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초등학교 이중언어교육 프로그램의 효율적 운영방안 모색

        윤석룡(Yoon Seok-Ryong) 한국다문화교육연구학회 2012 다문화교육 Vol.3 No.2

        본 논문은 초등학교 이중언어교육의 효율적 운영방안 모색에 대한 연구 논문이다. 이 논문은 일부 초등학교에서 실행된 이중언어교육 프로그램 등 선행 연구와 현재 일선학교에서 이중언어교육 프로그램을 투입하여 실시한 결과를 분석한 내용을 바탕으로 효율적인 이중언어교육 프로그램의 운영 방안과 과제를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중언어교육 연구는 대체로 2006년 이후 정부, 대학을 중심으로 한 연구학회와 다문화센터 등에서 활발히 논의되고 있으며 현장중심의 이중언어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도 외국인근로자자녀특별학급, 다문화교육연구학교, 다문화교육거점학교 등에서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본 연구자의 학교에서 개발하고 투입한 이중언어교육 프로그램이 다문화가정 어린이에게 어떠한 교육적 효과가 있었는지 성과와 문제점을 살펴보고 향후 과제를 제시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로는 첫째, 이중언어교육 프로그램이 다문화가정 어린이의 학력 향상에 기여하였고 학교생활을 긍정적으로 생각하도록 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가정 학부모를 이중언어교육 프로그램에 강사로 투입하는 것이 다문화가정 어린이와 학부모에게 자존감을 증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다문화가정 어린이를 지도하는 이중언어강사에 대한 지도역량을 강화하는 연수를 자주 실시하고 교육과정과 학습자료를 공유하는 네트워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이중언어교육의 보다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학회중심의 정책연구, 학술연구와 더불어 일선학교 중심의 현장연구 간에 소통과 교류를 확대할 것을 제언하였다. The study is to find the effectiveness of multicultural education. The purpose of study is from elementary school which made progress in research and finding future assignments. The research has begun from 2006 from the government and colleges. From the study, the program that the school exploited tells the results and problems which educational effect has occurred for multicultural students and tells future assignments. Main results are fallowing : 1) The program has helped improve students ' grade and made them think positive of school life. 2) Inviting parents of students as a bilingual language teacher has enlarged self-confidence of the student and the parents of students. 3) It needs to apply multicultural education to bilingual language teacher more often and share materials. In order to activate the education, I propose exchanging researchers from school to school.

