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경기도 노후산업단지 재생활성화 방안

        이성룡,이지은,유치선 경기연구원 2016 정책연구 Vol.- No.-

        최근 급속화되고 있는 산업의 첨단화, IT⋅융복합 산업의 발달 등으로 인해 제조업 생산시설 중심인 종전 산업단지의 위상과 역할 · 기능은 축소되고, 노후된 공장지대라는 인식 등 산업단지의 경쟁력은 지속적으로 약화되고 있는 실정에 있다. 경기도는 1970년대 지정된 반월 · 시화 국가산업단지를 시작으로 산업단지의 지정과 조성이 집중되어 왔으며, 2016년 기준으로 전국 산업단지 관리면적의 약 10%, 산업단지 종사인력의 약 24%가 분포하는 최대규모의 산업집적지로 성장하였다. 산업구조의 변화에도 여전히 제조업이 경제활동의 밑바탕을 이루고 있으며, 국가경쟁력 확보에서 경기도가 차지하는 영향을 고려할 때, 경기도 내 노후산업단지에 대한 체계적 관리가 시급한 실정이다. 경기도 내 착공된 지 20년 이상 경과한 노후 일반산업단지는 2016년 12월 기준으로 총 30개소이다. 노후산업단지의 규모는 6만㎡ 미만인 단지가 13개소, 지원시설용지가 확보된 단지는 18개소로, 타 지역에 비해 지가가 높아 부대시설을 조성하지 않고 최소규모의 산업용지만 확보하여 산업단지를 조성해 온 것으로 나타났다. 현장조사를 통해 노후산업단지의 여건을 파악해 본 결과, 개발당시 지가가 저렴한 외곽지역에 조성되어 교통여건이 열악한 단지에서는 주차문제가 매우 심각하며, 환경기초시설을 제대로 갖추지 않아 소음⋅악취가 발생하는 경우도 있었다. 또한 필요한 최소규모로 조성되면서 지원시설용지, 공공용지 등이 부족하고, 산업단지 조성 후 오랜 시간이 경과하면서 주변에 개별입지공장이 입지하거나 타 용도로 개발되어 주변지역의 관리를 함께 고려해야 할 것으로 조사되었다. 노후산업단지 재생사업은 「산업입지 및 개발에 의한 법률」에 의하여 토지이용계획 변경, 기반시설 개선에 중점을 둔 산업단지 재생사업과, 「산업집적활성화 및 공장설립에 관한 법률」에 의하여 단위사업 확충에 중심을 둔 구조고도화사업, 두 사업을 통합한 경쟁력강화사업이 추진되고 있다. 그러나 관련법들 간 노후산업단지 지정기준과 지정권에 대한 기준이 상이하여, 지자체 차원에서는 특히 규모가 큰 국가산업단지의 정비에 참여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경기도 노후산업단지의 재생활성화를 위해서는 도시계획과의 연계, 산업단지복합화, 사업방식 다양화, 민간주도의 사업구조 확립 등을 기본방향으로 하여야 할 필요가 있으며, 각각의 노후산업단지가 가진 여건과 특성을 고려하여 재생활성화방안을 마련하여야 한다. 노후산업단지가 시가화지역에 속한 경우에는 이전 또는 정비가 필요한 주변지역을 포함하는 재생계획을 수립하고, 단지 규모에 따라서는 전면개발과 거점시설 조성, 순환개발 등의 방식을 적용한다. 단지 내 거점시설 등을 조성할 대상지가 없거나 대기업이 입주한 경우에는 자체정비를 유도할 수 있다. 산업단지 주변에 개별입지 공장이 입지한 경우는 이를 포함하여 정비계획을 수립하고, 산업단지관리공단 등 별도의 관리주체가 있는 경우에는 실태파악과 관리를 위한 모니터링 등 협조방안을 구체화한다. 많은 산업단지가 조성되어 있는 경기도에서는 공공이 모든 노후산업단지를 관리하고 지원하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산업단지의 노후도 및 정비 필요성 등에 따라 재생사업의 단계적 추진계획을 수립하고, 도시재생사업과의 연계, 관련법률을 통한 지원, 펀드유치 등 재원조달을 위한 다각적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또한 경기도 내 노후산업단지 재생을 주도할 전담조직을 구성하고, 산업단지 내 입주기업의 참여를 도모할 중간지원체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향후에는 관리권이 없으나 경기도 산업단지 규모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국가산업단지에 대한 관심을 확대하고, 경기도가 주도적으로 노후산업단지 재생사업을 추진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하여야 한다. 또한 노후산업단지 실태에 대한 세부자료를 구축하며, 소규모 산업단지 조성은 지양함으로써 종사자들을 위한 편의시설 확충, 시간이 경과한 후 노후산업단지에 대한 정비가 가능하도록 유도할 필요가 있다. Due to the rapid change of industrial structure conventional industrial complexes have become incompetent and lost their influence in national economy recently. As of 2016, Gyeonggi-Do became the biggest industrial agglomeration in Korea, where 10% of total industrial complexes management area and 24% of industrial complex employers of industrial complexes are concentrated. Manufacturing business still takes a great part in Gyeonggi-Do’s economy and has strong influence on nation’s