forms of ‘national poems’ in the late Japanese colonial era, attention should be paid to the『National Poetry』(1941) and the 『National Poets』(1945). In this context, this paper examined ‘national poems’ centering on the natures of these two media. The former was led by Japanese residing in Chosun and the latter was led by those who majored in English literature at Kyeongseong Imperial University including Sato Kiyosi. In general, ‘national poems’ that appeared in the late Japanese colonial era are known to be a literary ideology that justified the Japanese invasion and supported fascism. However, as identified in those magazines, discussion about ‘national poems’ at that time had much stronger ideological natures than such instrumental natures. Therefore, unlike the existing one?sided assessment that ‘national poems’ served the war, the fact that ‘national poems’ were a literary attempt to surmount Western modern literature through Japanese traditional literary forms should be noted.

      • KCI등재

        조연현 비평에서 ‘문학’과 ‘정치’ : 일제 말기와 전후 비평을 중심으로

        고봉준(Ko Bong-jun) 한국근대문학회 2010 한국근대문학연구 Vol.11 No.2

        한국문학사에서 문학과 정치의 관계는 다음의 세 가지 방식으로 논의되어 왔다. 첫째, 문학이 민족적?민중적 현실의 반영이며, 따라서 문학은 현실의 문제에 대해서 적극적으로 개입해야 하고, 현실의 변화에 대한 문학의 역할이 존재한다는 입장. 둘째, 문학은 정치?종교?도덕 같은 제영역과의 거리로 정의되며, 때문에 특정한 정치적 입장이 문학을 지배할때 문학은 고유의 가치와 기능을 상실한다는 입장. 셋째, 문학은 정치로부터 분리되어 존재하되, 문학의 가치는 인간의 존재와 삶의 진실을 해명하는 데 있다는 입장. 조연현의 비평은 세 번째 입장에 속한다. 문협정통파의 대표적 비평가인 조연현의 비평관은 흔히 사상적인 측면에서는 ‘생리’와 ‘구경적인 것’을 매개로 한 근대의 초극으로, 문학적인 측면에서는 순수문학론으로서의 휴머니즘으로 요약된다. 그리고 이러한 두 측면을 떠받치고 있는 문학적 입장이 바로 ‘문학’과 ‘정치’의 거리였다. 조연현은 한편으로는 문학과 정치의 분리라는 논리를 내세워 이데올로기적인 선명성을 강조한 좌익의 공식주의 문학론과의 차별성을 확보하려 했고, 또 한편으로는 ‘생리’를 내세워 “구경적 생의 형식”을 주장하고 문학을 종교의 수준에 근접시킨 김동리와의 차별성을 획득하려 했다. 그러나 해방 이전, 즉 일제말기에 조연현은 일제 파시즘에 동조하는 입장에서 다수의 비평을 발표했는데, 흥미롭게도 그 비평들에서도 그는 문학은 ‘작품’을 중시해야 한다는 입장을 견지했으며, 이러한 입장은 해방기와 전후에도 계속 유지되었다. 한편 조연현의 비평은 중요한 개념들의 계열화를 함축하고 있다. <근대-이성절대주의/합리만능주의-논리-정치>의 계열과 <현대-파토스적 욕망/실존적 요구-생리-문학>의 계열이 그것이다. 여기에서 ‘정치’가 ‘논리’와 동일한 계열에 속하듯이, ‘문학’은 인간의 파토스적 욕망과 실존적 요구에 관계하는 ‘생리’에 속하는 것으로 설정된다. 이는 ‘인간’과 ‘생리’가 ‘문학’과 ‘정치’가 결합되는 것을 막아준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런 점에서 ‘인간-생리-작품’은 동일하게 ‘문학’과 ‘정치’의 연관성을 순화시켜주는예술적 안전장치로 기능한다. 그런데 이러한 가치의 계열화는 몇 가지 심각한 문제를 낳는데, 첫째, ‘문학’과 ‘정치’의 분리를 텍스트의 차원에 고정시킴으로써 작가의 정치 참여나 작품의 이데올로기적 기능에 대해서는 말하지 않는다는 점, 둘째, ‘민족’, ‘전통’, ‘휴머니즘’ 같은 근대적 가치들을 매개로 근대를 초극한다는 형용모순을 노출한다는 점, 셋째, 두 계열을 대립적으로 이해함으로써 ‘생리’, ‘전통’ 같은 비논리적 대상을 현대(근대의 초극)에 위치시키게 된다는 점 등이다. In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relationship between literature and politics has been discussed in mainly three branches as follows. First view claims that literature reflects ethnic aspect of reality as well as views of the mass public. According to this view, literature plays certain roles in changing the reality. Second perspective gauges status of