      • 수학교과의 다문화교육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에 관한 연구

        박보영 한국다문화교육연구학회 2010 다문화교육 Vol.1 No.3

        본 연구는 다문화 시대를 맞이하여 수학시간에 학생들이 다문화적 인식과 태도를 기르기 위해서 문화의 다양성을 적절하게 반영하여 그들 문화의 독특한 문화적 정체성을 유지함과 동시에 다양한 계층과 민족의 문화를 이해하도록 하기 위해 필요한 내용을 반영하여 중학교 수학교과의 다문화교육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교사들이 수학시간에 실질적으로 다문화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돕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선행연구 분석을 통한 문헌 연구를 실시한 뒤, ○○중학교 수학과 8명 교사를 대상으로 중학교 2학년 수학의 내용 중에 다문화 교육내용을 포함시킬 수학의 단원을 선정하였다. 중학교 2학년 수학의 내용에서 다문화교육 내용의 다양성, 정체성, 사회정의의 내용을 포함시켜 6차시의 수학교과의 다문화교육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중학교 2학년 3개반 학생 121명을 대상으로 하여 중학교 수학교과의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기 전과 후의 다문화에 대한 인식, 다문화에 대한 편견과 수학시간의 인식변화를 설문지를 통하여 조사한 후 집단별 인식의 차이를 통계적으로 검증하기 위하여 SPSS 12.0 패키지를 이용하여 t-test 를 실시하였는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교 수학과의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다문화 인식이 유의수준 99% 신뢰구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중학교 수학과의 다문화교육 프로그랩은 다문화인식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이 검증되었다. 둘째, 중학교 수학과의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다문화에 대한 편견이 유의수준 99% 신뢰구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하게 나타냈으며, 중학교 수학과의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은 다문화에 대한 편견 감소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이 검증되었다. 본 연구는 다문화교육을 중학교의 수학과 교육과정에 자연스럽게 포함시켰으며 중학생들이 소수문화의 다양성을 이해하고 다문화에 대한 편견을 극복하고 사회정의를 실현하려는 태도를 육성하게 만들었으므로 매우 의미가 있으며 현장의 수학교사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줄 것이다. In celebration of the era of multicultur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elp teachers to substantially carry out multicultural education in order to foster students' cross-cultural awareness and attitudes, maintain their cultural unique identity, and help them to understand various classes and ethnic cultures. To accomplish this, after conducting literature study through analysis of previous research, the lesson of mathematics to include educational content of multicultures is selected, targeting at eight mathematics teachers in Pung-Mu middle school. In the curriculum of the middle school 2nd grade mathematics,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which develops multicultural educational programs in 6th period's middle school mathematics is written by including the contents about multicultural diversity, identity, and social justice. And targeting at 121 2nd grade students in the middle school from 3 classes, before and after applying multicultural educational programs, awareness about and prejudice against multicultures and a change in students perceptions of the math classes were respectively surveyed by questionnaire. To statistically prove the difference of perception , t-test using SPSS 12.0 package was carried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fter conducting multicultural educational programs in the middle school mathematics, multicultural awareness has been indicated significantly high in the level of significance 99% confidence interval. It has been proven that multicultural educational programs in the middle school mathematics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multicultural perception. Secondly, after conducting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s in the middle school math classes, the prejudice against multicultures has decreased significantly in the level of significance 99% confidence interval. And multicultural educational programs in the middle school mathematics have been proven to have a positive effect in reducing the prejudice against multicultures. This study naturally includes multicultural education in the curriculum of middle school mathematics and helps middle school students to understand the diversity of minority cultures and foster the attitude which realizes social justice and overcome prejudice against multicultures. Therefore, this study is very significant and gives effective aid to mathematics teachers in the field.

      • 교육대학교 다문화교육 강좌 운영에 관한 연구

        구정화(Jeonghwa Koo) 한국다문화교육연구학회 2010 다문화교육 Vol.1 No.1

        이 연구는 교육과학기술부의 공모에 의해 이루어진 2009학년도 경인교육대학교에서의 다문화교육 관련 강좌의 운영에 대하여 기술하고, 이에 참여한 학생들의 변화에 대하여 살펴보려고 한 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연구에서는 2009학년도 1, 2학기에 경인교육대학교에서 개설한 '다문화교육의 이해'의 교육내용 구성과 운영에 대하여 서술하고, 이 수업에 참여한 교육대학생을 대상으로 사전조사 및 사후조사, 서술형 조사 등을 활용하여 이들이 학습한 것은 무엇인지를 파악하려고 하였다. 연구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교육에서 다문화교육을 위해서는 자신의 문화 정체성 확인과 문화적 편견에 대한 고백이 요구되는데, 강좌의 운영에서 이 부분에 대한 내용 설정에서 부족한 점이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교육에 참여한 학생들의 경우 사전 사후조사 모두에서 전반적으로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과 태도에서는 높은 점수를 보였으나, 다문화가정에 대한 인식과 태도는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나서 향후 다문화교육 운영에서 다문화가정과 사회에 대한 능동적인 인식을 강조할 수 있는 수업운영이 필요하다, 셋째, 다문화교육을 통한 사전-사후조사 결과를 보면 강좌에 참여한 결과로서 수업 효과의 통계적 유의미성은 약한 편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참여한 학생들의 주관적 서술을 보면 전반적으로 다문화교육에 대한 이론적 논의에서는 상당한 변화가 감지 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spects of practice of the 'multicultural education' course in teacher training. The 'multicultural education' course in teacher training(University of Education) was established in 2009 and was the government-funded program. This study was based on the practice of the 'multicultural education' course in Gyeo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The Researcher was carried out practice observation and gathered the documents about the course, pre and post questionnaires data of attendances at the ' multicultural education' course. The results of data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multicultural education' course in Gyeo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lent itself to the concep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for attendances. Second, the 'multicultural education' course in Gyeo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was not provided direction true to the understanding of the cultural identity and prejudice of attendances. Third, the 'multicultural education' course in Gyeo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had need to underline the understanding of minority group for attendances.

