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성장마인드 셋, 끈기(tenacity)와 운동수행의 구조적 관계

        최정아 한국체육교육학회 2019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23 No.4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structural relation among growth mind set, tenacity, and athletic performance. This study constructed theoretical model which was growth mind sets as a exogenous and tenacity and athletic performance as endogenous variables. Methods: The subjects were 164 university students(men : 62, Women : 102) who were attended J university. This study used growth mind sets scale, tenacity scale and double jump in jump rope as a athletic performance. Data was analysed by description analysis, corelation, and structure equation. Results: Analysis of description, all of subjects showed average level of growth mind sets(3.0), showed high level of tenacity(4.0). and there were no difference between men and women in the levels of growth mind sets and tenacity. But, the level of athletic performance showed by men were higher than that of women. Factor analysis, tenacity scale confirmed validity through explanatory and confirmed factor analysis and there were ‘tenacity related general daily’ factor and ‘tenacity related task’ factor. Analysis of structure equation, this study model confirmed as a theoretical model because general index are proved(χ2=16.401, CMIN/DF=1.025, RMR=.043, GFI=.976, NFI=.960, TLI=960, CFI=.999, RMSEA=.012). In analysis details index, there were significant paths of growth mind sets→ tenacity, tenacity → athletic performance. Conclusion: There ar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growth mind sets, tenacity, and athletic performance and tenacity fully mediated between growth mind sets and athletic performance. 이 연구는 외생변인으로 운동에 대한 성장마인드 셋을 내생변인으로 끈기와 운동수행으로 한 이론 모델을 구축하고 성장 마인드 셋, 끈기, 운동 수행능력 사이의 구조적 관계를 밝히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2018년 현재 J대학교에 재학 중인 164명을 대상(남학생62명, 여학생102명)으로 하였다. 이 연구는 운동수행으로 줄넘기의 2중 뛰기 점수를 사용하였다. 측정 척도로는 성장 마인드 셋, 끈기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기술 분석, 상관분석 및 구조방정식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전체 대상자의 성장마인드 셋은 보통 수준을 보였고, 끈기는 높음 수준을 보였다. 이를 변인에 대한 성별 집단 간 비교결과 성장마인드 셋과 끈기에는 집단 간 차이가 없었으나 운동수행에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끈기척도를 타당화 한 결과 끈기 척도는 ‘일상관련 끈기(6문항)’, ‘과제관련 끈기(4문항)’ 총 10문항의 하위 척도로 구성된 끈기 척도가 타당화 되었다. 셋째, 변인 간 구조적 관계를 분석한 결과 성장마인드 셋은 운동수행에 직접적인 영향을 없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끈기는 직접적인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성장마인드 셋 → 끈기, 끈기 → 운동수행 경로 유의함), 끈기는 성장마인드 셋과 운동수행을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체육수업에 대한 흥미와 능력인지에 따른 성장 마인드, 끈기가 노력에 미치는 영향