competitiveness, even with the drastic change of industrial structure. Thus, a systematic management is in urgent need for the deteriorated industrial complexes. As of December 2016, there are total 30 deteriorated Ordinary industrial complexes over 20 years old that were constructed on the basis of the 「Promotion and Support for Deteriorated Industrial Complex and Manufacturing Area in Gyeonggi-Do Ordinance」. Due to the comparatively higher land price, the complexes tend to have minimum use of lands other than industrial. Through the field study, several problems are revealed. The complexes in the outskirts lack accessibility, parking spaces, and environmental structures. In attempt to maximize the land for industrial facilities, some complexes lack land for supporting facilities and public use. In case of some complexes, detached factories have moved in the surroundings and unplanned land use occurred as time elapsed. Regeneration Projects of deteriorated industrial complexes can be categorized into two: modification of land use plan and improvement of infrastructure that is based on 「Industrial Sites and Development Act」, and industrial structure sophistication that is based on 「Industrial Cluster Development and Factory Establishment Act」. However, since the definition varies, the term ‘deteriorated’ should be prescribed first. Diverse development methods such as extensive development, construction of core facility, or circulation development, shall be applied to promote regeneration. Regeneration planning for the complexes isolated in the built-up area need to include the surrounding areas. For the Small complexes without vacant lots or open spaces gradual improvement or self-maintenance can be adopted. Regeneration Planning of the complexes surrounded scattering factories may include a improvement plan for those factories as well. When there is a managing entity, cooperation plan for management and monitoring shall be founded. For an effective management of deteriorated industrial complexes, establishment of phase plan for regeneration, association with urban regeneration project, legal and financial support are needed. In addition, the organization to take charge of the regeneration, and the liaison between the organization and tenant companies to take part in should be established. Henceforth, Gyeonggi-Do government should concern regeneration of National Industrial Complexes that take great part of the industrial complexes in Gyeonggi-Do, and should put an effort to actively initiate regeneration projects for the deteriorated industrial complexes. The detailed database of the complexes should be constructed, and development of small scale industrial complexes should be avoided in order to improve condition of the complexes.