      • 다문화교육 연구의 동향과 향후 과제

        최충옥(Choi, Chung-Ok),조인제(Cho, In-Je) 한국다문화교육연구학회 2010 다문화교육 Vol.1 No.1

        이 논문은 지난 20년 동안 국내의 다문화교육 연구동향을 반성적으로 분석 검토하고, 향후 연구 방향과 과제를 탐색하는데 있다. 다문화교육 연구는 대체로 2006년 이후 정부, 대학, 학교 등에 연구의 인프라가 구축되어 활성화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다문화교육에 대한 연구동향을 정책연구, 학술연구, 현장연구로 구분하여 각종 학술논문과 연구보고서를 문헌분석 하였다. 그리고 각 영역의 성과와 문제점을 살펴보고 향후 과제를 제시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로는 첫째, 정책연구는 실태조사나 당연 문제 해결에 중점을 두고 있어 중장기 발전과 정책연구가 미흡하고, 국제결혼 자녀의 동화와 사회적응에 연구가 편중되어 있으며, 외국인근로자 자녀 및 중도입국 자녀 등에 관한 연구가 부족하다. 둘째, 학술연구는 다양하고 확대되어 있으나, 개념과 용어에 있어서 혼란을 보여주고 있다. 일부에서는 국제이해교육, 세계화교육, 한글 및 한국문화교육 등을 다문화교육으로 잘못 이해하고 있었다. 셋째, 교육현장을 위한 연구는 교육과정 및 교과서 분석 연구가 활성화되어 있었고, 다문화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프로그램 개발과 방법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였다. 그러나 사회과와 미술ㆍ음악 등과 같은 특정 교과교육 분야에 편중되어 있고, 평가와 관련한 연구가 미흡하였다. 향후 다문화교육 연구의 활성화와 '다문화교육학' 정립을 위한 연구과제로 중장기적 패널연구, 각종 프로그램의 효과성 분석 등을 제안한다. 또한 정책연구ㆍ학술연구ㆍ현장연구 간의 연계를 강화하고, 연구자와 현장실천가의 상호 소통과 교류를 확대하는 방안 등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research trends and the infrastructure in Korea, and to suggest tasks for the further study. I reviewed several research resources such as policy report, research articles and papers in the multicultural education area, which was published during 1984-2010. The study of multicultural education has been increasing rapidly from 2006 in Korea according to the research infrastructure of government, university, and school level. Critical findings are as following : 1) Most studies, which focuses on the problem of the student of international marriage's family, support melting-pot policy of the Government. However, it is too difficult to find out the student problems of foreign worker's family. 2) Some researchers misunderstood the concept of a multicultural education as international understanding education or Korean language education. 3) There are less studies on evaluation compare to the studies on curriculum and teaching methods in multicultural education. Finally, this paper suggests some tasks for further studies. 1) Greater participation in the cooperated research projects, such as long-term panel research of student achievement is needed. 2) The effect of divers program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needs to be further analyzed. 3) More discussion on the critical issues of multicultural education among policy analysts, academic researchers, and specialists of field study of an academic community is strongly recommended.

      • 유아 다문화교육의 연구동향과 과제

        최일선(Choi, Il Sun) 한국다문화교육연구학회 2010 다문화교육 Vol.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 다문화교육의 연구동향을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유아 다문화교육이 지향해야할 과제를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유아 다문화교육의 연구동향은 '다문화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다문화교육의 운영실태 및 인식', '다문화가정 유아의 특성 및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적응과 생활',과 '다문화교육에서의 교사 교육'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유아 다문화교육의 연구동향을 살펴본 결과에 기초하여, 앞으로의 다문화사회에서 검토해야 할 유아 다문화교육의 과제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교육이라는 범교과 학습주제가 성과를 이루기 위해서는 개념, 대상과 목적을 명료화해야 한다. 둘째, 긍정적인 문화적 정체성을 형성하는 데 기여해야 한다. 셋째, 다문화 사회를 살아가기 위해 필요한 지식과 기능 태도를 갖춘 다문화 능력을 배양해야 한다. 넷째, 다양성들을 반영한 다문화 교육개념을 전 교육과정에 통합적으로 포함시켜야 한다. 다섯째, 다문화교육의 경험은 현재의 일상적인 생활 주변에서 시작해야 하며, 다양성과 공통성을 상호 보완하는 방향으로 구성해야 한다는 점이다. 본 연구는 유아 다문화교육 연구에 대한 전반적인 검토를 통해 앞으로의 다문화 교육의 방향을 조명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recent research trends regarding multicultural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and was to examine the suggestion for multicultural education based on research trends. It is reviewed the research of multicultural education as 4 aspects, which are 'development and effects of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teacher's practices and perception about multicultural education', 'attributes, adaptation and experience of you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backgrounds' and 'teacher education in multicultural education'. As a result, the directions toward multicultural education were suggested as follows; First, Concepts, targets and objectives of multicultural education should be clarified. Secondly, it should contribute to the formation of positive cultural identity for young children. Third, multicultural competence should be cultivated. Fourth, multicultural education concepts with diversity should be included to the curriculum in integrative. Fifth, a multicultural education experience for young children should be based on the current routine life and must be complementarily organized in diversity and commonality.