        김인수(Kim, In-So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9

        목적 이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체육수업에서 흥미와 능력인지, 성장 마인드, 끈기가 체육수업에서 필요한 노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방법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흥미와 능력인지를 외생변인으로 하고, 성장 마인드, 끈기, 노력을 내생변인으로 한 이론 모델을 설정하고 이의 검증을 통해 연구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의 대상자는 C, G, J 대학교 체육수업에 참여한 226명(남: 107, 여: 119)의 대학생으로 체육수업에 대한 흥미, 능력인지, 성장 마인드, 끈기, 노력척도를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한 결과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결과 첫째, 기술분석을 실시한 결과 전체적으로 학생들의 흥미와 노력의 수준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별로는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능력인지와 노력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변인의 수준별 집단에 따른 결과에서 흥미수준이 높을수록, 능력인지 수준이 높은 집단일수록 성장 마인드와 끈기 수준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노력의 수준에는 차이가 없었다. 둘째, 변인 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흥미, 능력인지, 성장 마인드, 끈기 간에는 서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노력은 끈기에만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흥미와 능력인지를 외생변인으로 하고 성장 마인드, 끈기, 노력을 내생변인으로 한 구조모델은 전반적 지수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나 이론모델로 합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구체적인 유의 경로를 분석한 결과 흥미 → 성장 마인드, 끈기, 능력인지 → 성장 마인드, 끈기 → 노력의 경로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흥미 → 끈기 → 노력의 경로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끈기가 흥미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influence of tenacity on efforts and growth minds by Interest and ability cognition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In order to achieve these research objectives, it was intended to establish and verify a research model based on Interest and ability cognition as an exogenous variable, and growth mind, tenacity and efforts as endogenous variables. Methods The subjects are 226 university students(men : 107, women: 119) who agreed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at C, G, and J university of education as of 2020. This study use Interest scale about physical education class(4 items), ability cognition scale(4 items), mind growth scale(4 items), Tenacity scale(7 items), and efforts in physical education class scale(3 items). Fore the data analysis, descriptive analysis, explanatory and confirmed factor analysis, t-test, ANOVA, and Structure equation modeling are conducted using SPSS22.0 and AMOS 22.0. Resul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descriptive analysis, Overall, the level of Interest and efforts among students is lower, and by gender, male students were higher in ability and efforts than those of female students. Results from groups of variables by level showed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Interest and the higher the level of ability recognition, the higher the level of tenacity, but there is no difference in the level of efforts. In analysis of the corelation, there are significant between Interest, ability, growth mind, and tenacity, but efforts is only related to tenacity. Structural models with Interest and ability as exogenous variables and growth mind, tenacity, and efforts as endogenous variables are found to be reasonable as theoretical models with a good overall index, and specific significance path analysis show Interest → growth mind, tenacity, ability → growth mind, tenacity → the path of efforts is significant, and the analysis of the mediate effect showed Interest → tenacity → the path of efforts is significant. Conclusions Whether college students Interest and ability cognition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have a positive impact on growth mind, growth mind has an effect on tenacity and tenacity has a direct impact on effort.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physical education classes should be Interest and reinforced tenacity.

      • KCI등재

        체육수업에서 자기효능감과 끈기가 운동수행에 미치는 영향

        김인수 한국체육교육학회 2022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27 No.3

        Purpose: This study analyzes whether self-efficacy and tenacity affect exercise performance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for college students. Method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64 students attending G University as of 2021. The measures used in the study were self-efficacy, tenacity, and exercise performance scales. The analysis methods used in this study wer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Results: First, it was found that self-efficacy had a direct effect on tenacity and exercise performance. Second, it was found that tenacity not only has a direct effect on exercise performance, but also has an indirect effect. Third, this research model, which uses self-efficacy as an exogenous variable and tenacity and exercise performance as an endogenous variable, was found to be suitable as a theoretical model. Four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ediating effect, it was found that tenacity partially mediated self-efficacy and exercise performance. Conclusion: Self-efficacy has a positive effect on tenacity and exercise performance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and tenacity partially mediates self-efficacy and exercise performance, so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factors of tenacity as well as self-efficacy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목적: : 이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체육수업에서 자기효능감과 끈기가 운동수행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방법: 연구자는 연구문제 해결을 위해 G대학에 재학 중인 164명(남: 68, 여: 96)의 학생을 대상으로 자기효능감, 끈기, 운동수행 변인을 측정하여 상관분석과 구조분석(SEM)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자기효능감은 끈기와 운동수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끈기는 운동수행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간접효과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효능감을 외생변인으로 하고, 끈기와 운동수행을 내생변인으로 한 이 연구모델은 이론모델로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끈기가 자기효능감과 운동수행을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체육수업에서 자기효능감은 끈기와 운동수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끈기는 자기효능감과 운동수행을 부분 매개함으로서 체육수업에서 운동수행 향상을 위해서는 자기효능감은 물론 끈기의 요인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수학 학습에서 도전과 끈기에 대한 시나리오 기반 평가 도구 개발