      • KCI등재

        재생사업을 위한 노후산업단지 평가기준 개발

        홍병곤,황재훈 충북연구원 2021 지역정책연구 Vol.32 No.2

        Deterioration of an industrial complex is caused by many factors. As for the industrial complexes in Korea, their deterioration is because of side effects of quantitative growth caused by rapid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Therefore, regeneration of industrial complexes cannot be separated from that of a city. To raise effectiveness of the project, systematization of various regeneration factors is needed. And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o establish evaluation criteria as a decision-making tool. Evaluation is to check how to carry out a project and whether its outcome is appropriate. So, evaluation criteria is the most effective systematic device to check whether appropriate items for the project are selected and carried out. Therefore, before the project, to apply every factor through the fundamental approach to regeneration projects for old industrial complexes and cities, establishment of evaluation criteria in advance should be needed. Especially, it is significant that this research developed objective index for an old industrial complex regeneration project in terms of urban regeneration by making appropriate evaluation items with multilateral approach and estimating importance and weight of index considering their correlation, and also found out reasonable evaluation criteria based on a list of the priority. In addition, the criteria are expected to be used at urban regeneration projects for an old industrial complex as selection criteria at an economy-based urban regeneration new deal project or an industrial complex-connected urban regeneration new deal project. 산업단지의 쇠퇴는 여러 요인에 의해 진행되지만, 우리나라 산업단지는 급속한 도시화와 산업화의 양적 성장으로 인한 부작용에서 비롯되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산업단지재생의 문제는 도시재생 문제와 따로 떨어져 생각할 수 없다. 이러한 상황에서 노후산업단지의 활력을 제고하기 위한 노후산 업단지 재생사업에 대한 평가기준은 다시 한번 재정립 할 필요성이 있다. 산업단지의 쇠퇴에만 초점을 맞춘 평가기준과 산업단지와 주변환경을 조화롭게 재생시키는 노후산업 단지 재생사업의 기준은 달라야 한다. 그동안의 산업단지 재생사업은 부분적인 재개발과 물리적 정 비를 시행하는 수준에 머물고 있으며, 쇠퇴한 산업단지의 물리적ㆍ경제적ㆍ사회적 활력을 제고하기 위한 노후산업단지 재생사업에 대한 기준은 아직 정립되지 않은 상황이다. 이에 도시재생의 관점에 서 노후산업단지 재생사업 방안에 적합한 평가기준 마련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본 연구는 확장되고 통합된 형태의 노후산업단지 재생사업시 노후산업단지를 재생하기 위한 계획단 계에서부터 개별 산업단지 특성과 산업환경 변화 및 수요 등, 물리적ㆍ경제적ㆍ사회적ㆍ환경적 요소 를 고려하여, 도시 전체와 조화를 고려한 노후산업단지 내 재생사업에 대한 실효성을 높일 수 있는 노후산업단지 재생사업의 적합한 평가항목을 도출하고 도시재생차원에서 객관적인 노후산업단지 재 생사업 선정지표를 개발하였고 우선순위 기준에 근거한 합리적인 노후산업단지 재생사업 평가기준을 찾아냈다는데 연구 장점을 가진다. 특히 다각적인 접근을 통해 노후산업단지 재생사업의 적합한 평 가항목을 도출하고 지표간의 상관관계를 고려한 지표의 중요도 및 가중치를 산정함으로써 도시재생 차원에서 객관적인 노후산업단지 재생사업 선정지표를 개발하였다는 측면에서 의미가 있으며, 우선순 위 기준에 근거한 합리적인 노후산업단지 재생사업 평가기준을 찾아냈다는데 그 의의가 크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앞으로 지속적인 도시재생사업을 함에 있어 노후산업단지를 중심으로 하는 경제기반 형 도시재생뉴딜사업이나 산업단지 연계형 도시재생뉴딜사업의 선정 평가기준 등 노후산업단지를 중 심으로 하는 도시재생사업에서도 널리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노후산업단지 재생사업 추진 유형에 관한 연구

        김주훈,변병설,Kim, Joo-hoon,Byun, Byung-seol 한국경제지리학회 2018 한국경제지리학회지 Vol.21 No.2

        국토교통부는 재생사업선정을 통해 전국에, 착공 후 20년 경과된 산업단지 공모사업을 실시하여 1차 시범 산업단지재생사업지구(2009년9월) 4개 지구, 2차 산업단지재생사업지구 4개 지구(2014년12월), 3차 산업단지재생사업지구 10개 지구(2016년4월), 4차 산업단지재생사업지구 5개 지구(2017년3월)를 선정하였다. 현재 우리나라의 노후산업단지 경쟁력 강화방안 공모사업으로 선정된 곳은 착공 후 20년이 경과된 산업단지 기준으로 23개 지구가 선정되었다. 하지만 재생사업지구의 지속적인 선정에도 불구하고 재생사업은 큰 성과를 발휘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재생사업의 원활한 사업추진을 위해 2015년 5월 개정된 산업입지 및 개발에 관한 법률 제39조12.13에서 정한 활성화 구역 지정 특례제도를 도입하였다. 활성화 구역은 재생사업 추진을 활성화하고 가시화를 통한 재생사업 전파 확산을 도모할 수 있는 방식이다. 또한, 지역 산업단지별 특수성을 고려하여 사업추진을 해야 하므로 무리한 활성화 구역 설정은 재생사업의 지체와 많은 문제점이 대두될 수 있으므로 노후산업단지의 개별특성에 맞는 계획 수립 및 객관적 추진 방법에 대한 기준과 분류가 제시되어야 한다. 이에 2014년 기준으로 착공 후 20년 된 83개 산업단지를 중심으로 자료포락분석(DEA: Data Envelopment Analysis)과 노후산업단지 DB를 구축 활용하여 재생사업 추진유형으로 구분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83개 재생사업지구 사업추진단계에서의 개별산업단지의 사업추진 유형 등의 객관적 기준을 제시함으로써 향후 우리나라 노후산업단지 사업추진 단계에 있어 실질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객관적 기준을 마련하였다. With significant influences of old industrial complex in September 2009,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chose the 4 districts for the first pilot project. In December 2014, the second pilot project districts were established. In addition, there were 10 districts in April 2016 and 5 districts in April 2016 as the third pilot project and 5 districts in March 2017 as the fourth pilot project. In order to promote smooth business operation of the recycling business, we introduced the effective area designation and special system as stipulated in Article 39.12-13 of the Industrial Location and Development Act revised in May 2015. The effective area, It is a method that can promote propagation and diffusion of the rehabilitation business through visualization by making effective the promotion of the rehabilitation business and by promoting the business in consideration of the geographical feature of the region and industry group, The setting of the unreasonable effective area is based on the criteria and classification of the plan and the objective promotion method according to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the aged industrial park because the delay of the rehabilitation business and the possibility of the increase of many problems are presented Be sure to Data Envelopment Analysis (DEA) and the old industrial complex database were constructed and utilized to classify the types of recycling projects. Therefore, in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aged industrial complex by examin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iagnosis of 83 aged industrial complex sites and the rehabilitation projects supported by the Ministry of Land, and the types of business promotion for aged industrial parks. It can be used as a guideline for the feasibility of the project.