      • 중도입국청소년을 위한 초급 한국어 교재 개발 방안 연구

        오영훈(Oh, Young Hun),박봉수(Park, Bong Su),허숙(Heo, Sook),팜티휀짱(Phan Thi Huyen Trang) 한국다문화교육연구학회 2012 다문화교육 Vol.3 No.2

        Examining the most representative educational institutions that implemented Korean language courses to immigrant students and the texts that were used, we found out that the level of the texts were based on adult learners. The advantages of such texts are that they allow the leaners to choose what they want to use according to the individual's standard, but the focus is similar to that of current Korean language schoolbooks. However, the Korean language textbooks that are intended for foreign adult learners do not reflect the immigrant students' soci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which is a fatal limitation for their learning. Therefore, the usage of foreign adult aimed textbooks is irrelevant in the context of contents, education strategies and subjects. Furthermore, the connection of these textbooks to other subjects seems to be very weak, leading to the conclusion that they are irrelevant for immigrant students to use them. Thus, the desirable textbooks for immigrant students should first, deal with topics that have close relation with their daily lives while including both, general purpose Korean language for their adaptation and academic purpose Korean language for their studying. Also, diverse themes should be included so that integrated education ca be achieved. Second, we should consider the immigrant students' Korean language and learning skills as well as their understanding of Korean society and culture in order to properly reflect the goal, teaching method and assessm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se sort of textbooks will not only increase their Korean language skills, but also enable the students to file a proper perception of Korean society and culture, which will help them to become a true member of the society. Third, for the sake of the comprehension of the learners, the textbooks should handle subjects related to various societies and cultures of different countries, thereby enabling the learner to perceive the difference between each individual culture, and enhancing their understanding of a multicultural society. Last, through criticism and accommodation, the contents should be constructed in a way in which immigrant students can compare their current situation with the inherent culture that they held before, which will make it possible for them to maintain their cultural identity while integrating to a new cultural environment. 최근 중도입국청소년에 대한 전반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교육과학기술부에서는 많은 대안을 내놓고 학교 밖의 중도입국청소년들을 학교 제도권으로 편입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대안을 강구하지 않은 채 중도입국청소년을 정규 과정으로 유도하기란 쉽지 않다. 현행 학교 체제와 교육과정 등은 중도입국청소년들의 학교생활 적응에 어려움을 주고 있다 이들이 안정적으로 적응하기 위해서는 먼저 이 들을 위한 한국어 교재의 특성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한국에서 태어난 다문화가정자녀의 한국어에 대한 연구는 한국어교육뿐만 아니라, 교재 개발과 교육과정 등에 있어서 매우 짧은 기간임에도 불구하고 비교적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중도입국청소년에 대한 연구는 이제 초기 단계로 특히 중도입국청소년을 위한 한국어 분야는 거의 찾아보기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도입국청소년을 위한 교육 문제가 새로이 대두되고 있는 현재의 상황에서 중도입국청소년의 요구와 특성에 부합하는 교재 개발의 방향을 모색하였다. 이를 위해 중도입국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대안학교의 한국어교육 현황을 살펴보고, 현재 사용하고 있는 교재 『고려대 한국어 1』, 『연세대 한국어 1』, 『이화여대 말이 트이는 한국어 1』 3종을 분석하였다. 또한 서울대학교 중앙다문화교육센터에서 발행한 『학교가 좋아요-초급』을 분석하고 난 후에 중도입국청소년을 위한 교재개발 방향을 제시하였다.