        김수민(Kim,Su Min),황지현(Hwang,Jihyun)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24 교과교육학연구 Vol.28 No.3

        요 약. 본 연구는 수학 학습에서 고등학생들의 도전과 끈기를 평가하기 위한 시나리오 기반 검사 도구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전과 끈기는 수학하는 열정의 한 구성 요소로 두고, 도전과 끈기의 의미를 정하고, 이들의 하위 요소도 정하였다. 도전과 끈기의 의미에 대한 적절성은 두 차례의 전문가 델파이로 확보되었다. 개발된 도전과 끈기의 의미는 시나리오 기반 평가도구의 평가틀로 시나리오 문항 개발의 기반이 되었다. 도전과 끈기를 평가하는 시나리오 문항의 내용 타당도 또한 두 차례의 전문가 델파이를 통해 확보되었다. 개발된 문항에 대한 구조적 타당성 검증은 예비 검사의 시행으로 503명의 자료를 확보할 수 있었고, 도전과 끈기의 시나리오 문항에 대한 구조적 타당성은 라쉬 모형을 활용하였다. 마지막으로 도전과 끈기의 평가결과를 학생들에게 제공하는 피드백을 개발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developed a scenario-based assessment tool designed to evaluate high school students' challenge and perseverance in learning mathematics. Researchers established definitions and sub-components of both challenge and perseverance, understanding them as part of a larger concept "passion for doing mathematics" and the definitions were validated by experts through two rounds of Delphi surveys. Based on the validated definitions, it established the basis for creating scenario-based assessment items. The content validity of these items was also confirmed via two rounds of the Delphi surveys. To evaluate the structural validity of the assessment items, a pilot test was conducted with 503 students and the Rasch model was applied to data from the students. Lastly, the researchers developed feedback based on the assessment results to support students' learning in mathematics, focusing on their challenge and perseverance.

      • KCI등재

        생활체육참여자의 목표성향에 따른 열정과 끈기

        김석일 ( Seok Il Kim )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009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Vol.20 No.4

        이 연구는 생활체육참여자 336명을 대상으로 성취목표성향과 내적동기와 밀접한 연관성을 갖고 있는 열정과 끈기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데이터 처리는 SPSS 15.0과 AMOS 7.0을 이용하여 탐색적/확인적 요인분석, t-test, ANOVA, 위계적 회귀분석, 3×3요인설계에 의한 다변량분산분석 등을 이용하였다. 그 결과를 간략하게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생활체육참여자들을 대상으로 한 이 연구에서는 과제성향이나 자아성향 모두 여성보다는 남성에서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과제성향에서는 성별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p>.05), 자아성향에서만 남성들이 여성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5). 둘째, 성별과 참여빈도에 따라 강박열정과 조화열정, 그리고 끈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남성이 여성보다 강박열정(p<.05)과 조화열정(p<.05), 그리고 끈기(p<.001)가 높았고, 생활체육 참여빈도가 높을수록 강박열정(p<.01)과 조화열정(p<.001) 또한 높았다. 셋째, 과제성향과 자아성향을 저, 중, 고로 구분하여 과제성향과 자아성향 수준에 따른 열정과 끈기를 살펴본 결과, 과제성향이 높은 집단이 조화열정(p<.001)과 끈기(p<.05)에서 모두 그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자아성향이 높은 집단 역시 조화열정(p<.05)과 끈기(p<.001)에서 모두 그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과제성향은 강박열정(p<.05)과 조화열정(p<.001), 그리고 끈기(p<.01)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자아성향 역시 강박열정(p<.01), 조화열정(p<.01), 끈기(p<.001)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대해서는 선행연구와 이론을 토대로 세부적인 논의를 전개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goal orientation affects passion and persistence in life sport participants. Three questionnaires, the TEO in sport questionnaire, the passion scale, and persistence scale in TPQ were administered to 336 sport participants. The data were analyzed by t-test, ANOVA, correlation analysis,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exploratory/confirmatory factor analysis using SPSS/PC+15.0 and AMOS 7.0 program.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male participants in life sport showed higher score in goal orientation. But there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s in task oriented to the goal orientation by gender.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harmonious passion and obsessive passion to the passion and persistence by gender and level of participation. male participants in life sport showed higher score in harmonious passion and obsessive passion to the passion and persistence. Third, the participants with high goal orientation showed high levels of harmonious passion and persistence.