      • KCI등재

        노후산업단지 생산성 변화 분석

        변태근,이상호 한국지역학회 2014 지역연구 Vol.30 No.4

        The discourse of regeneration of decrepit industrial complexes has been introduced due to the two main issues, decrease in productivity according to the deterioration of industrial complex and the transition of the paradigm of industrial complex from the resource-based economy to knowledge-based economy. There have been a lively debates with respect to the regeneration projects, however, a few practices has been done. By carrying out an empirical analysis about the productivity gap between decrepit industrial complexes and the others, we verified the necessity of the regeneration of deteriorated industrial complexes. The analysis demonstrated that though productivity for decrepit industrial complexes has increased, a growth rate has been decreased, compared to the others. In case of the tangible fixed assets per unit site area, that of decrepit industrial complexes group has been sharply decreasing than the others, which implies that the deterioration of facilities lead to decrease an not only assets but also productivity. This paper supplies the information supporting the need for regeneration of decrepit industrial complexes to improve the competitiveness of industrial complexes. 산업단지 노후에 따른 생산성 하락 및 자원기반경제에서 지식기반경제로의 산업단지의 패러다임 재편에 따라, 노후산업단지의 재생에 대한 담론이 제기되고 있다. 하지만 노후산업단지 재생에 대한 논의에도 불구하고 실제 재생사업의 이행은 더디게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노후산업단지와 비 노후산업단지 간 생산성 격차의 존재 여부에 대한 실증적 분석을 통해 노후산업단지의 재생의 필요성에 대한 실증적 검증을 하였다. 분석결과 노후산업단지의 생산량 및 생산성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비노후산단과 비교해 생산성의 증가율은 점차 하락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부지면적당 유형고정자산의 검토결과 노후산단이 비노후산단에 비해 크게 줄어들고 있음을 확인, 시설의 노후가 자산감소 뿐만아니라 생산성의 저하로 이어지는 것을 유추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노후산단의 경쟁력강화를 위해 노후산업단지 재생의 필요성을 뒷받침할 정보를 제공하였다.

      • KCI등재

        노후산업단지 입지가 기업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노후산업단지 리모델링 사업 선정 기준을 중심으로

        안수용 한국기술혁신학회 2022 기술혁신학회지 Vol.25 No.1

        산업단지 조성 후 기간이 경과됨에 따라 산업단지 리모델링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업 대상지 선정 기준에 대한 검토는 미진한 편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노후산업단지 입주여부가 개별기업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를 통해 산업단지 리모델링 사업 선정 기준의 적절성을 검토하였다. 2010~2015년 전국공장 등록현황 자료 및 한국기업데이터(KED) 자료를 바탕으로 합동최소자승회귀모형, 성향점수매칭 방법을 이용하여 실증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합동최소자승회귀모형과 성향점수매칭 방법 모두에서 노후산업단지 입주여부는 기업의 생산성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고려할 때, 노후산업단지 리모델링 사업 대상지를 선 정함에 있어 산업단지 조성 후 경과 기간 보다는 산업단지에 입주한 기업의 특성, 산업단지의 구조 등 산업단지 전반 적인 맥락을 고려하여 사업을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노후산업단지 재생계획 분석-성남일반산업단지를 사례로-