      • 다문화 한국 사회를 위한 이중 언어 교육

        이창덕(Lee, Chang Deok) 한국다문화교육연구학회 2010 다문화교육 Vol.1 No.1

        이 글에서는 21세기 들어 한국 사회가 다문화 사회로 변화하면서 일어나는 의사소통의 문제, 특히 이중 언어 교육 문제를 살펴보고, 다문화 사회로 가기 위한 이중 언어 교육 방향과 방법을 논의하였다. 한국 사회 소통 환경의 변화와 이중 언어 교육의 개념과 역사, 목적과 방법 등을 다루고, 한국 다문화 가정의 이중 언어 교육의 방법을 모색하였다. 전통적으로 단일 민족과 문화를 자랑하고 지향하던 한국사회가 21세기 들어 빠르게 다문화 사회로 이행하면서 앞으로는 더 이상 단일 민족으로서 국어 교육만을 고집하기 어렵게 되었다. 현재 교육환경에서 소수자로서 다문화 가정 자녀들을 위한 이중 언어 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그것은 다문화 가정 자녀만을 위한 것이 아니라 한국 사회 구성원 전체를 위한 사회 통합과 국제 경쟁력을 위해서 전체 학생을 대상으로 이중 언어 교육이 이루어져야 함을 강조했다. 이중 언어 교육은 언어뿐만 아니라 역사와 문화, 가치관 등 다양한 교육내용이 함께 다루어지 는 총체적 교육이 이루어져야 함을 주장했다. 그리고 교사 연수와 학부모 연수가 필요함을 논하고, 자격을 갖춘 다문화 가정 학부모를 다문화 교육 교사로 양성하여 활용할 것을 제안하였다. 다가올 다문화 사회의 여러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정부 각 부처와 다양한 학문 영역에 속하는 사람들이 다문화 교육을 위해 협의하고, 구체적 다문화 교육 실행 계획을 세우고 실천하는 것이 필요함을 강조하고, 먼저 다문화 사회로 이행한 국가들이 걸어간 이중 언어 교육, 다문화 교육의 실행 과정과 성과를 점검하면서 미래 한국사회가 바람직한 다문화 사회, 다양한 구성원들이 상생의 시너지를 내는 사회를 형성하도록 노력할 것을 제안하였다. Traditionally Korean society has been generally regarded as a monolingual, mono-cultural society. However, according to a few recent surveys, Korean society is rapidly changing into multi-cultural society. In this paper, it is argued that bilingual education programme should be carried out throughout every school level for all the members of the next generation as well as the minor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y. For this contention, I have explained the concept, history, purpose, and methods of bilingual education. And I have suggested the methods of bilingual education for the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y. First, it must be started on the basis of the requests of the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y. Secondly, the contents of bilingual education for minor students should be expanded from Korean language education to the comprehensive area needed to achieve educational purpose as same as the major students. Thirdly, for the effect positive results, all the other students except the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y should be taken to the bilingual education programme. It would be helpful to integrate the various people in the mut-icultural future society of Korea. Finally, I have suggested to have the teachers and the parents study and take training for the multilingual education programme. For fre hopeful progress into rrulti-culttrral society integrated with every members of multi-cultural society, the authorities concerned with multi-cultural education have to thrive every effcrts to set up nation-wide plan referring to the examples of the otrer multi-cultural societies.