      • KCI등재

        중소벤처기업 정책지원의 인식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기업가 끈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영진,양동우 한국벤처창업학회 2023 벤처창업연구 Vol.18 No.6

        중소벤처기업에 대한 자금지원 등 정책지원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는 많이 있으나 정책지원에 대한 기업가의 인식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는 별로 없다. 또한, 기업가적 목표를 달성하고 지속하는 데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기업가 끈기(entrepreneurial persistence)와 기업성과에 관한 국내 연구도 거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정책지원에 대한 기업가의 인식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기업가 끈기의 매개효과를 분석함으로써 인식의 중요성을 밝히고, 기업가 끈기에 관한 연구를 심화하는 데 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중소벤처기업 정책지원에 대한 기업가의 인식 및 기업가정신을 독립변수로 구성하였으며, 기업가 끈기를 매개변수로, 기업의 비재무적 성과를 종속변수로 사용하였다. 연구자료는 중소벤처기업의 CEO 및 임원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지를 통해 수집하였으며, 설문 응답이 누락 되거나 불성실한 설문지를 제외하고 205부의 설문자료를 가설검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소벤처기업 정책지원의 인식 및 기업가정신은 기업성과에 유의한 정(+)의 영향이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둘째, 기업가 끈기는 중소벤처기업 정책지원의 인식 및 기업가정신과 기업성과 간의 관계에 있어서 부분 매개 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본 연구의 이론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 연구는 정책자금지원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인 데 비하여, 본 연구는 이에 대한 기업가들의 인식이 기업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검증함으로써 국내에는 선행연구가 거의 없는 인식과 성과와의 관계 그리고, 인식에 대한 중요성을 밝혔다는 점에서 이론적 기여를 한다. 둘째, 국내 선행연구가 별로 없는 기업가 끈기를 매개변수로 활용하여 기업가 끈기가 중소벤처기업 정책지원의 인식 및 기업가정신과 기업성과 간의 관계를 매개한다는 점을 검증함으로써 기업가 끈기의 중요성을 밝히고 그에 관한 연구를 확장했다는 점에서 이론적으로 기여한다. 본 연구의 실무적인 시사점은 중소벤처기업의 성과를 확대하기 위해서는 정책당국은 예산 및 지원제도 등 정책지원의 확대뿐만 아니라 그러한 정책지원을 기업가에게 홍보하고 공지하는 시스템적인 접근 등을 통해서 기업가의 인식을 제고해야 한다는 점이다.