        정성훈 한국사진지리학회 2018 한국사진지리학회지 Vol.28 No.4

        이 논문의 목적은 성남일반산업단지의 공간적 현황을 살펴보고, 이에 기초한 노후산업단지 재생계획을 분석하여 한국 노후산업단지 재생사업에 대한 함의를 찾는 데 있다. 성남일반산업단지는 단지 환경 개선, 지원시설 확충, 업종 고도화, 주변지역과의 연계를 통한 미래형 첨단산업단지로의 도약을 목표로 재생 계획을 수립하였다. 특히, 복합용지를 활용한 토지이용의 복합화와 미래산업 육성을 위한 전략이 재생 계획의 핵심이며, 수도권 내 제조업 기반으로 형성된 공간적 특성에 따라 많은 기업들의 끊임없는 입주수요가 발생하고 있다. 이는 1998년 이후부터 민간참여개발 사업 중심의 자생적인 재생이 이루지게 되는 원동력이 되었으며, 성남시의 지역적 특성과 수도권이라는 입지경쟁력에 기인하여 발생한 공간적 수요의 결과이기도 하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볼 때, 국내 노후산업단지 재생은 지역적 특성에 따라 차별적인 계획이 수립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노후산업단지의 쇠퇴 영향요인과 유형화에 관한 연구

        박환용,박지호 한국부동산연구원 2017 부동산연구 Vol.27 No.4

        This study attempts to diagnose and categorize the characteristics of old industrial parks, and eventually link the results to the regeneration of industrial complexes. For this reason, we performed a factor analysis by utilizing 15 indices of 89 industrial parks, excluding 5 large equipment industry sites. The 15 indices were classified into 5 factors. Factor 1 can be described as a category of ‘urbanization possibility’ for the indices of building age, plot ratio of less than 1,650 ㎡, and urbanization ratio of the surrounding area. Factor 2 can be described as a category of ‘productive efficiency’ for the indices of land productivity, amount of exports by land, employment productivity, and repair costs of industrial areas. Factor 3 can be described as a category of ‘infrastructure amenity’ for the indices of road ratio, plot ratio attached to the road, and parks and recreation ratio. Factor 4 can be described as a category of ‘location potentiality’ for the indices of land price, infrastructure age, and distance to the highway, while factor 5 can be described as a category of ‘availability of supporting facilities’ for the indices of parking lot ratio and supporting facility land ratio. By using these 5 factor scores, we were able to extract industrial parks included in the lower 25% of the factor score and searched for what kind of factor problem they have for each industrial park. Based on these results, this research will provide sufficient information on the decline of industrial parks with respect to their demeri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significant implications and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policies for regional competitiveness, as well as job creation, in the process of industrial regeneration. 본 연구는 노후산업단지의 쇠퇴영향요인을 진단하고 그 특성을 바탕으로 노후산업단지를 유형화하였으며 연구 결과를 노후산업단지의 재생방안으로 연계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 산업단지를 대상으로 착공시점을 기준으로 20년이 경과한 94개소 노후산업단지에 대해 17개 지표를 측정 및 분석하였으며, 그 중 장치산업단지 5개소를 제외한 89개소 노후산업단지의 15개 지표에 대해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요인분석 결과, 15개 지표는 5개 요인으로 분류되었으며 요인1은 ‘시가화 가능성’, 요인2는 ‘생산효율성’, 요인3은 ‘기반시설 쾌적성’, 요인4는 ‘입지 잠재성’, 요인5는 ‘지원시설 충족성’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이를 이용하여 5개 요인점수의 하위 25%에 해당하는 산업단지를 추출하고 어떠한 쇠퇴영향요인이 잠재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요인분석 결과 시사점은 ‘시가화 가능성’은 산업단지내 입주 기업업종과 토지이용과의 관련성을 내포하고 있다. ‘생산효율성’분야는 기업들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효율적인 지원방안이 모색될 필요가 있다. ‘기반시설 쾌적성’요인은 자생적인 재생유도보다는 정부 및 지자체가 직접 관여하여 물리적 정비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입지잠재성’ 요인은 광역급 인프라 구축, 산단내 기반시설의 개선 및 정비, 지가상승 등을 복합적으로 고려하여 고부가가치 산업 유치를 고려하거나 산업구조고도화를 위한 업종변경 등 장기적이고 전략적인 접근이 필요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지원시설 충족성’은 필요한 지원시설 공급을 위해 노후산업단지의 정확한 쇠퇴진단을 통해서 유휴부지를 발굴하거나 국·공유지를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될 필요가 있겠다.