      • 다문화가정 자녀의 통합교육에 대한 초등학생의 인식도 차이와 다문화교육의 개선방안 연구

        최충옥(Choi, Chung-Ok),이륜(Lee, Ryun) 한국다문화교육연구학회 2010 다문화교육 Vol.1 No.3

        이 연구는 초등학생의 다문화가정 자녀에 대한 인식도 차이를 조사하기 위해 다문화가정자녀들이 학급에서 통합되어 생활하는 경우와 학급 안에 다문화가정 자녀가 없는 일반학급의 경우를 비교하여 다문화가정 자녀와의 접촉 생활 경험과 다문화교육의 경험 유, 무에 따른 인식도 차이를 조사하고, 다문화교육에 대한 다문화교육 공동체 구성원들의 요구를 분석하여 지원관련 요소를 모색한 후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다문화교육의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주요 연구결과, 첫째, 다문화가정 자녀와의 통합학급과 일반학급의 인식도 차이를 조사한 결과 다문화가정 자녀에 대한 초등학교 또래학생들의 다문화 인식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교육 경험에 따른 다문화 인식도 차이를 알아본 결과, 다문화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 집단과 그렇지 않은 집단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집단별 구성원들의 요구사항을 살펴보면, 교사의 경우 다양하고 실제적인 장학자료, 교수-학습자료 등 수업에 필요한 자료들의 개발과 접근성에 대한 요구를 하였고, 방과 후 교육을 통한 다문화가정 자녀에 대한 지원, 지속적인 상담 프로그램 운영을 요구하였다. 또한 학생지도를 위한 보조 인력과 가산점, 인센티브 제도, 수업프로그램 공모, 자격증, 체험학습 경비 등 행정적 인지원을 요구하였다. 마지막으로 다양한 형태의 다문화교육 연수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요구하였다. 학부모의 경우 방과 후 학교, 가정방문 형태의 학습 프로그램과 다양한 정보를 접할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하다고 요구하였다. 학생의 경우 친구들과의 교우관계 개선 을 위한 교사의 노력을 요구하였다. 결론적으로 성공적인 다문화교육을 위해서는 첫째, 다문화가정의 자녀와 일반학생틀간의 접촉 생활 경험을 늘이기 위한 통합교육이 이루어져야 하고, 부정적이 아닌 긍정적 인식을 강조할 필요가 있다. 둘째, 다문화교육 경험에 따른 인식도 차이로 보아 초등학생들에게 구체적인 프로그램을 통해 체계적인 다문화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다문화교육 활성화를 위해 지속적으로 다문화교육 공동체 구성원들의 요구를 수렴하여 이를 바탕으로 다문화교육에 대한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has the difference of schoolchild's perceives to check up on united class and unintegrated class among child of multi-culture family, from him or her experienced and non-experienced in touching with child of multi-culture family, experienced and non-experienced of education with their and then analyze the needs of multi-culture educations from their and show suit my country's purpose of developmental direction of multi-culture educations. The result of study is as follows. The first, the result of the difference of schoolchild's perceives to check up on united class and unintegrated class among child of multi-culture family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t in grade, sex. The second, the result of the difference of schoolchild's perceives on experienced and non-experienced of education with their appeared statistical significant in comparison with education group and un-education group. The third, the result of the need assessment of multi-culture educations from their is as follows. In the demands of a constituent by group, teachers requested the development and access to necessaries materials of lesson as such materials of Teaching & Learning and very practical plan also a support program for children of multi-culture family after school, continuous consultation program, administrative support as such support staff for children, incentive, contest of lesson program, a certificate, expenses of experience learning, lastly various training program of multi-culture education. And school parent demanded a home visit program and learning environment for getting the various information, during after school. Students requested the improve of friendly intercourse.