literature by its distance from other areas of politics, religions and ethics. Thus, literature risks losing unique value and functions when political interests take over. Last view sees that literature is separated from politics, and its value lies in illuminating human existence and truths of life. Cho Yeon-hyeon’s critiques followed the last position. Cho Yeon-hyeon was a representative critic of the orthodox school of the literary association. In terms of ideology, his critique can be understood as transcendence of modernity through medium of ‘physiology’ and ‘pursuit of over common fate of the mankind.’ In literary aspect, his work was grounded in humanism as part of the theory of pure literature. Literary standing that supported these two aspects can be measured by distance between ‘literature’ and ‘politics.’ On one hand, Cho made efforts to secure independent identity of his critiques, apart from communist literary theory that emphasized ideological clarity, by dividing literary and political arenas. On the other hand, Cho put forth ‘physiology’ and emphasized ‘way of living that pursues to overcome common fate of the mankind,’ in an effort to differentiate his ideas from Kim Dong-ri who brought literature closer to realm of religion. Prior to liberation from the Japanese occupation, Cho published a series of critiques that sympathized with Japanese fascism. Interestingly, in these critiques, he maintained a position to put focus on ‘literary work’ in discussing literature; such perspective sustained through period of liberation and post-war eras. Cho Yeon-hyeon’s critiques implied a discourse on categorizing important literary concepts: they included <modern-absolute reason/rationalism-logic-politics> and <contemporary-desire of pathos-existential needs-physiology-literature>. Just as ‘politics’ and ‘logic’ fall into the same category, ‘literature’ is understood as belonging to ‘physiology’ that deals with human being’s desires of pathos and existential needs. In other words, ‘human needs’ and ‘physiology’ help to prevent collusion between ‘literature’ and ‘politics.’ In this regard, ‘human-physiology-literary work’ functions as an artistic buffer that weakens links between ‘literature’ and ‘politics.’ However, this kind of categorization of values accompanies grave problems. Firstly, it fixates separation of ‘literature’ and ‘politics’ on a level of texts, neglecting to consider writers’ political activities or ideological functions of literary works. Secondly, a matter of oxymoron arises as the argument tries to overcome modernity with modern values such as ‘ethnicity’, ‘tradition’ and ‘humanism.’ Lastly, by juxtaposing the two categories as antagonistic, illogical subjects such as ‘physiology’ and ‘tradition’ are placed in realm of contemporary value, that is, transcendence of modernity.