      • KCI등재

        학업적응에서 끈기(Grit)와 목표의식, 성실성, 탄력성의 역할

        하혜숙,임효진,황매향 한국상담학회 2017 상담학연구 Vol.18 No.1

        This study examined the role of grit, goal perception, conscientiousness and resilience in academic adjustment of adult female college students. We specifically investigated how grit (i.e. perseverance of effort and consistency of interest) directly and indirectly predicted academic adjustment, mediated by goal perception. We administered a survey and collected data from 387 female students in an open university.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ere employed to analyze data and results showed that the hypothesized model fit data well. Grit positively predicted academic adjustment, fully mediated by goal perception. We found no consistent results regarding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conscientiousness and resilience on academic adjustment. Moreover, among the personality variables, grit was found to have a greater effect on academic adjustment than conscientiousness or resilience.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counselors need to focus on and support grit in order to overcome academic problems and achieve a long-term success for adult college students. 이 연구에서는 끈기(Grit)와 목표의식, 성실성과 탄력성이 대학생의 학업적응에서 어떠한 역할을 하고 있는가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특히 끈기가 장기적인 목표달성을 위한 열정과 노력의 지속이라는 측면에 집중하여, 지각된 미래 목표의식을 매개로 학업적응에 미치는 직․간접적인 효과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원격대학 여학생 387명을 대상으로 끈기, 목표의식, 성실성, 탄력성, 학업적응을 조사하고, 확인적 요인분석과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변수들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이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모형은 자료에 양호하게 부합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끈기는 목표의식을 통해 학업적응을 정적으로 예측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목표의식은 끈기와 학업적응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성실성과 탄력성은 목표의식을 통해 학업적응에 미치는 직․간접적인 효과가 일관되지 않게 나타났다. 나아가 학업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성격적인 특성 중 성실성이나 탄력성보다 끈기가 특히 목표의식을 통해 학업적응에 미치는 효과가 더 크게 나타나, 대학생활에서 발생하는 성인학습자들의 학업문제를 다루는 상담자는 장기적인 성취를 위한 끈기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이를 지지해 주어야 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끈기와 자기통제 집단수준에 따른 성격요인의 예측력 및 학교 부적응과 학업성취의 관계

        하혜숙,임효진,황매향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미래원격교육연구원 2015 평생학습사회 Vol.11 No.3

        The present study examined whether there were differences in school maladjustment and academic achievement depending on the level of grit (Duckworth et al., 2007) and self-control. Grit was measured by two sub-factors such as persistence of effort and consistency of interest. A total of 535 college students of Open University was recruited. First, Latent Class Analysis (LCA) was employed to investigate whether there exist distinct but unobserved groups among subjects in terms of the level of grit and self-control. The results showed that three qualitatively different groups were identified: high, middle, and low groups. Students who demonstrated high grit and self-control were less likely to show school maladjustment, measured by academic, emotional, and career-related problems. The differences of academic achievement across three groups, however,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we investigated whether personality significantly predicted latent class memberships. Results of multinominal logistic regression displayed that neuroticism and conscientiousness significantly predicted high, middle, and low groups of grit and self-control. That is, when the level of neuroticism increases, the probability of being in the higher group decreased; when the level of conscientiousness increases, the probability of being in the higher group increased.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이 연구에서는 끈기(grit)와 자기통제 수준에 따라 학업성취도와 학교부적응에서 어떤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성인학습자를 대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끈기 및 이와 유사한 구인으로 알려진 자기통제의 수준에 따라 집단을 나누기 위해 잠재집단분석을 실시한 결과 3집단 모형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끈기-자기통제 수준에 따른 학교부적응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는데, 끈기-자기통제가 높은 집단일수록 부적응 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끈기-자기통제 수준에 따른 학업성취도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끈기-자기통제 수준별로 나뉜 집단을 예측하는 성격 특성 중에서는 성실성과 신경증이 상-중-하 집단의 구분에, 친화성은 중-상 집단의 구분에 유의한 요인으로 밝혀졌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성인학습자의 학교적응과 학업성취를 향상하기 위해 어떠한 서비스를 제공해야 하는가에 대한 실제적 함의를 제공하였다

      • KCI등재

        육상선수의 끈기 및 열정 수준에 따른 성취목표지향성

        김석일 ( Seok Il Kim ),박성제 ( Sung Je Park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10 체육과학연구 Vol.21 No.4