      • 노후산업단지 재생사업 개발이익 재투자제도 개선방안

        문미성,김은경,박소영 경기연구원 2021 정책연구 Vol.- No.-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a policy direction for reinvestment of development profits of the old industrial complex regeneration project entrusted by local government ordinances to vitalize the old industrial complex in Gyeonggi-do. To this end, the laws and development support systems related to old industrial complexes were reviewed, and the current status of the regeneration projects and factors hindering their activation were analyzed. Looking at the actual situations of the old industrial complex regeneration projects, the performance of attracting private investment for the regeneration project was low nationwide. The poor performance of the old industrial complex regeneration project is mainly due to the high burden of reinvestment of development profits compared to other institutions. The reinvestment ratio of development profits of the old industrial complex regeneration project is higher than that of the similar institution, the structural upgrading project for old industrial complex. In the case of land sale profits, the regeneration project and the structural upgrading project are at a similar level(25%), but in the case of the construction project, the regeneration project is 50% and the structural upgrading project is 25%. Considering that the cost structure of the two projects is almost the same, the 50% rule for the construction project sales revenue is considered very high. As a policy direction for Gyeonggi-do to revitalize the old industrial complex regeneration project, first, it is necessary to create preconditions for revitalizing private investment before reinvesting development profits(especially infrastructure investment support). Second, when setting the reinvestment ratio of the regeneration project, it is necessary to prevent adverse selection of institutions by linking it with the similar institution(the structural upgrading project). Third, A differentiated policy approach is required according to regional industrial policy goals. Fourth, a system should be designed towards the direction of contributing to the advancement of the industrial ecosystem in the old industrial complex. In conclusion, it is proposed to set the reinvestment ratio of the reinvestment profit of the old industrial complex regeneration project at 25% of the sales profit for the construction project and 25% of the profits for the land sale project by the Gyeonggi-do Ordinance.

      • KCI등재

        노후산업단지 재생에 있어서 민간 참여 개발에 대한경제지리교육적 접근: 제3공간의 창출을 위하여

        정성훈 한국지역지리학회 2017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23 No.4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present the necessity of an approach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education to the private sector-participatory development in the regeneration of the old industrial complex. Along with this aim, the necessity and sustainability of the thirdspace are discussed. In reality, because there are considerable limits to the implementation by public sector in the regeneration of the old industrial complex in Korea, the participation of private sector is essential. Within this context, the spatial construction model is classified, which is based upon functions of introduction and arrangement for the facility of the industrial complex, types of the regeneration, and industrial location. Subsequently, this classification is applied to two industrial complexes and consequently, it is explored that the two complexes are focused upon the regeneration of bloc and particular facility. Along with this result, the necessity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education in the regeneration is suggested in the context of the creation and sustainability of the thirdspace.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노후산업단지 재생에 있어서 민간 참여 개발에 대한 경제지리교육적 접근을 필요성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제3공간의 필요성과 지속가능성을 논의하고자 한다. 실질적으로, 한국의 노후산업단지 재생은 공공부문이 주도적으로 추진하기에는 많은 한계가 존재하기 때문에 민간 참여형 개발이 필수적이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이 연구는 첫째, 노후산업단지 공간 조성 모델을 유형화하였다. 유형화 지표로 도입・정비 기능, 재생 방식, 산업 입지를 활용하였다. 둘째, 이러한 유형을 현실적인 사례에 적용하여 그 실현 가능성을 고찰하였다. 결과적으로 2개의 산업단지 재생 사업은 주로블록단위 재생이나 특정 시설 재생에 초점을 두고 있음을 파악하였다. 마지막으로 이와 같은 노후산업단지 재생 과정에서 경제지리교육의 필요성을 제3공간의 창출과 지속가능성의 차원에서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