      • KCI등재

        특집논문 : "환상"으로서의 시의 위기 -1990년 이후 문학장의 변화를 중심으로-

        고봉준 ( Bong Jun Ko ) 한국문학연구학회 2013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51

        1990년 이후 한국 문학은 각종 ‘위기’ 담론에 대응하면서 흘러왔다. 1990년대에 접어들어 한국의 문화 전반은 상품 논리에 따라 급속하게 산업화되었고, 활자와 인쇄매체에 기반을 두었던 문학의 성격 또한 빠른 변화의 양상을 보였다. 이 변화의 핵심은 멀티미디어와 컴퓨터­인터넷의 등장이었다. 문학을 둘러싼 이런 조건/환경의 변화는 1990년대의 출발선에 선 많은 문학인들을 당혹스럽게 만들었다. 실제 이 당혹감이 ‘위기’라고 말할 수 있는 것인지, 문학 환경의 변화가 ‘위기’라고 말할 정도의 심각하고도 전면적인 변화로 이어졌는지는 중요하지 않은 듯하다. 아울러 문학에서의 ‘위기’가 본질적으로 무엇을 지칭하는 것인지도 그다지 중요한 문제는 아니다. 왜냐하면 1990년 이후 문학ㆍ출판계를 짓눌렀던 ‘위기’는 현상에 대한 사실 판단이 아니라 문학의 역할과 위상이 점차 축소되는 현실에서 기원하는 심리적인 위축감의 표현이었기 때문이다. 이 논문에서는 이 위축감의 표현으로서의 ‘위기’를 ‘환상’이라고 명명했다. 여기에서 ‘환상’은 현실과 무관한 공상적인 것이라는 의미가 아니라 정신분석학에서 심리적 현실을 구성하는 근거이라고 말할 때의 그것이다. 1990년 이후 한국시가 진짜 위기였는가와는 별개로 이 시기부터 최근까지 한국문학에서의 드물지 않게 시의 ‘위기’를 선언하는 목소리들이 등장했고, 그때마다 문학계는 ‘위기’ 여부를 둘러싸고 치열한 논전을 벌여왔다. 이런 맥락에서 보면 ‘위기론’은 사실 판단을 요구하는 물음이 아니라 사유를 촉발시키는 외부적 요인에 가깝다. 그것은 매번 활기를 상실한 문학계에 에너지를 공급하는 역할을 담당해왔다. 이 논문은 이런 관점에서 시의 ‘위기’로 지적되었던 실체에 대해 동시대의 비평이 어떻게 대응했는지, 그때마다 어떤 논점을 중심으로 시각이 나뉘어졌는가를 살피는 데 집중했다. Since the 1990s, the literary field in Korea has evolved in continued efforts to respond to discourses on the so-called “crisis” of literature. Around the same time, the pace of cultural commercialization accelerated across the cultural industry in Korea, and the traits of literature began to undergo transformation as well that used to be based on type faces and printing media. At the core of the transformation was the emergence of multimedia, computer and the internet. Changes in circumstances and environment that surrounds literature perplexed many fledgling writers launching on their writing career at the beginning of the 1990s. Maybe it is not so important to illuminate whether the widespread feeling of perplexity was the essence of the “crisis”, or the changes in literary environment evolved into a graver and more thorough transformation as to be called a “crisis.” Similarly, it might not be a significant issue to clarify the essence of the “crisis” in the literary circle, because the so-called crisis that depressed the world of literature and publication since the 1990s was not about a judgment of actual phenomenon, but more of a depiction of psychological depression that stemmed from the harsh reality of shrinking ground for literature and publication. Reflecting this, this study referred to the crisis as “fantasy” to indicate the shrinking feeling. Here “fantasy” is not used in the sense of unrealistic imagination, but rather as a basis that constitutes psychological reality as referred to in psychoanalysis. Apart from the discussions on the crisis of poetry in Korea since 1990, many occasionally raised voices to declare the crisis of poetry in the realm of Korean literature until recently, and each time, people in the literary field had heated debates over the appearance of crisis. In this context, the theory of crisis is closer to an external factor that triggers a specific line of thinking, than to a question that requires a factual judgment. Each time the reference of a crisis has fueled enervated literary circle with renewed energy. Against this background, this study focuses on examining how contemporary critics have responded to the crisis of poetry, and what controversial points divided their views.