        이 연구는 대학 및 성인 육상선수를 대상으로 이들의 끈기와 열정 수준별 성취목표지향성의 차이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대상자 199명에 대해 SPSS 15.0 프로그램과 AMOS 7.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기술통계 분석, 2X2 요인설계에 의한 다변량분산분석(2X2 MANOVA), 그리고 위계적 회귀분석 등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끈기 고 집단이 끈기 저 집단에 비해 과제성향과 자아성향이 모두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끈기는 자아성향보다는 과제성향에 보다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강박열정의 경우, 고 집단이 저 집단에 비해 과제성향 및 자아성향 모두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조화열정 고 집단이 저 집단에 비해 과제성향과 자아성향이 모두 높게 나타났다. 특히, 조화열정은 과제성향보다는 자아성향에 보다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끈기가 높고 조화열정이 높을수록 과제성향 또한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육상선수들의 끈기와 조화열정이 성취목표지향성인 과제성향과 자아성향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the level of persistence and passion on goal orientation in field-and track players. To accomplish the purpose, data collected 199 field-and track players were analyzed using convenience sampling method. The collected data were enforced descriptive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exploratory/confirmatory factor analysis using SPSS 15.0 and AMOS 7.0 program. The conclusions were as follows: First, Participants were classified as low vs high in persistence and passion(obsessive/harmonious passion). The participants in the upper half of persistence showed high scores on task orientation and ego orientation. Also, The participants in the upper half of obsessive passion and harmonious passion showed high scores on task orientation and ego orientation. Second, Persistence and harmonious passion had influences on orientation in the following orders: task orientation and ego orientation.

      • KCI등재

        초등학생의 운동참여가 성장마인드, 끈기와 과제에 대한 도전의식에 미치는 영향

        조필환(Cho Phil Hwan) 한국초등체육학회 2020 한국초등체육학회지 Vol.25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casual analysis between athletic participation and growth mind, tenacity, and challenging mind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is constructed by exogenous variable which is athletic participation(frequence, time, and period) and endogenous variables which are growth mine, tenacity, and challenging mind. The subjects are 662 children(boys: 344, girls: 318) who have been lived in G metro city and J province, and 406 children have been participation in athletic. The scales are scale of athletic participation scale(frequence, time, and period), growth mind scale, tenacity scale, and challenge scale for children. This study use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boys show higher athletic participation, growth mind, tenacity and challenging mind than those of girls. Second, this structural equation model is defined as a theoretical model((χ2=60.930, Df=42, CMIN/df= 1.451, RMR =.036 GFI=.985, NFI=.984, TLI=.992, CFI=.995, RMSEA=.026). Third, children’s athletic participation influence to directly the growth mind and tenacity, and indirectly to the challenging mind. Forth, children’s growth mind and tenacity directly influence to the challenging mind. 본 연구는 초등학교 아동을 대상으로 아동의 운동참여가 성장마인드, 끈기와 과제에 대한 도전의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아동의 운동참여를 외생변인으로 하고, 성장마인드, 끈 기, 과제에 대한 도전의식을 내생변인으로 한 구조모델을 설정하고 모델의 검증을 통해 연구문제를 해결하고자 하 였다. 연구 참여자는 편의표집법을 사용하여 G광역시와 J도에 소재한 10개 초등학교를 선정하였으며 참여자는 총 662명(남: 344명, 여: 318명)이었고, 이중 운동참여자는 406명(남: 227명, 여:179명)이었다. 본 연구는 측정도구로 운동참여척도(빈도, 시간, 기간), 성장마인드, 끈기, 과제에 대한 도전의식 질문지를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 과 첫째, 아동의 운동참여를 외생변인으로 하고, 성장마인드, 끈기, 과제에 대한 도전의식을 내생변인으로 한 구조 모델은 이론모델로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동의 운동참여는 성장마인드, 끈기와 과제에 대한 도전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과제에 대한 도전의식의 경우 직접적인 효과보다는 성장마인드와 끈기를 매개로 한 간접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아동의 성장마인드와 끈기는 과제에 대한 도전의식에 직접적인 영향 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