      • 한국과 핀란드 수학교과서 삽화의 다문화적 내용 비교분석

        조문주(Moon-Zoo Cho) 한국다문화교육연구학회 2011 다문화교육 Vol.2 No.1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과 핀란드의 수학 교과서에서 다문화관련 삽화 및 이름, 문제 속 그림을 중심으로 다문화관련내용을 분석하여 보다 효과적인 다문화 교육에 일조를 하는데 있다. 교과부는 2006년 12월 다문화 관련 교과 교육과정 시안 연구 개발을 발표하였으며, 2007개정 교육과정에 다문화 관련 내용을 삽입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새 교육과정에 다문화 관련 내용이 얼마나 반영 되었는지를 살펴보는 일은 중요한 일이며 수학교과서도 예외 일수 없다. 이에 교육 선진국이며 다문화 교육 정책을 앞서 실천하고 있는 핀란드 초등학교 수학교과서와 비교하여 한국 수학교과서의 다문화적 내용 분포 정도를 파악하고자 한다. 한국정부와 핀란드정부의 수학 교육과 다문화정책에는 차이가 많다. 지리 경제적 여건과 문화적 환경 등이 다르기에 당연하게 받아들일 수 있다. 하지만 수학 교과서에 제시된 삽화에서 다문화적 관련 요소에 현격한 차이가 있는 점은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한국 수학교과서 삽화에서는 외국계 학생이라고 여겨지는 경우가 거의 없는데 반해 핀란드 교과서에서는 다문화 학생이 함께 어우러지는 삽화가 많으며, 한국인 아이의 이름까지 제시될 정도로 이름도 범세계적이다. 또한 수학문제 속에서도 다문화교육을 지향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생활경험 중심의 교육이 많이 거론되며 통합교육을 지향하고 있는 시점에서 교과서에 다문화적 내용이 많이 제시되어야한다. 수학교과서에서도 다문화적 내용의 문제를 접하며 다문화 학생들의 이름이 등장하고 다문화 학생들과 함께 공부하고 놀이하는 모습이 많이 제공될 때 비로소 다문화정책의 실효성에 좀 더 다가갈 수 있게 됨을 시사하는 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n mathematics textbooks in South Korea and Finland multicultural illustration and name, the problems by analyzing the multicultural more effective multicultural education is to help. Since announcing the development of multicultural education curriculum in December 2006, the Minstry of Education has decided to insert a great of multicultural contents in 2007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hat new curriculum has been reflected in the multicultural look at how much information. Math textbooks can never be an exception. The Korea mathematics textbooks is compared with the Finnish that education and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ies developed to practice, Cross-cultural comparison of to determine the extent of the distribution of information. There is a lot of difference mathematics education & the multicultural policies of the government in South Korea and Finland. As geographical and economic conditions and cultural environment is different. But in mathematics textbooks illustrated striking differences in cross-cultural-related factors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point. In mathematics textbook illustrations Korea is considered unlikely that foreign students do not. But Finnish textbook illustrations often come together in the multicultural student and Koreans presented to the child's name is enough to name the world. Multicultural information is presented with math problems. The current is discussed a lot of life experiences and inclusive Education, a lot of multicultural content in the textbooks should be provided. If it will contact with the problem of multicultural content, Multicultural students' names appear and students study to play with multicultural content in Mathematics textbooks, then the effect of multicultural policies will receive more.

      • 부티크 다문화주의를 넘어서

        김학희(Hakhee Kim) 한국다문화교육연구학회 2010 다문화교육 Vol.1 No.2

        이 논문은 한국에서 최근 급속하게 확대되고 있는 다문화교육의 특성을 메타 지리적으로 성찰하고 진정한 다문화교육을 실행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지리적 관점에서 모색하고자 하였다. 지금까지 한국의 다문화 교육은 인종ㆍ젠더ㆍ계급 문제와 분리된 관광객 접근법을 선호하고 피상적 문화 소개에 그치는 등 부티크 다문화주의적 성향을 보이며, 다문화 관련연구와 이론적 논의에서는 북미, 서유럽, 호주의 다문화 교육의 논의와 동향을 주로 참고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메타 지리적 관점에서 볼 때 한국의 다문화 교육은 서구중심주의 및 개발주의가 내재된 메타 지리를 채택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부티크 다문화주의 및 피상적인 다문화교육을 넘어서기 위해서는 연구자 및 교사가 교육 현장에서 자신의 메타지리 체계를 지속적으로 점검할 필요가 있으며 지역의 정형성이나 고정관념에서 벗어나 대안적 세계관을 적극적으로 모색하는 과정이 필수적이다. 특히 학습자의 일상생활 세계를 글로벌 권력의 관계망 속에 위치시키고 다양한 정치ㆍ경제ㆍ사회ㆍ문화ㆍ환경적 이슈와 연계하여 이해할 수 있게 하는 지리적 상상력의 도입과 지리 교육적 처방은 진정한 다문화교육을 실현하는 과정에서 핵심적인 과제가 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make critical reflections on the meta-geographical framework adopted in South Korean multicultural education and to explore geographical perspectives which go beyond tokenistic multiculturalism. A form of 'boutique' and 'touristic' multiculturalism which excludes features of race/gender/class seems to be prevalent in South Korea and this is reinforced by the adoption of theoretical and research trends borrowed from North America, Western Europe and Australia. The paper argues that to achieve a meaningful and authentic multicultural education, researchers and educators working within the South Korean context, need to keep examining their own meta-geographical frameworks in the educational field and resist conventional ideas or regional stereotypes. The paper argues that educators can do this by exploring an alternative world view. In this process, geographical imaginations can play a central role by locating learners within the realities of global power politics and help them to connect their everyday life-worlds with diverse political, economic, social, cultural and environmental issues through geography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