      • KCI등재

        현대시에 투영된 이방인과 다문화

        고봉준(Ko, Bong-Jun) 한국문학회 2013 韓國文學論叢 Vol.64 No.-

        As per Karatani Kojin's indication about modern literature, Korean modern literature was formed centering on the trinity of ‘country= capital=nation’ and has been growing thereafter in the context of a nation-state/a single race. This historical context acted as a basic condition when modern literature imagines community, human, and reality. So to speak, in modern literature, communities occurred within the boundary of the nation and the state, humans were understood as a synonym of citizens or nation, and reality referred to diverse events and accidents occurring in the boundary of the nation and the state. However, these unconscious premises have been rapidly shrinking recently because maintaining physical distances from 'foreigners' has become impossible because of the appearance of neoliberalism and experiences that go beyond the boundary of the state/nation have been generalized. Neoliberalism erased the traces of the nation/state from both ‘capital’ and ‘labor’ to trigger their global movements. In this time of the wide ranged global movements unprecedented in the history of the world, the appearance of discourses on multiculturalism and tolerance is never an accident. This paper examined the limitations of discourses on multiculturalism and the meaning of the scene where the figuration of ‘foreigners-others’ fails repeatedly centering on the figure of foreigners drawn in Korean modern poetry. This is closely related to the issue of subalterns. This paper critically considered discourses on multiculturalism centering of the false nature of the reality termed ‘multiculturalism’. In addition, a conclusion was drawn indicating that modern poetry repeatedly fails in the figuration of the figure of foreigners because ‘foreigners-others’ are kept being perceived as an extension of the identity-entity. 이 논문은 2000년 이후 한국시에 투영된 이방인과 다문화의 흔적을 살피고, 그 재현 방식과 맥락들이 지닌 함의를 비판적으로 성찰하려는 목적에서 집필되었다. 오늘날 신자유주의의 지구적 확장으로 인해 한국은 대표적인 노동 수입국의 하나가 되었고, 결혼이주여성이 증가함에 따라 빠르게 다문화적인 환경으로 변해가고 있다. 이러한 환경의 변화는 문학적 상상력에도 적지 않은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2000년 이후에 이방인/이주자가 등장하는 시가 창작되기 시작한 것이 대표적인 사례이다. 하지만 이러한 변화는 두 가지 불편한 문제를 낳고 있다. 하나는 ‘다문화’가 현실을 지시하는 개념이기보다는 이데올로기 수준의 담론으로 기능하고 있다는 것이고, 또 하나는 이방인/이주자의 삶을 재현하려는 문학적 시도들이 대부분 예술적으로 실패를 거듭한다는 것이다. 각각 ‘담론’과 ‘예술’의 문제로 요약할 수 있는 이 두 문제는 사실상 하위주체에 대한 재현의 불가능성이라는 하나의 문제로 압축될 수도 있다. 이는 하위주체를 재현하려는 문학적 시도의 실패와 좌절이 시인 개인의 재능에서 비롯되는 것이 아니라 시 장르의 특징과 재현불가능이라는 조건 때문에 발생하는 것이라는 뜻이기도 하다. 이러한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먼저 이 글에서는 한국 현대시에 이방인/이주자가 등장하게 된 역사적ㆍ현실적 배경과 그것이 문학장의 변화를 추동하는 측면을 집중적으로 살폈다. 한국문학에 있어서 이방인/이주자의 등장은 단순한 소재의 확장이 아니라 ‘국가(state)=자본(captia)=네이션(nation)’의 삼위일체에 의해 지탱되어온 문학장 자체의 변화를 요청하고 있다. 만일 한국의 근대문학이 ‘상상의 공동체’를 구성하는 데 일조했다면, 이방인/이주자의 등장이 특징인 21세기의 문학은 더 이상 그러한 기능을 수행할 수 없는 상황에 직면하게 된다. 바로 이 지점이 ‘다문화’의 도래가 문학에 새로운 충격으로 작용하는 지점이기도 하다. 이러한 변화의 요청은 정치철학적 물음, 즉 윤리적 성격을 띠면서도, 다른 한편으로는 미학적 물음, 즉 하위주체의 재현이라는 문제로 이어진다. 특히 후자의 문제와 관련하여 이 글은 서발턴에 대한 스피박과 존 베벌리의 문제제기를 적극적으로 받아들였고, 그것을 재현의 불가능성이라는 철학적 문제가 아닌 선(善)한 의도와 미학적 균열 사이의 이율배반을 중심으로 전유하고자 했다. 이것은 이방인/이주자의 삶을 적극적으로 형상화해야 한다는 윤리적 당위의 힘이 강할수록 예술적 생산물의 수준은 떨어진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2000년 이후에 출간한 하종오의 시집들, 특히 그것들의 미학적 실패는 이를 분명하게 보여준다. 하종오의 경우와 비교하기 위해 이 글에서는 장석주, 강연호, 김사이, 정현종 등의 시를 비교 고찰했는데, 이들은 이방인/이주자를 하종오와는 다른 맥락 속에서 형상화하고 있다. 정현종의 시가 비교적 뛰어난 예술적 성취를 보여주고 있는데, 아이러니하게도 이방인/이주자에 대한 그의 태도는 가장 추상적이었다. 이는 하위주체의 문학적 재현이 구체성을 띨수록 문학적 효과를 획득하는 데 불리하다는 것을 의미하는데, 재현과정에서 작가들이 겪게 되는 이 난점을 재현의 불가능성이라는 포스트콜로니얼리즘적 문제의식에 견주어보는 것이 이 논문의 의도 가운데 하나였다. 하지만 최근의 한국문학연구에서 유행처럼 번지고 있는 다문화 열풍은 문학적 재현의 문제만은 아니어서 이 글의 서론과 결론 부분에서는 다문화 없는 다문화주의의 이데올로기적 성격을 지적하고, 어렴풋하게나마 이방인/이주자의 등장이 우리 시대에 던지는 문제를 올바로 받아들일 수 있는 방향에 관해 살펴보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